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다.
2. 2. 고계 편미분
함수 의 '''고계 편미분'''(高階偏微分, higher order partial derivative영어)은 편미분을 반복하여 얻는 미분이다. 예를 들어, 독립 변수 , , 의 함수 에 대하여, 에 대한 편미분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이를 다시 나 로 편미분하면, 이계 편미분을 얻으며,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
비슷하게, 를 나 로 편미분하고, 다시 나 나 로 편미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연결 열린집합 에 정의된 실숫값 함수 를 변수 로 번, 변수 로 번, ..., 변수 로 번(인접하지 않는 두 변수는 같을 수 있다) 편미분하는 것은 계 편미분이며,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용어 '''혼합 편미분'''(混合偏微分, mixed derivative영어)은 서로 다른 두 변수에 대한 이계 편미분을 뜻한다. 예를 들어, 위에서 의 에 대한 편미분의 에 대한 편미분은 혼합 편미분이다.
많은 경우 편미분 변수 순서는 교환 가능하며, 이 경우 편미분은 다중지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
물론, 이들 편미분 가운데 일부 또는 전부는 정의역의 일부 또는 전부에서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변수 이상의 함수에 대한 2차 및 고차 편도함수는 일변수 함수의 고차 도함수와 유사하게 정의된다. 함수 에 대해 에 대한 "자체" 2차 편도함수는 단순히 편도함수의 편도함수(둘 다 에 대해)이다.[5]
와 에 대한 교차 편도함수는 를 에 대해 편미분한 다음, 그 결과를 에 대해 편미분하여 얻는다.
슈바르츠 정리는 2차 도함수가 연속적이면 교차 편도함수의 표현식은 어떤 변수에 대해 먼저 편미분하고 어떤 변수에 대해 나중에 편미분하는지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명시한다. 즉,
또는 동등하게
예를 들어 2변수 함수 가 편미분 가능하고, 또한 두 편도함수 , 가 편미분 가능할 때, 의 2계 편도함수는 , , , 의 4개가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두 편도함수 , 는 일반적으로 다른 함수이지만, 이들 편도함수가 연속이면, 즉 원래 함수가 급이면 양자는 일치한다 (영의 정리).
3. 성질
함수가 전미분 가능하다면, 그 함수의 모든 편미분과 모든 방향 미분이 존재하며, 다음이 성립한다.[1]
:
:
어떤 함수가 연속 미분 가능하다는 것은 함수의 모든 편미분이 존재하고, 그 편미분들이 모두 연속 함수라는 의미이며, 이 경우 함수는 전미분 가능하다.[1]
3. 1. 편미분 교환 법칙
연결 열린집합 에 정의된 함수 및 그 두 변수 , 에 대하여, 만약 가 함수라면, 의 와 에 대한 혼합 편미분은 서로 같다. 즉, 다음이 성립한다.
:
라고 하고, 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다. 전제에 의하여 는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와 사이에는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이다. 평균값 정리를 다시 한 번 적용하면 는 미분가능하므로 평균값 정리에 의하여 와 사이에는 를 만족하는 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고, 이다. 는 연속이므로 이다. 유사한 방법으로 계산해보면 이므로 이다.
이 정리는 슈바르츠 정리라고도 불리며, 2차 도함수가 연속적이면 교차 편도함수의 표현식은 어떤 변수에 대해 먼저 편미분하고 어떤 변수에 대해 나중에 편미분하는지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이변수 함수 ''f''(''x'', ''y'')의 두 편도함수 ''f''''x'' , ''f''''y''가 연속이면, 즉, 원래 함수가 ''C''2 급이면, ''f''''xy'' , ''f''''yx''는 일치한다. (영의 정리).
4. 표기법
$x$에 대한 편미분은 $\frac{\partial f}{\partial x}$, $f_x$, $\partial_x f$ 등으로 표기한다. 고계 편미분은 $\frac{\partial^2 f}{\partial x^2}$, $f_{xx}$, $\partial_{xx} f$ 등으로 표기한다. 혼합 편미분은 $\frac{\partial^2 f}{\partial y \partial x}$, $f_{xy}$, $\partial_{yx} f$ 등으로 표기한다.[3]
독립 변수 $x, y, z$의 함수 $f\colon\mathbb R^3\to\mathbb R$에 대하여, 1차, 2차, 고차 편미분 및 혼합 편미분은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구분 | 표기 |
---|
1차 편도함수 | |
2차 편도함수 | |
2차 혼합 편도함수 | |
고차 편도함수 및 혼합 편도함수 | |
통계역학과 같은 분야에서, $y$와 $z$를 상수로 유지하면서 $x$에 대한 $f$의 편도함수는 \(\left( \frac{\partial f}{\partial x} \right)_{y,z}\)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연결 열린집합 $D\subseteq\mathbb R^n$에 정의된 실숫값 함수 $f\colon D\to\mathbb R$를 변수 $x_a$로 $k_a$번, 변수 $x_b$로 $k_b$번, ..., 변수 $x_c$로 $k_c$번(인접하지 않는 두 변수는 같을 수 있다) 편미분하는 것은 $k_a+k_b+\cdots+k_c$계 편미분이며, 다음과 같이 표기한다.
:
많은 경우 편미분 변수 순서는 교환 가능하며, 이 경우 편미분은 다중지표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표기할 수 있다.
:
2변수 함수 $f(x, y)$가 편미분 가능하고, 또한 두 편도함수 $f_x$, $f_y$가 편미분 가능할 때, $f$의 2계 편도함수는 $f_{xx}$, $f_{xy}$, $f_{yx}$, $f_{yy}$의 4개가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두 편도함수 $f_{xy}$, $f_{yx}$는 일반적으로 다른 함수이지만, 이들 편도함수가 연속, 즉 원래 함수가 $C^2$급이면, 양자는 일치한다 (영의 정리).
5. 응용
편미분은 벡터 해석, 미분 기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벡터 해석에서 기울기(gradient), 발산(divergence), 회전(curl) 등은 편미분을 이용하여 정의된다. 미분 기하학에서 전미분을 결정하는 데 편미분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원뿔의 부피는 원뿔의 높이와 반지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때 반지름에 대한 부피의 편미분은 높이가 일정하게 유지될 때 반지름 변화에 따른 부피 변화율을 나타낸다. 높이에 대한 편미분은 반지름이 일정하게 유지될 때 높이 변화에 따른 부피 변화율을 나타낸다.
편미분은 함수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구하는 문제, 벡터장의 기울기, 발산, 회전 및 라플라스 연산자의 성분을 나타내는 데에도 사용된다. 또한, 2계 편미분을 행렬 형태로 묶어 헤세 행렬을 얻을 수 있으며, 고차원에서의 테일러 공식은 점의 근방에서 테일러 다항식을 사용하여 근사된다.
5. 1. 최적화
편미분은 둘 이상의 선택 변수를 가진 모든 미적분 기반 최적화 문제에 나타난다. 예를 들어, 경제학에서 기업은 두 가지 다른 유형의 생산량인 ''x''와 ''y''의 선택과 관련하여 이윤 π(''x'', ''y'')을 최대화하고자 할 수 있다. 이 최적화에 대한 1계 조건은 π''x'' = 0 = π''y''이다. 두 편미분 π''x''와 π''y''는 일반적으로 자체적으로 두 인수 ''x''와 ''y''의 함수이므로, 이 두 1계 조건은 두 개의 미지수를 가진 두 개의 방정식 시스템을 형성한다.[1]
편미분은 경제학에서 두드러진 역할을 하며, 경제 행위를 묘사하는 대부분의 함수는 해당 행위가 하나 이상의 변수에 의존한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사회적 소비 함수는 소비재에 지출되는 금액이 소득과 자산 모두에 의존한다고 묘사할 수 있다. 그러면 한계 소비 성향은 소득에 대한 소비 함수의 편미분이다.[1]
5. 2. 열역학, 양자 역학 및 수리물리학
편미분은 깁스-듀헴 방정식과 같은 열역학 방정식, 슈뢰딩거 파동 방정식과 같은 양자 역학, 그리고 수리물리학의 다른 방정식에서 나타난다. 여기서 편미분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는 변수는 삼원 혼합물 시스템의 깁스 에너지를 포함하는 다음 예에서 몰 분율과 같은 간단한 변수의 비율일 수 있다.[1]
)}}}}}
성분의 몰 분율을 다른 성분의 몰 분율과 이원 몰 비의 함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1]
{{lang|en|{{math|inline=1|}}}}}
미분 몫은 위와 같은 일정한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1]
{{lang|en|{{math|display=block|}}}}}
몰 분율의 비율 X, Y, Z는 삼원 및 다성분 시스템에 대해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1]
{{lang|en|{{math|display=block|}}}}}
이는 다음과 같은 편미분 방정식을 푸는 데 사용될 수 있다.[1]
}}}
이 등식은 한쪽에 몰 분율의 미분 몫이 오도록 재정렬할 수 있다.[1]
5. 3. 이미지 처리
이미지 크기 조정 알고리즘의 핵심은 편미분이다. 널리 알려진 심 카빙과 같은 알고리즘은 이미지의 각 픽셀에 직교하는 인접 픽셀과의 비유사성을 설명하기 위해 수치적인 '에너지'를 할당해야 한다. 그런 다음 알고리즘은 에너지가 가장 낮은 행이나 열을 점진적으로 제거한다. 픽셀의 에너지(픽셀에서의 기울기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설정된 공식은 편미분의 구성에 크게 의존한다.[1]
6. 예
하나 이상의 변수를 갖는 함수 ''f''가 주어졌을 때, 예를 들어
: ''z'' = ''f''(''x'',''y'') = ''x''2 + ''xy'' + ''y''2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 함수의 그래프는 유클리드 공간 속 곡면을 정의한다. 곡면 속 점마다 무한히 많은 접선이 존재한다. 편미분은 이 중 ''xz''-평면이나 ''yz''-평면에 평행하는 접선(즉, ''y''나 ''x''를 상수로 놓아 얻는 접선)을 구하는 것이다. 점 (''x'',''y'')에서 ''xz''-평면에 평행하는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기 위해 ''y''를 상수로 보면, 곡면 위에 놓인 곡선을 얻는다. 그 곡선 방정식에서 ''y''를 상수로 놓고 미분을 구하면, 점 (''x'',''y'')에서 곡선의 기울기는 다음과 같다.
:
대입을 통해 점 (1,1)에서 ''xz''-평면에 평행하는 접선의 기울기는 3임을 알 수 있다. 즉, 점 (1,1)에서
: 이다.
다시 말해, 점 (1,1)에서 ''z''의 ''x''에 대한 편미분은 3이다.
함수 ''f''는 변수 하나의 함수들의 집합으로 다시 해석할 수 있다. 즉, 모든 ''y'' 값은 변수 하나의 함수
:
에 대응한다. 만약 ''y''의 값을 ''y''=''a''와 같이 선택해 고정시킨다면, ''f''는 함수
:
를 결정한다. ''a''가 상수이고 더 이상 변수가 아니므로, ''fa''는 변수 ''x'' 하나만을 갖는다. 따라서, 일변수 함수의 미분을
:
와 같이 적용할 수 있다. 이는 모든 ''x'' 값의 함수이며, 이 논의는 모든 ''y''=''a'' 값에 적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로부터 모든 ''x'' 값 및 ''y'' 값을 변수로 갖는 함수
:
를 얻을 수 있다. 이는 함수 ''f''의, 변수 ''x''에 대한 편미분이다.
밑면의 반지름이 ''r''이고 높이가 ''h''인 원뿔의 부피 ''V''는 다음과 같다.
:
여기에서 ''V''를 ''r''에 대해 편미분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얻어진다.
:
또한, ''V''를 ''h''에 대해 편미분하면 다음 식이 얻어진다.
:
참조
[1]
서적
A History of Mathematical Notations
https://archive.org/[...]
The Open Court Publishing Company
[2]
간행물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University of St Andrews
2023-06-15
[3]
서적
Calculus on Manifolds
https://archive.org/[...]
W. A. Benjamin
1965
[4]
문서
This can also be expressed as the adjointness between the product space and function space constructions.
[5]
서적
Fundamental Methods of Mathematical Economics
McGraw-Hill
1984
[6]
문서
Adrien-Marie Legendre, Sur la mainère de distinguer les maxima des minima dans le calcul des variations, Mém. Acad. Sci.
[7]
웹사이트
Earliest Uses of Symbols of Calculus
http://jeff560.tripo[...]
2009-02-20
[8]
웹인용
Earliest Uses of Symbols of Calculus
http://jeff560.tripo[...]
2009-02-20
[9]
웹인용
편도함수
https://www.sciencea[...]
2021-05-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