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레블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플레블랴는 몬테네그로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플레블랴 시의 행정 중심지이다. 선사 시대부터 로마 제국, 중세 세르비아 왕국, 오스만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거쳐 유고슬라비아에 편입되는 등 복잡한 역사를 지녔다. 현재는 몬테네그로의 주요 경제 중심지 중 하나로, 석탄 채굴과 화력 발전이 주요 산업이며, 다양한 문화 유적과 스포츠 시설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지방 자치체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체티네
체티네는 몬테네그로 남부에 위치한 역사적 중심지이자 구 왕궁 도시로, 15세기 말 수도 이전과 함께 건설되었으며 중요한 문화 유적지와 푸른 궁전을 보유하고 몬테네그로의 역사와 문화를 보존하는 역할을 한다. - 몬테네그로의 도시 - 샤브니크
샤브니크는 1861년 몬테네그로에 설립된 도시로, 샤브니크 강에 제분소가 건설된 후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시대 산업화 부재로 경제 침체를 겪고 인구 감소 추세에 있으며, 니크시치와 자블략을 연결하는 도로가 유일한 교통 수단이다.
플레블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플레블랴 |
원어 이름 | Пљевља |
다른 이름 |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Пљевља 알바니아어: Plevla 터키어: Taşlıca |
유형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 | |
![]() | |
![]() | |
![]() | |
![]() | |
![]() | |
![]() | |
![]() | |
행정 구역 | |
국가 | 몬테네그로 |
지역 | 북부 |
지방 자치체 | 플레블랴 |
하위 행정 구역 | 153개 정착지 |
시장 및 의회 | |
시장 | 다리오 브라네시 |
소속 정당 | NSD |
지리 | |
해발고도 | 770m |
면적 | 1346km2 |
인구 | |
총 인구 (2023년) | 24,542명 |
도시 인구 | 16,419명 (감소) |
농촌 인구 | 8,123명 (감소) |
인구 밀도 | 27명/km2 |
거주민 | 플레블랴인(들) |
기타 정보 | |
설립 | 6세기와 7세기 사이 |
우편 번호 | 84210 |
지역 번호 | +382 52 |
ISO 3166-2 코드 | ME-14 |
차량 번호판 | PV |
기후 | Cfb |
시간대 | UTC+1 |
하계 시간 (DST) | CEST |
하계 시간 (DST) UTC 오프셋 | +2 |
웹사이트 | 플레블랴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플레블랴(Pljevlja)에서 인류가 거주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빙하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석기 시대에 메데나 스티에나(Medena Stijena)에 세워진 취락이 훨씬 더 규모가 컸다.
이후 1세기에 로마 제국이 동지를 침략해 올 때까지 일리리아인들이 생활했다. 로마 제국의 지배 하에서 일리리아 시대의 폐허 위에 로마인들이 도시를 건설했다. 이 도시는 '''S 자치체'''(S는 이 땅의 폐허에서 발견된 문자의 머리글자)라고 불린다. 현재의 몬테네그로 영토 내에서는 도클레아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도시였다고 여겨진다. 이 도시는 상달마티아 속주의 무역 및 종교의 중심지였으며, 보석이나 유리 화병 등도 발굴되었다.
6세기가 되면 슬라브족이 이 땅으로 남하하여 822년에 도시를 건설하고, 인근을 흐르는 강의 이름을 따 브레즈니크('''Breznik''')라고 명명했다. 이 도시는 1세기 이상 번성했으며, 이후 세르비아 왕국의 라슈카주를 구성하는 주요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이 도시는 두브로브니크, 트리에스테, 코토르 방면과 콘스탄티노플, 사라예보, 베오그라드 방면을 연결하는 도로 위에 있었다. 그 후 14세기경, 현재의 이름인 플레블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이후 스테판 우로슈 4세 두샨의 사망으로 세르비아가 붕괴되자 이 지역의 지배자는 여러 번 바뀌었고, 1462년에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었다.
오스만 제국 하에서는 터키어 타슐리자('''Taşlıcatr''')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제국 지배 하의 15세기부터 16세기에 걸쳐 이 지역에는 많은 건물이 세워졌으며, 1465년에 수도원이, 1569년에 모스크가 설립되었다. 이후 1572년에 헤르체고비나·산자크의 중심지가 포차에서 이 지역으로 이전되었고, 주택의 수도 1468년에는 72채였던 것이 1516년에는 150채, 1570년에는 300채로 증가했으며, 17세기에는 시 중심부에 650채, 근교 지역에 450채에 달했다. 18세기가 되면 하수도가 정비되었고, 19세기에 러시아 제국의 통치자가 이곳을 방문했을 때는 매우 아름답고 동양적이며 정원과 모스크 등이 있었고, 집은 800채 이상이 중심부에 있었으며, 7000명 정도의 인구를 가진 산자크 지방의 중심 도시라고 기록했다. 그 후 두 번의 큰 화재로 인해 도시는 폐허가 되었고, 1833년에 헤르체고비나 산자크의 중심 도시는 모스타르로 이전되었다.
1878년, 이 지역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통치 하에 놓이게 되었고, 5000명의 병사가 주둔했으며 그 가족들도 이 곳으로 이주해 왔다. 그리고 이 지역에 호텔, 서점, 극장, 광장 등이 설치되어 근대 서양적인 도시가 되었다. 1879년에는 현대적인 약국이 생겼고, 1880년에는 병원, 1889년에는 맥주 공장, 1892년에는 사진관이 탄생했다. 1908년에는 오스만 제국이 이 지역을 회복했다. 오스만 제국이 지배했던 마지막 시대에 이 지역은 타슐리자 산자크의 중심 도시가 되었다. 1912년에 세르비아 왕국과 몬테네그로 왕국의 군대가 이 지역을 점령했다. 다음 해인 1913년, 이 지역은 몬테네그로 왕국령이 되었고,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편입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후에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거쳐 2006년부터 독립국이 된 몬테네그로에 속해 있다.
2. 1. 선사 시대와 고대
플레블랴 지역에서 인간의 흔적이 처음 발견된 시기는 기원전 50,000년에서 40,000년 사이이며, 체호티나 강 계곡에서는 늦어도 기원전 30,000년까지는 사람이 살았던 것으로 보인다. 마을 지역에서 인간의 존재를 보여주는 가장 오래된 흔적은 고스피치 봉우리 아래 동굴에서 발견된 부싯돌 도구이다. 석기 시대 후기에는 ''말리시나 스티예나''와 ''메데나 스티예나''(약 10,000개의 석기 도구와 무기)라고 불리는 두 개의 대규모 고고학 유적지에서 정착 흔적이 발견되었으며, 이는 기원전 12,000년에서 8,000년 사이로 추정된다.청동기 시대와 철기 시대 동안, 기원전 2,000년경부터 로마 정복 이전까지 체호티나 계곡을 따라, 특히 마타루게, 카크무자, 호체비나, 고토부샤 마을 주변에 많은 고분군과 요새화된 정착지가 생겨났다. 류티치, 고토부샤, 보로비차에서 발견된 고분들은 고고학적으로 연구되었다.
1세기에 로마 제국이 이 지역을 침략하기 전까지는 일리리아인들이 거주했다. 로마 제국의 지배 하에서 일리리아 시대의 폐허 위에 로마인들이 도시를 건설했으며, 이 도시는 '''S 자치체'''(S는 이 땅의 폐허에서 발견된 문자의 머리글자)라고 불렸다. 이 도시는 현재의 몬테네그로 영토 내에서 도클레아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도시였으며, 달마티아 속주의 무역 및 종교 중심지였다. 로마 시대의 유물로는 보석이나 유리 화병 등이 발굴되었다.
2. 2. 로마 시대
로마인들은 파괴된 마을의 잔해 위에 도시를 건설했는데, 이곳은 ''무니키피움 S''로 불렸으며 코미니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 ''디아트레타'' 또는 케이지 컵을 포함한 코미니 묘지에서 발견된 수백 점의 유물들이 플레블랴 헤리티지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플레블랴에서 인류가 거주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빙하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석기 시대에 메데나 스티에나(Medena Stijena)에 세워진 취락이 훨씬 더 규모가 컸다.
이후 1세기에 로마 제국이 동지를 침략해 올 때까지 일리리아인들이 생활했다. 로마 제국의 지배 하에서 일리리아 시대의 폐허 위에 로마인들이 도시를 건설했다. 이 도시는 '''S 자치체'''(S는 이 땅의 폐허에서 발견된 문자의 머리글자)라고 불린다. 현재의 몬테네그로 영토 내에서는 도클레아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도시였으며, 상달마티아 속주의 무역 및 종교의 중심지였고, 보석이나 유리 화병 등도 발굴되었다.
6세기가 되면 슬라브족이 이 땅으로 남하하여 822년에 도시를 건설하고, 인근을 흐르는 강의 이름을 따 브레즈니크('''Breznik''')라고 명명했다. 이 도시는 1세기 이상 번성했으며, 이후 세르비아 왕국의 라슈카주를 구성하는 주요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이 도시는 두브로브니크, 트리에스테, 코토르 방면과 콘스탄티노플, 사라예보, 베오그라드 방면을 연결하는 도로 위에 있었다. 그 후 14세기경, 현재의 이름인 플레블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이후 스테판 우로슈 4세 두샨의 사망으로 세르비아가 붕괴되자 이 지역의 지배자는 여러 번 바뀌었고, 1462년에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었다.
2. 3. 중세 시대
중세 시대에 플레블랴 지역은 네마니치 왕조 치하의 세르비아인 국가의 핵심 지역이었으며, 스테판 두샨 황제의 통치가 끝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그의 사후 플레블랴는 세르비아 자치 통치자 보이슬라브 보이노비치와 니콜라 알토마노비치의 지배를 받았다. 1373년 세르비아 영주 라자르 흐르벨랴노비치와 보스니아의 트르트코 1세의 연합군에 의해 알토마노비치가 패배한 후, 플레블랴 지역은 보스니아 왕국의 동부 지역, 이후에는 산달 흐라니치의 영토, 그리고 나중에는 성 사바 공국의 일부가 되었다.6세기에 슬라브족이 이 땅으로 남하하여 822년에 도시를 건설하고, 인근을 흐르는 강의 이름을 따 브레즈니크('''Breznik''')라고 명명했다. 이 도시는 1세기 이상 번성했으며, 이후 세르비아 왕국의 라슈카주를 구성하는 주요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이 도시는 두브로브니크, 트리에스테, 코토르 방면과 콘스탄티노플, 사라예보, 베오그라드 방면을 연결하는 도로 위에 있었다. 그 후 14세기경, 현재의 이름인 플레블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이후 스테판 우로슈 4세 두샨의 사망으로 세르비아가 붕괴되자 이 지역의 지배자는 여러 번 바뀌었고, 1462년에 오스만 제국에 병합되었다.
2. 4. 오스만 제국 시대
1465년, 오스만 제국이 플레블라를 정복했다. 오스만군의 공세 동안, 스테판 브크치치 코사차의 거처였던 쿠칸 요새가 파괴되었다. 공격을 두려워한 많은 상인들, 거의 모든 봉건 영주들과 부유한 주민들이 플레블라에서 도망쳐 베네치아 공화국, 라구사 공화국, 또는 더 북쪽의 헝가리 왕국이나 오스트리아 제국으로 피난했다. 터키어에서 이 도시는 ''타슐리카''("바위가 많은")로 알려졌다.
1475/76년의 오스만 ''데프테르''(인구 조사 책)에서 지역 주민의 대다수는 약 101가구의 동방 정교회 기독교도였다. 이 도시는 요새가 없는 더 큰 오스만 도시인 ''카사바''로 확장되었다. 15세기와 16세기는 도시에서 많은 건설이 이루어진 시기였다. 1465년에는 성 삼위일체 수도원이 설립되었고, 1569년에는 후세인 파샤의 모스크가 건설되었으며, 16세기에는 도시의 하수도 시스템이 갖춰졌다. 1572년, 헤르체고비나 산자크의 중심지가 포차에서 플레블라로 옮겨지면서 도시는 빠르게 변화하기 시작했다. 도시 주택이 증가했는데, 1468년에는 72채, 1516년에는 150채, 1570년에는 300채로 늘어났고, 17세기에는 플레블라의 도심에 약 650채, 주변 지역에 400채 이상의 주택이 있었다. 최초의 이슬람 종교 학교(마드라사)는 17세기에 건설되었고, 18세기에 상수도가 건설되었다.
19세기에 러시아 영사가 플레블라를 방문하여 플레블라가 정원과 분수, 모스크와 교회가 있는 매우 아름다운 동양 도시이며 도심에 800채 이상의 주택(7,000명의 시민)이 있어 모스타르 다음으로 헤르체고비나 산자크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라고 기록했다. 도시 중심부가 두 번의 큰 화재로 불에 타면서 도시의 경제는 파탄났다. 이것이 1833년 헤르체고비나의 중심지를 모스타르로 옮긴 이유였다. 1833년 이후 도시는 경제적, 문화적 측면 모두에서 정체되었다.
1875년, 실패한 봉기 이후, 플레블라 주변에서 우지체, 발레보 및 드리나 강 유역 방향으로 대규모 이민이 일어났다.[2] 1880년에는 오스만 제국의 플레블라 산자크(''타슐리카 산자크'')의 수도가 되었으며, 1912년 제1차 발칸 전쟁까지 존재했다.
2. 5.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오스만 제국의 이중 통치
1878년 베를린 회의 결과, 플레블랴와 나머지 산자크 지역은 오스트리아-헝가리에 할양되어 4세기 만에 오스만 제국의 지배가 중단되었다.[3] 그러나 1879년 오스트리아-헝가리와 오스만 제국 간 특별 협약에 따라 노비파자르 산자크 서부 지역은 양국 이중 관할로 이전되었다.[3] 1880년, 플레블랴는 새로 형성된 플레블랴 산자크(터키어: ''Taşlıca Sancağı'')의 수도가 되었다.[3] 행정은 터키가 맡았고, 오스트리아-헝가리 군대는 플레블랴, 프리예폴레, 프리보이에 주둔했다.[3]약 5,000명의 오스트리아-헝가리 군인과 그 가족들이 플레블랴로 이주하면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사업이 확장되었다.[3] 1879년 최초의 현대적인 약국, 1892년 사진관, 1880년 병원이 문을 열었다.[3] 1889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육군은 플레블랴에 최초의 양조장을 건설했는데,[3] 연간 생산량은 2,000 헥토리터로 제한되었고, 수요가 생산량보다 많아 주둔군이 생산된 맥주의 대부분을 소비했다.[3]
1901년, 플레블랴 김나지움이 오스만 행정부의 승인을 받아 세르비아 정교회에 의해 건설되었다. 보스니아 위기로 인해 오스트리아-헝가리는 1908년 플레블랴에서 군대를 철수했다. 1908년부터 1912년까지 플레블랴는 청년 투르크당 통제 하에 있었다. 제1차 발칸 전쟁 초기인 1912년 10월 26일, 플레블랴는 해방되었다.
2. 6. 몬테네그로와 유고슬라비아 편입
1912년 10월 8일, 몬테네그로 왕국은 오스만 제국에 전쟁을 선포하며 제1차 발칸 전쟁을 시작했다. 세르비아인과 몬테네그린인이 많이 살던 플레블라는 오스만군과 세르비아 및 몬테네그로 군대 사이에 끼어 갈등을 겪었다. 1912년 10월 28일, 오스만군이 완전히 철수하고 몬테네그로 군인 150명이 동행한 세르비아 왕립군 '야보르스카' 여단이 도착했다.[4]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는 산자크의 오스만 "쐐기"를 제거하고 국경을 공유하게 되었다. 1913년 11월 13일,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간의 공식적인 국경 협정이 체결되어 플레블라는 몬테네그로 왕국에 공식적으로 편입되었다.[4]1929년부터 1941년까지 플레블라는 유고슬라비아 왕국의 제타 바노비나에 속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는 NDH 우스타샤 군대에 점령되었고, 플레블라, 비옐로 폴레, 프리에폴레 출신의 저명한 무슬림들은 파벨리치에게 편지를 보내 크로아티아 독립국에 충성을 표명했다.[5] 1941년 9월, 우스타샤는 이탈리아 몬테네그로 총독부 내 이탈리아군에 점령된 산자크를 떠났다. 1941년 12월 1일,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과 이탈리아 플레블라 수비대 사이에서 벌어진 플레블라 전투는 몬테네그로 봉기의 가장 큰 전투였다. 1942년 4월, 이탈리아군은 메탈랴에 산자크 무슬림 민병대 대대를 설립했고, 얼마 후 산자크 무슬림 민병대의 지휘소가 부코비차에 세워졌다. 1943년 2월에는 부코비차 학살에서 500명 이상의 민간인이 사망했다.
1943년 말부터 플레블라는 독일 점령 몬테네그로 영토에 속했고, 전쟁 후에는 유고슬라비아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했다.
2. 7. 유고슬라비아 해체와 현대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과정에서 플레블랴는 극심한 긴장의 장소였으며, 무슬림 공동체는 위협과 폭력에 시달렸다.[6] 1992년 8월 6일, 지역 군벌 밀리카 "체코" 다체비치(Milika "Čeko" Dačević)는 플레블랴 경찰 본부에 들이닥쳐 압수된 차량을 자신의 개인 특사에게 돌려달라고 요구하며 플레블랴에 "선전 포고"하겠다고 위협했다.[6] 경찰의 절반 이상이 다체비치의 구금 기간 동안 그에게 항복했는데, 이는 사실상 시 차원의 쿠데타였다.[6][7] 다체비치와의 대치 외에도, 그의 민병대에는 차이니체(Čajniče) 출신인 코르냐차 형제의 병력이 포함되어 유고 인민군 수비대로부터 도시를 봉쇄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7] 두스코 코르냐차는 다체비치가 석방되지 않으면 플레블랴의 모든 무슬림을 죽이겠다고 위협했다.[6] 민병대의 플레블랴 장악력은 강력하여 73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유고 인민군 수비대는 그들과 맞서 싸우기를 거부했다.[6][7]1992년 8월 7일, 모미르 불라토비치(Momir Bulatović)와 유고슬라비아 대통령 도브리차 초시치(Dobrica Ćosić)는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과 협상하기 위해 플레블랴에 왔다.[7] 그 결과, 불라토비치는 초시치와 함께 플레블랴의 이슬람 공동체에게 준군사 조직의 무장을 해제하고 유고 인민군 증원병을 투입하여 도시를 순찰하겠다고 약속했다.[7] 민병대를 만족시키기 위해 불라토비치와 초시치는 지역 무슬림에게 자치를 요구하지 말 것을 요청했지만, 그들은 회의 과정에서 그렇게 하지 않았다.[7] 이러한 해결에도 불구하고 플레블랴의 무슬림 공동체는 1995년까지 다양한 사건에 시달렸으며, 특히 플레블랴 부코비차(Bukovica, Pljevlja) 마을에서는 1992년부터 6명의 무슬림 주민이 살해되었다.[8] 또한, 부코비차 출신의 일부 무슬림들은 차이니체 주변 마을에서 세르비아인에 대한 전쟁 범죄에 참여했다.
2008년, 플레블랴 시의회 일부 의원들은 몬테네그로가 코소보를 승인한 데 따라 몬테네그로로부터의 분리 독립을 위협했다.[9] 2020년 9월 2일, 플레블랴의 이슬람 공동체 문에 유리가 깨졌고 "검은 새가 날아올랐고, 플레블랴는 스레브레니차가 될 것이다."라는 메시지가 남겨졌다.[10] 이는 종교적 증오를 부추기기 위해 민주사회주의자당(DPS)이 조작한 것으로 밝혀졌다.
3. 행정
3. 1. 지방 자치 의회
wikitable정당/연합 | 의석 | 지방 정부 | |
---|---|---|---|
style="background-color: #E4002B" | | 몬테네그로의 미래를 위해 (ZBCG, NSD–DNP) | 12 | |
style="background-color: #E4002B" | | 몬테네그로 사회주의자 민주당 (DPS) | 8 | |
style="background-color: #E4002B" | | 민주 몬테네그로 (DCG) | 4 | |
style="background-color: #FBD455" | | (PES) | 4 | |
style="background-color: blue " | | 플레블랴 운동 | 2 | |
style="background-color: #E4002B" | | 몬테네그로 사회 인민당 (SNP) | 1 | |
style="background-color: #00cc55" | | 연합 개혁 행동 (URA) | 1 | |
style="background-color: #89CFF0" | | 플레블랴의 사회주의자 (SEP) | 1 | |
style="background-color: #3267d6" | | 보스니아 당 (BS) | 1 |
4. 지리
도시는 해발 770m에 위치해 있다. 자치구는 몬테네그로의 자블략, 비옐로폴리에 및 모이코바츠와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화국과 접경하고 있다. 총 면적은 1346km2로 몬테네그로에서 두 번째로 큰 자치구이다.
4. 1. 기후
플레블랴의 기후는 몬테네그로 수문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자료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32]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평균 최고 기온 (°C) | 1.8 | 5.3 | 9.7 | 14.2 | 19.5 | 22.5 | 24.8 | 25.2 | 21.7 | 16.5 | 9.5 | 3.0 |
평균 기온 (°C) | -2.8 | -0.1 | 3.6 | 8.0 | 12.8 | 15.5 | 17.4 | 17.0 | 13.6 | 9.0 | 3.9 | -1.2 |
평균 최저 기온 (°C) | -6.9 | -4.6 | -1.5 | 2.2 | 6.3 | 9.4 | 10.6 | 10.2 | 7.5 | 3.5 | -0.4 | -4.9 |
강수량 (mm) | 58.3 | 48.1 | 48.2 | 60.7 | 68.8 | 91.4 | 72.8 | 67.0 | 69.5 | 68.5 | 82.5 | 66.3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3 | 12 | 13 | 13 | 13 | 14 | 11 | 10 | 10 | 9 | 12 | 13 |
평균 일조 시간 | 50.8 | 79.0 | 125.8 | 146.6 | 174.2 | 179.7 | 236.3 | 224.0 | 171.4 | 132.2 | 72.6 | 35.7 |
평균 습도 (%) | 83 | 78 | 73 | 70 | 71 | 74 | 72 | 72 | 76 | 78 | 81 | 85 |
1991년부터 2020년까지, 그리고 1948년부터 현재까지의 극값을 포함한 기상 정보는 미국 해양대기청에서 확인할 수 있다.[11] 몬테네그로 수문기상청은 1961년부터 1990년까지의 습도 및 일조량 자료를 제공한다.[12][13]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최고 기온 기록 (°C) | 16.4 | 22.7 | 25.0 | 29.3 | 33.1 | 34.7 | 37.3 | 38.7 | 36.3 | 29.5 | 25.6 | 17.3 | 38.7 |
평균 최고 기온 (°C) | 3.8 | 6.7 | 11.0 | 15.6 | 20.6 | 24.6 | 26.7 | 27.4 | 22.1 | 17.5 | 10.7 | 4.3 | 15.9 |
평균 최저 기온 (°C) | -5.3 | -4.2 | -1.0 | 2.8 | 6.9 | 10.6 | 11.8 | 11.7 | 8.6 | 4.6 | 0.6 | -3.6 | 3.6 |
최저 기온 기록 (°C) | -29.4 | -26.2 | -21.0 | -10.1 | -3.8 | -2.0 | 2.2 | -0.2 | -6.4 | -7.6 | -23.4 | -27.0 | -29.4 |
강수량 (mm) | 46.4 | 60.0 | 55.6 | 62.7 | 76.6 | 81.4 | 76.1 | 56.9 | 70.2 | 70.4 | 73.2 | 66.9 | 796.4 |
평균 강수일수 (≥ 1 mm) | 7.9 | 8.1 | 8.3 | 9.8 | 10.9 | 9.9 | 8.4 | 7.3 | 8.5 | 8.0 | 7.9 | 8.9 | 103.9 |
평균 일조 시간 | 50.8 | 79.0 | 125.8 | 146.6 | 174.2 | 179.7 | 236.3 | 224.0 | 171.4 | 132.2 | 72.6 | 35.7 | |
평균 습도 (%) | 83 | 78 | 73 | 70 | 71 | 74 | 72 | 72 | 76 | 78 | 81 | 85 |
5. 인구
wikitext
플레블랴는 인구 24,542명의 플레블랴 시의 행정 중심지이다. 2023년 마지막 인구 조사 자료에 따르면, 플레블랴 시 자체의 인구는 16,419명이며, 이 시는 플레블랴 시(지방 자치체)에서 인구 1,000명 이상인 유일한 도시이다.
연도 | 인구 |
---|---|
1981년 3월 3일 | 16,792명 |
1991년 3월 3일 | 20,887명 |
2003년 11월 1일 | 21,337명 |
2011년 | 19,136명 |
2023년 | 16,419명 |
민족 | 인구 | 비율 |
---|---|---|
세르비아인 | 21,972명 | 59.52% |
몬테네그로인 | 7,750명 | 20.99% |
무슬림 | 3,088명 | 8.36% |
보스니아인 | 2,023명 | 5.48% |
크로아티아인 | 17명 | 0.05% |
알바니아인 | 11명 | 0.03% |
기타 | 148명 | 0.40% |
민족 자진 비표명 | 1,705명 | 4.62% |
불명 | 204명 | 0.55% |
총계 | 36,918명 | 100% |
5. 1. 민족 구성
2003년 기준으로 세르비아인이 59.52%로 가장 큰 민족 집단을 구성하고 있으며, 몬테네그로인이 20.99%, 무슬림이 8.36%, 보스니아인이 5.48%를 차지한다.[28][29][30][31] 그 외에 크로아티아인 0.05%, 알바니아인 0.03% 등이 거주하며, 어느 민족에도 속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사람도 4.62%에 달한다.[19] 2023년 인구 조사에서는 세르비아인 66.41%, 몬테네그로인 18.14%, 보스니아인 7.31%, 민족 무슬림 3.30%로 나타났으며, 전체 인구의 2.86%는 민족을 밝히지 않았다.[19]민족 | 인구 | 비율 |
---|---|---|
세르비아인 | 21,972명 | 59.52% |
몬테네그로인 | 7,750명 | 20.99% |
무슬림 | 3,088명 | 8.36% |
보스니아인 | 2,023명 | 5.48% |
크로아티아인 | 17명 | 0.05% |
알바니아인 | 11명 | 0.03% |
기타 | 148명 | 0.40% |
민족 자진 비표명 | 1,705명 | 4.62% |
불명 | 204명 | 0.55% |
총계 | 36,918명 | 100% |
5. 2. 언어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몬테네그린어, 크로아티아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의 표준 변종으로 서로 상호 이해 가능하다. 세르비아어는 72.92%의 절대 다수가 사용하며, 도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다.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는 몬테네그린어(17.78%)이며, 보스니아어는 인구의 4.03%가 사용한다. 전체 인구의 1.74%는 자신들의 언어를 밝히지 않았다.5. 3. 종교
플레블랴에는 2023년 기준 80.09%가 동방 정교회 신자이며, 16.96%는 이슬람교 신자, 2.95%는 기타 종교를 믿고 있다.[20]과거 도시와 주변 정착 지역에는 총 26개의 모스크가 건설되었다. 플레블랴에는 9개의 모스크가 있었으며, 현재는 4개가 남아 그 목적을 수행하고 있고, 하나는 재건축 중이다.[21]
플레블랴에는 2개의 정교회 교회와 성 삼위일체 수도원이 있다.[22]


6. 경제
플레블라는 몬테네그로의 주요 경제 동력 중 하나이다. 몬테네그로 전력 공급의 45%를 담당하는 몬테네그로 유일의 화력 발전소가 플레블라 외곽에 있으며, 몬테네그로 석탄 생산량의 100%를 차지하는 최대 탄광도 있다. 아연과 납은 ''슈플랴 스티예나 광산''에서 발견된다. 몬테네그로에서 산림이 가장 풍부한 지방 자치 단체는 플레블라이며 목재 산업이 발달했다. 농업은 지방 자치 단체 전체에 걸쳐 널리 퍼져 있다. ''플레발스키 시르''(Pljevlja's cheese, 플레발스키 시르/Пљеваљски сирsr)는 진미로 여겨진다.
플레블랴에는 플레블랴 발전소가 있으며, 국내 전력의 45%를 발전하고 있으며, 몬테네그로 유일의 탄광이 인접해 있다. 또한, 농업이 전역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동계 스포츠의 잠재적 수요도 있다고 여겨져 몬테네그로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7. 교통
플레블라의 주요 교통 도로는 다음과 같다.
8. 교육
플레블랴의 교육은 성 삼위일체 수도원에서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학교인 마드라사와 루시디예, 그리고 모스크에서도 이루어졌다.[23] 수도원 내 학교는 16세기부터 지속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루시디예는 16세기 말부터 18세기 말까지 운영되었다. 플레블랴 최초의 초등학교는 1823년에 개교했다.
1901년 9월 17일 타나시예 페야토비치 김나지움이 개교하였다.[23] 초대 교장은 타나시예 페야토비치(당시 스코페 김나지움 교감)였으며, 교사는 스테반 사마르지치(당시 노바 바로시 교사)였다.[24] 1901년 11월 5일까지 44명의 남학생과 16명의 여학생이 첫 번째 혼성 고등학교 학급에 입학했으며, 김나지움 내에서는 26명의 여학생으로 구성된 여성 노동자 학교가 문을 열었다. 11월 22일부터 다른 교사들도 부서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1904년 10월 30일에 김나지움은 완전히 불탔고, 모든 기록이 소실되었다. 김나지움은 재건되어 현재도 운영되고 있다.
플레블랴에는 3개의 초등학교와 2개의 고등학교가 있다.
9. 문화
문화와 교육은 플레블랴와 그 지역의 역사 전반에 걸쳐 존재해 왔다. 최초의 교육 생활은 교회와 수도원에서 시작되었으며, 얼마 후에는 모스크에서도 이루어졌다. 성 삼위일체 수도원은 중세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정교회 신자들의 문화 및 정신 생활의 가장 풍요로운 보고이다. 성 삼위일체 수도원의 학교는 16세기부터 끊임없이 운영되어 왔다. 1823년에는 플레블랴에 초등학교가 개교했다. 도볼랴 수도원의 학교는 18세기부터 운영되었다. 플레블랴 교육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날짜는 1901년 플레블랴 김나지움의 개교이다. 플레블랴 유산 박물관은 도시와 지역의 풍부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의 보고이다.
플레블랴에는 로마 시대 유적, 수도원, 성당, 모스크,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주요 문화 유적으로는 플레블랴 유산 박물관, 후세인 파샤 모스크와 사하트 쿨라, 하지 제케리야 모스크, 리즈반 차우시 모스크, 하지 알리야 모스크, 성 삼위일체 수도원, 성 파라스케바 교회, 성 일라이야 교회, 뮤니시피움 S 고고학 유적지, 스테치(거석), 12월 1일 기념비, 보디체 공원, 플레블랴 김나지움, 셰체로비치 하우스 등이 있다.
9. 1. 주요 문화 유적
|thumb|left|플레블랴 유산 박물관에 있는 플레블랴 디아트레타
문화와 교육은 플레블랴와 그 지역의 역사 전반에 걸쳐 존재해 왔다. 최초의 교육 생활은 교회와 수도원에서 시작되었으며, 얼마 후에는 모스크에서도 이루어졌다. 성 삼위일체 수도원은 중세 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정교회 신자들의 문화 및 정신 생활의 가장 풍요로운 보고이다. 성 삼위일체 수도원의 학교는 16세기부터 끊임없이 운영되어 왔다. 1823년에는 플레블랴에 초등학교가 개교했다. 도볼랴 수도원의 학교는 18세기부터 운영되었다. 플레블랴 교육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날짜는 1901년 플레블랴 김나지움의 개교이다. 플레블랴 유산 박물관은 도시와 지역의 풍부한 역사적, 문화적 유산의 보고이다.
플레블랴에는 로마 시대 유적, 수도원, 성당, 모스크,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 등이 위치해 있다. 주요 문화 유적으로는 플레블랴 유산 박물관, 후세인 파샤 모스크와 사하트 쿨라, 하지 제케리야 모스크, 리즈반 차우시 모스크, 하지 알리야 모스크, 성 삼위일체 수도원, 성 파라스케바 교회, 성 일라이야 교회, 뮤니시피움 S 고고학 유적지, 스테치(거석), 12월 1일 기념비, 보디체 공원, 플레블랴 김나지움, 셰체로비치 하우스 등이 있다.
10. 스포츠
주요 축구팀은 몬테네그로 최상위 리그인 몬테네그로 1부 리그에서 활동하는 FK 루다르 플레블랴이다. 이들은 하위 리그 팀인 FK 플레블랴 1997와 그라드스키 스타디온을 함께 사용한다. 이 도시의 농구팀은 ''KK 루다르 플레블랴''이며 핸드볼 팀은 ''RK 루다르 플레블랴''이다.
11. 국제 관계
11. 1. 자매 도시
플레블랴 시는 다음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25][26]12. 상징
플레블라의 문장은 도시를 관통하는 세 개의 강인 브레즈니차, 체호티나, 베지치니차를 나타내는 하단 근처의 세 줄이 있다. 첫 번째 층은 플레블라 중심부에 있는 시계탑이며, 그 뒤로는 시청과 몬테네그로의 나머지 지역과 플레블랴 자치구를 연결하는 타라 강 위의 가장 큰 아치형 다리가 있다. 색상은 범슬라브색 삼색기를 나타내는 파란색, 흰색, 빨간색이다.
13. 저명한 출신 인물
- 시난 베이 볼자니치(1582년 사망)는 헤르체고비나와 보스니아의 산자크 베이였다.
- 후세인 파샤 볼자니치(1594년 사망)는 오스만 제국의 정치가이자 정부 관리였다.
- 가브릴로 트로이차닌(c.1600-1651 이후)은 역사가이자 재능 있는 필경사이며, 플레블랴 성 삼위일체 수도원의 수도승이다.
- 바르나바 로시치(1880–1937)는 세르비아 총대주교였다.
- 슬로보단 실략(1881–1943)은 세르비아 정교회의 사제였다.
- 다린카 미르코비치 보로비치(1896년 1월 18일 – 1979년 2월 8일)는 제1차 세계 대전 중 몬테네그로 출신 간호사였다.
- 보그단 타니예비치(1947년 2월 13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출신의 프로 농구 코치이자 전직 선수이다.
- 데르비시 하지오스마노비치(1958년 8월 9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출신의 축구 코치이자 전직 선수이다.
- 이주딘 바르조비치(1963년 2월 9일 출생)는 연극, 영화 및 텔레비전 배우이다.
- 보요 찰로프(1963년 7월 29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출신의 축구 감독이자 전직 선수이다.
- 자르코 파스팔르(1966년 3월 27일 출생)는 은퇴한 프로 농구 선수이자 스포츠 행정가이다.
- 네보이샤 메도예비치(1966년 6월 13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정치인이다.
- 산야 조르제비치(1969년 출생)는 터보-포크 가수이다.
- 프레드라그 보슈코비치(1972년 3월 12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정치인이다.
- 다미르 차카르(1973년 6월 28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출신의 전직 프로 축구 선수이다.
- 라도사브 불리치(1977년 1월 2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출신의 전직 축구 미드필더이다.
- 고가 세쿨리치(1977년 2월 27일 출생)는 터보-포크 가수이다.
- 슬라브코 브라네스(1983년 1월 30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출신의 전직 프로 농구 선수이다.
- 다니옐 지브코비치(1987년 8월 15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정치인이다.
- 밀로이코 스파이치(1987년 9월 24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정치인이다.
- 미유슈코 보이오비치(1988년 8월 9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축구 선수이다.
- 자르코 토마셰비치(1990년 2월 22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축구 선수이다.
- 네마냐 그르보비치(1990년 4월 26일 출생)는 몬테네그로 핸드볼 선수이다.
참조
[1]
웹사이트
Pljevlja
https://waytomonte.c[...]
waytomonte
2022-07-31
[2]
간행물
Balkansko poluostrvo i južnoslovenske zemlje
Zavod za izdavanje udžbenika
1966
[3]
웹사이트
'Od "pljevaljskog" ne ostade ni pjena'
https://www.vijesti.[...]
2019-03-02
[4]
웹사이트
'Politika Crne Gore u pljevaljskom kraju 1912/13 godine u izvještajima ministarstava Kraljevine Crne Gore'
https://adnanprekic.[...]
2019-03-02
[5]
서적
Prilog u krvi: Pljevlja 1941-1945
https://books.google[...]
Opštinski odbor SUBNOR-a
[6]
웹사이트
'Kako su se paravojne jedinice otele kontroli'
http://www.e-novine.[...]
2019-02-12
[7]
웹사이트
'CRNOGORSKI ZLOČIN - BULATOVIĆ: PITAO SAM MILA O ČEMU SE RADI'
http://www.bosnjaci.[...]
2019-02-12
[8]
뉴스
'Zločini bez kazne'
https://www.danas.rs[...]
2019-02-12
[9]
웹사이트
Скупштина Црне Горе о демонстрацијама
http://www.rts.rs/pa[...]
Rts.rs
2010-04-28
[10]
웹사이트
Polomljena stakla na vratima Islamske zajednice u PV, Kadribašić: Ako ne pronađu krivce policija odgovorna
https://www.vijesti.[...]
2020-09-02
[11]
웹사이트
Pljevlja Climate Normals for 1991-2020
https://www.ncei.no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9-15
[12]
웹사이트
Climate: Pljevlja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7
[13]
웹사이트
Dnevni prosjeci i ekstremi
http://www.meteo.co.[...]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21-03-07
[14]
웹사이트
Pljevaljski srez u Kraljevini Jugoslaviji
https://www.pvinform[...]
PV Informer
2019-07-05
[15]
서적
Становништво, упоредни преглед броја становника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3, подаци по насељима
Републички завод за статистику
2005-09
[16]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u Crnoj Gori 2011. godine
https://www.monstat.[...]
MONSTAT
2011-07-12
[17]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u Crnoj Gori 2011. godine
https://www.monstat.[...]
MONSTAT
2011-07-12
[18]
웹사이트
Preliminary results of the 2023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https://www.monstat.[...]
Monstat
2024-01-25
[19]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2023. godine
https://monstat.org/[...]
[20]
웹사이트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2023. godine
https://monstat.org/[...]
[21]
웹사이트
U proteklih 70 godina Islamskoj zajednici u Pljevljima oduzeto i uništeno mnogo vjerskih, kulturnih i poslovnih objekata
https://www.pvinform[...]
2021-01-01
[22]
웹사이트
Pljevlja
https://www.booking.[...]
2021-01-01
[23]
웹사이트
Xenia Slavica : papers presented to Gojko Ružičić on the occasion of his seventy-fifth birthday, 2 February 1969 - Ghent University Library
http://lib.ugent.be/[...]
[24]
서적
Историја Пљеваља
[25]
웹사이트
U Domu kulture obilježeno svečano otvaranje adaptiranih prostorija Muzeja, Biblioteke i Galerije
https://pljevlja.me/[...]
Pljevlja
2020-06-22
[26]
웹사이트
Bratimljenje
http://www.uom.co.me[...]
Zajednica opština Crne Gore
2019-12-29
[27]
문서
Xenia Slavica: Papers presented to Gojko Ružičić on the occasion of his seventy-fifth birthday, 2 February 1969
https://lib.ugent.be[...]
[28]
웹인용
Pljevaljski srez u Kraljevini Jugoslaviji
https://www.pvinform[...]
PV Informer
2019-07-05
[29]
서적
Становништво, упоредни преглед броја становника 1948, 1953, 1961, 1971, 1981, 1991, 2003, подаци по насељима
Републички завод за статистику
2005-09
[30]
웹인용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u Crnoj Gori 2011. godine
https://www.monstat.[...]
MONSTAT
2011-07-12
[31]
웹인용
Popis stanovništva, domaćinstava i stanova u Crnoj Gori 2011. godine
https://www.monstat.[...]
MONSTAT
2011-07-12
[32]
웹인용
Climate: Pljevlja
http://195.66.163.23[...]
Hydrological and Meteorological Service of Montenegro
2018-05-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