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헤카톤케이레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헤카톤케이레스는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세 명의 백수 거인 형제를 지칭하는 말로, 코투스, 브리아레우스, 기게스가 해당된다. 이들은 우라노스와 가이아의 자녀로, 머리 50개와 팔 100개를 가지고 태어났으며, 우라노스에 의해 타르타로스에 갇혔다가 제우스에 의해 해방되어 티탄족과의 전쟁에서 제우스 편에 서서 활약했다. 이후 티탄족을 감시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브리아레우스는 포세이돈의 딸과 결혼하는 등 다양한 신화적 이야기 속에서 등장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리스 신 - 올림포스 12신
    올림포스 12신은 그리스 신화에서 올림포스 산을 중심으로 활동하는 제우스 중심의 주요 신들로, 시대와 지역에 따라 구성원이 다소 다르지만, 크로노스와 레아의 자녀인 제1세대 신들과 제우스의 자녀인 제2세대 신들로 나뉘어 각자 고유한 영역과 특징을 가진다.
  • 그리스 신 - 카이로스
    카이로스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하여 '결정적인 순간' 또는 '적절한 시기'를 뜻하며, 수사학에서는 설득력을 극대화하는 시기적절한 상황을, 현대에는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적인 소통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 가이아의 자식 - 피톤
    피톤은 그리스 신화에서 가이아의 아들로 델포이 신탁소를 지키던 거대한 뱀 괴물이며, 아폴론에게 죽임을 당한 후 아폴론이 신탁을 내리게 되었고, 대지의 정령 정복 과정으로 해석되거나 점치는 영으로 언급되며, "python"의 어원이기도 하다.
  • 가이아의 자식 - 티폰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 티폰은 가이아와 타르타로스의 아들이며 제우스에게 패배하여 화산 아래 갇힌 뱀의 하반신과 짐승 머리를 가진 존재로, 에키드나와의 사이에서 괴물을 낳았고 화산 활동과 지진의 원인으로도 여겨진다.
  • 남신 - 임호테프
    임호테프는 고대 이집트 제3왕조 시대의 재상이자 건축가로, 사카라의 조세르 피라미드 건설을 주도했으며 후대에 의학의 신으로 숭배받았으나, 영화 미이라 시리즈의 묘사는 역사적 사실과 차이가 있다.
  • 남신 - 사탄
    사탄은 원래 "적대자"를 뜻하는 히브리어 단어였으나,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등에서 악마, 유혹자, 또는 인간 내면의 부정적인 면모를 상징하는 존재로 다양하게 해석되며 문화 예술 분야에서도 악의 상징으로 묘사된다.
헤카톤케이레스
기본 정보
유형백수거신
특징코토스, 브리아레오스, 기에스의 3형제
역할남신
거주지타르타로스
부모우라노스가이아
형제자매오케아노스, 크로노스 등의 1세대
로마 신화가이아
1890년의 정치만평의 한 컷에 등장하는 브리아레오스. 당시의 노동계의 불안이 자본주의에 다면적으로 위협이 되고 있다는 것을 헤카톤케이레스 중 하나인 브리아레오스로 표현하였다.
1890년의 정치만평의 한 컷에 등장하는 브리아레오스. 당시의 노동계의 불안이 자본주의에 다면적으로 위협이 되고 있다는 것을 헤카톤케이레스 중 하나인 브리아레오스로 표현하였다.
이름 정보
그리스어Ἑκατόγχειρες
발음 (영문)/ˈsɛntɪmeɪnz/
라틴어Centimani
의미백수거신 (百手巨神)
신화적 역할
우라노스와의 관계우라노스가 태어날 때부터 그들을 싫어하여 타르타로스에 가둠.
크로노스와의 관계크로노스가 우라노스를 거세한 후, 그들을 다시 타르타로스에 가둠.
티타노마키아제우스가 티타노마키아에서 승리하기 위해 그들을 해방시켜 올림포스 편에 가담시킴.
티타노마키아에서의 역할헤시오도스에 따르면 300개의 바위를 던져 티탄들을 묻어버림.
티타노마키아에서 올림포스 신들을 도와 승리함.
티타노마키아 이후티탄족이 타르타로스에 갇힌 후, 그들을 감시하는 역할을 맡음.

2. 이름

헤카톤케이레스의 세 명의 거인들은 각각 코투스, 브리아레우스, 기게스라는 이름을 가졌다. 코투스(Κόττος)는 트라키아에서 흔한 이름으로, 코티스 여신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2] 브리아레우스(Βριάρεως)는 '강하다'라는 뜻의 그리스어 'βριαρός'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며,[3]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서는 '오브리아레우스'(Obriareus)라고도 불린다.[4] 기게스(Gyges)는 아티카의 왕 오기게스(Ogyges, Ὠγύγης)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5] 일부 문헌에서는 '게스'(Gyes)로 표기되기도 한다.[6]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 따르면, 신들은 브리아레우스를 브리아레우스라고 부르고, 인간들은 그를 아이가이온(Aegaeon, Αἰγαίων)이라고 불렀다고 한다.[7] 'αἰγ-'라는 어근은 '해안'을 뜻하는 'αἰγιαλός', '파도'를 뜻하는 'αἰγες'와 'αἰγάδες' 등 바다와 관련된 단어에서 발견된다.[8] 이는 에게 해와의 연관성을 시사한다.[9] 포세이돈은 때때로 아이가이온 또는 아이게우스(Aegaeus, Αἰγαῖος)로 불리기도 했다.[10] 아이가이온은 '아이게우스의 아들'이라는 부칭일 수도 있고,[11] '아이게에서 온 사람'을 의미할 수도 있다.[12]

헤카톤케이레스(Hecatoncheires)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ἑκατόν'(hekaton, 백)과 'χείρ'(cheir, 손 또는 팔)에서 유래했다. ''신통기''는 세 형제가 백 개의 손(ἑκατὸν μὲν χεῖρες)을 가졌다고 묘사하지만,[13] 헤카톤케이레스(Ἑκατόγχειρες), 즉 백수거인이라는 집단적인 이름은 사용되지 않았다.[14] ''일리아스''는 헤카톤케이레스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지만, 브리아레우스를 묘사할 때 '백 개의 손을 가진'이라는 뜻의 형용사 'hekatoncheiros'(ἑκατόγχειρος)를 사용한다. 아쿠실라우스가 이 이름을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지만,[17] 최초로 확실하게 사용된 것은 아폴로도로스와 같은 신화 작가들의 작품에서이다.[18]

3. 신화

헤카톤케이레스는 아버지 우라노스에게 미움받아 타르타로스에 갇혔으나, 제우스티타노마키아에서 승리하기 위해 이들을 구출했다. 헤카톤케이레스는 제우스 편에서 싸워 티탄족을 물리치는 데 큰 공을 세웠고, 이후 타르타로스에 유폐된 티탄족을 감시하는 역할을 맡았다.[132]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는 헤카톤케이레스 중 하나인 '브리아레오스'가 유피테르를 공격한 티탄이자 지옥의 제9원에 있는 거인으로 등장한다.[132]

헤카톤케이레스는 코토스, 브리아레오스, 기게스 세 명이다. 코토스는 트라키아 이름이며 코티스 여신과 관련 있을 수 있다.[2] 브리아레오스는 "강한"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을 것이며,[3] 헤시오도스는 '오브리아레우스'라고도 불렀다.[4] 기게스는 아티카의 왕 오기게스와 관련 있을 수 있다.[5]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에서 브리아레오스는 신들이 부르는 이름이고, 인간들은 아이가이온이라 불렀다고 한다.[7] ''αἰγ-'' 어근은 '해안'(''αἰγιαλός''), '파도'(''αἰγες'', ''αἰγάδες'') 등 바다와 관련된 단어에서 발견된다.[8] 포세이돈은 때때로 아이가이온 또는 아이게우스(''Αἰγαῖος'')라고 불렸다.[10]

헤카톤케이레스(Hecatoncheires)는 그리스어 ''ἑκατόν'' (hekaton, "백")과 ''χείρ'' (cheir, "손" 또는 "팔")에서 유래되었다.[19]

3. 1. 탄생과 감금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헤카톤케이레스는 우라노스가이아의 아들인 '''코토스''', '''브리아레오스''' (별명 '''아이가이온'''), '''기게스''' (또는 '''규에스''')의 세 형제이다.[19] 이들은 머리가 50개, 팔이 100개 달린 거대한 괴물 거인으로, 티탄키클롭스와 형제지간이다.[19]

헤카톤케이레스는 너무나 흉측한 모습 때문에 아버지 우라노스에 의해 타르타로스에 갇혔다.[75] 우라노스는 자식들이 태어나자마자 가이아 깊숙한 곳에 가두었다.[76] 다른 전승에는 크로노스가 우라노스를 거세하고 나서 이들을 타르타로스에 가두었다고도 한다.

티타노마키아가이아의 권유로 제우스는 이 세 명을 구출했다.[80] 제우스는 갇혀있던 헤카톤케이레스들을 다시 빛으로 데려왔고,[80] 넥타르암브로시아를 먹여 힘을 회복시킨 다음, 티탄과의 전쟁에 참여하라고 요청했다.[81] 이에 코토스는 헤카톤케이레스를 대표하여 동의하며 제우스를 돕겠다고 맹세했다.[82]

헤카톤케이레스들은 티탄과 싸워 무수한 강완으로 한 번에 300개의 큰 바위를 적에게 던져 제우스 등을 지원했다.[86] 이 큰 바위는 하나하나가 산과 같은 거대함을 자랑하며, 착탄의 충격으로 대지가 흔들릴 정도였다. 큰 바위에 의한 공격을 쉬지 않고 계속한 헤카톤케이레스들은 교착 상태에 빠져 있던 전황을 바꾸어 제우스 측이 승리하는 원인이 되었다. 승리 후에는 타르타로스에 유폐된 티탄의 감시에 들어가 지상에서 모습을 감추었다.[88]

그 후, 포세이돈헤라아테나와 결탁해 제우스를 올림포스 산에서 추방하려 했을 때 테티스의 의뢰로 제우스를 지키려 했다.

3. 2. 티타노마키아

제우스를 비롯한 제우스의 남매들과 크로노스를 위시한 티탄 신족과의 전쟁인 티타노마키아에서 헤카톤케이레스는 제우스 편에 서서 맹렬하게 싸웠다. 이들은 한번에 산만한 바위 100개씩을 티탄족에게 던질 수 있었는데, 한번에 300개의 바위를 날리는 셈이었다.[19] 제우스는 이 10년간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티탄족들을 지하세계에 가두었고, 헤카톤케이레스 삼형제에게 그들을 지키게 했다.[25]

헤카톤케이레스는 우라노스(하늘)와 가이아 (대지)의 자식으로, 티탄키클롭스와 형제지간이다.[20]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이들은 우라노스의 막내 자식들이었지만,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첫 번째 자식들이었다.[20]

헤시오도스와 아폴로도로스의 설명에 나오는 신화에 따르면, 헤카톤케이레스는 형제인 키클롭스들과 함께 아버지 우라노스에 의해 타르타로스에 갇혔다.[22] 가이아는 크로노스가 우라노스를 거세하도록 유도했고, 크로노스는 우주의 지배권을 차지했다.[23] 크로노스는 누이 레아와 여러 자녀를 낳았지만, 낳자마자 삼켰다. 그러나 막내 아들 제우스는 레아에 의해 구출되었고, 성장하여 형제자매들을 해방시켰다. 이들은 함께 티탄들과 티타노마키아 전쟁을 벌였다.[24] 가이아는 헤카톤케이레스의 도움으로 올림포스 신들이 승리할 것이라고 예언했고, 제우스는 이들을 감금에서 해방시켜 티탄과의 전쟁에 끌어들였다. 헤카톤케이레스는 티탄들의 패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고, 티탄들은 타르타로스에 갇힌 후 헤카톤케이레스에게 감시받게 되었다.[25]

잃어버린 서사시 ''티타노마키아''는 헤시오도스의 ''신통기'' 이후에 쓰여졌을 가능성이 높지만,[26] 헤카톤케이레스가 올림포스 신들이 아닌 티탄들의 편에서 싸웠다는 더 오래된 전승을 보존했을 수도 있다.[27]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에 따르면, 헤카톤케이레스는 우라노스가이아의 아들인 코토스, 브리아레오스 (별명 아이가이온), 기게스 (또는 규에스)의 세 형제이다.

헤카톤케이레스들은 너무나 흉측한 모습 때문에 아버지 우라노스에 의해 타르타로스에 갇혔지만, 티타노마키아 때 가이아의 권유로 제우스는 이 세 명을 구출했다. 헤카톤케이레스들은 티탄과 싸워 무수한 강완으로 한 번에 300개의 큰 바위를 적에게 던져 제우스 등을 지원했다. 이 큰 바위는 하나하나가 산과 같은 거대함을 자랑하며, 착탄의 충격으로 대지가 흔들릴 정도였다. 큰 바위에 의한 공격을 쉬지 않고 계속한 헤카톤케이레스들은 교착 상태에 빠져 있던 전황을 바꾸어 제우스 측이 승리하는 원인이 되었다. 승리 후에는 타르타로스에 유폐된 티탄의 감시에 들어가 지상에서 모습을 감추었다.

3. 3. 티탄 감시

헤카톤케이레스는 아버지 우라노스가 매우 싫어하여 타르타로스에 갇혔다. 다른 전승에는 크로노스가 우라노스를 거세하고 나서 이들을 가두었다고도 한다.[132]

제우스티탄족과의 싸움에서 헤카톤케이레스의 도움을 받아 승리했다. 헤카톤케이레스는 한 번에 100개의 바위를 던져 티탄족을 공격했고, 제우스는 이들을 티탄족 감시자로 임명했다.[132]

아폴로도로스에 따르면, 우라노스는 헤카톤케이레스와 키클롭스를 타르타로스에 가두었지만, 티탄족은 풀어주었다. 크로노스는 다시 이들을 타르타로스에 가두었다. 제우스는 가이아의 예언에 따라 간수 캄페를 죽이고 이들을 해방시켜 티타노마키아에서 승리하고, 헤카톤케이레스를 경비병으로 임명했다.[120]

승리 후에는 타르타로스에 유폐된 티탄의 감시에 들어가 지상에서 모습을 감추었다.

3. 4. 브리아레오스와 제우스

제우스가이아의 권유로 헤카톤케이레스를 타르타로스에서 구출하여 티탄족과의 싸움에 끌어들였다. 헤카톤케이레스는 제우스의 남매들과 크로노스의 거신족의 싸움에서 제우스 편을 들어 전쟁의 선봉에서 맹렬히 싸웠다. 그들은 각각 한 번에 산만한 바위 100개를 티탄족에게 던져 한번에 300개의 바위를 날릴 수 있었다.[132] 제우스는 이 10년간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티탄족을 지하세계에 가둔 후 헤카톤케이레스 삼형제로 하여금 그들을 지키게 했다.

존 플랙스먼(John Flaxman)의 그림을 바탕으로 한 토마소 피롤리(Tommaso Piroli)의 에칭(1795). 테티스(Thetis)가 포세이돈(Poseidon), 아테나(Athena), 헤라(Hera)의 제우스(Zeus)에 대한 반란을 진압하기 위해 올림푸스로 브리아레오스를 소환한 모습.


호메로스의 ''일리아스(Iliad)''에는 올림푸스 신인 헤라, 포세이돈, 아테나가 제우스를 묶으려 궁궐 반란을 일으키는 동안 바다의 여신 테티스(Thetis)가 올림푸스로 백수거인 브리아레오스를 데려왔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신들은 브리아레오스를, 인간들은 아이가이온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포세이돈헤라아테나와 결탁해 제우스를 올림포스 산에서 추방하려 했을 때도 테티스의 의뢰로 제우스를 지켰다.

3. 5. 그 외 전승

헤카톤케이레스의 아버지인 우라노스는 자신의 자식들인 이들 헤카톤케이레스와 외눈박이 키클롭스를 태어날 때부터 아주 싫어해서 어머니 가이아(대지)의 깊은 곳 타르타로스에 강력한 사슬로 묶고 감추어 두고 햇빛을 보지 못하게 만들었다. 다른 전승에는 크로노스가 우라노스를 거세하고 나서 이들을 타르타로스에 가두었다고도 한다.

저승에 갇혀있던 이들은 그곳에서 비참하게 살고 있었는데, 가이아가 제우스에게 그들을 다시 세상으로 나오게 사주했다. 이들을 풀어준 제우스는 티탄족과의 싸움에 그들을 끌어들여 헤카톤케이레스들은 제우스의 남매들과 크로노스의 거신족의 싸움에서 제우스의 편을 들어 싸웠는데, 그 전쟁의 선봉에서 맹렬히 싸웠다. 그들은 각각 한 번에 산만한 바위 100개를 티탄족들에게 던져 한번에 300개의 바위를 날릴 수 있었다. 제우스는 이 10년간의 전쟁에서 승리하고 티탄족들을 지하세계에 가두고는 헤카톤케이레스 삼형제로 하여금 그들을 지키게 했다.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서 이 헤카톤케이레스 중의 하나인 '브리아레오스'가 언급된다. 여기서 브리아레오스는 유피테르를 공격한 티탄으로 나오며 지옥의 제9원에 있는 거인으로 묘사된다.[132]

4. 문학 작품에서의 등장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는 헤카톤케이레스 중 하나인 '브리아레오스'가 언급된다. 여기서 브리아레오스는 유피테르를 공격한 티탄으로 나오며 지옥의 제9원에 있는 거인으로 묘사된다.[132]

브리아레오스는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1320년 완성)에서 두 번 언급된다. 먼저 지옥의 제9지옥에 사는 거인으로 등장하고,[127] 그 다음에는 교만의 예시로 연옥 첫 번째 테라스의 포장 도로에 조각되어 있다.[128]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돈 키호테'' 제8장에서도 브리아레오스가 언급되는데, 그의 팔은 풍차의 회전하는 돛에 비유된다. 세르반테스는 베르길리우스, 단테, 줄리오 로마노의 ''거인들의 몰락''을 염두에 두었을 수도 있다.[129]

참조

[1] 서적 History of Greece Harper 1875
[2] 서적 Various Thracian princes https://books.google[...] 1966
[3] 서적 https://books.google[...] 1966
[4]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5] 서적 https://books.google[...]
[6] 서적 http://data.perseus.[...] 1966
[7] 서적 https://books.google[...]
[8] 서적 https://books.google[...] 2013
[9] 서적 https://books.google[...]
[10] 서적 https://books.google[...] 2013
[11] 서적 Iliad https://books.google[...]
[12] 서적 1988
[13]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14] 서적 https://books.google[...] 1966
[15] 서적 1966
[16]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17] 서적 https://books.google[...] 1966
[18] 서적 https://www.perseus.[...]
[19] 서적 https://books.google[...]
[20]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21] 서적 https://books.google[...]
[22]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23]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24]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25]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26] 서적 2002
[27] 서적 https://books.google[...]
[28] 서적 https://books.google[...]
[29] 서적 1966
[30] 서적 Theogony https://www.loebclas[...]
[31] 서적 Iliad http://data.perseus.[...]
[32] 서적 1988
[33] 서적 https://books.google[...] 2013
[34] 서적 https://www.loebclas[...]
[35] 서적 https://books.google[...] 2013
[36] 서적 Argonautica https://www.loebclas[...]
[37] 서적 https://books.google[...]
[38] 서적 Aeneid http://data.perseus.[...]
[39] 서적 https://books.google[...]
[40] 서적 https://books.google[...]
[41] 서적
[42] 서적 https://www.loebclas[...]
[43] 서적 https://books.google[...]
[44] 서적 https://books.google[...]
[45] 서적 https://books.google[...]
[46] 서적 Metamorphoses https://www.loebclas[...]
[47] 서적 https://books.google[...]
[48] 서적 https://books.google[...]
[49] 서적 https://www.loebclas[...]
[50] 서적 https://books.google[...]
[51] 서적
[52] 서적 https://books.google[...]
[53] 서적
[54] 서적
[55] 서적
[56] 서적
[57] 서적
[58] 서적
[59] 서적 https://archive.org/[...]
[60] 서적
[61] 서적
[62] 서적 https://archive.org/[...]
[63] 서적 https://books.google[...]
[64] 서적
[65] 서적
[66] 서적 Life of Apollonius of Tyana https://archive.org/[...]
[67] 서적 Oxyrhynchus Papyri
[68] 서적
[69] 서적
[71] 서적 West 2002
[72] 서적 West 2002 https://books.google[...]
[73] 서적 Hard http://data.perseus.[...]
[74] 서적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75] 서적 Hesiod, Theogony https://books.google[...]
[76] 서적 Hesiod, Theogony https://books.google[...]
[77] 서적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78] 서적 Hesiod, Theogony https://books.google[...]
[79] 서적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80] 서적 Hesiod, Theogony https://books.google[...]
[81] 서적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82] 서적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83] 서적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84] 서적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85] 서적 Gantz https://www.loebclas[...]
[86] 서적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87] 서적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88] 서적 Hesiod, Theogony https://books.google[...]
[89] 서적 Hesiod, Theogony https://www.loebclas[...]
[90] 서적 Gantz http://data.perseus.[...]
[91] 서적 Homer, Iliad http://data.perseus.[...]
[92] 서적 Boffa and Leone https://books.google[...]
[93] 서적 West 2002
[94] 서적 West 2002
[95] 서적 West 2002
[96] 서적 Eumelus fr. 3 West https://books.google[...]
[97] 서적 Bremmer https://books.google[...]
[98] 서적 Homer, Iliad http://data.perseus.[...]
[99] 서적 Ion of Chios fr. 741 Campbell https://www.loebclas[...]
[100] 서적 Virgil, Aeneid http://data.perseus.[...]
[101] 서적 Virgil, Aeneid http://data.perseus.[...]
[102] 서적 O'Hara https://books.google[...]
[103] 서적 West 2002
[104] 서적 Ovid, Fasti https://archive.org/[...]
[105] 서적 Heyworth https://books.google[...]
[106] 서적 Metamorphoses https://www.loebclas[...]
[107] 서적 Epic Testimonia Fragments https://www.loebclas[...]
[108] 서적 Amores https://www.loebclas[...]
[109] 서적 Fasti https://archive.org/[...]
[110] 서적 https://books.google[...]
[111] 서적 Metamorphoses https://www.perseus.[...]
[112] 서적 Tristia https://www.loebclas[...]
[113] 서적 https://books.google[...]
[114]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115]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116] 서적 https://books.google[...]
[117]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118]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119]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120] 서적 Bibliotheca http://data.perseus.[...]
[121] 서적 Laws http://data.perseus.[...]
[122] 서적 https://books.google[...]
[123] 서적 https://www.loebclas[...]
[124] 서적 http://data.perseus.[...]
[125] 서적 https://www.perseus.[...]
[126] 서적 Dionysiaca https://archive.org/[...]
[127] 서적 Inferno
[128] 서적 Purgatorio
[129] 서적 Quixotic Frescoes: Cervantes and Italian Renaissance Art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6
[130] 웹사이트 Theogony http://www.sacred-te[...]
[131] 문서 Theogony 617-643
[132] 서적 신곡 지옥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