의무론 (키케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의무론》(De Officiis)은 기원전 44년, 로마 공화국 말기에 키케로가 아들 키케로 마이너에게 보낸 편지 형식으로 쓰인 작품이다. 이 책은 명예로운 것, 편의에 맞는 것, 그리고 이 둘이 충돌할 때의 행동 지침을 다루며, 스토아 철학의 영향을 받아 덕, 정의, 불굴, 예의를 강조한다. 1권은 명예, 2권은 사적 이익, 3권은 명예와 편의의 충돌에 대해 논하며, 공공 행동의 이상을 제시하고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독재를 비판한다. 중세 시대부터 르네상스, 근대에 이르기까지 서양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도 공직자의 도덕성과 책임감을 강조하는 중요한 텍스트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학 책 - 정의론
정의론은 존 롤스가 원초적 입장과 무지의 베일이라는 개념을 통해 공정하고 평등한 사회를 위한 정의의 원칙을 제시하며, 최대 자유 평등 원칙, 차등 원칙 및 기회균등 원칙을 포함하는 사회 정의 이론으로, 자유주의적 평등주의 이념의 핵심으로 평가되어 사회 개혁 논의에 철학적 기반을 제공한다. - 철학 책 - 순수이성비판
《순수이성비판》은 임마누엘 칸트의 저서로, 인간 이성의 한계와 인식 능력을 탐구하며, 경험적 지식에 의존하지 않고 종합적 선험 명제가 가능한지를 증명하고, 공간과 시간, 인과율 등을 인식의 형식으로 제시하여 서양 철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의무론 (키케로) - [서적]에 관한 문서 | |
---|---|
서지 정보 | |
제목 | 의무론 |
원제 | De Officiis |
저자 | 키케로 |
언어 | 라틴어 |
국가 | 로마 공화정 |
주제 | 윤리학 |
장르 | 철학 |
발표일 | 기원전 44년 |
원어 위키문헌 | De officiis |
언어 코드 | la |
2. 배경
기원전 44년 10월에서 11월 사이에 4주 이내라는 짧은 기간에 작성되었다.[21][1] 이 시기는 키케로 생애의 마지막 해였으며, 당시 그의 나이는 62세였다. 키케로는 당시에도 정치적으로 활발하게 활동하며, 로마 공화국을 장악하려는 혁명 세력에 맞서 공화정을 지키려 노력했다. 그러나 그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카이사르 암살 이후 공화정은 부활하지 못했고, 키케로 자신도 얼마 지나지 않아 암살당했다.
''의무론''은 키케로가 아테네에서 철학을 공부하던 아들 키케로 마이너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쓰였다. 그러나 형식과는 달리, 키케로는 이 글을 쓰면서 더 넓은 독자층을 염두에 두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 에세이는 키케로 사후에 출판되었다.
3. 집필 과정
키케로는 신 아카데미아, 소요학파, 스토아 철학 등 다양한 그리스 철학 학파의 영향을 받았다. 특히 이 작품에서는 스토아 철학자 파나이티우스의 영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2][3] 파나이티우스는 키케로보다 약 80년 앞서 로마에 거주했던 그리스 철학자였다.[4] 그는 Περὶ Καθήκοντος|페리 카테콘토스el(''의무에 관하여'')라는 책을 저술했는데, 이 책은 의무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다루었으나 마지막 세 번째 부분을 완성하지 못했다.[4]
키케로는 ''의무론''을 집필하면서 다른 여러 자료도 참고했지만, 특히 첫 두 권에서는 파나이티우스의 구성을 상당히 충실하게 따랐다.[5] 하지만 세 번째 권은 키케로의 독자적인 생각이 더 많이 반영되어 있으며,[5] 키케로 스스로도 이 주제에 관해 이전 작가들에게 빚을 지고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6] 학자 마이클 그랜트는 키케로가 이 책을 자신의 "정신적 유언이자 걸작"으로 여겼을 것이라고 평가했다.[7]
내용 면에서 키케로는 아들 마르쿠스에게 자연의 순리와 지혜를 따르고, 공적인 삶(정치)에 참여할 것을 촉구하며, 쾌락과 게으름을 경계하라고 조언한다. ''의무론''은 키케로의 다른 저작들에 비해 일화를 풍부하게 활용하는 특징을 보인다. 이는 그가 이 글을 비교적 급하게 썼기 때문일 수 있으며, 그 결과 문체 역시 다른 글들보다 더 자유롭고 덜 형식적인 편이다. 또한 유베날의 풍자시처럼, 키케로는 이 책에서 자신이 살았던 시대의 구체적인 사건들을 자주 언급하며 논의를 전개한다.
4. 내용
이 작품은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권에서는 무엇이 명예로운지, 제2권에서는 무엇이 편의에 맞거나 이로운지, 그리고 제3권에서는 명예로운 것과 편의에 맞는 것이 충돌할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한다.[27][8] 키케로는 명예로운 것과 편의에 맞는 것은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단지 충돌하는 것처럼 보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제3권에서 키케로는 이러한 자신의 생각을 명확히 표현한다.[27][8]
4. 1. 1권: 명예
제1권은 그 자체로 명예로운 것, 즉 훌륭한 것에 대해 다룬다.[28][6] 키케로는 우리의 의무가 명예와 덕에 기초하고 있음을 보여준다.[26][6] 그는 덕의 네 가지 구성 요소로 진실, 정의, 불굴(용기), 예의(단정함)를 제시하며, 우리의 의무는 이러한 덕목들에 대한 올바른 인식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한다.[26][6]
4. 2. 2권: 편의
두 번째 책은 사적인 이익과 삶의 향상과 관련된 의무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한다.[6][29] 이 책은 정치적 진출, 그리고 부와 권력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수단에 초점을 맞춘다.[6][26] 인기를 얻는 명예로운 방법에는 관대함, 예의, 웅변술 등이 있다.[6][26]
4. 3. 3권: 명예와 편의의 충돌
3권에서는 미덕과 편의 사이에 명백한 충돌이 있을 때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한다.[30][6] 키케로는 명예로운 것과 편의에 맞는 것은 본질적으로 같으며, 단지 충돌하는 것처럼 보일 뿐이라고 주장한다.[27][8] 진정한 미덕은 결코 사적인 이익과 경쟁할 수 없으며, 엄격하게 덕을 갖추지 않았다면 어떤 것도 유용하거나 이익이 되는 것으로 여겨서는 안 되고, 미덕과 편의의 원칙이 분리되어서도 안 된다고 강조한다.[26][6]
키케로는 겉으로 유용해 보이는 것이 미덕과 경쟁하는 것처럼 보이는 의심스러운 경우를 위한 몇 가지 규칙을 제시한다.[31][6] 또한 어떤 상황에서 명예롭게 사적인 이익을 추구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26][6] 그는 로마 역사에서 사례를 가져오는데, 대표적으로 마르쿠스 아틸리우스 레굴루스의 경우가 있다. 레굴루스는 카르타고인들에게 포로로 잡혔다가 평화 협상을 위해 풀려났지만, 로마 원로원에 카르타고의 제안을 거부하도록 조언하고 자신의 맹세를 지키기 위해 카르타고로 돌아갔다.[26][6]
5. 주제
이 책은 공적 행동의 이상을 정의하려는 시도로 특징지어진다.[9][32] 여러 곳에서 당시 막 암살된 독재자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그의 독재 전체를 비판하며, 정치적 권리가 없을 때 도덕적 미덕이 타락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키케로는 인간[10][33]과 신 모두를 다스리는 자연법에 대해서도 이야기한다.[11][34]
6. 유산 및 영향
작품의 유산은 깊다. 비록 기독교 작품은 아니지만, 390년 성 암브로시우스는 이 책이 기독교인이 사용하는 것을 허용한다고 선언했다(세네카의 저작물과 함께). 이후 중세 시대에 도덕적 권위가 되었다. 교부들 중 성 아우구스티누스, 성 예로니모, 그리고 성 토마스 아퀴나스 등이 이 책에 익숙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12][35]
인쇄술이 발명되기 전에 작성된 손으로 쓴 사본 약 700부가 전 세계 도서관에 남아 있어 그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는 라틴어 문법학자 프리스키아누스의 사본 900부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다른 많은 고전 작품들의 현존 사본 수를 훨씬 능가한다. 인쇄기 발명 이후, ''의무론''은 구텐베르크 성경과 도나투스의 ''Ars Minor'' 다음으로 세 번째로 인쇄된 책이었다.[13]
인문주의의 아버지이자 고전 연구 부흥의 선구자인 페트라르카는 키케로를 옹호했으며, 그의 여러 작품은 ''의무론''의 원칙을 기반으로 한다.[18] 코임브라 공작 페드루는 1437년에 이 논문을 포르투갈어로 번역했는데, 이는 중세 궁정에서 이 작품이 널리 퍼졌음을 보여준다.[14] 가톨릭 인문주의자 에라스무스는 1501년에 파리에서 자신의 판본을 출판했으며, 그의 많은 작품에서 이 도덕 논문에 대한 열정을 표현했다.[18][15] 독일 인문주의자 필립 멜란히톤은 루터교 인문주의 학교 교육 과정에 ''의무론''을 포함시켰다.[18]
T. W. 볼드윈은 "셰익스피어 시대에 ''의무론''은 도덕 철학의 정점이었다"고 평가했다.[16] 서 토마스 엘리엇은 그의 인기 저서인 ''총독''(1531)에서 젊은 신사들을 교육하기 위한 세 가지 필수 텍스트로 플라톤의 저작,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그리고 ''의무론''을 꼽았다.[17]
17세기에는 영국 학교(웨스트민스터 및 이튼)와 대학(케임브리지 및 옥스퍼드)에서 표준 교재로 사용되었다. 그로티우스와 푸펜도르프는 이 책에 대해 광범위하게 논의했으며,[19][37] 특히 그로티우스는 그의 주요 저서인 ''전쟁과 평화의 법''에서 ''의무론''에 크게 의존했다.[18][36] 또한 이 책은 로버트 샌더슨과 존 로크에게도 영향을 미쳤다.[19][37]
18세기에 볼테르는 ''의무론''에 대해 "아무도 이보다 더 현명한 글을 쓰지 않을 것"이라고 극찬했다.[20][38] 프리드리히 대제는 이 책을 매우 높이 평가하여, 1756년 이후 이미 두 개의 독일어 번역본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학자 크리스티안 가르베에게 새로운 번역을 의뢰했다. 가르베의 프로젝트는 880쪽에 달하는 추가적인 해설을 낳았다.
1885년, 페루자 시는 시립 아우구스타 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던 ''의무론''의 채색 필사본이 도난당하면서 큰 충격을 받았다. 유명한 학자였던 아다모 로시 수석 사서가 처음에는 용의자로 지목되었지만, 오랜 행정 및 사법 조사가 진행된 후 무혐의로 풀려났다. 절도범은 끝내 밝혀지지 않았다.
2002년 워싱턴 D.C.에 있는 조지 메이슨 기념관에는 앉아 있는 메이슨 조각상의 일부로 ''의무론''이 포함되었다.
''의무론''은 그 스타일과 공화정 시대의 로마 정치 생활을 묘사함으로써 오늘날에도 여전히 키케로의 작품 중 가장 인기 있는 작품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참조
[1]
서적
On Obligations
2001
[2]
논문
1991
[3]
웹사이트
On Duty
https://www.perseus.[...]
[4]
논문
1827
[5]
논문
1913
[6]
논문
1827
[7]
서적
Selected Works
[8]
서적
Selected Works
[9]
서적
On Obligations
2001
[10]
논문
1991
[11]
웹사이트
On Duty
https://www.perseus.[...]
[12]
서적
Cicero: A Sketch of His Life and Works
A.C. McClurg & Co.
1916
[13]
서적
Latin: A World Language
Belknap Press
2013
[14]
간행물
A PRESENÇA DE CÍCERO NA OBRA DE PENSADORES PORTUGUESES NOS SÉCULOS XV E XVI (1436-1543)
https://www.uc.pt/fl[...]
1994
[15]
문서
Erasmus' Epistolae
[16]
서적
William Shakspere's Small Latine & lesse Greeke
http://durer.press.i[...]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44
[17]
서적
The Boke named the Governour
Kegan Paul, Trench, & Co.
1883
[18]
서적
On Obligations
[19]
서적
John Locke: Resistance, Religion, and Responsibi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20]
서적
Cicero
Philosophical Dictionary Part 2
1764
[21]
서적
On Obligations
2001
[22]
논문
1991
[23]
웹사이트
On Duty
https://www.perseus.[...]
[24]
논문
1827
[25]
논문
1913
[26]
논문
1827
[27]
서적
Selected Works
[28]
논문
1827
[29]
논문
1827
[30]
논문
1827
[31]
논문
1827
[32]
서적
On Obligations
2001
[33]
논문
1991
[34]
웹사이트
On Duty
https://www.perseus.[...]
[35]
서적
Cicero: A Sketch of His Life and Works
A.C. McClurg & Co.
1916
[36]
서적
[37]
서적
John Locke: Resistance, Religion, and Responsibil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서적
Cicer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