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풍토병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풍토병은 특정 지역이나 인구 집단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하거나 꾸준히 유행하는 질병을 의미한다. 감염병의 경우, 감염된 각 사람이 평균적으로 다른 한 사람에게 질병을 전파할 때 풍토병이 되며, 수학적 모델을 통해 질병의 지속적인 유행을 설명한다. 풍토병은 감염성 및 비감염성으로 분류되며, 감염성 풍토병에는 콜레라, 말라리아 등이, 비감염성 풍토병에는 영양 장애, 다발성 경화증 등이 있다. 한국에서는 과거 일본뇌염, 장티푸스 등이 풍토병이었으나, 위생 환경 개선으로 발생률이 감소했다. 풍토병은 산발적 질환, 유행병, 팬데믹 등과 구분되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풍토병의 의미가 오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방 - 선글라스
    선글라스는 눈부심 감소와 자외선 차단을 주 목적으로 하는 안경으로, 과거 눈부심 방지 및 표정 은폐 용도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패션 아이템으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으로 발전해 왔지만, 저가 제품의 성능 미흡이나 과도한 자외선 차단에 대한 논란도 있다.
  • 예방 - 격리
    격리는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감염원으로부터 개인이나 집단을 분리하는 감염 예방 및 통제 수단으로, 다양한 감염 경로 차단, 병원 감염 예방, 항생제 내성 감염 감소에 기여하지만, 윤리적 문제와 인권 보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공중보건 조치이다.
  • 역학 (의학) - 사망률
    사망률은 특정 기간 동안의 사망자 수를 인구 집단 크기로 나눈 비율로, 인구 집단의 건강 상태와 사회 경제적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역학 연구, 세계 보건 동향 분석 등에 활용된다.
  • 역학 (의학) - 감염
    감염은 병원체가 숙주 체내에 침입하여 증식하는 현상으로, 점막이나 상처를 통해 집락화하며, 면역이 약화된 숙주는 기회 감염에 취약하고, 전염병, 유행, 팬데믹, 엔데믹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감염 사슬을 이해하고 차단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하다.
풍토병
역학
정의특정 지역에서 질병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상태
설명질병이 특정 인구 집단 내에서 예상되는 수준으로 꾸준히 유지되는 경우, 즉 발생률이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는 질병이 일시적으로 유행하는 유행이나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대유행과는 구별된다.
참고질병이 풍토병이라고 해서 반드시 무해한 것은 아니다. 풍토병이라도 여전히 상당한 수준의 질병 부담을 초래할 수 있다.
같이 보기
관련 항목유행
대유행
전염병

2. 풍토병의 정의 및 수학적 모델

풍토병은 특정 지역이나 인구 집단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질병을 의미한다. 일본에서는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풍토병의 사례를 여럿 찾아볼 수 있다.

야마나시현 고후 분지에서는 일본 주혈흡충증이 유행하여 "지방병"이라고 불렸다. 미야이리 게이노스케가 미야이리개를 중간 숙주로 밝혀낸 후, 미야이리개 구제를 통해 박멸되었다.

하치조코지마에서는 말레이 사상충증이 유행했지만, 사사 마나부의 연구를 바탕으로 치료하여 박멸되었다.

와카야마현 기난 지방에서는 물이 원인으로 여겨지는 풍토병(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무로병")이 발생했다. 강한 산성토양과 물의 미네랄 성분 부족, 알루미늄과 망간 과다 섭취 등이 원인으로 추정되지만,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최근 유통 상황 개선으로 환자 발생이 감소했지만, 1997년 조사에서는 여전히 다른 지역에 비해 발병률이 높았다.[15][16]

2. 1. 풍토병의 정의

사람 간 전파에 의존하는 감염의 경우, 풍토병이 되려면 감염된 각 사람이 평균적으로 다른 한 사람에게 질병을 전파해야 한다. 완전히 취약한 인구를 가정하면, 이는 감염의 기초 재생산수 (R0)가 1과 같아야 함을 의미한다. 일부 면역 개체가 있는 인구에서, 기초 재생산수에 인구에서 감수성 개체의 비율(''S'')을 곱한 값은 1이어야 한다. 이는 질병이 전파될 수 있는 각 개체가 질병에 감수성을 가질 확률을 고려하여, 인구의 면역 부분을 효과적으로 할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질병이 ''풍토성 정상 상태'' 또는 ''풍토성 평형'' 상태에 있으려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5]

: R_0 \times S = 1

이러한 방식으로 감염은 소멸되지도 않고, 감염된 사람의 수가 지수적 성장으로 증가하지도 않는다. 전염병으로 시작된 감염은 질병의 감염력 및 전파 방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결국 소멸되거나 (이론적으로 예측 가능한 순환 방식으로 재발할 가능성이 있음) 풍토성 정상 상태에 도달한다.[5]

질병이 인구에서 풍토성 정상 상태에 있다면, 위의 관계를 통해 특정 감염의 기초 재생산수 (R0)를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차례로 전염병에 대한 수학적 모델에 입력될 수 있다.[6]

2. 2. 수학적 모델

감염병의 풍토성을 설명하기 위해 수학적 모델이 사용된다. 기초감염재생산수(R0)는 감염자가 감수성 인구 집단에서 평균적으로 감염시키는 사람 수를 나타낸다. 완전히 취약한 인구를 가정하면, R0는 1과 같아야 한다. 일부 면역 개체가 있는 인구에서는 R0에 인구에서 감수성 개체의 비율(''S'')을 곱한 값이 1이어야 한다. 이는 질병이 전파될 수 있는 각 개체가 질병에 감수성을 가질 확률을 고려하여, 인구의 면역 부분을 효과적으로 할인하기 때문이다.[5]

따라서 질병이 '풍토성 정상 상태' 또는 '풍토성 평형' 상태에 있으려면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 R_0 \times S = 1

이러한 방식으로 감염은 소멸되지도 않고, 감염된 사람의 수가 지수적 성장으로 증가하지도 않는다. 전염병으로 시작된 감염은 질병의 감염력 및 전파 방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결국 소멸되거나 (이론적으로 예측 가능한 순환 방식으로 재발할 가능성이 있음) 풍토성 정상 상태에 도달한다.[5]

질병이 인구에서 풍토성 정상 상태에 있다면, 위의 관계를 통해 R0 값을 추정할 수 있다. 이는 차례로 전염병에 대한 수학적 모델에 입력될 수 있다. 재생산수를 기반으로, 우리는 서로 다른 지역과 국가에서 COVID-19의 첫 번째 파동, 두 번째 파동 등과 같은 전염병 파동을 정의할 수 있다.[6]

3. 풍토병의 종류

풍토병은 크게 감염성 질환과 비감염성 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


  • 감염성 풍토병: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의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으로, 콜레라, 말라리아 등이 있다.
  • 비감염성 풍토병: 특정 지역의 환경적 요인이나 생활 습관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이 외에도, 항상 일정 수준으로 존재하지 않고 가끔 나타나는 산발성 질환, 특정 지역에 새롭게 퍼지거나 감염률이 급증하는 유행,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팬데믹이 있다.

3. 1. 감염성 풍토병

감염성 풍토병은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등 병원체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이다. 콜레라, 말라리아, C형 간염, 홍역 등이 대표적이다.[13] 천연두는 예방 접종을 통해 근절될 때까지 풍토병이었다.[13] 과거 파푸아뉴기니의 포레족 사이에서는 식인 풍습으로 인해 쿠루병이 다발했다.

3. 1. 1. 풍토병의 단계

총유행 풍토병: 감염률이 매우 높은 풍토병으로,[9] 특히 거의 모든 사람이 어릴 때 감염되어 거의 모든 성인이 어느 정도의 면역을 갖게 되는 질병이다.[8]

과유행 풍토병: 감염률이 높은 풍토병으로,[9] 특히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에게 동일하게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다.[8]

중유행 풍토병: 감염률이 중간 정도인 풍토병이다.[9] 이 용어는 종종 지역의 말라리아 유병률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10~50%의 어린이가 과거 감염의 증거를 보이는 경우 해당 질병에 대한 중간 수준으로 간주된다.[9][10]

저유행 풍토병: 감염률이 낮은 풍토병이다.[9][8] 장티푸스는 미국에서 저유행 풍토병이다.[11]

3. 2. 비감염성 풍토병

파푸아뉴기니의 포레족 사이에서 행해진 식인 풍습으로 인해 쿠루병이 다발했다. 야마나시현에서는 고후 분지의 저습지를 중심으로 일본 주혈흡충증이 유행하여 "지방병"이라고 불렸다. 미야이리 게이노스케에 의해 일본 주혈흡충의 중간 숙주가 미야이리개임이 밝혀져, 미야이리개 구제를 통해 박멸되었다.

하치조코지마는 말레이 사상충증(섬 주민들은 "바쿠"라고 두려워했다) 유병 지역이었지만, 사사 마나부의 연구로 시작된 치료로 박멸되었다.

와카야마현 기난 지방에서는 물이 원인으로 여겨지는 풍토병(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현지에서는 "무로병")이 발생했다. 강한 산성토양과 물의 미네랄 성분 (칼슘, 마그네슘 부족, 알루미늄, 망간 과다)이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지만, 소철의 신경독이 원인이라는 설도 있다. 1970년대부터 환자가 격감하여 1990년대에는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으나[15], 미에 대학의 1997년 조사에서는 여전히 발병률이 높았다[16]。 과거 도 다발 지역이었지만 1970년대 이후 개선되었다[16]

3. 2. 1. 영양 장애

토양 속 미네랄 성분의 불균형이 있는 지역이나,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 해조류 성분을 섭취하기 어려운 곳에서는 지역 고유의 영양 장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 헤이룽장 성이나 장쑤 성에서 나타난 셀레늄 결핍증이나 몽골에서 나타난 요오드 결핍증 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경우, 주민들에게 지속적으로 미네랄이 첨가된 식염 또는 건강 보조 식품을 섭취하게 함으로써 발병률을 낮출 수 있다.

3. 2. 2. 지리적 조건

다발성 경화증은 고위도 지방에서 발병률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14]

4. 풍토병과 관련된 용어


  • '''산발성 질환''': 풍토병과 달리, 항상 일정하고 예측 가능한 수준으로 존재하지 않고 가끔 나타나는 질환을 말한다.[12]
  • '''발병''': 특히 한 마을의 사람들 또는 단일 행사에 참석한 사람들 등 매우 작은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유행병을 말한다.[9]
  • '''유행''': 새롭게 퍼지는 질병이거나, 이전에 풍토병이었지만 감염률이 상당히 증가하는 질병을 말한다.[9][11] 계절성 독감은 종종 유행병으로 나타난다.[9]
  • '''팬데믹''': 전 세계, 일반적으로 여러 국가 또는 여러 대륙에 영향을 미치는 유행병을 말한다.[9] 계절성 독감은 때때로 전 세계적인 팬데믹이 되기도 한다.[9]

5. 한국의 풍토병

한국에서는 풍토병에 대한 기록이나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관련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5. 1. 역사 속 풍토병

일본 주혈흡충증은 야마나시현 고후 분지에서 발생했던 풍토병으로, "지방병"이라고 불렸다. 미야이리개라는 중간 숙주를 통해 전파되었으며, 철저한 방역 사업을 통해 박멸되었다.[15]

하치조코지마에서는 말레이 사상충증이 발생했는데, 현지에서는 "바쿠"라고 불렸다. 사사 마나부의 연구를 바탕으로 한 치료를 통해 박멸되었다.

와카야마현 기난 지방에서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ALS, 일명 "무로병")이 발생했다. 물과 토양의 미네랄 성분 불균형이 원인으로 추정되지만, 소철에 포함된 신경독이 원인이라는 설도 있다. 1990년대에는 발병률이 감소했으나,[15] 1997년 조사에서는 여전히 다른 지역에 비해 발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6]

성인 T 세포 백혈병은 규슈시코쿠에 많이 발생하는 풍토병이다.

6. 풍토병 오용 사례(COVID-19)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일부는 풍토병화가 질병의 심각성이 낮아지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오해이다.[3] 풍토병은 질병의 심각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단지 꾸준하고 예측 가능한 수준으로 환자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3][4] 이전에 획득한 면역력이 미래 감염 시 사망 및 장애 위험을 감소시킨다면 코로나19 풍토병은 경미해질 수 있지만,[7] 풍토성 자체가 반드시 그렇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참조

[1] 웹사이트 Principles of Epidemiology in Public Health Practice, Third Edition An Introduction to Applied Epidemiology and Biostatistics https://www.cdc.gov/[...]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04-19
[2] 서적 Essentials of Pathophysiology for Nursing Practice SAGE 2022-04-23
[3] 간행물 COVID-19: endemic doesn't mean harmless null 2022-01
[4] 서적 Person Centered Medicine Springer Nature 2023-04-13
[5] 간행물 Temporal dynamics of epidemics https://linkinghub.e[...] Elsevier 2023-02-28
[6] 간행물 A Second Wave? What Do People Mean by COVID Waves? – A Working Definition of Epidemic Waves 2021-09-13
[7] Review Transition to endemicity: Understanding COVID-19 2021-10
[8] 서적 A Dictionary of Epidemi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4
[9]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Public Health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16-10-06
[10] 서적 WHO Malaria Terminology, 2021 update https://books.googl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11-24
[11] 서적 Health and Medical Geography, Fourth Edition https://books.google[...] Guilford Publications 2017-02-20
[12] 서적 Clay's Handbook of Environmental Healt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7-01
[13] 간행물 COVID-19: endemic doesn't mean harmless 2022-01
[14] 웹사이트 多発性硬化症/視神経脊髄炎(指定難病13) – 難病情報センター https://www.nanbyou.[...] 2023-06-09
[15] 서적 新カルシウムの驚異 : 人類の未来をささえるカルシウム 講談社
[16] 문서 1,紀伊半島のALS : 紀伊 ALS/PDC -紀伊半島における筋萎縮性側索硬化症/パーキンソン認知症複合- http://kii-als-pdc-p[...] 三重大学大学院地域イノベーション学研究科・紀伊難病研究センター
[17] 웹인용 Principles of Epidemiology ! Lesson 1 - Section 11 https://www.cdc.gov/[...] 2020-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