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하윌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윌라는 성경에 언급된 지명으로, 창세기, 역대기, 사무엘기 등에서 등장한다. 창세기에서는 에덴 동산과 관련된 지역으로 묘사되며, 노아의 후손과 이스마엘 사람들이 거주하는 영토를 지칭하기도 한다. 하윌라의 위치에 대해서는 아프리카, 아라비아 등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며,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역대기 - 바빌론 유수
    기원전 6세기 초 신바빌로니아 제국에 의해 유다 왕국이 멸망하면서 유대인들이 바빌론으로 강제 이주된 바빌론 유수는 유대인들이 바빌로니아 문화에 영향을 받는 동시에 민족적 정체성을 유지하고 유대교를 재정립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후 유대 역사와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 역대기 - 데라
    데라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브라함의 아버지이며, 갈대아 우르를 떠나 하란에 머물다 205세에 사망했고, 종교적 전통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아프리카의 뿔 - 에티오피아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의 뿔 지역에 위치한 공화국으로, 여러 나라와 국경을 접하며 아프리카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고, 인류 초기 발상지 중 하나로 기원전 980년경 다못 왕국이 건국되었으며, 악숨 왕국, 기독교 국교 채택, 독립 유지, 사회주의 정권, 연방 공화국 수립, 에리트레아 분리 독립, BRICS 가입 등의 역사를 거쳤다.
  • 아프리카의 뿔 - 2011년 아프리카의 뿔 가뭄
    2011년 아프리카의 뿔 가뭄은 강우 부족, 곡물 가격 상승, 가축 손실, 알 샤바브의 반군 활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심각한 가뭄으로, 소말리아 남부에 기근이 선포되고 수백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했다.
  • 아모리인 - 바빌로니아
    바빌로니아는 현재 이라크 지역의 메소포타미아 남부에 위치한 고대 문명으로, 다양한 언어와 문화가 공존하며 함무라비 법전과 네부카드네자르 2세 등의 강력한 군주 아래 번성했으나 페르시아 제국에 정복당하며 쇠퇴한 문명이다.
  • 아모리인 - 아수르
    아수르는 메소포타미아 북부의 고대 도시이자 국가, 수호신 이름이며 아시리아 문명의 발상지로 종교적 중심지였으나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보호받고 있다.
하윌라
개요
위치창세기 2장 11절, 사무엘기상 15장 7절, 창세기 10장 7절, 29절, 역대기상 1장 9절, 23절
관련 민족욕단의 후손, 구스의 아들들
성경 속 하윌라
창세기 2장 11절에덴에서 발원한 비손 강이 흐르는 땅. 금이 풍부하고, 브델륨과 줄마노가 산출됨.
창세기 10장 7절구스의 아들 중 하나.
창세기 10장 29절욕단의 아들 중 하나.
사무엘기상 15장 7절사울이 아말렉 사람들을 쳐서 하윌라에서부터 이집트 앞 술에 이르기까지 침.
지리적 위치 논쟁
주장아라비아, 아프리카, 인도, 아르메니아 등 다양한 지역으로 추정됨.
근거성경 기록, 역사적 기록, 지명 유사성 등을 바탕으로 함.

2. 성경에서의 언급

하윌라는 창세기에서 에덴 동산과 관련하여 처음 언급된다. 창세기 2장 10~11절은 다음과 같이 묘사한다.

: 강이 에덴에서 흘러 나와 동산을 적시고 거기서부터 갈라져 네 근원이 되었으니 첫째의 이름은 비손이라 금이 있는 하윌라 온 땅을 둘렀으며

창세기 2장에 설명된 지역 외에도, 하윌라라는 이름은 국가 목록에 두 번 더 나타난다. (창세기 10:7~29, 역대기(대상 1:9~23)) 이 목록에는 국가의 시조로 여겨지는 노아의 후손들이 나열되어 있는데, 한 사람은 함의 손자 구스의 아들이고, 다른 한 사람은 욕단의 아들이자 의 후손이다.

창세기 25:18에서는 이스마엘 사람들이 거주하는 영토를 "하윌라에서 술까지, 즉 앗시리아 방향으로 이집트 반대편(또는 다른 번역에 따르면 "동쪽")까지"라고 정의하며 하윌라를 언급한다. 사무엘기(사무엘상 15:7~8)에는 사울 왕이 아각 왕을 제외하고는 그곳에 살고 있던 아말렉 사람들을 쳤다고 기록되어 있다.[4]

어떤 구절[3]에서는 이스라엘 사람들이 앗시리아와 할라로 보내졌다고 언급하는데, 수도사 앙투안 오귀스탱 칼메에 따르면 할라는 하윌라를 가리킬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4]

2. 1. 창세기의 추가 언급

창세기 2장 10~11절에는 하윌라가 에덴 동산과 관련되어 다음과 같이 언급된다.[3]

: 강이 에덴에서 흘러 나와 동산을 적시고 거기서부터 갈라져 네 근원이 되었으니 첫째의 이름은 비손이라 금이 있는 하윌라 온 땅을 둘렀으며

창세기 2장에 설명된 지역 외에도, 국가 목록에 하윌라라는 이름의 두 사람이 나열되어 있다. 해당 목록에는 국가의 시조 조상으로 간주되는 노아의 후손이 나열되어 있다. 창세기 10:7~29에 언급된 이름 외에 역대기(대상 1:9~23)에도 또 다른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 한 사람은 함의 손자 구스의 아들이고, 다른 한 사람은 욕단의 아들이자 의 후손이다.

창세기 25:18에는 이스마엘 사람들이 거주하는 영토를 "하윌라에서 술까지, 즉 앗시리아 방향으로 이집트 반대편(또는 다른 번역에 따르면 "동쪽")까지"라고 정의하면서 하윌라라는 이름을 언급한다. 사무엘기(사무엘상 15:7~8)에는 사울 왕이 아각 왕을 제외하고는 그곳에 살고 있던 아말렉 사람들을 쳤다고 기록되어 있다.[4]

2. 2. 사무엘기 및 기타 언급

창세기 2장 10~11절에는 에덴 동산과 관련된 하윌라에 대한 언급이 있다.

: 강이 에덴에서 흘러 나와 동산을 적시고 거기서부터 갈라져 네 근원이 되었으니 첫째의 이름은 비손이라 금이 있는 하윌라 온 땅을 둘렀으며[3]

창세기 2장에 설명된 지역 외에도, 국가 목록에 하윌라라는 이름의 두 사람이 나열되어 있다. 이 목록에는 국가의 시조 조상으로 간주되는 노아의 후손이 나열되어 있는데, 창세기 10:7~29에 언급된 이름 외에 역대기(대상 1:9~23)에도 또 다른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 한 사람은 함의 손자 구스의 아들이고, 다른 한 사람은 욕단의 아들이자 의 후손이다.

창세기 25:18에는 이스마엘 사람들이 거주하는 영토를 "하윌라에서 술까지, 즉 앗시리아 방향으로 이집트 반대편(또는 다른 번역에 따르면 "동쪽")까지"라고 정의하면서 하윌라라는 이름을 언급한다. 사무엘기(사무엘상 15:7~8)에는 사울 왕이 아각 왕을 제외하고는 그곳에 살고 있던 아말렉 사람들을 쳤다는 기록이 있다.[4]

3. 성경 외 문헌에서의 언급

하윌라는 성경 외 문헌인 의사-필로에서 여호수아 이후 시대에 아모리인들이 그들의 우상을 만들 때 사용했던 귀중한 보석의 원천으로 언급되며, 이때 게나스가 이스라엘의 재판관이었다고 한다.[10]

이 이야기에 따르면, 바벨탑 이후 초기 시대에 요크탄의 아들 하윌라의 자손들은 그의 형제들인 스바와 오빌 근처에 도시와 왕국을 건설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는 ''키타브 알-마갈''(클레멘타인 문헌)과 ''보물 동굴''에서 찾아볼 수 있다.[10]

4. 위치에 대한 가설





하윌라의 위치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가설이 존재한다. 크게 아프리카 가설과 아라비아 가설로 나뉜다.

4. 1. 아프리카 가설

W.F. 올브라이트는 1922년에 출판된 『에덴 동산의 위치』에서 창세기 2장에 나오는 하윌라가 아프리카의 하윌라를 가리킨다고 주장했다. 그 이유는 그 구절에서 언급된 좋은 금, 검, 공작석 등이 누비아 사막의 중요한 산물이며, 이 중 적어도 두 가지는 서부 아라비아에서는 발견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5]

올브라이트는 창세기 10장에서 "하윌라"라는 이름이 두 번 언급되는데, 한 번은 구스 (에티오피아)의 아들들 중 세바 다음에, 다른 한 번은 욕단의 아들들 중에서 스바와 오빌 바로 다음에 나온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구절들이 서로 다른 필자에 의해 쓰였다고 추정할 이유가 없으며, 오히려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각각 속한 두 개의 구분이 있었다는 사실을 서툴게 기술하려는 시도로 보았다.[6]

올브라이트가 언급하는 하윌라는 수단하르툼 지역에 있는 장소이다.[7]

사디아 가온은 10세기의 아랍어 번역본 히브리 성경에서 하윌라를 소말리아제일라로 대체했다. 고대 도시 아발리테스는 하윌라의 지명으로 여겨진다.[8] 게세니우스는 아발리테스를 구스의 아들들에게 속한 도시로 식별했다.[9] 12세기 유대인 여행가인 벤야민 투델라는 제일라 지역이 서쪽의 알-하바쉬에 의해 경계가 정해진 하윌라의 땅이라고 주장했다.[10] 제일라 (하윌라)는 포르투갈인의 올드 고아 총독 로포 소아레스 데 알베르가리아에 의해 약탈되었고, 할라의 족장 마흐푸즈는 1517년에 아비시니아를 침략했다.[11][12]

하윌라는 마크로비안 왕국과 연관되어 왔는데, 델리취에 따르면 그 주민들은 인접한 남아라비아의 사람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13][14][15]

오거스터스 헨리 케인은 하윌라의 땅이 그레이트 짐바브웨를 중심으로 하고 당시 남로디지아와 거의 같은 시대에 존재했다고 믿었다.[16] 하윌라 캠프는 1902년부터 1904년까지 그레이트 짐바브웨 유적을 연구한 영국 고고학자 그룹의 기지 캠프였다. 결국 그들은 이 정착지와 성경의 연관성을 부정했다.[17]

4. 2. 아라비아 가설

1844년, 찰스 포스터는 고대 이름인 "하윌라"의 흔적이 현재 바레인 섬으로 알려진 지역을 부르는 "아발"이라는 명칭에서 발견된다고 주장했다.[18]

1992년 "앵커 바이블 사전"에서 W. W. 뮐러는 성경 속 하윌라가 서부 아라비아의 두 다른 지역을 지칭한다고 믿는다고 하였다.
메디나 주에는 금광, 향료 길에 위치, 하라트 카이바르 지역의 신석기 및 청동기 문명 유적 등 묘사와 일치하는 여러 특징이 있다.

아라비아 가설은 하버드 셈 박물관의 전 큐레이터인 제임스 A. 자우어가 성경에서 하윌라를 둘러싼다고 묘사된 피손을 와디 알-룸마로 식별하면서 더욱 강화되었다.[20][21] 와디 알-룸마는 메디나 근처의 히자즈 산맥에서 시작하여 북동쪽으로 쿠웨이트까지 이어지는 마른 강줄기이다. 자우어는 지질학적 및 역사적 근거를 바탕으로 이러한 식별을 했다.[22] 또한, 성경 주석가들은 하윌라와 수르 사이에 정착한 이스마엘 사람들이 아랍인의 조상이기 때문에 하윌라가 아라비아에 있어야 한다고 믿는다.[23]

참조

[1] 서적 The Gold of Ophir, Whence Brought and by Whom? https://books.google[...] E. Stanford 1901
[2] 서적 A Cyclopædia of Biblical Geography, Biography, Natural History, Etc. [With Illustrations.] https://books.google[...] 1866
[3] 웹사이트 Bible Gateway passage: 2 Kings 17:6 - New English Translation https://www.biblegat[...] 2023-09-07
[4] 서적 Calmet's Dictionary of the Holy Bible https://books.google[...] Crocker and Brewster 1852
[5] 문서 Location Of The Garden Of Eden https://archive.org/[...]
[6] 문서 Location Of The Garden Of Eden https://archive.org/[...]
[7] 웹사이트 Hawila, Sudan https://sudan.places[...]
[8] 서적 La Palestine ancienne et moderne https://archive.org/[...] Berger-Levrault 1868
[9] 서적 The Bible Dictionary. Illustrated, Etc https://books.google[...] Cassell, Petter&Galpin 1863
[10] 서적 Jewish Traveler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8-01-01
[11] 간행물 ABYSSINIA: MYTHICAL AND HISTORICAL https://books.google[...]
[12] 간행물 Review work Futuh al habasa
[13] 서적 The Chautauquan: organ of the Chautauqua Literary and Scientific Circle https://books.google[...] Chautauqua Press 1881
[14] 서적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Phillips & Hunt 1889
[15] 서적 Biblic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https://books.google[...] T. & T. Clark 1872
[16] 문서 The Gold of Ophir – Whence Brought and by Whom? 1901
[17] 문서 Great Zimbabwe, Mashonaland, Rhodesia: An Account of Two Years' Examination Work in 1902-4 on Behalf of the Government of Rhodesia Methuen & Co. 1905
[18] 문서 The Historical Geography of Arabia https://ia802606.us.[...] 1844
[19] 문서 Havilah (Place). 1992
[20] 문서 Genesis 2:11
[21] 문서 Wadi al-Rummah
[22] 뉴스 The River Runs Dry 1996-07
[23] 웹사이트 Genesis 25:18 Commentaries https://biblehub.com[...] 2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