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이널 판타지 XIII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파이널 판타지 XIII은 2009년에 출시된 스퀘어 에닉스의 롤플레잉 게임으로, 액티브 타임 배틀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독특한 전투 시스템, 크리스탈리움 성장 시스템, 개조 시스템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야기는 루시로 선택된 주인공 라이트닝과 동료들이 코쿤과 펄스를 둘러싼 운명에 맞서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라이트닝, 스노우, 바닐라, 삿즈, 호프, 팡 등의 등장인물들이 주요 역할을 한다. 게임은 일본에서 발매 첫날 100만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7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평론가들 사이에서는 선형적인 게임 진행 방식에 대한 비판이 있었지만, 2009년 일본 게임 어워드에서 퓨처 디비전 상을 수상하는 등 호평을 받기도 했다. 후속작으로 파이널 판타지 XIII-2와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이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파이널 판타지 XIII -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은 멸망해가는 세계에서 라이트닝이 사람들의 영혼을 구원하는 내용을 담은 《파이널 판타지 XIII》 시리즈의 완결편으로, 스타일 체인지 액티브 타임 배틀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의상을 활용한 전투를 벌이며, 시간 제한과 퀘스트, 엇갈린 평가를 받은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 파이널 판타지 XIII - 파이널 판타지 XIII-2
    파이널 판타지 XIII-2는 2011년에 출시된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세라 파론과 노엘 크라이스를 조작하여 시간 여행을 하며 언니 라이트닝을 찾아가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커맨드 시너지 배틀 시스템과 몬스터 동료 시스템을 특징으로 한다.
  • 파브라 노바 크리스탈리스 파이널 판타지 - 파이널 판타지 영식
    《파이널 판타지 영식》은 스퀘어 에닉스에서 개발한 액션 롤플레잉 게임으로, 오리엔스 세계에서 주작, 백호, 현무, 청룡 4개 국가 간의 갈등과 각 국가의 크리스탈 숭배 이야기를 배경으로 마도원 페리시티리움 주작 소속 클래스 제로 학생 14명을 조작하여 아기토가 되기 위한 여정을 담고 있다.
  • 파브라 노바 크리스탈리스 파이널 판타지 -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은 멸망해가는 세계에서 라이트닝이 사람들의 영혼을 구원하는 내용을 담은 《파이널 판타지 XIII》 시리즈의 완결편으로, 스타일 체인지 액티브 타임 배틀 시스템을 통해 다양한 의상을 활용한 전투를 벌이며, 시간 제한과 퀘스트, 엇갈린 평가를 받은 스토리로 구성되어 있다.
  • 취소된 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 - 메달 오브 아너: 에어본
    메달 오브 아너: 에어본은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미 육군 82 공수 사단 소속 공수부대원 보이드 트래버스의 시점에서 주요 작전에 참여하며, 낙하산을 이용한 자유로운 침투와 강화된 인공지능이 특징인 1인칭 슈팅 게임이다.
  • 취소된 플레이스테이션 2 게임 - 마피아 II
    마피아 II는 2K Games에서 발매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의 가상 도시 엠파이어 베이를 배경으로 이탈리아 이민자 출신 비토 스칼레타가 마피아 세계에 발을 들여 범죄 조직에서 활동하며 벌어지는 이야기와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차량, 음악, 그리고 패밀리 간의 세력 다툼을 다룬다.
파이널 판타지 XIII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게임의 주인공, [[Lightning (Final Fantasy)|라이트닝]]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아트
커버 아트, 게임의 주인공, 라이트닝을 특징으로 함
장르롤플레잉
모드싱글 플레이어
시리즈파이널 판타지
파브라 노바 크리스탈리스
개발
개발사스퀘어 에닉스 1st 프로덕션 부서
배급사스퀘어 에닉스
감독도리야마 모토무
프로듀서기타세 요시노리
프로그래머가시타니 요시키
아티스트카미코쿠료 이사무
테츠야 노무라
작가와타나베 다이스케
도리야마 모토무
작곡가하마우즈 마사시
엔진크리스털 툴스
플랫폼
플랫폼플레이스테이션 3
엑스박스 360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출시
플레이스테이션 3일본: 2009년 12월 17일
전 세계: 2010년 3월 9일
엑스박스 360전 세계: 2010년 3월 9일
일본: 2010년 12월 16일
윈도우전 세계: 2014년 10월 9일
기타 정보
판매량PS3 & Xbox 360: 전 세계 700만 장 이상
PS3: 일본 200만 장
PC: 72.5만 장
대응 영상 출력NTSC, 480p, 720p, 1080i, 1080p
대응 음성 출력최대 5.1ch(PCM・AC-3dts)
CEROB
ESRBT
PEGI16
USK12

2. 시스템

파이널 판타지 XIII의 전투 시스템. "패러다임 시프트" 옵션과 그 아래에 5개의 슬롯과 2개의 대기 중인 행동이 있는 ATB(액티브 타임 배틀) 게이지, 그리고 세 명의 활성화된 캐릭터의 체력과 역할이 표시되어 있다. 적의 이름과 피해량 백분율은 오른쪽 상단에 표시되어 있다.


『FFXIII』은 일직선 구조의 스토리로, 기본적으로 스토리 진행에 따라 무대가 계속 바뀌며, 이전 장소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되돌아올 수 없다. 후반부의 그랑=파루스로 내려간 후에는 제한적이지만 비교적 자유롭게 다닐 수 있다.

플레이어는 3인칭 시점으로 캐릭터(캐릭터)를 직접 조작하여 사람, 사물, 적과 상호 작용한다. 캐릭터 주위로 카메라를 돌려 주변 환경을 360°로 볼 수 있다. 이전 파이널 판타지 게임들과 달리 모든 지역이 캐릭터에 비례하여 표현된다. 플레이어는 도보 또는 초코보를 타고 세계를 이동한다. 세이브 스테이션을 사용하여 게임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에 저장하고, 소매 네트워크에서 아이템을 구입하거나 무기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게임 내 데이터로그는 몬스터 도감과 파이널 판타지 XIII 세계에 대한 부수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일본 출시 버전에는 "이지" 모드 옵션이 포함되어 있다.

== 배틀 시스템 ==

「액티브 타임 배틀 시스템을 속도감을 내는 방향으로 진화시킨 것」과 「명령의 연쇄, 동료와 연결되어 확장되는 행동의 연쇄」, 『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과 같은 전투가 테마이다.

본 작품에서는 리더 캐릭터가 전투 불능이 되면, 다른 동료가 건재하더라도 게임 오버가 된다. 게임 오버 후에는, 엔카운트 전부터 다시 시작하거나 게임을 종료하게 된다.

전투가 종료되면 HP는 전부 회복되고, 전투 불능 등의 상태 이상은 해제된다. 전투 종료 후, 직접 길을 획득할 수 없다. 보물 상자를 열어 직접 입수하거나, 전투 등에서 입수한 필요 없는 아이템을 팔아 길을 얻게 된다.

; 심볼 인카운트

: 본작에서는 필드 위에 적이 보이고, 그것에 접촉하면 근처의 적을 끌어들여 배틀 필드로 이동한다.

: 전투에 돌입한 경우, 「도망치기」 명령이 없으므로, 그 전투 중에 도망칠 수 없게 되었다. 만일 전투에 돌입한 경우에는, 전투 중 또는 게임 오버 시에 다시 시작을 선택함으로써 엔카운트 전의 상황으로 돌아갈 수 있다.

; 기습 공격

: 적에게 발각되기 전에 접촉하면 기습 공격이 되어, 배틀 시작 시에 자동으로 공격을 한다. 그에 따라 적을 브레이크 직전까지 몰아넣은 상태에서 배틀이 시작되고, 결과 화면에서의 평가도 상승한다.

; 결과 화면

: 전투에서 승리하면, 결과 화면에서 평가된다. 파티 및 적의 강함, 기습인지 여부 등의 조건으로부터 산출된 목표 시간을 주된 기준으로 산출된다. 별의 수로 표시되는 배틀 랭크가 높을수록 TP가 많이 회복되거나, 희귀 아이템을 입수할 수 있는 등의 메리트가 있다.

; 다시 시작

: 전투에서는 결과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이라면, 노리스크로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실행하면 엔카운트 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 전투 시에 사용한 아이템이나 TP, 전투 전에 사용한 스모크는 모두 원래대로 돌아온다.

; 에너미 리포트

: 메뉴의 「오토 클립」 내의 항목에서 열람할 수 있는, 적의 정보가 모두 축적된 항목이다. AI가 판명된 적의 특징에 맞춘 행동을 취하게 된다.

; 세이브 포인트・숍

: 세이브 포인트와 숍은 연동되어 있으며, 코쿤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구입하는 형식이므로, 어느 세이브 포인트를 사용해도 같은 것을 구입할 수 있다.

; 옵티머

: 옵티머는 전투 중 파티원의 '''역할(롤)'''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행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전투 중 L1 버튼을 누르면 옵티머 목록이 표시되며, 언제든지 변경하여 파티 전력과 행동 패턴을 바꿀 수 있다. 옵티머는 사전에 설정해둔 것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다.

; 롤(역할)

: 기존 시리즈의 직업과 유사하다. 캐릭터의 능력과 어빌리티는 세팅한 롤에 따라 변화한다.

역할특징
어택커
ATK
공격에 특화된 역할. 주로 무속성 공격으로 싸운다.
블래스터
BLA
체인을 잇는 것을 특기로 하는 역할. 속성 공격도 특기이다.
디펜더
DEF
방어에 능한 역할. 도발 등의 어빌리티도 습득한다.
힐러
HLR
회복에 특화된 역할.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엔핸서
ENH
파티 지원용 역할. 프로텍트, 헤이스트 등을 습득한다.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재머
JAM
상대의 약화를 행하는 역할. 바이오, 슬로우 등을 습득한다.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 액티브 타임 배틀(ATB) ==

본 작품의 ATB 게이지는 여러 개의 슬롯으로 나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커맨드에는 '''코스트'''가 설정되어 있으며, 슬롯 1개 당 코스트 1의 기술을 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커맨드를 '''스톱'''시킬 수 있는데 △버튼을 눌러 ATB 게이지가 MAX가 되면 선택했던 커맨드를 순차적으로 한 번에 발동시킬 수 있다. 슬롯마다 커맨드를 입력해 연속공격을 노리거나 다수의 슬롯을 일시에 소비해 강력한 공격을 노릴지는 플레이어의 판단에 달려있다.

강력한 공격을 받아 넘어지면 행동이 방해받는다. 방해받는다는 것은 실행하려 했던 공격이 캔슬이 된다는 뜻이다. 캔슬되도 해려했던 공격의 ATB 게이지는 소비되지 않는다. 공격 행동 중에 ×를 누르면 공격을 도중에 종료시킬 수 있다.

리더의 커맨드 입력은 수동으로 기술・마법을 하나씩 입력하는 방법과 자동으로 결정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어느 쪽을 초기 상태로 정할 지는 메뉴의 콘픽에서 선택이 가능하며, 자동으로 해서 생략되게 하려면 ○버튼을 연타하는 것만으로 전투를 끝내는 것도 가능하다.

아이템 사용과 TP 어빌리티(소환・라이브라 등)은 ATB에 관계 없이 즉석에서 발동 가능하다. ATB 게이지의 소모도 없다.

== 체인과 브레이크와 쳐 올리기 ==

적을 공격하면 화면 오른쪽 위의 체인 보너스와 체인 게이지가 상승한다. 공격이 끊기면 게이지가 감소하며, 0이 되기 전에 공격을 이으면 체인 수가 증가한다. 체인 중에는 일반보다 높은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보너스가 오른쪽의 고정 수치를 웃돌면 적을 브레이크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브레이크 상태가 되면 체인 게이지가 감소하며, 게이지가 0이 되면 다시 체인 게이지를 모을 수 있다. 체인 게이지를 모으는 방법에 따라 브레이크 시간이 크게 달라진다.

브레이크 중에는 체인과는 별도로 데미지가 추가되며, 이 상태의 적에게 타이밍 좋게 공격하면 강력한 특수 공격을 캔슬시킬 수도 있다. 또한, 브레이크 상태에서는 어택커(후술)의 오토 어빌리티 「스매시 어퍼」에 의해 「공격」이 변화하여 띄울 수 있게 된다. 띄운 상태에서 추가 공격을 하면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적의 행동을 봉쇄할 수 있다. 단, 적의 종류에 따라 띄울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브레이크에 의해 형태가 변화하는 적도 있으며, 전반적으로 대폭 약화되므로, 빠르게 브레이크 상태로 만드는 것이 공략의 포인트가 된다. 또한, 적의 특수 공격 중에는 브레이크 중에 공격해도 캔슬할 수 없는 것이 있다.

== 소환수 시스템 ==

소환수는 루시 한 명당 한 마리만 소환 가능하며, 특정 이벤트 전투에서 "인정받음"(물리치는 것이 아님)으로 획득할 수 있다. 소환자가 성장하면 소환수도 자동으로 성장한다. 피니시 기술의 레벨은 전투 중 소환수와 연계하여 전투하면 오른다. 소환을 사용할 때는 '''TP'''(택티컬 포인트)가 필요하다. TP는 전투 종료 시 결과 랭크에 따라 획득할 수 있으며, 특정 아이템을 사용하여 보충할 수도 있다. 전투 멤버 중 누군가가 ATB 게이지를 최대치까지 스톡하여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명령을 성공시키면 회복한다. 또한, 팡이 특정 무기로 브레이크해도 회복한다.

소환수와의 전투에서는 드라이빙 게이지를 최대로 채워 최대치일 때 □ 버튼을 누르면 소환수에게 "인정받는다". 드라이빙 게이지를 채우는 방법은 소환수에 따라 다르다.


  • '''소환''': 소환 중에는 소환자와 소환수만으로 파티를 이루어 싸우게 된다. 소환자의 TP 게이지가 DRIVE 게이지로 변화하며, 체인을 쌓아 증가한다. 이 게이지 양이 많을수록 드라이빙 모드에 돌입했을 때의 총 코스트가 증가하여 더 많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소환 중에 소환자의 HP가 0이 되면 소환자에게 리레즈를 사용하고 소환수는 귀환한다.
  • '''SP(소몬 포인트)''': 소환수의 HP에 해당하는 수치. 적의 공격을 받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일정량까지 감소하면 드라이빙 모드의 게이지도 함께 감소하기 시작하고, SP가 0이 되면 귀환한다. SP가 0이 되기 전에 □ 버튼을 누르면 드라이빙 모드로 돌입한다.
  • '''드라이빙 모드''': 드라이빙 모드는 소환수가 말이나 차로 변형하여 소환자를 태우고 싸운다. 아날로그 스틱과 버튼 조합으로 공격한다. 기술명 옆의 수치는 발동에 필요한 코스트이며, 기술을 사용하면 화면 왼쪽 아래의 총 코스트에서 수치가 줄어든다. 드라이빙 모드 중에는 미터의 바늘이 가리키는 빨간 게이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0이 되기 전에 기술을 사용하면 게이지는 최대치로 돌아가 다시 감소하기 시작한다. 시간 내에 기술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남은 총 코스트가 0이 되면 소환수는 자동으로 피니시 기술을 발동하고 귀환한다. 코스트와 게이지가 남아 있어도 수동으로 피니시 기술을 발동하면 소환수는 귀환한다.
  • '''귀환 후''': 아군은 죽음의 선고를 제외한 상태 이상을 포함하여 전부 회복한다. 쌓인 체인 게이지가 리셋되고, 브레이크 상태도 해제된다.


== 옵티머 ==

옵티머는 전투 중 파티원의 '''역할(롤)'''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행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전투 중 L1 버튼을 누르면 옵티머 목록이 표시되며, 언제든지 변경하여 파티 전력과 행동 패턴을 바꿀 수 있다. 옵티머는 사전에 설정해둔 것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다. 각 멤버(최대 3인)의 역할을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없고, 정해진 최대 6 종류인 옵티머로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투 상황에 맞는 옵티머를 미리 설정해두어야 한다.

역할은 물리적 피해를 입히는 어태커, 속성 마법을 사용하는 블래스터, 체력 회복 및 부정적 상태 이상 제거가 가능한 힐러, 긍정적 상태를 부여하여 아군을 강화하는 엔핸서, 부정적 상태를 부여하여 적을 약화시키는 재머, 방어 능력을 가지고 적의 공격을 받는 디펜더로 구성된다.

== 롤(역할) ==

기존 시리즈의 직업과 유사하다. 캐릭터의 능력과 어빌리티는 세팅한 롤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고유의 보너스 효과도 얻을 수 있으며 파티 전체에 효과가 미친다. 같은 역할의 캐릭터가 있다면 효과가 보다 강해진다. 롤 레벨이 오르면 효과의 위력도 상승한다.

영문판에서는 대부분 군 병사의 역할과 연관된 명칭이 되었다.

역할특징
어택커
ATK
공격에 특화된 역할. 주로 무속성 공격으로 싸운다. 체인 보너스의 지속 시간이 길기 때문에, 블래스터와 조합하는 것이 브레이크를 위한 기본이 된다. 보너스 효과는 공격 데미지 증가이다.
블래스터
BLA
체인을 잇는 것을 특기로 하는 역할. 속성 공격도 특기이다. 체인 보너스가 크게 상승하지만, 지속 시간이 짧기 때문에, 어택커나 재머로 지속 시간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보너스 효과는 체인 게이지 증가율 증가이다.
디펜더
DEF
방어에 능한 역할. 도발 등의 어빌리티도 습득한다. 보너스 효과는 피해량 감소이다.
힐러
HLR
회복에 특화된 역할.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보너스 효과는 아이템, 마법에 의한 HP 회복량 증가이다.
엔핸서
ENH
파티 지원용 역할. 프로텍트, 헤이스트 등을 습득한다.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보너스 효과는 강화 효과 지속 시간 연장이다.
재머
JAM
상대의 약화를 행하는 역할. 바이오, 슬로우 등을 습득한다.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체인 보너스의 상승량, 지속 시간 모두 어택커와 블래스터의 중간에 해당하기 때문에, 파티에 어택커가 없을 때 지속 시간을 늘리는 대체 역할이 된다(그런 상황이 되는 것은 드물다). 보너스 효과는 약화 효과 지속 시간 연장이다.



== 크리스탈리움 ==

파이널 판타지 XIII의 성장 시스템은 전투에서 획득한 '''CP'''(크리스탈 포인트)를 사용하여, 능력치를 향상시키거나 어빌리티를 습득하여 역할(롤)별로 성장시키는 방식이다. 파이널 판타지 X의 「스피어판」과 비슷하지만, 크리스탈리움은 캐릭터마다 독립되어 있으며, 자유도는 높지 않다.

크리스탈리움은 같은 종류의 롤이라도 캐릭터마다 다르다. 원반은 다층구조로 중앙의 크리스탈에 도달하면 위쪽의 원반으로 이동한다. 또한 크리스탈리움에도 레벨이 있어 기본적인 스토리 진행만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서 원반의 증가 나아가서는 습득 가능한 크리스탈리움의 최대수도 증가된다. 크리스탈리움 레벨은 최대 10까지 상승하며 게임을 클리어하지 않는 경우 최대 레벨 9까지 상승한다.

성장시키고 싶은 롤을 정하면 원반 면이 나타난다. 파워라인으로 연결된 크리스탈이 배치되어 있으며 CP를 소비하는 것으로 그 라인을 따라 진행 가능하다. 크리스탈에 도달하면 어빌리티를 습득하거나 스테이터스 보너스를 얻거나 한다. 크리스탈은 5종류가 있으며, HP・물리공격・마법공격 등의 수치 상승, 어빌리티 습득, 악세사리 장착 가능 개수 증가, ATB 슬롯 증가, 롤 레벨 상승의 5가지이다.

크리스탈리움(Crystarium)은 6개의 크리스탈로 구성된 레벨 시스템으로, ''파이널 판타지 X''의 스피어 그리드와 유사하다. 크리스탈리움의 각 크리스탈은 6가지 직업 중 하나를 나타내며, 10개의 레벨로 나뉜다. 각 레벨에는 체력, 공격력, 마법력 등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능력과 액세서리 슬롯을 제공하는 다양한 노드가 있다. 이러한 노드는 반직선형 경로로 연결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적을 물리친 후에 얻는 크리스탈젠 포인트(Crystogen Points)를 획득하여 경로를 따라 진행할 수 있다. 게임 시작 시에는 모든 크리스탈리움을 사용할 수 없으며, 게임 스토리의 특정 시점에서 새로운 크리스탈이나 레벨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개조 ==

소재를 사용해 장비품을 강화하는 시스템이다. 장비품은 소재를 사용해 개조하면 경험치가 모여 레벨 업하면 성능이 올라가며 어빌리티가 부여되기도 한다. 장비품은 각각 레벨 한계치가 있으며, 레벨이 ★로 표시되는 장비품은 특정 소재로 아이템 체인지 가능하다. 아이템 체인지하면 이름과 외관 성능이 변한다. 아이템 체인지한 무기는 대개 한계까지 개조한 장비품보다 일시적으로 성능은 떨어지지만, 더욱 개조를 거듭해나가면 개조 전의 장비품을 상회하는 성능을 지니게 된다.

소재의 경험치 상승 폭은 소재마다 정해져 있으며, 그 중에는 경험치 보너스(=경험치에 필요한 배율, 최대 3배)를 줄여버리는 것도 있다. 소재는 크게 3개 장르로 나뉘며, 소재의 장르는 소재의 이름 왼쪽 아이콘으로 확인 가능하다.


  • '''기계소재''' - 비교적 경험치가 높고 경험치 보너스가 감소. 나사와 같은 아이콘.
  • '''생체소재''' – 비교적 경험치가 낮고, 입수가 쉬고 경험치 보너스도 증가한다. 덩굴같은 아이콘.
  • '''광석소재''' – 아이템 체인지 용 소재. 경험치 입수와 경험치 보너스가 변하지는 않는다. 돌과 같은 아이콘.


해체한 장비품은 없어지지만 대신 소재를 입수할 수 있다. 가끔 그 중에는 해체로만 습득 가능한 소재도 있다. 또한 해체 대상의 아이템 레벨에 따라서 입수 가능한 아이템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 장비품 ==

본 작품에서는 무기와 액세서리만 장비할 수 있으며, 각 장비에는 고유한 어빌리티가 부여된다.

; 무기

: 무기는 하나만 장비할 수 있다. 적이나 롤의 특성에 따라 다수의 무기를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한다. 캐릭터마다 사용 가능한 무기 카테고리가 정해져 있으며, 무기를 개조해도 이 카테고리는 변하지 않는다. 배틀 중에는 무기를 교체할 수 없다.

; 액세서리

: 초기에는 액세서리를 한 개만 장착할 수 있지만, 캐릭터가 성장함에 따라 최대 4개까지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액세서리는 개조를 통해 성능 향상이 가능하며, 기존 방어구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장비 어빌리티

: 장비품에 부가되는 어빌리티이다. 직접 공격과 마법 위력을 향상시키거나, 특정 조건에서 ATB 게이지나 TP를 회복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프로테스, 헤이스트, 각종 속성 강화 등 스테이터스 효과를 부여하는 어빌리티도 있다.

; 연쇄 어빌리티

: 특정 무기와 액세서리를 조합하면 특수한 어빌리티가 발동된다.

== 초코보 ==

특정 미션을 완료하면 아르카키르티 대평원(アルカキルティ大平原)에서 초코보를 탈 수 있다. 초코보를 이용하면 걷는 것보다 훨씬 빠르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갈 수 없는 특정 장소로 점프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초코보는 땅 속에 묻혀있는 보물을 발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탑승 중 초코보의 머리 위에 "!" 아이콘이 표시되면 그 주변에 보물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물에 가까워질수록 아이콘의 움직임이 격렬해지며, 초코보는 보물이 있는 방향으로 머리를 향한다.

== 명비(冥碑)와 미션 ==

'그랑=펄스' 곳곳에 흩어져 있는 명비로부터 미션을 받아 특정 몬스터를 토벌한다. 명비를 만지면 미션을 받을 수 있으며, 타겟 몬스터나 그 출몰 지역, 난이도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타겟 몬스터를 토벌하면 보수를 얻고 미션은 한 번 클리어 후에 몇 번이고 재도전 가능하다.

특정 미션을 클리어하면 잠들어있던 명비가 눈을 뜨기 때문에 다른 미션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특수한 명비인 「텔레포의 명비」(미션을 클리어하면 워프 포인트로써 사용 가능), 「명비의 결계」(미션을 클리어하면 봉쇄된 에리어가 봉인 해제됨)도 존재한다.

== 오토 클립 ==

메뉴에 있는 도움말과 용어 사전 등을 집약한 시스템이다. 자동적으로 수집되며 새로운 항목이 추가되면 화면에 통지된다.

  • 스토리 – 메인 스토리를 진행하면 추가된다.
  • 13일간 – 스토리 발단이된 13일간 벌어지는 일들이 점점 밝혀진다.
  • 인물, 전설과 역사, 지역과 시설, 성부와 사회 – 각각 캐릭터와 용어 해설.
  • 파루시 – 작품 속에 등장하는 다양한 파루시/ファルシ일본어 해설.
  • 단편의 장 – 특정 미션과 서브 이벤트를 하면 추가되며 메인 스토리를 보완하는 세계 설정.
  • Tips – 시스템의 해설. 기본 조작편・배틀편・필드편・메뉴편이 있다.
  • 에너미 리포트 – 적을 쓰러뜨리거나 라이브라를 사용하면 추가된다.

2. 1. 배틀 시스템



「액티브 타임 배틀 시스템을 속도감을 내는 방향으로 진화시킨 것」과 「명령의 연쇄, 동료와 연결되어 확장되는 행동의 연쇄」, 『파이널 판타지 VII 어드벤트 칠드런』과 같은 전투가 테마이다.

본 작품에서는 리더 캐릭터가 전투 불능이 되면, 다른 동료가 건재하더라도 게임 오버가 된다. 게임 오버 후에는, 엔카운트 전부터 다시 시작하거나 게임을 종료하게 된다.

전투가 종료되면 HP는 전부 회복되고, 전투 불능 등의 상태 이상은 해제된다. 전투 종료 후, 직접 길을 획득할 수 없다. 보물 상자를 열어 직접 입수하거나, 전투 등에서 입수한 필요 없는 아이템을 팔아 길을 얻게 된다.

; 심볼 인카운트

: 본작에서는 필드 위에 적이 보이고, 그것에 접촉하면 근처의 적을 끌어들여 배틀 필드로 이동한다.

: 전투에 돌입한 경우, 「도망치기」 명령이 없으므로, 그 전투 중에 도망칠 수 없게 되었다. 만일 전투에 돌입한 경우에는, 전투 중 또는 게임 오버 시에 다시 시작을 선택함으로써 엔카운트 전의 상황으로 돌아갈 수 있다.

; 기습 공격

: 적에게 발각되기 전에 접촉하면 기습 공격이 되어, 배틀 시작 시에 자동으로 공격을 한다. 그에 따라 적을 브레이크 직전까지 몰아넣은 상태에서 배틀이 시작되고, 결과 화면에서의 평가도 상승한다.

; 결과 화면

: 전투에서 승리하면, 결과 화면에서 평가된다. 파티 및 적의 강함, 기습인지 여부 등의 조건으로부터 산출된 목표 시간을 주된 기준으로 산출된다. 별의 수로 표시되는 배틀 랭크가 높을수록 TP가 많이 회복되거나, 희귀 아이템을 입수할 수 있는 등의 메리트가 있다.

; 다시 시작

: 전투에서는 결과 화면으로 이동하기 전이라면, 노리스크로 다시 시작할 수 있으며, 실행하면 엔카운트 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 전투 시에 사용한 아이템이나 TP, 전투 전에 사용한 스모크는 모두 원래대로 돌아온다.

; 에너미 리포트

: 메뉴의 「오토 클립」 내의 항목에서 열람할 수 있는, 적의 정보가 모두 축적된 항목이다. AI가 판명된 적의 특징에 맞춘 행동을 취하게 된다.

; 세이브 포인트・숍

: 세이브 포인트와 숍은 연동되어 있으며, 코쿤의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구입하는 형식이므로, 어느 세이브 포인트를 사용해도 같은 것을 구입할 수 있다.

; 옵티머

: 옵티머는 전투 중 파티원의 '''역할(롤)'''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행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전투 중 L1 버튼을 누르면 옵티머 목록이 표시되며, 언제든지 변경하여 파티 전력과 행동 패턴을 바꿀 수 있다. 옵티머는 사전에 설정해둔 것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다.

; 롤(역할)

: 기존 시리즈의 직업과 유사하다. 캐릭터의 능력과 어빌리티는 세팅한 롤에 따라 변화한다.

역할특징
어택커
ATK
공격에 특화된 역할. 주로 무속성 공격으로 싸운다.
블래스터
BLA
체인을 잇는 것을 특기로 하는 역할. 속성 공격도 특기이다.
디펜더
DEF
방어에 능한 역할. 도발 등의 어빌리티도 습득한다.
힐러
HLR
회복에 특화된 역할.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엔핸서
ENH
파티 지원용 역할. 프로텍트, 헤이스트 등을 습득한다.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재머
JAM
상대의 약화를 행하는 역할. 바이오, 슬로우 등을 습득한다.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2. 1. 1. 액티브 타임 배틀(ATB)

본 작품의 ATB 게이지는 여러 개의 슬롯으로 나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커맨드에는 '''코스트'''가 설정되어 있으며, 슬롯 1개 당 코스트 1의 기술을 발동시킬 수 있다. 또한 선택한 커맨드를 '''스톱'''시킬 수 있는데 △버튼을 눌러 ATB 게이지가 MAX가 되면 선택했던 커맨드를 순차적으로 한 번에 발동시킬 수 있다. 슬롯마다 커맨드를 입력해 연속공격을 노리거나 다수의 슬롯을 일시에 소비해 강력한 공격을 노릴지는 플레이어의 판단에 달려있다.

강력한 공격을 받아 넘어지면 행동이 방해받는다. 방해받는다는 것은 실행하려 했던 공격이 캔슬이 된다는 뜻이다. 캔슬되도 해려했던 공격의 ATB 게이지는 소비되지 않는다. 공격 행동 중에 ×를 누르면 공격을 도중에 종료시킬 수 있다.

리더의 커맨드 입력은 수동으로 기술・마법을 하나씩 입력하는 방법과 자동으로 결정되게 하는 방법이 있다. 어느 쪽을 초기 상태로 정할 지는 메뉴의 콘픽에서 선택이 가능하며, 자동으로 해서 생략되게 하려면 ○버튼을 연타하는 것만으로 전투를 끝내는 것도 가능하다.

아이템 사용과 TP 어빌리티(소환・라이브라 등)은 ATB에 관계 없이 즉석에서 발동 가능하다. ATB 게이지의 소모도 없다.

2. 1. 2. 체인과 브레이크와 쳐 올리기

적을 공격하면 화면 오른쪽 위의 체인 보너스와 체인 게이지가 상승한다. 공격이 끊기면 게이지가 감소하며, 0이 되기 전에 공격을 이으면 체인 수가 증가한다. 체인 중에는 일반보다 높은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보너스가 오른쪽의 고정 수치를 웃돌면 적을 브레이크 상태로 만들 수 있다. 브레이크 상태가 되면 체인 게이지가 감소하며, 게이지가 0이 되면 다시 체인 게이지를 모을 수 있다. 체인 게이지를 모으는 방법에 따라 브레이크 시간이 크게 달라진다.

브레이크 중에는 체인과는 별도로 데미지가 추가되며, 이 상태의 적에게 타이밍 좋게 공격하면 강력한 특수 공격을 캔슬시킬 수도 있다. 또한, 브레이크 상태에서는 어택커(후술)의 오토 어빌리티 「스매시 어퍼」에 의해 「공격」이 변화하여 띄울 수 있게 된다. 띄운 상태에서 추가 공격을 하면 큰 데미지를 줄 수 있으며, 적의 행동을 봉쇄할 수 있다. 단, 적의 종류에 따라 띄울 수 없는 경우도 있다.

브레이크에 의해 형태가 변화하는 적도 있으며, 전반적으로 대폭 약화되므로, 빠르게 브레이크 상태로 만드는 것이 공략의 포인트가 된다. 또한, 적의 특수 공격 중에는 브레이크 중에 공격해도 캔슬할 수 없는 것이 있다.

2. 1. 3. 소환수 시스템

소환수는 루시 한 명당 한 마리만 소환 가능하며, 특정 이벤트 전투에서 "인정받음"(물리치는 것이 아님)으로 획득할 수 있다. 소환자가 성장하면 소환수도 자동으로 성장한다. 피니시 기술의 레벨은 전투 중 소환수와 연계하여 전투하면 오른다. 소환을 사용할 때는 '''TP'''(택티컬 포인트)가 필요하다. TP는 전투 종료 시 결과 랭크에 따라 획득할 수 있으며, 특정 아이템을 사용하여 보충할 수도 있다. 전투 멤버 중 누군가가 ATB 게이지를 최대치까지 스톡하여 마지막으로 사용하는 명령을 성공시키면 회복한다. 또한, 팡이 특정 무기로 브레이크해도 회복한다.

소환수와의 전투에서는 드라이빙 게이지를 최대로 채워 최대치일 때 □ 버튼을 누르면 소환수에게 "인정받는다". 드라이빙 게이지를 채우는 방법은 소환수에 따라 다르다.

  • '''소환''': 소환 중에는 소환자와 소환수만으로 파티를 이루어 싸우게 된다. 소환자의 TP 게이지가 DRIVE 게이지로 변화하며, 체인을 쌓아 증가한다. 이 게이지 양이 많을수록 드라이빙 모드에 돌입했을 때의 총 코스트가 증가하여 더 많은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소환 중에 소환자의 HP가 0이 되면 소환자에게 리레즈를 사용하고 소환수는 귀환한다.
  • '''SP(소몬 포인트)''': 소환수의 HP에 해당하는 수치. 적의 공격을 받거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일정량까지 감소하면 드라이빙 모드의 게이지도 함께 감소하기 시작하고, SP가 0이 되면 귀환한다. SP가 0이 되기 전에 □ 버튼을 누르면 드라이빙 모드로 돌입한다.
  • '''드라이빙 모드''': 드라이빙 모드는 소환수가 말이나 차로 변형하여 소환자를 태우고 싸운다. 아날로그 스틱과 버튼 조합으로 공격한다. 기술명 옆의 수치는 발동에 필요한 코스트이며, 기술을 사용하면 화면 왼쪽 아래의 총 코스트에서 수치가 줄어든다. 드라이빙 모드 중에는 미터의 바늘이 가리키는 빨간 게이지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며, 0이 되기 전에 기술을 사용하면 게이지는 최대치로 돌아가 다시 감소하기 시작한다. 시간 내에 기술을 사용하지 못하거나 남은 총 코스트가 0이 되면 소환수는 자동으로 피니시 기술을 발동하고 귀환한다. 코스트와 게이지가 남아 있어도 수동으로 피니시 기술을 발동하면 소환수는 귀환한다.
  • '''귀환 후''': 아군은 죽음의 선고를 제외한 상태 이상을 포함하여 전부 회복한다. 쌓인 체인 게이지가 리셋되고, 브레이크 상태도 해제된다.


2. 1. 4. 옵티머

옵티머는 전투 중 파티원의 '''역할(롤)'''을 실시간으로 변경하여 행동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전투 중 L1 버튼을 누르면 옵티머 목록이 표시되며, 언제든지 변경하여 파티 전력과 행동 패턴을 바꿀 수 있다. 옵티머는 사전에 설정해둔 것 중에서 선택하는 방식이다. 각 멤버(최대 3인)의 역할을 개별적으로 변경할 수 없고, 정해진 최대 6 종류인 옵티머로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투 상황에 맞는 옵티머를 미리 설정해두어야 한다.

역할은 물리적 피해를 입히는 어태커, 속성 마법을 사용하는 블래스터, 체력 회복 및 부정적 상태 이상 제거가 가능한 힐러, 긍정적 상태를 부여하여 아군을 강화하는 엔핸서, 부정적 상태를 부여하여 적을 약화시키는 재머, 방어 능력을 가지고 적의 공격을 받는 디펜더로 구성된다.

2. 1. 5. 롤(역할)

ATK공격에 특화된 역할. 주로 무속성 공격으로 싸운다. 체인 보너스의 지속 시간이 길기 때문에, 블래스터와 조합하는 것이 브레이크를 위한 기본이 된다. 보너스 효과는 공격 데미지 증가이다.블래스터
BLA체인을 잇는 것을 특기로 하는 역할. 속성 공격도 특기이다. 체인 보너스가 크게 상승하지만, 지속 시간이 짧기 때문에, 어택커나 재머로 지속 시간을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보너스 효과는 체인 게이지 증가율 증가이다.디펜더
DEF방어에 능한 역할. 도발 등의 어빌리티도 습득한다. 보너스 효과는 피해량 감소이다.힐러
HLR회복에 특화된 역할.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보너스 효과는 아이템, 마법에 의한 HP 회복량 증가이다.엔핸서
ENH파티 지원용 역할. 프로텍트, 헤이스트 등을 습득한다. 공격은 일절 하지 않는다. 보너스 효과는 강화 효과 지속 시간 연장이다.재머
JAM상대의 약화를 행하는 역할. 바이오, 슬로우 등을 습득한다. 데미지를 주는 것도 가능하다. 체인 보너스의 상승량, 지속 시간 모두 어택커와 블래스터의 중간에 해당하기 때문에, 파티에 어택커가 없을 때 지속 시간을 늘리는 대체 역할이 된다(그런 상황이 되는 것은 드물다). 보너스 효과는 약화 효과 지속 시간 연장이다.



2. 2. 크리스탈리움

파이널 판타지 XIII의 성장 시스템은 전투에서 획득한 '''CP'''(크리스탈 포인트)를 사용하여, 능력치를 향상시키거나 어빌리티를 습득하여 역할(롤)별로 성장시키는 방식이다. 파이널 판타지 X의 「스피어판」과 비슷하지만, 크리스탈리움은 캐릭터마다 독립되어 있으며, 자유도는 높지 않다.

크리스탈리움은 같은 종류의 롤이라도 캐릭터마다 다르다. 원반은 다층구조로 중앙의 크리스탈에 도달하면 위쪽의 원반으로 이동한다. 또한 크리스탈리움에도 레벨이 있어 기본적인 스토리 진행만으로 상승한다. 이에 따라서 원반의 증가 나아가서는 습득 가능한 크리스탈리움의 최대수도 증가된다. 크리스탈리움 레벨은 최대 10까지 상승하며 게임을 클리어하지 않는 경우 최대 레벨 9까지 상승한다.

성장시키고 싶은 롤을 정하면 원반 면이 나타난다. 파워라인으로 연결된 크리스탈이 배치되어 있으며 CP를 소비하는 것으로 그 라인을 따라 진행 가능하다. 크리스탈에 도달하면 어빌리티를 습득하거나 스테이터스 보너스를 얻거나 한다. 크리스탈은 5종류가 있으며, HP・물리공격・마법공격 등의 수치 상승, 어빌리티 습득, 악세사리 장착 가능 개수 증가, ATB 슬롯 증가, 롤 레벨 상승의 5가지이다.

크리스탈리움(Crystarium)은 6개의 크리스탈로 구성된 레벨 시스템으로, ''파이널 판타지 X''의 스피어 그리드와 유사하다. 크리스탈리움의 각 크리스탈은 6가지 직업 중 하나를 나타내며, 10개의 레벨로 나뉜다. 각 레벨에는 체력, 공격력, 마법력 등을 향상시키거나 새로운 능력과 액세서리 슬롯을 제공하는 다양한 노드가 있다. 이러한 노드는 반직선형 경로로 연결되어 있다. 플레이어는 적을 물리친 후에 얻는 크리스탈젠 포인트(Crystogen Points)를 획득하여 경로를 따라 진행할 수 있다. 게임 시작 시에는 모든 크리스탈리움을 사용할 수 없으며, 게임 스토리의 특정 시점에서 새로운 크리스탈이나 레벨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2. 3. 개조

소재를 사용해 장비품을 강화하는 시스템이다. 장비품은 소재를 사용해 개조하면 경험치가 모여 레벨 업하면 성능이 올라가며 어빌리티가 부여되기도 한다. 장비품은 각각 레벨 한계치가 있으며, 레벨이 ★로 표시되는 장비품은 특정 소재로 아이템 체인지 가능하다. 아이템 체인지하면 이름과 외관 성능이 변한다. 아이템 체인지한 무기는 대개 한계까지 개조한 장비품보다 일시적으로 성능은 떨어지지만, 더욱 개조를 거듭해나가면 개조 전의 장비품을 상회하는 성능을 지니게 된다.

소재의 경험치 상승 폭은 소재마다 정해져 있으며, 그 중에는 경험치 보너스(=경험치에 필요한 배율, 최대 3배)를 줄여버리는 것도 있다. 소재는 크게 3개 장르로 나뉘며, 소재의 장르는 소재의 이름 왼쪽 아이콘으로 확인 가능하다.

해체한 장비품은 없어지지만 대신 소재를 입수할 수 있다. 가끔 그 중에는 해체로만 습득 가능한 소재도 있다. 또한 해체 대상의 아이템 레벨에 따라서 입수 가능한 아이템이 증가하는 경우도 있다.

2. 4. 장비품

본 작품에서는 무기와 액세서리만 장비할 수 있으며, 각 장비에는 고유한 어빌리티가 부여된다.

; 무기

: 무기는 하나만 장비할 수 있다. 적이나 롤의 특성에 따라 다수의 무기를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한다. 캐릭터마다 사용 가능한 무기 카테고리가 정해져 있으며, 무기를 개조해도 이 카테고리는 변하지 않는다. 배틀 중에는 무기를 교체할 수 없다.

; 액세서리

: 초기에는 액세서리를 한 개만 장착할 수 있지만, 캐릭터가 성장함에 따라 최대 4개까지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액세서리는 개조를 통해 성능 향상이 가능하며, 기존 방어구와 같은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장비 어빌리티

: 장비품에 부가되는 어빌리티이다. 직접 공격과 마법 위력을 향상시키거나, 특정 조건에서 ATB 게이지나 TP를 회복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또한 프로테스, 헤이스트, 각종 속성 강화 등 스테이터스 효과를 부여하는 어빌리티도 있다.

; 연쇄 어빌리티

: 특정 무기와 액세서리를 조합하면 특수한 어빌리티가 발동된다.

2. 5. 초코보

특정 미션을 완료하면 아르카키르티 대평원(アルカキルティ大平原)에서 초코보를 탈 수 있다. 초코보를 이용하면 걷는 것보다 훨씬 빠르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갈 수 없는 특정 장소로 점프하여 이동할 수도 있다. 초코보는 땅 속에 묻혀있는 보물을 발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탑승 중 초코보의 머리 위에 "!" 아이콘이 표시되면 그 주변에 보물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물에 가까워질수록 아이콘의 움직임이 격렬해지며, 초코보는 보물이 있는 방향으로 머리를 향한다.

2. 6. 명비(冥碑)와 미션

'그랑=펄스' 곳곳에 흩어져 있는 명비로부터 미션을 받아 특정 몬스터를 토벌한다. 명비를 만지면 미션을 받을 수 있으며, 타겟 몬스터나 그 출몰 지역, 난이도 등의 정보가 표시된다. 타겟 몬스터를 토벌하면 보수를 얻고 미션은 한 번 클리어 후에 몇 번이고 재도전 가능하다.

특정 미션을 클리어하면 잠들어있던 명비가 눈을 뜨기 때문에 다른 미션을 받을 수 있게 된다.

특수한 명비인 「텔레포의 명비」(미션을 클리어하면 워프 포인트로써 사용 가능), 「명비의 결계」(미션을 클리어하면 봉쇄된 에리어가 봉인 해제됨)도 존재한다.

2. 7. 오토 클립

메뉴에 있는 도움말과 용어 사전 등을 집약한 시스템이다. 자동적으로 수집되며 새로운 항목이 추가되면 화면에 통지된다.

3. 등장 인물



멤버는 모두 마법 등 특수한 힘을 행사할 수 있는 "루시"라고 불리는 존재이다(일부를 제외하고 이야기 과정에서 "루시"가 된다). 불합리한 상황에 놓여 어쩔 수 없이 행동을 함께 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멤버들의 사이가 좋지 않지만(특히 라이트닝과 스노우, 스노우와 홉의 관계), 진실이 밝혀짐과 동시에 멤버들도 정신적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상호 이해를 통해 단결해 간다.

; 라이트닝(Lightning) / 에클레어 파론(Éclair Farron)

: 목소리: 사카모토 마아야;알리 힐리스 / 모션 액터: 나카지마 나호

: 여성 / 소환수: 오딘 / 드라이빙 모드: 백마 / 크리스탈의 형태: 장미 / 고유 어빌리티: 씬 드라이브(BLA)

: 본 작품의 주인공. 나이는 21세. 키는 171cm. D컵[20] 1인칭은 "나". 2인칭은 "너"이다.

: 루시의 낙인은 왼쪽 가슴에 있다. 냉정하고 한번 결정한 일은 끝까지 관철하는 것을 신조로 하는 성격. 여동생 세라에 대해서는 다소 과보호하는 면이 있으며, 15세 때 부모를 잃고 유일한 친척이 된 이후로 "여동생을 지킬 수 있는 어른이 되고 싶다"는 의지에서 본명을 버리고 "라이트닝"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자신과 여동생을 부양하기 위해 스스로 성무군에 입대한다. 후에 중사가 되었지만 사실상 탈퇴한다.

: 어릴 때 부모를 잃은 경위로,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손으로 살아갈 필요성에 몰렸기 때문에 좋게 말하면 자립심이 높고, 나쁘게 말하면 누구에게도 마음을 열지 않는다. 때로는 군에 입대한 목적조차 잊고 일에만 매달린 나머지, 여동생의 일조차 소홀히 하는 일이 있었다. 여동생이 루시가 된 것은 자신이 신경을 써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강하게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좋든 싫든 무뚝뚝한 성격으로 말투가 비교적 나쁜 것이 특징이다.

: 원래는 성무의 경비군 "보덤 치안연대"에 소속된 중사이자 병사 중 한 명이었지만, 세라를 구하기 위해 스스로 제대하고, 원래 성무 관계자와 군인은 퍼지의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퍼지에 지원하여 열차에 탑승한다. 행드에지에서 성무군(PSICOM)의 손에서 사람들을 탈출시킨 후, 이적지로 향해 팔씨로부터 세라를 구출하려 했지만 오히려 루시로 선택되어, 일변 추격당하는 신세가 되어 버렸다. 루시의 사명을 짊어진 세라와 그녀를 구하려는 스노우의 우직함으로부터 눈을 돌리고 싸우는 것으로 도망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대로 누구도 신뢰할 수 없었고, 특히 자신을 따라오는 홉에게는 발목이 된다고 강하게 밀어내며, 매우 힘든 상황이었지만 자신에게 의지하는 홉에게 방해가 된다면 너도 적이라고 폭언을 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따라오는 홉을 보면서 개심하고, 이후 다른 동료들에게도 적극적으로 의지하거나 협력하게 된다. 도중에 홉의 사소한 말에 의해, 팔씨에게 길들여져 있던 자신의 심연에 싹튼 절망에 눈치채고, 희망을 잃지만, 세라를 되찾을 가능성과 자신의 약함에 직면하고, 동료들과 함께 운명에 맞서는 길을 선택한다. 스노우의 일도 행동하는 가운데 그를 조금씩이나마 인정하게 된다. 팡과는 행동을 함께 한 일, 라이트닝에게 있어서 세라와 마찬가지로 그녀에게도 바닐라라는 지켜야 할 존재가 있다는 것, 그녀로부터 길을 보여받았다는 것 등으로 다른 멤버들보다 친해졌으며, 이야기 중 특히 중요한 장면에서는 서로 협력하고 있다. 이 일로 처음에는 그녀도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부분이 있었지만, 이 이야기에서 정신적인 성장을 했다고 말할 수 있다.

: 검과 총을 복합시킨 무기로 싸운다. 특별히 튜닝된 무기를 지급받았던 경력이 있는 등, 뛰어난 전투 능력을 가지고 있다. 군에서도 우수한 자에게만 지급되는 가상 중력 마법 발생 장치 "그래비티 기어"를 조종하지만, 본편 중에 고장난다. 그러나 수리된 종반에 습득하는 전용 기술, 씬 드라이브를 사용하면 중력을 조종하는 연속 공격을 볼 수 있다.

: 그리고 본편 중에 한 번만 라이트닝을 "뇌광"으로 표기한다.

: 『파이널 판타지 XIII-2』에서는 주요 인물로 등장하며, 발할라에 있으며 여신의 기사가 되어 신에 가까워진 인물이 되어 있으며, 의상도 무인 『XIII』와 변화하고 있다. 세라 등의 세계에서는 그녀가 죽은 것으로 되어 있다.

: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에서는 다시 주인공으로 복귀한다. 전작 XIII-2의 엔딩으로부터 500년 후의 세계에서 "해방자"로서 사람들의 영혼을 구제한다는 설정이다. 이쪽도 무인 『XIII』, 『XIII-2』와 기본 의상은 다르다.

: 파이널 판타지 in いただき스트리트 MOBILE나 디시디아 듀오데시무 파이널 판타지, 시어트리즘 파이널 판타지, 시어트리즘 파이널 판타지 커튼콜,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에도 등장.

: 구미판에서의 이름은 "'''클레어 파론(Claire Farron)'''".

; 스노우 빌리어스(Snow Villiers)

: 목소리: 오노 다이스케;트로이 베이커 / 모션 액터: 오바타 마코토

: 남성 / 소환수: 시바(스티리아&닉스) / 드라이빙 모드: 바이크 / 크리스탈의 형태: 하트 / 고유 어빌리티: 룰러 피스트(ATK)

: 나이는 21세. 키는 200cm. 1인칭은 "나". 2인칭은 "너・너희"이다. 동료들 대부분에게 "스노우"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연인인 세라, 홉 등).

: 덥수룩한 수염을 기른, 와일드한 분위기의 청년으로, 파티 멤버 중에서 가장 체격이 크다. 항상 긍정적인 사고방식으로 사는 열혈한으로 잘 챙겨주는 성격이지만, 그 성격 때문에 라이트닝과 홉에게 강한 반감을 사게 된다(특히 홉과는 큰 불화가 있기 때문에).

: 반성무 조직(원래는 자경단) "노라"의 리더로, 퍼지당할 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구출하기 위해 멤버들과 함께 행드에지에서 게릴라 활동을 펼치며, 단신으로 이적지에 들어간다. 루시의 낙인은 왼팔에 있지만, 그것을 숨기려고 하지는 않는다. 세라와는 서로 사랑하는 사이이지만, 평소 성격을 라이트닝은 좋게 생각하지 않는다. 스노우 자신은 진심으로 세라와의 미래를 생각하고 있으며, 세라가 루시라는 것을 알았을 때는 충격을 받았지만, 함께 사명을 완수하고 그녀의 부활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그리고 그녀의 정신적인 버팀목이 되고자 하는 마음에서 세라에게 청혼하고, 승낙을 받았다. 라이트닝을 "의붓누나"라고 부르며, 세라와의 결혼을 반대하는 그녀로부터 인정받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자신의 잘못으로 죽게 한 홉의 어머니 노라의 일은 마음속 깊이 남아 있었지만, 홉이 그녀의 아들이라는 것을 몰랐기 때문에 낙관적인 말투로 행동했기 때문에, 그에게서 증오를 받는 관계를 낳았다. 그러나 홉이 노라의 아들이라는 것을 알게 된 후에는 지금까지의 말을 사과하고, 그와의 관계가 회복된 후에는 나이 차이가 나는 형제와 같은 관계로 변해 간다.

: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는 코트를 걸치고, 화기를 상대로도 맨손으로 맞선다. 체력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 오르바=다이아 바닐라(Oerba Dia Vanille)

: 목소리: 후쿠이 유카리;조지아 밴 카일렌버그 / 모션 액터: 카츠라 아사미

: 여성 / 소환수: 헤카톤케이르 / 드라이빙 모드: 마도 아머 / 크리스탈의 형태: 사과 / 고유 어빌리티: 데스(JAM)

: 나이는 19세(+600세). 키는 161cm. 트윈테일이 특징적인 소녀. 1인칭은 "나".

: 명랑하고 활발하며, 그 가슴속 깊이에 굳건한 결의를 품고 있다. 낙인의 위치는 왼쪽 허벅지. 자세한 신원과 행동의 목적에는 종종 수수께끼 같은 것이 보이기도 한다.

: 그 정체는 수백 년 전에 묵시 전쟁에서 싸운 그랜드펄스의 루시이며, 한 번 사명을 완수하고 크리스탈이 되었지만, 어떤 계기로 팡과 함께 깨어난다. 그 후 에우리데 협곡에서 사고를 당해 팡과 헤어지고, 도착한 보덤에서 고향인 그랜드펄스로 돌아가는 목적으로 퍼지에 탑승했다. 우연히 행드에지에서 만난 홉과 함께, 라이트닝 등과 동행하며 은밀하게 팡을 찾지만, 사즈와 서로의 처지를 이야기 나누는 사이에 자신의 행동이 도지가 루시로 선택되는 간접적인 원인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한때 사즈에게 죽음으로써 속죄하려고 할 정도로 깊이 고민하지만, 자신을 돌보지 않고 도와주러 온 팡과 라이트닝 등의 모습과, 바닐라 자신에게 활력을 불어넣은 사즈의 행동으로 삶의 희망을 되찾는다.

: 묵시 전쟁의 참상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사명을 완수함으로써 사람들의 목숨이 콕쿤의 백성이라고 해도 잃어버릴 것을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 본 작품에서 이야기꾼의 위치도 맡고 있으며, 스토리 곳곳에 그녀의 내레이션이 삽입된다.

: 무기는 낚싯대를 연상시키는 와이어 로드이다.

; 사즈 캇츠로이(Sazh Katzroy)

: 목소리: 에하라 마사시;레노 윌슨 / 모션 액터: 키쿠마 아키히코

: 남성 / 소환수: 브륀힐데 / 드라이빙 모드: 자동차 / 크리스탈의 형태: 깃털 / 고유 어빌리티: 데스페라도(BLA)

: 나이는 40세. 키는 189cm(머리카락 포함). 1인칭은 "나". 2인칭은 "너・너희"이다.

: 새 둥지를 연상시키는 아프로 헤어가 특징이며, 머리카락 속에는 초코보의 병아리가 살고 있다. 루시의 낙인은 가슴팍. 사회적 차별을 분간하며, 의리와 인정이 두텁고 눈물이 많다. "아빠 ○○다아"가 버릇이다. 원래는 비행선 조종사를 맡고 있었으며, 한때 장거리 항해함의 함장을 맡았을 정도의 실력자였지만, 아내의 죽음을 계기로 아들 도지를 위해 집을 비우지 않는 단거리 함으로 이동했다.

: 콕쿤의 팔씨에 의해 루시로 선택되어 버린 도지를 시체나 크리스탈로 만들지 않기 위해, "팔씨를 파괴한다"는 목적으로 행동을 시작한다. 라이트닝을 만나 그녀와 함께 퍼지 열차에 탑승한다. 라이트닝의 행동에 용기를 얻고, 또 이야기는 하지 않지만 목적지의 일치로 인해 행동을 함께 한다.

: 합체시키면 라이플이 되는 더블 배럴 권총으로 원거리 공격을 잘한다.

; 호프 에스토하임(Hope Estheim)

: 목소리: 카지 유키;빈센트 마르텔라 / 모션 액터: 나카무라 츠바사

: 남성 / 소환수: 알렉산더 / 드라이빙 모드: 요새 / 크리스탈의 형태: 별 / 고유 어빌리티: 라스트 리조트(BLA)

: 나이는 14세. 키는 153cm. 1인칭은 "나". 2인칭은 "당신・너희(스노우에 대해 많다)"이다.

: 팜폴름에서 아무런 불편함 없이 상류층 생활을 보내온 소년. 낙인은 왼팔에 있고, 장갑으로 가리고 있다. 스노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사람들을 "〇〇씨"라고 "씨"를 붙여 부른다(라이트닝, 사즈 등).

: 어머니 노라가 성무의 퍼지에 대한 반란에서 전투 중 죽은 것으로부터, 그녀를 반란에 끌어들였고 자신을 루시로 만든 간접적인 원인을 만든 스노우를, 그리고 직접적인 원인이 된 성무군을 증오하고 있다. 한때 라이트닝과 공모하여 복수라는 이름 아래 스노우 살해를 진지하게 생각했었다. 그 후 라이트닝이 복수 중단을 제안하지만, 홀로 기회를 계속 노렸다. 한때 살해 직전까지 가지만, 결과적으로 실패로 끝난다. 그때 스노우를 증오하는 것이 싸우는 것, 더 나아가 살아가는 목표가 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또 스노우 자신이 어머니 노라의 죽음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그와의 불화도 풀어간다. 또한 가정을 돌보지 않는다고 싫어했던 아버지 발트로메이의 애정을 알게 되고, 마주 앉아 이야기할 수 있게 되며, 이야기를 통해 정신적으로 크게 성장한다. 그리고 홉은 "희망"이라는 의미이며, 극중에서 한 번 라이트닝이 "홉"을 "희망"으로 표기했다. 파티에서 가장 어린 멤버이기도 하며, 기본적으로 동료들은 씨를 붙여 부르지만, 스노우만은 불화가 풀린 후에도 반말을 하고 있으며, 당사자에게 핀잔을 받기도 했다. 또한 호기심이 많아서 익숙하지 않은 지하 세계의 무기를 호기심으로 작동시켜 위기를 벗어나거나, 반대로 위기에 처하는 등의 경솔한 면도 있으며, 라이트닝을 곤혹스럽게 하기도 한다.

: 부메랑으로 싸우지만, 루시가 된 이후로는 주로 마법 공격과 회복을 중심으로 한다.

; 오르바=윤 팡(Oerba Yun Fang)

: 목소리: 안도 마부키;레이첼 로빈슨 / 모션 액터: 키미지마 루미코

: 여성 / 소환수: 바하무트 / 드라이빙 모드: 비룡 / 크리스탈의 형태: 꽃잎 / 고유 어빌리티: 하이 윈드(ATK)

: 나이는 21세(+600세). 키는 175cm. 1인칭은 "나". 2인칭은 "너희"이다.

: 성무군 기병대와 함께 행동하는 검은 머리 여성. 왼쪽 윗팔에 큰 문신이 있다. 루시의 낙인은 오른쪽 윗팔에 있지만, 다른 루시의 것과 달리 흰색이며 모양도 다르다. 본인 말에 따르면 "그을린" 것이라고 스스로 비웃고 있다(기억 상실로 사명을 잊었다는 의미에서, 오펀에게도 그렇게 평가받고 있다). 낙인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시체가 되는 일도 없지만, 루시의 힘은 행사할 수 있다. 바닐라를 시체로 만들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서 기억의 회복・사명의 수행에 집착하고 있으며, 사명의 수행에 집착하지 않는 바닐라와의 감정이 어긋나는 일도 있다.

: 바닐라와 함께 수백 년 전 묵시 전쟁을 싸운 그랜드펄스의 루시이다. 깨어난 후 에우리데에서의 사고 후 성무군의 추격자로부터 도망치는 곳에서, 리그디와 조우하여 기병대에 신병을 넘겨주고, 레인즈의 협력을 얻어 바닐라를 찾고 있었다.

: 무기는 창이며, 삼절곤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공격력・약화 마법・방어력과 최상급의 성능을 가진 소유자이다.

3. 1. 파티 멤버



멤버는 모두 마법 등 특수한 힘을 행사할 수 있는 "루시"라고 불리는 존재이다(일부를 제외하고 이야기 과정에서 "루시"가 된다). 불합리한 상황에 놓여 어쩔 수 없이 행동을 함께 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멤버들의 사이가 좋지 않지만(특히 라이트닝과 스노우, 스노우와 홉의 관계), 진실이 밝혀짐과 동시에 멤버들도 정신적으로 성장을 거듭하고 상호 이해를 통해 단결해 간다.

; 라이트닝(Lightning) / 에클레어 파론(Éclair Farron)

: 목소리: 사카모토 마아야;알리 힐리스 / 모션 액터: 나카지마 나호

: 여성 / 소환수: 오딘 / 드라이빙 모드: 백마 / 크리스탈의 형태: 장미 / 고유 어빌리티: 씬 드라이브(BLA)

: 본 작품의 주인공. 나이는 21세. 키는 171cm. D컵[20]. 1인칭은 "나". 2인칭은 "너"이다.

: 루시의 낙인은 왼쪽 가슴에 있다. 냉정하고 한번 결정한 일은 끝까지 관철하는 것을 신조로 하는 성격. 여동생 세라에 대해서는 다소 과보호하는 면이 있으며, 15세 때 부모를 잃고 유일한 친척이 된 이후로 "여동생을 지킬 수 있는 어른이 되고 싶다"는 의지에서 본명을 버리고 "라이트닝"이라는 이름을 사용하며, 자신과 여동생을 부양하기 위해 스스로 성무군에 입대한다. 후에 중사가 되었지만 사실상 탈퇴한다.

: 어릴 때 부모를 잃은 경위로, 누구에게도 의지하지 않고 자신의 손으로 살아갈 필요성에 몰렸기 때문에 좋게 말하면 자립심이 높고, 나쁘게 말하면 누구에게도 마음을 열지 않는다. 때로는 군에 입대한 목적조차 잊고 일에만 매달린 나머지, 여동생의 일조차 소홀히 하는 일이 있었다. 여동생이 루시가 된 것은 자신이 신경을 써주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강하게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좋든 싫든 무뚝뚝한 성격으로 말투가 비교적 나쁜 것이 특징이다.

: 원래는 성무의 경비군 "보덤 치안연대"에 소속된 중사이자 병사 중 한 명이었지만, 세라를 구하기 위해 스스로 제대하고, 원래 성무 관계자와 군인은 퍼지의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퍼지에 지원하여 열차에 탑승한다. 행드에지에서 성무군(PSICOM)의 손에서 사람들을 탈출시킨 후, 이적지로 향해 팔씨로부터 세라를 구출하려 했지만 오히려 루시로 선택되어, 일변 추격당하는 신세가 되어 버렸다. 루시의 사명을 짊어진 세라와 그녀를 구하려는 스노우의 우직함으로부터 눈을 돌리고 싸우는 것으로 도망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위에서 언급한 대로 누구도 신뢰할 수 없었고, 특히 자신을 따라오는 홉에게는 발목이 된다고 강하게 밀어내며, 매우 힘든 상황이었지만 자신에게 의지하는 홉에게 방해가 된다면 너도 적이라고 폭언을 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따라오는 홉을 보면서 개심하고, 이후 다른 동료들에게도 적극적으로 의지하거나 협력하게 된다. 도중에 홉의 사소한 말에 의해, 팔씨에게 길들여져 있던 자신의 심연에 싹튼 절망에 눈치채고, 희망을 잃지만, 세라를 되찾을 가능성과 자신의 약함에 직면하고, 동료들과 함께 운명에 맞서는 길을 선택한다. 스노우의 일도 행동하는 가운데 그를 조금씩이나마 인정하게 된다. 팡과는 행동을 함께 한 일, 라이트닝에게 있어서 세라와 마찬가지로 그녀에게도 바닐라라는 지켜야 할 존재가 있다는 것, 그녀로부터 길을 보여받았다는 것 등으로 다른 멤버들보다 친해졌으며, 이야기 중 특히 중요한 장면에서는 서로 협력하고 있다. 이 일로 처음에는 그녀도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부분이 있었지만, 이 이야기에서 정신적인 성장을 했다고 말할 수 있다.

: 검과 총을 복합시킨 무기로 싸운다. 특별히 튜닝된 무기를 지급받았던 경력이 있는 등, 뛰어난 전투 능력을 가지고 있다. 군에서도 우수한 자에게만 지급되는 가상 중력 마법 발생 장치 "그래비티 기어"를 조종하지만, 본편 중에 고장난다. 그러나 수리된 종반에 습득하는 전용 기술, 씬 드라이브를 사용하면 중력을 조종하는 연속 공격을 볼 수 있다.

: 그리고 본편 중에 한 번만 라이트닝을 "뇌광"으로 표기한다.

: 『파이널 판타지 XIII-2』에서는 주요 인물로 등장하며, 발할라에 있으며 여신의 기사가 되어 신에 가까워진 인물이 되어 있으며, 의상도 무인 『XIII』와 변화하고 있다. 세라 등의 세계에서는 그녀가 죽은 것으로 되어 있다.

: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에서는 다시 주인공으로 복귀한다. 전작 XIII-2의 엔딩으로부터 500년 후의 세계에서 "해방자"로서 사람들의 영혼을 구제한다는 설정이다. 이쪽도 무인 『XIII』, 『XIII-2』와 기본 의상은 다르다.

: 파이널 판타지 in いただき스트리트 MOBILE나 디시디아 듀오데시무 파이널 판타지, 시어트리즘 파이널 판타지, 시어트리즘 파이널 판타지 커튼콜, 월드 오브 파이널 판타지에도 등장.

: 구미판에서의 이름은 "'''클레어 파론(Claire Farron)'''".

; 스노우 빌리어스(Snow Villiers)

: 목소리: 오노 다이스케;트로이 베이커 / 모션 액터: 오바타 마코토

: 남성 / 소환수: 시바(스티리아&닉스) / 드라이빙 모드: 바이크 / 크리스탈의 형태: 하트 / 고유 어빌리티: 룰러 피스트(ATK)

: 나이는 21세. 키는 200cm. 1인칭은 "나". 2인칭은 "너・너희"이다. 동료들 대부분에게 "스노우"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연인인 세라, 홉 등).

: 덥수룩한 수염을 기른, 와일드한 분위기의 청년으로, 파티 멤버 중에서 가장 체격이 크다. 항상 긍정적인 사고방식으로 사는 열혈한으로 잘 챙겨주는 성격이지만, 그 성격 때문에 라이트닝과 홉에게 강한 반감을 사게 된다(특히 홉과는 큰 불화가 있기 때문에).

: 반성무 조직(원래는 자경단) "노라"의 리더로, 퍼지당할 위기에 처한 사람들을 구출하기 위해 멤버들과 함께 행드에지에서 게릴라 활동을 펼치며, 단신으로 이적지에 들어간다. 루시의 낙인은 왼팔에 있지만, 그것을 숨기려고 하지는 않는다. 세라와는 서로 사랑하는 사이이지만, 평소 성격을 라이트닝은 좋게 생각하지 않는다. 스노우 자신은 진심으로 세라와의 미래를 생각하고 있으며, 세라가 루시라는 것을 알았을 때는 충격을 받았지만, 함께 사명을 완수하고 그녀의 부활을 위해 전력을 다하고, 그리고 그녀의 정신적인 버팀목이 되고자 하는 마음에서 세라에게 청혼하고, 승낙을 받았다. 라이트닝을 "의붓누나"라고 부르며, 세라와의 결혼을 반대하는 그녀로부터 인정받으려고 노력하고 있다. 자신의 잘못으로 죽게 한 홉의 어머니 노라의 일은 마음속 깊이 남아 있었지만, 홉이 그녀의 아들이라는 것을 몰랐기 때문에 낙관적인 말투로 행동했기 때문에, 그에게서 증오를 받는 관계를 낳았다. 그러나 홉이 노라의 아들이라는 것을 알게 된 후에는 지금까지의 말을 사과하고, 그와의 관계가 회복된 후에는 나이 차이가 나는 형제와 같은 관계로 변해 간다.

: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는 코트를 걸치고, 화기를 상대로도 맨손으로 맞선다. 체력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 오르바=다이아 바닐라(Oerba Dia Vanille)

: 목소리: 후쿠이 유카리;조지아 밴 카일렌버그 / 모션 액터: 카츠라 아사미

: 여성 / 소환수: 헤카톤케이르 / 드라이빙 모드: 마도 아머 / 크리스탈의 형태: 사과 / 고유 어빌리티: 데스(JAM)

: 나이는 19세(+600세). 키는 161cm. 트윈테일이 특징적인 소녀. 1인칭은 "나".

: 명랑하고 활발하며, 그 가슴속 깊이에 굳건한 결의를 품고 있다. 낙인의 위치는 왼쪽 허벅지. 자세한 신원과 행동의 목적에는 종종 수수께끼 같은 것이 보이기도 한다.

: 그 정체는 수백 년 전에 묵시 전쟁에서 싸운 그랜드펄스의 루시이며, 한 번 사명을 완수하고 크리스탈이 되었지만, 어떤 계기로 팡과 함께 깨어난다. 그 후 에우리데 협곡에서 사고를 당해 팡과 헤어지고, 도착한 보덤에서 고향인 그랜드펄스로 돌아가는 목적으로 퍼지에 탑승했다. 우연히 행드에지에서 만난 홉과 함께, 라이트닝 등과 동행하며 은밀하게 팡을 찾지만, 사즈와 서로의 처지를 이야기 나누는 사이에 자신의 행동이 도지가 루시로 선택되는 간접적인 원인이 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한때 사즈에게 죽음으로써 속죄하려고 할 정도로 깊이 고민하지만, 자신을 돌보지 않고 도와주러 온 팡과 라이트닝 등의 모습과, 바닐라 자신에게 활력을 불어넣은 사즈의 행동으로 삶의 희망을 되찾는다.

: 묵시 전쟁의 참상을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사명을 완수함으로써 사람들의 목숨이 콕쿤의 백성이라고 해도 잃어버릴 것을 두려워하는 경향이 있다.

: 본 작품에서 이야기꾼의 위치도 맡고 있으며, 스토리 곳곳에 그녀의 내레이션이 삽입된다.

: 무기는 낚싯대를 연상시키는 와이어 로드이다.

; 사즈 캇츠로이(Sazh Katzroy)

: 목소리: 에하라 마사시;레노 윌슨 / 모션 액터: 키쿠마 아키히코

: 남성 / 소환수: 브륀힐데 / 드라이빙 모드: 자동차 / 크리스탈의 형태: 깃털 / 고유 어빌리티: 데스페라도(BLA)

: 나이는 40세. 키는 189cm(머리카락 포함). 1인칭은 "나". 2인칭은 "너・너희"이다.

: 새 둥지를 연상시키는 아프로 헤어가 특징이며, 머리카락 속에는 초코보의 병아리가 살고 있다. 루시의 낙인은 가슴팍. 사회적 차별을 분간하며, 의리와 인정이 두텁고 눈물이 많다. "아빠 ○○다아"가 버릇이다. 원래는 비행선 조종사를 맡고 있었으며, 한때 장거리 항해함의 함장을 맡았을 정도의 실력자였지만, 아내의 죽음을 계기로 아들 도지를 위해 집을 비우지 않는 단거리 함으로 이동했다.

: 콕쿤의 팔씨에 의해 루시로 선택되어 버린 도지를 시체나 크리스탈로 만들지 않기 위해, "팔씨를 파괴한다"는 목적으로 행동을 시작한다. 라이트닝을 만나 그녀와 함께 퍼지 열차에 탑승한다. 라이트닝의 행동에 용기를 얻고, 또 이야기는 하지 않지만 목적지의 일치로 인해 행동을 함께 한다.

: 합체시키면 라이플이 되는 더블 배럴 권총으로 원거리 공격을 잘한다.

; 호프 에스토하임(Hope Estheim)

: 목소리: 카지 유키;빈센트 마르텔라 / 모션 액터: 나카무라 츠바사

: 남성 / 소환수: 알렉산더 / 드라이빙 모드: 요새 / 크리스탈의 형태: 별 / 고유 어빌리티: 라스트 리조트(BLA)

: 나이는 14세. 키는 153cm. 1인칭은 "나". 2인칭은 "당신・너희(스노우에 대해 많다)"이다.

: 팜폴름에서 아무런 불편함 없이 상류층 생활을 보내온 소년. 낙인은 왼팔에 있고, 장갑으로 가리고 있다. 스노우를 제외하고는 다른 사람들을 "〇〇씨"라고 "씨"를 붙여 부른다(라이트닝, 사즈 등).

: 어머니 노라가 성무의 퍼지에 대한 반란에서 전투 중 죽은 것으로부터, 그녀를 반란에 끌어들였고 자신을 루시로 만든 간접적인 원인을 만든 스노우를, 그리고 직접적인 원인이 된 성무군을 증오하고 있다. 한때 라이트닝과 공모하여 복수라는 이름 아래 스노우 살해를 진지하게 생각했었다. 그 후 라이트닝이 복수 중단을 제안하지만, 홀로 기회를 계속 노렸다. 한때 살해 직전까지 가지만, 결과적으로 실패로 끝난다. 그때 스노우를 증오하는 것이 싸우는 것, 더 나아가 살아가는 목표가 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또 스노우 자신이 어머니 노라의 죽음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그와의 불화도 풀어간다. 또한 가정을 돌보지 않는다고 싫어했던 아버지 발트로메이의 애정을 알게 되고, 마주 앉아 이야기할 수 있게 되며, 이야기를 통해 정신적으로 크게 성장한다. 그리고 홉은 "희망"이라는 의미이며, 극중에서 한 번 라이트닝이 "홉"을 "희망"으로 표기했다. 파티에서 가장 어린 멤버이기도 하며, 기본적으로 동료들은 씨를 붙여 부르지만, 스노우만은 불화가 풀린 후에도 반말을 하고 있으며, 당사자에게 핀잔을 받기도 했다. 또한 호기심이 많아서 익숙하지 않은 지하 세계의 무기를 호기심으로 작동시켜 위기를 벗어나거나, 반대로 위기에 처하는 등의 경솔한 면도 있으며, 라이트닝을 곤혹스럽게 하기도 한다.

: 부메랑으로 싸우지만, 루시가 된 이후로는 주로 마법 공격과 회복을 중심으로 한다.

; 오르바=윤 팡(Oerba Yun Fang)

: 목소리: 안도 마부키;레이첼 로빈슨 / 모션 액터: 키미지마 루미코

: 여성 / 소환수: 바하무트 / 드라이빙 모드: 비룡 / 크리스탈의 형태: 꽃잎 / 고유 어빌리티: 하이 윈드(ATK)

: 나이는 21세(+600세). 키는 175cm. 1인칭은 "나". 2인칭은 "너희"이다.

: 성무군 기병대와 함께 행동하는 검은 머리 여성. 왼쪽 윗팔에 큰 문신이 있다. 루시의 낙인은 오른쪽 윗팔에 있지만, 다른 루시의 것과 달리 흰색이며 모양도 다르다. 본인 말에 따르면 "그을린" 것이라고 스스로 비웃고 있다(기억 상실로 사명을 잊었다는 의미에서, 오펀에게도 그렇게 평가받고 있다). 낙인이 진행되지 않기 때문에 시체가 되는 일도 없지만, 루시의 힘은 행사할 수 있다. 바닐라를 시체로 만들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서 기억의 회복・사명의 수행에 집착하고 있으며, 사명의 수행에 집착하지 않는 바닐라와의 감정이 어긋나는 일도 있다.

: 바닐라와 함께 수백 년 전 묵시 전쟁을 싸운 그랜드펄스의 루시이다. 깨어난 후 에우리데에서의 사고 후 성무군의 추격자로부터 도망치는 곳에서, 리그디와 조우하여 기병대에 신병을 넘겨주고, 레인즈의 협력을 얻어 바닐라를 찾고 있었다.

: 무기는 창이며, 삼절곤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처음부터 마지막 단계까지 공격력・약화 마법・방어력과 최상급의 성능을 가진 소유자이다.

3. 1. 1. 라이트닝 (Lightning)

본 작품의 주인공. 전직 성부군 소속 군인으로, 냉정하고 침착한 성격의 소유자이다. 여동생 세라를 구하기 위해 스스로 군에서 제대하고 '퍼지'에 지원한다. 검과 총이 결합된 무기를 사용하며, 뛰어난 전투 능력을 지녔다. 소환수는 오딘이다.

3. 1. 2. 스노우 빌리어스 (Snow Villiers)

반(反)성부 조직 '노라'의 리더이다. 세라의 약혼자로, 항상 긍정적이고 열정적인 성격의 소유자다. 세라를 구하기 위해 이적(異跡)에 뛰어들고, 이후 라이트닝 일행과 함께 행동한다. 맨손 격투를 주특기로 하며, 높은 체력을 바탕으로 파티를 보호한다. 소환수는 시바이다. 리더인 스노우를 전원이 신뢰하고 있으며 그가 루시라는 것을 알고도 변함 없이 대해준다.

3. 1. 3. 삿즈 캇츠로이 (Sazh Katzroy)

삿즈 캇츠로이는 민간 비공정 조종사이다. 아들 돗지를 위해 안전한 단거리 비행 임무를 맡고 있었으나, 돗지가 루시가 된 후 '팔씨를 파괴한다'는 목적으로 라이트닝과 함께 행동한다. 두 자루의 권총을 사용하며, 원거리 공격에 특화되어 있다. 소환수는 브륜힐데이다.

3. 1. 4. 호프 에스토하임 (Hope Estheim)

호프 에스토하임은 평범한 상류층 소년이었으나, 어머니 노라 에스트하임의 죽음을 계기로 스노우 빌리어스와 성부군에 대한 복수심을 품게 된다. 라이트닝과 함께 행동하며 점차 성장해 나가고, 스노우와의 갈등을 극복한다. 부메랑을 사용하며, 주로 마법 공격과 회복을 담당한다. 소환수는 알렉산더이다.

3. 2. 조연급 등장 인물

; 세라 파론 (Serah Farron)

: 성우 - 코토부키 미나코 (성우) / 로라 베일리 / 모션 연기 - 가와부치 가오리(川渕かおり)

: 18세. 신장 164cm. 라이트닝의 여동생이며 스노우의 약혼자. 언니를 배려하면서도 자신의 일은 스스로 해결하려는 심지 굳은 여동생. 하이스쿨의 최종 학년으로 코쿤 수도 에덴의 대학에 진학이 결정되었으나 호기심에 보덤의 이적(異跡)에 들어갔다가 이적 내부의 파루시=아니마에 의해 루시로 선택되고 만다. 그녀가 코쿤에서 최초로 하계의 파루시에게 선택받은 루시인 셈이다. 낙인은 왼쪽 어깨에서 팔꿈치까지에 있다. 가슴에는 스노우가 선물해준 목걸이, 오른쪽 팔에는 언니와 셋트인 암릿을 끼고 있다. 또한 언니의 생일에 접을 수 있는 나이프를 선물했으며 「뭔 센스냐…」하고 핀잔 받았다.(나이프를 보낸 이유는 소설 에피소드 0에서 밝히고 있다)

; 돗지 캇츠로이(Dajh Katzroy)

: 성우 - 우자와 쇼타로(鵜澤正太郎) / 코너 빌라드

: 6세. 신장 117cm(머리카락 포함). 삿즈의 아들로 부자간에 아프로 헤어스타일을 하고 있다. 3년 전에 어머니를 잃었으나 솔직하고 밝은 성격이며 때로는 아버지를 배려하는 대견한 모습을 보인다. 에우리데의 에네르기・플랜트를 제어하고 있는 파루시=쿠쟈타에 의해서 코쿤의 루시로 선택받았다. 성부군은 하계의 파루시와 그것이 선택한 루시(세라)에 대응하는 것으로 선택 받았다고 보고 있다. 실제로는 하계인의 습격에 위기를 감지한 파루시가 호위를 목적으로 선택했을 뿐이다. 낙인은 오른쪽 손의 갑주에 있으며 붕대로 숨기고 있다. 루시임에도 마법을 구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그 대신 하계 루시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 병아리 초코보(Chocobo Chick)

: 에우리데의 펫 숍에서 돗지가 조르자 삿즈가 구입한 초코보 병아리. 돗지의 친구가 될 예정이었으나 돗지가 루시가 되어린 탓에 같이 놀았던 시간은 적다. 삿즈의 머리카락을 보금자리로 삼고 있으며 작지만 사람의 말을 이해하고 사랑스러운 행동을 하기도 하며, 때로는 삿즈를 격려하기도 질타하기도하는 듯한 행동으로 삿즈의 마음에 의지가 되어주었다. 암컷인지 수컷인지 알 수 없어서 이름도 아직 정하지 못했다.

; 노라 에스토하임(Nora Estheim)

: 성우 - 마쓰시타 고미나(松下こみな) / 메리 엘리자베스 맥글린

: 신장 163cm. 호프의 어머니. 가족 사이를 좋게 하기 위해서 가족여행을 계획했다. 호프와 같이 보덤을 방문했을 때에 퍼지에 휘말린다. 스노우가 이끄는 ‘노라’의 저항 운동에 참가하지만, 성부군의 공격으로 부상. 높은 곳에서 떨어질 듯 버틸 때 스노우가 있는 힘을 다해 구출하려하지만 힘이 다해 호프를 부탁하고는 떨어지고 만다.

; 바르토로메이 에스토하임(Bartoromy Estheim)

: 성우 - 아이자와 마사키 / 안드레 솔리우초

: 신장 178cm. 호프의 아버지. 노라가 제안한 가족 여행에는 일 때문에 참가할 수 없었다. 가정보다 일을 우선하고 있어 호프와의 거리가 멀어져버렸지만 실제로는 아내도 아들도 싶이 사랑하고 있는 좋은 아버지. 루시가 되어버린 아들에게도 변함 없이 아버지로서 대화하고 그 외 사람들에게도 따뜻하고 개념있는 태도를 보인다. 어떤 사정으로 기병대로부터 보호받으나, 그 후의 어찌 되었는지는 불명(게임 플레이 중 호프의 대화로 유추하면 무사한 듯 하다). 속편 XIII-2에서 아카데미 설립에 관여한 것이 밝혀졌다

; 아모다(Amodar)

: 성우 - 우에다 유지 / 데이브 위튼버그

: 신장 186cm. 라이트닝의 상사이며 작품 중에 그녀가 유일하게 존칭을 사용하는 인물이다. 계급은 상사. 풍채 좋게 살이 찐 체격으로 성부의 경비군 「보덤 치안연대」에 소속된 군인이면서 「노라」를 이해하는 듯한 태도르 보인다. 자신의 출세는 안중에도 없으며 부하의 승진을 항상 챙겨준다. 라이트닝을 사관 후부생으로 추천하는 추천장을 제출하려는 뜻을 라이트닝 본인에게 밝혔다.

3. 2. 1. 세라 파론 (Serah Farron)

라이트닝의 여동생이자 스노우 빌리어스의 약혼녀이다. 보덤의 이적(異跡)에 들어갔다가 팔씨의 루시가 된다.

3. 2. 2. 돗지 캇츠로이 (Dajh Katzroy)

돗지 캇츠로이는 삿즈 캇츠로이의 아들이다. 에우리데의 에너지 플랜트를 제어하는 팔씨=쿠쟈타에 의해 루시가 되었다.

3. 2. 3. 노라 에스토하임 (Nora Estheim)

노라 에스트하임은 파이널 판타지 XIII의 등장인물로, 호프 에스트하임의 어머니이다. 노라는 스노우 빌리어스가 이끄는 노라에 자원하여 성부군에 대항하는 저항 운동에 참가했다. 그러나 성부군의 공격으로 인해 사망하고, 이는 호프가 스노우에게 복수심을 품게 되는 계기가 된다.

3. 2. 4. 바르토로메이 에스토하임 (Bartoromy Estheim)

바르토로메이 에스토하임은 파이널 판타지 XIII에 등장하는 인물로, 호프 에스트하임의 아버지이다. 겉보기에는 가족보다 일을 우선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족을 매우 깊이 사랑하는 인물이다.

3. 2. 5. 아모다 (Amodar)

아모다는 라이트닝의 상관이다. 보덤 치안 연대 소속 군인이면서도 '노라'를 이해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다.

3. 2. 6. 노라

스노우를 중심으로 결성된 반 성부 조직이다. 리더인 스노우를 전원이 신뢰하고 있으며 그가 루시라는 것을 알고도 변함 없이 대해준다.

3. 2. 7. 성부 관계자

성부는 코쿤을 통치하는 기관으로, 입법, 행정, 사법에 관한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다.

4. 세계관

크리스탈을 힘의 원천으로 하며 마법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상식을 초월한 존재이다. 세계를 창조한 신이 만들어냈으며, "신의 기계"라고도 불린다. 신이 부여한 사명과 기능에 따라 스스로 모습을 형성했다. 파루시의 이름은 대개 역대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소환수에서 유래한다. 스토리에서 파루시의 정식 명칭은 '파루시=○○(이름)' 형태로 불린다.

스토리에는 다양한 모습과 역할을 가진 파루시가 등장하는데,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코쿤 사람들의 생활을 지탱하는 "성부(코쿤) 계"이고, 다른 하나는 그랑=파루스를 개척하는 "하계(파루스) 계"이다. 각각 계급이 있어 하위 파루시는 상위 파루시를 거역할 수 없다. 스토리에서 바르토안데레스가 코쿤을 멸망시키기 위해서 하계의 파루시나 루시를 이용하는 번거로운 방법을 취하는 이유는, 성부계 파루시나 루시가 코쿤 최상위 파루시인 오판을 공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악한 신 린제/リンゼ일본어에 의해 만들어진 파루시들. 코쿤의 관리와 살고 있는 주민들을 보호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으며, 몸의 일부에 사람 얼굴이 파묻혀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총 숫자는 800만 이상이라 일컬어지며 코쿤의 사람들은 파루시=에덴이 그들을 통솔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에덴을 포함한 모든 파루시에 에네르기를 공급하는 파루시=오판이 정점에 있으며 오판 이외의 파루시들은 바르토안데레스가 지배하고 있다.

그들의 진정한 목적은 인간의 “보호”가 아니라 “양식”이며, 최종적으로는 수천 만의 코쿤 시민을 모두 죽여서 그 혼을 신(린제)가 계신 불가시세계에 일제히 보내는 것으로 불가시세계로의 “문”을 여는 것에 있다.



코쿤의 파루시 모두를 제어하고 있는 삼위일체의 파루시. 성부에 조언을 하는 등 정치에도 참가하고 있다.

에덴과 가까운 곳, 코쿤 중천에 위치하고 있으며 코쿤 전체에 열과 빛을 제공하고 있는 태양과 같은 존재. 그 이외에도 코쿤의 기상도 관리하고 있으며 기후를 제어하는 파루시 중 최상위에 위치한다.

파룸포룸의 식량생산 공장을 관리하고 있다. 중앙의 거대한 크리스탈 양쪽에 사람의 얼굴을 본뜬 두 장의 날개가 있으며, 직접 보면 거대한 나비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에우리데 협곡의 에네르기 공장을 제어하고 있다. 모습이 드러나 보이는 곳에 있어 사람들에게 관광 명물로서 친숙한 존재.

다이스리가 거느리고 있는 부엉이로 날개에는 코쿤 계 파루시의 문양이 있고 가슴에는 사람의 얼굴이 붙어있다. 다이스리를 대신해 루시 일행의 행동을 감시하고 있다. 비공정으로 변신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바르토안데레스의 의도로 라이트닝 일행을 도와주는 경우도 있다.

코쿤을 창조한 파루시.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이 가능. 행동이 불가능한 오판의 하인 같은 존재로 코쿤을 창조했으면서도 파괴를 바라고 있으며, 아니마가 잠들어 있는 이적(異跡)을 끌어올리기도 하며 뒤로는 신의 부활을 위한 계획을 진행시키고 있다. 스토리에서 주인공들에게 「내 손에 이끌려왔다」라고 말했다.

정체 불명의 괴조 미네르바를 부리며, 파티를 감시. 위기에 빠뜨리기도 하지만 때로는 목적을 위해 구해주기도 한다.

파루시=에덴의 중추에 존재하며 강대한 힘을 에덴을 지탱하고 코쿤을 지탱한다. 스스로 멸망당하는 것으로 신의 부활을 원하고 있으며, 다른 파루시를 이용해 루시가 자신을 ‘기능 정지=에덴의 기능 정지’로 만들어 코쿤 전체의 붕괴를 이끌어내기 위해 음모를 꾸미고 있다.

성우 - 시모노 히로(下野紘) / Michael Sinterniklaas(남성), 소노자키 미에(園崎未恵) / Julia Fletcher(여성)

4. 1. 파루시 (fal'Cie)

크리스탈의 힘을 원천으로 하며 마법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상식을 초월한 존재이다. 세계를 창조한 신이 만들어냈으며, "신의 기계"라고도 불린다. 신이 부여한 사명과 기능에 따라 스스로 모습을 형성했다. 파루시의 이름은 대개 역대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소환수에서 유래한다. 스토리에서 파루시의 정식 명칭은 '파루시=○○(이름)' 형태로 불린다.

스토리에는 다양한 모습과 역할을 가진 파루시가 등장하는데,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하나는 코쿤 사람들의 생활을 지탱하는 "성부(코쿤) 계"이고, 다른 하나는 그랑=파루스를 개척하는 "하계(파루스) 계"이다. 각각 계급이 있어 하위 파루시는 상위 파루시를 거역할 수 없다. 스토리에서 바르토안데레스가 코쿤을 멸망시키기 위해서 하계의 파루시나 루시를 이용하는 번거로운 방법을 취하는 이유는, 성부계 파루시나 루시가 코쿤 최상위 파루시인 오판을 공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사악한 신 린제/リンゼ일본어에 의해 만들어진 파루시들. 코쿤의 관리와 살고 있는 주민들을 보호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으며, 몸의 일부에 사람 얼굴이 파묻혀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총 숫자는 800만 이상이라 일컬어지며 코쿤의 사람들은 파루시=에덴이 그들을 통솔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에덴을 포함한 모든 파루시에 에네르기를 공급하는 파루시=오판이 정점에 있으며 오판 이외의 파루시들은 바르토안데레스가 지배하고 있다.

그들의 진정한 목적은 인간의 “보호”가 아니라 “양식”이며, 최종적으로는 수천 만의 코쿤 시민을 모두 죽여서 그 혼을 신(린제)가 계신 불가시세계에 일제히 보내는 것으로 불가시세계로의 “문”을 여는 것에 있다.

코쿤의 파루시 모두를 제어하고 있는 삼위일체의 파루시. 성부에 조언을 하는 등 정치에도 참가하고 있다.

에덴과 가까운 곳, 코쿤 중천에 위치하고 있으며 코쿤 전체에 열과 빛을 제공하고 있는 태양과 같은 존재. 그 이외에도 코쿤의 기상도 관리하고 있으며 기후를 제어하는 파루시 중 최상위에 위치한다.

파룸포룸의 식량생산 공장을 관리하고 있다. 중앙의 거대한 크리스탈 양쪽에 사람의 얼굴을 본뜬 두 장의 날개가 있으며, 직접 보면 거대한 나비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에우리데 협곡의 에네르기 공장을 제어하고 있다. 모습이 드러나 보이는 곳에 있어 사람들에게 관광 명물로서 친숙한 존재.

다이스리가 거느리고 있는 부엉이로 날개에는 코쿤 계 파루시의 문양이 있고 가슴에는 사람의 얼굴이 붙어있다. 다이스리를 대신해 루시 일행의 행동을 감시하고 있다. 비공정으로 변신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바르토안데레스의 의도로 라이트닝 일행을 도와주는 경우도 있다.

코쿤을 창조한 파루시.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이 가능. 행동이 불가능한 오판의 하인 같은 존재로 코쿤을 창조했으면서도 파괴를 바라고 있으며, 아니마가 잠들어 있는 이적(異跡)을 끌어올리기도 하며 뒤로는 신의 부활을 위한 계획을 진행시키고 있다. 스토리에서 주인공들에게 「내 손에 이끌려왔다」라고 말했다.

정체 불명의 괴조 미네르바를 부리며, 파티를 감시. 위기에 빠뜨리기도 하지만 때로는 목적을 위해 구해주기도 한다.

파루시=에덴의 중추에 존재하며 강대한 힘을 에덴을 지탱하고 코쿤을 지탱한다. 스스로 멸망당하는 것으로 신의 부활을 원하고 있으며, 다른 파루시를 이용해 루시가 자신을 ‘기능 정지=에덴의 기능 정지’로 만들어 코쿤 전체의 붕괴를 이끌어내기 위해 음모를 꾸미고 있다.

성우 - 시모노 히로(下野紘) / Michael Sinterniklaas(남성), 소노자키 미에(園崎未恵) / Julia Fletcher(여성)

4. 1. 1. 성부계 파루시

사악한 신 린제/リンゼ일본어에 의해 만들어진 파루시들. 코쿤의 관리와 살고 있는 주민들을 보호하는 사명을 가지고 있으며, 몸의 일부에 사람 얼굴이 파묻혀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총 숫자는 800만 이상이라 일컬어지며 코쿤의 사람들은 파루시=에덴이 그들을 통솔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에덴을 포함한 모든 파루시에 에네르기를 공급하는 파루시=오판이 정점에 있으며 오판 이외의 파루시들은 바르토안데레스가 지배하고 있다.

그들의 진정한 목적은 인간의 “보호”가 아니라 “양식”이며, 최종적으로는 수천 만의 코쿤 시민을 모두 죽여서 그 혼을 신(린제)가 계신 불가시세계에 일제히 보내는 것으로 불가시세계로의 “문”을 여는 것에 있다.

코쿤의 파루시 모두를 제어하고 있는 삼위일체의 파루시. 성부에 조언을 하는 등 정치에도 참가하고 있다.

에덴과 가까운 곳, 코쿤 중천에 위치하고 있으며 코쿤 전체에 열과 빛을 제공하고 있는 태양과 같은 존재. 그 이외에도 코쿤의 기상도 관리하고 있으며 기후를 제어하는 파루시 중 최상위에 위치한다.

파룸포룸의 식량생산 공장을 관리하고 있다. 중앙의 거대한 크리스탈 양쪽에 사람의 얼굴을 본뜬 두 장의 날개가 있으며, 직접 보면 거대한 나비와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에우리데 협곡의 에네르기 공장을 제어하고 있다. 모습이 드러나 보이는 곳에 있어 사람들에게 관광 명물로서 친숙한 존재.

다이스리가 거느리고 있는 부엉이로 날개에는 코쿤 계 파루시의 문양이 있고 가슴에는 사람의 얼굴이 붙어있다. 다이스리를 대신해 루시 일행의 행동을 감시하고 있다. 비공정으로 변신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바르토안데레스의 의도로 라이트닝 일행을 도와주는 경우도 있다.

코쿤을 창조한 파루시. 다양한 모습으로 변신이 가능. 행동이 불가능한 오판의 하인 같은 존재로 코쿤을 창조했으면서도 파괴를 바라고 있으며, 아니마가 잠들어 있는 이적(異跡)을 끌어올리기도 하며 뒤로는 신의 부활을 위한 계획을 진행시키고 있다. 스토리에서 주인공들에게 「내 손에 이끌려왔다」라고 말했다.

정체 불명의 괴조 미네르바를 부리며, 파티를 감시. 위기에 빠뜨리기도 하지만 때로는 목적을 위해 구해주기도 한다.

파루시=에덴의 중추에 존재하며 강대한 힘을 에덴을 지탱하고 코쿤을 지탱한다. 스스로 멸망당하는 것으로 신의 부활을 원하고 있으며, 다른 파루시를 이용해 루시가 자신을 ‘기능 정지=에덴의 기능 정지’로 만들어 코쿤 전체의 붕괴를 이끌어내기 위해 음모를 꾸미고 있다.

성우 - 시모노 히로(下野紘) / Michael Sinterniklaas(남성), 소노자키 미에(園崎未恵) / Julia Fletcher(여성)

4. 1. 2. 하계계 파루시

그랑=펄스를 개척하는 사명을 지닌 팔씨. 각자의 목적을 위해 인간을 루시로 만들고 버리는 행위를 반복한다. 그 때문에 그랑=펄스에서는 사람들의 모습이 사라졌고, 반대로 시해나 명비가 도처에 나타났다. 하계계 팔씨는 “문”은 그랑=펄스의 어딘가에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각자의 영토에서 “문”을 찾고 있으나 펄스의 사람들은 이들이 그랑=펄스를 개척하고 있는 것이라고 착각하고 있다.
라이트닝 일행을 루시로 만들었다. 스토리 처음으로 등장하는 하계의 팔씨. 예전에는 펄스의 요르바 향 부근에 있었으며 요르바 향의 사람들로부터 수호신으로 숭배받았으나, 그랑=펄스로부터 물자를 약탈해가는 코쿤에 분노해 바닐라를 포함한 많은 루시들에게 코쿤을 파괴하라고 명령했으며 이로써 묵시전쟁이 일어났다. 여신 에트로에 의해 강제적으로 잠이 들었으며, 잠 들고 있는 동안 바르토안데루스에 의해 코쿤을 수복하기 위한 재료와 뒤섞여 의도적으로 코쿤으로 끌어올려졌다. 이후 보덤의 명물로서 친숙한 존재가 되는데, 600년간 보덤의 이적에 잠들어 있었으나 스토리가 시작되는 13일 전에 각성했다.

보덤의 이적 그 자체가 아니마의 몸이라고 할 수 있다.

루시에게 마물 퇴치를 시켜서 “문”의 단서를 얻을 생각을 하고 있다.
그랑=펄스의 스리야 호수를 수호하고 있는 고래 비슷한 모습의 팔씨. 호수에 침입해 오는 적을 용서 없이 처리하지만, 직접 손을 쓰지 않는 교활함도 가지고 있다. 그가 가진 사명은 물의 침식 작용으로 토지를 개척하는 것이라고 여겨지고 있으나 실제로는 수맥과 물의 흐름을 통한 침식을 이용해 대지를 갈라 그 속에 있을지도 모를 “문”을 찾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계속 그랑=펄스의 대지를 계속 파대고 있으며 광대한 대지를 파내는 것으로 영토를 확대하고 있다고 여겨지나 실제로는 땅 속에 있을지도 모르는 신에 이르는 “문”을 찾고 있다. 어째서인지 내부에 탈 수 있어 작품 속에서 이동 수단으로 이용 가능하다.
테진 타워에 둥지를 튼 팔씨. 염주를 떠올리게 만드는 모습에서 예전부터 대신(大神) 펄스의 악세사리였다고 전해진다.“문”을 찾아서 항상 그랑=펄스의 하늘을 날고 있다. 거처인 테진 타워에 침입하는 침략자에 대해서는 불덩이 등으로 용서 없이 처리하려 한다.

드래곤을 떠올리게 하는 얼굴에 추악한 가면을 쓰고 있다. 다하카가 테진 타워에 살게 된 이유는 탑의 ‘동력로’로부터 에너지를 얻기 위해서이다.
거인의 모습을 가진 팔씨. 펄스 계 팔씨 중에서는 가장 눈에 잘 띄는 팔씨이다. 아르카키르티 대평원의 저편에서 여유롭게 걸어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미션을 통해 많은 시련을 플레이어에게 부여하지만 직접 그와 전투할 일은 없다. 너무 번식한 종을 먹어치워 숫자를 조정하며 또한 먹은 종을 원료로 다른 종을 탄생시키는 것으로 그랑=펄스의 생태를 조정하여 “문”에 이르기 위한 실마리를 찾으려 한다. 팡이 말하길 「뭐든지 먹어치우는 먹보」.

4. 2. '이상향' 코쿤 (Cocoon)

4. 2. 1. 에덴 (Eden)

코쿤의 수도이자 성부의 모든 기관이 집중된 곳이다.

4. 2. 2. 팜폴룸 (Palumpolum)

홉의 집이 있는 상업 도시이다.

4. 2. 3. 보덤 (Bodhum)

라이트닝과 스노우가 살고 있는 해안 도시이다.

4. 2. 4. 행드 에지 (Hunged Edge)

행드 에지는 코쿤 외곽의 봉쇄 구획이다.

4. 2. 5. 빌지 호수 (Bilge Lake)

행드 에지 아래에 위치한, 결정화된 호수이다.

4. 2. 6. 에우리데 협곡 (Euclide Canyon)

코쿤 최고의 관광 명소이다. 화산 정상에 팔씨=쿠쟈타가 있다.

4. 2. 7. 바일 픽스 (Vaile Peaks)

코쿤 변방 지역의 쓰레기 산이다.

4. 2. 8. 가플라 수림 (Gapra Woods)

성부군의 생체 병기 실험장이다.

4. 2. 9. 선레스 수향 (Sunleth Waterscape)

코쿤의 자연 환경 보전 지역이다.

4. 2. 10. 노틸러스 (Nautilus)

'꿈의 거리'라는 별명을 가진 코쿤 최고의 관광 시설이다.

4. 2. 11. 피프스 아크 (Fifth Ark)

수도 에덴 깊숙한 곳에 있는 이적(異跡)이다.

4. 2. 12. 아르카키르티 대평원 (Arcadia Plains)

전망이 좋은 광대한 초원 지대이다.

4. 2. 13. 메디아 협곡 (Medea Ravine)

라이트닝 일행이 그랑=펄스에 처음 내린 곳이다.

4. 2. 14. 야샤스 산 (Yaschas Massif)

고원과 낭떠러지가 복잡하게 얽힌 산악 지대이다.

4. 2. 15. 마하바라 갱도 (Mah'habara Subterra)

팔씨=아토모스에 의해 파인 거대한 구멍이다.

4. 2. 16. 수리야 호수 (Suriya Lake)

지하에 펼쳐진 아름다운 지하 호수이다.

4. 2. 17. 테진 타워 (Tejin Tower)

수리야 호수 북쪽에 위치한 거탑이다.

4. 2. 18. 오르바 촌 (Oerba Village)

바닐라와 팡의 고향이다. 현재는 폐허가 되었다.

4. 3. 기타 용어

4. 3. 1. 크리스탈 (Crystal)

크리스탈은 다양한 기계와 생물을 만들어내는 존재이다.

4. 3. 2. 루시 (l'Cie)

팔씨에 의해 선택받아 낙인과 사명을 부여받은 자들이다.

4. 3. 3. 시체 (Cie'th)

사명을 완수하지 못하고 절망에 빠진 루시가 변한 마물이다.

4. 3. 4. 명비 (冥碑)

시체가 된 루시가 오랜 세월 방황하다 돌이 된 모습이다.

4. 3. 5. 비전 (Vision)

팔씨가 루시에게 사명을 전달하는 수단이다.

4. 3. 6. 루시의 낙인 (Mark of the l'Cie)

팔씨에 의해 선택받은 증거이다.

5. 평가

파이널 판타지 XIII에 대한 평가에 대해 개발진은 직접 언급을 하였다. 토리야마 모토무 감독은 서구권 평론가들이 오픈 월드 게임에 익숙해져 있어, 플레이어에게 탐험의 자유를 주는 게임에 대한 기대감이 개발팀의 비전과 맞지 않았다고 생각했다. 그는 "그만큼의 자유가 주어지면 설득력 있는 스토리를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기타세 요시노리는 "RPG 틀 안에서 작업할 의도는 없었지만, 새로운 게임, 심지어 새로운 장르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하며, "'FFXIII'는 FPS와 더 유사하다"고 언급했다.[5]

토리야마와 기타세는 2011년 7월에 이 게임에 대한 가장 큰 불만이 너무 직선적이고 플레이어와 세계 간의 상호 작용이 부족하다는 것이었으며, 이는 이전 파이널 판타지 게임들에 비해 마을과 미니 게임이 부족한 것으로 설명했다. 또한 모든 게임플레이 요소에 접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일반적인 비판으로 언급하며, 사람들이 그것을 "긴 튜토리얼"로 해석했다고 말했다.

당시 스퀘어 에닉스 사장이었던 와다 요이치는 가마수트라에 게임에 대한 반응에 대해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높이 평가하고 어떤 사람들은 그것에 대해 그다지 행복하지 않다"고 말하며 "파이널 판타지는 새로운 유형의 게임이 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파이널 판타지는 새로운 유형의 게임이 되어서는 안 되는가? 고객의 의견이 다릅니다.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 결정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라고 덧붙였다. 비평가들은 대체로 스퀘어 에닉스가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공식을 되살리려는 시도를 칭찬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특히 코쿤의 처음 10개 장에서 게임의 선형적인 특성에 부정적으로 반응했다.

5. 1. 비판에 대한 반응

개발진은 《파이널 판타지 XIII》에 대한 비판적인 반응에 대해 언급하였다. 토리야마 모토무 감독은 주요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게임에 대한 예상보다 낮은 평점이 서구적 관점에서 게임에 접근한 평론가들로부터 나왔다고 생각했다. 그는 이러한 평론가들이 플레이어에게 탐험할 수 있는 오픈 월드가 주어지는 게임에 익숙해져 있었고, 이러한 기대가 팀이 만들고자 했던 비전과 대조된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그만큼의 자유가 주어지면 설득력 있는 스토리를 만드는 것이 매우 어려워진다"고 언급했다. 기타세 요시노리는 그들이 "실제로 RPG 틀 안에서 작업할 의도는 없었지만", "새로운 게임, 심지어 새로운 장르를 만들고 싶었다"고 말하며, "'FFXIII'는 많은 면에서 FPS와 더 유사하다"고 언급했다.[5]

토리야마와 기타세는 2011년 7월에 이 게임에 대한 가장 큰 불만은 너무 직선적이고 플레이어와 세계 간의 상호 작용이 부족하다는 것이었으며, 이를 이전 파이널 판타지 게임에 비해 마을과 미니 게임이 부족한 것으로 설명했다. 또한 모든 게임플레이 요소에 접근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일반적인 비판으로 언급하며, 사람들이 그것을 "긴 튜토리얼"로 해석했다고 말했다.

당시 스퀘어 에닉스 사장이었던 와다 요이치는 가마수트라에 게임에 대한 반응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그는 "어떤 사람들은 그것을 높이 평가하고 어떤 사람들은 그것에 대해 그다지 행복하지 않다"고 말하며 "파이널 판타지는 새로운 유형의 게임이 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파이널 판타지는 새로운 유형의 게임이 되어서는 안 되는가? 고객의 의견이 다릅니다.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 결정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라고 덧붙였다. 비평가들은 대체로 스퀘어 에닉스(Square Enix)가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공식을 되살리려는 시도를 칭찬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특히 코쿤(Cocoon)의 처음 10개 장에서 게임의 선형적인 특성에 부정적으로 반응했다.

6. 판매량

파이널 판타지 XIII일본에서 발매 첫날 100만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32] 2009년 말까지 일본에서 PlayStation 3 버전으로 170만 장, 2010년 말까지는 190만 장이 판매되었다.[32] 스퀘어 에닉스는 높은 초기 판매량을 예상하고 출시를 위해 약 200만 장을 출하했다.[32] 이 게임은 북미에서 출시 첫 달에 1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33] 2010년 3월, XIII는 시리즈 역사상 가장 빠르게 판매된 타이틀이었다.[1] 같은 해 4월까지 미국 내 PlayStation 3 및 Xbox 360 버전의 판매량은 각각 약 80만 장과 50만 장에 달했다.[33] 미디어 크리에이트에 따르면, 여성 게이머가 일본 팬층의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33] 2017년 기준으로 콘솔 버전은 전 세계적으로 7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1]

7. 수상

《파이널 판타지 XIII》는 2009년 일본 게임 어워드에서 "퓨처 디비전" 상을 수상했고,[6] 2010년에는 "우수상"을 수상했다.[7] 전격 온라인 독자 투표에서는 2009년 최고 게임 2위에 선정되었으며, 2010년 1월에는 패미통 독자 투표에서 역대 최고 게임으로 선정되었다. 스파이크 비디오 게임 어워드에서 올해 최고의 RPG 부문 후보에 올랐지만, ''매스 이펙트 2''에 밀려 수상하지 못했다.

8. 속편

''파이널 판타지 XIII''의 이야기는 ''파이널 판타지 XIII-2''와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로 이어진다. ''파이널 판타지 XIII-2''는 스퀘어 에닉스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원작의 스토리와 캐릭터를 기반으로 함과 동시에 원작에 대한 비판과 다른 피드백을 수용했다. 2011년 12월 일본에서 출시되었으며, 북미와 유럽에서는 각각 2012년 1월과 2월에 PlayStation 3과 Xbox 360으로 출시되었다. 토리야마 모토무와 기타세 요시노리가 각각 감독과 프로듀서로 복귀했다. ''파이널 판타지 XIII-2''는 ''파이널 판타지 X-2'', ''크라이시스 코어: 파이널 판타지 VII'', ''파이널 판타지 XII: 리베넌트 윙스'', ''파이널 판타지 IV: 디 애프터 이어즈''에 이어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다섯 번째 속편 게임이다. 대부분의 팀은 다시 돌아와 ''라이트닝 리턴즈: 파이널 판타지 XIII''라는 두 번째 속편을 만들었으며, 이는 라이트닝과 ''파이널 판타지 XIII'' 세계관의 이야기를 마무리하기 위한 것이다. 이 게임은 2013년 11월 일본에서, 2014년 2월 북미와 유럽에서 출시되었다. 토리야마는 ''XIII-2'' 발표 전 ''울티마니아 오메가'' 관련 서적에서 라이트닝이 "행복한 결말을 맞이하는" 스토리를 쓰고 싶다고 말했지만, 당시 스퀘어 에닉스는 속편을 제작할 계획이 없었다.

참조

[1] 뉴스 undefined http://jp.ign.com/sq[...] IGN Japan 2017-09-26
[2] 웹사이트 Final Fantasy XIII joins the Xbox One X Enhanced #BackwardCompatibility library https://twitter.com/[...] Xbox 2019-07-10
[3] 웹사이트 Xbox One Backward Compatibility List https://majornelson.[...] Major Nelson 2019-07-10
[4] 웹사이트 Final Fantasy XIII series joins Xbox backward compatibility, gets Xbox One X Enhanced https://www.windowsc[...] 2018-11-10
[5] 웹사이트 Final Fantasy XIII is Not an RPG http://www.1up.com/p[...] 1UP.com 2010-02-22
[6] 웹사이트 Award-Winning http://www.hd.square[...] Square Enix 2010
[7] 웹사이트 Japan Game Awards 2010 https://awards.cesa.[...] 2024-01-21
[8] 뉴스 undefined http://jp.ign.com/sq[...] IGN Japan 2017-09-26
[9] 문서 undefined メディアクリエイト
[10] 문서 undefined ファミ通
[11] 웹사이트 How Have the Final Fantasy Games Sold on Steam? http://www.gamedesig[...]
[12] 웹사이트 스퀘어·에닉스、「파이널 판타지」시리즈 최신작 「파이널 판타지 XIII」가 「플레이스테이션 3」, 휴대전화 등에서 복수 동시 전개하는 신프로젝트 『FABULA NOVA CRYSTALLIS (파브라 노바 크리스탈리스)』를 발표 http://www.square-en[...] 2006-05-09
[13] 웹사이트 「파이널 판타지」시리즈 최신작 「FINAL FANTASY XIII」북미·유럽 발매일 2010년 3월 9일로 결정 http://release.squar[...] 2009-11-16
[14] 문서 undefined
[15] 웹사이트 『ファイナルファンタジーXIII』の初週販売本数は151万6532本!(エンターブレイン調べ) http://www.famitsu.c[...] 2009-12-21
[16] 웹사이트 ビックなゲストのビックサプライズ! 『FFXIII』と新型PS3のパックも発売決定【FINAL FANTASY XIII PREMIERE PARTY】 https://www.famitsu.[...] KADOKAWA Game Linkage 2009-09-08
[17] 웹사이트 FF13을 동봉한 특별 사양의 PS3 「FINAL FANTASY XIII LIGHTNING EDITION」가 발매 결정, HDD는 250GB로 https://gigazine.net[...] OSA 2009-09-24
[18] 웹사이트 『FF』시리즈의 작품이 세트가 된 『파이널 판타지 25th 애니버서리 얼티밋 박스』발표 https://www.famitsu.[...] KADOKAWA Game Linkage 2012-08-31
[19] 문서 undefined 電撃PlayStation
[20] 웹사이트 [E3 2013]라이트닝 씨는 C컵에서 D컵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SQUARE ENIX PRESENTS 나 키타세(北瀬)인데 질문 있어?」에서 판명된 정보 모음 https://www.4gamer.n[...] 4Gamer.net 2013-06-13
[21] 웹사이트 Game Developers Conference 2008현지 리포트 https://game.watch.i[...] 2008-02-25
[22] 웹사이트 Notre interview vidéo exclusive de Julien Merceron http://ffdream.com/n[...]
[23] 뉴스 【E3 2013】2013년은 여러가지 형태로 「FF」를 북돋우고 싶다―「파이널 판타지」시리즈를 담당하는 키타세 요스케 씨, 도리야마 구 씨에게 인터뷰 https://www.gamer.ne[...] 2013-12-18
[24] 웹사이트 「파이널 판타지 XIV」프로듀서 타나카 히로미치 씨 인터뷰 https://game.watch.i[...] 2009-06-05
[25] 웹사이트 바르샤바 http://www.square-en[...] 2009-10-30
[26] 웹사이트 FF13 https://siren79.exbl[...] 2009-12-17
[27] 웹인용 스퀘어 에닉스,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 최신작 「파이널 판타지 XIII」가 「플레이스테이션 3」, 휴대전화 등, 다수의 기기로 동시 전개하는 프로젝트 『FABULA NOVA CRYSTALLIS(파브라 노바 크리스탈리스)』를 발표 http://www.square-en[...] 2006-05-09
[28] 웹인용 「파이널 판타지」 시리즈의 최신작 「FINAL FANTASY XIII」북미・유럽 발매일 2010년 3월 9일로 결정 http://release.squar[...] 2009-11-16
[29] 웹인용 『파이널 판타지 XIII』의 첫 주 판매량은 151만 6532 장!(엔터브레인 조사) http://www.famitsu.c[...] 2009-12-21
[30] 웹사이트 GameTrailers Game of the Year Awards 2010 Most Disappointing Game http://www.gametrail[...] GameTrailers
[31] 웹인용 [E3 2013]라이트닝은 C에서 D컵으로 성장했다!? 「SQUARE ENIX PRESENTS 나 키타세(北瀬)인데 질문 있어?」에서 판명된 정보 모음 http://www.4gamer.ne[...] 4Gamer.net 2013-06-13
[32] 문서 undefined 미디어 크리에이트
[33] 웹인용 2010년 5월 18일 개최된 결산 설명회 자료(일본어) http://www.square-en[...] 스퀘어 에닉스 홀딩스 2010-05-18
[34]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PlayStation 3) reviews at Metacritic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2010-02-09
[35]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Xbox 360) reviews at Metacritic http://www.metacriti[...] CBS Interactive 2010-02-09
[36]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for PC Reviews http://www.metacriti[...] Metacritic 2015-01-09
[37]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for PlayStation 3 http://www.gameranki[...] GameRankings 2011-01-27
[38]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for Xbox 360 http://www.gameranki[...] GameRankings 2010-06-30
[39]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for PC http://www.gameranki[...] GameRankings 2015-01-09
[40]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Review for the PS3 http://www.1up.com/r[...] 2010-03-05
[41] 웹인용 Review: Final Fantasy XIII Review http://www.computera[...] Computer and Video Games 2010-03-05
[42] 웹인용 Review: Final Fantasy XIII http://www.next-gen.[...] Edge 2010-03-05
[43]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http://www.eurogamer[...] Eurogamer 2010-03-05
[44] 웹인용 First Final Fantasy Review Score Not So Perfect http://xbox360.ign.c[...] News Corporation 2009-12-08
[45] 웹인용 Square Enix Delivers A Great Game, Not A Savior - Final Fantasy XIII - PlayStation 3 - www.GameInformer.com http://www.gameinfor[...] Game Informer 2010-03-05
[46]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Review for PlayStation 3 http://www.gamespot.[...] GameSpot 2010-03-05
[47]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Review http://ps3.gamespy.c[...] GameSpy 2010-03-05
[48]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Review http://ps3.ign.com/a[...] News Corporation 2010-03-08
[49] 저널 Final Fantasy XIII 퓨처 2010-02-01
[50] 웹인용 Final Fantasy XIII (Import) review http://www.nowgamer.[...] Nowgam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