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름홀츠 협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헬름홀츠 협회는 1958년에 설립된 독일의 대형 연구소 집단으로, 1995년에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대학, 산업계, 막스플랑크연구회 등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극지 연구, 핵융합 연구, 우주 연구 등 국가적 중요성이 높은 연구를 수행한다. 에너지, 지구와 환경, 건강, 핵심 기술, 물질 구조, 항공, 우주 및 운송 등 6개의 연구 분야로 나뉘며, 16개의 연구 센터와 헬름홀츠 연구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오픈 액세스 운동에 참여하여 연구 결과의 자유로운 접근을 장려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과학 단체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는 1966년 설립되어 500만 한인 과학기술인을 대표하며, 과학기술 발전 기여를 목표로 학술활동 지원, 국제교류, 정책 연구 등의 사업을 수행하는 대한민국의 과학기술계 대표 기관이다. - 과학 단체 - 미국 과학 진흥 협회
미국 과학 진흥 협회는 1848년에 설립된 세계 최대 과학 기술 학회로서, 과학 발전과 사회적 책임을 장려하며 학술지 《사이언스》 발행, 과학 외교, 교육, 커뮤니케이션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헬름홀츠 협회 | |
---|---|
개요 | |
명칭 | 헬름홀츠 독일 연구 센터 협회 |
원어 명칭 | Helmholtz-Gemeinschaft Deutscher Forschungszentren (독일어) |
유형 | 등록 협회 |
전신 | Arbeitsgemeinschaft der Großforschungseinrichtungen (AGF) |
본부 | 본 및 베를린 |
설립일 | 1995년 |
직원 수 | 42,000명 (2020년) |
예산 | 58억 유로 (2020년) |
협회장 | 오트마 비스틀러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협회 이름은 19세기 과학자인 헤르만 폰 헬름홀츠에서 유래했으며, 정식 명칭은 Helmholtz Association of German Research Centreseng이다. 1958년에 설립되었고, 처음에는 Arbeitsgemeinschaft der Großforschungseinrichtungendeu (AGF)라는 이름으로 항공 연구 및 핵 연구에 관련된 연구소에서 출발하여 현재 16개의 연구 센터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의 이름은 1995년에 붙여졌다.
헬름홀츠 협회는 자연과학, 공학, 생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초 연구 및 기술 개발을 수행하며, 대학과의 협력도 중시한다.
2008년 자료에 따르면 약 28,000명(연구자 약 9,000명, 객원 연구원 약 4,500명)이 소속되어 있었으며, 총 예산은 약 28억유로에 달했다. 예산의 약 3분의 2는 독일 연방 정부 및 주 정부로부터의 보조금이며, 나머지 약 3분의 1은 정부 및 민간으로부터의 위탁 등에서 출자되고 있다.
헬름홀츠 협회를 구성하는 연구 센터는 다음과 같다.
- Alfred Wegener Institute for Polar and Marine Research|알프레트 베게너 극지 및 해양 연구소eng (AWI)
- 독일 전자 싱크로트론 (DESY)
- German Cancer Research Center|독일 암 연구 센터eng (DKFZ)
- 독일 항공우주센터 (DLR)
- German Center for Neurodegenerative Diseases|독일 신경 퇴행성 질환 센터eng (DZNE)
- Forschungszentrum Jülich|율리히 연구 센터eng (FZJ)
-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KIT)
- 헬름홀츠 감염 연구 센터 (HZI)
- 독일 지구과학 연구 센터 (GFZ)
- Helmholtz-Zentrum Geesthacht (HZG)
- Helmholtz Zentrum München|헬름홀츠 뮌헨 환경 보건 연구 센터eng (HMGU)
- 중이온 연구소 (GSI)
- Helmholtz-Zentrum Berlin für Materialien und Energie|헬름홀츠 베를린 재료 및 에너지 센터eng (HZB)
- Helmholtz Centre for Environmental Research|헬름홀츠 환경 연구 센터 - UFZeng
- Max-Planck-Institut für Plasmaphysik|막스 플랑크 플라즈마 물리학 연구소eng (IPP)
- Max Delbrück Center for Molecular Medicine|막스 델브뤼크 분자 의학 센터eng 베를린-부흐 (MDC)
- Helmholtz-Zentrum Dresden-Rossendorf|헬름홀츠 드레스덴-로센도르프 센터eng (HZDR) - 2011년 라이프니츠 협회에서 헬름홀츠 협회로 변경되었다.[12]
3. 연구 분야
헬름홀츠 협회는 대학, 산업계, 막스플랑크연구회 등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대규모 연구 프로젝트를 주로 담당한다. 예를 들어 극지 연구, 핵융합 연구, 우주 연구와 같이 장기적인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고 경제적 위험성이 높아 국가 차원의 지원이 필수적인 중요 연구 프로그램들을 진행한다.[8] 이를 위해 방사능 가속기, 연구용 원자로, 연구용 선박, 고성능 컴퓨터와 같은 대규모 연구 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헬름홀츠 협회는 대형 기초 연구를 수행하며 대학과 긴밀하게 협력하고 공동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사회에 기여하는 환경 및 예방 연구, 환경 친화적 에너지 공급과 같이 공공의 관심이 높은 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생명공학기술 및 정보산업기술처럼 장기적으로 국가 경제에 중요한 핵심 기술 개발에도 참여한다.
헬름홀츠 협회의 연구는 다음 6개의 주요 연구 분야로 나뉘어 프로그램으로 운영되며, 각 헬름홀츠 센터는 해당 연구 분야에 따라 그룹으로 묶여 활동한다.[8] 각 연구 분야는 자연과학, 공학, 생물학, 의학 등 특정 중점 분야의 기초 및 기반 연구, 산업화 이전 단계의 기술 개발에 집중하며, 연구 및 교육에서 대학의 중요한 파트너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 에너지
- 지구와 환경
- 보건
- 핵심 기술
- 물질 구조
- 항공, 우주 및 수송
헬름홀츠 협회는 18개의 연구 센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센터들은 독일 전역에 분포하여 각자의 전문 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12] 2008년 기준으로 약 28,000명(연구자 약 9,000명, 객원 연구원 약 4,500명)이 소속되어 있었으며, 당시 총 예산은 약 28억유로였다. 예산의 약 3분의 2는 독일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보조금으로 충당되며, 나머지 3분의 1은 정부 및 민간 위탁 연구 등 외부 자금으로 조달된다.
협회의 이름은 독일의 저명한 물리학자이자 생리학자인 헤르만 폰 헬름홀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3. 1. 에너지
헬름홀츠 협회는 지속 가능하고 안전한 미래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목표로 에너지 연구를 수행한다. 이는 경제성, 환경 친화성, 사회적 안전성을 모두 고려하며, 화석 연료 및 핵연료 의존도를 낮추고 기후 중립적인 대안 에너지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둔다.3. 1. 1. 세부 연구 분야
헬름홀츠 협회의 연구는 크게 6개의 연구 분야로 나뉘며, 각 분야는 여러 연구 센터가 협력하여 진행한다.연구 분야 | 주요 연구 주제 | 참여 센터 |
---|---|---|
에너지 | DLR, KIT, FZJ, GFZ, HZB, IPP | |
지구·환경 |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
건강 |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
핵심 기술 | FZJ, KIT, HZG (HZB는 1개 토픽 협력) | |
물질 구조 | DESY, FZJ, KIT, HZG, GSI, HZB | |
수송·우주 | DLR |
특히 '''에너지''' 분야에서는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이며 사회적으로 안전한 에너지 공급 방안을 모색하고, 화석 연료와 핵 연료를 대체할 기후 중립적인 에너지원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부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연구가 진행된다.
- 재생 가능 에너지: 태양광, 지열 에너지의 발전 능력 향상과 더불어 바이오매스, 태양 연료 발전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다.
- 효율적인 에너지 전환: 신재생 에너지 활용 및 기존 화석 에너지 자원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 전력 및 열 저장 시스템, 모바일 에너지 저장 시스템, 열 전달 시스템 개선 연구 등을 추진한다.
- 핵융합: 국제 핵융합 실험로인 ITER 건설과 운영에 참여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핵융합 반응 실험 장치를 운영한다.
- 원자력 안전 연구: 원자로의 안전성 확보, 핵 폐기물 처리의 안전성 증진, 방사선 방호 관련 연구를 수행한다.
3. 1. 2. 참여 연구소
헬름홀츠 협회에는 다음과 같은 연구소들이 참여하고 있다.- 독일 항공우주 센터 (DLR)
-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KIT)
- 윌리히 연구소 (FZJ)
- 헬름홀츠 베를린 재료 에너지 연구소 (HZB)
- 헬름홀츠 드레스덴-로센도르프 연구소
- 헬름홀츠 포츠담 독일 지구과학 연구센터 (GFZ)
- 막스 플랑크 플라스마 물리 연구소 (IPP)
- 헬름홀츠 환경 연구 센터 (UFZ)
각 센터의 연구는 6개의 연구 분야로 분류된다.
- 에너지 (DLR, KIT, FZJ, GFZ, HZB, IPP)
- 재생 가능 에너지
- 에너지의 효율적인 변환
- 핵융합
- 원자력 안전 연구
- 기술, 혁신, 사회
- 지구·환경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지구 시스템
- 해양·연안·극지 시스템
- 지구 대기, 기후
- 바이오지오시스템(Biogeosystems)
- 지구 환경
- 건강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암 연구
- 심혈관·대사성 질환 연구
- 신경계의 작용과 기능 이상
- 감염과 면역계
- 환경 보건
- 인간 건강에 대한 비교 유전체학
- 다인자 질환의 시스템적 분석
- 핵심 기술 (FZJ, KIT, HZG, 1개 토픽에 한해 HZB 협력)
- 슈퍼컴퓨터
- 미래 정보 기술의 기초
- 나노 마이크로 과학 기술
- 첨단 산업 재료
- 바이오 소프트
- 바이오 인터페이스
- 기술, 혁신, 사회
- 물질 구조 (DESY, FZJ, KIT, HZG, GSI, HZB)
- 입자물리학
- 우주 입자물리학
- 하드론 및 핵물리학
- 광자, 중성자, 이온 (PNI) 연구
- 수송·우주 (DLR)
- 항공 공학
- 우주 공간
- 교통
3. 2. 지구와 환경
자연과 인간사회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여 그 결과를 예측하고, 생태계 파괴 없이 지구 자원을 지속 가능하게 유지하는 방법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분야 연구에는 다수의 헬름홀츠 센터가 참여하여[8] 변화하는 지구 시스템, 해양, 해안, 극지 시스템, 대기, 기후, 생지구 시스템, 육상 환경 등 광범위한 주제를 다룬다.특히, 헬름홀츠 협회 소속 8개 연구 센터는 '헬름홀츠 기후 이니셔티브 지역 기후'(Regionale Klimainitiative|레기오날레 클리마이니치아티베de, REKLIM) [http://www.reklim.de REKLIM]에 참여하여 대기, 해빙, 해양 및 육지 표면 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연구하고 있다.[9] 이러한 상호 작용은 지구의 기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로, REKLIM은 상세한 관찰과 과정 연구를 결합하여 기후 시스템을 이해하고자 한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의 첫 번째 자금 지원 기간 동안 REKLIM 이니셔티브에는 3220.0000000000005만유로의 예산이 투입되었다.[9]
이 기간 동안 REKLIM 프로그램은 다음 7개의 주요 연구 주제로 구성되었다.
# 지역 지구 시스템의 결합된 모델링: 북극과 유럽을 모델 지역으로 하여, 고해상도 지역 모델을 사용해 대기, 해양, 해빙, 빙상, 육지 표면, 토양, 식생, 에어로졸 화학 등을 지역 규모로 시뮬레이션한다.
# 해수면 변화 및 해안 보호: 특히 그린란드를 중심으로 빙하 및 빙하류 역학의 영향, 해양 온난화 및 용융수 유출에 대한 반응을 연구한다.
# 북극의 지역 기후 변화: 육지-해양 경계면에서의 강제력 및 장기적 영향을 연구한다.
# 기후 시스템 내의 육지 표면: 육지 표면이 기후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 전 지구적에서 지역적 규모의 화학-기후 상호 작용: 대기 화학 물질과 기후 간의 상호작용을 다양한 규모에서 연구한다.
# 극심한 기상 현상: 폭풍, 폭우, 홍수, 가뭄 등 극한 기상 현상의 발생 메커니즘과 영향을 분석한다.
# 사회 경제 및 관리: 기후 변화 적응 및 완화 전략 등 사회 경제적 측면을 연구한다.
이후 두 번째 자금 지원 기간(2011-2015)에는 세 가지 연구 주제가 추가되었다.
3. 2. 1. 세부 연구 분야
헬름홀츠 협회의 연구는 다음 6개의 연구 분야로 분류된다.- 에너지 (참여 센터: DLR, KIT, FZJ, GFZ, HZB, IPP)
- 재생 가능 에너지
- 에너지의 효율적인 변환
- 핵융합
- 원자력 안전 연구
- 기술, 혁신, 사회
- 지구·환경 (참여 센터: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지구 시스템
- 해양·연안·극지 시스템
- 지구 대기, 기후
- 바이오지오시스템(Biogeosystems)
- 지구 환경
- 건강 (참여 센터: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암 연구
- 심혈관·대사성 질환 연구
- 신경계의 작용과 기능 이상
- 감염과 면역
- 환경 보건
- 인간 건강에 대한 비교 유전체학
- 다인자 질환의 시스템적 분석
- 핵심 기술 (참여 센터: FZJ, KIT, HZG, HZB (1개 토픽 협력))
- 슈퍼컴퓨터
- 미래 정보 기술의 기초
- 나노 마이크로 과학 기술
- 첨단 산업 재료
- 바이오 소프트
- 바이오 인터페이스
- 기술, 혁신, 사회
- 물질 구조 (참여 센터: DESY, FZJ, KIT, HZG, GSI, HZB)
- 입자물리학
- 우주 입자물리학
- 하드론 및 핵물리학
- 광자, 중성자, 이온 (PNI) 연구
- 수송·우주 (참여 센터: DLR)
- 항공 공학
- 우주 공간
- 교통
3. 2. 2. 참여 연구소
헬름홀츠 협회는 자연과 인간사회의 상호작용을 연구하여 그 결과를 예측하고, 생태계 파괴 없이 지구 자원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협회에 참여하는 주요 연구소는 다음과 같다.- 알프레트 베게너 연구소 (Alfred Wegener Institute Helmholtz Centre for Polar and Marine Research, AWI)
- 윌리히 연구소 (Forschungszentrum Jülich, FZJ)
- GEOMAR 헬름홀츠 해양 연구 센터 킬 (GEOMAR Helmholtz Centre for Ocean Research Kiel, GEOMAR)
-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 KIT)
- GFZ 독일 지질학 연구 센터 (Helmholtz Centre Potsdam, GFZ German Research Centre for Geosciences, GFZ)
- 헬름홀츠 게스트하흐트 센터 (Helmholtz-Zentrum Geesthacht, HZG)
- 헬름홀츠 젠트룸 뮌헨 (Helmholtz Zentrum München - German Research Centre for Environmental Health, HMGU)
- 헬름홀츠 환경 연구 센터 라이프치히-할레 (Helmholtz Centre for Environmental Research - UFZ, UFZ)
각 센터의 연구는 다음 6개의 연구 분야로 분류된다.
- 에너지 (참여 연구소: DLR, KIT, FZJ, GFZ, HZB, IPP)
- 재생 가능 에너지
- 에너지의 효율적인 변환
- 핵융합
- 원자력 안전 연구
- 기술, 혁신, 사회
- 지구·환경 (참여 연구소: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지구 시스템
- 해양·연안·극지 시스템
- 지구 대기, 기후
- 바이오지오시스템(Biogeosystems)
- 지구 환경
- 건강 (참여 연구소: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암 연구
- 심혈관·대사성 질환 연구
- 신경계의 작용과 기능 이상
- 감염과 면역
- 환경 보건
- 인간 건강에 대한 비교 유전체학
- 다인자 질환의 시스템적 분석
- 핵심 기술 (참여 연구소: FZJ, KIT, HZG, HZB는 1개 토픽에 한해 협력)
- 슈퍼컴퓨터
- 미래 정보 기술의 기초
- 나노 마이크로 과학 기술
- 첨단 산업 재료
- 바이오 소프트
- 바이오 인터페이스
- 기술, 혁신, 사회
- 물질 구조 (참여 연구소: DESY, FZJ, KIT, HZG, GSI, HZB)
- 입자물리학
- 우주 입자물리학
- 하드론 및 핵물리학
- 광자, 중성자, 이온 (PNI) 연구
- 수송·우주 (참여 연구소: DLR)
- 항공 공학
- 우주 공간
- 교통
3. 3. 보건
주요 만성 질환의 복잡한 원인을 밝히고 질병의 예방, 조기 진단 및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 개발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한다.[8] 이 분야에는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HZDR, MDC, UFZ 등의 연구소가 참여하고 있다.3. 3. 1. 세부 연구 분야
각 센터의 연구는 다음 6개의 연구 분야로 분류된다.- 지구·환경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지구 시스템
- 해양·연안·극지 시스템
- 지구 대기, 기후
- 바이오지오시스템(Biogeosystems영어)
- 지구 환경
- 건강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주요 만성 질환의 복잡한 원인을 밝히고 질병의 예방, 조기 진단 및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새로운 전략 개발을 목표로 한다. 세부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암 연구: 암의 예방, 조기 발견, 진단 및 치료에 관한 연구.
- 심혈관계 질환 및 대사성 질환 연구: 질환의 원인을 조사하고 예방, 진단, 치료 및 관리를 위한 보다 효율적인 방법 개발 연구.
- 신경계 장애 연구: 노인들의 신경계 장애 및 정신병을 주로 연구하며, 신경계의 작용과 기능 이상을 다룬다.
- 감염병 연구 및 면역: 전염병의 발병 및 진행에 관여하는 분자생물학적 메커니즘 연구.
- 질병에 대한 유전적 및 환경적 영향 연구: 당뇨, 폐 질환, 심혈관 질환, 신경계 장애, 암 등의 질병들과 유전/환경적 요인 및 생활습관 사이의 관계 연구. 환경 보건 및 인간 건강에 대한 비교 유전체학 연구 포함.
- 다인자 질환의 시스템적 분석
- 핵심 기술 (FZJ, KIT, HZG, HZB는 1개 토픽에 한해 협력)
- 슈퍼컴퓨터
- 미래 정보 기술의 기초
- 나노 마이크로 과학 기술
- 첨단 산업 재료
- 바이오 소프트(BioSoft영어)
- 바이오 인터페이스(BioInterfaces영어)
- 기술, 혁신, 사회
3. 3. 2. 참여 연구소
- 독일 암 연구 센터 (DKFZ)
- 헬름홀츠 뮌헨 센터 – 독일 환경 보건 연구 센터 (HMGU)
- 헬름홀츠 감염 연구 센터 (HZI)
- 막스 델브뤽 분자 의학 센터 (MDC) 베를린-부흐
- 독일 신경퇴행성 질환 센터 (DZNE)
- 헬름홀츠 드레스덴-로센도르프 센터 (HZDR)
- 헬름홀츠 환경 연구 센터 – UFZ (UFZ)
- GSI 헬름홀츠 중이온 연구 센터 (GSI)
각 센터의 연구는 아래 6개의 연구 분야로 분류된다.
연구 분야 | 세부 연구 내용 | 참여 연구소 (약어) |
---|---|---|
에너지 | DLR, KIT, FZJ, GFZ, HZB, IPP | |
지구·환경 |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
건강 |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
핵심 기술 | FZJ, KIT, HZG (1개 토픽에 한해 HZB 협력) | |
물질 구조 | DESY, FZJ, KIT, HZG, GSI, HZB | |
수송·우주 | DLR |
3. 4. 항공, 우주 및 운송
헬름홀츠 협회의 6개 연구 분야 중 하나로, 독일 항공우주 센터(DLR)가 이 분야의 연구를 담당하고 있다.[8] 주요 연구 주제는 이동성, 정보 시스템 및 통신이다.3. 4. 1. 세부 연구 분야
각 센터의 연구는 6개의 연구 분야로 분류된다.- 에너지 (DLR, KIT, FZJ, GFZ, HZB, IPP)
- 재생 가능 에너지
- 에너지의 효율적인 변환
- 핵융합
- 원자력 안전 연구
- 기술, 혁신, 사회
- 지구·환경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지구 시스템
- 해양·연안·극지 시스템
- 지구 대기, 기후
- 바이오지오시스템(Biogeosystems)
- 지구 환경
- 건강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암 연구
- 심혈관·대사성 질환 연구
- 신경계의 작용과 기능 이상
- 감염과 면역
- 환경 보건
- 인간 건강에 대한 비교 유전체학
- 다인자 질환의 시스템적 분석
- 핵심 기술 (FZJ, KIT, HZG, 1개 토픽에 한해 HZB 협력)
- 슈퍼컴퓨터
- 미래 정보 기술의 기초
- 나노 마이크로 과학 기술
- 첨단 산업 재료
- 바이오 소프트
- 바이오 인터페이스
- 기술, 혁신, 사회
- 물질 구조 (DESY, FZJ, KIT, HZG, GSI, HZB)
- 입자물리학
- 우주 입자물리학
- 하드론 및 핵물리학
- 광자, 중성자, 이온 (PNI) 연구
- 수송·우주 (DLR)
- 항공 공학: 비행기의 소음 및 유해 가스 방출을 줄이는 연구와 비행의 안전, 항공 수송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를 한다.
- 우주 공간
- 교통: 현재 교통 시스템의 단점을 개선하여, 국가의 경제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는 연구를 한다.
3. 4. 2. 참여 연구소
독일 항공 우주 센터 (DLR)는 항공 우주 연구를 위한 독일의 국가 센터이다. 독일 정부를 대신하여 국가 우주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유럽 우주 기구 (ESA)에 소속되어 우주 연구를 수행한다. 또한 항공 기반 시스템을 연구하며 효율적인 운송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각 센터의 연구는 아래의 6개 연구 분야로 분류된다.
연구 분야 | 세부 주제 | 참여 연구소 |
---|---|---|
에너지 | DLR, KIT, FZJ, GFZ, HZB, IPP | |
지구·환경 |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
건강 |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
핵심 기술 | FZJ, KIT, HZG (HZB는 1개 토픽 협력) | |
물질 구조 | DESY, FZJ, KIT, HZG, GSI, HZB | |
수송·우주 | DLR |
3. 5. 핵심 기술
헬름홀츠 협회의 6개 연구 분야 중 하나로, 슈퍼컴퓨터 개발을 포함하여 미래 사회의 지속 가능성에 기여하는 포괄적인 기술 개발에 중점을 둔다.[8] 이 분야의 연구는 주로 FZJ, KIT, HZG가 주도하며, 특정 주제에 한해 HZB와 협력하여 진행된다. 주요 연구 영역으로는 미래 정보 기술, 나노 및 마이크로 과학 기술, 첨단 소재 개발 등이 포함된다.3. 5. 1. 세부 연구 분야
헬름홀츠 협회 각 센터의 연구는 다음 6개의 연구 분야로 분류된다.- 에너지 (DLR, KIT, FZJ, GFZ, HZB, IPP)
- 재생 가능 에너지
- 에너지의 효율적인 변환
- 핵융합
- 원자력 안전 연구
- 기술, 혁신, 사회
- 지구·환경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지구 시스템
- 해양·연안·극지 시스템
- 지구 대기, 기후
- 바이오지오시스템(Biogeosystems)
- 지구 환경
- 건강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암 연구
- 심혈관·대사성 질환 연구
- 신경계의 작용과 기능 이상
- 감염과 면역
- 환경 보건
- 인간 건강에 대한 비교 유전체학
- 다인자 질환의 시스템적 분석
- 핵심 기술 (FZJ, KIT, HZG, HZB)
- 슈퍼컴퓨터
- 미래 정보 기술의 기초
- 나노 마이크로 과학 기술
- 첨단 산업 재료
- 바이오 소프트
- 바이오 인터페이스
- 기술, 혁신, 사회
- 물질 구조 (DESY, FZJ, KIT, HZG, GSI, HZB)
- 입자물리학
- 우주 입자물리학
- 하드론 및 핵물리학
- 광자, 중성자, 이온 (PNI) 연구
- 수송·우주 (DLR)
- 항공 공학
- 우주 공간
- 교통
3. 5. 2. 참여 연구소
헬름홀츠 협회에는 다양한 연구소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로 윌리히 연구 센터(Forschungszentrum Jülich),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Karlsruhe Institute of Technology), 헬름홀츠 게스트하흐트 센터(Helmholtz-Zentrum Geesthacht) 등이 있다. 각 연구소의 연구 활동은 크게 6개의 연구 분야로 나뉜다.- 지구·환경: 참여 연구소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지구 시스템
- 해양·연안·극지 시스템
- 지구 대기, 기후
- 바이오지오시스템(Biogeosystems)
- 지구 환경
- 건강: 참여 연구소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암 연구
- 심혈관·대사성 질환 연구
- 신경계의 작용과 기능 이상
- 감염과 면역
- 환경 보건
- 인간 건강에 대한 비교 유전체학
- 다인자 질환의 시스템적 분석
- 핵심 기술: 참여 연구소 (FZJ, KIT, HZG, HZB는 1개 토픽에 한해 협력)
- 슈퍼컴퓨터
- 미래 정보 기술의 기초
- 나노 마이크로 과학 기술
- 첨단 산업 재료
- 바이오 소프트
- 바이오 인터페이스
- 기술, 혁신, 사회
3. 6. 입자 및 물질 구조
헬름홀츠 협회는 물질을 구성하는 기초 입자 및 소립자, 그리고 원자 수준의 구조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다.[8] 이 연구 분야는 물질의 근본적인 구조와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입자물리학, 핵물리학, 그리고 광자, 중성자, 이온 등을 활용한 연구(PNI 연구)를 포함한다. DESY, FZJ, KIT, HZG, GSI, HZB, HZDR 등 다수의 헬름홀츠 센터들이 이 분야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3. 6. 1. 세부 연구 분야
각 센터의 연구는 6개의 연구 분야로 분류된다.- 에너지 (참여 센터: DLR, KIT, FZJ, GFZ, HZB, IPP)
- 재생 가능 에너지
- 에너지의 효율적인 변환
- 핵융합
- 원자력 안전 연구
- 기술, 혁신, 사회
- 지구·환경 (참여 센터: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지구 시스템
- 해양·연안·극지 시스템
- 지구 대기, 기후
- 바이오지오시스템(Biogeosystems)
- 지구 환경
- 건강 (참여 센터: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암 연구
- 심혈관·대사성 질환 연구
- 신경계의 작용과 기능 이상
- 감염과 면역
- 환경 보건
- 인간 건강에 대한 비교 유전체학
- 다인자 질환의 시스템적 분석
- 핵심 기술 (참여 센터: FZJ, KIT, HZG, HZB는 1개 토픽에 한해 협력)
- 슈퍼컴퓨터
- 미래 정보 기술의 기초
- 나노 마이크로 과학 기술
- 첨단 산업 재료
- 바이오 소프트
- 바이오 인터페이스
- 기술, 혁신, 사회
- 물질 구조 (참여 센터: DESY, FZJ, KIT, HZG, GSI, HZB)
- 입자물리학
- 우주 입자물리학
- 하드론 및 핵물리학
- 광자, 중성자, 이온 (PNI) 연구
- 수송·우주 (참여 센터: DLR)
- 항공 공학
- 우주 공간
- 교통
3. 6. 2. 참여 연구소
헬름홀츠 협회에 참여하는 주요 연구소는 다음과 같다.- 독일 전자 싱크로트론 (Deutsche Elektronen-Synchrotron|독일 전자 싱크로트론de, DESY)
- 윌리히 연구센터 (Forschungszentrum Jülich|윌리히 연구센터de, FZJ)
- 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카를스루에 공과대학교de, KIT)
- 헬름홀츠 게스트하흐트 센터 (Helmholtz-Zentrum Geesthacht Centre for Materials and Coastal Research|헬름홀츠 게스트하흐트 센터de, HZG)
- 중이온 연구소 (GSI Helmholtz Centre for Heavy Ion Research|중이온 연구소de, GSI)
- 헬름홀츠 베를린 센터 (Helmholtz-Zentrum Berlin für Materialien und Energie|헬름홀츠 베를린 센터de, HZB)
- 헬름홀츠 드레스덴-로센도르프 센터 (Helmholtz-Zentrum Dresden-Rossendorf|헬름홀츠 드레스덴-로센도르프 센터de, HZDR)
각 센터의 연구는 다음 6개의 연구 분야로 분류된다.
연구 분야 | 세부 주제 | 참여 연구소 (약어) |
---|---|---|
에너지 | DLR, KIT, FZJ, GFZ, HZB, IPP | |
지구·환경 | AWI, DLR, FZJ, KIT, HZI, GFZ, HZG, HMGU, UFZ | |
건강 | DKFZ, FZJ, KIT, HZI, DZNE, HZG, HMGU, GSI, HZB, MDC, UFZ | |
핵심 기술 | FZJ, KIT, HZG (HZB는 1개 토픽 협력) | |
물질 구조 | DESY, FZJ, KIT, HZG, GSI, HZB | |
수송·우주 | DLR |
4. 회원
헬름홀츠 협회의 회원은 다음과 같다.
연구 센터명 (원어명칭/약칭) | 소재지 |
---|---|
극지 및 해양 연구를 위한 알프레드 베게너 연구소 (Alfred Wegener Institute for Polar and Marine Research, AWI) | 브레머하펜 |
헬름홀츠 정보 보안 센터 (CISPA - Helmholtz Center for Information Security) | 자르브뤼켄 |
독일 전자 싱크로트론 (Deutsches Elektronen-Synchrotron, DESY) | 함부르크 |
독일 암 연구 센터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DKFZ) | 하이델베르크 |
독일 항공우주 센터 (Deutsches Zentrum für Luft- und Raumfahrt, DLR) | 쾰른 |
독일 신경퇴행성 질환 센터 (Deutsches Zentrum für Neurodegenerative Erkrankungen, DZNE) | 본 |
율리히 연구 센터 (Forschungszentrum Jülich, FZJ) | 율리히 |
칼스루에 공과대학 (Karlsruher Institut für Technologie, KIT) (구 칼스루에 연구 센터) | 칼스루에 |
헬름홀츠 감염 연구 센터 (Helmholtz-Zentrum für Infektionsforschung, HZI) | 브라운슈바이크 |
GFZ 독일 지구과학 연구 센터 (Helmholtz-Zentrum Potsdam – Deutsches GeoForschungsZentrum GFZ) | 포츠담 |
헬름홀츠-첸트룸 헤어온 (Helmholtz-Zentrum Hereon) (구 Gesellschaft für Kernenergieverwertung in Schiffbau und Schiffahrt mbH, GKSS) | 게스트하흐트 |
헬름홀츠 뮌헨 (Helmholtz München German Research Centre for Environmental Health, HMGU) | 노이헤르베르크 |
GSI 헬름홀츠 중이온 연구 센터 (GSI Helmholtzzentrum für Schwerionenforschung) | 다름슈타트 |
헬름홀츠 베를린 (Helmholtz-Zentrum Berlin für Materialien und Energie, HZB) | 베를린 |
헬름홀츠 환경 연구 센터 (Helmholtz-Zentrum für Umweltforschung, UFZ) | 라이프치히 |
막스 플랑크 플라스마 물리학 연구소 (Max-Planck-Institut für Plasmaphysik, IPP) | 가르힝 |
헬름홀츠 협회 내 막스 델브뤼크 분자 의학 센터 (Max-Delbrück-Centrum für Molekulare Medizin in der Helmholtz-Gemeinschaft, MDC) | 베를린-부흐 |
헬름홀츠-첸트룸 드레스덴-로젠도르프 (Helmholtz-Zentrum Dresden-Rossendorf, HZDR) | 드레스덴 |
헬름홀츠 해양 연구 센터 킬 (GEOMAR Helmholtz Centre for Ocean Research Kiel) | 킬 |
- 헬름홀츠-첸트룸 드레스덴-로젠도르프(HZDR)는 2011년 라이프니츠 학회에서 헬름홀츠 협회로 소속이 변경되었다.[6]
- 헬름홀츠 해양 연구 센터 킬(GEOMAR)은 과거 라이프니츠 해양 과학 연구소(IFM-GEOMAR)였다.
헬름홀츠 연구소는 헬름홀츠 센터와 대학교 간의 파트너십 형태로 운영되며, 연구소 자체는 헬름홀츠 협회의 회원이 아니다. 예를 들어, 2017년 뷔르츠부르크에 설립된 RNA 기반 감염 연구를 위한 헬름홀츠 연구소(HIRI)가 있다.[7]
5. 오픈 액세스
헬름홀츠 협회는 2003년 베를린 선언의 최초 서명 기관 중 하나였다. 과학 연구의 오픈 액세스 출판에 대한 이러한 약속은 헬름홀츠 센터 소장들로 구성된 회원 총회에서 공식적으로 승인되었다. 2004년 9월 결의안에서 총회는 "헬름홀츠 협회의 출판물은 향후 출판사 또는 기타 관련 당사자와의 상충되는 합의가 없는 한 예외 없이 무료로 제공되어야 한다"는 약속을 채택했다. 헬름홀츠 협회는 엄격한 오픈 액세스 의무는 없지만, 골드 오픈 액세스를 장려하는 동시에 개별 헬름홀츠 센터의 기관 저장소를 통해 그린 오픈 액세스를 지원한다.[10] 오픈 사이언스 개념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헬름홀츠 협회는 헬름홀츠 오픈 사이언스 조정 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11]
참조
[1]
웹사이트
Facts and Figures
https://www.helmholt[...]
Helmholtz Association
2023-02-15
[2]
웹사이트
Helmholtz Association – About Us
http://www.helmholtz[...]
2012-05-24
[3]
웹사이트
Ten institutions that dominated science in 2015
https://www.naturein[...]
2016-04-20
[4]
웹사이트
10 institutions that dominated science in 2017
https://www.naturein[...]
2018-06-12
[5]
웹사이트
2022 tables: Institutions
https://www.nature.c[...]
2023-02-15
[6]
웹사이트
Pressemitteilung vom 22. Juni 2009: Per Unterschrift besiegelt – das FZD wechselt zur Helmholtz-Gemeinschaft Deutscher Forschungszentren (german)
http://www.fzd.de/db[...]
FZD
2009-05-22
[7]
웹사이트
Press release "Helmholtz-Institut kommt nach Würzburg" (German)
https://www.uni-wuer[...]
2016-10-13
[8]
웹사이트
Helmholtz Association - Research
http://www.helmholtz[...]
2015-09-29
[9]
웹사이트
Helmholtz-Verbund Regionale Klimaänderungen (REKLIM)
http://www.sueddeuts[...]
Süddeutsches Klimabüro
2013-11-04
[10]
웹사이트
Germany – Global Open Access Portal
http://www.unesco.or[...]
UNESCO
2017-05-07
[11]
Webarchive
Helmholtz Open Science Coordination Office
https://www.gfz-pots[...]
Helmholtz Association
2018-08-27
[12]
웹사이트
Pressemitteilung vom 22. Juni 2009: Per Unterschrift besiegelt – das FZD wechselt zur Helmholtz-Gemeinschaft Deutscher Forschungszentren (german)
http://www.fzd.de/db[...]
FZD
2009-05-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