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파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팝핀(Popping)은 근육을 빠르게 수축하고 이완하여 몸을 튕기는 듯한 효과를 내는 춤 장르이다. 1976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샘 솔로몬이 일렉트릭 부갈루스를 창단하며 시작되었으며, 펑크, 디스코, 일렉트로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맞춰 춘다. 팝핀은 팝, 히트, 웨이브, 터팅 등 다양한 기술과 스타일을 포함하며, 애니메이션, 부갈루, 텃팅/킹 투트 등이 주요 스타일로 꼽힌다. 대한민국에서는 2000년대 초 일렉트릭 부갈루스의 내한을 계기로 대중화되었으며, 팝핀현준, 위너스 크루 등이 유명하다. 팝핀 대회는 배틀, 잼, 퍼포먼스 형식으로 진행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힙합댄스 - 문워크
    문워크는 한 발은 발가락으로 짚고 다른 발은 발바닥 전체로 미끄러뜨려 시각적 착시를 일으키는 춤으로, 마이클 잭슨이 1983년에 유명하게 만들었지만 그 기원에는 여러 주장이 있다.
  • 힙합댄스 - 힙합 댄스
    힙합 댄스는 197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어 브레이크 댄스, 락킹, 팝핑 등 다양한 스타일을 포괄하며, 1990년대 서태지와 아이들 등장과 함께 대한민국에서 대중화되어 비보이 강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 스트리트댄스 - 힙합 댄스
    힙합 댄스는 1970년대 미국에서 시작되어 브레이크 댄스, 락킹, 팝핑 등 다양한 스타일을 포괄하며, 1990년대 서태지와 아이들 등장과 함께 대한민국에서 대중화되어 비보이 강국으로 인정받고 있다.
  • 스트리트댄스 - 브레이크댄스
    브레이크댄스는 1970년대 초 뉴욕 브롱크스에서 DJ의 음악 'break'에 맞춰 춤추던 댄서들로부터 시작되어 탑락, 다운락, 파워무브, 프리즈의 네 영역으로 구성되며, 여러 크루들의 기여로 발전하여 1980년대 세계적으로 확산, 특히 한국은 아시아 브레이크댄스씬의 중심지가 되었다.
파핑
춤의 개요
장르거리 춤
기원1970년대 후반
특징 및 스타일
주요 특징근육을 튕기는 듯한 움직임 (팝)을 사용하여 몸을 격리시키고 다양한 효과를 내는 스타일
연관 춤부갈루
락킹
애니메이션
웨이브
글라이딩
스트러팅
튜팅
역사 및 기원
창시자불확실 (다양한 주장이 존재)
유래1970년대 후반, 캘리포니아주 프레즈노에서 시작된 것으로 추정
초기 스타일"스트러팅 크루"의 창시자인 보 팝핀즈가 개발한 "팝핀" 스타일에서 유래
발전다양한 춤 스타일과 기술들이 융합되어 현재의 "파핑"으로 발전
디스코와 펑크 음악의 영향을 받음
주요 기술
팝 (Pop)근육을 빠르게 수축시켜 몸에 "팝" 또는 "히트" 효과를 주는 기술
히트 (Hit)팝을 사용하여 몸의 특정 부위에 강한 충격을 주는 기술
웨이브 (Wave)몸 전체 또는 특정 부위를 사용하여 물결 모양을 만드는 기술
글라이드 (Glide)마치 미끄러지듯이 움직이는 기술
로보팅 (Robot)로봇처럼 딱딱하고 각진 움직임을 표현하는 기술
슬로우 모션 (Slow Motion)느린 화면처럼 움직이는 기술
애니메이션 (Animation)만화 캐릭터처럼 과장된 동작을 표현하는 기술
스트러팅 (Strutting)걸을 때 몸을 흔들거나 튕기는 듯한 움직임을 사용하는 기술
튜팅 (Tutting)팔과 손을 사용하여 기하학적인 모양을 만드는 기술
유명 댄서 및 크루
주요 댄서팝핀 피트
부갈루 슈림프
샐리 슬랙
미스터 위글스
수퍼 데이브
주요 크루일렉트릭 부갈루스
락 포스 크루
보 팝핀즈
레드 스텝
대중 문화 속의 파핑
영향력마이클 잭슨을 비롯한 많은 가수와 댄서들에게 영감을 줌
미디어영화, 텔레비전 쇼, 뮤직 비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에서 선보여짐
특징독특하고 시각적으로 매력적인 스타일로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짐

2. 역사

로봇 댄스에 전신의 근육을 튕기는 듯한 움직임을 더한 댄스이다. 1978년 일렉트릭 부갈루스의 멤버이자 마이클 잭슨의 스승이기도 한 부갈루 샘(Boogaloo Sam)과 포핀 피트(Popin' Pete) 형제가 발안했다고 한다. 1984년 영화 『브레이크 댄스』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2. 1. 팝핀의 시작과 발전

1976년 미국 캘리포니아 주 프레즈노에서 샘 솔로몬(Sam Solomon)이 일렉트릭 부갈루스(Electric Boogaloos)라는 팀을 창단하였다. 그는 형제인 피트 솔로몬(Pete Solomon)과 함께 1960년대에 유행한 '[https://en.wikipedia.org/wiki/Lost_in_Space Lost in Space]'와 같은 텔레비전 프로그램에 나오는 로봇을 모방한 춤에 빠져 있었으며, 종종 그들을 따라하곤 하였다. 여기서 나온 춤들을 정리하고 동작을 특성화함으로써 초기의 팝핀이 만들어졌다.[22] 샘이 팝핀을 만들 때 아프리카 원주민들이 신께 의식을 드릴 때 몸을 튕기는 모습을 보고 팝핀 동작을 만들었다는 이야기도 있다.[26]

일렉트릭 부갈루스의 춤은 크게 두 가지 스타일로 나뉜다. 하나는 동작과 동작 사이를 원을 크게 그리며 움직이는 '부갈루'이고, 다른 하나는 근육에 크게 힘을 주며 움직이는 '팝핀'이다. 팝핀이 1960년대에 이미 있었다는 이야기도 있으나, 이를 확립한 것은 샘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실제로 팝핀 동작을 하면서 댄서들이 힘을 주며 무의식 중에 소리를 내는 경우가 있는데, 이 소리를 처음으로 '팝'이라는 용어로 칭한 사람이 바로 샘이다.[22]

1977년 솔로몬 가족이 LA로 이사하면서 솔로몬 형제는 일렉트릭 부갈루스의 새 멤버들을 모으기 시작했고, 주변 지역에서 다양한 춤 스타일을 배워 자신들이 정립한 춤과 연계시키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연계된 스타일 중 대표적으로 '웨이브(Wave)', '텃팅(Tutting)', '글라이딩(Gliding)', '에어 포징(Air Posing)', '스케어크로우(Scarecrow)', '스파이더맨(Spiderman)' 등이 있다.[22] 일렉트릭 부갈루스는 당시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https://en.wikipedia.org/wiki/Soul_train 소울트레인](Soul train)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자신들이 만든 팝핀과 여러 스타일을 알렸으며, 이는 여러 댄서들이 팝핀을 시작하는 계기가 된다.[22] 1978년에는 일렉트릭 부갈루스의 멤버이자 마이클 잭슨의 스승이기도 한 부갈루 샘(Boogaloo Sam)과 포핀 피트(Popin' Pete) 형제가 팝핀을 발안했다고 한다. 1984년 영화 『브레이크 댄스』를 통해 팝핀이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2. 2. 대한민국 팝핀의 역사

2000년 이전에는 대한민국에서 '팝핀' 대신 '각기'라는 이름으로 더 알려져 있었다. 당시에는 팝핀을 제대로 가르치는 사람이 없어, 댄서들은 외국 비디오를 보며 독학했다. 이 때문에 어깨를 들썩거리는 방식으로 팝과 비슷한 동작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팝핀보다는 힙합을 추는 댄서들이 훨씬 많았고, 팝핀은 힙합을 잘 추기 위한 요소 정도로 인식되었다.[27]

2000년 8월, 일렉트릭 부갈루스가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팝핀과 관련된 여러 스타일을 알려주고, 이름의 유래, 춤추는 방법, 음악을 표현하는 방법 등을 가르쳐 주었다. 이들에게 배운 대표적인 댄서들로는 위너스 크루(Winners Crew)가 있다.[28] 이들을 통해 팝핀의 기초를 배운 대한민국 댄서들은 팝핀에 대한 개념을 정확하게 잡기 시작했으며, 현재 한국에서 팝핀을 추는 댄서들 중 약 90% 이상이 이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위너스 크루(Winners Crew)는 대한민국에 팝핀이 처음 들어왔을 때 외국 댄서에게 직접 팝핀을 배운 크루 중 하나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스트릿 댄스 배틀 행사 중 하나인 “Funk Stylers Battle"을 주관한다. 다양한 팝핀 퍼포먼스와 팝핀 대회 우승 경력이 있으며, 이효리와 같은 스타들의 안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현재 국내에 댄스 스쿨인 위너스 스쿨을 운영하고 있다.[33] 위너스크루 멤버로는 미스터 스네이크 웨이브(Mr. Snake wave), 애니로봇(Ani robot), 팝핀 DS(Poppin' DS), E.Y, 제이원(Jay-One), 부기트로닉(Boogie Tronic), 팝핑준(Popping June) 등이 있다.

팝핀현준은 대한민국에서 방송으로 가장 잘 알려진 팝핀 댄서이며, 고릴라 크루(Gorilla Crew)의 멤버이다. SBS ‘놀라운 대회 스타킹’과 MBC나는 가수다’와 같은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팝핀을 대한민국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36][37] 팝핀 댄서로서 드물게 음악 앨범도 발매하여 화제가 되었으며,[38] 현재 이준기, 보아, 장우혁, 제국의 아이들의 안무가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39]

주민정2011년 TvN 코리아 갓 탤런트 시즌 1에 여고생 팝핀댄서로 출연하여 오디션 사상 최초로 여성 우승자가 되었다. 현재는 방송, 공연, 광고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32]

2. 3. 현대의 팝핀

1977년 솔로몬 가족이 LA로 이사 가면서, 솔로몬 형제는 일렉트릭 부갈루스의 새 멤버들을 모으고 주변 지역의 다양한 춤 스타일을 배워 자신들의 춤과 연계시켰다. 이렇게 연계된 스타일에는 ‘웨이브(Wave)’, ‘텃팅(Tutting)’, ‘글라이딩(Gliding)’, ‘에어 포징(Air Posing)’, ‘스케어크로우(Scarecrow)’, ‘스파이더맨(Spiderman)’ 등이 있다.[22] 일렉트릭 부갈루스는 당시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https://en.wikipedia.org/wiki/Soul_train 소울트레인](Soul train) 등에 출연하여 자신들이 만든 팝핀과 여러 스타일을 알렸고, 이는 여러 댄서들이 팝핀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22]

팝핀이 전 세계로 퍼진 후, 락킹, 힙합 등에 비해 팝핀이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쉽다는 사실이 알려졌고,[22] 팝핀현준(Poppin Hyun joon)과 같은 새로운 팝핀 댄서들이 등장했다. 이들은 프로 댄서나 소규모 클럽의 후원을 받으며 성장했다.[22]

새로운 팝핀 댄서들은 팝핀에 문워크(Moonwalk)와 같은 새로운 스타일들을 접목시켰다. 또한 팝핀을 퍼포먼스뿐만 아니라 댄스 배틀에도 응용하기 시작했으며, 팝핀은 락킹, 브레이크댄스와는 다른 독창적인 스트리트댄스 장르로 자리 잡았다.[22]

1970년대 후반 펑크 시대에 뿌리를 둔 파핑은 일반적으로 펑크디스코 음악에 맞춰 춤을 췄다. 잽(Zapp), 데이턴(Dayton), 대즈 밴드(Dazz Band), 카메오(Cameo) 등이 대표적인 아티스트이다. 1980년대에는 크라프트베르크(Kraftwerk), 옐로우 매직 오케스트라(Yellow Magic Orchestra), 이집션 러버(Egyptian Lover), 월드 클래스 레킹 크루(World Class Wrecking Crew) 등의 일렉트로 음악도 활용되었다. 아프리카 밤바타아(Afrika Bambaataa), 커티스 블로우(Kurtis Blow), 후디니(Whodini), 런 DMC(Run DMC) 등 힙합 음악1980년대 파퍼들에 의해 널리 사용되었다. 오늘날에는 파핑이 현대 힙합(종종 추상적/기악 힙합) 및 덥스텝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댄스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파퍼들은 일반적으로 분당 90~120 비트의 곧고 꾸준한 비트, 4/4 박자를 가지며, 스네어 드럼이나 드럼 머신에 의해 강한 백 비트를 강조하는 음악을 선호한다. 팝은 일반적으로 모든 비트 또는 뚜렷한 백 비트에서 수행된다. 파퍼는 또한 멜로디나 다른 리듬 요소의 리듬에 맞춰 팝의 타이밍을 조절할 수도 있다.

3. 용어 및 특징

''파핑''은 근육을 빠르게 수축하고 이완하여 몸에서 톡톡 튀는 효과("팝" 또는 "히트")를 만드는 기술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팝" 또는 "히트"는 팔, 다리, 가슴, 목 등 신체의 특정 부위에 집중하여 다양한 변형을 만들 수 있다.[12] 부갈루 전통에서 하드 포즈를 취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 기술은 오클랜드의 부갈루 그룹인 블랙 메신저스에 의해 혁신되었다.[11][5]

히트/팝은 전완, 상완, 목, 흉근, 가슴, 명치, 등 근육, 허리 주변부, 허벅지 앞면, 허벅지 뒷면 등 다양한 부위에서 가능하다. 연습 시에는 개별 근육의 움직임을 의식하고 신경을 집중시키기 때문에, 재활과 통하는 점이 있다. 근육을 직접 만져보는 것이 이해하기 쉽고, 스트레칭이나 마사지 등이 연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팝핀은 다른 스트리트 댄스의 움직임이나, 판토마임, 모노마네, 일상생활의 동작까지도 받아들여 폭넓은 표현을 할 수 있다. 근력, 리듬감, 균형 감각, 유연성 등을 기르기 위해 다른 스트리트 댄스를 연습하는 것도 좋다. 하지만, 항상 "남기는" 부분 (공간 고정, 혹은 동작에 대한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중요하므로, 너무 많은 움직임을 채우면 "팝다움"이 손상될 수 있다.

개성이 강하게 드러나는 춤이며, 솔로 콘테스트가 주최되는 경우가 많다. 일본 국내에서 정기적으로 열리는 콘테스트로는 "OLD SCHOOL NIGHT", "HookUp", "HeatUp", "FreeStyleSessionJapan", "b-nite", "P-1 GP (현재는 Lockin도 합쳐서 PL-1)[21]" 등이 있다.

팝의 움직임과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다임 스톱(dime Stop)
  • 넥 오 플렉스(neck o flex)
  • 트위스트 오 플렉스(twist o flex)
  • 마스터 플렉스(master flex)
  • 슬리피(sleepy)
  • 올드맨(old man)
  • 크레이지 레그스(crazy legs)
  • 부갈루(boogaloo)
  • 티킹(ticking)
  • 스케어크로우(scarecrow)
  • 퍼펫(puppet)
  • 스네이킹(snaking)
  • 스트럿(strut)
  • 필모어(filmore)
  • 토이맨(toyman)
  • 섀도 박스(shadow box)
  • 센티피드(centipede)
  • 바텀 퍼스트(bottom first)
  • 삭 워크(sac walk)
  • 프레즈노(fresno)
  • 크리핑(creeping)
  • 리프트(lift)
  • 코브라(cobra)
  • 킹코브라(king cobra)
  • 워크 아웃(walk out)
  • 에어 포즈(air pose)

3. 1. 용어

팝(Pop)은 근육을 순간적으로 수축시켜 몸을 튕기는 동작이다.[12] 히트(Hit)는 어딘가에 닿는 듯한 느낌으로 근육을 긴장시키는 동작이다.[12] 팝과 히트는 팔, 다리, 가슴, 목 등 신체의 특정 부위에 집중하여 다양한 변형을 만들 수 있다.[12]

롤(Roll)은 신체 부위를 원형으로 움직이는 동작이다. 웨이브(Wave)는 몸을 물결처럼 움직이는 동작이다. 텃팅(Tutting)은 고대 이집트의 예술에서 영감을 받은 동작으로, 팔과 손으로 각진 도형을 만든다. 킹 투트(King Tut)라고도 불린다.[15]

3. 2. 특징

팝핀은 팔, 다리, 가슴, 목 등 신체 각 부위의 근육을 빠르게 수축하고 이완하여 '팝' 또는 '히트'라고 불리는 톡톡 튀는 효과를 만들어내는 춤이다.[12] 이러한 기술은 오클랜드의 부갈루 그룹인 블랙 메신저스에 의해 혁신되었다.[11][5] 팝핀은 특정 신체 부위에 집중하여 팔 팝, 다리 팝, 가슴 팝, 목 팝과 같은 다양한 변형을 만들 수 있다.[12]

팝핀은 즉흥적인 요소가 강하며, 댄서의 개성이 뚜렷하게 드러나는 춤이다. 일련의 동작 중에 한 번 정지하여 순간적으로 근육을 수축시키는 동작이 포함된다. 주요 움직임 외에도 다른 스트리트 댄스의 움직임, 판토마임, 모노마네, 일상생활의 동작까지도 받아들여 폭넓은 표현을 할 수 있다.

팝핀은 1970년대 후반 펑크 시대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펑크, 디스코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잽(Zapp), 데이턴(Dayton), 대즈 밴드(Dazz Band), 카메오(Cameo) 등이 대표적인 아티스트이다. 1980년대에는 크라프트베르크(Kraftwerk), 옐로우 매직 오케스트라(Yellow Magic Orchestra), 이집션 러버(Egyptian Lover), 월드 클래스 레킹 크루(World Class Wrecking Crew) 등 일렉트로 음악을 활용하는 댄서들도 많았다. 힙합 음악 또한 1980년대 팝핀 댄서들에게 널리 사용되었으며, 아프리카 밤바타아(Afrika Bambaataa), 커티스 블로우(Kurtis Blow), 후디니(Whodini), 런 DMC(Run DMC) 등이 대표적이다. 오늘날에는 추상적/기악 힙합) 및 덥스텝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댄스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팝핀 댄서들은 일반적으로 분당 90~120 비트의 곧고 꾸준한 비트, 4/4 박자를 가지며, 스네어 드럼이나 드럼 머신에 의해 강한 백 비트를 강조하는 음악을 선호한다. 팝은 일반적으로 모든 비트 또는 뚜렷한 백 비트에서 수행된다. 댄서는 멜로디나 다른 리듬 요소의 리듬에 맞춰 팝의 타이밍을 맞추는 등 음악을 더 자유롭게 따를 수도 있다.

4. 주요 스타일

파핑의 주요 스타일로는 Boogaloo영어, Animation영어, Tutting/King Tut영어 등이 있다.


  • 부갈루 (Boogaloo): 1977년 솔로몬 가족이 LA로 이사하면서 발전한 스타일로, 웨이브, 텃팅, 글라이딩 등 다양한 춤 스타일을 결합했다. 소울트레인을 비롯한 다양한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팝핀과 여러 스타일을 알렸다.
  • 애니메이션 (Animation): 댄서가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모방하는 스타일이다. 레이 해리하우젠이 제작한 다이나메이션 영화 ''신밧드의 7번째 모험''(1958) 등에서 큰 영감을 받았다.
  • 텃팅/킹 투트 (Tutting/King Tut): 고대 이집트 예술에서 영감을 받아 직각을 주로 사용하는 스타일로, 투탕카멘에서 이름을 따왔다.

4. 1. 부갈루 (Boogaloo)

1977년 솔로몬 가족이 LA로 이사를 가게 되면서 솔로몬 형제는 일렉트릭 부갈루스의 새 멤버들을 모으기 시작했고, 주변 지역에서 다양한 춤 스타일을 배워 자신들이 정립한 춤과 연계시키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연계된 스타일 중 대표적으로 ‘웨이브(Wave)’ ‘텃팅(Tutting)’ ‘글라이딩(Gliding)’ ‘에어 포징(Air Posing)’ ‘스케어크로우(Scarecrow)’ ‘스파이더맨(Spiderman)’ 등이 있다.[22] 일렉트릭 부갈루스는 당시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인 [https://en.wikipedia.org/wiki/Soul_train 소울트레인](Soul train)을 비롯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에 출연하여 자신들이 만든 팝핀과 여러 스타일을 알렸으며, 이는 여러 댄서들이 팝핀을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22]

4. 2. 애니메이션 (Animation)

애니메이션은 댄서가 스톱 모션으로 애니메이션화된 영화 캐릭터를 모방하는 스타일이자 기술이다. 댄서는 근육을 긴장시키고 스트로빙 및 로봇과 유사한 기술을 사용하여 뻣뻣하고 경련적으로 움직여 프레임 단위로 애니메이션화된 것처럼 보이게 한다. 월트 디즈니는 1929년에 자신의 캐릭터 스팀보트 윌리의 동작을 "애니메이션 댄스"라고 부르면서 이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 이 스타일은 레이 해리하우젠이 제작한 다이나메이션 영화 ''신밧드의 7번째 모험''(1958) 등에서 큰 영감을 받았다.[12]

4. 3. 텃팅/킹 투트 (Tutting/King Tut)

고대 이집트의 예술에서 영감을 얻은 터팅(이름은 이집트 파라오인 투탕카멘에서 유래되었으며, 통칭 "킹 투트"라고 불림)은 주로 직각을 사용하여 기하학적 위치(예: 상자)와 움직임을 만드는 신체의 능력을 활용한다.[15] 일반적으로 팔과 손에 집중하며, 핑거 터팅과 같은 하위 스타일을 포함한다.[15]

5. 음악

팝핀은 1970년대 펑크(Funk)와 디스코 음악에 맞춰 춤을 추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잽, 데이턴, 대즈 밴드, 카메오 등이 대표적인 아티스트이다. 1980년대에는 크라프트베르크, 옐로우 매직 오케스트라, 이집션 러버, 월드 클래스 레킹 크루 등 일렉트로 음악도 팝핀에 활용되었다.[42] 아프리카 밤바타아, 커티스 블로우, 후디니, 런 DMC 등 힙합 음악 또한 1980년대 팝핀 댄서들이 사용하기 시작했다.

현대에는 덥스텝, 일렉트로닉 음악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맞춰 팝핀을 추는 것을 흔히 볼 수 있다. 팝핀에 적합한 음악은 일반적으로 분당 90~120 비트의 4/4 박자 음악이며, 스네어 드럼이나 드럼 머신에 의해 강한 백 비트가 있는 음악이다.[42] 팝핀 댄서들은 이 강한 박자에 ‘팝’을 넣어 음악을 표현하며, 멜로디나 노래 가사의 라임 등 다른 음악적 요소를 몸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5. 1. 팝핀 음악 DJ

팝핀 DJ는 팝핀 대회나 퍼포먼스에서 음악을 재생하고 리믹스하는 역할을 한다. 일부 DJ들은 댄서 활동을 병행하기도 한다.[1] 팝핀 댄서들이 다른 장르의 음악에도 팝핀을 적용하기 시작하면서, 기존에는 팝핀 음악을 만들지 않았던 DJ들도 팝핀 DJ로 인정받는 경우가 있다.[1]

한국의 대표적인 팝핀 DJ는 다음과 같다:

  • Jaygee: 리얼 마블러스(Real Marvelous)의 멤버이며, DJ와 댄서로 활동한다. 댄서로서 다양한 대회 우승 경력이 있으며, DJ 경험도 많다. 최근 팝핀댄서 호안(Hoan)과 함께 Mo' Higher라는 유닛을 결성하여 활동하고 있으며, 댄스 스쿨 강사로도 활동하고 있다.


https://www.facebook.com/jaygee.realmarvelous JG 페이스북 페이지 가기

  • DJ Mulder: Brand New Mind의 멤버이며, 국내 팝핀/락킹 대회에서 펑크(Funk) 스타일의 DJ로 알려져 있다.


http://www.dancersclub.net/xe/29268 DJ Mulder 프로필 가기

  • Psyk: 주로 테크노 음악을 많이 제작하는 아티스트로서, 대표곡으로 "When I saw A.K.A Kin", "Earthquake"가 있으며, 최근 싸이강남스타일을 리믹스하여 댄서들 사이에서 화제가 되었다.


https://www.myspace.com/psykmusic Psyk 마이스페이스 페이지 가기

  • Legend DA BeatSlaya: 다수의 앨범을 발매한 실력파 DJ로서, 팝핀 댄서들이 애용하는 음악을 만든다.


https://web.archive.org/web/20161207085628/http://legend-da-beatslaya.bandcamp.com/ Legend DA BeatSlaya 홈페이지 가기

  • DJ Shash'U: Bang Beats 프로덕션에 속해있으며, 다수의 팝핀 음악을 제작, 리믹스한 DJ이다.


https://www.facebook.com/djshashu DJ Shash'U 페이스북 가기

  • DJ Ollie: 드럼, 베이스, 일렉트로닉 음악을 주로 담당하는 DJ이다.


https://www.myspace.com/djollie Ollie 마이스페이스 가기

6. 유명 팝핀 크루 및 댄서

6. 1. 대한민국

2000년대 이전에는 대한민국에서 ‘팝핀’ 대신 '각기'라는 이름이 더 많이 알려져 있었다. 실제로 팝을 주는 방법을 제대로 지도하는 사람이 없어서 외국에서 들어온 비디오 등을 보며 댄서들이 팝핀을 독학했기에, 어깨를 들썩거리는 방법으로 팝과 비슷한 동작을 하곤 했었다. 또한 팝핀보다 힙합을 추는 댄서들이 훨씬 많을 때였으며, 팝핀은 그저 힙합을 잘 추기 위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었다.[27]

2000년 8월, 일렉트릭 부갈루스가 대한민국을 방문하여 팝핀뿐만 아니라 이와 관련된 여러 스타일을 알려주고, 이름이 붙은 이유, 추는 방법, 음악을 표현하는 방법 등을 알려주었다. 이렇게 배운 댄서들 중 대표적인 댄서들로 위너스 크루 (Winner's crew)가 있다.[28] 이들은 팝핀의 기초를 하나씩 대한민국 댄서들에게 가르쳐, 팝핀에 대한 개념이 정확히 잡히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한국에서 팝핀을 하는 약 90% 이상의 사람들이 그들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위너스 크루 (Winner's crew)는 대한민국에 팝핀이 처음 들어왔을 때 외국 댄서에게 직접 배운 크루 중 하나이며,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스트릿 댄스 배틀 행사 중 하나인 “Funk Stylers Battle"을 주관한다.[33] 이들은 다양한 팝핀 퍼포먼스, 팝핀 대회에서 우승한 경력이 있으며, 이효리와 같은 스타들의 안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또한 국내에 댄스 스쿨인 위너스 스쿨을 운영하고 있다.[33] 위너스크루 멤버로는 미스터 스네이크 웨이브(Mr. Snake wave), 애니로봇(Ani robot), 팝핀 DS(Poppin' DS), E.Y, 제이원(Jay-One), 부기트로닉(Boogie Tronic), 팝핑준(Popping June) 등이 있다.

애니메이션 크루 (Animation Crew)는 퍼포먼스적 요소가 매우 강한 팝핀 크루이다. 특히 만화에서 보이는 애니메이션 스타일을 팝핀과 많이 접목하며, 다양한 퍼포먼스와 대회에서 게스트 쇼를 진행하며 다양한 음악을 로보틱 스타일로 표현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전에 가수 장우혁의 안무가와 백댄서로 활동한 적이 있으며, 최근 BWB와 함께 "코리아 갓 탤런트 (시즌 2)“에 출연하여 TOP 3 안에 들었다.[34]

부갈루 킨 (A.K.A Boogaloo KIN)은 팝핀 크루 "Funk in the heart"의 단장이다. 팝핀뿐만 아니라 락킹 댄서로도 활동하며, 다양한 퍼포먼스와 대회에 참가하여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35] 최근에 'Psyk'이라는 음악가가 ‘When I saw A.K.A Kin'이라는 음악을 만들었는데, 이 음악의 대상이 되어 화제가 되었다.

팝핀현준은 대한민국에서 방송으로 가장 잘 알려진 팝핀 댄서이며 고릴라 크루 (Gorilla Crew)의 멤버이다. SBS‘놀라운 대회 스타킹’과 MBC나는 가수다’와 같은 프로그램에 출연하면서 팝핀을 대한민국에 알리는 데에 큰 일조를 하였다.[36][37] 그는 다양한 게스트 쇼, 퍼포먼스로 활동하며, 팝핀 댄서로서 흔치 않게 음악 앨범도 발매하여 화제가 되었다.[38] 현재 이준기, 보아, 장우혁, 제국의 아이들의 안무가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39]

2011년 6월 1일부터 방영된 TvN 코리아 갓 탤런트 시즌 1에 여고생 팝핀댄서 주민정이 출연하여 오디션 사상 최초로 여성 우승자가 되었다. 현재는 방송 및 공연, 광고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32]

6. 2. 국외



일렉트릭 부갈루스(Electric Boogaloos)는 팝핀의 시초를 세우고, 기본 동작들과 팝핀 스타일을 가장 먼저 정립하였다고 알려져 있는 크루이다.[41] 이 크루는 2000년대에 대한민국에 내한하여 대한민국에 팝핀이 널리 퍼지기 시작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고, 이로 인해 대부분의 대한민국 댄서들이 이들에게서 영감을 받았다. 멤버는 기존에는 여섯명이었지만 한 명이 별세하여 현재 총 다섯명이며, 현재도 팝핀 스쿨 강사로 왕성한 활동을 벌이고 있다.

Kite(또는 Kaito)는 팝핀 댄서 Madoka, Paki, Atzo와 함께 일본 팝핀 크루인 Former Action Crew의 멤버이며,[40] 낮은 자세에서의 롤링을 자주 사용하여 인상 깊은 동작을 구사하는 팝핀 댄서 중 한명이다. 카이트는 특히 독학으로 팝핀을 배웠음에도 현재 일본에서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명한 댄서 중 한 명이어서 다른 댄서들에게 롤모델이 되고 있다.

OGS는 일본의 대표적인 팝핀 크루이며, 대한민국의 팝핀 크루 Brand New Mind가 현재 이름으로 활동하기 전, K-OGS로 활동하였을 만큼, 댄서들에게 인상을 깊게 심어준 크루이다. 대표적인 멤버로 유키(Yuki)가 있다.

이외에도 유명한 일본 팝핀 크루로 gucchon, kei, Co-Thkoo가 있으며, 로봇팅을 자주 사용하는 외국 팝핀 크루로는 [https://en.wikipedia.org/wiki/Jabbawockeez Jabbawockeez], [https://en.wikipedia.org/wiki/Poreotics Poreotics], 무명, Pacman, Remote Control이 있다.

다른 유명한 팝핀 댄서들은 다음과 같다:

7. 대회

팝핀 대회에서 서로의 실력을 겨루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크게 배틀, 잼, 퍼포먼스로 나뉜다. 세 가지 경우 모두 다른 스트릿 댄스 장르와 규칙은 동일하며, 대표적인 팝핀 대회의 경우 다른 스트릿 댄스와 함께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

팝핀을 장르로 넣은 대회들로는 Keep On Dancing Korea, R16, WDC, Who is the best (poplock), Street jam, Funk stylers, Juste Debout, Dance inside, 대한민국의 팝핀의 미래를 이끌어갈 그대들, 유로 배틀 등이 있다.

참조

[1] 뉴스 KQED Feature: SF & Oakland Hiphop Histories Come Alive in this Dance Demo https://www.kqed.org[...]
[2] 서적 Underground Dance Masters: Final History of a Forgotten Era Praeger 2012
[3] 간행물 "Electric Kingdom" The history of popping and locking, from the people who made it happen Rap Pages 1996-09
[4] 서적 American Dance: The Complete Illustrated History Voyaguer Press 2014
[5] 문서 "The Oakland Funk Boogaloo Generation". Underground Dance Masters: Final History of a Forgotten Era 2012
[6] 문서 Boogaloo Traditions: Interview with Kerney Mayers of The Black Messengers 2019
[7] 웹사이트 "Funk Styles" History & Knowledge http://www.electricb[...] 2007-05-15
[8] 서적 Underground Dance Masters: Final History of a Forgotten Era Praeger 2012
[9] 문서 "Wrecking Shop (Live in Brooklyn) 1992
[10] 문서 The popping category generally centers around the technique of popping, but much variation involving [[#Integrated styles and techniques|closely related styles]] is allowed.
[11] 문서 "
[12] 웹사이트 Move Lessons http://www.mrwiggles[...] 2007-05-16
[13] 문서 "The Oakland Funk Boogaloo Generation". Underground Dance Masters: Final History of a Forgotten Era Praeger 2012
[14] 문서 "Oakland Boogaloo: An Intro to Basic Movements with Chuck Powell" on 2014
[15] 서적 The Book of Dance 2012 – Page 129 1409322378 "Tutting was originally inspired by Egyptian hieroglyphics – the name is an abbreviation for the Egyptian pharaoh Tutankhamun. A form of popping, tutting is all about creating right angles using the arms ..."
[16] 웹사이트 Full cast https://www.imdb.com[...] 2009-08-03
[17] 웹사이트 ALL FOR ONE - SKEETER RABBIT REST IN POWER 2016.09.11 https://www.youtube.[...] 2023-09-08
[18] 웹사이트 Slim Boogie Exclusive Interview https://www.dancemog[...] 2019-05-07
[19] 웹사이트 Vincent 'Mr. Animation' Foster passes away - Dance Informa USA https://danceinforma[...] 2018-09-28
[20] 웹사이트 Meet Poppin John From NBC World Of Dance Season 3 https://thisiswod.co[...] 2019-05-07
[21] 웹사이트 Sutudio Soul Top http://s-soul.com/ht[...] 2019-05-07
[22] 웹인용 팝핀의 유래 http://blog.daum.net[...] 2009-06-26
[23] 웹인용 Interview with Poppin' Pete http://tigger.uic.ed[...] 2012-12-06
[24] 웹인용 History of Popping http://www.rebeldanc[...] 2012-12-05
[25] 웹인용 The history of Popping http://www.dancetuto[...] 2012-10-14
[26] 웹인용 들어는 봤나 ? Poppin의 역사 ! 한번 알아보자꾸나 !!!! http://www.youngsams[...] 2010-03-02
[27] 웹인용 팝핑은 각기가 아니어요! http://streetdance.c[...] 2012-12-07
[28] 웹인용 위너스가 걸어온 길 http://cafe316.daum.[...] 2011-04-10
[29] 웹인용 Poppin의 종류엔 어떤것이 있을까? http://club.cyworld.[...] 2008-12-09
[30] 웹인용 liquid popping & electric boogaloo https://www.facebook[...] 2011-05-22
[31] 웹인용 팝핀의 종류 http://ask.nate.com/[...] 2011-02-15
[32] 뉴스 주민정, 최성봉 꺾고 '코갓탤' 우승..'폭풍 눈물 https://news.naver.c[...] 네이버뉴스 2012-07-28
[33] 웹인용 위너스 크루 프로필 http://cafe316.daum.[...] 2010-10-10
[34] 뉴스 올해 최고재능 팝핀, BWB 우승…코리아갓탤런트 http://reviewstar.ha[...] 네이버뉴스 2012-07-28
[35] 웹인용 A.K.A BOOGALOO KIN Profile http://cafe438.daum.[...] 2010-11-26
[36] 뉴스 '스타킹' 71세 노인 현란한 춤솜씨, 아이돌 안부럽네 http://www.tvreport.[...] TVREPORT 2012-09-15
[37] 뉴스 '나는 가수다' 조관우, 팝핀현준과 진성으로 채운 앙상블 '고향역' http://tvdaily.mk.co[...] 티브이데일리 2012-07-31
[38] 뉴스 팝핀현준, 첫 정규앨범 ‘ONE & ONLY’ 발매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7-05-08
[39] 뉴스 "[방송가] 정말 춤을 잘 추는 춤꾼 '팝핀현준'"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1-07-05
[40] 웹인용 Kite (Former Action Crew) http://www.hiphopdan[...] 2009-07-14
[41] 웹인용 일렉트릭 부갈루스, 부갈루, 북 스타일 http://blog.naver.co[...] 2010-03-25
[42] 웹인용 락킹, 팝핀 하기 좋은 음악?? FUNK MUSIC!! https://web.archive.[...] 2009-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