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흡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흡수는 1분 동안의 호흡 횟수를 의미하며, 건강 상태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이다. 호흡수는 육안 관찰, 청진기, 다양한 의료 기기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시 자세, 연령, 질병 등의 요인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성인의 정상 호흡수는 분당 12~20회이며, 연령에 따라 정상 범위가 다르다. 호흡수 변화는 호흡기 질환, 심부전, 신경계 질환 등 다양한 건강 문제를 나타낼 수 있으며, 무호흡, 빈호흡, 서호흡, 과호흡 등의 비정상적인 호흡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

2. 측정

사람의 호흡수는 1분 동안 얼마나 많은 횟수의 호흡을 하였는지를 재는 것이며, 안정 상태에서 가슴이 움직이는 것을 관찰하면서 횟수를 세면 측정할 수 있다. 광섬유를 이용한 호흡수 측정 기계는 MRI를 측정 중인 환자에게 사용될 수 있다.[27] 이나 질병에 걸렸을 경우 호흡수가 상승할 수 있다.[28]

호흡수는 의료, 간호, 요양 분야에서 환자, 이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활력 징후 중 하나로, 혈압, 맥박, 체온과 함께 수치로 측정하고 판단한다.

2. 1. 측정 방법

사람의 호흡수는 가슴이 들썩이는 횟수를 세어 1분 동안의 호흡 횟수를 측정한다. 광섬유 호흡률 센서는 자기공명영상(MRI) 스캔 중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1] 호흡수는 발열, 질병 또는 기타 의학적 상태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2]

호흡 측정의 부정확성에 대한 보고가 있다.[3] 90초 측정 기간을 사용하여 계산한 호흡수와 1분 전체를 사용한 호흡수를 비교한 연구에서 호흡수에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했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청진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아기의 빠른 호흡수가 청진기 없이 아기 침대 옆에서 측정한 호흡수보다 60~80%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동물을 다루거나 다루지 않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나는데, 이는 접촉의 침습성만으로도 호흡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임피던스 폐쇄성 호흡 검사법[4] 및 이산화탄소 측정법을 포함하여 호흡수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이는 환자 모니터링에서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심전도, 광혈류측정법 또는 가속도계 신호로부터 호흡수를 추정하는 것과 같이 웨어러블 센서를 사용하여 호흡수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 중이다.[5][6][7][8]

호흡수는 종종 호흡 빈도라는 용어와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실제 호흡 신호는 여러 주파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호흡의 주파수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9] 호흡수 측정은 육안 관찰이나 청진기 외에도 심전도로 판단하는 방법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심신이 모두 안정된 상태에서 측정하며, 보행, 입욕, 각종 처치 시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는 경우도 있다.[17]

실제 호흡수 측정에서는 흉벽의 상하 운동을 센다. 내쉬는 숨과 들이쉬는 숨을 합쳐 1회로 계산한다.[17] 측정 시, 연령, 평상시 호흡 상태, 자세, 체위, 신체 운동이나 정동 상태, 질환, 약물 사용 유무 등이 영향을 미치므로 사전에 확인한다.[17]

2. 2. 측정 시 유의사항

사람의 호흡수는 가슴이 들썩이는 횟수를 세어 1분 동안 호흡한 횟수를 측정한다. 광섬유 호흡률 센서는 자기 공명 영상 스캔 중 환자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1] 호흡수는 발열, 질병 또는 기타 의학적 상태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2]

호흡 측정의 부정확성이 문헌에 보고되었다.[3] 청진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아기의 빠른 호흡수가 청진기 없이 아기 침대 옆에서 측정한 호흡수보다 60~80% 더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동물을 다루거나 다루지 않을 때에도 유사한 결과가 나타나는데, 이는 접촉의 침습성만으로도 호흡에 상당한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임피던스 폐쇄성 호흡 검사법[4] 및 이산화탄소 측정법을 포함하여 호흡수를 측정하는 다양한 다른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이는 환자 모니터링에서 흔히 구현된다. 또한, 심전도, 광혈류측정법 또는 가속도계 신호로부터 호흡수를 추정하는 것과 같이 웨어러블 센서를 사용하여 호흡수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하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 중이다.[5][6][7][8]

실제 호흡수 측정에서는 흉벽의 상하 운동을 센다. 내쉬는 숨과 들이쉬는 숨을 합쳐 1회로 계산한다.[17] 측정 시 연령, 평상시 호흡 상태, 자세, 체위, 신체 운동이나 정동 상태, 질환, 약물 사용 유무 등이 영향을 미치므로 사전에 확인한다.[17]

3. 정상 범위

일반적으로 성인의 정상 호흡수는 분당 12~20회로 여겨진다.[29] 안정 시 건강한 성인의 호흡수는 분당 12~20회[18], 1회 환기량은 약 450~500ml이다.[19]

3. 1. 연령별 정상 호흡수

성인의 정상 호흡수는 보통 1분 당 12–20회로 여겨진다.[29] 호흡 중추는 흡입에 약 2초, 호기에 3초를 할당하여 조용한 호흡 리듬을 설정하는데, 이는 분당 평균 12회의 호흡수를 나타낸다.[10]

연령별 평균 안정 시 호흡수는 다음과 같다.[11][12]

연령횟수 (분당)
6주 (신생아)30~60
6개월25~40
3세20~30
6세18~25
10세17~23
성인12~18[18]
65세 이상 노인12~28[22]
80세 이상 노인10~30[22]


4. 분당 환기량

분당 환기량은 1분 동안 폐에서 흡입(흡입 분당 환기량) 또는 호기(호기 분당 환기량)되는 공기의 양이다.

5. 진단적 가치

호흡수는 잠재적인 호흡기 기능 장애의 지표로서 그 가치가 연구되었지만, 연구 결과는 그 가치가 제한적임을 시사한다.

한 연구에 따르면, 산소 포화도가 90% 미만인 응급실 환자의 33%만이 호흡수가 증가했다.[14] 6개월 미만의 영아에서 질병의 심각성을 감별하기 위한 호흡수 평가에서는 호흡수가 그다지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약 절반이 분당 50회 이상의 호흡수를 보였으며, 이는 심각한 호흡기 질환의 지표로서 분당 50회라는 "기준치"를 설정하는 것의 가치에 의문을 제기한다.

또한, 울음, 수면, 흥분 상태, 나이와 같은 요인이 호흡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 및 유사한 연구의 결과로, 호흡수는 심각한 질병의 지표로서 그 가치가 제한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흡수는 급성 질환을 앓고 있는 입원 환자의 생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데 널리 사용된다. 다른 활력 징후와 함께 생리적 변화를 식별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측정된다. 이러한 관행은 조기 경보 시스템의 일부로 널리 채택되었다.[15] 의료, 간호, 요양 분야에서 환자, 이용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활력 징후·체크 항목 중 하나이다. 혈압, 맥박, 체온과 함께 수치로 측정하고 판단한다.

6. 비정상적인 호흡수



호흡 관찰 시에는 호흡 횟수, 깊이, 리듬을 관찰한다.[23] 측정 및 관찰 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다.[23]

  • 청색증 유무, 의식 수준, 발열, 천명, 숨가쁨, 흉통, 두중감, 자세, 기침, 가래, 맥박 변화 등을 동시에 관찰한다.[17]
  • 호흡수는 정신적으로 흥분하거나 심부전 또는 호흡 부전이 있으면 증가한다.[17]
  • 얕은 호흡과 깊은 호흡을 반복할 때는 뇌혈관 질환 등 중추 신경계 장애를 의심한다.[17]
  • 호흡이 있을 때는 생존 예후가 좋지 않다(사망이 임박)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17]
  • 과호흡 증후군과 같은 신경증에서는 정상적인 경우에도 호흡이 깊어질 수 있다.[17]
  • 호기와 흡기 길이의 비율은 흡기보다 호기가 약간 더 길고, 흡기와 호기 사이에 휴식기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17]
  • 가슴(흉곽)의 움직임은 좌우가 균등하며, 흡기 시에는 팽창하고 호기 시에는 수축한다.[17]

7. 호흡 관찰 시 유의점

호흡 관찰 시에는 호흡 횟수, 깊이, 리듬을 관찰한다. 측정 및 관찰 시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23]


  • 청색증 유무, 의식 수준, 발열, 천명, 숨가쁨, 흉통, 두중감, 자세, 기침, 가래, 맥박 변화 등을 동시에 관찰한다.[17]
  • 호흡수는 정신적으로 흥분하거나 심부전 또는 호흡 부전이 있으면 증가한다.[17]
  • 얕은 호흡과 깊은 호흡을 반복할 때는 뇌혈관 질환 등 중추 신경계 장애를 의심한다.[17]
  • 호흡이 있을 때는 생존 예후가 좋지 않다(사망이 임박)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17]
  • 과호흡 증후군과 같은 신경증에서는 정상적인 경우에도 호흡이 깊어질 수 있다.[17]
  • 호기와 흡기 길이의 비율은 흡기보다 호기가 약간 더 길고, 흡기와 호기 사이에 휴식기가 있는 것이 보통이다.[17]
  • 가슴(흉곽)의 움직임은 좌우가 균등하며, 흡기 시에는 팽창하고 호기 시에는 수축한다.[17]

참조

[1] 웹사이트 OSA - http://www.opticsinf[...] 2016-09-30
[2] 웹사이트 Vital Signs 101 http://www.hopkinsme[...] 2022-06-14
[3] 논문 Respiratory rate: measurement of variability over time and accuracy at different counting periods 1991-10
[4] 논문 Impedance pneumography. Comparison between chest impedance changes and respiratory volumines in 11 healthy volunteers 1972-10
[5] 논문 Breathing Rate Estimation From the Electrocardiogram and Photoplethysmogram: A Review
[6] 웹사이트 Advanced Methods and Tools for ECG Data Analysis - ECG Derived Respiratory Frequency Estimation - Chapter 8 http://www.robots.ox[...] 2016-02-23
[7] 논문 Multiparameter respiratory rate estimation from the photoplethysmogram 2013-07
[8] 논문 Respiratory rate assessments using a dual-accelerometer device 2014-01
[9] 논문 Characterizing and Modeling Breathing Dynamics: Flow Rate, Rhythm, Period, and Frequency 2022
[10]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2012-04-05
[11] 서적 Emergency Newborn Care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2004-11-04
[12] 서적 Delmar's Comprehensive Medical Assisting: Administrative and Clinical Competencie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09-03-09
[13] 논문 Normal respiratory rate and peripheral blood oxygen saturat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2013-12
[14] 논문 A comparison of pulse oximetry and respiratory rate in patient screening 1996-11
[15] 논문 The ability of the National Early Warning Score (NEWS) to discriminate patients at risk of early cardiac arrest, unanticipated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and death http://eprints.bourn[...] 2013-04
[16] 문서 JST科学技術用語日英対訳辞書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17] 문서 「介護職員初任者研修テキスト 第3巻 こころとからだのしくみ」 初版第4刷 p.82 一般財団法人 長寿社会開発センター 発行 介護職員関係養成研修テキスト作成委員会 編集
[18]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19] 웹사이트 呼吸器系のしくみと働き | WEB PHYSIOLOGY 人体のしくみと働き http://plaza.umin.ac[...]
[20] 서적 Emergency Newborn Care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2004-11-04
[21] 서적 Delmar's Comprehensive Medical Assisting: Administrative and Clinical Competencies https://books.google[...] Cengage Learning 2009-03-09
[22] 논문 Normal respiratory rate and peripheral blood oxygen saturat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2013-12
[23] 문서 「介護職員初任者研修テキスト 第3巻 こころとからだのしくみ」初版第4刷 p.82 一般財団法人長寿社会開発センター発行 介護職員関係養成研修テキスト作成委員会 編集
[24]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25] 웹인용 호흡 중추(respiratory center) https://www.sciencea[...] 2015-09-09
[26] 간행물 Accurate respiratory rates count: So should you! 2017
[27] 웹인용 OSA http://www.opticsinf[...] 2016-09-30
[28] 웹인용 Vital Signs 101 http://www.hopkinsme[...]
[29]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2012-04-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