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소카와 시게카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소카와 시게카타는 호소카와 가문의 6대 구마모토번의 다이묘로, 번의 재정 개혁, 학교 설립, 새로운 형법 사상으로 유명하다. 그는 1721년에 태어나 형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았으며, 재정난을 타개하기 위해 호레키 개혁을 추진하여 사무라이의 수입을 줄이고, 새로운 산업을 육성했다. 또한, 교육과 사법 제도를 혁신하여 지슈칸과 사이슌칸을 설립하고, 형벌 제도를 개정했다. 만년에는 박물학에 심취하여 동식물 도보를 편찬했으며, 1785년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구마모토번주 - 가토 기요마사
    가토 기요마사는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공을 세워 다이묘가 되었고 임진왜란에 참전했으며,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지지했고 구마모토 번의 내정을 다졌으나, 한국에서는 침략자로 비판받고 일본 내에서도 복잡하게 평가받는 인물이다.
  • 구마모토번주 - 호소카와 다다토시
    호소카와 다다토시는 호소카와 다다오키의 아들로,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가문을 상속받아 고쿠라 번주를 거쳐 구마모토 번 초대 번주가 되었으며, 도쿠가와 가문과의 관계를 유지하며 가문을 번성시켰다.
  • 1785년 사망 - 제임스 오글소프
    제임스 오글소프는 영국의 군인이자 정치인, 식민지 건설가로서, 조지아 식민지를 건설하고 발전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감옥 및 해군 개혁, 노예제도 반대 등 박애주의 활동을 펼쳤다.
  • 1785년 사망 - 이벽
    이벽은 조선 후기 학자이자 한국 천주교회 개척자로, 천주교 서적을 통해 교리를 독학하고 권철신, 정약용 등과 신앙 공동체를 형성하여 전교 활동을 펼치다 체포 후 사망했으며, 순교 여부는 논란이 있으나 한국 천주교회 초기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1721년 출생 - 윌리엄 로버트슨
    윌리엄 로버트슨은 스코틀랜드의 역사가이자 에든버러 대학교 총장으로, 스코틀랜드 역사, 카를 5세 황제 통치 시대 역사, 아메리카 역사 등의 저서를 통해 유럽 사회 발전에 대한 분석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에든버러 대학교 발전과 학계에도 기여했다.
  • 1721년 출생 - 임윤지당
    임윤지당은 조선 후기 여성 성리학자로, 불우한 환경 속에서도 학문에 정진하여 독자적인 학문 세계를 구축하고 여성의 교육과 철학 접근 권리를 옹호했으며, 사후 《윤지당유고》를 통해 학문적 업적이 전해져 한국 여성 지성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호소카와 시게카타
기본 정보
호소카와 시게카타, 에도 시대 중기의 구마모토 번주
호소카와 시게카타, 에도 시대 중기의 구마모토 번주
이름호소카와 시게카타
일본어 이름細川 重賢
로마자 표기Hosokawa Shigekata
다른 이름긴다이 (호)
생애
출생1721년 1월 23일, 에도
사망1785년 11월 27일, 에도
묘소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요코테의 묘카이지 (유발, 치아)
에도 도카이지 중 묘카이인
관직
관위종4위하
엣추노카미
좌근위권소장
시종
막부에도 막부
주군도쿠가와 이에시게
이에하루
히고 구마모토번
가문
씨족호소카와 씨 (히고 호소카와 가)
가족
부모아버지: 호소카와 노부키
어머니: 리카 (이와세 씨)
양아버지: 호소카와 무네타카
형제자매무네타카
하나히메
기와히메
시게카타
치요히메
도요히메
에이제이히메
이쿠히메
쓰요히메
나가오카 노리야스
나가오카 오키카타 등
배우자구가 미치타네의 딸, 야고시 (마쓰다 씨)
자녀하루토시
지카히메
고지

2. 생애

엔쿄 4년(1747년) 8월 15일, 에도성혼마루 오히로마에서 형 무네타카하타모토이타쿠라 가쓰요시에게 뒤에서 습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가문의 문장인 구요 문양이 닮은 것에서 비롯된 오해로 일어난 사건이었다. 덴츄(殿中, 쇼군 앞에서)에서의 칼부림이나 죽음은 이유를 불문하고 어법도(御法度) (싸움 양쪽 모두 처벌)였기에 호소카와 가는 가문 몰락・무사 개역의 위기에 빠졌다. 그러나 센다이 번주 다테 무네무라의 기지를 발휘한 조언으로, 이미 죽었던 무네타카는 아직 숨이 붙어 있는 것으로 하여 호소카와 저택으로 몰래 옮겨졌고, 다음날 사망한 것으로 처리되었다. 다행히 호소카와 가는 문책을 받지 않았고, 무네타카에게 후사가 없었기에 동생 시게카타가 말기 양자로 지명되어 가독을 상속받았다.

1752년(호레키 2년), 시게카타는 호리 가쓰나를 봉행(奉行)으로, 가마치 마사사다를 봉행으로 등용하여 번 재정 개혁(호레키 개혁)을 단행했다. 호리는 즉시 오사카로 가서 고노이케 가문 등 유력 상인들에게 자금 지원을 요청했으나, 당시 구마모토번의 재정 상황은 매우 심각하여 거절당했다. 하지만 호리는 신흥 상인 가시마야와 교섭하여 번의 연공을 일괄 인수하는 조건으로 자금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시게카타는 검소와 절약을 장려하고, 에도 번저의 비용에 상한선을 설정하는 등 재정 긴축 정책을 펼쳤다. 또한 쌀에만 의존하는 경제 구조의 한계를 인식하고 호리와 함께 식산흥업(殖産興業) 정책을 추진했다. 닥나무, 생사, 밀랍 등을 전매 품목으로 지정하고, 밀랍 생산을 번 직영으로 전환하여 제밀 시설을 설립했다. 또한 영내 토지 조사를 여러 차례 실시하여 세수 확보에 힘썼다.

번에서 생산된 제품은 가시마야를 통해 대량으로 판매되었고, 호레키 연말 무렵에는 번 재정이 호전되기 시작했다. 또한 기근에 대비하여 곡물 비축을 시작하여, 덴메이 대기근 때 백성들을 구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시게카타는 번사들에게도 검소와 절약을 강조했다. 1758년(호레키 8년) 정월부터는 3년간의 유예 기간을 거쳐 남녀 모두 겹옷과 면 외에는 입을 수 없도록 하는 복제 개혁을 단행했다. 세자 하루토시의 생모인 비이도 예외는 아니었다. 또한 손님 접대 수준을 낮추고, 목욕 시 매일 물을 바꾸는 대신 물뿌리개를 사용하도록 하는 등 생활 전반에 걸쳐 절약을 실천했다.[11]

호레키 개혁은 지방에 일정한 권한과 재원을 부여했다. 쓰주키 다리를 비롯한 많은 다리, 용수로, 신전 개발이 진행되었다. 히고번의 공공 사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


  • 번청의 여러 부서에 자체 자금을 두고 화식(공공 대출)을 실시했다.
  • 당시 세금의 일부를 적립했다(관전).
  • 지방 유력자의 헌금(촌지)이 있었다.


지방 엘리트 소년이 관청에 들어가 촌장의 견습이 되고, 후에 간부 관료가 될 수 있는 시스템도 만들어졌다. 이러한 성과 덕분에 구마모토번은 54만 석으로 알려졌지만, 막말에는 실질적으로 100만 석이 되었다. 개혁은 매우 급진적이어서 무사들의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다.

1755년, 시게카타는 구마모토성 안에 번교 지슈칸을 설립했다. 지슈칸은 요코이 쇼난, 이노우에 고와시, 기타사토 시바사부로 등 훗날 저명한 학자들을 배출한 학교로 알려져 있다. 구마모토 출신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 출신이라도 입학이 허가되면 신분에 관계없이 입학할 수 있었으며, 총명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이 지급되었다.[12][13] 이는 당시 다른 번교에는 없었던 제도였다.

1756년에는 의학교인 사이슌칸을 아키타군 미야데라무라(현재 니혼기)에 설립했고, 다음 해에 학교가 개교했다. 부속 약초원은 구마모토 야쿠엔초에 설립되었다.[6][7]

시게카타는 형법에 관한 중요한 개혁도 시행했다. 당시에는 사형유배만이 형벌로 존재했으나, 시게카타는 유배를 태형과 노역으로 변경했다. 문신을 새기는 대신 5일에 한 번 눈썹을 깎는 것으로 변경하여 죄수들이 사회로 복귀하는 것을 돕고자 했다. 죄수들이 을 위해 일하게 하고, 노동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여 형벌 이후의 생활을 대비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시게카타의 형법 개혁은 메이지 유신의 모델이 되었다.[12][13]

시게카타는 란학에 경도되어 사쓰마 번의 시마즈 시게히데, 구보타 번의 사타케 요시즈미 등과 함께 란페키 다이묘라고 불렸다.

덴메이 5년(1785년) 10월 26일에 에도(江戸)의 료코테이(龍口亭)에서 사망했다. 시나가와(品川)의 도카이지(東海寺) 톳추(塔頭)인 묘카이인(妙解院)에 묻혔다.[14] 시호는 레이칸인테츠겐소인(霊感院徹厳宗院)이다. 유발(遺髪)과 낙치(落歯)는 구마모토시 요코테(横手)의 기타오카 공원(北岡公園) 내 묘카이지(妙解寺)에 있다.[14] 향년 66세. 뒤를 장남인 하루토시(治年)가 이었다.

2. 1. 가독 상속

엔쿄 4년(1747년) 8월 15일, 에도성혼마루 오히로마에서 형 무네타카하타모토이타쿠라 가쓰요시에게 뒤에서 습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가문의 문장인 구요 문양이 닮은 것에서 비롯된 오해로 일어난 사건이었다. 덴츄(殿中, 쇼군 앞에서)에서의 칼부림이나 죽음은 이유를 불문하고 어법도(御法度) (싸움 양쪽 모두 처벌)였기에 호소카와 가는 가문 몰락・무사 개역의 위기에 빠졌다. 그러나 센다이 번주 다테 무네무라의 기지를 발휘한 조언으로, 이미 죽었던 무네타카는 아직 숨이 붙어 있는 것으로 하여 호소카와 저택으로 몰래 옮겨졌고, 다음날 사망한 것으로 처리되었다. 다행히 호소카와 가는 문책을 받지 않았고, 무네타카에게 후사가 없었기에 동생 시게카타가 말기 양자로 지명되어 가독을 상속받았다.

2. 2. 호레키 개혁

1752년(호레키 2년), 호소카와 시게카타는 호리 가쓰나를 봉행(奉行)으로, 가마치 마사사다를 봉행으로 등용하여 번 재정 개혁을 단행했다. 호리는 즉시 오사카로 가서 고노이케 가문 등 유력 상인들에게 자금 지원을 요청했으나, 당시 구마모토번의 재정 상황은 매우 심각하여 거절당했다. 하지만 호리는 신흥 상인 가시마야와 교섭하여 번의 연공을 일괄 인수하는 조건으로 자금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시게카타는 검소와 절약을 장려하고, 에도 번저의 비용에 상한선을 설정하는 등 재정 긴축 정책을 펼쳤다. 또한 쌀에만 의존하는 경제 구조의 한계를 인식하고 호리와 함께 식산흥업(殖産興業) 정책을 추진했다. 닥나무, 생사, 밀랍 등을 전매 품목으로 지정하고, 밀랍 생산을 번 직영으로 전환하여 제밀 시설을 설립했다. 또한 영내 토지 조사를 여러 차례 실시하여 세수 확보에 힘썼다.

번에서 생산된 제품은 가시마야를 통해 대량으로 판매되었고, 호레키 연말 무렵에는 번 재정이 호전되기 시작했다. 또한 기근에 대비하여 곡물 비축을 시작하여, 덴메이 대기근 때 백성들을 구제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시게카타는 번사들에게도 검소와 절약을 강조했다. 1758년(호레키 8년) 정월부터는 3년간의 유예 기간을 거쳐 남녀 모두 겹옷과 면 외에는 입을 수 없도록 하는 복제 개혁을 단행했다. 세자 하루토시의 생모인 비이도 예외는 아니었다. 또한 손님 접대 수준을 낮추고, 목욕 시 매일 물을 바꾸는 대신 물뿌리개를 사용하도록 하는 등 생활 전반에 걸쳐 절약을 실천했다.[11]

2. 2. 1. 개혁의 성과

시게카타는 호소카와 가문의 6대 구마모토번 다이묘로서, 구마모토번의 재정 개혁, 지슈칸 번교, 의학교 사이슌칸 설립, 그리고 새로운 형법 사상으로 유명하다.[2]

구마모토 번은 아버지 시대부터 의 적자를 안고 있었고, 에도 막부의 ''산킨코타이'' 정책과 기근으로 인해 재정 상황이 더욱 악화되었다. 1752년, 시게카타는 호리 카츠나를 "봉행"(奉行, 때때로 "사무관", "지사" 또는 "총독"으로 번역됨)으로 임명하여 개혁을 추진했다. 호리는 오사카의 코노이케 가문 등에게 차관을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카지마야로부터 쌀 10만 ''곡''을 대가로 거액의 돈을 빌리는 데 성공했다.

당시 사무라이에게 지급되던 쌀은 100 ''곡''당 40 ''곡''(40%)이었으나, 개혁 이후 20 ''곡''으로, 이후 13 ''곡''으로 줄어들어 65%가 감소했다.[2] ''고쿠다카''(石高) 또는 ''곡''은 에도 시대 일본에서 토지 가치를 쌀의 ''곡''으로 표현하는 시스템으로, 실제 수확량이 아닌 토지의 품질과 규모를 기준으로 평가되었다. 시게카타는 사무라이들이 호레키 개혁에 만족하는 동시에 스스로 훈련하기를 바랐고, 의 학교를 사무라이 등을 위해 짓고, 의 완전히 새로운 형법을 시작했다.

또한 시게카타와 호리는 와시 (일본 종이), 비단 생산을 시작하고 왁스 생산을 독점했다. 그들은 토지와 생산량을 조사(일본어로 겐치)했다. 호레키 연간(1751–1763)이 끝날 무렵, 번의 재정 상태는 크게 개선되었다. 비축된 쌀과 곡물은 텐메이 기근 시 번에 도움이 되었다.

호소카와 시게카타의 호레키 개혁은 지방에 일정한 권한과 재원을 부여했다. 쓰주키 다리를 비롯한 많은 다리, 용수로, 신전 개발이 진행되었다. 히고번의 공공 사업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되었다.

  • 번청의 여러 부서에 자체 자금을 두고 화식(공공 대출)을 실시했다.
  • 당시 세금의 일부를 적립했다(관전).
  • 지방 유력자의 헌금(촌지)이 있었다.


지방 엘리트 소년이 관청에 들어가 촌장의 견습이 되고, 후에 간부 관료가 될 수 있는 시스템도 만들어졌다. 이러한 성과 덕분에 구마모토번은 54만 석으로 알려졌지만, 막말에는 실질적으로 100만 석이 되었다.

2. 2. 2. 개혁에 대한 비판


  • 개혁은 매우 급진적이어서 특히 무사들의 반대에 부딪혔다.
  • 1772년 메츠케인 마츠노 히치조는 호리의 세 가지 문제점을 지적했다.
  • 1774년 마스다 야이치우에몬은 18통의 비밀 서신에서 개혁을 비판했다.
  • 개혁을 지지하는 부교인 이구치 소우에몬은 호리를 반대하는 나가오카 몬도에게 모욕을 당해 할복했다.
  • 가로인 아리요시 다이젠은 시게카타와 호리를 상대로 마법을 부렸다.[3]
  • 여행 저널리스트인 후루카와 코쇼켄은 시게카타 말년에 구마모토를 방문했는데, 그는 일반 백성들의 삶과 시게카타의 인기의 불일치를 발견하고, 구마모토에는 정치적으로 좋은 것이 없다고 믿는다고 썼다.[4]
  • 후년에 요코이 쇼난은 그의 저서 《지무 시안》에서 구마모토번의 현 상황을 비판했다.[5]

2. 3. 교육, 사법 제도의 혁신

호소카와 시게카타는 구마모토번의 재정 개혁, 지슈칸 번교, 의학교 사이슌칸 설립, 그리고 새로운 형법 사상으로 유명하다.

1755년, 시게카타는 구마모토성 안에 번교 지슈칸을 설립했다. 지슈칸은 요코이 쇼난, 이노우에 고와시, 기타사토 시바사부로 등 훗날 저명한 학자들을 배출한 학교로 알려져 있다. 구마모토 출신뿐만 아니라 다른 지방 출신이라도 입학이 허가되면 신분에 관계없이 입학할 수 있었으며, 총명한 학생들에게는 장학금이 지급되었다.[12][13] 이는 당시 다른 번교에는 없었던 제도였다.

1756년에는 의학교인 사이슌칸을 아키타군 미야데라무라(현재 니혼기)에 설립했고, 다음 해에 학교가 개교했다. 부속 약초원은 구마모토 야쿠엔초에 설립되었다.[6][7]

시게카타는 형법에 관한 중요한 개혁도 시행했다. 당시에는 사형유배만이 형벌로 존재했으나, 시게카타는 유배를 태형과 노역으로 변경했다. 문신을 새기는 대신 5일에 한 번 눈썹을 깎는 것으로 변경하여 죄수들이 사회로 복귀하는 것을 돕고자 했다. 죄수들이 을 위해 일하게 하고, 노동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여 형벌 이후의 생활을 대비할 수 있도록 했다. 이러한 시게카타의 형법 개혁은 메이지 유신의 모델이 되었다.[12][13]

2. 4. 란벽 다이묘

시게카타는 호소카와 가문의 6대 구마모토번 다이묘로, 구마모토번의 성공적인 재정 개혁, 지슈칸 번교, 의학교 사이슌칸 설립, 그리고 새로운 형법 사상으로 유명하다.

구마모토 은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그의 아버지 시대의 적자는 에 달했다. 에도 막부의 ''산킨코타이'' 정책과 기근으로 인해 의 재정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시게카타는 호소카와 노부노리의 21명의 자녀 중 한 명이었기 때문에 젊은 시절의 어려움을 잊지 않기 위해 전당포의 카드를 소지하고 있었다.

만년에 그는 동식물의 기록과 생물학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전문적인 수준으로 평가받았다. 그가 직접 그림을 그리기도 했지만, 전문가가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흥미로운 동물 그림으로는 현재 멸종된 혼슈 늑대가 있다. 늑대 그림은 한 권의 책에 실려 있다. 호소카와 가문의 보물 컬렉션인 영세문고에는 동식물을 세밀하게 그린 그림과 말린 식물 그림이 담긴 16권의 앨범이 소장되어 있다.[8]

그 시대에 서양 학문에 관심을 가진 다이묘는 드물었다. 그는 '란헤키' 다이묘로 알려졌다. 다른 '란헤키' 다이묘로는 사쓰마 번의 시마즈 시게히데(1745–1833)와 시마즈 나리아키라(1809–1858) 등이 있었다. 이들 다이묘는 서양 학문에 관한 책이나 전문가를 구하는 데 힘썼다. 시게카타는 란학에 경도되어 사쓰마 번의 시마즈 시게히데, 구보타 번의 사타케 요시즈미 등과 함께 란페키 다이묘라고 불렸다.

2. 5. 사망

덴메이 5년(1785년) 10월 26일에 에도(江戸)의 료코테이(龍口亭)에서 사망했다. 시나가와(品川)의 도카이지(東海寺) 톳추(塔頭)인 묘카이인(妙解院)에 묻혔다.[14] 시호는 레이칸인테츠겐소인(霊感院徹厳宗院)이다. 유발(遺髪)과 낙치(落歯)는 구마모토시 요코테(横手)의 기타오카 공원(北岡公園) 내 묘카이지(妙解寺)에 있다.[14] 향년 66세. 뒤를 장남인 하루토시(治年)가 이었다.

3. 가계

호소카와 노부노리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이와세 리카이다. 정실은 고가 미치에의 딸이며, 측실은 마츠다 씨(요코시, 엔테이인)이다.[1]

관계이름비고
아버지호소카와 노부노리
어머니이와세 리카
양아버지호소카와 무네타카
정실고가 미치에의 딸
측실마츠다 씨 (요코시, 엔테이인)
장남호소카와 하루토시요코시 소생
장녀노리히메호소카와 오키노리 정실
차남히데지로요절


4. 기타

타고난 박물학 애호가로, 모든 동식물의 도보 (『압엽첩』 등)를 편찬했다.[15]

5. 참고 항목


  • 고전 원예 식물#에도 시대에 저술된 주요 원예 서적, 본초서, 도보, 번척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05
[2] 서적 Higogaku Koza
[3] 서적 History of Kumamoto viewed from topis Gen Shobou 2007
[4] 문서 Higogaku Koza
[5] 문서 Hogogaku Koza
[6] 서적 Anecdotes of Hosokawa Shigekata Kumamoto Nichinichi Shimbun 2008
[7] 서적 Higo Iikushi Saikai Jihōsha 1929
[8] 문서 Hosokawa 2008
[9] Kotobank 細川重賢
[10] 도록 大名細川家の至宝 文武の歴史と雅の文化・永青文庫名品展
[11] 문서 重賢公逸話
[12] 문서 重賢公逸話
[13] 서적 肥後医育史 鎮西医海時報社 1929
[14] 문서 細川重賢公事略
[15] 웹사이트 熊本藩藩主・細川重賢は大名図譜を創ったパイオニアである(大田区歴史 郷土史・地誌 不思議な江戸時代を浮世絵で探る。) https://www.photo-m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