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헝가리 국민단결정부는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나치 독일의 지원을 받아 1944년 10월 16일부터 1945년 5월 7일까지 헝가리를 통치한 친독일 정권이다. 미클로시 호르티 섭정이 연합국과의 휴전을 시도하자, 독일은 호르티를 축출하고 살십자당 당수 페렌츠 셜러시를 총리로 임명했다. 셜러시는 국가 지도자 자리에 올라 독일과의 협력을 강화하며 유대인과 로마인 학살을 자행했다. 그러나 헝가리 영토 대부분이 소련군에 점령당하고, 부다페스트가 함락되면서 정권은 붕괴되었으며, 셜러시를 비롯한 주요 각료들은 전범 재판을 통해 처형되었다.

2.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헝가리는 추축국의 일원이었으나 전세가 불리해지자 연합국과의 단독 강화를 모색했다. 그러나 이를 저지하려는 나치 독일은 1944년 10월 15일에 판처파우스트 작전을 발동했다.[15] 미클로시 호르티 섭정은 독일군에 강요받아 다음 날인 16일에 민족주의 정당인 화살십자당 당수인 서러시 페렌츠를 총리로 임명하고 섭정에서 물러났으며, "망명"이라는 명목으로 독일로 연행되었다.[15]

부다페스트의 유대인들이 나치의 홀로코스트 센터로 추방되기 위해 모였다. (1944년 10월)


헝가리 군인들이 부다페스트 교외에서 7.5 cm Pak 40 대전차포를 운용하고 있다. (1944년 11월)


서러시는 당일 내각을 조각하여 16명의 각료 중 절반을 화살십자당원으로 채웠다. 또한, "총통(국민 지도자)"을 칭하며 사실상의 원수로 취임했지만, 왕정을 유지한다고 하여 계속해서 "헝가리 왕국"의 명칭을 사용했다. 11월 4일에는 자신과 베레그피 카로이, 라이니슈 페렌츠|Rajniss Ferenchu, 치아 샨도르|Csia Sándorhu의 4인으로 구성된 섭정 평의회의 설립을 의회에 승인받았다.

정권 수립 후, 서러시는 독일에 협력하여 유대인학살과 강제 이송을 시작했다. 국민단결정부의 통치 기간(1년 미만) 동안 수십만 명의 유대인이 학살되었는데,[12] 1941년 시점에 헝가리에 거주하던 80만 명의 유대인 중 패전 시에 살아남은 사람은 20만 명 정도였다. 또한, 약 2만 8,000명의 로마인도 유대인과 함께 학살되었다.[13]

군사적으로는 총동원을 선포하고, 공업 및 농업 자원을 독일 국방군에 제공했으며, 노인과 소년을 징병하여 소련군과의 전투에 동원했다. 한편, 서러시는 정치 사상을 정리한 저서를 집필하거나 국내 시찰에 몰두했기 때문에, 정무의 대부분은 부총리인 소루시 예뇌|Szöllősi Jenőhu가 대행했다.

2. 1. 호르티 섭정 축출

1944년 10월 15일, 미클로시 호르티 섭정은 연합국과의 휴전을 발표했다. 그러나 나치 독일판처파우스트 작전을 발동하여 호르티를 납치하고, 그의 아들 니콜라스 호르티를 죽이겠다고 협박했다. 이로 인해 호르티는 휴전을 철회하고 퇴위해야 했다.[15] 호르티는 아들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1944년 10월 16일, 살십자당 지도자 페렌츠 살러시를 ''Magyar királyi miniszterelnök''(왕립 헝가리 총리)으로 임명하는 문서에 서명하고 퇴위했다.[15] 이후 호르티는 독일로 추방되었다. 이 사건은 전날 밤 살러시의 부하들이 부다페스트를 장악했기 때문에, 사실상 살십자당의 쿠데타를 승인한 것에 불과했다.

호르티는 회고록에서 자신은 살십자당에게 권력을 넘겨준 적이 없으며, "단지 아들의 목숨을 위해 서명을 교환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16] 그는 살러시의 임명이 "기관총 앞에서 강요된 서명은 법적 효력이 거의 없다"는 이유로 무효라고 주장했다.[16]

2. 2. 살십자당 집권

미클로시 호르티가 1944년 10월 15일 연합국과의 휴전을 발표하자, 독일군은 그를 납치하고 아들을 죽이겠다고 협박하여 휴전을 철회하고 퇴위하게 했다. 호르티는 아들의 목숨을 구하기 위해 10월 16일 퇴위하고 살십자당 지도자 페렌츠 살러시를 헝가리 왕립 총리로 임명하는 성명에 서명했다.[15] 그는 이후 독일로 추방되었는데, 이는 살십자당의 쿠데타를 승인한 것에 불과했다. 호르티는 회고록에서 살십자당에게 권력을 넘겨준 적이 없으며, "단지 아들의 목숨을 위해 서명을 교환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살러시의 임명이 "기관총 앞에서 강요된 서명은 법적 효력이 거의 없다"는 이유로 무효라고 보았다.[16]

헝가리 의회는 10월 17일 3인으로 구성된 섭정 위원회 (''Kormányzótanács'')의 구성을 승인했다.[1] 11월 4일, 살러시는 국가 지도자 (''nemzetvezető'')로 선서했다.[17] 그는 16명의 장관으로 정부를 구성했으며, 그 중 절반이 살십자당원이었다. 호르티 섭정은 끝났지만, 살러시 정권은 헝가리 군주제를 폐지하지 않았다. 정부 신문은 계속해서 이 나라를 헝가리 왕국 (''Magyar Királyság'', 약칭 ''m.kir.'')이라고 언급했지만, ''Magyarország'' (헝가리)도 자주 대안으로 사용되었다.[18][19]

살러시는 열렬한 파시스트였으며, 그의 "쿠슬링 정부"는 파시즘을 유지하고 소련군이 헝가리로 쏟아져 들어오면서 나치 점령 하의 헝가리 지역을 통제하는 것 외에는 다른 의도나 능력이 거의 없었다. 그는 독일에 대한 위협을 줄이기 위해 이 일을 했다. 살러시의 목표는 그의 "헝가리스트" 이념에 기반한 독재 국가를 만드는 것이었다.

1944년 10월 부다페스트에서 행진하는 살십자당원


정권 수립 후, 살러시는 독일에 협력하여 유대인학살과 강제 이송을 시작했다. 국민단결정부 통치 기간(1년 미만) 동안 수십만 명의 유대인이 학살되었고, 1941년 시점에서 헝가리에 거주하던 80만 명의 유대인 중, 패전 시에 살아남은 사람은 20만 명 정도였다.[12] 또한, 약 2만 8,000명의 로마인도 유대인과 함께 학살되었다.[13] 군사적으로는 총동원을 선포하고, 공업 및 농업 자원을 독일 국방군에 제공했으며, 노인과 소년을 징병하여 소련군과의 전투에 동원했다. 한편, 살러시는 정치 사상을 정리한 저서를 집필하거나 국내 시찰에 몰두했기 때문에, 정무의 대부분은 부총리인 소루시・예로|Szöllősi Jenőhu가 대행했다.

3. 국민단결정부의 성립과 통치

1944년 10월 15일, 호르티 미클로시 헝가리 섭정이 연합국과의 단독 강화를 모색하자, 나치 독일판처파우스트 작전을 발동하여 이를 저지했다. 다음 날인 10월 16일, 호르티는 독일군에 의해 강제로 민족주의 정당 화살십자당의 당수 서러시 페렌츠를 총리로 임명하고 섭정에서 물러나 독일로 "망명"했다.[15]

서러시는 즉시 내각을 구성하여 16명의 각료 중 절반을 화살십자당원으로 채웠다. 또한, 그는 "총통(국민 지도자)"을 칭하며 사실상의 국가 원수가 되었지만, 왕정은 유지하여 "헝가리 왕국"이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했다.[18][19] 11월 4일에는 자신과 베레그피 카로이, Ferenc Rajniss|라이니시 페렌츠hu, Csia Sándor|치아 샨도르hu 4인으로 구성된 섭정 평의회 설립을 의회에 승인받았다.[1][17]

서 있던 살러시(가운데), 그의 각료들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각료 (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
직책이름정당
국가 원수 겸 총리서러시 페렌츠화살십자당
부총리Szöllősi Jenő|서르시 예뇌hu화살십자당
내무부 장관바이너 가보르화살십자당
외무부 장관케메니 가보르화살십자당
재무부 장관레메니-슈넬러 러요시무소속
법무부 장관부딘스키 라슬로화살십자당
국방부 장관베레그피 카로이무소속
종교 및 교육부 장관라이니시 페렌츠 (1945년 3월 7일까지)
서러시 페렌츠 (대행, 1945년 3월 7일부터)
헝가리 생활당
화살십자당
농업부 장관펄피 피델화살십자당
상무 및 교통부 장관Szász Lajos|사스 라요시hu화살십자당
산업부 장관Szakváry Emil|사크바리 에밀hu무소속
복지부 장관벨라 유르체크무소속
국가 총동원 및 군수 담당 무임소 장관Kovarcz Emil|코바르츠 에밀hu무소속
국방 및 선전 담당 무임소 장관Kassai-Schallmayer Ferenc|커샤이-셜마예르 페렌츠hu화살십자당
생산 지속 감독 담당 무임소 장관빌모시 헬레브론트무소속
국가 원수 특별 보좌 담당 무임소 장관아르파드 헤니무소속



1944년 10월 부다페스트의 헝가리 장교

3. 1. 이념과 정책

살러시는 '헝가리주의'라는 극단적인 민족주의 이념을 내세웠다.[12] 그는 헝가리의 국가 경제를 "노동 국가의 기업 질서"(''돌고조 네메트 히바타시 렌데'')라고 칭하였다.[14]

3. 2. 유대인과 로마인 학살

나치 독일과 살십자당은 공동 쿠데타를 일으켜 헝가리 섭정 미클로시 호르티를 몰아내고 페렌츠 살러시를 총리로 하는 국민단결정부를 수립했다. 이들은 헝가리의 홀로코스트에 적극 협력하여 유대인과 로마인들을 학살했다. 1941년 80만 명이던 헝가리 유대인은 전쟁이 끝난 후 20만 명으로 급감했으며, 살러시의 명령으로 2만 8천 명의 사람들도 롬 학살(포라이모스)로 희생되었다.[12][13]

3. 3. 전시 동원 체제

살러시 페렌츠는 총동원령을 내려 헝가리의 인적, 물적 자원을 독일군에 제공하고, 소련군에 맞서 싸웠다. 헝가리 제1군은 부다페스트 공방전에 참전하여 소련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패배했다.[9] 헝가리가 혼란에 빠졌음에도 불구하고, 살러시는 이론적으로 헝가리 주권을 훼손하는 것을 거부하고, 현지 SS 부대를 포함한 모든 헝가리 군부대에 대한 명목상의 지휘권을 유지하려 했다.[14] 민족 독일인은 여전히 살십자당에 가입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았다. 살러시는 자신의 정치적 저술과 통제 하에 있던 축소된 영토를 여행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으며, 많은 정치적 문제는 그의 부총리 예뇌 쇠르뢰시가 효과적으로 처리했다.[14]

1944년 12월, 부다페스트 공방전이 시작되었다. 살러시에게 충성하는 파시스트 세력과 헝가리 제1군 잔당은 독일군과 함께 싸웠다. 그들은 붉은 군대에 맞서 싸웠지만 소용이 없었다. 1945년 2월 13일까지, 부다페스트는 모두 소련의 통제 하에 놓였다.[9]

4. 국민단결정부의 붕괴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살십자당이 호르티 섭정을 몰아내는 쿠데타를 일으켰을 때, 소련군은 이미 헝가리 왕국의 대부분을 점령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국민단결정부의 권한은 수도 부다페스트와 그 주변 지역으로 제한되었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페렌츠 살러시 총리는 헝가리의 홀로코스트를 지속하여 헝가리 유대인, 특히 부다페스트 유대인에 대한 추방을 재개했다. 1941년 80만 명이었던 헝가리 유대인은 1945년에는 20만 명만이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았다.[12] 또한 살러시는 2만 8천 명의 헝가리 사람들에 대한 롬 학살도 명령했다.[13]

살러시 총리는 헝가리 경제를 "노동 국가의 기업 질서"로 재편하려 했다. 헝가리가 혼란에 빠졌음에도 불구하고, 살러시는 헝가리 주권을 지키고 모든 헝가리 군부대에 대한 명목상의 지휘권을 유지하려 했다. 민족 독일인은 살십자당 가입이 허용되지 않았다. 살러시는 자신의 정치적 저술과 축소된 영토를 여행하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고, 많은 정치적 문제는 그의 부총리 예뇌 쇠르뢰시가 처리했다.[14]

1944년 12월 초, 살러시와 그의 정부는 소련군이 수도로 진격하면서 부다페스트에서 철수했다. 초토화 전술로, 독일 국방군은 소련군이 접근하자 헝가리의 기반 시설을 파괴했다.

4. 1. 소련의 지원을 받는 임시 정부 수립

1944년 12월, 소련의 지원을 받는 벨러 미클로시를 수반으로 하는 헝가리 임시 국민 정부가 데브레첸에서 수립되었다.[33] 이는 소련군이 부다페스트로 진군하여 국민단결정부 각료들이 부다페스트를 떠나 솜버트헤이로 퇴피한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12월 21일, 소련군의 비호를 받은 벨러 미클로시 장군을 수상으로 하는 헝가리 임시 국민 정부가 수립되었다.[34]

1945년 2월 14일, 부다페스트 포위전에서 헝가리 제1군이 소련군에 압도당해 부다페스트가 소련군에 제압되었다. 이후 헝가리 제3군이 독일군의 봄의 각성 작전에 호응하여 소련군에게 공세를 가했지만, 3월 16일에 독일군이 패주하면서 헝가리 제3군도 패주했고, 3월 25일에 부대는 괴멸되었다. 4월까지 헝가리 전역은 소련군과 헝가리 임시 국민 정부에 의해 점령되었다. 헝가리 제3군의 괴멸 후, 국민통일정부 각료들은 으로 탈출했고, 나치 독일 붕괴에 앞서 국민통일정부는 사실상 붕괴되었다.

4. 2. 부다페스트 함락과 정부 붕괴

1944년 12월, 부다페스트 공방전이 시작되면서, 페렌츠 살러시에게 충성하는 파시스트 세력과 헝가리 제1군 잔당은 독일군과 함께 붉은 군대에 맞서 싸웠으나 역부족이었다. 1945년 2월 13일, 부다페스트는 소련군에 의해 함락되었다.[9]

1945년 3월, 헝가리 제3군은 독일군과 함께 소련군에 대한 마지막 주요 공세를 벌였으나, 곧 소련군의 반격으로 무너졌다. 3월 말에서 4월까지 헝가리군은 나지카니자-쾨르멘드 공세 동안 방어 태세를 갖추었으나, 소련군이 헝가리 전체를 점령하면서 슬로바키아와 오스트리아로 밀려났다.

1944년 12월 초, 소련군이 부다페스트로 진군하자 국민단결정부 각료들은 솜버트헤이로 피신했다. 1945년 2월 14일, 부다페스트가 소련군에 함락되자,[33] 국민단결정부 각료들은 으로 다시 피신했다. 이후 나치 독일의 붕괴 직전, 국민단결정부는 사실상 붕괴되었다.[34]

헝가리에서 도망친 페렌츠 살러시 정권은 독일의 항복 하루 전인 1945년 5월 7일에 해산되었다.[2] 살러시는 5월 6일 마트제에서 미군에게 체포되어[2] 헝가리로 송환, 국가 반역죄로 재판을 받고 처형되었다.

인민 재판의 피고석에 앉은 살러시 등 국민단결정부 각료

4. 3. 전범 재판



살러시를 비롯한 국민단결정부 각료들은 마트제에서 미군에 체포되어[2] 헝가리로 송환되었다. 이들은 국가 반역죄로 재판을 받고 살러시와 그의 장관 3명과 함께 처형되었다.[2]

나치 독일 붕괴 후, 살러시는 잘츠부르크에서 미국군에 투항했고, 각지에서 투항한 각료들과 함께 헝가리로 송환되어 전쟁 범죄로 인민 재판에 회부되었다.

국민단결정부 각료 18명 중 율체크 벨러는 패전 시 자살했고, 헤니 아르파드는 오스트리아망명했다. 에밀 사크바리는 종신형을 선고받았으며, 사형 판결을 받은 헬브론트 빌모스도 종신형으로 감형되었다. 나머지 살러시 등 14명의 각료는 사형 판결을 받아 교수형에 처해졌다.

5. 국민단결정부 각료



국민단결정부 각료 명단
직책이름재임 기간정당
국가 원수 겸 총리페렌츠 셜러시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화살십자당
부총리Szöllősi Jenő|죄뢰뢰시 죄뇌hu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화살십자당
내무부 장관가보르 바이너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화살십자당
외무부 장관가보르 케메니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화살십자당
재무부 장관러요시 레메니-슈넬러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무소속
법무부 장관라슬로 부딘스키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화살십자당
국방부 장관커로이 베레그피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무소속
종교 및 교육부 장관페렌츠 라이니쉬 (1945년 3월 7일까지)
페렌츠 셜러시 (대행, 1945년 3월 7일 ~ 1945년 3월 28일)
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헝가리 생활당 (페렌츠 라이니쉬)
화살십자당 (페렌츠 셜러시)
농업부 장관피델 팔피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화살십자당
상무 및 교통부 장관Szász Lajos|러요시 서스hu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화살십자당
산업부 장관Szakváry Emil|에밀 서크바리hu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무소속
복지부 장관벨라 유르체크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무소속
무임소 장관 (국가의 전면적인 동원 및 무장 담당)Kovarcz Emil|에밀 코바르츠hu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무소속
무임소 장관 (국방 및 선전 담당)Kassai-Schalmayer Ferenc|페렌츠 카사-셜머이어hu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화살십자당
무임소 장관 (지속적인 생산 감독 담당)빌모시 헬레브론트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무소속
무임소 장관 및 국가 원수 특사 (국가 원수 태스크 포스 담당)아르파드 헤니1944년 10월 16일 ~ 1945년 3월 28일무소속


6. 역사적 평가

국민단결정부는 헝가리 역사상 최악의 파시스트 독재 정권으로 평가받는다. 이 정권은 제2차 세계 대전 말기 독일 나치와 살십자당의 쿠데타로 집권하여 헝가리의 홀로코스트를 자행, 수많은 헝가리 유대인과 인들을 학살했다.[12][13] 페렌츠 살러시 총리는 헝가리 유대인 추방을 재개했고, 롬인 학살도 명령했다.[12][13] 1941년 80만 명에 달했던 헝가리 유대인은 1945년에는 20만 명만이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았다.[12] 이러한 반인륜적 범죄는 국제적인 비난을 받았으며, 헝가리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살러시 정권은 초토화 전술로 헝가리 기반 시설을 파괴하고, 부다페스트 공방전에서 소련군에 맞서 싸웠으나 패배했다.[9] 1945년 3월, 헝가리 제3군은 독일군과 함께 소련군에 대한 마지막 공세를 펼쳤지만 실패했다. 이후 헝가리군은 소련군에 의해 슬로바키아와 오스트리아로 밀려났다.

1945년 5월 7일, 살러시 정권은 해산되었고,[2] 살러시는 미군에 체포되어 헝가리로 송환, 처형되었다.[2]

한국의 중도진보적 관점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비극을 통해 극우 전체주의의 위험성을 경계해야 한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

참조

[1] 서적 Take Budapest: The Struggle for Hungary, Autumn 1944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2015-03-29
[2] 서적 A Magyar Honvédség a második világháborúban Európa Könyvkiadó
[3] 서적 A Magyar Honvédség a második világháborúban Európa Könyvkiadó
[4] 서적 A Magyar Honvédség a második világháborúban Európa Könyvkiadó
[5] 서적 World Dictionary of Foreign Expressions Bolchazy-Carducci Publishers, Inc. 1999
[6] 웹사이트 Ébredj Magyar - Hungarista Induló https://www.youtube.[...] YouTube 2024-02-03
[7] 웹사이트 Nemzeti Összefogás Kormánya, Szálasi-kormány, nyilas kormány http://lexikon.katol[...]
[8] 서적 A Magyar Honvédség a második világháborúban Európa Könyvkiadó
[9] 웹사이트 The Policies of Prime Minister Kallay and the German Occupation of Hungary in March 1944 http://www.hungarian[...] 2011-01-09
[10] 서적 The Jews of Hungary:History, Culture, Psychology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11] 뉴스 War Crime Suspect Admits to his Leading Fascist Role http://www.theage.co[...] The Age 2009-04-19
[12] 웹사이트 Victims of Holocaust http://www.hdke.hu/i[...] Holocaust Memorial Centre 2008-03-11
[13] 문서 The Roma Holocaust University of Alberta Press 2000
[14] 서적 A history of fascism, 1914-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15] 서적 A Magyar Honvédség a második világháborúban Európa Könyvkiadó
[16] 서적 Admiral Nicholas Horthy Memoirs https://books.google[...] Simon Publications LLC
[17] 웹사이트 Hungary: Notes - archontology.org http://www.archontol[...]
[18] 간행물 Budapesti Közlöny 1944-10-17
[19] 간행물 Hivatalos Közlöny 1945-01-27
[20] 서적 Take Budapest: The Struggle for Hungary, Autumn 1944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2015-03-29
[21] 서적 A Magyar Honvédség a második világháborúban Európa Könyvkiadó
[22] 서적 A Magyar Honvédség a második világháborúban Európa Könyvkiadó
[23] 서적 A Magyar Honvédség a második világháborúban Európa Könyvkiadó
[24] 서적 World Dictionary of Foreign Expressions Bolchazy-Carducci Publishers, Inc. 1999
[25] 문서
[26] 서적 The Jews of Hungary:History, Culture, Psychology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27] 뉴스 War Crime Suspect Admits to his Leading Fascist Role http://www.theage.co[...] The Age 2009-04-19
[28] 간행물 Budapesti Közlöny 1944-10-17
[29] 간행물 Hivatalos Közlöny 1945-01-27
[30] 웹사이트 Victims of Holocaust http://www.hdke.hu/i[...] Holocaust Memorial Centre
[31] 문서 The Roma Holocaust University of Alberta Press 2000
[32] 서적 A history of fascism, 1914-1945 https://books.google[...] Routledge
[33] 웹사이트 The Policies of Prime Minister Kallay and the German Occupation of Hungary in March 1944 http://www.hungarian[...]
[34] 서적 A Magyar Honvédség a második világháborúban Európa Könyvkiadó
[35] 서적 World Dictionary of Foreign Expressions Bolchazy-Carducci Publishers, Inc. 1999
[36] 서적 Take Budapest: The Struggle for Hungary, Autumn 1944 https://books.google[...] The History Press 2012
[37] 서적 A Magyar Honvédség a második világháborúban Európa Könyvkiadó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