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대 (중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행대(行臺)는 중국 역사에서 군사적 임무 수행을 위해 파견된 임시 기구 또는 관청을 의미한다. 위진 시대에는 사마소 등이 군대를 지휘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서진 영가의 난 당시 사마월이 군사를 이끌 때 사용되었다. 남북조 시대에는 북위에서 황제의 특사로 군사 지휘나 순시 임무를 수행했으며, 북위 말에는 고환이 대행대를 맡아 군사 지휘권을 행사했다. 북제에서는 지방 민정까지 관할하는 기구로 발전했으며, 수나라와 당나라 초기에도 행대상서성이 설치되어 군사 업무를 담당했다. 금나라에서는 행대상서성이 설치되어 통치 기구로 활용되었으나, 원나라 이후에는 행중서성이 그 역할을 대신했다.
조위(曹魏) 감로(甘露) 2년(257년) 사마소(司馬昭)가 제갈탄(諸葛誕)을 토벌할 때, 상서복야(尚書僕射) 진태(陳泰)와 중서시랑(中書侍郎) 종회(鍾會) 등을 「행대」로 삼아 종군시켰다.
북위에서 행대는 황제가 파견하는 특사로서 군사 지휘나 변경 순시 임무를 맡았으나, 상설 기구는 아니었고 지방 민정에는 관여할 수 없었다. 천흥 원년(398년) 도무제는 후연의 수도 중산(中山) 일대를 점령한 뒤, 수도 평성(平城)과 거리가 멀어 업성(鄴城)과 중산에 행대를 두고 상서령 탁발의(拓跋儀)에게 관리를 맡겼다. 희평 원년(516년) 남조 양 무제가 수춘(壽春)을 공격하자, 북위는 이평(李平)을 상서우복야 겸 행대로 삼아 여러 군을 지휘하게 하여 양나라 군대를 격파했다. 효문제가 수도를 낙양으로 옮긴 후에는 상서좌복야 원회(源懷)를 행대로 삼아 북쪽 변경의 6진과 항(恆), 연(燕), 삭(朔) 3개 주를 순시하게 했다.
수 문제는 개황 2년(582년)에 병(並), 낙(洛), 익(益) 3개 주에 각각 하북도(河北道), 하남도(河南道), 서남도(西南道) 행대상서성을 설치하고, 황자인 양광(楊廣, 훗날 수 양제), 양준(楊俊), 양수(楊秀)에게 각각 행대상서령을 맡겼다. 훗날 낙주행대는 폐지되었고, 대신 양주(襄州)와 수춘(壽春)에 각각 산남도(山南道)와 회남도(淮南道) 행대가 설치되었는데, 이는 진(陳)을 정벌하기 위한 목적이었다. 진나라 통일 이후 이 두 행대는 폐지되었으며, 개황 9년(589년)에는 남아있던 행대도 모두 폐지되었다. 행대가 있던 병, 양, 익 3개 주 및 형주(荊州)에는 대총관부(大總管府)가 설치되어 여러 주를 관할했으나, 이 총관부 역시 양제 대업 원년(605년)에 폐지되었다.
2. 위진 시대
서진(西晉) 시대 영가의 난 때는 상서령(尚書令)이었던 동해왕(東海王) 사마월(司馬越)이 「행대」로서 군대를 이끌고 석륵(石勒)을 공격했다. 이후 상서성의 장관이 출정할 때 그를 수행하는 군사 기구를 가리켜 「행대」라고 부르게 되었다.
3. 남북조 시대
정광 5년(524년) 육진의 난을 시작으로 반란이 잇따르자, 북위 조정은 각지에 행대를 파견하여 반란 진압을 지휘하게 했다. 원유의(元脩義)와 소보인(蕭寶寅)이 서도행대(西道行臺)로 임명되어 관중(關中)의 반란을 진압했고, 효창 원년(525년)에는 상경(常景)이 행대로 임명되어 하북(河北)의 두락주(杜洛周)의 난을 진압했다. 효명제와 효장제 시기에는 행대가 자주 설치되었고, 행대의 장관이 해당 주의 자사나 도독제주군사(都督諸州軍事)를 겸임하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점차 지방 군사 지휘 기관으로 성격이 변해갔다. 예를 들어 정광 연간에 조세표(曹世表)는 동남도행대(東南道行臺)를 맡으며 동예주자사(東豫州刺史)를 겸했고, 위자건(魏子建)은 산남행대(山南行臺)로서 양(梁), 파(巴), 이익(二益), 양진(兩秦) 지역의 일을 총괄했다. 정광 말기에는 설유의(薛脩義)가 도독화유동진제주군사(都督華、豳、東秦諸州軍事) 겸 서도행대가 되었다. 효창 연간에는 양진(楊津)이 정주자사(定州刺史)와 북도행대(北道行臺)를 겸했다.
무태 원년(528년) 효명제는 이주영을 북도대행대(北道大行臺)로 임명했는데, 이것이 대행대의 시작이었다. 이후 이주씨 일족이 각 지역을 장악하며 대행대로 임명되었다.
북위 말기에는 고환이 권력을 장악하고 스스로 대행대가 되었으며, 다른 행대는 모두 폐지했다. 효무제는 고환을 견제하기 위해 하발악을 관서도대행대(關西道大行台)로, 하발승을 남도대행대(南道大行臺)로 삼았다. 하발악이 사망한 후에는 우문태가 그 지위를 이어받았다. 북위가 동서로 분열된 후, 동위의 승상 고환은 병주(并州) 진양(晉陽)에 대행대와 승상부를 두었고, 서위의 우문태는 대행대로서 옹주(雍州)를 진수하며 내외 군사를 총괄했다. 고환은 후경을 하남도대행대(河南道大行臺)로 삼아 호뢰에 주둔시키고 10만 병력으로 하남 지역을 통치하며 서위 및 양과의 전쟁을 담당하게 했다. 그러나 양 중대동 2년(547년) 후경은 반란을 일으켜 양나라에 투항하며 자신이 관할하던 하남 지역 13주를 바쳤다.
북제는 북위의 제도를 이어받아 여러 곳에 행대를 설치했다. 병주(并州)의 대행대는 병주상서성(并州尚書省)을 개칭한 것으로, 수도 업성(鄴城)의 중앙 상서성 아래 기관이었으며, 나머지 행대는 해당 주의 관할을 받았다. 기록에 나타나는 북제의 주요 행대는 다음과 같다.명칭 별칭 위치 (현재 지명) 유주도행대(幽州道行臺) 북도행대 계(薊, 베이징 서북부) 삭주도행대(朔州道行臺) 광안(廣安, 산시성 삭현) 진주도행대(晋州道行臺) 평양(平陽, 산시성 임분) 건주도행대(建州道行臺) 고도(高都, 산시성 진성 동북부) 동옹주행대(東雍州行臺) 정평(正平, 산시성 신강) 낙주행대(洛州行臺) 하남도행대 낙양 하양도행대(河陽道行臺) 하양(河陽, 허난성 맹현 서쪽) 예주도행대(豫州道行臺) 여남(汝南, 허난성) 동서주행대(東徐州行臺) 동남도행대 하비(下邳, 장쑤성) 양주도행대(揚州道行臺) 수춘(壽春, 안후이성 수현)
북제 시기에도 전쟁이나 순시를 위해 임시 행대가 설치되었다가 업무가 끝나면 철폐되기도 했다. 문선제 때 신술(辛術)이 동서주자사(東徐州刺史) 겸 동남도행대를 맡아 10여 주 지역의 범법자를 처결하게 되면서, 이때부터 행대가 지방 민정까지 관할하게 되었다.
서위의 행대는 상설직이 아니었다. 우문태 외에 독고신(獨孤信)이 형주자사(荊州刺史) 겸 동남도행대, 왕사정(王思政)이 동도행대(東道行臺)를 맡은 사례가 있다. 왕사정은 처음 옥벽(玉壁)에 주둔했으나 후경의 반란 이후 영주(潁州)로 거점을 옮기면서 행대 역시 이동했다. 북주는 행대를 폐지하고 그 후신 격인 총관부(總管府)를 설치했다.
남조에는 북조와 같은 행대 제도가 없었다. 다만 유송이나 남제에서 중앙 정부가 부세 징수를 위해 파견하는 사신을 행대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었으나 명칭은 일정하지 않았다. 후경이 투항하자 양 무제는 그가 북조에서 사용하던 대행대 칭호를 그대로 쓰도록 허락하고 하남왕(河南王)으로 삼았다.
3. 1. 북위 행대의 조직
북위 행대의 조직은 중앙의 중대(상서대)와 비슷하게 령, 복야, 상서, 승(丞), 랑(郎) 같은 관직이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모두 임시직으로 권한을 행사했을 뿐이며, 완벽하게 갖춰진 조직은 아니었다. 행대의 최고 책임자 역시 특정 관직으로 정해진 것이 아니라, 령, 복야, 상서 등 다양한 관직의 인물이 맡는 경우가 있었다.
4. 수당 시대
당 왕조 초기에는 '대행대'(大行臺)라는 이름으로 행대가 다시 등장했다. 낙양에는 섬동도대행대(陝東道大行臺)가 설치되었고, 진왕(秦王) 이세민(훗날 당 태종)이 상서령을 맡아 다른 행대보다 높은 지위를 가졌다. 그 외에도 익주도(益州道), 양주도(襄州道), 동남도(東南道), 하동도(河東道), 하북도(河北道) 등에 행대가 설치되어 종실(宗室)의 친왕(親王) 또는 황제가 특별히 신임하는 대장군이 상서좌복야(尚書左僕射) 겸 행대주(行臺主)를 맡았다. 그러나 무덕 9년(626년)에 모든 행대는 폐지되었다.
4. 1. 수당 시대 행대상서성의 조직
수와 당 시대의 행대상서성은 '행대상서령'을 최고 장관으로 삼았고, 령이 공석일 경우에는 상서좌복야가 장관직을 대행했다. 세부적인 관직 구성은 중앙의 상서성과 유사했지만 일부 차이가 있었다.
행대는 주로 군사적인 필요에 의해 설치되었기 때문에 병부(兵部)가 가장 중요한 부서로 여겨졌다. 동시에 민사(民事) 관련 업무도 처리해야 했으므로 이부(吏部), 호부(戶部), 형부(刑部), 공부(工部) 등도 설치되었다. 그러나 인력 등의 문제로 한 관리가 여러 부서의 업무를 겸하는 경우가 많았다. 예부(禮部)는 중앙 정부의 고유 권한으로 간주되어 행대에는 설치되지 않았다.
행대는 관할 구역이 넓고 지위가 높았으며 강력한 권한을 행사했지만, 이는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려는 황제의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운 제도였다. 결국 당 태종은 즉위 후 수 양제가 그랬던 것처럼 행대를 모두 폐지하였다.
5. 금나라 이후
금 천회 15년(1137년)에 금은 자신들이 세운 괴뢰 국가인 제(齊)를 없애고 옛 북송의 수도인 변경(허난성 카이펑)에 '행대상서성'을 설치하여 이전 제(齊)가 다스리던 지역을 관리하게 했다. 행대상서성은 조정의 상서성 지휘 아래 행대좌승상과 행대우승상이 설치되었다. 천권 원년(1138년)에는 남송과의 화의에 따라 하남, 섬서 지역을 남송에 돌려주고, 행대상서성도 중경(中京)으로 이전했다. 그러나 천권 3년(1140년) 5월, 완안종필이 진승도원수(晋升都元帅)로서 화의를 깨고 송을 공격하여 하남과 섬서 땅을 다시 빼앗았고, 행대상서성을 다시 변경으로 옮겼다. 천덕 2년(1150년)에 행대상서성은 최종적으로 폐지되었다.
원나라에서는 상서성이 아닌 어사대를 설치하고 이를 줄여서 '행대'(行臺)라고 불렀다. 이후 지방 행정 기구 및 행상서성의 권력은 행중서성이 대체하게 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