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돌리아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포돌리아현은 1793년 제2차 폴란드 분할 이후 러시아 제국에 의해 설립된 역사적인 지역이다.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 우크라이나국, 소비에트 우크라이나 등 여러 정치 세력의 각축장이 되었으며, 1923년 행정 구역 개편을 겪었다. 1914년까지 카미야네츠-포돌스키가 행정 중심지였으나, 이후 빈니차로 이전되었다. 1897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는 약 300만 명이었으며, 우크라이나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주요 도시로는 카메네츠포돌스키, 빈니차, 발타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 제국의 현 - 티플리스현
티플리스현은 1846년 러시아 제국이 조지아-이메레티 주를 해체하면서 설립된 행정 구역으로,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우예즈드와 오크루그로 재편되었고, 조지아 민주 공화국 존속 후 조지아가 소비에트 연방에 편입되며 해체되어 조지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라이온으로 재편성되었으며,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사용되었다. - 러시아 제국의 현 - 바사주
바사 주는 1634년에 설립되어 1997년에 폐지된 핀란드의 역사적 행정 구역으로, 오스트로보트니아 주에서 분리되었고 중앙수오미 주가 분리되는 등 변화를 거쳐 서핀란드 주 등으로 통합되었다.
| 포돌리아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포돌리아 현 | |
| 기본 정보 | |
| 로마자 표기 | Podol'skaya guberniya (러시아어) |
| 로마자 표기 | Podíl's'ka hubérniia (우크라이나어) |
| 국가 | 러시아 제국 |
| 현 종류 | 현 |
| 크라이 | 남서부 크라이 |
| 설치 | 1793년 |
| 폐지 | 1925년 |
| 수도 | 카메네츠-포돌스키 (1914년까지) 빈니차 (1914년–1925년) |
| 면적 | 42,017 km² |
| 인구 (1897년) | 3,018,299명 |
| 도시 인구 비율 | 7.35% |
| 농촌 인구 비율 | 92.65% |
![]() | |
![]() | |
2. 역사

포돌리아 관할구는 1793년 제2차 폴란드 분할 직후, 이전의 포돌레주와 브라츠와프주를 대신하여 설립되었다.
2. 1. 러시아 제국 시대
포돌리아 관할구는 1793년 제2차 폴란드 분할 직후, 이전의 포돌레주와 브라츠와프주를 대신하여 설립되었다.
포돌리아 현은 과거 러시아 제국의 남서부 변경 지역을 차지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접경하고 면적은 약 42000km2였다. 행정 중심지는 1914년 빈니차로 이전하기 전까지 카메네츠-포돌스키였다.
포돌리아 현은 남서 지방 행정부의 3개 현 중 하나였다. 1917년 러시아 임시 정부는 우크라이나 중앙 라다를 이 지역의 러시아 임시 정부 대표로 인정했다.

2. 2. 우크라이나 혁명과 소비에트 시대
1923년 4월 12일, 모든 우예즈드(군)는 오크루가(군)로, 볼로스트(지구)는 라이온(구)으로 변경되었다. 오크루가는 1925년 8월 1일까지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었다. 포돌리아현과 함께 하이신 오크루가도 해체되었다. 툴친 오크루가의 일부 영토는 새롭게 형성된 몰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포돌리아현의 오크루가는 다음과 같았다.
| 오크루가 |
|---|
| 빈니차 |
| 하이신 |
| 카미아네츠 |
| 모힐리우 |
| 프로스쿠리우 |
| 툴친 |
1918년까지 포돌리아현은 12개의 군(우예즈드)으로 구성되었다. 1923년 4월 12일, 모든 우예즈드는 오크루가로, 볼로스트(지구)는 라이온(구)으로 변경되었다.[1] 오크루가는 1925년 8월 1일까지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었으며,[1] 포돌리아현과 하이신 오크루가는 해체되었다.[1] 툴친 오크루가의 일부 영토는 새롭게 형성된 몰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1]
3. 지리
포돌리아 현은 과거 러시아 제국의 남서부 변경 지역을 차지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접경하고 면적은 약 42000km2였다. 1914년 이전까지 행정 중심지는 카메네츠-포돌스키였으며, 이후 빈니차로 이전되었다.[1]
4. 행정 구역
1925년까지 포돌리아현에는 빈니차, 하이신, 카미아네츠, 모힐리우, 프로스쿠리우, 툴친 오크루가가 존재했다.
4. 1. 러시아 제국 시대 (우예즈드)
1918년까지 포돌리아현은 12개의 군(우예즈드)으로 구성되었다.
| 군 이름 | 군 중심지 | 면적 (km²) | 인구 (1897년) |
|---|---|---|---|
| 발타 | 발타 | 7766.25km2 | 391,018 |
| 브라츠와프 | 브라츠슬라프 | 3079.93km2 | 241,868 |
| 빈니차 | 빈니차 | 2980.92km2 | 248,314 |
| 가이신 | 가이신 | 3383.11km2 | 248,142 |
| 카메네츠-포돌스키 | 카메네츠-포돌스키 | 2884.19km2 | 266,350 |
| 레티체프 | 레티체프 | 2699.14km2 | 184,477 |
| 리틴 | 리티 | 3322km2 | 210,502 |
| 모길료프 | 모길료프 | 2746.14km2 | 227,672 |
| 노보우시차 | 노바야 우시차 | 2840.26km2 | 223,312 |
| 올고폴 | 올고폴 | 4008.14km2 | 284,253 |
| 프로스쿠로프 | 프로스쿠로프 | 2691.06km2 | 226,091 |
| 얌폴 | 얌폴 | 3618.01km2 | 266,300 |
4. 2. 소비에트 시대 (오크루가)
1923년 4월 12일 모든 우예즈드(군)는 오크루가(군)로, 볼로스트(지구)는 라이온(구)으로 변경되었다.[1] 오크루가는 1925년 8월 1일까지 행정 구역으로 사용되었다.[1] 포돌리아현과 함께 하이신 오크루가도 해체되었다.[1] 툴친 오크루가의 일부 영토는 새롭게 형성된 몰도바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편입되었다.[1]1925년까지 포돌리아현에는 다음의 오크루가가 존재했다.
- 빈니차
- 하이신
- 카미아네츠
- 모힐리우
- 프로스쿠리우
- 툴친
5. 인구 통계
1897년 제정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포돌리아현 주민 대다수는 소 러시아어를 사용했고, 유대어 사용 인구도 상당했다. 종교적으로는 동방 정교회 신자가 가장 많았고, 유대교, 가톨릭 신자도 있었다.
; 종교 시설

5. 1.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
1897년 1월 28일 (구력 1월 15일)에 실시된 제정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포돌리아현의 인구는 3,018,299명(남성 1,505,940명, 여성 1,512,359명)이었다. 인구 대다수는 우크라이나어를 가리키는 소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했으며, 유대어를 사용하는 소수 집단도 상당수 존재했다.[1]| 언어 | 모국어 사용자 | 비율 |
|---|---|---|
| 소 러시아어 | 2,442,819 | 80.93 |
| 유대어 | 369,306 | 12.24 |
| 대 러시아어 | 98,984 | 3.28 |
| 폴란드어 | 69,156 | 2.29 |
| 루마니아어 | 26,764 | 0.89 |
| 독일어 | 4,069 | 0.13 |
| 타타르어 | 2,296 | 0.08 |
| 바시키르어 | 1,113 | 0.04 |
| 체코어 | 886 | 0.03 |
| 백 러시아어 | 834 | 0.03 |
| 로마어 | 510 | 0.02 |
| 기타 언어 | 577 | 0.02 |
| 합계 | 3,018,299 | 100.00 |
| 종교 | 남성 | 여성 | 합계 | |
|---|---|---|---|---|
| 수 | 비율 | |||
| 동방 정교회 | 1,180,148 | 1,178,349 | 2,358,497 | 78.14 |
| 유대교 | 179,612 | 191,000 | 370,612 | 12.28 |
| 가톨릭교 | 131,145 | 131,593 | 262,738 | 8.70 |
| 구교도 | 9,357 | 9,492 | 18,849 | 0.62 |
| 루터교 | 2,020 | 1,795 | 3,815 | 0.13 |
| 이슬람교 | 3,427 | 33 | 3,460 | 0.11 |
| 기타 종교 | 186 | 53 | 239 | 0.02 |
| 합계 | 1,505,940 | 1,512,359 | 3,018,299 | 100.00 |

| 도시 | 총 인구 |
|---|---|
| 카메네츠포돌스키 | 35,934명 (유대인 16,112명, 우크라이나인 9,755명, 러시아인 7,420명) |
| 빈니차 | 30,563명 (유대인 11,456명, 우크라이나인 10,862명, 러시아인 5,206명) |
| 발타 | 23,363명 (유대인 13,164명, 러시아인 5,385명, 우크라이나인 4,124명) |
| 프로스쿠리우 | 22,855명 (유대인 11,369명, 우크라이나인 4,425명, 러시아인 3,483명) |
| 모길레프-포돌스키 | 22,315명 (유대인 12,188명, 우크라이나인 6,512명, 러시아인 2,668명) |
| 즈메린카 | 12,908명 |
| 흐멜니크 | 11,657명 (유대인 5,979명, 우크라이나인 5,375명, 폴란드인 150명) |
| 바르 | 9,982명 (유대인 5,764명, 우크라이나인 3,332명, 러시아인 485명) |
| 리티 | 9,420명 (유대인 3,828명, 우크라이나인 3,047명, 러시아인 2,126명) |
| 가이신 | 9,374명 (유대인 4,322명, 우크라이나인 3,946명, 러시아인 884명) |
| 올고폴 | 8,134명 (우크라이나인 4,837명, 유대인 2,465명, 러시아인 625명) |
| 브라츨라프 | 7,863명 (유대인 3,275명, 우크라이나인 2,608명, 러시아인 1,782명) |
| 레티체프 | 7,248명 (유대인 4,105명, 우크라이나인 1,719명, 폴란드인 741명) |
| 얌필 | 6,605명 (우크라이나인 3,282명, 유대인 2,819명, 러시아인 275명) |
| 노바야 우시차 | 6,371명 (유대인 2,214명, 러시아인 2,120명, 우크라이나인 1,836명) |
| 스타라야 우시차 | 4,176명 (우크라이나인 2,488명, 유대인 1,584명, 폴란드인 57명) |
| 살니차 | 3,699명 (우크라이나인 2,758명, 유대인 899명, 폴란드인 19명) |
| 베르보베츠 | 2,311명 (우크라이나인 1,282명, 유대인 661명, 폴란드인 326명) |
5. 2. 언어
1897년 1월 28일 (구력 1월 15일)에 실시된 제정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포돌리아현의 인구는 3,018,299명이었으며, 그중 남성은 1,505,940명, 여성은 1,512,359명이었다. 인구 대다수는 우크라이나어를 가리키는 소 러시아어Малорусскій|말로루스키ru를 모국어로 사용했으며, 유대어를 사용하는 소수 집단도 상당수 존재했다.[1]
| 언어 | 모국어 사용자 | 비율 |
|---|---|---|
| 소 러시아어 | 2,442,819 | 80.93 |
| 유대어 | 369,306 | 12.24 |
| 대 러시아어 | 98,984 | 3.28 |
| 폴란드어 | 69,156 | 2.29 |
| 루마니아어 | 26,764 | 0.89 |
| 독일어 | 4,069 | 0.13 |
| 타타르어 | 2,296 | 0.08 |
| 바시키르어 | 1,113 | 0.04 |
| 체코어 | 886 | 0.03 |
| 백 러시아어 | 834 | 0.03 |
| 로마어 | 510 | 0.02 |
| 보탸크어 | 254 | 0.01 |
| 프랑스어 | 245 | 0.01 |
| 추바슈어 | 137 | 0.00 |
| 모르도바어 | 136 | 0.00 |
| 라트비아어 | 112 | 0.00 |
| 체레미스어 | 101 | 0.00 |
| 기타 언어 | 577 | 0.02 |
| 합계 | 3,018,299 | 100.00 |
1918년 이전, 제정 러시아 정부는 러시아인을 대 러시아인, 우크라이나인을 소 러시아인, 벨라루스인을 백 러시아인으로 분류했다. 1918년 우크라이나 인민 공화국이 수립된 후, 소 러시아인들은 스스로를 "우크라이나인"으로 정체화했고,[2] 백 러시아인들은 벨라루스 인민 공화국을 "벨라루스인"으로 정체화했다.[3]
6. 주요 도시

1897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 따르면 포돌리아현의 주요 도시와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도시 | 총 인구 | 유대인 |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인 |
|---|---|---|---|---|
| 카미야네츠포돌스키 | 35,934명 | 16,112명 | 9,755명 | 7,420명 |
| 빈니차 | 30,563명 | 11,456명 | 10,862명 | 5,206명 |
| 발타 | 23,363명 | 13,164명 | 4,124명 | 5,385명 |
| 프로스쿠리우 (현 흐멜니츠키) | 22,855명 | 11,369명 | 4,425명 | 3,483명 |
| 모힐리우-포딜스키 | 22,315명 | 12,188명 | 6,512명 | 2,668명 |
그 외 도시들의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 도시 | 총 인구 | 유대인 | 우크라이나인 | 러시아인 | 폴란드인 |
|---|---|---|---|---|---|
| 즈메린카 | 12,908명 | - | - | - | - |
| 흐멜니크 | 11,657명 | 5,979명 | 5,375명 | - | 150명 |
| 바르 | 9,982명 | 5,764명 | 3,332명 | 485명 | - |
| 리티 | 9,420명 | 3,828명 | 3,047명 | 2,126명 | - |
| 가이신 | 9,374명 | 4,322명 | 3,946명 | 884명 | - |
| 올고폴 | 8,134명 | 2,465명 | 4,837명 | 625명 | - |
| 브라츨라프 | 7,863명 | 3,275명 | 2,608명 | 1,782명 | - |
| 레티체프 | 7,248명 | 4,105명 | 1,719명 | - | 741명 |
| 얌필 | 6,605명 | 2,819명 | 3,282명 | 275명 | - |
| 노바야 우시차 | 6,371명 | 2,214명 | 1,836명 | 2,120명 | - |
| 스타라야 우시차 | 4,176명 | 1,584명 | 2,488명 | - | 57명 |
| 살니차 | 3,699명 | 899명 | 2,758명 | - | 19명 |
| 베르보베츠 | 2,311명 | 661명 | 1,282명 | - | 326명 |
참조
[1]
웹사이트
Demoscope Weekly – Annex. Statistical indicators reference
http://www.demoscope[...]
2023-03-19
[2]
서적
Kiev: A Portrait, 1800–1917
Princeton University Press
[3]
서적
Indo-European Language and Culture: An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www.demoscope[...]
2023-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