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플라스틱 오노 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존 레논과 오노 요코가 주축이 되어 결성된 개념적인 밴드로, 고정된 멤버 없이 매번 다른 뮤지션들이 참여하는 열린 형태를 특징으로 한다. 1960년대 후반부터 레논과 오노의 협업 프로젝트를 통해 시작되었으며, 1969년 7월 공식적으로 발표되었다. 밴드는 실험적인 음악 스타일을 시도하고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활동을 펼쳤으며, 1970년대 초반 존 레논과 오노 요코의 솔로 앨범을 발표하며 활동했다. 1975년 존 레논의 활동 중단과 1980년 그의 사망 이후 활동이 중단되었으나, 2009년 오노 요코에 의해 재결성되어 2015년까지 활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노 요코 - 이매진 피스 타워
    이매진 피스 타워는 오노 요코가 존 레논을 기리기 위해 아이슬란드에 세운 평화를 상징하는 빛 기념물로, 존 레논의 평화 염원을 담아 그의 생일과 기일에 점등되며, 세계 평화 기원 메시지와 지열 에너지를 활용한 환경친화적인 예술 작품이다.
  • 오노 요코 - 배기즘
    배기즘은 외적인 요소로 인한 편견과 차별을 극복하고 메시지의 본질에 집중하자는 개념으로, 존 레논과 오노 요코가 1969년 처음 공개하여 평화 운동에 활용되었다.
  • 1974년 해체된 음악 그룹 - 무디 블루스
    무디 블루스는 1964년 버밍엄에서 결성된 영국의 록 밴드로, R&B 그룹에서 프로그레시브 록 선구자로 변화하며 오케스트라 협연과 멜로트론 사용으로 독창적인 사운드를 구축했고, 대표곡 〈Go Now〉, 〈Nights in White Satin〉 등으로 2018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 1974년 해체된 음악 그룹 - 킹 크림슨
    킹 크림슨은 로버트 프립을 중심으로 1968년 결성된 영국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로서, 복잡한 구성과 즉흥 연주,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통해 여러 장르에 영향을 주며 독창적인 음악 세계를 구축해왔다.
  • 2009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비지스
    비지스는 기브 삼 형제를 중심으로 결성된 호주 출신 팝 그룹으로, 스키플과 록앤롤로 시작해 1970년대 디스코 음악으로 전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며 막대한 음악적 영향력을 남겼다.
  • 2009년 재결성된 음악 그룹 - 홀 (밴드)
    1989년 코트니 러브와 에릭 얼랜드슨이 결성한 미국의 얼터너티브 록 밴드 홀은 1994년 앨범 《Live Through This》의 성공과 멤버 교체, 해체를 거쳐 2009년 재결합 후 2016년 다시 해체되었으며, 펑크 록, 그런지, 얼터너티브 록을 결합한 음악으로 여성 록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플라스틱 오노 밴드 - [음악 그룹]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69년 플라스틱 오노 밴드. 왼쪽부터 [[클라우스 부어만]], [[앨런 화이트 (Yes 드러머)|앨런 화이트]], [[오노 요코]], [[존 레논]], [[에릭 클랩튼]]
1969년 플라스틱 오노 밴드. 왼쪽부터 클라우스 부어만, 앨런 화이트, 오노 요코, 존 레논, 에릭 클랩튼
별칭플라스틱 오노 엘리펀트 메모리 밴드, 플라스틱 유에프 오노 밴드, 플라스틱 오노 뉴클리어 밴드, 요코 오노 플라스틱 오노 밴드, 엘라스틱 오즈 밴드
결성지런던, 잉글랜드
활동 기간1968년–1974년, 2009년–2015년
레이블애플, Chimera Music
관련 활동비틀즈, 더티 맥, 엘리펀츠 메모리, 플래밍 립스
웹사이트플라스틱 오노 밴드 공식 웹사이트
멤버플라스틱 오노 밴드 라인업 목록 참고
음악 스타일
장르, 실험 음악, 아트 록, 개념 미술, 아방가르드

2. 역사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1969년 존 레논이 "실존하지 않는 개념적인 밴드", "고정 멤버가 없음", "관객도 밴드 멤버"[55]라는 구상에 기초하여 결성되었다.[54][56] 녹음이나 공연마다 초빙된 뮤지션이 멤버로 크레딧되었고, 밴드명도 매번 바뀌었다.[57] 밴드 이름은 오노 요코가 스튜디오에서 플라스틱 스탠드를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58]


  • 폴 매카트니는 커밍 업 뮤직 비디오에서 자신을 포함한 10명의 뮤지션을 연기했는데, 드럼 세트에 "THE PLASTIC MACS"라고 적혀 있었다. 이는 플라스틱 오노 밴드와 레논이 1968년 록큰롤 서커스 출연 시 결성한 밴드 더티 맥에서 유래했다.
  • 일본 록 밴드 사디스틱 미카 밴드는 플라스틱 오노 밴드를 패러디하여 이름 지어졌다.[141]

2. 1. 결성 이전 (1966년 ~ 1968년)

존 레논과 오노 요코는 1966년에 만났다. 레논은 비틀즈의 세계적인 멤버였고, 오노는 아방가르드 예술가이자 공연자였다. 1968년 무렵, 두 사람은 연인 관계가 되었고 여러 음악 프로젝트에서 협업을 시작했다.[1]

플라스틱 오노 밴드라는 이름과 열린 형태의 플라스틱 밴드라는 플럭서스 아이디어는 1967년 오노가 베를린에서 열릴 예술 전시회의 아이디어로 구상했다.[4]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1968년 존 레논에 의해 멀티미디어 머신 마케트(maquette)로 실현되었으며, 이 역시 ''플라스틱 오노 밴드''라고 불렸다.[1] 1968년, 레논과 오노는 개인적, 예술적 관계를 시작했고, 이후의 모든 작업을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작품으로 인정하기로 결정했다. 오노와 레논은 플라스틱 오노 밴드 컨셉과 연결된 좀 더 표준적인 록 음악 기반의 앨범을 녹음하고 발매하기 전에 여러 예술 전시회, 콘서트, 해프닝 및 실험적인 노이즈 음악 녹음 프로젝트에서 협업했다.

1968년 5월에 함께 녹음한 음원은 11월에 실험적인 앨범 ''Unfinished Music No.1: Two Virgins''로 발매되었다.[5] 두 사람은 여름 내내 비틀즈의 동명의 더블 앨범 (일명 "화이트 앨범")에 수록된 실험적인 곡 "Revolution 9" 작업을 했다. 1968년 12월, 레논과 오노는 롤링 스톤스 록 앤 롤 서커스에 에릭 클랩튼, 롤링 스톤스의 키스 리처드,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의 미치 미첼, 바이올리니스트 이브리 기틀리스로 구성된 슈퍼그룹 "The Dirty Mac"으로 함께 출연했다.[6]

2. 2. 결성 및 초기 활동 (1969년 ~ 1970년)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1969년 여름, 비틀즈가 애비 로드(Abbey Road) 앨범 작업을 마무리하며 활동을 잠시 중단한 시기에 결성되었다.[16] 밴드는 "실존하지 않는 개념적인 밴드", "고정 멤버가 없음", "관객도 밴드 멤버"라는 존 레논의 구상에 기반했다.[54][55][56] 녹음이나 공연마다 초빙된 뮤지션이 멤버로 크레딧되었고, 밴드명도 매번 바뀌었다.[57] 밴드명은 오노 요코가 스튜디오에서 플라스틱 스탠드를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58]

1969년 1월, 비틀즈 멤버들은 각자 솔로 활동을 시작했다.[59] 레논은 3월 20일 오노와 결혼 후,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평화를 위한 베드-인"을 진행하며 평화 활동을 펼쳤다.[60] 5월 12일, 레논과 오노는 EMI 스튜디오에서 잼 세션 음원을 믹싱하고 박수를 오버더빙한 "Jam Peace"를 "플라스틱 오노 밴드" 명의로 발표했다.

5월 26일부터 레논과 오노는 캐나다퀘벡주몬트리올에서 두 번째 "베드-인"을 열고, 6월 1일 "평화를 우리에게"와 "요코의 마음"을 녹음했다. 이 두 곡은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첫 싱글로 발매되어 영국 싱글 차트 2위, 빌보드 14위를 기록했다.

9월 12일, 레논은 토론토 록 앤 롤 리바이벌(Toronto Rock and Roll Revival) 페스티벌 주최 측의 제안으로 에릭 클랩튼, 클라우스 부어만, 앨런 화이트와 함께 급히 밴드를 구성했다.[16][17][18] 토론토행 비행기에서 리허설을 진행한 후, 페스티벌에서 록과 실험적인 곡들을 연주했다.[18] 이 공연은 ''토론토 평화 콘서트 1969(Live Peace in Toronto 1969)''로 발매되어 밴드의 첫 LP가 되었다.[19]

9월 말,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콜드 터키(Cold Turkey)를 녹음했다.[20] 폴 매카트니의 거절로 비틀즈 싱글이 되지 못한 이 곡은[21] 링고 스타가 드럼을 연주하고 10월 24일 발매되었으며, 레논의 마약 중독 경험을 다뤄 BBC 등에서 방송 금지되었다.[63][64]

11월 26일, 레논은 유 노우 마이 네임 (넘버를 찾아봐)(You Know My Name (Look Up the Number))와 왓츠 더 뉴 메리 제인(What's the New Mary Jane) 싱글 발매를 추진했으나, EMI와 비틀즈의 반대로 무산되었다.[23]

12월 15일, 런던 유니세프 자선 콘서트 "크리스마스를 위한 평화(Peace for Christmas)"에 에릭 클랩튼, 조지 해리슨, 빌리 프레스턴 등과 "플라스틱 오노 슈퍼그룹"으로 참여했다.[24][25][26] 이후 레논과 오노는 "전쟁은 끝났다! 원한다면 - 존 & 요코로부터 해피 크리스마스(WAR IS OVER! If You Want It – Happy Christmas from John & Yoko)" 광고 캠페인을 진행했다.[27]

1970년 1월, 레논은 인스턴트 카르마!(Instant Karma!)를 하루 만에 작곡, 녹음하고[28] 필 스펙터 프로듀싱으로 2월 6일 발매하여 큰 인기를 얻었다.[29][30]

2. 3. 존 레논과 오노 요코의 앨범 (1970년 ~ 1971년)

1970년 여름, 존 레논오노 요코는 아서 야노프의 지도 아래 원시 요법을 받았다.[31] 이 요법은 레논의 작곡에 큰 영향을 주었다. 그해 9월 말, 두 사람은 런던으로 돌아와 ''존 레논/플라스틱 오노 밴드''와 ''요코 오노/플라스틱 오노 밴드'' 녹음을 시작했다.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핵심 멤버는 베이스의 클라우스 부어만과 드럼의 링고 스타였다. 필 스펙터는 레논의 음반을 공동 프로듀싱했고, 그와 빌리 프레스톤은 몇몇 트랙에서 키보드를 연주했다. 조지 해리슨은 오노의 앨범에 시타르를 연주했다.[32] 레논의 음반은 간결하고 단순한 록으로 구성되었고, 오노의 음반은 실험적이고 전위적인 음악을 특징으로 했다. 두 앨범 모두 12월 11일에 발매되었다.[33][34] 싱글 "Mother" / "Why"가 발매되었으며, 이 곡들은 각각 ''존 레논''과 ''요코 오노''에서 가져온 것이다.

1971년 초, 레논은 빌리 프레스톤, 바비 키스, 클라우스 부어만, 앨런 화이트와 함께 "Power to the People"을 녹음했다. 오노의 B 사이드 "Open Your Box"에는 부어만과 짐 고든이 참여했다. 이 싱글은 3월에 발매되었으며, "John Lennon/Plastic Ono Band"와 "Yoko Ono/Plastic Ono Band"로 각각 명시되었다.[72]

1971년 봄과 여름, 레논과 오노는 각각 앨범 ''Imagine''과 ''Fly''를 녹음했다. "John Lennon/Plastic Ono Band"와 "Yoko Ono/Plastic Ono Band"라는 아티스트 크레딧을 사용했으며,[35] 이 앨범에는 조지 해리슨, 니키 홉킨스, 클라우스 부어만, 앨런 화이트, 짐 켈트너, 짐 고든이 참여했고, 필 스펙터는 ''Imagine''을 공동 프로듀싱했다.[36]

2. 4. 뉴욕으로의 이동과 사회 참여 (1971년 ~ 1973년)

1971년 12월 집회에서 공연하는 오노와 레논


1971년 가을, 레논오노는 영국을 떠나 뉴욕에 정착했다. 그리니치 빌리지에서 이들은 정치적으로 더욱 적극적인 활동을 펼치며 저항적인 노래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이 노래들은 다음 앨범인 ''Some Time in New York City''의 기반이 되었다.

레논과 오노는 엘리펀츠 메모리라는 뉴욕 밴드와 함께 이 앨범을 제작했다. 엘리펀츠 메모리는 기타리스트 웨인 '텍스' 가브리엘, 베이시스트 게리 반 스코이옥, 색소폰 연주자 스탠 브론스타인, 키보디스트 아담 이폴리토와 존 라 부스카, 드러머 리처드 프랭크 주니어로 구성되었다.[37] 필 스펙터가 공동 프로듀싱을 맡았고, 짐 켈트너도 앨범 작업에 참여했다.

''Some Time in New York City''는 1972년 6월 12일에 "존 & 요코/플라스틱 오노 밴드 with 엘리펀츠 메모리 플러스 인비저블 스트링스"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다. 이 앨범에는 1969년 평화를 위한 크리스마스 콘서트와 클라우스 부어만이 베이스를 오버더빙한 1971년 프랭크 자파와의 공연 실황을 담은 ''Live Jam''이라는 두 번째 디스크가 포함되어 있었다.

1972년 8월 30일, 플라스틱 오노 엘리펀츠 메모리 밴드(짐 켈트너 포함)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을 위한 기금 마련을 위해 제럴도 리베라가 주최한 두 번의 "One to One" 자선 콘서트에 참여했다.[40] 이 시점에서 라 부스카는 밴드를 떠났고, 존 워드가 베이시스트로 합류했다.[41] 이 공연은 촬영 및 녹음되어 1986년 2월 앨범 ''Live in New York City''로 발매되었다. 이들은 ''제리 루이스 MDA 노동절 텔레톤''에도 출연했다.[42]

플라스틱 오노 밴드와 엘리펀츠 메모리의 마지막 협업은 오노의 더블 앨범 ''Approximately Infinite Universe''였다. 이 앨범은 1972년 가을 내내 녹음되었으며, 1973년 1월에 발매되었다.[43]

2. 5. 존 레논의 별거와 음악 활동 (1973년 ~ 1974년)

1973년, 존 레논과 오노 요코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8월, 레논은 "잃어버린 주말"이라 불리는 별거 기간을 시작했다.[45] 이 기간 동안 레논은 메이 팡과 함께 로스앤젤레스로 이주했다.

같은 해, 레논은 필링 더 스페이스와 같은 연주자들이 참여한 "플라스틱 U.F.오노 밴드"라는 이름으로 《마인드 게임스》 앨범을 녹음하여 11월에 발매했다.[46] 10월에는 로큰롤 옛 노래 앨범 녹음을 시작했는데, 여기에는 많은 플라스틱 오노 밴드 정규 멤버들이 참여했다. 하지만 이 앨범은 1975년에 《로큰롤》이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을 때 레논 단독 명의로 등재되었다.[47]

《로큰롤》의 세션은 매우 어려움을 겪었고, 나중으로 연기되었다. 1974년 7월, 레논은 《월스 앤 브릿지스》를 녹음하기 위해 뉴욕으로 돌아왔다. 새로운 "플라스틱 오노 핵 밴드"는 《마인드 게임스》에서부터 짐 켈트너, 케네스 아셔, 아서 젠킨스가 계속 참여했고, 클라우스 부어만, 니키 홉킨스, 바비 키스가 복귀했으며, 제시 에드 데이비스와 에디 모토의 기타리스트가 추가되었다.[48] 녹음은 8월에 완료되었고, 앨범은 9월에 발매되었다.

2. 6. 활동 중단과 존 레논의 죽음 (1975년 ~ 1980년)

제공된 소스에는 해당 섹션 제목(활동 중단과 존 레논의 죽음 (1975년 ~ 1980년))에 부합하는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습니다. 요약에 따르면 존 레논의 음악 활동 중단, 숀 레논의 출생, 존 레논의 피살 사건, 그리고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등을 다루어야 하지만, 소스에는 이러한 내용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하기 어렵습니다. 섹션 제목과 요약에 맞는 내용을 소스에서 찾을 수 없기 때문에, 이 섹션은 비워두거나 추가적인 자료를 참고해야 합니다.

2. 7. 재결성 및 현재 (2009년 ~ 현재)

2009년, 오노 요코는 EP ''Don't Stop Me!''를 통해 플라스틱 오노 밴드라는 이름을 다시 사용하기 시작했으며,[49] 이는 앨범 ''Between My Head and the Sky''의 선공개 버전이었다. 이 두 앨범과 이후의 활동은 "요코 오노 플라스틱 오노 밴드"라는 이름으로 발표되었다. 새로운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핵심 멤버는 숀 레논(오노와 레논의 아들), 코르넬리우스(오야마다 케이고), 혼다 유카였다.

2009년부터 밴드는 베이시스트 시미 히로타카 시미즈, 호른 연주자 마이클 레온하트, 첼리스트 에릭 프리들랜더, 드러머 아라키 유코 등 추가 멤버들과 함께 라이브 콘서트를 열었다.[50] 또한 킴 고든, 서스턴 무어, 베트 미들러, 레이디 가가, 마크 론슨, Scissor Sisters, 하퍼 사이먼, 폴 사이먼, 진 윈 등 많은 게스트와 함께 공연했다.

2010년, "We Are the Plastic Ono Band"라는 콘서트에서 오노와 숀 레논은 에릭 클랩튼, 클라우스 부어만, 짐 켈트너와 다시 함께 공연했다.[51] 2011년에는 플레밍 립스와 함께 EP ''The Flaming Lips with Yoko Ono/Plastic Ono Band''를 발매했다.[52] 요코 오노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가장 최근 앨범은 2013년에 발매된 ''Take Me to the Land of Hell''이다.[53] 요코 오노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2015년까지 라이브 활동을 계속했다.

3. 멤버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존 레논이 구상한 "실존하지 않는 개념적인 밴드"이자 "고정 멤버가 없는" 밴드로,[54][56] 녹음이나 공연에 참여한 뮤지션들이 멤버로 기록되었다.[57] 밴드 이름은 오노 요코가 스튜디오에서 플라스틱 스탠드를 사용한 것에서 유래했다.[58]

1969년, 비틀즈 멤버들은 각자 솔로 활동을 시작했고,[59] 레논은 오노와 결혼 후 언론을 이용한 평화 운동을 전개했다.[60] 5월, 레논과 오노는 평화를 우리에게와 요코의 마음을 녹음했고, 이는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첫 싱글로 발매되어 큰 인기를 얻었다.[62]

8월, 애비 로드 녹음 후, 레논과 오노는 에릭 클랩튼 등과 함께 캐나다에서 열린 "토론토 록 앤 롤 리바이벌 콘서트"에 플라스틱 오노 밴드로 처음 출연했다.[62] 이후 콜드 터키와 교코, 걱정 마세요를 녹음해 두 번째 싱글로 발매했다.[63] 콜드 터키는 영국에서 14위, 미국에서 30위를 기록했다.[64] 12월에는 조지 해리슨, 에릭 클랩튼 등이 포함된 "플라스틱 오노 슈퍼 그룹"으로 유니세프 주최 공연에 참여했다.[66]

1970년, 필 스펙터가 프로듀싱한 인스턴트 카르마를 발표, 영국 5위, 미국 3위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69] 이후, 레논과 오노는 각각 솔로 앨범 『존의 영혼』과 『요코의 마음』을 발표했다.[70] 1971년에는 파워 투 더 피플과 해피 크리스마스 (전쟁은 끝났다)를 발표했다.[72]

3. 1. 주요 멤버

다음은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주요 멤버들이다.

  • '''존 레논''' : 밴드의 창립 멤버이자 리더였다. 기타, 보컬, 키보드 등 다양한 악기를 연주했으며, 밴드의 음악적 방향을 설정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 '''오노 요코''' : 밴드의 공동 창립 멤버이자 존 레논의 아내였다. 보컬, 퍼포먼스, 작곡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밴드에 기여했다.
  • '''숀 레논''' : 존 레논과 오노 요코의 아들이다. 2009년 밴드 재결성 이후 핵심 멤버로 활동하며, 기타, 베이스, 키보드, 드럼 등 다양한 악기를 연주하고 프로듀싱에도 참여했다.
  • '''코르넬리우스(오야마다 케이고)''' : 2009년 밴드 재결성 이후 핵심 멤버였다. 기타, 베이스, 프로그래밍 등 다양한 역할을 맡았다.
  • '''혼다 유카''' : 2009년 밴드 재결성 이후 핵심 멤버였다. 프로툴스, 샘플러, 키보드 등 전자 음악 관련 장비를 담당했다.


이 외에도 에릭 클랩튼, 클라우스 포어만, 링고 스타, 조지 해리슨 등 많은 유명 음악가들이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다양한 시기에 멤버로 참여했다.[51]

3. 2. 협력 멤버

다음은 플라스틱 오노 밴드와 협력한 주요 뮤지션들이다.

공연명일시구성원
록앤롤 리바이벌 콘서트1969년 9월 13일존 레논(보컬, 기타), 오노 요코(보컬, 퍼포먼스), 에릭 클랩튼(기타),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앨런 화이트(드럼)
싱글 「콜드 터키 / 쿄코짱 걱정하지마」 레코딩1969년 9월 30일, 10월 3일존 레논(보컬, 기타), 오노 요코(보컬), 에릭 클랩튼(기타),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링고 스타(드럼)
유니세프 『피스 포 크리스마스』 콘서트1969년 12월 15일존 레논(보컬, 기타), 오노 요코(보컬, 퍼포먼스), 조지 해리슨(기타), 에릭 클랩튼(기타), 델라니 & 보니(기타, 퍼커션),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니키 홉킨스(피아노), 빌리 프레스턴(오르간), 보비 휘트록(키보드), 키스 문(드럼), 짐 고든(드럼), 앨런 화이트(드럼), 디노 다넬리(드럼), "레그스" 래리 스미스(드럼), 짐 프라이스(트럼펫), 보비 키즈(색소폰), "수천 명의 관객"[138]
싱글 「누가 바람을 보았는가」 레코딩1970년 1월오노 요코(보컬, 플루트, 리코더), 존 레논(기타), 존 바햄(쳄발로)
싱글 「인스턴트 카르마」 레코딩1970년 1월 27일존 레논(보컬, 키보드), 오노 요코(백 보컬), 빌리 프레스턴(피아노),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백 보컬), 앨런 화이트(드럼, 피아노, 백 보컬), 조지 해리슨(기타, 피아노, 백 보컬), 말 에반스(차임, 손뼉, 백 보컬), 앨런 클라인(백 보컬), 근처 나이트클럽의 손님(백 보컬)
앨범 『존의 영혼』 레코딩1970년 9월 26일~10월 9일존 레논(보컬, 기타, 피아노, 오르간),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링고 스타(드럼), 빌리 프레스턴(피아노), 필 스펙터(피아노)
앨범 『요코의 마음』 레코딩1970년 10월 10일~11월 6일오노 요코(보컬), 존 레논(기타),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링고 스타(드럼), 조지 해리슨(시타르), 오넷 콜먼(트럼펫), 찰리 헤이든, 데이비드 이젠존(콘트라베이스), 에드 블랙웰(드럼)
싱글 「사람들에게 용기를」 레코딩1971년 1월 22일~2월존 레논(보컬, 어쿠스틱 기타, 피아노), 보비 키즈(색소폰), 빌리 프레스턴(피아노, 키보드),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짐 고든(드럼), 로제타 하이타워 외(백 보컬)
싱글 「오픈 유어 박스」 레코딩1971년 1월~3월오노 요코(보컬), 존 레논(기타),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짐 고든(드럼)
프랭크 자파 & 더 마더스 오브 인벤션의 라이브에 게스트 출연1971년 6월 6일존 레논(보컬, 기타), 오노 요코(보컬, 퍼포먼스),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백 보컬), 프랭크 자파(리드 기타, 보컬), 에인즐리 던바(드럼), 밥 해리스(키보드), 하워드 케일런(백 보컬), 짐 폰스(베이스, 백 보컬), 돈 프레스턴(키보드, 일렉트로닉스), 이안 언더우드(키보드, 백 보컬, 우드 윈드), 마크 볼먼(보컬)
앨범 『이매진』 레코딩1971년 6월 23일~7월 5일존 레논(보컬, 일렉트릭 기타, 어쿠스틱 기타, 피아노, 하모니카, 휘슬),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콘트라베이스), 조지 해리슨(일렉트릭 기타, 슬라이드 기타, 도브로 기타), 니키 홉킨스(피아노, 일렉트릭 피아노), 앨런 화이트(드럼, 팅샤, 비브라폰), 짐 켈트너(드럼), 짐 고든(드럼), 킹 커티스(색소폰), 존 바햄(하모늄, 비브라폰), 존 투아웃(피아노), 테드 터너(어쿠스틱 기타), 로드 린턴(어쿠스틱 기타), 조이 모랜드(어쿠스틱 기타), 톰 에반스(어쿠스틱 기타), 앤디 크레스웰 데이비스(어쿠스틱 기타), 마이크 핀더(탬버린), 스티브 브렌델(콘트라베이스, 마라카스) 필 스펙터(백 보컬), 더 플럭스 피들러스[140](현악기)
앨범 『플라이』 레코딩1971년 1월~7월오노 요코(보컬, 클래베스), 존 레논(일렉트릭 기타, 피아노, 오르간, 키보드),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일렉트릭 기타, 벨, 심벌즈, 퍼커션), 보비 키즈(클래베스), 에릭 클랩튼(기타), 짐 켈트너(드럼, 타블라, 퍼커션), 링고 스타(드럼), 짐 고든(드럼), 크리스 오스본(도브로 기타), 조 존스(키보드)
『원 투 원』 콘서트 출연1972년 8월 30일존 레논(보컬, 기타, 키보드), 오노 요코(보컬, 키보드), 존 워드(베이스), 짐 켈트너(드럼), 웨인 텍스 가브리엘(리드 기타), 게리 반 쇼크(베이스), 스탠 브론스타인(색소폰), 아담 이폴리토(키보드), 리차드 프랭크 주니어(드럼)
앨범 『거의 무한한 우주』 레코딩1972년 10월~11월오노 요코(보컬, 피아노), 존 레논(기타, 백 보컬), 믹 재거(기타), 웨인 텍스 가브리엘(리드 기타), 게리 반 쇼크(베이스, 트럼펫), 스탠 브론스타인(색소폰, 플루트, 클라리넷), 아담 이폴리토(피아노, 해먼드 오르간, 하모니움, 트럼펫), 리차드 프랭크 주니어(드럼, 퍼커션), 달리아 프라이스(캐스터네츠)
앨범 『마인드 게임스』 레코딩1973년 7월~8월존 레논(보컬, 기타, 클라비코드, 퍼커션), 켄 아셔(피아노, 해먼드 오르간, 멜로트론), 데이비드 스피노자(리드 기타), 고든 에드워즈(베이스), 짐 켈트너(드럼), 릭 마로타(드럼), 마이클 브레커(색소폰), 스니키 피트 클라이노우(페달 스틸 기타), 썸씽 디퍼런트(백 보컬)
앨범 『어린 시절의 꿈』 레코딩1974년 7월~8월존 레논(보컬, 기타, 피아노, 휘슬, 퍼커션), 엘튼 존(보컬, 피아노, 오르간), 니키 홉킨스(피아노), 제시 에드 데이비스(기타), 클라우스 포어만(베이스), 짐 켈트너(드럼), 할 블레인(드럼), 줄리안 레논(드럼), 에디 모토우(어쿠스틱 기타), 켄 아셔(피아노, 해먼드 오르간, 멜로트론), 아서 젠킨스(퍼커션), 해리 닐슨(백 보컬), 리틀 빅 혼스, 더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현악기, 관악기), 44th 스트리트 페어리즈
앨범 『A STORY』, 싱글 「꿈을 갖자」 레코딩1974년오노 요코(보컬), 데이비드 스피노자(기타), 휴 맥크라켄(기타), 고든 에드워즈(베이스), 켄 아셔(키보드), 레온 펜더비스(키보드), 아서 젠킨스(퍼커션), 릭 마로타(드럼), 마이클 브레커(테너 색소폰), 랜디 브레커(트럼펫), 앨런 루빈(트럼펫), 루 델 가토(바리톤 색소폰, 베이스 클라리넷), 조지 영(플루트, 클라리넷), 앤 E. 서튼(백 보컬), 에린 디킨스(백 보컬), 게일 칸타(백 보컬), 루이즈 메시나(백 보컬), 썸씽 디퍼런트(백 보컬)
앨범 『비트윈 마이 헤드 앤 더 스카이』 레코딩2009년오노 요코(보컬), 숀 레논(어쿠스틱 & 일렉트릭 기타, 피아노, 키보드, 베이스, 드럼, 퍼커션), 고야마다 케이고(기타, 베이스, 테노리온, 프로그래밍, 퍼커션), 시미즈 히로타카(기타, 퍼커션), 아라키 유코(드럼, 퍼커션), 혼다 유카(프로툴스, 샘플러, 일렉트릭 피아노, 오르간, 퍼커션), 샤자드 이스마일리(기타, 베이스, 드럼, 퍼커션), 마이클 레온하르트(트럼펫, 비브라폰, 퍼커션), 에릭 프리드랜더(첼로), 다니엘 카터(테너 색소폰, 플루트), 인디고 스트리트(기타)
「WE ARE PLASTIC ONO BAND」 뉴욕 공연2010년 2월 16일오노 요코(보컬), 숀 레논(기타), 혼다 유카(키보드), 고야마다 케이고(기타), 시미즈 히로타카(기타, 퍼커션), 아라키 유코(드럼, 퍼커션), 호소노 하루오미(베이스), 스페셜 게스트: 에릭 클랩튼, 클라우스 포어만, 서스턴 무어, 킴 고든, 폴 사이먼, 벳 미들러, 짐 켈트너, 마크 론슨
앨범 『지옥의 끝까지 데려가줘』 레코딩2013년오노 요코(보컬), 숀 레논(보컬, 기타, 베이스, 드럼 머신, 키보드, 퍼커션, 신시사이저), 혼다 유카(키보드, 로즈 피아노, 신시사이저), 고야마다 케이고(기타, 신시사이저), 시미즈 히로타카(기타), 아라키 유코(드럼, 퍼커션, 신시사이저), 크리스토퍼 쉰 파웰(퍼커션), 레니 크라비츠(드럼, 클라리넷), 메릴 가버스 (빈 병, 드럼, 퍼커션, 로즈 피아노, 목소리), 네이트 브레너(베이스, 빈 병, 퍼커션, 목소리), 케빈 하퍼(빈 병), 애드락(프로그래밍 드럼), 마이크 D(프로그래밍 드럼), 마이클 레온하르트(멜로폰, 퍼커션), 넬스 클라인(기타, 랩 스틸 기타, 루프 스테이션, 퍼커션), 퀘스트러브(드럼), 자레드 새뮤얼(퍼커션, 신시사이저), 샤자드 이스마일리(기타, 베이스, 퍼커션), 앤드류 와이어트(로즈 피아노), 에릭 프리드랜더(첼로), 조이스 햄먼(바이올린), 로이스 마틴(비올라), 빌 다블로우(드럼, 퍼커션), 줄리안 레이지(어쿠스틱 기타), 토마스 바틀렛(피아노)


4. 음악 스타일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음악 스타일은 매우 실험적이고 전위적(아방가르드)이다.[55] 록, 팝, 프리 재즈 등 다양한 장르를 융합한 음악을 선보였다.[54][56] 특히 오노 요코의 독특한 보컬은 밴드의 음악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였다.[57]

1969년 존 레논과 오노 요코는 "평화를 우리에게"를 녹음하여 플라스틱 오노 밴드 명의로 첫 싱글을 발매했다.[60] 이 곡은 영국 싱글 차트 2위, 빌보드 차트 14위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이후 "콜드 터키"와 "교코, 걱정 마세요"를 싱글로 발매했다.[63] "콜드 터키"는 BBC 등에서 방송 금지곡으로 지정되었지만,[64] 영국 14위, 미국 30위를 기록했다.

1970년에는 필 스펙터 프로듀싱 하에 "인스턴트 카르마"를 발표하여 영국 5위, 미국 3위를 기록하는 대히트를 기록했다.[69] 같은 해, 레논과 오노는 각각 《존의 영혼》과 《요코의 마음》을 발표했다.[70]

1971년에는 "파워 투 더 피플"을 발표했으며,[72] 같은 해 프랭크 자파 & 더 마더스 오브 인벤션의 공연에 게스트로 참여하기도 했다.[76] 또한, "해피 크리스마스 (전쟁은 끝났다)"를 녹음하여 발표했다.[77]

1972년에는 정치적인 메시지를 담은 앨범 《섬타임 인 뉴욕 시티》를 발표했지만, 평론가들로부터 혹평을 받고 상업적으로도 실패했다.[80]

이후에도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다양한 음악적 시도를 이어갔으며, 오노 요코는 2009년 밴드를 재결성하여 현재까지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5. 사회적, 정치적 활동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음악 활동 외에도 다양한 사회적, 정치적 활동에 참여했다. 존 레논과 오노 요코는 1969년 3월 20일에 결혼한 후, 첫 번째 "평화를 위한 베드인" 행사를 개최했다.[8][9] 이들은 언론의 관심을 평화 옹호에 활용했다. 1969년 5월 말과 6월 초에 몬트리올에서 열린 두 번째 베드인에서는 "Give Peace a Chance"를 녹음하여 플라스틱 오노 밴드 명의의 싱글로 발매했다.[12] 이 곡은 반전 운동의 상징적인 노래가 되었다.

1969년 몬트리올에서 "Give Peace a Chance"를 연주하는 레논


1969년 12월 15일,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런던에서 UNICEF 자선 콘서트 "크리스마스를 위한 평화(Peace for Christmas)"에 참여했다.[24] 이후 레논과 오노는 주요 도시 광고판에 "전쟁은 끝났다! 원한다면 - 존 & 요코로부터 해피 크리스마스(WAR IS OVER! If You Want It – Happy Christmas from John & Yoko)"라는 문구를 내걸며 평화 캠페인을 벌였다.[27]

1971년, 레논과 오노는 뉴욕으로 이주하여 정치적으로 더 적극적인 활동을 시작했다.[37] 그들은 저항적인 노래를 썼고, 이는 앨범 ''Some Time in New York City''의 기초가 되었다. 1971년 크리스마스 싱글 "Happy Xmas (War Is Over)"는 "John & Yoko/The Plastic Ono Band"로 발매되었으며,[38] 이 곡 역시 반전 운동의 대표곡으로 자리 잡았다.

1972년 8월 30일, 플라스틱 오노 엘리펀츠 메모리 밴드는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을 위한 자선 콘서트 "One to One"을 열었다.[40]

6. 음반 목록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정규 음반, 라이브 음반, 컴필레이션 음반, EP 등 다양한 형태의 음반을 발매했다.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음반 목록
종류음반명발매일비고
정규 음반
라이브 음반
컴필레이션 음반
EP


6. 1. 정규 음반

6. 2. 라이브 음반

6. 3. 컴필레이션 음반

6. 4. EP


  • Don't Stop Me! (2009)
  • The Flaming Lips with Yoko Ono/Plastic Ono Band (2011)

7. 평가 및 영향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대중음악 역사에서 매우 독창적이고 영향력 있는 밴드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 밴드는 실험적인 음악과 사회적인 메시지를 담은 노래로, 기존 대중음악의 틀을 깨고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특히, 오노 요코의 예술적인 영향은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음악적 정체성을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한국을 포함한 전 세계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많은 음악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예를 들어, 일본의 록 밴드 사디스틱 미카 밴드는 플라스틱 오노 밴드의 이름을 패러디하여 밴드 이름을 지었다.[141] 또한, 폴 매카트니는 자신의 노래 커밍 업의 뮤직 비디오에서 "THE PLASTIC MACS"라는 드럼 세트와 "ザ・プラスティック・マックス"라고 적힌 티셔츠를 입은 베이시스트를 등장시켜 플라스틱 오노 밴드를 오마주하기도 했다.

8. 한국과의 관계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한국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지만, 이들의 음악적 철학과 실험 정신은 한국 대중음악에 알게 모르게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8. 1. 한국 대중음악에 미친 영향

플라스틱 오노 밴드는 "실존하지 않는 개념적인 밴드", "고정 멤버가 없음", "관객도 밴드 멤버"[55]라는 존 레논의 구상에 기초하고 있다.[54][56] 녹음이나 공연을 할 때마다 초빙된 뮤지션이 멤버로 기록되었고, 밴드 이름도 그때마다 변화했다.[57] 밴드 이름은 오노 요코가 스튜디오에서 플라스틱제 스탠드를 사용했던 것에서 연유하여 레논이 지었다.[58]

참조

[1] 서적 John & Yoko/Plastic Ono Band Thames & Hudson Ltd 2020-10
[2] 서적 John & Yoko/Plastic Ono Band Thames & Hudson Ltd 2020-10
[3] 웹사이트 Yoko QandA day – Fridays on Twitter http://imaginepeace.[...] Imagine Peace 2010-01-01
[4] 서적 John & Yoko/Plastic Ono Band Thames & Hudson Ltd 2020-10
[5] 웹사이트 Unfinished Music, No. 1: Two Virgins – John Lennon,Yoko Ono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5-08-24
[6] 웹사이트 The Dirty Mac | New Music And Songs | http://www.mtv.com/a[...] Mtv.com 1968-12-11
[7] 웹사이트 Unfinished Music, No. 2: Life with the Lions – John Lennon,Yoko Ono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5-08-24
[8] 웹사이트 20 March 1969: John Lennon marries Yoko Ono http://www.beatlesbi[...] The Beatles Bible 1969-03-20
[9] 웹사이트 25 March 1969: John and Yoko's first bed-in for peace – Amsterdam http://www.beatlesbi[...] The Beatles Bible 1969-03-25
[10] 웹사이트 Wedding Album – John Lennon,Yoko Ono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5-08-24
[11] 서적 All Things Must Pass Scrapbook Capitol Records/Calderstone Productions 2021
[12] 웹사이트 26 May 1969: John and Yoko's second bed-in for peace: Montreal http://www.beatlesbi[...] The Beatles Bible 1969-05-26
[13] 서적 Revolution in the Head Pimlico
[14] 웹사이트 John Lennon: Give Peace A Chance | The Beatles Bible – Part 2 http://www.beatlesbi[...] The Beatles Bible 2010-08-03
[15]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on a hit, everybody! By Derek Taylor of The Plastic Ono Band http://homepage.ntlw[...] 1969-07-26
[16] 웹사이트 12 September 1969: John Lennon decides to leave The Beatles http://www.beatlesbi[...] The Beatles Bible 1969-09-12
[17] 서적 That Magic Feeling: The Beatles' Recorded Legacy, Volume Two, 1966–1970 Three Rivers Press
[18] 웹사이트 13 September 1969: Plastic Ono Band live at the Toronto Rock and Roll Revival festival http://www.beatlesbi[...] The Beatles Bible 1969-09-13
[19] 문서 Live Peace in Toronto 1969
[20] 서적 John Lennon: The Stories Behind Every Song 1970–1980 Carlton Books
[21] 서적 The Love You Make: An Insider's Story of The Beatles McGraw-Hill, 1983. New American Library, 2002
[22] 서적 John Lennon: The Stories Behind Every Song 1970–1980 Carlton Books
[23] 서적 The Complete Beatles Chronicle Harmony Books
[24] 서적 Lennonology – Strange Days Indeed – A Scrapbook Of Madness Chesterfield, MO: Open Your Books, LLC
[25] 서적 The Complete Beatles Chronicle Harmony Books
[26] 웹사이트 15 December 1969: Plastic Ono Band live at Lyceum Ballroom, London http://www.beatlesbi[...] The Beatles Bible 1969-12-15
[27] 서적 John Lennon: Listen to This Book Paper Jukebox
[28] 서적 All Together Now: The First Complete Beatles Discography 1961–1975 Ballantine Books
[29] 서적 The Complete Beatles Chronicle Harmony Books
[30] 서적 John Lennon: Listen to This Book Paper Jukebox
[31] 서적 The Beatles Diary After the Break-Up: 1970–2001 Music Sales Group
[32] 서적 The Beatles Solo on Apple Records 498 Productions
[33] 웹사이트 Plastic Ono Band – John Lennon, Plastic Ono Band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5-08-24
[34] 웹사이트 Yoko Ono/Plastic Ono Band – Yoko Ono, Plastic Ono Band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5-08-24
[35] 서적 All Together Now: The First Complete Beatles Discography 1961–1975 https://archive.org/[...] Ballantine Books
[36] 서적 The Beatles Solo on Apple Records 498 Productions
[37] 문서 Some Time in New York City (Inner sleeve) Apple, EMI
[38] 웹사이트 John Lennon: Happy Xmas (War Is Over) http://www.beatlesbi[...] The Beatles Bible 2010-08-07
[39] 웹사이트 Gary van Scyoc http://garyvanscyoc.[...] Garyvanscyoc.com 2020-04-06
[40] 서적 Eight Arms to Hold You: The Solo Beatles Compendium 44.1 Productions
[41] 웹사이트 Live in New York City – John Lennon | Credit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5-08-24
[42] 서적 NME Rock 'N' Roll Years Reed International Books Ltd
[43] 웹사이트 Approximately Infinite Universe – Yoko Ono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5-08-24
[44] 웹사이트 Feeling the Space – Yoko Ono | Credit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5-08-24
[45] 서적 The John Lennon Encyclopedia
[46] 서적 John Lennon: Listen to This Book Paper Jukebox
[47] 웹사이트 Rock 'N' Roll – John Lennon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1975-02-17
[48] 문서 Walls and Bridges (Booklet) Apple, EMI
[49] 웹사이트 Yoko Ono Plastic Ono Band: Don't Stop Me! EP http://imaginepeace.[...] Imaginepeace.com 2015-08-24
[50] 웹사이트 16 February 2010 – Plastic Ono Band http://www.whereseri[...] Whereseric.com 2010-02-16
[51] 웹사이트 BAM! by Yoko Ono: We Are Plastic Ono Band: Yoko + incredible special guests: Brooklyn Academy of Music, NY 16 Feb http://imaginepeace.[...] Imaginepeace.com 2010-02-20
[52] 웹사이트 The Flaming Lips 2011 #9: The Flaming Lips with Yoko Ono/Plastic Ono Band – The Flaming Lips,Yoko Ono | Credit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2-12-31
[53] 웹사이트 Take Me to the Land of Hell – Yoko Ono, Plastic Ono Band | Songs, Reviews, Credits, Awards http://www.allmusic.[...] AllMusic 2013-09-24
[54] 웹사이트 Plastic Ono Band {{!}} Biography & History AllMusic 2020-06-20
[55] 문서 「You Are The Plastic Ono Band」というスローガンを掲げていた。
[56] 웹사이트 Congratulations on a hit, everybody! By Derek Taylor of The Plastic Ono Band https://web.archive.[...] Disc and Music Echo 1969-07-26
[57] 문서 「プラスティック・オノ・バンド」という名称(別名も含む)がレコード盤レーベルにクレジットされているアルバムは『サムタイム・イン・ニューヨーク・シティ』までであり、オノの『空間の感触』を除き、ジャケットに記載されることもなくなった。レノンのシングル盤でも「マインド・ゲームス」以降は「真夜中を突っ走れ」のレーベルに「WITH THE PLASTIC ONO NUCLEAR BAND」とクレジットされたのが最後である(ベスト盤、再発盤を除く)。またオノのシングル盤では「ウーマン・パワー」以降は2枚の日本限定シングルを除きクレジットされていない。
[58] 웹사이트 Yoko QandA day – Fridays on Twitter http://imaginepeace.[...] Imagine Peace 2010-01-01
[59] 문서 ポール・マッカートニーは[[メリー・ホプキン]]の、ジョージ・ハリソンはビリー・プレストンのプロデュースを行い、リンゴ・スターは主演映画『[[マジック・クリスチャン]]』の撮影に入っていた。
[60] 문서 この模様の一部は『[[ウェディング・アルバム]]』のB面に収録されている。
[61] 서적 All the Songs: The Story Behind Every Beatles Release Black Dog & Leventhal
[62] 문서 同公演の模様はアルバム『[[平和の祈りをこめて]]』として12月12日に発表された
[63] 문서 この間の9月20日、レノンは[[アップル・コア]]で行われた会議でビートルズからの脱退を宣言したが、当時このことはレコード会社との契約更新に悪影響があることを恐れた[[アラン・クレイン]]の説得で秘密にされていた。
[64] 문서 レノンは「反ドラッグ・ソング」のつもりだったが、題名や歌詞の内容がドラッグを助長するものと捉えられてしまった。
[65] 문서 ビートルズとして録音した楽曲を、当時すでにグループを脱退していたレノンが発表することに一部のメンバーが反対したためであった。その後「ユー・ノウ・マイ・ネーム」は1970年3月にシングル「[[レット・イット・ビー (曲)|レット・イット・ビー]]」のカップリング曲となった。また「ホワッツ・ザ・ニュー・メリー・ジェーン」は1996年に発売された『[[ザ・ビートルズ・アンソロジー3]]』に収録された。
[66] 웹사이트 15 December 1969: Plastic Ono Band live at Lyceum Ballroom, London http://www.beatlesbi[...] The Beatles Bible 1969-12-15
[67] 웹사이트 WAR IS OVER! http://imaginepeace.[...] IMAGINE PEACE 2018-11-11
[68] 웹사이트 John Lennon writes and records 'Instant Karma' in a single day http://www.history.c[...] history.com 2010-01-27
[69] 문서 これがきっかけとなり、スペクターはビートルズの『[[レット・イット・ビー]]』、レノンやハリスンのソロ作品の制作に関わることになった。
[70] 문서 発売当初の邦題は『ヨーコの芸術』だった。
[71]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マルクス主義新聞『レッド・モール』によるイギリスの労働運動家 [[:en: Tariq Ali |タリク・アリ]] と歴史学者 [[:en: Robin Blackburn|ロビン・ブラックバーン]]との対談
[72]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アメリカでは「オープン・ユア・ボックス」が[[キャピトル・レコード|キャピトル]]側から拒否されたため、アルバム『[[:en: Yoko Ono/Plastic Ono Band|ヨーコの心/プラスティック・オノ・バンド]]』に収録されていた「[[:en:Touch Me (Yoko Ono song)|タッチ・ミー]]」を編集した短縮版に差し替えて22日にリリースされた。
[73] 웹사이트 God Save Oz https://www.beatlesb[...] The Beatles Bible 2022-02-17
[74]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エリオットは、その後、1974年に[[ジョージ・ハリスン]]が設立したダーク・ホース・レーベルからデュオグループ、[[:en: Splinter (band)|スプリンター]]としてデビューした。
[75]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プラスティック・オノ・バンド」をもじり、「ゴム製のバンド」という意味の「Elastic Band」と「Oz」を組み合わせて命名された。
[76]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レーベル面のクレジットは「JOHN & YOKO PLASTIC ONO BAND with FRANK ZAPPA AND THE MOTHERS OF INVENTION」となっていたが、ジャケットの見開き面には「PLASTIC ONO MOTHERS」と記載されていた。
[77]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1998年に発表された[[ジョン・レノン・アンソロジー]]に10日の出番から「ラック・オブ・アイリッシュ」「ジョン・シンクレア」の2曲、17日のライヴからは「アッティカ・ステート」「イマジン」が収録された。
[78]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さらに1972年2月の滞在査証の失効後は延長を認められず、3月に移民管理局から国外退去を命じられていた。以後1975年10月に命令を取り消す判決が出るまでアメリカ政府との法廷闘争が続いた。
[79]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日本では先行シングルとして「リバレーション・スペシャル」とカップリングで発売された。
[80]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イギリスでは逆に高評価で11位を記録した。
[81]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アメリカ移住後の政治的な発言や活動、ジェリー・ルービンなど左翼活動家との交流などが影響して、当時の[[リチャード・ニクソン]]政権から危険視されていた。
[82]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移民管理局による国外退去命令に対する取り消し訴訟やノーザン・ソングスからの契約違反訴訟、元マネージャーの[[アラン・クライン]]からの融資返済訴訟など。
[83] 뉴스 A Brush With a Beatle New York Times 2010-03-07
[84] 웹사이트 John Lennon and Yoko Ono write the Declaration of Nutopia https://www.beatlesb[...] The Beatles Bible 2022-02-17
[85] 웹사이트 1973 The German women’s movement creates publicity with imaginative and provocative campaigns. Homosexual women, having previously been co-operating with men, now join the feminists. https://en.frauenmed[...] Frauen Media Turm 2022-02-17
[86]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この模様の一部「I Learned to Stutter/Coffin Car」は1997年に発表された『空間の感触』の再発盤にボーナス・トラックとして収録された。
[87] 웹사이트 Yoko & John Coffin Car at First International Feminist Conference 1973 https://mike3839.com[...] Papablues Scrapbook 2022-02-17
[88]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もう1曲の全米1位シングル「[[スターティング・オーヴァー]]」はレノンの死後に獲得したものだったので、このシングルが生前唯一の全米1位であった。
[89]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開催地は郡山の他、東京(11日:中野サンプラザ、12日:新宿厚生年金会館)、名古屋(13日:名古屋市公会堂)、広島(17日:広島県立体育館)、大阪(19日:厚生年金会館)。
[90]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オノのソロ・アルバム『[[:en:A Story|ア・ストーリー]]』のレコーディング・セッションで録音された楽曲。セッションに参加していたミュージシャンを含む7名が日本ツアーに同行した。その後アルバム『ア・ストーリー』は長い間未発売となっていたが、1992年に発売された『[[:en: Onobox|オノボックス]]』のディスク6に一部収録された。また1997年になって発表された。
[91] 웹사이트 音楽のパワー!!~広がる輪。つながる心~広報こおりやま https://www.city.kor[...] 福島県郡山市 2022-01-16
[92]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この野外公演は8月4日、5日、8~10日の5日間行われ、[[内田裕也]]、[[沢田研二]]、[[井上堯之バンド]]、[[上田正樹]]、[[安全バンド]]、[[黄色|イエロー]]、[[トランザム (バンド)|トランザム]]、[[かまやつひろし]]、[[クリエイション]]、[[加藤和彦]]、[[外道(バンド)|外道]]、[[四人囃子]]、[[ウエスト・ロード・ブルース・バンド]]、[[ダウン・タウン・ブギウギ・バンド]]、[[つのだひろ]]、[[はちみつぱい]]、[[めんたんぴん]]、[[りりぃ]]、[[センチメンタル・シティ・ロマンス]]、[[サディスティック・ミカ・バンド]]、[[シュガー・ベイブ]]、[[サンハウス]]らが出演していた。オノは大トリを務め、圧倒的なステージを披露した。最後に歌った「夢を持とう」はこのイベントの趣旨に賛同して作られた新曲だった。
[93]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もしシングル「真夜中を突っ走れ」が全米1位になったらコンサートで共演する約束をしていたレノンが、1974年11月28日に[[マディソン・スクエア・ガーデン]]で行われたエルトン・ジョンのニューヨーク公演に出演した後、来場していたオノと和解したと言われている。なお、共演の模様はシングル「[[:en: Made in England (song)|メイド・イン・イングランド]]」に収録されている。
[94]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10月7日に国外退去命令破棄の判決が下され、9日にはショーンが誕生していた。
[95] 문서 # 상세 분류가 어려워 '문서'로 지정 「ASK THE ELEPHANT!」と「CALLING」の2曲
[96] 뉴스 特集:ショーン レノン キメラ・ミュージックを語る https://www.cdjourna[...] CDJournal 2022-01-28
[97] 뉴스 ショーン・レノンのレーベル・イベントに、小山田圭吾や豪華メンツが集結! https://ticket-news.[...] チケットぴあ 2022-01-28
[98] 뉴스 オノ・ヨーコ、小山田圭吾らと新生「Plastic Ono Band」結成! https://openers.jp/l[...] OPENERS 2022-01-28
[99] 뉴스 特集:ショーン レノン キメラ・ミュージックを語る https://www.cdjourna[...] CDJournal 2024-01-28
[100] 뉴스 プロドラマーあらきゆうこ「オノ・ヨーコさんに初めて会った時は背筋が伸びるような感覚が」 https://www.nikkan-g[...] 日刊ゲンダイ 2024-02-15
[101] 뉴스 僕らの音楽#274 オノ ヨーコ https://www.fujitv.c[...] フジテレビ 2022-01-28
[102] 뉴스 オノ・ヨーコ、ショーン・レノン、細野、小山田らがTV番組『僕らの音楽』に出演 https://rockinon.com[...] rockinon.com 2022-01-28
[103] 뉴스 オノ・ヨーコ、待望の来日ライヴ・ツアーに細野晴臣の参加が決定! https://tower.jp/art[...] TOWER RECORDS ONLINE 2022-01-28
[104] 뉴스 オノ・ヨーコ「僕らの音楽」で小山田、細野らと豪華競演実現 https://natalie.mu/m[...] 音楽ナタリー 2022-01-28
[105] 뉴스 今週の徹子の部屋10月6日(火)出演オノ・ヨーコ「愛息と共にオノ・ヨーコ亡夫の思い」 https://www.tv-asahi[...] テレビ朝日 2022-01-28
[106] 뉴스 オノ・ヨーコが息子ショーンとともに「徹子の部屋」訪問 https://natalie.mu/m[...] 音楽ナタリー 2009-10-02
[107] 뉴스 オノ・ヨーコ 23年ぶりに著作、音楽活動も本格化 http://www.asahi.com[...] 朝日新聞DIGITAL 2009-12-09
[108] 문서
[109] 뉴스 オノ・ヨーコさんのバンドが限定コンサート-細野晴臣さんらも出演 https://newyork.keiz[...] ニューヨーク経済新聞 2010-02-15
[110] 뉴스 PLASTIC ONO BANDのLA公演にLADY GAGA、IGGY POPら参加 https://tower.jp/art[...] TOWER RECORDS ONLINE 2010-09-01
[111] 뉴스 元smorgasドラムス・あらきゆうこ、レディ・ガガと共演 https://www.barks.jp[...] BARKS 2010-10-05
[112] 뉴스 プラスティック・オノ・バンドのライブでレディー・ガガとオノ・ヨーコが共演 https://rockinon.com[...] rockinon.com 2010-10-05
[113] 뉴스 オノ・ヨーコとレディー・ガガ夢の共演、ガガの衣装は「ソマルタ」 https://www.afpbb.co[...] MODE PRESS 2010-10-04
[114] 뉴스 チャリティーコンサート「YOKO ONO & FRIENDS TO JAPAN WITH LOVE」のご報告 http://www.chimeramu[...] キメラ・ミュージック 2011-03-31
[115] 뉴스 オノ・ヨーコ、坂本龍一さんら、NYで復興支援公演 https://www.asahi.co[...] 朝日新聞DIGITAL 2011-03-28
[116] 문서
[117] 뉴스 ジョンとヨーコとアイスランド 世界一平和な国から発信するメッセージ~北欧・福祉社会の光と影 https://jbpress.isme[...] JBpress 2013-10-17
[118] 뉴스 オノ・ヨーコ、フレーミング・リップスとX'mas曲で共演! 「情熱大陸」にも登場 https://tower.jp/art[...] "=TOWER RECORDS ONLINE" 2011-12-07
[119] 뉴스 Flaming Lips & Heady Fwends: フレーミング リップスと愉快な仲間たち https://www.hmv.co.j[...] HMV ONLINE 2012-07-25
[120] 뉴스 D/B Recommended: Yoko Ono & The Plastic Ono Band @ Volksbühne Berlin | Sunday, 17.02.2013 https://www.digitali[...] digitalinberlin.de 2013-02
[121] 뉴스 Happy 80th Birthday, Yoko! https://www.thefest.[...] The Fest.com 2013-02-17
[122] 뉴스 Yoko Ono Plastic Ono Band Setlist at Volksbühne, Berlin, Germany https://www.setlist.[...] setlist.fm 2014-08-10
[123] 뉴스 オノ・ヨーコ、2013 Meltdown Festival のディレクターに就任! YOKO ONO PLASTIC ONO BANDのライブパフォーマンス決定! http://www.chimeramu[...] キメラ・ミュージック 2013-04-05
[124] 뉴스 今年のメルトダウン・フェスにオノ・ヨーコ、イギー・ポップ、サーストン・ムーア、パティ・スミスらの出演が決定 https://rockinon.com[...] rockinon.com 2013-04-05
[125] 뉴스 Yoko Ono Plastic Ono Band Setlist at Royal Festival Hall, London, England https://www.setlist.[...] setlist.fm 2014-08-10
[126] 뉴스 Take Me To The Land Of Hell: 地獄の果てまで連れてって https://www.hmv.co.j[...] HMV&BOOKS online 2013-07-26
[127] 뉴스 YOKO ONO PLASTIC ONO BAND 4年振りの新作「地獄の果てまで連れてって」(TAKE ME TO THE LAND OF HELL)特別ディスク「愛」(オノ・ヨーコ: 歌 / 横尾忠則:画) 付き豪華仕様にて9月12日に日本先行発売が正式決定! http://www.chimeramu[...] キメラ・ミュージック 2013-07-26
[128] 뉴스 Yoko Ono, Flaming Lips Deliver Message on ‘Letterman’ https://www.rollings[...] RollingStone.com 2013-10-03
[129] 뉴스 「バッド・ダンサー/BAD DANCER」MVが2013年度のミュージックビデオベスト20に選出! http://www.chimeramu[...] キメラ・ミュージック 2013-12-24
[130] 뉴스 Yoko Ono Plastic Ono Band at Glastonbury 2014 review – between ludicrous and lovabl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4-06-29
[131] 뉴스 Yoko Ono Plastic Ono Band Setlist at Worthy Farm, Pilton, England https://www.setlist.[...] setlist.fm 2014-06-29
[132] 뉴스 今年のヘッドライナーはフランツ・フェルディナンド、 アーケイド・ファイア、ジャック・ジョンソン! 元祖野外フェス『FUJI ROCK FESTIVAL '14』が いよいよ来週末開催へ http://kansai.pia.co[...] ぴあ関西版WEB ONLINE 2014-07-17
[133] 뉴스 Yoko Ono Plastic Ono Band Setlist at Naeba Ski Resort, Yuzawa, Japan https://www.setlist.[...] setlist.fm 2014-07-26
[134] 뉴스 YOKO ONO @ MOMA – NEW YORK – MAY 17 – SEPT 7 – 2015 http://untitled-maga[...] The Untitled Magazine.com 2015-06-04
[135] 뉴스 YOKO ONO PLASTIC ONO BAND – LIVE @ MOMA https://madelinex.co[...] madelinex.com 2015-08-16
[136] 뉴스 Yoko Ono Plastic Ono Band Setlist at Museum of Modern Art, New York, NY, USA https://www.setlist.[...] setlist.fm 2015-08-15
[137] 웹사이트 British singer Petula Clark reminisces about the night she was heckled in Montreal and went to John Lennon for advice https://www.standard[...] 2019-07-31
[138] 문서
[139] 문서
[140] 문서
[141] 간행물 주식회사 뮤직 매거진 2006-12-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