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타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타타르어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터키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전 세계적으로 700만 명 이상이 사용한다.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로 표기되었으며, 현재는 타타르스탄을 중심으로 키릴 문자가 주로 사용된다. 타타르어는 킵차크어군에 속하며, 중앙 방언, 서부 방언, 시베리아 방언으로 나뉜다. 명사, 대명사, 동사 등 문법 체계가 존재하며, 아랍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가 구성되었다. 온라인 학습 자료도 제공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타르어 - Һ
    Һ는 키릴 문자의 문자 중 하나로, 주로 /h/ 발음을 나타내며 튀르크어족, 몽골어족, 우랄어족, 인도유럽어족 언어 등에서 사용된다.
  • 타타르어 - Җ
    Җ는 둥간어, 칼미크어, 타타르어, 투르크멘어, 위구르어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이며, 유성 파찰음을 나타내고 다른 키릴 문자의 이중 자모 또는 변형된 문자에 해당한다.
  •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문화 - 사반투이
    사반투이는 튀르크 민족의 봄 파종기를 기념하는 전통 축제로, 타타르스탄의 국가 공휴일이며 전통 스포츠 경기와 민속 음악 공연 등이 함께 열린다.
  •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문화 -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국가
    타타르스탄 공화국의 국가는 타타르어와 러시아어 가사로 된 "알가, 타타르스탄!"이며, 공화국의 다민족성, 자유, 단결, 영원한 자유와 평화, 우정, 용기, 영광을 상징한다.
  • 핀란드의 언어 - 에스토니아어
    에스토니아어는 우랄어족 핀우그리아어파에 속하며 에스토니아의 공용어이자 유럽 연합의 공용어 중 하나로,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어휘와 통사론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고, 형태론적으로 교착어에서 굴절어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핀란드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타타르어
지도 정보
언어 정보
기타 정보
사용 국가


사용 지역북아시아
총 화자 수520만 명
언어 순위95위
공용 기관http://antat.ru/

2. 사용 국가

러시아 (타타르스탄 공화국)와 우크라이나, 터키, 중국, 폴란드,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핀란드, 조지아, 이스라엘, 카자흐스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루마니아, 미국, 우즈베키스탄 등 여러 국가에서 사용된다.[5]

러시아에는 530만 명의 타타르어 화자가 있으며, 이 중 450만 명이 타타르족이다. 그 외 바슈키르족, 러시아인, 추바슈족, 마리인, 우드무르트인, 모르도바인 등도 타타르어를 사용한다. 타타르스탄 공화국에서는 아제르바이잔인, 아르메니아인, 카자흐족, 유대인 그룹도 타타르어 방언을 사용한다.[5]

전 세계적으로는 700만 명 이상의 타타르어 화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5]

3. 문자

타타르어는 키릴 문자, 라틴 문자, 아랍 문자를 사용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타타르 공화국에서는 2002년 이후 키릴 문자를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 조치는 2004년에 러시아 헌법재판소와 타타르 공화국 최고법원에 의해 재확인되었다.[40][41] 중화인민공화국의 타타르인 사회에서는 아랍 문자로 표기하기도 한다.

카잔(Qazan)이라는 단어가 아랍 문자로 쓰여 있으며, 질란트(Zilant)를 닮았다.


카잔 지하철의 이중 언어 안내판


타타르어(위)와 러시아어로 된 지하철 표지판


타타르어의 공용 문자는 일부 추가 문자를 포함한 키릴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 비공식적으로는 라틴 문자와 아랍 문자를 포함한 다른 문자들도 사용된다. 타타르스탄의 모든 공식 자료는 웹사이트와 출판물에서 키릴 문자를 사용해야 한다.

3. 1. 문자의 역사

타타르어는 역사적으로 아랍 문자, 라틴 문자, 키릴 문자로 표기되어 왔다.

1928년 이전에는 주로 아랍 문자로 표기되었다. 1920년까지 사용된 문자는 İske imlâ/İske imlâ(구 자모), 1920년부터 1928년까지 사용된 문자는 Yaña imlâ/Yaña imlâ(신 자모)라고 불린다.[40][41] 19세기에는 러시아 기독교 선교사인 니콜라이 일민스키가 타타르어를 위한 최초의 키릴 문자를 고안했는데, 이 문자는 현재도 기독교 타타르인(크리셴)들이 사용하고 있다.

소비에트 연방 시기인 1928년부터는 야냔리프라고 불리는 라틴 문자로 타타르어를 표기했다. 그러나 1939년 타타르스탄과 소비에트 연방의 다른 모든 지역에서 키릴 문자가 채택되어 현재까지 타타르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고 있으며, 카자흐스탄에서도 사용된다.

타타르스탄 공화국은 1999년 법률을 통해 공식 타타르어 라틴 알파벳을 제정하여 2001년부터 시행했다. 하지만 2002년 러시아 연방법에 의해 무효화되었고, 이후 키릴 문자가 타타르스탄의 유일한 공식 문자가 되었다. 2004년 러시아 헌법재판소는 러시아 연방 공화국의 국가 언어에 키릴 문자 사용을 의무화하는 연방법[26]러시아 헌법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판결했다.[27] 이에 따라 2004년 12월 28일 타타르 대법원은 라틴 알파벳을 공식 알파벳으로 지정한 타타르스탄 법률을 무효화했다.[28]

2012년 타타르스탄 정부는 새로운 라틴 알파벳을 채택했지만, 주로 로마자 표기에 한정하여 사용하고 있다.[29]

  • 타타르 문자 변천사

시기문자비고
1928년 이전아랍 문자İske imlâ/İske imlâ(~1920년), Yaña imlâ/Yaña imlâ(1920년~1928년)
19세기키릴 문자니콜라이 일민스키 고안, 크리셴 사용
1928년~1939년라틴 문자 (야냔리프)소비에트 연방
1939년~현재키릴 문자타타르스탄, 카자흐스탄
1999년(2001년 시행)라틴 문자타타르스탄 공화국 제정, 2002년 러시아 연방법으로 무효화
2012년라틴 문자타타르스탄 정부 채택, 로마자 표기 한정


3. 2. 현대 알파벳

1939년에 키릴 문자가 채택된 이후 현재까지 타타르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고 있는 공식 알파벳은 다음과 같다.[28]

대문자소문자IPA
А аа
Ә әә
Б бб
В вв
Г гг
Д дд
Е ее
Ё ёё
Ж жж
Җ җҗ
З зз
И ии
Й йй
К кк
Л лл
М мм
Н нн
Ң ңң
О оо
Ө өө
П пп
Р рр
С сс
Т тт
У уу
Ү үү
Ф фф
Х хх
Һ һһ
Ц цц
Ч чч
Ш шш
Щ щщ
Ъ ъъ
Ы ыы
Ь ьь
Э ээ
Ю юю
Я яя


4. 음운

타타르어의 모음 음소 목록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가 있다. 타타르어는 총 9개 또는 10개의 고유 모음과 3개 또는 4개의 차용 모음(주로 러시아어 차용어에서 유래)을 가지고 있다.[20][21]

바스카코프(1988)는 타타르어 모음의 높낮이를 높음과 낮음 두 가지로 분류했다. 낮은 모음은 앞모음과 뒤모음 두 가지가 있으며, 높은 모음은 앞모음, 뒤모음, 둥근 모음(R+), 둥글지 않은 모음(R−), 일반 모음, 짧은(또는 축약된) 모음으로 여덟 가지가 있다.[20]

rowspan="2" colspan="2" |
R−R+R−R+
높음일반iüïu
짧음eöëo
낮음äa



Poppe(1963)는 세 번째 높이인 중간 높이를 포함하여 약간 다른 9개의 모음 체계를 제안했다.[20]

rowspan="2" |
R−R+R−R+
높음iüu
중간 높음eöïo
낮음äa



Makhmutova(1969)는 타타르어 모음을 높음, 중간, 낮음의 세 가지 높이와 앞, 앞중앙, 뒤중앙, 뒤의 네 가지 혀 위치로 분류했다.[20]

rowspan="3" |중앙
R−R+R−R+R−R+R−R+
높음iüïu
중간eöëo
낮음äa



중간 뒤 둥글지 않은 모음 '''ë'''는 일반적으로 ''ı''로 표기되지만, 해당 터키어 모음과는 다르다. 열 번째 모음 ''ï''는 이중모음 ''ëy''()로 발음되며, 어말에만 나타나지만 독립적인 음소라는 주장이 있다.[20][21]

음성적으로, 고유 모음은 다음과 같다(키릴 문자와 일반적인 라틴식 표기를 꺾쇠괄호 안에 표기).

R−R+R−R+
높음иү~ыйу
중간э,е~ө~ы~о
낮음ә~а



다음절 단어에서 앞뒤 구분은 축약된 모음에서 사라지며 모두 중앙 중간 모음이 된다.[20] 무성 위치의 중간 축약 모음은 '케셰' ''keşe'' > '사람' 또는 '크으쉬' ''qışı'' > '(그의) 겨울'과 같이 자주 생략된다.[21] 낮은 뒤 는 첫 음절과 뒤에서는 둥근 모음 이지만, 마지막 음절에서는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 '발라' ''bala'' '아이', '발랄라르가' ''balalarğa'' '아이들에게'와 같다.[21] 러시아어 차용어에는 고유 모음과 같은 방식으로 쓰이는 , , , 도 있다.[21]

4. 1. 자음

'''타타르어 자음'''[21]
colspan="2" |입술소리잇소리뒷잇몸소리센입천장소리여린입천장소리목젖소리목젖소리
콧소리м|므crh⟨m⟩н|느crh⟨n⟩ң|응crh⟨ñ⟩
안울림소리안울림소리п|프crh⟨p⟩т|트crh⟨t⟩к|크crh⟨k⟩къ|크crh⟨q⟩э/ь|으crh⟨ʼ⟩
울림소리б|브crh⟨b⟩д|드crh⟨d⟩г|그crh⟨g⟩
안울림소리안울림소리ц|츠crh⟨ts⟩ч|츠crh⟨ç⟩
울림소리җ|즈crh⟨c⟩
안울림소리안울림소리ф|프crh⟨f⟩с|스crh⟨s⟩ш|슈crh⟨ş⟩ч|시crh⟨ś⟩х|흐crh⟨x⟩һ|흐crh⟨h⟩
울림소리в|브crh⟨v⟩з|즈crh⟨z⟩ж|주crh⟨j⟩җ|지crh⟨ź⟩гъ|그crh⟨ğ⟩
떨림소리р|르crh⟨r⟩
흐름소리л|르crh⟨l⟩й|이crh⟨y⟩у/ү/в|우crh⟨w⟩



; 주석:

: в|브crh, ц|츠crh, ч|츠crh, ж|주crh, һ|흐crh, э/ь|으crh 음소는 외래어에서만 나타난다. ф|프crh는 외래어에서 더 많이 나타나지만, yafraq|야프라크crh '잎'[21]과 같이 타타르어 고유 단어에도 나타난다. в|브crh, ц|츠crh, ч|츠crh, ж|주crh는 일부 타타르인들이 각각 у/ү/в|우crh, с|스crh, ч|시crh, җ|지crh와 같이 소리내기도 한다.

: җ|즈crh 와 ч|츠crh는 '''җ'''⟨'''c'''⟩와 '''ч'''⟨'''ç'''⟩의 서부(미샤르) 방언 발음이며, 문어 표준어와 중앙(카잔) 방언에는 җ|지crh가 쓰인다. ц|츠crh는 동부(시베리아) 방언과 일부 서부(미샤르) 방언에서 '''ч'''⟨'''ç'''⟩가 변한 소리이다. ч|츠crh와 ц|츠crh는 러시아어 차용어에도 사용된다(후자는 '''ц'''로 표기됨).

: къ|크crh와 гъ|그crh는 일반적으로 뒷모음 환경에서 к|크crh와 г|그crh의 변이음으로 여겨져, 타타르어 고유어를 키릴 문자로 표기할 때는 쓰이지 않으며, 외래어에서도 '''къ'''와 '''гъ'''로 드물게 사용된다. 그러나 къ|크crh와 гъ|그crh는 페르시아-아랍어 차용어에서 앞모음 æ|애crh 앞에도 나타나는데, 이는 이들 여린입천장 자음이 독립적인 소리임을 나타낼 수 있다.

타타르어 자음은 앞모음 앞에서 약하게 여린입천장소리화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소리로서 독립적인 지위를 가지지는 않는다. 이는 여린입천장소리화된 자음이 독자적인 소리인 러시아어와는 다르다. 러시아어에는 여린입천장소리화된 자음을 가진 러시아어 차용어가 여러 개 있으며, 타타르어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쓰인다(주로 "연음 표기" '''ь'''를 사용). 타타르어 표준 발음은 이러한 차용어에서도 여린입천장소리화를 하지만, 일부 타타르어 사용자는 여린입천장소리화되지 않은 발음을 사용할 수 있다.

4. 2. 모음

타타르어 모음의 형태소 F1과 F2 (그림에서 "F1"과 "F2" 레이블은 잘못 표기됨)


타타르어 모음 음소 목록에 대한 해석은 여러 가지가 있다. 타타르어는 총 9개 또는 10개의 고유 모음과 3개 또는 4개의 차용 모음(주로 러시아어 차용어에서 유래)을 가지고 있다.[20][21]

바스카코프(1988)는 타타르어의 모음 높낮이를 높음과 낮음 두 가지로 분류했다. 낮은 모음은 앞모음과 뒤모음 두 가지가 있으며, 높은 모음은 앞모음, 뒤모음, 둥근 모음(R+), 둥글지 않은 모음(R−), 일반 모음, 짧은(또는 축약된) 모음으로 여덟 가지가 있다.[20]

rowspan="2" colspan="2" |
R−R+R−R+
높음일반iüïu
짧음eöëo
낮음äa



Poppe(1963)는 세 번째 높이인 중간 높이를 포함하여 약간 다른 9개의 모음 체계를 제안했다.[20]

rowspan="2" |
R−R+R−R+
높음iüu
중간 높음eöïo
낮음äa



Makhmutova(1969)는 타타르어 모음을 높음, 중간, 낮음의 세 가지 높이와 앞, 앞중앙, 뒤중앙, 뒤의 네 가지 혀 위치로 분류했다.[20]

rowspan="3" |중앙
R−R+R−R+R−R+R−R+
높음iüïu
중간eöëo
낮음äa



중간 뒤 둥글지 않은 모음 '''ë'''는 일반적으로 ''ı''로 표기되지만, 해당 터키어 모음과는 다르다. 열 번째 모음 ''ï''는 이중모음 ''ëy''로 발음되며, 어말에만 나타나지만 독립적인 음소라는 주장이 있다.[20][21]

음성적으로, 고유 모음은 다음과 같다(키릴 문자와 일반적인 라틴식 표기를 꺾쇠괄호 안에 표기).

R−R+R−R+
높음иiүüыйıyуu
중간э,еeөöыıоo
낮음әäаa



다음절 단어에서 앞뒤 구분은 축약된 모음에서 사라지며 모두 중앙 중간 모음이 된다.[20] 무성 위치의 중간 축약 모음은 '케셰' ''keşe'' (사람) 또는 '크으쉬' ''qışı'' ((그의) 겨울)와 같이 자주 생략된다.[21] 낮은 뒤 모음은 첫 음절과 뒤에서는 둥근 모음이지만, 마지막 음절에서는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 '발라' ''bala'' (아이), '발랄라르가' ''balalarğa'' (아이들에게)와 같다.[21] 러시아어 차용어에는 고유 모음과 같은 방식으로 쓰이는 , , , 도 있다.[21]

역사적으로, 옛 튀르크어의 중모음은 고모음으로 상승하였고, 옛 튀르크어의 고모음은 타타르어의 약화된 중모음이 되었다. (같은 변화는 바시키르어에서도 일어났다.)[22]

모음옛 튀르크어카자흐어타타르어바시키르어의미
*e*etetitit'고기'
*sözsözsüzhüź'말'
*o*solsolsulhul'왼쪽'
*i*ititetet'개'
*qïzqızqëzqëź'소녀'
*u*qumqumqomqom'모래'
*külkülkölköl'재'



타타르어의 모음 음소
rowspan="2" |후설모음전설모음
비원순모음원순모음비원순모음원순모음
좁음/u//i//ʉ/
중간/ɤ/, /ɤ̆//o/, /ŏ//e/, /ĕ//ɵ/, /ɵ̆/
넓음/a//æ/


4. 3. 음절 구조

타타르어 고유어에는 여섯 가지 유형의 음절이 있다. ('''C'''는 자음, '''V'''는 모음, '''S'''는 유성음)

  • V ('''ı'''-lıs, '''u'''-ra, '''ö'''-rä)
  • VC ('''at'''-law, '''el'''-geç, '''ir'''-kä)
  • CV ('''qa'''-la, '''ki'''-ä, '''su'''-la)
  • CVC ('''bar'''-sa, '''sız'''-law, '''köç'''-le, '''qoş'''-çıq)
  • VSC ('''ant'''-lar, '''äyt'''-te, '''ilt'''-kän)
  • CVSC ('''tört'''-te, '''qart'''-lar, '''qayt'''-qan)


외래어는 CSV ('''gra'''-mota), CSVC (käs-'''trül''') 등 다른 유형을 허용한다.[21]

4. 4. 운율

일반적으로 강세는 마지막 음절에 놓인다. 그러나 일부 접미사는 강세를 받을 수 없으므로, 강세는 그 접미사 바로 앞 음절로 이동한다. 강세 음절이 끝에서 세 번째 또는 네 번째 음절이더라도 마찬가지이다. 많은 타타르어 단어와 문법 형태는 첫 음절에 자연스러운 강세를 갖는다. 주로 러시아어에서 차용된 외래어는 일반적으로 원래의 강세를 유지한다(원래 강세가 마지막 음절에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 경우 타타르어에서 강세는 일반적으로 접미사로 이동한다. 예: ''sovét'' > ''sovetlár'' > ''sovetlarğá'').

4. 5. 음운 변화

타타르어 음운론은 정서법에 반영되지 않는 많은 발음 변화를 규정한다.

  • 둥근 모음이 아닌 ''ı''와 ''e''는 ''o'' 또는 ''ö'' 뒤에서 둥근 모음이 된다.[21]
  • 코르이/''qorı'' > [qoro]
  • 보른/''borın'' > [boron]
  • 쾨즈게/''közge'' > [közgö]
  • 소르이/''sorı'' > [soro]
  • 비음은 동화되어 다음의 파열음과 같아진다.[21]
  • 운베르/''unber'' > [umber]
  • 멩게치/''mengeç'' > [meñgeç]
  • 파열음은 동화되어 앞선 비음과 같아진다 (이는 문자로 반영됨).[21]
  • 우르만나르/''urmannar'' ( < ''urman'' + ''lar'')
  • 콤나르/''komnar'' ( < ''kom'' + ''lar'')
  • 유성음 또한 동화될 수 있다.[21]
  • 퀴즈세즈/''küzsez'' > [küssez]
  • 무성모음은 탈락되거나 축약될 수 있다.[21]
  • 우르으니/''urını''> [urnı]
  • 킬레네/''kilene'' > [kilne]
  • 모음은 생략될 수도 있다.[21]
  • 카라 우르만/''qara urman'' > [qarurman]
  • 킬래 이데/''kilä ide'' > [kiläyde]
  • 투르이 우람/''turı uram'' > [tururam]
  • 불라 알므이임/''bula almıym'' > [bulalmıym]
  • 자음군이 두 개의 음소보다 길 경우, 모음 조화에 따라 결정되는 '''ı''' 또는 '''e'''가 음성으로 삽입 모음으로 삽입된다.[21]
  • 방크/''bank'' > [bañqı]
  • 최종 자음군은 단순화된다.[21]
  • 아르티스트/''artist'' > [artis]
  • 종착 무성화 또한 빈번하다.[21]
  • 타빕/''tabib'' > [tabip]

5. 문법

타타르어는 다른 투르크어족 언어들과 마찬가지로 교착어이다.[23] 모음조화 현상이 나타나며, 어휘에는 아랍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에서 차용한 차용어가 많다.

5. 1. 명사

타타르어 명사는 격과 수에 따라 어미가 변화한다. 격 어미는 명사의 어말 자음에 따라 달라지며, 어미가 ㅍ/ㅋ로 끝나는 명사는 소유격 어미가 붙을 때 ㅂ/ㄱ으로 된소리된다(키타'''ㅂ'''ым). 아래 접미사는 후설 모음이며, 전설 모음 변형은 #음운론 단원에서 볼 수 있다.

타타르어 명사의 격변화
유성 자음 뒤비음 뒤무성 자음 뒤특수 어미
주격 (баш килеш|bash kileshtt)
목적격 (төшем килеше|töshem kileshett)-ны -nı-n
소유격 (иялек килеше|iyalek kileshett)-ның -nıñ
여격 (юнәлеш килеше|yünəleş kileshett)-га -ğa-ка -qa-а, -на -a, -na
위치격 (урын-вакыт килеше|urın-waqıt kileshett)-да -da-та -ta-нда -nda
탈격 (чыгыш килеше|çığış kileshett)-дан -dan-нан -nan-тан -tan-ннан -nnan
복수
주격-лар -lar-нар -nar-лар -lar
목적격-ларны -larnı-нарны -narnı-ларны -larnı
소유격-ларның -larnıñ-нарның -narnıñ-ларның -larnıñ
여격-ларга -larğa-нарга -narğa-ларга -larğa
위치격-ларда -larda-нарда -narda-ларда -larda
탈격-лардан -lardan-нардан -nardan-лардан -lardan



타타르어 명사의 인칭 변화
인칭자음 뒤모음 뒤
1인칭 단수-ым -ım-m
2인칭 단수-ың -ıñ
3인칭-сы -sı
1인칭 복수-ыбыз -ıbız-быз -bız
2인칭 복수-ыгыз -ığız-гыз -ğız



소유격 어미의 활용은 더욱 불규칙적이며, 1인칭 단수와 2인칭 단수 어미에는 여격 어미 -а가 사용되고, 3인칭 소유격 어미 뒤에는 목적격, 여격, 위치격, 탈격 어미 -н, -на, -нда, -ннан이 사용된다. -и, -у 또는 -ү로 끝나는 명사는 음운론적으로 모음이지만 자음 어미를 취한다.[24]

5. 2. 대명사

타타르어의 인칭 대명사와 지시 대명사는 격변화에서 불규칙적인 경향을 보인다. 아래 표에서 불규칙 형태는 '''굵게''' 표시되어 있다.

인칭 대명사
단수복수
너(단수), 당신그, 그녀, 그것우리너희(복수)그들
주격мин (min)син (sin)ул (ul)без (bez)сез (sez)алар (alar)
목적격мине (mine)сине (sine)аны (anı)безне (bezne)сезне (sezne)аларны (alarnı)
소유격минем (minem)синең (sineñ)аның (anıñ)безнең (bezneñ)сезнең (sezneñ)аларның (alarnıñ)
여격миңа (miña)сиңа (siña)аңа (aña)безгә (bezgä)сезгә (sezgä)аларга (alarğa)
처소격миндә (mindä)синдә (sindä)анда (anda)бездә (bezdä)сездә (sezdä)аларда (alarda)
출처격миннән (minnän)синнән (sinnän)аннан (annan)бездән (bezdän)сездән (sezdän)алардан (alardan)



지시 대명사
단수복수
이것저것이것들저것들
주격бу (bu)шул (şul)болар (bolar)шулар (şular)
목적격моны (monı)шуны (şunı)боларны (bolarnı)шуларны (şularnı)
소유격моның (monıñ)шуның (şunıñ)боларның (bolarnıñ)шуларның (şularnıñ)
여격моңа (moña)шуңа (şuña)боларга (bolarğa)шуларга (şularğa)
처소격монда (monda)шунда (şunda)боларда (bolarda)шуларда (şularda)
출처격моннан (monnan)шуннан (şunnan)болардан (bolardan)шулардан (şulardan)



의문 대명사
누구?무엇?
주격кем (kem)нәрсә (närsä)
목적격кемне (kemne)нәрсәне (närsäne)
소유격кемнең (kemneñ)нәрсәнең (närsäneñ)
여격кемгә (kemgä)нәрсәгә (närsägä)
처소격кемдә (kemdä)нәрсәдә (närsädä)
출처격кемнән (kemnän)нәрсәдән (närsädän)


5. 3. 동사

타타르어의 동사는 시제, 상, 법 등에 따라 다양한 어미 변화를 보인다.

타타르어 동사 시제 어미
시제유성 자음 뒤무성 자음 뒤모음 뒤
현재 시제-a-ый -ıy
과거 시제 (명확)-ды -dı-ты -tı-ды -dı
과거 시제 (불명확)-ган -ğan-кан -qan-ган -ğan
미래 시제 (명확)-ачак -açaq-ячак -yaçaq
미래 시제 (불명확)-ар/ыр -ar/-ır-r
조건절-са -sa
비한정 시제
현재 분사-учы -uçı
과거 분사-ган -ğan-кан -qan-ган -ğan
미래 분사-асы -ası-ыйсы -ıysı
미래 분사 (명확)-ачак -açaq
미래 분사 (불명확)-ар/ыр -ar/-ır-r
동명사-ып -ıp-п -p
동작 전 접속사-ганчы -ğançı-канчы -qançı-ганчы -ğançı
동작 후 접속사-гач -ğaç-кач -qaç-гач -ğaç
동사 명사
부정사-мак -maq
-арга/-ырга -arğa/ırğa-рга -rğa



현재 시제 접미사는 자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에는 모음 조화에 따라 '-а'가,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 어간에는 '-ый'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эшләү'(일하다) 동사는 현재 시제에서 'эшл'''и'''(그/그녀가 일한다)가 된다. 불명확 미래 시제는 자음으로 끝나는 어간에서 '-арга/-ырга' 부정사 형태로 판단할 수 있지만, 일부 동사는 동사 명사(-у) 형태를 가지므로 예측하기 어렵다.

시제를 부정할 때는 '-ма'를 사용하지만, 불명확 미래 시제와 동명사에서는 각각 '-мас'와 '-мыйча'가 된다. 모음으로 끝나는 어간과 함께 현재 시제를 부정할 때는 '-мый'가 사용된다. 의문문을 만들 때는 '-мы' 접미사를 사용한다.

타타르어 인칭 어미
유형1인칭 단수2인칭 단수3인칭 단수1인칭 복수2인칭 복수3인칭 복수
I-мын/-м -mın/-m-сың -sıñ-∅-быз -bız-сыз -sız-лар/-нар -lar/-nar
II-m-∅-q, -k-гыз -ğız-лар/-нар -lar/-nar
명령형-ыйм -ıym-∅-сын -sın-ыйк -ıyq-(ы)гыз -ığız-сыннар -sınnar



과거 시제(명확)와 조건절은 유형 II 인칭 어미를 사용한다. 현재 시제의 경우 짧은 어미(-м)를 사용한다. 모음 뒤에는 1인칭 명령형이 마지막 모음을 삭제하며, 현재 시제와 유사하다(예: эшләү – эшл'''им'''). 명사의 복수와 마찬가지로 접미사 -лар는 앞의 자음에 따라 변한다(-алар, -ганнар).

일부 동사는 어미에 중간 모음이 있는 불규칙 어간을 가지지만, 원형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예를 들어 'уку'(읽다) 동사는 'ук'''ы''', 'ук'''ый'''와 같이 활용된다. '짓다'(кору), '부인하다'(тану), '쏟다'(ташу) 동사는 어미 모음이 있는 대응 동사('말리다', '알다', '나르다')와 의미가 대조적이다.

'말하다'를 뜻하는 диюtt 동사는 다른 동사보다 불규칙적이다. 2인칭 단수 명령형은 'диген'이지만, 예상되는 규칙적인 형태는 현재 시제 형태(дим, диң, ди…)로 사용된다.[24]

6. 방언

타타르어는 크게 세 가지 주요 방언으로 나뉜다.



압둘하이 아하토프(Gabdulkhay Akhatov)는 현대 타타르 방언학의 창시자로 여겨지며, 타타르어와 그 방언 연구에 많은 기여를 했다. 중앙 방언은 카잔과 타타르스탄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며 표준 문어 타타르어의 기초가 된다. 중앙 타타르어에는 나가이바크 방언이 포함된다.

시베리아 타타르어는 다른 방언들과 상당히 다르며, 일부 학자들은 타타르어의 세 번째 방언으로 간주하지만, 다른 학자들은 독립적인 언어로 간주하기도 한다. 크림 타타르어는 같은 킵차크어파에 속하지만, 계통이 다른 별개의 언어이다.

7. 어휘

타타르어의 조상은 멸종된 볼가르어와 킵차크어군이다. 문어형 타타르어는 중세 타타르 방언과 고대 타타르어(''İske Tatar Tele'')를 기반으로 한다. 둘 다 킵차크어군의 볼가-우랄 아군에 속하지만, 고대 볼가 볼가르어에서 부분적으로 유래하기도 한다.

볼가 강 지역의 대부분의 우랄어족 언어는 타타르어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30] 아랍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도 마찬가지이다.[31]

형태론적으로는 교착어이며 모음조화를 가진다. 어휘에는 아랍어, 페르시아어, 러시아어에서 차용한 차용어가 많다.

8. 상용 타타르어


  • әе(äye)(애예) - 네
  • юқ(yuq)(육) - 아니요
  • исәнмэ(сэз){isänme(sez)}/савмы(сыз){sawmı(sız)}{이샌메(세즈)/사우미(시즈)} - 안녕하세요
  • сәлам(sälâm) - 안녕?
  • сав бул(ыгыз){saw bul(ığız)}/хуш ыгыш(ыгыз){xuş(ığız)}{사우불(이기즈)/후시(이기즈)} - 안녕히 가세요
  • зинһар өчэн(zínhar öçen)(진하르외첸) - 제발요
  • мин(min)(민) - 나
  • син(sin)(센) - 너, 당신
  • ул(ul)(울) - 그 / 그녀 / 그것
  • бэз(bez)(베즈) - 우리
  • сэз(sez)(세즈) - 당신
  • алар(alar)(알라르) - 그들
  • милләт(millät)(밀랫) - 국가, 나라
  • Инглиз(чә){İngliz(çä)}{잉글리즈(채)} - 영어


9. 타타르어 학습 자료 (온라인)

독일에 거주하는 타타르족 건축가 아유굴 아흐메트찬(Aygul Ahmetcan, Aygöl Əxmətcan)은 언어학과 학생인 파트너 불라트 샤이미(Bulat Shaymi, Bulat Şəymi)의 도움을 받아 영어로 타타르어를 가르치는 텔레그램 채널 "Learn Tatar"를 만들었다.[32] 2023년 8월에 개설된 이 채널은 몇 달 만에 수천 명의 시청자를 확보했다.[33] 샤이미는 타타르 관련 콘텐츠를 다루는 유튜브 채널도 운영하고 있다.[34]

그 이후로 "learntatar.com"이라는 웹사이트도 개설되었다.[35]

"해바라기"라는 뜻의 "Aybagar" 웹사이트는 "전 세계 타타르 디아스포라에 중점을 두고 타타르족, 타타르어, 타타르 문화에 대한 과학 논문과 독창적인 자료를 발행한다".[36] 타타르어 발음은 Forvo[37]와 "Corpus of Written Tatar"에서 찾아볼 수 있다.[38]

"Modern Tatar Identity"는 "타타르어 및 타타르어 연구에 삶의 일부를 바친 사람들과의 대화"를 담은 팟캐스트이다.[39]

참조

[1] 웹사이트 少数民族的语言文字有哪些? http://fujian.gov.cn[...] 2022-09-13
[2] 웹사이트 ACT of 6 January 2005 on national and ethnic minorities and on the regional languages http://ksng.gugik.go[...]
[3] 웹사이트 Tatar in Russian Federation {{!}} UNESCO WAL https://en.wal.unesc[...]
[4] 사전 Tatar Merriam-Webster
[5] 보고서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населением http://www.gks.ru/fr[...] Russian Census 2010
[6] 보고서 Владение языками населением наиболее многочисленных национальностей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www.gks.ru/fr[...] Russian Census 2010
[7] 서적 Atlas of the world's languages in danger of disappearing Unesco Pub.
[8] 뉴스 Без языка: Казань отказалась от обязательных уроков татарского http://www.bbc.com/r[...] BBC Russia 2017-12-01
[9] 뉴스 Татарский язык становится "ящиком Пандоры" https://www.business[...] БИЗНЕС Online 2017-09-22
[10] 뉴스 Исмагил Хуснутдинов: "Под лозунгом добровольности татарский язык пытаются изгнать из школ" https://www.business[...] БИЗНЕС Online 2017-11-12
[11] 서적 Jazyki Rossijskoi Federatsii i sosednih gosudarstv Nauka
[12] 백과사전 Tatar Indrik
[13] 서적 Mishäärit – Suomen vanha islamilainen yhteisö Kirja-Leitzinger
[14] 웹사이트 Information about Siberian Tatar http://www.helsinki.[...]
[15] 서적 Тюркские языки Издательство восточной литературы 1960
[16] 서적 Русские заимствования в тоболо-иртышском диалекте сибирских татар Казан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17] 서적 Тюменский говор в системе диалектов сибирских татар: фонетико-морфологическая характеристика Казан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18] 학회발표 Сибирско-татарские диалекты и говоры татарского языка http://atlas.antat.r[...] Казанский федераль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19] 서적 Западносибирские татары во второй половине XIX – начале XX в. (Историко-этнографические очерки) Татарское книжное изд-во
[20] 서적 Current Trends in Caucasian, East European and Inner Asian Linguistics John Benjamins
[21] 서적 The Turkic languages Routledge
[22] 서적 The Turkic languages Routledge
[23] 웹사이트 Грамматика татарского языка http://www.tatar.com[...]
[24] 서적 Tatar Grammar: А Grammar of the Contemporary Tatar Literary Language https://ibt.org.ru/s[...] Institute for Bible Translation
[25] 서적 Татар грамматикасы http://antat.ru/ru/i[...] Казан: ТӘһСИ
[26] 서적 Language Poli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Russia court sticks to letter law http://news.bbc.co.u[...] 2004-11-16
[28] 웹사이트 The Tatar language will continue to be written through the Cyrillic alphabet http://www.usefounda[...] 2005-02
[29] 웹사이트 Law of the Republic of Tatarstan "On the use of the Tatar language as the state language of the Republic of Tatarstan" with an appendix (correspondence table) https://cdnstatic.rg[...]
[30] 웹사이트 Tatar language – Princeton University http://www.princeton[...]
[31] 웹사이트 Татарский язык в Интернете: информация о методах и средствах обучения http://www.languages[...]
[32] 웹사이트 Булат Шаймиев: "Они пронесли эти знания сквозь века – неужели на мне все это и закончится?" https://realnoevremy[...] 2021
[33] 뉴스 "Learn Tatar" каналы авторы: "Татар телен төрле милләтләргә танытасым килә" https://www.azatliq.[...] 2024-02
[34] 웹사이트 Bulat Shaymi https://www.youtube.[...]
[35] 웹사이트 Get to know the Tatar language and culture https://www.learntat[...]
[36] 웹사이트 About – Aybagar https://aybagar.eu/a[...]
[37] 웹사이트 Tatar pronunciation dictionary https://forvo.com/la[...]
[38] 웹사이트 Corpus of Written Tatar https://sintez.corpu[...]
[39] 웹사이트 Modern Tatar Identity https://open.spotify[...]
[40] 웹인용 Russia court sticks to letter law http://news.bbc.co.u[...] 2012-02-20
[41] 웹인용 The Tatar language will continue to be written through the Cyrillic alphabet http://www.usefounda[...] 2012-02-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