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사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사본은 손으로 베껴 쓴 책을 의미하며, 고대 이집트, 서양의 중세 시대, 동양 등 다양한 문명권에서 제작되었다. 필사본은 고본, 전사본, 사경 등으로 분류된다. 고본은 저자나 편집자가 처음 쓴 책을 지칭하며, 전사본은 원본을 베껴 쓴 책, 사경은 신앙 목적으로 경문이나 그림을 그려 만든 책을 의미한다. 한국에서도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걸쳐 필사본 문화가 발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책 - 양피지
양피지는 양, 염소, 소 등의 가죽을 가공하여 만든 기록 매체로, 페르가몬에서 유래하여 파피루스를 대체해 중세 시대에 널리 사용되었으나, 종이와 인쇄술 발달로 쇠퇴하여 현재는 의례용이나 예술 작품에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책 - 세계 책의 날
세계 책의 날은 책 읽기를 장려하고 저작권과 출판을 기념하기 위해 유네스코에서 4월 23일로 지정한 국제 기념일이다. - 사본 - 자연학 (아리스토텔레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8권으로 이루어진 자연철학 논저로, 물질, 네 가지 원인, 잠재성과 실재성, 무한, 운동, 시간, 공간 등을 중심으로 자연 현상을 설명하고 우주를 움직이는 최초의 동자의 존재를 논증하며 서구 과학과 철학 발전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사본 - 무경총요
북송 인종의 명으로 1040년부터 1044년까지 편찬된 《무경총요》는 당시의 군사 지식을 집대성한 방대한 군사서로, 군사 제도, 전략, 전술, 무기 기술, 해상 전투 기술, 음양오행설, 점술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중국 군사사와 과학기술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필사본 | |
---|---|
개요 | |
![]() | |
정의 | 손으로 베껴 쓴 책 |
특징 | 인쇄술 발달 이전에 책을 만드는 유일한 방법 |
다른 이름 | 사경(寫經) 초본(鈔本) |
역사 | |
기원 | 고대 |
중요성 | 지식 보존 및 전달 문화의 확산 |
시대별 특징 | 중세: 수도원을 중심으로 발전, 장식적인 요소 강조 근대: 인쇄술 발달 이후에도 일부 계층에서 지속 |
제작 과정 | |
재료 | 종이 또는 파피루스 잉크 깃펜 또는 붓 |
과정 | |
종류 | |
내용에 따른 분류 | 경전 필사본 (사경) 문학 작품 필사본 역사 기록 필사본 과학 기술 필사본 |
장식 유무에 따른 분류 | 채색 필사본 무채색 필사본 |
특징 | |
내용 | 필사자의 지식, 가치관 반영 |
형태 | 글씨체 다양 장정 방식 다양 삽화, 장식 등 시각적 요소 포함 |
가치 | 역사적, 문화적 가치 높음 필사자의 정신세계 엿볼 수 있음 |
보존 및 연구 | |
현황 | 도서관, 박물관, 개인 소장가 등에 소장 디지털화 작업 진행 |
연구 | 서지학 역사학 문학 연구의 중요한 자료 |
같이 보기 | |
관련 항목 | 사경 채색 필사본 필경사 구텐베르크 인쇄술 |
2. 각 문명의 필사본
2. 1. 고대 이집트
고대 이집트 문화권에서는 파피루스에 갈대 펜, 새 깃털 펜을 이용해서 글을 썼다.[2] 이 문화권에서는 수서(手書)를 직업으로 종사하는 '''사자생'''(寫字生)이 존재하였다.[2] 파피루스 이외에 양, 송아지와 같은 동물의 가죽이 주로 수서에 사용되었으며, 이를 통해 지금과 같은 책의 원래 형태라고 할 수 있는 책자가 나오게 되었다.[2]2. 2. 서양권
기독교 문화가 번성하였던 중세 시대에는 각 수도원에 '''사자실'''(寫字室)이 설치되었다. 여기서 성경류의 수서를 수행하였다. 이들은 각자 일을 분담해서 매일마디 일정한 시간 동안 성전 사본을 만들어 내었다. 이러한 제작 형태는 분업에 따라 이루어졌다. 먼저 한 사람이 가죽을 부드럽게 다듬으면, 다음 사람은 그렇게 다듬어진 가죽을 가벼운 돌로 문지른다. 이어서 세 번째 사람은 여기에 원본을 베껴 쓰고, 네 번째 사람은 두문자(頭文字)와 장식 그림을 그린다. 다섯 번째 사람은 세밀한 그림을 그리며, 여섯 번째 사람은 원본과 대조해 보고 교정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일곱째 사람이 제본을 함으로써 필사본의 성경이 완성되곤 했다.중국에서부터 들여온 제지법(製紙法)이 지중해 연안 여러 나라에 전해전 후에도 필사본의 출판형식은 계속 이루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활자인쇄본이 새롭게 나온 후에도 계속되었다.[2]
2. 3. 동양권
고대 중국에서는 대나무를 재료로 이용한 간책(簡冊)의 원본을 종이에 옮겨 써서 책을 만드는 필사본 제작이 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출판형식은 2세기 초 제지법이 완성되기 전까지 계속되었다. 한국에도 한자(漢字)가 전래되면서 불경의 필사본 출간 등이 이루어졌다.[2]3. 필사본의 종류
학자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되지만, 보통 고본(稿本) ·전사본(傳寫本) ·사경(寫經)으로 구분된다.[2]
'''고본'''(稿本), '''초본'''(草本), '''초고본'''(草稿本), '''원고본'''(原稿本)은 지은이나 편집자가 처음으로 쓴 책을 주로 지칭한다. 이는 문헌, 사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지은이 자신이 직접 쓴 책을 '''자필고본'''(自筆稿本) 혹은 '''수고본'''(手稿本)이라 하여 현대 역사가들이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고본은 상황에 따라 여러 번 수정을 거치는 상황이 있다. 이때 제일 먼저 작성된 책을 '''초고본'''(初稿本) 혹은 '''초초본'''(初草本)이라고 지칭한다. 이 초고본을 수정하면, 이는 '''재고본'''(再稿本), '''중초본'''(重草本)이 된다. 마지막으로 여러 번 고쳐서 그 차례를 알기 쉽지 않은 경우는 '''개고본'''(改稿本), '''개수본'''(改修本)이라고 부른다.
고본의 마지막 손질을 통해 완성된 책을 '''정고본'''(定稿本), '''정초본'''(正草本)이라고 부른다. 이들 중 올바른 글씨체로 수정한 책을 '''정서고본'''(淨書稿本)이라 지칭한다. 한편, 목판 혹은 석판에 새기기 위해 작성된 책을 '''판하서'''(板下書)라고 부른다. 또한, 외부에 간행된 고본을 '''기간고본'''(旣刊稿本)이라 부른다. 반대로 간행이 안 된 고본은 '''미간고본'''(未刊稿本)이라고 부른다.
'''전사본'''(傳寫本), '''전초본'''(傳鈔本), '''이사본'''(移寫本)은 원본을 베껴쓴 책을 지칭한다. 고본과 비교해 볼 때 전사본은 역사적 가치는 그렇게 크지 않다. 하지만 만일 원고본, 간행본이 없을 시, 이는 매우 중요한 연구자료가 될 수 있다. '''모사본'''(模寫本) 혹은 '''모본'''(摹本)은 전사본 중 대본만을 그대로 베껴서 쓴 책을 의미한다. '''영사본'''(影寫本), '''영초본'''(影鈔本)은 모사본 중에서 대본의 형태와 똑같이 해서 만든 책을 의미한다. 한편 글씨 학습을 위해 서첩(書帖)을 만들 때, 베껴서 쓴 책을 '''임사본'''(臨寫本), '''임모본'''(臨摹本), '''임본'''(臨本)이라고 부른다.
사경(寫經)은 신앙의 목적으로 경문이나 그림을 그려 만든 책을 말하며, 학습 및 연구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필사와는 구별된다.[2] 대체적으로 백지(白紙), 감지(紺紙), 상지(橡紙)에 먹물 혹은 금, 은가루를 가지고 쓰곤 했다. 사경은 저자 한 사람이 작성한 일필경(一筆經)과 여러 사람이 작성한 각필경(各筆經)으로 구분된다.
3. 1. 고본(稿本)
'''고본'''(稿本), '''초본'''(草本), '''초고본'''(草稿本), '''원고본'''(原稿本)은 지은이나 편집자가 처음으로 쓴 책을 주로 지칭한다. 이는 문헌, 사료로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특히 지은이 자신이 직접 쓴 책을 '''자필고본'''(自筆稿本) 혹은 '''수고본'''(手稿本)이라 하여 현대 역사가들이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고본은 상황에 따라 여러 번 수정을 거치는 상황이 있다. 이때 제일 먼저 작성된 책을 '''초고본'''(初稿本) 혹은 '''초초본'''(初草本)이라고 지칭한다. 이 초고본을 수정하면, 이는 '''재고본'''(再稿本), '''중초본'''(重草本)이 된다. 마지막으로 여러 번 고쳐서 그 차례를 알기 쉽지 않은 경우는 '''개고본'''(改稿本), '''개수본'''(改修本)이라고 부른다.
고본의 마지막 손질을 통해 완성된 책을 '''정고본'''(定稿本), '''정초본'''(正草本)이라고 부른다. 이들 중 올바른 글씨체로 수정한 책을 '''정서고본'''(淨書稿本)이라 지칭한다. 한편, 목판 혹은 석판에 새기기 위해 작성된 책을 '''판하서'''(板下書)라고 부른다. 또한, 외부에 간행된 고본을 '''기간고본'''(旣刊稿本)이라 부른다. 반대로 간행이 안 된 고본은 '''미간고본'''(未刊稿本)이라고 부른다.
3. 2. 전사본(傳寫本)
'''전사본'''(傳寫本), '''전초본'''(傳鈔本), '''이사본'''(移寫本)은 원본을 베껴쓴 책을 지칭한다. 고본과 비교해 볼 때 전사본은 역사적 가치는 그렇게 크지 않다. 하지만 만일 원고본, 간행본이 없을 시, 이는 매우 중요한 연구자료가 될 수 있다. '''모사본'''(模寫本) 혹은 '''모본'''(摹本)은 전사본 중 대본만을 그대로 베껴서 쓴 책을 의미한다. '''영사본'''(影寫本), '''영초본'''(影鈔本)은 모사본 중에서 대본의 형태와 똑같이 해서 만든 책을 의미한다. 한편 글씨 학습을 위해 서첩(書帖)을 만들 때, 베껴서 쓴 책을 '''임사본'''(臨寫本), '''임모본'''(臨摹本), '''임본'''(臨本)이라고 부른다.3. 3. 사경(寫經)
사경(寫經)은 신앙의 목적으로 경문이나 그림을 그려 만든 책을 말하며, 학습 및 연구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필사와는 구별된다.[2] 대체적으로 백지(白紙), 감지(紺紙), 상지(橡紙)에 먹물 혹은 금, 은가루를 가지고 쓰곤 했다. 사경은 저자 한 사람이 작성한 일필경(一筆經)과 여러 사람이 작성한 각필경(各筆經)으로 구분된다.4. 한국의 필사본 문화
4. 1. 고려 사경
4. 2. 조선시대 필사본
5. 현대적 의의
참조
[1]
웹인용
네이버 백과사전 '필사본'
http://100.naver.com[...]
2010-03-07
[2]
문서
齋食 : 음식을 청결히 가려 먹음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