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회절격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회절격자는 빛을 파장별로 분리하는 장치로, 데이비드 리튼하우스가 머리카락을 이용해 최초로 제작했으며,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가 금속 가는선을 사용하여 개선했다. 휘헌스-프레넬 원리에 따른 회절 현상을 이용하며, 격자 간 간격, 입사각, 회절각 사이의 관계는 격자 방정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회절격자는 반사형과 투과형으로 나뉘며, 입사광 변조 방식에 따라 진폭 또는 위상 회절격자로 구분된다. 일상생활에서는 CD, DVD, 전자책 읽기 장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등에서, 자연계에서는 횡문근, 일부 곤충의 날개 등에서 회절격자 효과를 찾아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학 부품 - 프리즘
    프리즘은 빛의 굴절과 전반사 특성을 활용하여 빛을 스펙트럼으로 분산시키거나 경로를 변경하는 광학 소자로, 분산, 빔 분할, 편광 제거, 광선 굴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광학, 플라즈모닉스, 의료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
  • 광학 부품 - 렌즈
    렌즈는 빛의 굴절을 이용해 상을 맺는 광학 기구로, 볼록렌즈와 오목렌즈 두 가지 기본 형태가 있으며, 다양한 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복합 렌즈 등 여러 종류가 존재하고 안경, 카메라, 망원경, 현미경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 회절 - 저에너지 전자 회절
    저에너지 전자 회절(LEED)은 저에너지 전자빔을 시료 표면에 조사하여 발생하는 회절 패턴을 분석하여 표면의 원자 구조를 연구하는 표면 과학 기법으로, 표면에 민감하여 표면층의 원자 배열, 재구성, 흡착물의 구조 등을 밝히는 데 사용된다.
  • 회절 - 전자 회절
    전자 회절은 전자의 파동성을 이용하여 물질의 미세구조를 분석하는 기법으로, 회절 패턴을 통해 결정 구조, 결함, 표면 구조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다양한 전자 현미경 기법과 이론을 통해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시료 준비 및 손상 가능성의 단점도 가진다.
  • 광학 기기 - 안경
    안경은 시력 교정, 눈 보호, 패션 액세서리로서의 기능을 하며, 최근에는 스마트 기술이 접목되어 기능이 확장되고 있다.
  • 광학 기기 - 광전관
    광전관은 광전 효과를 활용하여 빛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광센서로, 빛이 광음극에 닿으면 방출된 전자가 양극으로 이동하며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 전류 세기는 입사광의 세기와 주파수에 비례한다.
회절격자
개요
회절 격자의 예
회절 격자의 예
설명빛을 여러 개의 광선으로 분할하는 광학 부품
원리 및 작동 방식
작동 원리빛의 회절 현상을 이용
회절파동이 장애물을 만나 꺾이거나 퍼지는 현상
격자수많은 평행한 홈 또는 슬릿으로 구성
빛의 간섭회절된 빛들이 서로 간섭하여 특정 방향으로 강화 또는 상쇄
파장 의존성회절 각도가 빛의 파장에 따라 달라짐
다양한 파장의 빛회절 격자를 통과하면서 여러 방향으로 분산
1차원 격자평행한 선형 패턴으로 구성
2차원 격자2차원 평행 패턴으로 구성
종류
투과형 회절 격자빛이 격자를 통과하는 형태
반사형 회절 격자빛이 격자 표면에서 반사되는 형태
진폭형 회절 격자격자의 투과율 또는 반사율을 조절하는 형태
위상형 회절 격자빛의 위상을 조절하는 형태
홀로그래픽 회절 격자홀로그래피 기술을 사용하여 제작
제작 방법
기계적 제작정밀 기계를 사용하여 격자 패턴을 새김
리소그래피미세 가공 기술을 사용하여 격자 패턴을 형성
홀로그래피홀로그래피 기술을 사용하여 격자 패턴을 기록
펨토초 레이저 가공펨토초 레이저를 사용하여 격자 패턴을 가공
역사
초기 연구제임스 그레고리가 새의 깃털에서 발견 (1673년)
첫 인공 격자데이비드 리텐하우스가 머리카락을 사용 (1785년)
과학적 연구토머스 영의 실험 (1803년), 조지프 폰 프라운호퍼의 발견 (1821년)
대량 생산프리드리히 아돌프 노버트의 정밀 기계 제작 (1845년)
고품질 격자루이스 M. 러더퍼드의 개발 (1860년대)
스펙트럼 연구헨리 어거스터스 롤런드의 개발 (1882년)
응용 분야
분광학빛의 파장별 분리 및 분석
천문학별의 스펙트럼 분석, 분광기
광섬유 통신파장 분할 다중화
레이저 기술레이저 빔 조절 및 파장 선택
센서화학 물질 감지, 광학 엔코더
디스플레이 기술홀로그램 및 기타 광학 디스플레이
광학 위상 측정위상 다양성 및 파면 센서
주요 특징
격자 상수격자 간격 (slit spacing)
회절 효율특정 회절 차수의 빛 강도 비율
분산능파장별 회절 각도 차이
분해능인접한 파장을 분리하는 능력
편광 효과빛의 편광 상태에 따른 회절 효과 변화
크기 및 모양용도에 따른 다양한 크기와 모양
추가 정보
재료유리, 플라스틱, 금속 등 다양한 재료 사용
코팅반사율 및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코팅

2. 역사

18세기 미국의 자연과학자 데이비드 리튼하우스가 최초로 회절격자를 만들었으며, 19세기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는 금속 선을 이용하여 회절격자를 제작하고 빛의 파장을 연구하는 데 사용했다.[54]

2. 1. 초기 역사

최초로 역사에 등장하는 회절격자는 18세기 미국의 자연과학자 데이비드 리튼하우스가 만든 것으로, 판 사이에 끼운 두 개의 나사 사이에 머리카락을 40가닥/cm 간격으로 평행하게 붙여 머리카락이 패턴의 역할을 하도록 한 것이었다.

이후 같은 구조의 회절격자가 19세기 물리학자 요제프 폰 프라운호퍼에 의해 금속 가는선을 사용하여 제작되었고, 다색광(단색광의 반의어)이 어떤 파장의 빛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도구로 소개되었다.[54]

3. 작동 원리

회절격자는 격자 간격(인접한 격자 홈 또는 슬릿 사이 거리), 격자에 대한 파동(빛) 입사각, 격자로부터 회절된 파동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격자 방정식을 통해 작동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이 방정식은 휘헌스-프레넬 원리[21]를 사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회절격자는 거울이나 렌즈와 유사한 '반사형' 또는 '투과형'이 될 수 있으며, 회절의 정수 차수 ''m''이 0인 '0차 모드'를 가진다. 이 경우 광선은 반사굴절 법칙을 따른다.

회절격자는 입사된 다색광선을 각 파장 성분으로 분리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분산시킨다. 즉, 각도 분산성을 갖는다. 각 파장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여 백색광 조명 아래에서는 무지개 색깔을 생성한다. 이는 프리즘의 동작과 시각적으로 유사하지만, 프리즘은 굴절률 차이 때문에, 회절격자는 각 파장에서의 간섭 때문에 빛을 분리한다는 점에서 메커니즘이 다르다.

300px


연속적인 차수에 해당하는 회절 광선은 입사광의 스펙트럼 함량과 격자 밀도에 따라 겹칠 수 있으며, 스펙트럼 차수가 높을수록 겹침이 커진다.

여러 색상(파장)으로 구성된 아르곤 레이저 빔이 실리콘 회절 거울 격자에 입사하여 여러 개의 빔으로 분리된다. 각 파장에 대한 빔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458 nm, 476 nm, 488 nm, 497 nm, 502 nm 및 515 nm이다.


격자 방정식에 따르면 회절 차수의 각도는 홈 간격에만 의존하고 홈 모양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홈 단면 모양을 제어하여 특정 파장의 특정 차수에서 대부분의 회절 광 에너지를 집중시킬 수 있다. 이 기술을 ''블레이징''이라 하며, 회절 효율이 최대인 입사각과 파장을 ''블레이징 각도''와 ''블레이징 파장''이라고 한다. 회절격자 효율은 입사광 편광에 의존할 수 있다.

회절격자는 일반적으로 mm당 홈 수(g/mm)로 표시되는 홈 밀도로 지정되며, 이는 홈 간격의 역수이다. 홈 간격은 관심 파장 크기 정도여야 하며, 회절격자가 커버하는 스펙트럼 범위는 홈 간격에 따라 달라진다. 회절격자 최대 파장은 격자 간격의 두 배이며, 이때 입사광과 회절광은 격자 법선에 대해 90°를 이룬다. 넓은 주파수 범위에 걸쳐 분산을 얻으려면 프리즘을 사용해야 한다. 회절격자는 주로 100 nm ~ 10 µm 파장 영역에서 사용되며, 홈 밀도는 mm당 수십 개에서 수천 개까지 다양하다.

홈 간격이 빛 파장의 절반 미만이면 ''m'' = 0 차수만 존재하며, 이러한 격자를 서브웨이브 격자라 하고, 등방성 물질로 만들면 복굴절을 생성한다.

CD 읽기면에 태양광이나 실내등을 비추면 무지개색으로 빛나는 현상은 회절격자 효과의 예시이다. 프리즘은 빛의 굴절로, 회절격자는 빛의 회절과 간섭으로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단일 방향 빛을 스크린에 투영하면, 프리즘은 파장 순서대로, 회절격자는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스펙트럼 패턴을 보인다.[45] 이러한 분광 능력으로 회절격자는 스펙트로미터나 모노크로미터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3. 1. 기본 원리

400x400px


격자 뒤의 단색광에 대한 히트맵으로서의 세기


회절(1)에 의한 회절격자와 굴절(2)에 의한 프리즘으로 얻은 스펙트럼의 비교. 더 긴 파장(빨간색)은 더 많이 회절되지만 더 짧은 파장(보라색)보다 덜 굴절된다.


회절격자는 휘헌스-프레넬 원리[21]를 사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이 원리에 따르면 진행파의 파면 위의 각 점은 점광원으로 작용하며, 이후 임의의 지점에서 파면은 이전 파면 위 각 점광원의 기여를 더하여 찾을 수 있다.

회절격자는 '반사형' 또는 '투과형'이 될 수 있다. 격자는 회절의 정수 차수 ''m''이 0인 '0차 모드'를 가지는데, 이 경우 광선은 반사굴절 법칙을 따른다.

이상적인 회절격자는 간격 d의 슬릿 집합으로 구성되며, 회절을 일으키려면 관심 있는 파장보다 넓어야 한다. 평면파의 단색광 \lambda가 격자에 수직으로 입사하면, 격자의 각 슬릿은 빛이 모든 방향으로 전파되는 준점파원으로 작용한다. 입사광이 격자와 상호작용한 후, 격자로부터 회절된 빛은 격자의 각 슬릿에서 나오는 간섭[22] 파 성분의 합으로 구성된다.

회절광이 통과하는 공간의 임의의 지점에서 격자의 각 슬릿으로부터 주어진 지점까지의 경로 길이는 다르므로, 그 지점에서 각 슬릿에서 나오는 파의 위상도 다르다. 결과적으로, 주어진 관측점에서 격자 슬릿으로부터의 회절파의 합은 가산 및 상쇄 간섭[23]을 통해 빛의 세기를 변화시킨다.

인접한 슬릿으로부터 관측점까지의 빛 경로 차이가 파장의 절반의 홀수 정수배와 같으면, 그 지점에서 파는 위상이 어긋나 서로 상쇄되어 최소 빛 세기를 만든다. 반대로 경로 차이가 \lambda의 배수이면 파는 위상이 같아 최대 세기가 발생한다. 격자에 수직으로 입사하는 빛의 경우, 최대 세기는 d \sin\theta_m = m\lambda 관계를 만족하는 회절각 \theta_m에서 발생한다. 여기서 \theta_m는 회절광선과 격자의 법선 벡터 사이의 각도이고, d는 한 슬릿의 중심에서 인접 슬릿의 중심까지의 거리이며, m은 관심 있는 전파 모드를 나타내는 정수로서 회절 차수라고 한다.

평면광파가 균일한 주기 d의 격자에 수직으로 입사하면, 회절광은 다음 격자 방정식에 따라 주어지는 회절각 \theta_m에서 최대값을 갖는다.

:\sin\theta_m = \frac{m\lambda}{d}.

평면파가 격자 주기와 직교하는 평면에서 격자 법선에 대해 \theta_i 각도로 입사하는 경우, 격자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sin\theta_i + \sin\theta_m = \frac{m\lambda}{d},

이는 일반화된 격자 방정식으로 설명되는 원추형 또는 평면 외 회절의 더 일반적인 경우 중 평면 내 회절을 설명하는 특수한 경우이다.

:\sin\theta_i + \sin\theta_m = \frac{m\lambda}{d\sin\gamma},

여기서 \gamma는 평면파 방향과 격자 홈 방향 사이의 각도이며, 격자 주기와 격자 법선 방향 모두에 직교한다.

회절파 세기가 최대화되는 회절각에 대해 풀면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theta_m = \arcsin\!\left( \sin\theta_i -\frac{m\lambda}{d\sin\gamma}\right ).

투과형 회절격자의 직접 투과 또는 반사형 격자의 정반사[24]에 해당하는 회절광은 0차(m=0)라고 한다. 다른 회절광 세기 최대값은 0이 아닌 정수 회절 차수 m으로 표시되는 각도 \theta_m에서 발생한다. m은 양수 또는 음수일 수 있으며, 0차 회절빔 양쪽에 있는 회절 차수에 해당한다.

격자 방정식은 동일한 간격을 갖는 임의의 규칙적인 구조에 적용 가능하다. 상세한 회절광 특성 분포는 격자 요소의 구조와 수에 따라 달라지지만, 항상 격자 방정식에 의해 주어지는 방향에서 최대값을 제공한다.

회절광을 생성하기 위해 입사광을 변조하는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격자 유형이 존재한다.[25]

  • 투과 진폭 회절격자: 격자를 통과하는 입사파의 세기를 공간적, 주기적으로 변조.
  • 반사 진폭 회절격자: 격자로부터 반사되는 입사파의 세기를 공간적, 주기적으로 변조.
  • 투과 위상 회절격자: 격자를 통과하는 입사파의 위상을 공간적, 주기적으로 변조.
  • 반사 위상 회절격자: 격자로부터 반사되는 입사파의 위상을 공간적, 주기적으로 변조.


광축 회절격자도 반사 또는 투과 위상 회절격자로 간주된다.

분광 시 입사광은 다색광이지만, 구성하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은 서로 간섭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일 파장의 빛(단색광)의 회절과 간섭 현상만 고려하면, 다색광은 그 중첩으로 설명 가능하다.[49]

주기적으로 배열된 격자 개구부를 빛이 투과하여 회절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회절격자에 파면이 평행한 단색광을 입사시키고, 충분히 떨어진 곳에 스크린을 놓고 격자에서 나오는 빛을 관찰하면 주기적인 간섭무늬가 나타난다.[50] 이 무늬의 패턴과 주기는 격자의 그것에 대응하며, 직선 배열의 1차원 격자를 사용하면 직선 배열의 1차원 간섭무늬가 된다.[51] 간섭무늬를 입사광 중심축에 가까운 쪽부터 0차, ±1차, ±2차...와 같이 나열하면(무늬는 대칭이므로 마이너스 부호 사용), 각 차수의 간섭무늬는 그 방향으로 회절해 온 빛의 간섭에 의해 생긴다. 즉, 간섭무늬가 생기는 지점은 각 개구부에서 나온 빛이 강화 조건(등위상 파 중첩)을 만족한다. 이 조건이 만족되려면 각 개구부에서 나온 빛이 파장의 정수배의 광행차를 가져야 한다. 격자주기를 d, 파장을 λ, 입사각을 α, 출사각을 β, 정수 n을 사용하면 강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n은 앞서 설명한 차수에 대응한다. d, α, n이 결정된 경우,[52] 이 식에서 간섭무늬가 생기는 방향으로의 출사각 β를 구하면

:

이 되고, 파장 λ에 의존함을 알 수 있다. 이것이 분광이 일어나는 이유이다.

격자-스크린 간 거리를 L, 간섭무늬 주기를 D, 격자주기 d에 대해 L이 충분히 크다고 가정하고 근사를 사용하면

:

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간섭무늬 주기 D가 격자주기 d의 역수와 격자-스크린 간 거리 L에 비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L(>>d) 위치(프라운호퍼 회절 영역)에서 간섭무늬 주기는 격자주기가 작고, 관찰 위치가 격자에서 멀수록 커진다.

L이 크지 않은 위치(프레넬 회절 영역)에서도 간섭무늬가 생기지만, 그 간섭 조건은 위와 다르다. 프레넬 회절 영역에서는 서로 다른 차수의 빛이 간섭하여 L을 바꾸면 간섭무늬 패턴은 변화한다. 간섭무늬 형태는 주기적이지만, 주기는 프라운호퍼 회절 영역과 달리 격자주기 d와 거의 같다.[53]

3. 2. 회절 차수

이상적인 회절격자는 간격 d인 슬릿 집합으로 구성되며, 회절을 일으키려면 관심 있는 파장보다 넓어야 한다. 평면파의 단색광 \lambda가 격자에 수직으로 입사한다고 가정하면, 격자의 각 슬릿은 빛이 모든 방향으로 전파되는 준점파원으로 작용한다. 입사광이 격자와 상호 작용한 후, 격자로부터 회절된 빛은 격자의 각 슬릿에서 나오는 간섭[22] 파 성분의 합으로 구성된다.

평면광파가 균일한 주기 d의 격자에 수직으로 입사하면, 회절광은 다음과 같은 격자 방정식의 특수한 경우에 따라 주어지는 회절각 \theta_m에서 최대값을 갖는다.

:\sin\theta_m = \frac{m\lambda}{d}.

평면파가 격자 주기와 직교하는 평면에서 격자 법선에 대해 \theta_i의 각도로 입사하는 경우, 격자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sin\theta_i + \sin\theta_m = \frac{m\lambda}{d},

이는 일반화된 격자 방정식에 의해 설명되는 원추형 또는 평면 외 회절의 더 일반적인 시나리오의 특수한 경우로서 평면 내 회절을 설명한다.

:\sin\theta_i + \sin\theta_m = \frac{m\lambda}{d\sin\gamma},

여기서 \gamma는 평면파의 방향과 격자 홈의 방향 사이의 각도이며, 격자 주기와 격자 법선의 방향 모두에 직교한다.

회절파의 세기가 최대화되는 회절각에 대해 풀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된다.

:\theta_m = \arcsin\!\left( \sin\theta_i -\frac{m\lambda}{d\sin\gamma}\right ).

투과형 회절격자의 직접 투과 또는 반사형 격자의 정반사[24]에 해당하는 회절광은 0차라고 하며 m=0으로 표시된다. 다른 회절광 세기 최대값은 0이 아닌 정수 회절 차수 m로 표시되는 각도 \theta_m에서 발생한다. m은 양수 또는 음수일 수 있으며, 0차 회절빔의 양쪽에 있는 회절 차수에 해당한다.

전구의 빛(다색광)을 사용했을 때의 -1차, 0차, +1차 간섭무늬. 0차 간섭무늬는 모든 색 성분이 같은 위치에서 겹쳐 있으므로 전구의 빛과 같은 색이지만, -1차 및 +1차 간섭무늬는 각 색 성분에 따라 무늬가 형성되는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스펙트럼 형태를 띤다.


격자주기를 d, 파장을 λ, 입사각을 α, 출사각을 β라고 하면 정수 n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강화 조건을 나타낼 수 있다.[52]

: d \sin \alpha + d \sin \beta = n \lambda

여기서 n은 앞서 설명한 차수에 대응한다. 이 식으로부터 간섭무늬가 생기고 있는 방향으로의 출사각 β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beta = \arcsin \Bigl( \frac {n \lambda - d \sin \alpha}{d} \Bigl)

이 식은 파장 λ에 의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3. 회절격자 종류 (변조 방식에 따른 분류)

회절격자는 빛의 위상 변조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블레이즈드 격자: 톱니 모양 단면을 가진 홈으로 제작되어 특정 파장에서 최대 회절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주로 가변 레이저 등에서 특정 파장을 선택하는 데 사용된다.[45]
  • 디지털 평면 홀로그래피 (DPH) 격자: 디지털 평면 홀로그래피(DPH)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컴퓨터로 생성된 격자 패턴을 광도파로 평면에 새겨 넣어 굴절률 구배를 통해 빛을 제어하므로, 더 긴 상호 작용 경로와 유연한 빛 조향이 가능하다.


CD 읽기면의 격자 구조에 의한 분광 현상


일반적으로 회절격자는 빛을 차폐하는 블록과 통과시키는 블록이 번갈아 배열된 형태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빛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사용한다.

  • 요철형: 표면에 요철을 만들어 광로차를 발생시킨다.
  • 굴절률 변화형: 굴절률이 다른 물질을 교대로 배열하여 광로차를 발생시킨다.
  • 블레이즈드 격자 (반사형): 톱니 모양 단면에서 빛을 반사시켜 광로차를 발생시킨다. 주로 분광 소자로 사용된다.[45]


회절격자 패턴은 대부분 1차원 직선 형태이지만, 영상 처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회절 렌즈는 동심원 패턴을 가진다. 홀로그램 또한 회절격자의 일종으로 볼 수 있으며, 그 패턴은 매우 다양하다.[47]

3. 4. [[양자전기역학]](QED)적 설명

양자전기역학(QED)은 광자를 (어떤 수준에서) 입자로 보고 회절격자의 성질을 설명한다. QED는 양자역학의 경로적분 형식으로 직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QED에 따르면 광자는 광원에서 최종 지점까지 모든 경로를 따를 수 있으며, 각 경로는 특정 확률진폭을 가진다. 이 확률진폭은 복소수나 벡터, 또는 리처드 파인만이 부르는 "화살표"로 표현할 수 있다.

어떤 사건이 발생할 확률은 그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한 방법의 확률진폭을 합하고, 그 결과의 길이의 제곱을 취하여 구한다. 단색 광원에서 특정 최종 지점에 특정 시간에 도달하는 광자의 확률진폭은, 광자가 최종 지점에 도달할 때까지 빠르게 회전하는 화살표로 모델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자가 거울에서 반사되어 주어진 시간에 주어진 지점에서 관측될 확률은, 광자가 광원을 떠나 거울을 거쳐 최종 지점으로 가는 모든 경로에 대해 확률진폭을 회전시키고 최종 지점에서 확률진폭을 평가하여 계산한다. 그런 다음 이 모든 화살표를 통합(벡터 합 참조)하고 결과의 길이의 제곱을 취하여 광자가 거울에서 반사될 확률을 얻는다. 확률진폭 화살표의 각도는 경로가 걸리는 시간에 따라 결정되며, 이는 광자의 주파수와 관련이 있다.

거울의 고전적인 반사 지점 근처의 경로들은 시간이 거의 같으므로 확률진폭이 거의 같은 방향을 가리켜 큰 합을 갖는다. 반면 거울 가장자리로 향하는 경로들은 시간이 서로 달라 확률진폭이 상쇄된다. 따라서 빛은 고전적인 반사 경로를 따를 확률이 더 높다. 그러나 거울 가장자리 근처의 영역을 긁어내면 회절격자를 만들 수 있다. 이 경우 긁어낸 부분에서 광자가 반사되지 않으므로, 특정 방향(예: 45도)으로 향하는 모든 확률진폭은 큰 합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주파수의 빛이 더 큰 확률진폭으로 합쳐져 해당 최종 지점에 도달할 확률이 커진다.

이 설명에는 점 광원, 빛이 반사될 수 있는 "표면"(전자와의 상호 작용 무시) 등 여러 단순화가 포함되어 있다. 확률진폭 화살표의 "회전"은 광자가 이동하는 동안이 아니라 광원의 "회전"으로 설명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광자가 광원을 떠난 시간을 불확정으로 하여 확률진폭의 변화를 얻고, 경로의 시간은 광자가 광원을 떠났을 시간, 즉 "화살표"의 각도를 알려준다. 그러나 이 모델과 근사는 회절격자를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데 적절하다. 다른 주파수의 빛도 동일한 회절격자에서 반사될 수 있지만, 최종 지점은 다르다.[26]

4. 회절격자의 종류

회절격자는 형태, 주기, 단면 형상, 재질, 제조법, 회절 방식 등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영상 처리 분야에서 빛의 위상 분포를 영상화하거나, 홀로그램, 존 플레이트와 같은 광학 소자로 활용되기도 한다.[46] 가속된 중성자와 같은 물질파를 위한 특수한 회절격자도 있다.

일반적인 회절격자는 빛을 가리는 부분과 통과시키는 부분이 번갈아 배열된 형태이지만, 빛을 가리지 않더라도 인접한 부분을 통과하는 빛 사이에 일정한 광로차(위상차)가 있으면 회절이 일어난다. 따라서 요철, 굴절률 차이, 톱니 모양 단면에서의 반사 등으로 광로차를 만드는 방식이 주로 쓰인다.[47] 빛을 일부 가리면 광자 수가 줄어 손실이 생기므로, 실제로는 빛의 세기가 줄어들지 않는 회절 방식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4. 1. 모양에 따른 분류

블레이즈드 격자는 다른 격자의 대칭적인 홈과 달리 톱니 모양의 단면을 가진 홈으로 제작된다. 이를 통해 격자는 최대 회절 효율을 달성할 수 있지만, 톱니 모양 홈의 각도(블레이즈 각도)에 따라 하나의 회절 차수에서만 가능하다. 일반적인 용도로는 가변 레이저 등에서 특정 파장 선택이 있다.

; 평면형

: 평면 유리판에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증착하여 그 표면에 홈을 새긴 것이 평면형 회절격자이다. 평면형 회절격자에는 투과된 회절광을 이용하는 투과형과 반사된 회절광을 이용하는 반사형이 있다.

; 오목형

: 구면 형태의 오목면에 홈을 새긴 것이 오목형 회절격자이다. 오목형 회절격자에 의해 반사된 빛으로 회절이 일어난다. 오목형 회절격자를 분산형 회절격자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롤랜드 원 위에 입사 슬릿과 검출기를 배치한다. 비구면의 것으로는 토로이드면이나 타원의 오목형 회절격자가 있다.

4. 2. 빛의 산란 방향에 따른 분류

회절격자는 '반사형' 또는 '투과형'일 수 있는데, 이는 각각 거울이나 렌즈와 유사하다. 회절의 정수 차수 ''m''이 0으로 설정되는 '0차 모드'를 가지는데, 이때 광선은 반사굴절 법칙을 따른다.

입사광을 변조하는 방법에 따라 다음과 같은 격자 유형이 있다.[25]

종류설명
투과 진폭 회절격자격자를 통과하는 입사파의 세기를 공간적이고 주기적으로 변조하는 격자 (회절파는 이러한 변조의 결과이다.)
반사 진폭 회절격자격자로부터 반사되는 입사파의 세기를 공간적이고 주기적으로 변조하는 격자
투과 위상 회절격자격자를 통과하는 입사파의 위상을 공간적이고 주기적으로 변조하는 격자
반사 위상 회절격자격자로부터 반사되는 입사파의 위상을 공간적이고 주기적으로 변조하는 격자



광축 회절격자도 반사 또는 투과 위상 회절격자로 간주된다.

; 투과형

: 빛이 투명한 재질의 표면에 등간격으로 새겨진 홈을 통과하면서 회절 현상이 일어나는 격자이다. 주로 필터로 사용되며, 교육 분야에서 회절 현상을 설명할 때 자주 이용된다. 분산형 분광기에도 사용되지만,[48] 일반적으로는 반사형 회절격자를 사용하는 분광기가 더 많이 쓰인다.

; 반사형

: 회절격자에 의해 반사된 빛의 회절을 이용하는 격자이다. 대부분의 회절격자가 이 방식을 사용한다. 반사형 및 투과형 회절격자는 홈의 각도(블레이즈각)를 조절하여 특정 파장 영역의 회절광 에너지를 강화할 수 있는데, 이를 '''블레이즈드 회절격자'''라고 한다.

4. 3. 제조 방법에 따른 분류

회절격자를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여러 가지가 있다.

; 기계식 가공

: 기계적으로 다이아몬드 커터 등으로 홈을 새기는 방법이다.

; 리소그래피

: 산업용 회절격자는 포토리소그래피 기술을 이용하여 대량 생산되는 경우가 많다.

; 레플리카 회절격자

: 리소그래피로 제작한 마스터(금형)에서 플라스틱 레플리카를 제작하고, 그것을 유리판에 붙여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증착시키는 경우도 있다.

; 홀로그래픽 회절격자

: 홀로그래피를 이용하여 감광성 물질에 패턴 형상을 노광하고, 감광된 부분의 굴절률이 변하는 것을 이용하여 회절격자로 하는 대량 생산 방법도 있다.

; 기타

: 주문 제작의 경우에는 전자빔 식각 등의 특수한 방법이 채택되는 경우가 많다.

회절격자를 간단하게 만들려면, 대략 1 mm 이하의 주기로 유리판에 평행하게 홈을 새기거나 투명 시트에 검은 선을 인쇄하면 가시광선용 회절격자로 기능할 수 있다.

판에 식각된 회절격자


두 개의 기판 사이에 광감응 젤을 끼워 넣어 회절격자를 제작하는 방법도 있다. 홀로그래피 간섭 패턴이 젤에 노출되고, 나중에 현상된다. 이러한 격자는 '체적 위상 홀로그래피 회절격자'(또는 VPH 회절격자)라고 하며, 물리적인 홈이 없고 대신 젤 내부의 굴절률이 주기적으로 변조된다. 이는 다른 유형의 격자에서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많은 표면 산란 효과를 제거한다. 이러한 격자는 또한 효율이 더 높고, 단일 격자에 복잡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VPH 회절격자는 일반적으로 투과형 격자이며, 입사광이 통과하여 회절되지만, 굴절률 변조의 방향을 격자 표면에 대해 기울임으로써 VPH 반사 격자를 만들 수도 있다.[27] 이러한 격자의 이전 버전에서는 젤을 저온 저습도로 유지해야 했기 때문에 환경 민감성이 문제였다. 일반적으로 광감응 물질은 두 개의 기판 사이에 밀봉되어 습도, 열 및 기계적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갖도록 한다. VPH 회절격자는 실수로 만져도 파손되지 않으며 일반적인 릴리프 격자보다 스크래치에 대한 내성이 더 강하다.

5. 응용 분야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 중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은 CD의 읽기면에 태양광이나 실내등을 비추었을 때 무지개색으로 빛나는 현상이다. 이것은 프리즘에 빛을 통과시켰을 때 보이는 현상과 비슷하지만, 프리즘에서는 빛의 굴절에 의해 색이 분리되는 (스펙트럼이 나타나는) 반면, 회절격자에서는 빛의 회절과 간섭에 의해 스펙트럼이 나타난다.[45] 이러한 분광 능력으로 인해 회절격자는 이화학 기기의 스펙트로미터나 광학용 모노크로미터의 구성 요소로 자주 사용된다.

회절격자는 선이 평행하게 달리는 단순한 격자 모양을 떠올리기 쉽지만, 패턴의 형태, 주기, 단면 형상은 다양하며, 재질과 제조법도 경우에 따라 다르다. 또한, 회절을 일으키는 방법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분광 소자로서가 아니라 영상 처리 분야에서 빛의 위상 분포를 영상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도 있으며, 같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회절격자와 유사한 구조를 가진 광학 소자로 홀로그램이나 존 플레이트(X선 현미경에서 사용되는 회절 렌즈의 일종) 등이 있다.[46] 또한, 가속된 중성자와 같은 파동성을 가진 입자(물질파)를 위한 특수한 회절격자도 있다.

모델로 자주 설명되는 회절격자는 빛을 통과시키는 블록과 차폐하는 블록이 번갈아 배열된 것이지만, 빛을 차폐하지 않더라도 인접한 블록을 통과하는 빛 사이에 일정한 광로차(위상차)가 있으면 회절이 일어난다. 따라서, 요철에 의해 광로차를 만드는 유형, 굴절률의 차이에 의해 광로차를 만드는 유형, 톱니 모양 단면에서의 반사에 의해 광로차를 만드는 유형(블레이즈드 회절격자) 등이 자주 사용된다. 또한, 빛의 일부를 차폐하면 광자 수가 줄어 손해를 보므로, 실제로는 위 3종과 같은 광 강도가 감쇠하지 않는 회절 방식을 채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자주 보이는 회절격자는 다수의 직선이 평행하게 나란히 배열된 1차원 패턴을 가진 것이다. 실용에서는 이 패턴의 회절격자가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영상 처리 분야에서 사용되는 회절 렌즈는 동심원상의 패턴을 가지고 있다. 회절 렌즈는 회절격자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프레넬 회절 영역의 간섭 무늬를 어떤 한 점(초점)에 발생시킴으로써 렌즈의 역할을 하는 광학 소자이며, 그 때문에 동심원상 패턴의 간격은 중심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점점 작아진다.

이 외에도, 원리적으로 어떠한 2차원 도형 격자라도 회절과 간섭을 일으킬 수 있으며, 홀로그램도 회절격자의 일종으로 본다면 그 패턴 형태는 무수히 많다고 할 수 있다.[47]

6. 일상생활에서의 예시

일반적인 압축 CD와 DVD 매체는 회절격자의 일상적인 예이며, 햇빛을 이를 통해 흰 벽에 반사시켜 그 효과를 보여주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제조 과정의 부산물로, CD의 한 표면에는 플라스틱에 작은 구멍이 나선형으로 많이 배열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구멍을 더 잘 보이도록 얇은 금속층이 적용되어 있다. DVD의 구조는 광학적으로 유사하지만, 구멍이 있는 표면이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모든 구멍이 있는 표면은 디스크 내부에 있다.[29][30]

표준 압축 바이닐 레코드를 홈에 수직으로 낮은 각도에서 보면 CD/DVD와 유사하지만 덜 명확한 효과가 나타난다. 이는 시야각(검은색 바이닐의 임계각보다 작음) 및 이로 인해 반사되는 빛의 경로가 홈에 의해 변경되어 무지개색 릴리프 패턴이 남기 때문이다.

회절격자는 GlowLight가 장착된 Nook Simple Touch와 같은 전자책 읽기 장치의 프런트라이트를 고르게 분산하는 데에도 사용된다.[32]

휴대전화에서의 회절


일상적인 전자 부품 중 일부는 미세하고 규칙적인 패턴을 포함하고 있어 회절격자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버려진 휴대전화나 카메라의 CCD 센서는 기기에서 제거할 수 있다. 레이저 포인터를 사용하면 회절을 통해 CCD 센서의 공간 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33] 스마트폰의 LCD 또는 LED 디스플레이에서도 이러한 실험을 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투명한 케이스로만 보호되기 때문에 휴대전화를 손상시키지 않고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정확한 측정이 목적이 아니라면 스포트라이트로 회절 무늬를 확인할 수 있다.

7. 자연계의 회절격자

어항 표면의 생물막은 박테리아의 크기와 간격이 고르면 회절격자 효과를 생성하는데, 이는 케틀레 원(Quetelet rings)의 한 예이다.


횡문근은 자연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되는 회절격자로,[34] 생리학자들이 근육 구조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결정의 화학 구조는 가시광선 이외의 전자기파에 대한 회절격자로 작용할 수 있으며, X선 결정학과 같은 기술의 바탕이 된다.

자연에서 회절격자를 찾기는 매우 드물다. 공작 깃털, 진주층, 나비 날개와 같이 구조색을 띠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대부분 얇은 막 간섭에 의한 것이다. 이러한 간섭 현상은 조류, 곤충, 꽃에서 흔히 볼 수 있다.[55] 회절은 시야각에 따라 모든 스펙트럼 색상을 나타내는 반면, 얇은 막 간섭은 제한된 범위의 색상만 보여준다.[56] 식물이나 동물의 세포 구조는 대개 회절격자 역할을 하기에는 불규칙하다.[57] 그러나 공작거미[41], 물벼룩(seed shrimp)의 더듬이와 같은 해양 무척추동물이나 버제스 셰일 화석에서 자연 회절격자가 발견되기도 한다.[58][59]

회절격자 효과는 기상학에서도 관찰된다. 회절 코로나는 태양과 같은 광원 둘레에 나타나는 다채로운 고리이다. 이는 무리보다 광원에 더 가까이에서 관찰되며, 안개 속 물방울, 얼음 결정, 연기 입자 등 미세한 입자에 의해 발생한다. 입자 크기가 거의 균일하면 입사광은 특정 각도로 회절된다. 정확한 각도는 입자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회절 코로나는 안개 낀 날 촛불이나 가로등 주변에서 흔히 관찰된다. 구름 이리데센스(Cloud iridescence)는 구름 속 입자 크기가 균일할 때 코로나 고리에서 발생하는 회절 때문에 나타난다.[44]

참조

[1] 논문 Nano-Optics in the Biological World: Beetles, Butterflies, Birds, and Moths
[2] 논문 Physics of structural colors
[3] 웹사이트 Optical Encoders https://www.celeramo[...] 2021-11-01
[4] 논문 Phase-diversity wave-front sensing with a distorted diffraction grating https://www.osapubli[...]
[5] 논문 Wavefront Sensor Using a 2-Dimensional Diffraction Grating https://iopscience.i[...]
[6] 웹사이트 Introduction to Diffraction Grating https://www.thorlabs[...] Thor Labs 2020-04-30
[7] 논문 Light-Directed Writing of Chemically Tunable Narrow-Band Holographic Sensors https://www.reposito[...]
[8] 서적 Correspondence of Scientific Men of the Seventeenth Century …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논문 An optical problem, proposed by Mr. Hopkinson, and solved by Mr. Rittenhouse https://books.google[...]
[10] 서적 The Scientific Writings of David Rittenhouse https://books.google[...] Arno Press
[11] 논문 Neue Modifikation des Lichtes durch gegenseitige Einwirkung und Beugung der Strahlen, und Gesetze derselben https://books.google[...]
[12] 논문 Kurzer Bericht von den Resultaten neuerer Versuche über die Gesetze des Lichtes, und die Theorie derselben http://gallica.bnf.f[...]
[13] 논문 The Bakerian Lecture: Experiments and calculations relative to physical optics https://books.google[...] 1804-01-01
[14] 논문 Mémoire sur la diffraction de la lumière https://books.google[...]
[15] 논문 Mémoire sur la diffraction de la lumière https://books.google[...]
[16] 논문 The contributions to Science of Friedrich Adolph Nobert
[17] 논문 Lewis M. Rutherfurd: Pioneer Astronomical Photographer and Spectroscopist
[18] 서적 The Michelson Era in American Science 1870-1930 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19] 논문 The Discovery of the Redshift of Solar Fraunhofer Lines by Rowland and Jewell in Baltimore around 1890 https://elib.uni-stu[...]
[20] 서적 The Command of Light: Rowland's School of Physics and the Spectrum American Philosophical Society
[21] 간행물 Extended Huygens-Fresnel Principle http://dx.doi.org/10[...] SPIE 2023-09-17
[22] 웹사이트 Interference of waves http://dx.doi.org/10[...] 2023-09-17
[23] 간행물 destructive interference http://www.springerr[...] Springer-Verlag 2023-09-17
[24] 간행물 specular reflection http://www.springerr[...] Springer-Verlag 2023-09-17
[25] 서적 Optics Pearson
[26] 서적 QED: The Strange Theory of Light and Matter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웹사이트 Volume Phase Holographic Gratings https://www.noao.edu[...] 1998-06
[28] 논문 Fully symmetric dispersionless stable transmission-grating Michelson interferometer
[29] 서적 Ambient Diagnostics CRC Press
[30] 웹사이트 USING CDs AND DVDs AS DIFFRACTION GRATINGS https://www.nnin.org[...] 2023-11-03
[31] 논문 Liquid refractive index sensing independent of opacity using an optofluidic diffraction sensor
[32] 웹사이트 Step 17 https://www.ifixit.c[...] iFixit 2012
[33] 논문 Diffraction by electronic components of everyday use http://diog.webs.upv[...]
[34] 논문 Light diffraction study of single skeletal muscle fibers 1979-10
[35] 논문 Thin Film and Multilayer Optics Cause Structural Colors of Many Insects and Birds
[36] 논문 High levels of reflectivity and pointillist structural color in fish, cephalopods, and beetles
[37] 논문 Coloration principles of nymphaline butterflies - thin films, melanin, ommochromes and wing scale stacking
[38] 논문 Iridescent flowers? Contribution of surface structures to optical signaling https://www.research[...]
[39] 서적 Nature's Palette: The Science of Plant Color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7
[40] 논문 Is floral iridescence a biologically relevant cue in plant-pollinator signaling? https://www.research[...]
[41] 논문 Rainbow peacock spiders inspire miniature super-iridescent optics 2017-12-22
[42] harvnb
[43] 뉴스 Colouring in the fossil past http://www.nhm.ac.uk[...] Natural History Museum 2006-03-15
[44] 서적 Polarized Light in Nature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문서 ただしこれは回折格子のパターンや周期性にもよる。
[46] 문서 分光の場合はフラウンホーファー回折を用いるが、イメージングの場合はフレネル回折を利用することが多い
[47] 문서 格子がどのような2次元パターンでもフラウンホーファー回折領域の干渉縞の形はそのフーリエ変換に相当するため、光コンピューティングの分野でフーリエ変換を高速に行うための手法として研究されていた。また、ホログラムは再生対象となる物体から散乱あるいは屈折された光がフレネル回折領域に作る干渉縞そのものをパターンとした回折格子である。ホログラムの再生過程ではこの干渉縞から元の物体形状を光学的に再構成する。この場合、ホログラムへの記録が物体形状のフレネル変換、その再生が逆フレネル変換に相当している。
[48] 웹사이트 Mini-spectrometer TG series C9404CA | Hamamatsu Photonics https://www.hamamats[...] 浜松ホトニクス 2022-03-07
[49] 문서 実際、高等学校の物理の教科書では回折格子を分光素子としては特に紹介せず、それによる単色光の回折と干渉のみを扱うことが多い。
[50] 문서 実際に干渉が起こるかどうかは入射光の\nコヒーレンスによるが、ここでは入射光として光軸に垂直な平面内で位相の揃った完全な単色光を仮定しているので必ず干渉が起こる。現実には単色光としてレーザー光を用いることが多い。
[51] 문서 数学的には、干渉縞のパターンは格子のパターンのフーリエ変換に相当する
[52] 문서 分光ではn=1(またはn=-1)を用いることが多い。一般的にnの絶対値が大きくなるほど強度が弱くなる。
[53] 문서 格子サイズと光のコヒーレンスが有限であること、またフラウンホーファー回折による0次干渉縞が強く現れることから、一般的にフレネル回折による干渉縞はLが大きくなるにつれて判別できなくなる。
[54] 웹사이트 Greenslade, Thomas B., "Wire Diffraction Gratings," ''The Physics Teacher'', February 2004. Volume 42 Issue 2, pp. 76-77. http://scitation.aip[...]
[55] 서적 Nature's palette: the science of plant colo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6] 서적 Nature's palette: the science of plant colo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7] 서적 Nature's palette: the science of plant colo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8] 서적 Nature's palette: the science of plant color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9] 웹사이트 http://www.nhm.ac.u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