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트비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트비아어는 인도유럽어족 발트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라트비아의 공용어이자 리투아니아어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16세기부터 문헌이 존재하며, 역사적으로 독일어, 러시아어 등의 영향을 받았다. 라트비아어는 리보니아 방언, 고지 라트비아어, 중앙 방언으로 나뉘며, 고정된 첫 음절 강세를 갖는다.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음소와 음운의 일대일 대응 관계가 비교적 잘 이루어져 있다. 문법은 굴절어의 특징을 가지며, 명사, 형용사, 동사의 활용이 발달했다. 최근에는 영어의 영향과 러시아어와의 관계, 그리고 신조어 생성과 같은 과제를 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트비아어 - 라트비아어 문자
    라트비아어 문자는 로마자를 기반으로 33개의 문자를 사용하여 라트비아어의 고유한 소리를 표기하며, 장음 부호, 가체크, 세디유 등의 발음 구별 기호가 사용된다.
  • 라트비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라트비아의 언어 - 리보니아어
    리보니아어는 발트해 연안의 리보니아인들이 사용했던 핀우그리아어족에 속하는 멸종된 언어로, 역사적 요인으로 쇠퇴하여 마지막 원어민 화자 사망 후 멸종되었으나, 현재 라트비아 대학교 리보니아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부활을 위한 연구와 교육이 진행 중이다.
  • 라트비아의 상징 - 라트비아의 국기
    라트비아 국기는 가로로 배열된 빨간색-흰색-빨간색 삼색기로, 빨간색 줄무늬는 흰색 줄무늬의 두 배 너비이며, 중세 기록에 기원을 두고 1921년 공식 국기로 채택, 소련 점령기 사용 금지 후 1990년 다시 국기로 지정되어 라트비아 독립을 상징한다.
  • 라트비아의 상징 - 알락할미새
    알락할미새는 할미새과에 속하며 유라시아 전역에 분포하고 16.5~21cm의 몸길이와 흔들리는 꼬리를 가진 새로, 곤충을 주식으로 하며 일부 지역에서 개체수 감소 추세가 나타나기도 한다.
라트비아어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라트비아어
고유어latviešu valoda
다른 이름레티시어
발음/ˌlatviɛʃu ˈvaluɔda/
사용 국가라트비아
사용 지역발트 지역
민족라트비아인
사용자 수150만 명
사용 시기2023년
언어 계통
어족인도유럽어족
어파발트어파
어군동발트어군
문자 체계
문자라틴 문자 (라트비아 문자)
점자라트비아 점자
공용어 정보
국가라트비아
유럽 연합
방언 정보
방언 1중앙 방언
방언 2고지 라트비아어
언어 코드
ISO 639-1lv
ISO 639-2lav
ISO 639-3lav
Glottologlatv1249
언어 계통 (세부)
조상 언어인도유럽조어
중간 조상 언어발트조어
하위 언어
표준어표준 라트비아어
방언라트갈어
국가 언어 센터
담당 기관Valsts valodas centrs

2. 역사

리투아니아어와 비교적 가까운 관계에 있지만, 상호 의사소통은 거의 불가능하며, 문법적 특징과 어휘가 다른 언어보다 유사한 정도이다. 역사적으로 독일어, 리보니아어, 에스토니아어, 스웨덴어, 러시아어 등의 영향을 받았다. 라트비아어는 16세기까지 라트갈리아어의 한 갈래로 존재하다가, 후에 쿠로니아어, 세미갈리아어, 그리고 세로니아어(현재는 사멸)와 통합되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라트비아어로 쓰인 가장 오래된 문헌은 리가에 있던 독일인 목사 니콜라우스 람(Nicolaus Ramm)이 번역한 찬송가로, 1530년에 기록되었다. 1940년 이후 소련 점령 시대에 많은 외국인(대부분 러시아인)들이 라트비아어를 전혀 모른 채 이주해 왔지만, 라트비아어는 여전히 공용어로 남아 있었다. 1991년 독립을 선언한 이후, 에스토니아와 마찬가지로 자국어를 보호하는 법률을 제정하였다. 소련 시대에 라트비아어는 이 지역의 주요 언어였으며, 탄압은 없었고, 오히려 많은 라트비아어 영화가 제작되고 라트비아어 서적이 출판되었다.

라트비아어 문화유산으로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수천 개의 시로 이루어진 구전 문화유산인 ‘다이나(Dainas)’가 있다.

최초의 라트비아어 사전인 『Lettus』는 게오르그 먼첼리우스(Georg Mancelius)가 1638년에 출판했다.[41]

최초의 라트비아어 문법서는 요하네스 게오르그 레헤후젠스(Johans Georgs Rehehūzens)가 저술한 짧은 「라트비아어 교재」(라틴어: Manuductio ad linguam lettonicam)로, 1644년 리가에서 출판되었다.[42]

영어의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해 라트비아 정부기관(특히 라트비아 과학 아카데미 용어위원회와 국가언어센터)은 라트비아어 용어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새로운 용어는 라트비아어 파생어, 역어 또는 새로운 외래어이다. 예를 들어, 라트비아어에는 "전화"를 뜻하는 두 단어 tālrunislv와 telefonslv가 있는데, 전자는 후자의 국제 용어를 라트비아어로 직역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 것들은 라트비아어 단어라기보다는 오래되거나 더욱 음운적으로 적합한 외래어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datorslv 또는 kompjūterslv가 될 수 있다. 둘 다 외래어이며, "컴퓨터"를 뜻하는 라트비아어 고유어는 skaitļotājslv이고 이 또한 공식 용어이다. 그러나 현재 datorslv가 적절한 번역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skaitļotājslv도 사용된다.

2009년 라트비아어청의 조사에 따르면, 모어가 러시아어인 응답자 중 56%가 라트비아어를 잘 한다고 답했으며, 젊은 세대(17~25세)의 경우 그 수치는 64%였다.[34]

소수 민족들 사이에서 라트비아어 사용이 증가한 것은 라트비아어가 국가의 유일한 공용어로 지정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 사회 전반에 걸쳐 언어적 초점이 이동하는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2. 1. 기원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유러피안에서 파생한 라트비아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 중 하나이며 리투아니아어와 그 뿌리를 같이 한다. 라트비아어와 리투아니아어는 유럽 언어를 분류하는 기준이다.

약 1200년경 발트족의 분포(경계는 대략적임).


일부 언어연대학적 추측에 따르면, 동발트어군은 서발트어군(혹은 가설적인 원발트어)으로부터 400년에서 600년 사이에 분리되었다.[15] 리투아니아어와 라트비아어의 차별화는 800년 이후에 시작되었다. 최소한 14세기 또는 15세기까지, 어쩌면 17세기 후반까지도 전이적인 방언들이 존재했다.[16]

라트비아어는 고대 라트갈리아인들이 사용하던 언어가 다른 이웃 발트족 부족들(쿠르슈어, 세미갈리아어, 셀로니아어)의 언어를 동화하면서 수 세기에 걸쳐 독립적인 언어로 발전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들 언어는 점차 가장 독특한 특징들을 잃어갔다. 이러한 통합 과정은 13세기 리보니아 원정과 강제 기독교화 이후 시작되었는데, 이는 중세 리보니아에 통합된 정치적, 경제적, 종교적 공간을 형성했다.[17]

2. 2. 16-18세기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유럽어족에서 파생된 라트비아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 중 하나이며 리투아니아어와 그 뿌리를 같이 한다. 라트비아어와 리투아니아어는 유럽 언어를 분류하는 기준이다. 라트비아의 첫 번째 활자물은 1525년에 출판되었고, 가장 오래된 책은 1585년에 발간된 가톨릭 교리서이다. 1638년 첫 번째 사전이 편찬되었고 1644년 첫 번째 문법책이 인쇄되었다.

게오르그스 엘거스(Georgs Elgers)가 저술한 폴란드어-라틴어-라트비아어 사전, 1683년 빌뉴스(Vilnius), 리투아니아 대공국에서 출판됨


가장 오래된 라트비아어 필사본은 1530년 리가(Riga)의 독일 목사 니콜라우스 람(Nikolaus Ramm, 니콜라이스 람스(Nikolajs Ramms))이 번역한 찬송가이다.[18] 가장 오래된 라트비아어 책은 현재 웁살라 대학교 도서관(Uppsala University Library)에 소장되어 있는 페트루스 카니시우스(Petrus Canisius)의 1585년 가톨릭 교리서이다.[19]

최초로 라트비아어로 성경을 번역한 사람은 독일 루터교(Lutheranism) 목사 요한 에른스트 글뤼크(Johann Ernst Glück)였다.[20] (신약은 1685년, 구약은 1691년에 번역되었다.) 루터교 목사 고트하르트 프리드리히 슈텐더(Gotthard Friedrich Stender)는 라트비아 세속 문학의 창시자였다. 그는 최초의 그림이 있는 라트비아어 그림책(1787년), 최초의 백과사전 "세계와 자연의 지고한 지혜의 책"(Augstas gudrības grāmata no pasaules un dabas, 1774년), 문법책, 그리고 라트비아어-독일어 및 독일어-라트비아어 사전을 저술했다.

2. 3. 19세기: 라트비아 민족 각성

19세기까지 라트비아어 문어는 독일 루터교 목사들과 독일어의 영향을 받았는데, 이는 발트 독일인들이 현지 사회의 상류층을 형성했기 때문이다.[10] 19세기 중반에는 "젊은 라트비아인"들이 주도하는 제1차 라트비아 민족 각성이 시작되어 라트비아어 사용이 대중화되었다. 이 운동 참여자들은 표준 라트비아어의 기초를 마련하고 외래어의 라트비아어화를 대중화하기도 했다. 그러나 1880년대 차르 알렉산드르 3세가 집권하면서 러시아화가 시작되었다.

1897년 러시아 제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21]쿠를란트 주에는 라트비아어 사용자가 505,994명(75.1%)이었고, [22]리보니아 주에는 563,829명(43.4%)이었다. 이로써 라트비아어 사용자는 각 주에서 가장 큰 언어 집단이 되었다.

2. 4. 20세기: 독립과 소련 점령

19세기 말 알렉산더 3세 사후, 라트비아 민족주의 운동이 재등장했다. 1908년, 라트비아 언어학자 카를리스 밀렌바흐스(Kārlis Mīlenbahs)와 야니스 엔젤린스(Jānis Endzelīns)는 현대 라트비아 알파벳을 정립했고, 이는 서서히 이전에 사용되던 구식 표기를 대체했다. 당시 발전된 언어의 또 다른 특징은, 자매 언어인 리투아니아어와 마찬가지로, 다른 국가와 언어의 고유명사가 라트비아어의 음운 체계에 맞춰 음운적으로 변형된다는 점이다. 원래 언어가 라틴 알파벳을 사용하더라도 마찬가지다. 뿐만 아니라, 명사의 격변화 어미가 붙어 다른 모든 명사처럼 격변화되도록 명사를 수정한다. 예를 들어, Lecropt(스코틀랜드 교구)와 같은 장소는 Lekropta가 되고, 스코틀랜드 마을 Tillicoultry는 Tilikutrija가 된다.

소련 점령 이후, 러시아화 정책은 라트비아어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37~1938년 NKVD 라트비아 작전 당시 최소 16,573명의 라트비아계 주민과 라트비아 국민이 처형되었고, 러시아의 라트비아인들 사이에서 라트비아어 사용은 이미 줄어들었다.[7][8] 1941년 6월 강제 이주와 1949년 프리보이 작전에서 수만 명의 라트비아인과 다른 민족들이 라트비아에서 강제 이주당했다. 주로 스탈린의 식민지화를 통한 라트비아와 다른 발트 국가들을 소련에 통합하려는 계획의 결과로, 러시아 SFSR, 우크라이나 SSR, 벨라루스 SSR 및 기타 소련 공화국으로부터 대규모 이민이 이어졌다. 그 결과, 1935년 80%였던 전체 인구 중 라트비아인 비율은 1989년 52%로 감소했다. 소련 시대 라트비아에서 정착한 이민자 대부분은 라트비아어를 배우지 않았다.

2. 5. 21세기: 독립 회복과 언어 정책

1991년 라트비아 독립 회복 이후, 새로운 언어 교육 정책이 도입되었다. 주요 목표는 라트비아의 소수 민족 언어를 보호하면서 모든 주민들을 공식 국가 언어 환경에 통합하는 것이었다.[23]

2019년까지 초등학교에서 소수 민족을 위한 정부 지원 이중 언어 교육이 제공되었으며, 러시아어, 이디시어, 폴란드어, 리투아니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에스토니아어, 로마니어 학교를 위한 소수 민족 학교가 있었다. 라트비아어를 사용하는 다수와의 소외를 피하고 학업 및 직업적 성취를 돕기 위해, 초기 단계에서 라트비아어가 제2언어로 가르쳐졌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정부는 교육이 라트비아어로 진행되는 경우에만 공립 대학교 학생의 수업료를 지원했다. 2004년부터 국가는 공립 중등학교(10~12학년)에서 수업의 최소 60%를 라트비아어로 진행하도록 규정했다.[24]

1999년 12월 9일에는 공용어법이 제정되었으며,[25] 이 법과 관련된 여러 규정이 제정되었다. 법 준수는 법무부가 운영하는 라트비아 국가 언어 센터가 감시한다.

유로에 대한 라트비아어 용어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다. 용어위원회는 널리 사용되는 eirolv보다 라트비아식 어미가 붙은 eiralv 또는 eirslv가 더 나은 용어라고 제안했지만, 유럽중앙은행은 모든 언어에서 원래 명칭인 'euro'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6]

라트비아어의 올바른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매년 여러 대회가 열린다. 그중 하나는 2003년부터 리가 라트비아 협회가 주최하는 "올해의 단어"(Gada vārdslv)이다.[27] 2018년에는 zibmaksājumslv(즉시 결제)가 "최고의 단어" 부문에서, influencerislv(인플루언서)가 "최악의 단어" 부문에서 수상했다.[28]

라트비아어는 그 규모에 비해 모어 화자보다 비원어민 화자가 많은 특이한 위치에 있다. 2009년 라트비아어청의 조사에 따르면, 모어가 러시아어인 응답자 중 56%가 라트비아어를 잘 한다고 답했으며, 젊은 세대(17~25세)의 경우 그 수치는 64%였다.[34]

소수 민족들 사이에서 라트비아어 사용이 증가한 것은 라트비아어가 국가의 유일한 공용어로 지정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 사회 전반에 걸쳐 언어적 초점이 이동하는 변화가 있었기 때문이다.

3. 언어 분류

산스크리트어인도-유러피안에서 파생한 라트비아어는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언어 중 하나이며 리투아니아어와 그 뿌리를 같이 한다. 라트비아어와 리투아니아어는 유럽 언어를 분류하는 기준이다. 게르만어, 슬라브어 등의 다른 유럽 언어들과 비교하면 라트비아어는 조금은 다르다. 또한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의 언어들과 라트비아어를 비교했을 때, 라트비아어의 독특한 뿌리를 확인할 수 있다.

라트비아어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며, 그중에서도 발트어파에 분류된다. 라트비아어는 공식 언어 지위를 가진 두 개의 살아있는 발트어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리투아니아어이다. 라트비아어와 리투아니아어는 원인도유럽어의 명사 형태론의 많은 특징을 유지하고 있지만, 음운론과 동사 형태론은 많은 혁신(즉, 원인도유럽어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형태)을 보여주며,[13] 라트비아어가 리투아니아어보다 훨씬 더 많은 혁신을 보인다. 그러나 라트비아어는 리보니아어와 상호 영향을 주고받았다.[14]

언어강(river)우유(milk)나무(tree)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라트비아어UPEPIENSKOKS


4. 방언

라트비아 방언의 지리적 분포. 리보니아 방언('''Lībiskais dialekts''')의 변종은 파란색, 중앙 방언('''Vidus dialekts''')은 녹색, 고지 라트비아 방언('''Augšzemnieku dialekts''')은 노란색으로 표시됨.


1860년경 라트비아의 언어와 방언. 1: 중앙 방언 또는 라트비아어 문어, 2: "가장 순수한" 라트비아어, 3: 쿠를란드 변종 (Nordwestkurisch 또는 Tamisch), 4: 진정한 추정자의 변종 (eigentliches Tamisch), 5: 리보니아-라트비아어의 북부 변종 (nordliches Live-Lettisch), 6: 고지 방언 (Oberländischer Dialekt 또는 Hochlettisch), 7: "진정한" 고지 방언 (eigentliches Oberländisch), 9: 리보니아어 (Livisch)


라트비아어에는 리보니아 방언, 고지 라트비아어, 중앙 방언의 세 가지 방언이 있다. 라트비아어 방언과 그 변종은 리보니아어, 쿠르슈어, 세미갈리아어, 셀로니아어와 혼동해서는 안 된다.

  • 리보니아 방언: ''Tamian'' 또는 ''tāmnieku''라고도 불리며, 리보니아어 기층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비드제메 변종과 쿠를란트 변종(또는 ''tāmnieku''라고도 함)으로 나뉜다. 확장된 음조와 끊어진 음조의 두 가지 음절 억양이 있으며, 단어 끝의 짧은 모음은 생략되고 긴 모음은 짧아진다. 모든 숫자에서 동사의 한 형태만 사용된다. 이주와 표준어의 도입으로 인해 쇠퇴했으며, 라트비아어를 사용하기 시작한 동화된 리보니아인들로부터 생겨났다. 2013년에 마지막 원어민 화자였던 그리젤다 크리스티냐가 사망했지만,[30] 2020년에 태어난 쿨디 메드네라는 아이가 리보니아어 원어민 화자라고 알려져 있다. 그녀의 부모는 리보니아어 부흥 운동가인 야니스 메드니스와 레나테 메드니스이다.[31] 1990년 독립 회복 이후 라트비아 정부는 이 방언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했으며, 현재 일부 사람들이 취미로 배우고 있다.[9][32]

  • 중앙 방언: 라트비아 중부와 남서부에서 사용되며 표준 라트비아어의 기초가 된다. 비드제메 방언, 쿠로니아 방언, 세미갈리아 방언으로 나뉜다. 비드제메 방언과 세미갈리아 방언은 쿠로니아 방언보다 서로 더 가깝고, 쿠로니아 방언은 다른 두 방언보다 더 고어적인 특징을 보인다. 비드제메 방언의 일부 지역에서는 상승, 단절, 하강의 세 가지 음절 억양이 존재한다. 쿠로니아 방언과 세미갈리아 방언은 상승과 단절의 두 가지 음절 억양을 가지고 있지만, 비드제메 방언의 일부 지역에서는 상승과 하강의 억양을 사용한다. 쿠로니아 방언에서는 여전히 'ŗ'가 사용된다. 과거 쿠로니아 갯벌을 따라 사용되었던 라트비아어의 역사적 방언인 쿠르셰니에키어는 쿠를란트에서 사용되는 중앙 방언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 고지대 라트비아 방언: 라트비아 동부에서 사용되며, 다른 라트비아어 방언들과 여러 음운론적 차이점으로 구분된다. 크게 셀로닉(Selonic) 변종(두 음절의 상승과 하강 억양을 가짐)과 비셀로닉(Non-Selonic) 변종(하강과 끊어지는 음절 억양을 가짐)의 두 가지 변종으로 나뉜다. 표준어인 표준 라트갈리아어(Standard Latgalian)는 라트갈레(Latgale) 남부에서 사용되는 심층 비셀로닉 변종을 기반으로 한, 라트비아어의 또 다른 역사적 변종이다. "라트갈리아어(Latgalic)"라는 용어는 때때로 모든 비셀로닉 변종이나 심지어 전체 방언에 적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표준어 이외의 변종에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정확한지 불분명하다. 이 용어가 라트갈레(Latgale)에서 사용되는 변종이나 라트갈리아인(Latgalians)에 의해 사용되는 변종을 가리킬 수 있지만, 모든 화자들이 자신이 라트갈리아어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드제메(Vidzeme)에서 심층 비셀로닉 변종을 사용하는 화자들은 자신이 라트갈리아어를 사용한다고 명시적으로 부인한다.[33] 라트비아 인구의 약 15%가 이 방언을 사용하지만, 거의 모든 화자는 표준 라트비아어에도 유창하며, 자신들의 독특한 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대중문화에서 이 방언을 홍보하고 있다.[9] 1990년 이후 라트비아 정부는 또한 이 방언이 사멸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해 왔다.[9]


라트비아어 방언은 크게 리보니아어, 라트갈리아어, 그리고 현재 표준어가 된 서라트비아어로 나뉜다. 라트갈리아어에는 폴란드어맞춤법 영향이 보인다.

5. 음운

라트비아어의 음운은 라트비아어 음운론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라트비아어 모음 음운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단음장음단음장음단음장음
고모음 
중모음 ()()
저모음 



자음은 길게 또는 짧게 발음될 수 있다. 모음 역시 길이를 구별하며,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모음 중 를 제외하고는 외래어에 한정된다. 라트비아어는 와 같이 10개의 이중모음을 가지고 있지만, 일부는 외래어, 고유명사, 감탄사에 국한된다.

표준 라트비아어는 첫 음절에 강세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다.[43] 긴 모음과 이중모음은 단어 내 위치와 관계없이 높낮이를 가진다.


  • 하첨자 콤마(,) 또는 상첨자 콤마가 있는 자음(Ģ ģ, Ķ ķ, Ļ ļ, Ņ ņ)은 구개음화를 수반한다. ģ는 /ɟ/, ķ는 /c/, ļ는 /ʎ/, ņ는 /ɲ/와 같이 발음된다.
  • 하체크(háček)가 있는 자음(č, š, ž)은 각각 /t͡ʃ/, /ʃ/, /ʒ/가 된다.
  • c는 /t͡s/, e는 좁은 e와 넓은 e(/ɛ/) 두 가지로 발음되며, h는 독일어의 ch(/x/), r은 설측음, s는 무성음, z는 유성음, v는 영어의 v와 같다.

5. 1. 자음

라트비아어 자음
순음치음/치경음경구개후치음/경구개음연구개음
비음m|mlvn|nlvɲ|ɲlvŋ|[ŋ]lv
파열음p|plv b|blvt|tlv d|dlvc|clv ɟ|ɟlvk|klv ɡ|ɡlv
파찰음t͡s|t͡slv d͡z|d͡zlvt͡ʃ|t͡ʃlv d͡ʒ|d͡ʒlv
마찰음(f|flv) v|vlvs|slv z|zlvʃ|ʃlv ʒ|ʒlv(x|xlv)
중설 접근음/전동음r|rlvj|jlv
설측 접근음l|llvʎ|ʎlv


  • n t d t͡s d͡z s z|n t d t͡s d͡z s zlv치경음이며, l r|l rlv는 치경음이다.
  • f x|f xlv는 차용어에만 나타난다.
  • ŋ|[ŋ]lv는 k g|k glv 앞에서 비음의 동소이체로 나타난다.
  • 자음 연쇄에서 자음은 다음 자음의 유성 여부에 따라 동화된다. 예를 들어, apgabals|apgabalslv는 로, labs|labslv는 로 발음된다. 라트비아어는 어말 무성화가 없다.
  • 자음은 길게 발음될 수 있으며(겹자음으로 표기), mamma|mammalv 처럼 짧게 발음될 수도 있다. 두 개의 짧은 모음 사이에 있는 파열음과 마찰음은 길어진다: upe|upelv . 'zs'는 로, 'šs'와 'žs'는 로 발음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5. 2. 모음

라트비아어는 모음 길이를 구별하는 특징을 가지며, 여섯 개의 모음 음운을 가지고 있다.

라트비아어 모음
rowspan="2" |전설 모음중설 모음후설 모음
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단모음장모음
고모음colspan="2" |
중모음colspan="2"|()()
저모음colspan="2" |



및 이것을 포함하는 이중모음 중 를 제외한 것은 외래어에 한정된다.

라트비아어에는 와 같이 10개의 이중모음이 존재하지만, 이 중 4개(, )는 외래어에서만 발견된다. 일부 이중모음은 주로 고유명사와 감탄사에 국한되기도 한다.

마크롱(macron)이 붙은 모음(ā, ē, ī, ū)은 긴 음가로 발음되고, 다른 모음들은 매우 짧은 음가로 발음된다.

5. 3. 강세

표준 라트비아어와, 어원 및 어미 변화의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는 모든 라트비아 방언은 고정된 첫음절 강세를 갖는다. 긴 모음과 이중모음은 단어 내 위치에 관계없이 높낮이를 갖는다. 여기에는 짧은 모음 뒤에 유성음이 오는 소위 "혼합 이중모음"도 포함된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 라트비아어의 악센트는 거의 항상 첫 음절에 온다.[43] 다음은 두 번째 음절에 악센트가 오는 예이다.

  • "labdien" = (안녕하세요)
  • "labvakar" = (안녕히 주무세요)

6. 문자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라트비아어는 처음에는 독일어 표기법을 기반으로 했으며, 표준 라트갈리아어의 알파벳은 폴란드어 표기법을 기반으로 했다. 20세기 초, 음운적으로 더 일관성 있는 표기법으로 대체되었다. 현대 라트비아 표준 정서는 33개의 문자를 사용한다.

대문자
AĀBCČDEĒFGĢHIĪJKĶLĻMNŅOPRSŠTUŪVZŽ
소문자
aābcčdeēfgģhiījkķlļmnņoprsštuūvzž



현대 라트비아 표준 알파벳은 라틴 알파벳의 22개의 수정되지 않은 문자(q, w, x, y를 제외한 모든 문자)를 사용하며, 11개의 수정된 문자를 추가한다. 모음 문자 a, e, i, u는 길이를 나타내기 위해 막론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정되지 않은 문자는 짧은 소리이다. 이 문자들은 정렬(예: 사전) 시 구분되지 않는다. 문자 c, s, z는 각각 /ts/, /s/, /z/로 발음되지만, 카론이 표시된 č, š, ž는 각각 /tʃ/, /ʃ/, /ʒ/로 발음된다. ģ, ķ, ļ, ņ는 아래에 콤마가 있는(소문자 g의 경우 위에 있는) g, k, l, n의 구개음화된 형태로, 각각 /ɟ/, /c/, /ʎ/, /ɲ/의 소리를 나타낸다. 라트비아 정서는 또한 ai, au, ei, ie, iu, ui, oi, dz, dž로 쓰여지는 9개의 이중자음을 포함한다.

라트비아 철자는 음소와 음자의 일대일 대응 관계가 거의 완벽하다. 모든 음소는 문자에 대응하므로 독자가 문자를 조합하여 단어를 거의 항상 발음할 수 있다. 이러한 정서의 일관성에는 두 가지 예외가 있는데, e, ē는 두 가지 다른 소리 /ɛ æ/와 /ɛː æː/를 나타낸다. 두 번째 불일치는 o가 짧고 긴 /ɔ/와 이중모음 /uɔ/를 모두 나타낸다는 것이다. 이 세 가지 소리는 표준 라트갈리아어에서 o, ō, uo로 쓰이며, 일부 라트비아인들은 표준 라트비아어에 이 시스템을 채택하기 위한 운동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라트비아 문법학자들은 o와 ō는 외래어에서만 발견되며 /uɔ/ 소리가 유일한 원래 라트비아어 음소라고 주장한다. uo 이중자음은 1914년에 폐기되었고, ō와 ŗ는 1946년 이후 공식 라트비아어에서 사용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ch 이중자음은 1957년에 폐기되었지만, ō, ŗ, ch는 일부 변종에서 그리고 라트비아 국경 너머에 사는 많은 라트비아인들에 의해 여전히 사용된다. y는 표준 라트갈리아어에서만 사용되며, 다른 방언에는 없는 소리 /ɘ ɨ/를 나타낸다.

구식 표기법으로 쓰인 라트비아어 루터교 찬송가.


구식 표기법은 독일어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라트비아어의 음소를 정확하게 나타내지 못했다. 처음에는 라트비아인들과의 작업을 돕기 위한 독일어 성직자들을 위한 종교 문서를 작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라트비아어로 쓰인 최초의 글들은 혼란스러웠는데, 'Š'를 쓰는 방법이 열두 가지나 있었다. 1631년 독일계 성직자 게오르그 먼첼리우스(Georg Mancelius)는 표기를 체계화하려고 시도했다. 그는 단어의 위치에 따라 장모음을 적었는데, 어근 모음에는 짧은 모음 뒤에 'h'를 붙였고, 접미사에는 짧은 모음을, 어미에는 두 가지 악센트를 나타내는 구분 부호가 있는 모음을 사용했다. 자음은 독일어의 예를 따라 여러 글자를 사용하여 적었다. 구식 표기법은 20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현대 표기법이 서서히 그것을 대체하였다.

거의 사용되지 않는 라트비아어 인체공학적 키보드 배열


1992년 후반, 공식 라트비아 컴퓨팅 표준 LVS 8-92가 발효되었다. 이는 컴퓨터에서 라트비아어 지원 방식(알파벳, 숫자, 통화, 구두점, 날짜 및 시간)을 명시한 LVS 24-93(컴퓨터에 대한 라트비아어 지원)에 이어 발표되었다. 몇 달 후 라트비아어 인체공학적 키보드 표준 LVS 23-93도 발표되었지만, 맞춤형 키보드가 필요했기 때문에 인기를 얻지 못했다.[35]

오늘날 라트비아어를 작성하는 데는 표준 QWERTY 또는 미국식 키보드가 사용된다. 구분 기호는 데드 키(일반적으로 ', 가끔 ~)를 사용하여 입력한다.[35] 일부 키보드 배열은 수식어 키 AltGr 키를 사용한다(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Windows 2000 및 XP에 내장된 배열(라트비아어 QWERTY)이며, X11R6의 기본 수식어이기도 하므로 대부분의 Linux 배포판의 기본값입니다).

1990년대에는 구분 기호에 대한 소프트웨어 지원 부족으로 인해 사용자가 라트비아어 구분 기호(이메일, 뉴스그룹, 웹 사용자 포럼, 채팅, SMS 등)에 액세스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는, 종종 ''translits''라고 불리는 비공식적인 표기법이 등장했다. 이것은 기본 현대 라틴 알파벳만 사용하며, 표준 표기법에 사용되지 않는 문자는 일반적으로 생략된다. 이 스타일에서는 구분 기호가 이중 문자로 바뀌는데, 이중 문자는 긴 모음을 나타내며(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와 같이), 뒤에 오는 ''j''는 자음의 구개음화, 즉 세디유를 나타낸다. 그리고 후치경 자음인 ''Š'', ''Č'' 및 ''Ž''는 영어와 같이 háček 대신 ''h''를 사용하여 작성된다. 때때로 구분 기호 대신 사용되는 두 번째 문자는 다른 두 구분 기호 문자 중 하나로 변경되며(예: š는 sh가 아닌 ss 또는 sj로 작성됨),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비정상적인 방법을 사용하기 어려워하기 때문에 구분 기호가 누락된 표시 없이 작성하거나 구분 기호가 의미상의 차이를 만드는 경우에만 이중 문자 표기를 사용한다.[36] 때로는 적절하게 구분 기호가 필요한 문자 앞이나 뒤에 아포스트로피가 사용된다. 또한 이중 문자 구분 기호가 자주 사용되며 때로는 표준 표기법의 구분 기호 문자와 혼합되기도 한다. 오늘날 소프트웨어 지원이 가능하지만, 구분 기호 없는 쓰기는 여전히 재정적 및 사회적 이유로 때때로 사용된다. ''š''와 ''ž''는 Windows-1252 코딩의 일부이므로 숫자 키패드를 사용하여 이 두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 cmd 및 .bat 파일의 라트비아어 코드 - Windows-1257

예를 들어, 라트비아어로 쓰인 주기도문을 여러 서체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최초 철자법
(Cosmographia Universalis, 1544)
구식 철자법, 1739[37]현대 철자법인터넷 스타일
Muuſze Thews exkan tho DebbesMuhſu Tehvs debbeſîsMūsu tēvs debesīsMuusu teevs debesiis
Sweetyttz thope totws waerdtczSwehtits lai top taws wahrdsSvētīts lai top tavs vārdsSveetiits lai top tavs vaards
Enaka mums touwe walſtibeLai nahk tawa walſtibaLai nāk tava valstībaLai naak tava valstiiba
Tows praetcz noteſeTaws prahts lai noteekTavs prāts lai notiekTavs praats lai notiek
ka exkan Debbes tha arridtczan wuerſſon ſemmeskà debbeſîs tà arirdſan zemes wirsûKā debesīs, tā arī virs zemesKaa debesiis taa arii virs zemes
Muſze beniſke mayſe bobe mums ſdjobenMuhsu deeniſchtu maizi dod mums ſchodeenMūsu dienišķo maizi dod mums šodienMuusu dienishkjo maizi dod mums shodien
Vnbe pammet mums muſſe parrabeUn pametti mums muhşu parradus [later parahdus]Un piedod mums mūsu parādusUn piedod mums muusu paraadus
ka mehs pammettam muſſims parabenekimskà arri mehs pamettam ſaweem parrahdneekeemKā arī mēs piedodam saviem parādniekiemKaa arii mees piedodam saviem paraadniekiem
Vnbe nhe wedde mums exkan kaerbenaſchenneUn ne eeweddi muhs eekſch kahrdinaſchanasUn neieved mūs kārdināšanāUn neieved muus kaardinaashanaa
Seth atpeſthmums no to lounebet atpeſti muhs no ta launa [later łauna]Bet atpestī mūs no ļaunaBet atpestii muus no ljauna
Aefto thouwa gir ta walſtibeJo tew peederr ta walſtibaJo tev pieder valstībaJo tev pieder valstiiba
Vnbe tas ſpeez vnb tas Goobtcz tur muſſige.Un tas ſpehks un tas gods muhſchigi [later muhzigi].Spēks un gods mūžīgi.Speeks un gods muuzhiigi.
Amen.Amen.Āmen.Aamen.


7. 문법

라트비아어 문법은 잘 발달된 어휘 변화와 파생어 형성을 지닌 고전적인 인도유럽어족(발트어파) 체계를 보여준다. 파생어 및 어휘 변화의 일부 예외를 제외하고, 어근 강세는 대부분 첫 번째 음절에 있다. 라트비아어에는 관사가 없으며, 정관성은 형용사의 어휘 변화로 표현된다. 라트비아어의 기본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이지만, 어순은 비교적 자유롭다.[1]

라트비아어는 굴절어이다. 명사에는 남성과 여성 두 종류의 이 있으며, 어미로 구별한다. 주격, 소유격, 목적격, 여격, 소격, 호격의 6가지 격 변화를 가지며, 관사는 없다. 형용사에는 정형, 부정형의 변화가 있다. 시제는 단순 시제(현재·과거·미래)와 복합 시제(복합과거·대과거·미래완료)로 나뉜다. 은 직설법, 명령법, 조건법, 접속법, 의무법(debitive)의 5가지가 있다.[2]

7. 1. 명사

라트비아어에는 성이 남성과 여성 두 가지가 있으며, 수는 단수와 복수 두 가지이다. 명사, 형용사, 그리고 변격 가능한 분사는 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 도구격, 위치격, 호격의 7가지 격으로 변격한다. 명사는 6가지 변격 유형이 있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고 남성 명사의 어미는 -is, -s, -us를 취한다. 여성 명사는 -a, -e를 취하지만, 일부는 -s를 취하는 경우가 있는데, govs(소), pils(성)이 그 예이다. 남성 명사의 격 변화 형태는 4가지, 여성 명사는 3가지가 있다. 격은 주격, 소유격, 여격, 목적격, 조격, 호격이 있다.

남성 명사의 예 (draugs = 친구)

단수복수
주격 (Nominatīvs)draugsdraugi
소유격 (Ģenitīvs)draugadraugu
여격 (Datīvs)draugamdraugiem
목적격 (Akuzatīvs)draugudraugus
조격 (Instrumentālis)draugudraugiem
처소격 (Lokatīvs)draugādraugos
호격 (Vokatīvs)draugdraugi



여성 명사의 예 (osta = 항구)

단수복수
주격 (Nominatīvs)ostaostas
소유격 (Ģenitīvs)ostasostu
여격 (Datīvs)ostaiostām
목적격 (Akuzatīvs)ostuostas
조격 (Instrumentālis)ostuostām
처소격 (Lokatīvs)ostāostās
호격 (Vokatīvs)ostaostas


7. 2. 동사

라트비아어에는 세 가지 활용 어미가 있다. 동사는 인칭, 시제, 법, 수동태에 따라 활용된다. 동사는 어미에 -ēt, -āt, -īt, -ot, -t를 취하며, 세 종류의 동사 활용이 존재한다.

동사 활용의 예(gribēt = …할 것이다, …하고 싶다)

인칭단수복수
1인칭es gribumēs gribam
2인칭tu gribijūs gribat
3인칭viņš gribviņi grib


8. 어휘

게르만어, 슬라브어 등 다른 유럽 언어들과 비교하면 라트비아어는 조금 다르다.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러시아어 등과 비교했을 때 라트비아어의 독특한 뿌리를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강(river)'은 각 언어별로 'rivière', 'fleuve', 'fiume', 'reka (река)'이지만, 라트비아어로는 'UPE'이다. '우유(milk)'는 'lait', 'latte', 'milch', 'moloko (молоко)'지만 라트비아어로는 'PIENS'이다. '나무(tree)'는 'arbre', 'baum', 'derevo (дерево)'지만 라트비아에서는 'KOKS'라고 표현한다.[38]

8. 1. 차용어

리보니아 시대에는 "amats"(직업), "dambis"(댐), "būvēt"(짓다), "bikses"(바지)와 같은 많은 중부 저지 독일어 단어들이 라트비아어로 차용되었으며, 스웨덴 리보니아 시대에는 스웨덴어에서 온 "skurstenis"(굴뚝)과 같은 차용어들이 유입되었다.[38] 또한 주로 리보니아어와 에스토니아어에서 온, 핀란드어족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들도 있다.[39] 라트비아어에는 핀란드어족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가 약 500~600개 정도 있으며, 예를 들어 "māja"('집', 리보니아어 mōj), "puika"('소년', 리보니아어 pūoga), "pīlādzis"('산사나무', 리보니아어 pī’lõg), "sēne"('버섯', 리보니아어 sēņ) 등이 있다.[40]

다른 발트어에서 차용된 단어로는 옛 프로이센어에서 온 "ķermenis"(몸)과 리투아니아어에서 온 "veikals"(상점), "paģiras"(숙취) 등이 있다.[38]

8. 2. 신조어

라트비아 정부기관(특히 라트비아 과학 아카데미 용어위원회와 국가언어센터)은 영어의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해 라트비아어 용어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 유럽중앙은행은 모든 언어에서 원래 명칭인 'euro'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유로에 대한 라트비아어 용어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다. 용어위원회는 널리 사용되는 eirolv보다 라트비아식 어미가 붙은 eiralv 또는 eirslv유로에 대한 더 나은 용어라고 제안했다.[26] 새로운 용어는 라트비아어 파생어, 역어 또는 새로운 외래어이다. 예를 들어, 라트비아어에는 "전화"를 뜻하는 두 단어 tālrunislv와 telefonslv가 있는데, 전자는 후자의 국제 용어를 라트비아어로 직역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 것들은 라트비아어 단어라기보다는 오래되거나 더욱 음운적으로 적합한 외래어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datorslv 또는 kompjūterslv가 될 수 있다. 둘 다 외래어이며, "컴퓨터"를 뜻하는 라트비아어 고유어는 skaitļotājslv이고 이 또한 공식 용어이다. 그러나 현재 datorslv가 적절한 번역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skaitļotājslv도 사용된다.

라트비아어의 올바른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매년 여러 대회가 열린다. 그중 하나는 2003년부터 리가 라트비아 협회가 주최하는 "올해의 단어"(Gada vārdslv)이다.[27] 여기에는 "최고의 단어", "최악의 단어", "최고의 속담", "말장난"과 같은 부문이 있다. 2018년에는 zibmaksājumslv(즉시 결제)가 "최고의 단어" 부문에서, influencerislv(인플루언서)가 "최악의 단어" 부문에서 수상했다.[28] straumētlv(스트림)과 straumēšanalv(스트리밍) 단어 쌍은 2017년 최고의 단어로 선정되었고, 교통에 대한 명칭의 불필요한 복수형인 transportilv는 2017년 최악의 단어로 선정되었다.[29] EU 가입을 선언한 이후, 방대한 공식 문서 번역 과정에서 라트비아어 고유 어휘와의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국가 차원의 번역 사무국이 검토하여 신조어를 만들고 있다.

9. 언어 분포

라트비아어의 역사는 라트비아어가 그 규모에 비해 모어 화자보다 비원어민 화자가 많은 특이한 위치에 놓이게 만들었다. 라트비아의 이민자 및 소수 민족 인구는 70만 명으로,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 폴란드인 등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이민자들은 1940년부터 1991년 사이에 라트비아에 정착했으며, 기존의 소수 민족 공동체(발트 독일인, 라트비아 유대인, 라트비아 러시아인)를 보충했다.[34] 비원어민 화자들 사이에서 라트비아어 능력은 점차 향상되고 있다. 2009년 라트비아어청의 조사에 따르면, 모어가 러시아어인 응답자 중 56%가 라트비아어를 잘 한다고 답했으며, 젊은 세대(17~25세)의 경우 그 수치는 64%였다.[34]

소수 민족들 사이에서 라트비아어 사용이 증가한 것은 라트비아어가 국가의 유일한 공용어로 지정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 사회 전반에 걸쳐 주로 러시아어에서 벗어나 언어적 초점이 이동한 다른 사회 변화들 때문이다. 예를 들어, 2007년 대학들은 소수 민족을 위한 학교에서 이중언어 교육을 받은 지원자들을 처음으로 받았다. 다양한 직업과 경력에서 라트비아어 유창성이 요구된다.

라트비아어를 모어로 하는 화자의 총 수는 라트비아 국내에 140만 명, 국외에 약 50만 명이 있다. ISO 639-1 코드는 lv이다.

라트비아어 화자 분포
국가화자 수
라트비아1,394,000명 (1995년)
미국50,000명
러시아29,000명
오스트레일리아25,000명
캐나다15,000명
독일8,000명
리투아니아5,000명
우크라이나2,600명
에스토니아1,800명
벨라루스1,000명
스웨덴500명


10. 현대 라트비아어의 과제

라트비아는 영어의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해 라트비아 과학 아카데미 용어위원회와 국가언어센터 등 라트비아 정부 기관이 라트비아어 용어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26] 유로에 대한 라트비아어 용어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는데, 용어위원회는 널리 사용되는 eirolv보다 라트비아식 어미가 붙은 eiralv 또는 eirslv유로에 대한 더 나은 용어라고 제안했지만, 유럽중앙은행은 모든 언어에서 원래 명칭인 'euro'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6]

새로운 용어는 라트비아어 파생어, 역어 또는 새로운 외래어이다. 예를 들어, 라트비아어에는 "전화"를 뜻하는 두 단어 tālrunislv와 telefonslv가 있는데, 전자는 후자의 국제 용어를 라트비아어로 직역한 것이다. "컴퓨터"의 경우 datorslv 또는 kompjūterslv가 될 수 있는데, 둘 다 외래어이며 라트비아어 고유어는 skaitļotājslv이고 이 또한 공식 용어이다. 그러나 현재 datorslv가 적절한 번역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skaitļotājslv도 사용된다.

라트비아어의 올바른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매년 여러 대회가 열린다. 그중 하나는 2003년부터 리가 라트비아 협회가 주최하는 "올해의 단어"(Gada vārdslv)이다.[27] 여기에는 "최고의 단어", "최악의 단어", "최고의 속담", "말장난"과 같은 부문이 있으며, 연도별 수상 단어는 다음과 같다.

연도부문선정 단어한국어 번역
2018년"최고의 단어"zibmaksājumslv즉시 결제
"최악의 단어"influencerislv인플루언서
2017년"최고의 단어"straumētlv와 straumēšanalv스트림과 스트리밍
"최악의 단어"transportilv교통에 대한 명칭의 불필요한 복수형


10. 1. 러시아어와의 관계

소련 점령 이후, 러시아화 정책은 라트비아어에 큰 영향을 미쳤다. NKVD 라트비아 작전 당시 최소 16,573명의 라트비아계 주민과 라트비아 국민이 처형되면서 러시아의 라트비아인들 사이에서 라트비아어 사용은 이미 줄어들었다.[7] 1941년 6월 강제 이주와 1949년 프리보이 작전에서 수만 명의 라트비아인과 다른 민족들이 라트비아에서 강제 이주당했다. 이는 주로 스탈린의 식민지화를 통해 라트비아와 다른 발트 국가들을 소련에 통합하려는 계획의 결과로, 러시아 SFSR, 우크라이나 SSR, 벨라루스 SSR 및 기타 소련 공화국으로부터 대규모 이민이 이어진 결과였다. 그 결과, 1935년 80%였던 전체 인구 중 라트비아인 비율은 1989년 52%로 감소했다. 소련 시대 라트비아에 정착한 이민자 대부분은 라트비아어를 배우지 않았다.[8]

1991년 독립 재건 이후, 새로운 언어 교육 정책이 도입되었다. 초등학교에서 소수 민족을 위한 정부 지원 이중 언어 교육이 제공되었으나, 2019년 의회가 라트비아어로만 교육하기로 결정하면서 종료되었다. 2004년부터 국가는 공립 중등학교(10~12학년)에서 수업의 최소 60%를 라트비아어로 진행하도록 규정했다(이전에는 러시아어로 교육하는 광범위한 체계가 존재했다).[24]

라트비아어의 역사적 배경은 라트비아어가 모어 화자보다 비원어민 화자가 많은 특이한 위치에 놓이게 만들었다. 라트비아의 이민자 및 소수 민족 인구는 700,000명으로,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우크라이나인, 폴란드인 등으로 구성된다. 2009년 라트비아어청 조사에 따르면, 모어가 러시아어인 응답자 중 56%가 라트비아어를 잘 한다고 답했으며, 젊은 세대(17~25세)의 경우 그 수치는 64%였다.[34]

소련 붕괴 이후 사회 전반에 걸쳐 러시아어에서 벗어나 언어적 초점이 이동하면서, 소수 민족들 사이에서 라트비아어 사용이 증가했다. 이는 라트비아어가 국가의 유일한 공용어로 지정되었기 때문이다.

10. 2. 영어의 영향

라트비아는 영어의 영향력에 대응하기 위해 라트비아 정부 기관(특히 라트비아 과학 아카데미 용어위원회와 국가언어센터)이 라트비아어 용어 사용을 장려하고 있다.[26] 유로에 대한 라트비아어 용어를 놓고 논쟁이 벌어졌는데, 용어위원회는 널리 사용되는 eirolv보다 라트비아식 어미가 붙은 eiralv 또는 eirslv유로에 대한 더 나은 용어라고 제안했지만, 유럽중앙은행은 모든 언어에서 원래 명칭인 'euro'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26]

새로운 용어는 라트비아어 파생어, 역어 또는 새로운 외래어이다. 예를 들어, 라트비아어에는 "전화"를 뜻하는 두 단어 tālrunislv와 telefonslv가 있는데, 전자는 후자의 국제 용어를 라트비아어로 직역한 것이다. 그러나 다른 것들은 라트비아어 단어라기보다는 오래되거나 더욱 음운적으로 적합한 외래어이다. 예를 들어, "컴퓨터"는 datorslv 또는 kompjūterslv가 될 수 있다. 둘 다 외래어이며, "컴퓨터"를 뜻하는 라트비아어 고유어는 skaitļotājslv이고 이 또한 공식 용어이다. 그러나 현재 datorslv가 적절한 번역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skaitļotājslv도 사용된다.

라트비아어의 올바른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매년 여러 대회가 열린다. 그중 하나는 2003년부터 리가 라트비아 협회가 주최하는 "올해의 단어"(Gada vārdslv)이다.[27] 여기에는 "최고의 단어", "최악의 단어", "최고의 속담", "말장난"과 같은 부문이 있다.

연도부문선정 단어한국어 번역
2018년"최고의 단어"zibmaksājumslv즉시 결제
"최악의 단어"influencerislv인플루언서
2017년"최고의 단어"straumētlv와 straumēšanalv스트림과 스트리밍
"최악의 단어"transportilv교통에 대한 명칭의 불필요한 복수형


참조

[1] 웹사이트 Lettish https://www.thefreed[...] 2007-07-28
[2] 웹사이트 Valsts valoda https://valoda.lv/va[...]
[3] 논문
[4] 논문
[5] 웹사이트 EU official languages https://european-uni[...] 2022-08-01
[6] 웹사이트 Dažādu tautu valodu prasme http://www.vvk.lv/in[...]
[7] 웹사이트 At Home Latvian Is Spoken by 62% of Latvian Population; the Majority – in Vidzeme and Lubāna County https://www.csb.gov.[...] Central Statistical Bureau of Latvia 2013-09-26
[8] 웹사이트 Latvian Language Is Spoken by 62% of the Population https://bnn-news.com[...] Baltic News Network 2013-09-26
[9] 웹사이트 Languages https://www.onlatvia[...] 2022-08-01
[10] 서적 The Circum-Baltic Languages John Benjamins Publishing 2001
[11] 뉴스 How Latgale chose to join Latvia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7-05-02
[12] 뉴스 Latgalian Language in Latvia: Between Politics, Linguistics and Law http://www.icelds.or[...] International Centre for Ethnic and Linguistic Diversity 2018-03-30
[13] 웹사이트 Baltic languages - Comparison of Lithuanian and Latvian https://www.britanni[...] Encyclopedia Britannica
[14] 웹사이트 Livones.net - Mutual influence between Livonian and Latvian http://www.livones.n[...]
[15] 서적 Lithuania taxation laws and regulations handbook. Intl Business Pubns Usa 2008
[16] 서적 The Indo-European Languages Routledge
[17] 웹사이트 Livonia. 13th-16th Century http://lnvm.lv/en/?p[...] 2017-10-27
[18] 간행물 The Early History of Latvian Books http://www.lituanus.[...] 2019-09-03
[19] 뉴스 National treasure: The oldest Latvian-language book in Rīga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6-08-25
[20] 뉴스 National treasure: The first Bible in Latvian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6-08-24
[21] 웹사이트 The First General Census of the Russian Empire of 1897 – Courland governorate http://www.demoscope[...] Demoscope Weekly 2018-12-31
[22] 웹사이트 The First General Census of the Russian Empire of 1897 – Governorate of Livonia http://www.demoscope[...] Demoscope Weekly 2018-12-31
[23] 서적 Minority Protection in Latvia http://providus.lv/a[...] Open Society Institute 2019-09-03
[24] 서적 Analytical Report PHARE RAXEN_CC - Minority Education https://fra.europa.e[...] Minority Education in Latvia 2019-09-03
[25] 웹사이트 Official Language Law https://likumi.lv/ta[...] 2018-01-09
[26] 뉴스 No 'eira' - but 'eiro' will do https://www.balticti[...] The Baltic Times 2004-10-06
[27] 뉴스 'Glābējsilīte' is word of the year https://latviansonli[...] Latvians Online 2010-01-18
[28] 뉴스 Best and worst words of 2018 underlined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9-01-28
[29] 뉴스 Best and worst words of 2017 underlined https://eng.lsm.lv/a[...] Public Broadcasting of Latvia 2018-01-31
[30] 웹사이트 Obituary: Last Native Speaker of the Livonian Language Died Age 103 http://geocurrents.i[...] GeoCurrents 2013-12-01
[31] 웹사이트 «Kūldaläpš. Zeltabērns» – izdota lībiešu valodas grāmata bērniem un vecākiem https://www.lsm.lv/r[...] 2022-10-18
[32] 웹사이트 Death of a language: last ever speaker of Livonian passes away aged 103 https://www.thetimes[...] 2013-06-05
[33] 간행물 The deep Latgalian variants of the High Latvian dialect in North-East Vidzeme (so-called Malenia) http://www.baltistic[...] Vilnius University 2012
[34] 서적 Language situation in Latvia: 2004–2010 Latvian Language Agency 2012
[35] 웹사이트 The Next Challenge for the Latvian Language https://latviansonli[...] Latvians Online 2015-07-04
[36] 웹사이트 Latviešu valodas izmaiņas un funkcijas interneta vidē http://politika.lv/ 2007-07-28
[37] 서적 BIBLIA Riga 1848
[38] 웹사이트 From the Language of Serfs to Official EU Communication – the Journey of Latvian https://eng.lsm.lv/a[...] 2017-10-27
[39] 웹사이트 Baltic languages – Loanwords in Baltic https://www.britanni[...]
[40] 논문 Baltic and Finnic linguistic relations reflected in geolinguistic studies of the Baltic languages https://www.research[...] 2014-01-01
[41] 서적 Orthodoxie und Poesie Evangelische Verlagsanstalt 2004-01-01
[42] 서적 Baltų filologijos įvadas: Vadovėlis respublikos aukštųjų mokyklų filologijos specialybės studentams Mokslas 1982-01-01
[43] 서적 Language Contact, Creolization, and Genetic Linguistic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