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후시미 천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시미 천황은 1275년에 태어나 1317년에 사망한 일본의 제92대 천황이다. 그는 고우다 천황의 황태자가 되었으며, 1287년에 즉위하여 친정을 시작했다. 재위 기간 동안 가마쿠라 막부의 권력이 강화되었고, 아들인 고후시미 천황에게 양위한 후에도 인세이를 통해 정치에 관여했다. 그는 교고쿠파 와카를 옹호하고 서예에도 능했으며, 칙찬 와카집인 《옥엽화가집》을 편찬하는 등 문화적 업적을 남겼다. 후시미 천황은 지묘인통의 시조로, 그의 사후 이궁 후시미도노에 연유하여 후시미인으로 추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17년 사망 - 추적 (고려)
    추적은 고려 후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문과 급제 후 좌사간을 지내며 환관의 비행을 탄핵하다 투옥되기도 했으나, 시랑 겸 국학 교수로 임명되어 안향과 함께 정주학 도입을 추진하고 《명심보감》 편찬에 기여했으며, 강직한 성품과 학문적 업적으로 조선 시대에 추앙받았다.
  • 1317년 사망 - 로베르 드 클레르몽
    로베르 드 클레르몽은 프랑스 루이 9세의 아들이자 부르고뉴 베아트리스와 결혼하여 부르봉 가문을 일으킨 인물로, 마상 시합 부상 후 불구로 살았으며 역사 소설에도 등장한다.
  • 1265년 출생 - 단테 알리기에리
    단테 알리기에리는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태어나 《신곡》을 저술하고 이탈리아어 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정치 활동과 망명 생활을 겪고 기독교 사상과 당대 사회상을 반영한 작품을 통해 세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265년 출생 - 원 성종
    원 성종은 쿠빌라이 칸의 손자이자 원나라의 제2대 황제로, 주변국 원정을 통해 종주권을 강화하고 유교를 숭상했으나 말년에는 건강 악화로 정무를 제대로 보지 못했다.
  • 13세기 일본의 군주 - 가메야마 천황
    가메야마 천황은 13세기 후반 재위한 일본의 제88대 천황으로, 원나라의 침입에 맞서 국방에 힘쓰고 젠 불교 전파에 기여했으며, 원평제도 개혁을 시도하고 다이카쿠지 황통의 번영을 추구한 인물이다.
  • 13세기 일본의 군주 - 고후카쿠사 천황
    고후카쿠사 천황은 고사가 상황의 섭정 아래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가메야마 천황에게 양위 후 상황으로서 지묘인 왕통 강화를 위해 정치 활동을 펼쳤고, 왕통 계승 분쟁 중 가마쿠라 막부의 개입을 받았으며, 후시미 천황 즉위와 구메이 친왕의 쇼군 임명 등을 통해 지묘인 왕통 세력 확대에 기여한 87대 천황이다.
후시미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후시미 천황 ([[덴시 셋칸 미에이]])
후시미 천황 (덴시 셋칸 미에이)
재위 기간1287년 11월 27일 - 1298년 8월 30일
일본식 재위 기간고안 10년 10월 21일 - 에이닌 6년 7월 22일
즉위례1288년 4월 16일 (쇼오 원년 3월 15일)
대嘗제1288년 12월 16일 (쇼오 원년 11월 22일)
시대가마쿠라 시대
추호후시미인 (伏見院) 또는 후시미 천황 (伏見天皇)
히로히토 (熙仁)
별명소융 (素融, 법명), 지묘인덴 (持明院殿)
출생1265년 5월 10일 (분에이 2년 4월 23일)
사망1317년 10월 8일 (분포 원년 9월 3일)
사망 장소지묘인덴
장례일1317년 10월 9일 (분포 원년 9월 4일)
능묘후카쿠사 북릉
원복1278년 1월 13일 (겐지 3년 12월 19일)
아버지고후카쿠사 천황
어머니토우인 인시 (玄輝門院)
친필 서명
통치
쇼군고레야스 친왕, 히사아키 친왕
간파쿠니조 모로타다 → 고노에 이에모토 → 구조 다다노리 → 고노에 이에모토 → 다카쓰카사 가네타다
정부
태정대신다카쓰카사 모토타다 → 호리카와 모토토모 → 사이온지 사네카네
계보
자녀고후시미 천황
하나조노 천황
그 외 (후비/황자녀 목록 참조)
황후해당 정보 없음
중궁사이온지 쇼시 (永福門院)
여어해당 정보 없음
갱의해당 정보 없음
부인해당 정보 없음
배우자해당 정보 없음

2. 생애

1265년 (분에이 2년) 4월 23일 진시에 고후카쿠사 상황의 둘째 황자로 태어났다. 어머니는 도인 온시(겐키몬인)였다. 황위에 오르기 전의 휘(이름, ''imina'')는 熈仁親王|히로히토 친왕일본어이었다.[2]

당시 천황은 고후카쿠사의 동생인 가메야마 천황이었고, 사이온지 기시가마쿠라 막부의 승인도 있어서 가메야마의 자손(후의 다이가쿠지 황통)의 황위 계승이 기정 사실이었다. 1274년에 가메야마가 황자 요히토 친왕(고우다 천황)에게 양위하자 고후카쿠사는 출가 의향을 보였다. 그러나 고후카쿠사를 동정한 가마쿠라 막부 싯켄인 호조 도키무네가 고후카쿠사 구제에 나섰다.

히로히토 친왕은 1275년 (겐지 원년) 10월 27일에 친왕 선하를 받았고, 같은 해 11월 5일에 숙부이자 다이가쿠지 황통인 고우다 천황의 황태자가 되었다. 여기에는 아버지 고후카쿠사 천황의 정치적 영향력이 작용했다.[3] 히로히토 친왕은 고우다 천황의 유자가 되었다.

1287년 10월, 히로히토 친왕은 고우다 천황의 양위를 받아 천황으로 즉위했다.[3] 즉위 후, 아버지 고후카쿠사 천황에 의한 원정이 시작되었다. 2년 뒤 상황인 후시미 천황이 인세이를 그만두면서 후시미 천황은 친정을 시작했다. 1289년 자신의 아들(훗날의 고후시미 천황)을 황태자로 책봉했고, 이로 인해 다이가쿠지 황통과 갈등을 겪었다. 1290년에는 아사와라 다메요리의 일족이 후시미 천황의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1290년 7월 26일, 후시미는 출가한 고후카쿠사에게 정무를 양위받았고, 8월 8일 내리의 귀문에서 의정시를 거행하며 친정을 시작했다. 그러나 정무에서 은퇴한 고후카쿠 법황은 여전히 발언권을 행사했고, 후시미 즉위에 관여한 요리쓰나도 조정 정무에 관여했다. 고후카쿠의 측근과 요리쓰나의 측근 젠쿠는 조정 재판에 적극 개입했다. 이에 후시미는 젠쿠의 소행을 막부에 고소하여 그가 관여한 소송을 무효화하고 고후카쿠 측근들을 해임했다. 이후에도 후시미는 고후카쿠의 의향을 존중하면서도 스스로 정치를 주도하는 체제를 정비했다.

후시미 천황의 윤지(「도지 백합 문서」)


1293년 전후 사회 불안을 겪으면서 후시미는 정무에 강한 의욕을 보였다. 1292년 7월, 소송 절차 등을 규정한 신제("정응법")를 발표했다. 1293년 6월 1일, 소송 제도 개혁을 실행하여 기록소에 "정중"을 신설하고, 월소(재심)를 수리하는 전문 기관 "월소 봉행"을 신설했다. 이 개혁은 조큐의 난으로 파탄났던 치천의 군의 권력을 회복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막부의 기대에 부응하고 다이가쿠지 황통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여겨진다.

1298년 후시미 천황은 아들 고후시미 천황에게 양위한 뒤 인세이에 나섰지만, 고후시미 천황은 3년 만에 다이가쿠지 황통의 고니조 천황에게 양위했다. 1308년 후시미 천황은 막부와의 교섭 끝에 자신의 넷째 아들을 하나조노 천황으로 즉위시키고 다시 인세이를 했다.

후시미 천황의 재위 중에 실시된 제1차 후시미 원정은 후시미의 양위로 인해 3년도 채 되지 않아 종료되었다. 제2차 후시미 원정에서는 엔쿄 2년(1309년)의 '엔쿄법', 분포 1년(1318년)의 '분포법' 등 여러 '잡소법'이 제정되었다. 또한 쇼와 1년(1312년)에는 다메카네를 선자로 하여 후시미 상황의 칙찬 와카집 『옥엽화가집』이 성립되었다.

1313년 (쇼와 2년) 10월, 후시미는 정무를 양위하고 출가하였다.

고후카쿠사처럼 후시미 천황도 완전히 은거한 것은 아니었고, 종종 고후시미 천황의 정무에 의견을 제시했다. 이로 인해 고후시미 천황은 정신적인 부담을 느꼈다. 이러한 지묘인통 내부의 대립을 이용한 사이온지 사네카네는 다메카네를 다시 실각시키기 위해 고후시미 천황에게 접근했다. 더욱이 사네카네는 후시미 천황과 다메카네가 막부를 전복시키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참언하여, 정화 4년(1315년)에 다메카네는 다시 체포되어 토사국으로 유배되었다. 이후에도 후시미 천황이 막부를 전복시키려 한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았고, 후시미 천황은 막부에 고문을 보내 무죄를 주장했다.

이러한 사태를 호기로 삼아, 다이가쿠지통의 고우다 상황은 하나조노 천황의 양위와 황태자 다카하루 친왕(후의 고다이고 천황)의 즉위를 막부에 주장했다. 막부는 황위 계승에 대해 양통(兩統)이 협의하도록 요청했지만, 막부에서 제시된 안은 다이카쿠지 통에 유리했기 때문에 지묘인 통 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1317년 (쇼와 2년) 9월 3일 인시에 후시미 법황은 지묘인전에서 붕어했다. 향년 53세였다. 후시미는 후시미구에 있는 ''후카쿠사노 키타노 미사사기''(深草北陵)라고 불리는 황실 묘지에 안치되어 있다.[6]

2. 1. 황태자 책봉

1275년(겐지 원년) 10월 27일에 히로히토 친왕은 친왕 선하를 받았고, 같은 해 11월 5일에 숙부이자 다이가쿠지 황통인 고우다 천황의 황태자가 되었다.[14] 여기에는 아버지이자 지묘인 황통의 고후카쿠사 천황의 정치적 영향력이 작용했다.[3] 히로히토 친왕은 고우다 천황의 유자가 되었다.

당시 천황은 고후카쿠사의 동생인 가메야마 천황이었고, 사이온지 기시가마쿠라 막부의 승인도 있어서 가메야마의 자손(후의 다이가쿠지 황통)의 황위 계승이 기정 사실이었다. 1274년에 가메야마가 황자 요히토 친왕(고우다 천황)에게 양위하자 고후카쿠사는 출가 의향을 보였다. 그러나 고후카쿠사를 동정한 가마쿠라 막부 싯켄인 호조 도키무네가 고후카쿠사 구제에 나섰다. 역사 이야기인 『마스카가미』에는 다음과 같이 쓰여있다.

황태자 시절의 히로히토는 『일본서기』나 『고킨와카슈』의 강의를 듣거나, 『만요슈』에 대해 교고쿠 다메카네를 시험하는 등, 고전을 열심히 공부했다. 애독서는 『겐지모노가타리』였으며, 측근들과 『겐지모노가타리』에 대한 담론에 열중하기도 했다고 한다. 교고쿠 다메카네는 후에 히로히토의 지기가 되지만, 히로히토는 다메카네의 와카 지도를 받아 춘궁 시대부터 와카의 새로운 바람을 모색했다. 이것은 후에 「교고쿠파」로서 확립하게 된다.

2. 2. 천황 즉위

1287년 10월, 히로히토 친왕은 숙부이자 다이가쿠지 황통인 고우다 천황의 양위를 받아 천황으로 즉위했다.[3] 이후 고후카쿠사 상황의 인세이가 종료되면서, 후시미 천황은 친정을 시작했다.

2. 3. 친정과 정치 개혁

히로히토 친왕은 숙부인 고우다 천황의 황태자가 되었는데, 아버지 고후카쿠사 천황의 정치적 영향력이 작용했다.[3] 1278년 10월, 고우다 천황이 양위하자 히로히토 친왕은 천황으로 즉위했다. 2년 뒤 상황인 후시미 천황이 인세이를 그만두면서 후시미 천황은 친정을 시작했다.

1290년 7월 26일, 후시미는 출가한 고후카쿠사에게 정무를 양위받았고, 8월 8일 내리의 귀문에서 의정시를 거행하며 친정을 시작했다. 그러나 정무에서 은퇴한 고후카쿠 법황은 여전히 발언권을 행사했고, 후시미 즉위에 관여한 요리쓰나도 조정 정무에 관여했다. 고후카쿠의 측근과 요리쓰나의 측근 젠쿠는 조정 재판에 적극 개입했다.

이에 후시미는 젠쿠의 소행을 막부에 고소하여 그가 관여한 소송을 무효화하고 고후카쿠 측근들을 해임했다. 이후에도 후시미는 고후카쿠의 의향을 존중하면서도 스스로 정치를 주도하는 체제를 정비했다.

1293년 전후 사회 불안을 겪으면서 후시미는 정무에 강한 의욕을 보였다. 1292년 7월, 소송 절차 등을 규정한 신제("정응법")를 발표했다. 1293년 6월 1일, 소송 제도 개혁을 실행하여 기록소에 "정중"을 신설하고, 월소(재심)를 수리하는 전문 기관 "월소 봉행"을 신설했다.

이 개혁은 조큐의 난으로 파탄났던 치천의 군의 권력을 회복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막부의 기대에 부응하고 다이카쿠지 통을 견제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여겨진다.

후시미는 그해 7월 이세 신궁에 봉납한 자필 선명에 다음과 같이 기록했다.[16]

1289년, 후시미 천황은 자신의 아들(훗날의 고후시미 천황)을 황태자로 책봉하여 다이가쿠지 황통과 갈등을 겪었다. 1290년에는 아사와라 다메요리의 일족이 후시미 천황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2. 4. 양위와 양통迭立

히로히토 친왕은 숙부인 고우다 천황의 뒤를 이어 황태자가 되었는데, 여기에는 아버지 고후카쿠사 천황의 정치적 영향력이 컸다.[3] 1287년(고안 10년) 10월, 고우다 천황이 양위하자 히로히토 친왕이 선소(senso)를 받아 즉위했다.[3]

2년 후, 고후카쿠사 천황이 인세이를 그만두면서 후시미 천황이 직접 정치를 시작했다. 1289년, 후시미 천황은 자신의 아들(훗날의 고후시미 천황)을 황태자로 책봉하여 다이가쿠지 통과의 갈등이 커졌다.

1290년에는 아사와라 다메요리 가문이 천황 암살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후시미 천황의 재위 기간 동안 귀족 가문들은 정부를 무너뜨리려 했지만, 가마쿠라 막부의 권력은 오히려 강화되었다.

1298년, 후시미 천황은 아들 고후시미 천황에게 양위하고 인세이를 시작했으나, 1301년 다이가쿠지 통이 다시 힘을 얻어 고후시미 천황고니조 천황에게 양위해야 했다.

1308년, 후시미 천황은 막부와 협력하여 넷째 아들을 하나조노 천황으로 즉위시키고 다시 인세이를 시작했다.

후시미 천황 재위 기간에는 다이가쿠지 통과 지묘인 통이 번갈아 가며 권력을 잡는 계획이 시행되지 못하고, 두 계통은 황위를 두고 다투었다.

1313년 (쇼와 2년) 10월, 후시미 천황은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하나조노 천황의 조정 통치 권한은 그의 양자인 고후시미 천황에게 넘어갔다.[4]

1317년 후시미 천황이 사망했지만, 아들 하나조노 천황은 공식 장례 의식에 참여하지 않았다. 이는 전례 없는 일이었으나, 하나조노 천황이 형인 고후시미 천황의 양자가 되었다는 설명으로 합리화되었다.[5]

후시미 천황은 후시미구의 ''후카쿠사노 키타노 미사사기''(深草北陵)라는 황실 묘지에 다른 천황들과 함께 안치되어 있다.[6]

후시미 천황은 황자 고후시미 천황하나조노 천황의 재위 중에 인세를 펼쳤다. 고후시미 천황 재위 중의 첫 번째 인세는 단기간에 종료되고 다이카쿠지 통의 치세가 되었지만, 하나조노 천황 재위 중의 두 번째 인세에서는 "엔쿄 법"이나 "분포 법"과 같은 법령을 제정하고, 『옥엽화가집』 편찬을 지시했다.

하지만, 후시미 천황의 최측근인 교고쿠 타메카네가 다시 체포되어 도사로 유배되자, 다이카쿠지 통의 고우다 상황은 막부에 하나조노 천황의 양위를 주장했다. 막부는 양통 간의 협의(분포의 화담)를 통해 황위 계승 계획안을 제시했지만, 지묘인 통 측은 다이카쿠지 통에 유리한 제안을 거부했다. 그러던 중 후시미 천황은 붕어했고, 지묘인 통은 하나조노 천황의 양위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하나조노 천황은 황태자 다카하루 친왕(고다이고 천황)에게 양위했다.

1298년 1월 7일, 후시미 천황의 춘궁 시절부터 그를 섬기며 두터운 신뢰를 받던 교고쿠 타메카네가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모함으로 인해 로쿠하라 탄다이에 체포되었다. 이 사건의 배경에는 타메카네 주변의 특수한 인맥이 후시미 천황의 정무에 간여한 것을 막부가 문제시한 점이 있다.

같은 해 7월 22일, 후시미 천황은 황태자 타네히토 친왕에게 양위를 강요받았고, 새로운 황태자로는 고우다 상황의 황자 쿠니하루 친왕(후의 고니조 천황)이 섰다. 그 후, 고후시미 천황도 1301년에 퇴위를 강요받아, 다이카쿠지 통은 복권되었다.

다만, 후시미 천황은 고후시미 천황의 동생인 토미히토 친왕(후의 하나조노 천황)의 황태자 책봉을 주장하여 막부의 인정을 받았다. 이로써 양통 립립은 상시화되었다.

토미히토 친왕의 황태자 책봉은 장래에 지묘인 통을 분열시킬 위험성이 있었다. 그래서 후시미 천황은 토미히토 친왕을 고후시미 천황의 유자로 삼고, 고후시미 천황에게 황자가 태어나면 토미히토 친왕의 유자로 삼아 그 황자의 계통에 황위를 계승하도록 엄명했다.

2. 5. 인세이(院政)

1278년 10월, 고우다 천황이 양위하자 히로히토 친왕은 천황으로 즉위했다. 2년 뒤 상황인 후시미 천황이 인세이를 그만두면서 후시미 천황은 친정을 시작했다.[3] 1289년 후시미 천황은 자신의 아들(훗날의 고후시미 천황)을 황태자로 책봉했고, 이로 인해 다이가쿠지 황통과 갈등을 겪었다. 1298년 후시미 천황은 아들 고후시미 천황에게 양위한 뒤 인세이에 나섰지만,[3] 고후시미 천황은 3년 만에 다이가쿠지 황통의 고니조 천황에게 양위했다. 1308년 후시미 천황은 막부와의 교섭 끝에 자신의 넷째 아들을 하나조노 천황으로 즉위시키고 다시 인세이를 했다.[3]

후시미 천황의 재위 중에 실시된 제1차 후시미 원정은 후시미의 양위로 인해 3년도 채 되지 않아 종료되었다. 겐겐 2년(1303년)에 다메카네가 귀경하자 교고쿠파가 확립되었다.

엔쿄 1년(1308년) 8월, 고니조가 붕어하고 토미히토 친왕이 즉위하면서 제2차 후시미 원정이 시작되었다. 제2차 후시미 원정에서는 엔쿄 2년(1309년)의 '엔쿄법', 분포 1년(1318년)의 '분포법' 등 여러 '잡소법'이 제정되었다. 또한 쇼와 1년(1312년)에는 다메카네를 선자로 하여 후시미 상황의 칙찬 와카집 『옥엽화가집』이 성립되었다.

1313년 (쇼와 2년) 10월, 후시미는 정무를 양위하고 출가하였다. 재위 중인 하나조노 천황의 조정 통치 권한은 그의 양자인 전 고후시미 천황에게 넘어갔다.[4]

고후카쿠사처럼 후시미 천황도 완전히 은거한 것은 아니었고, 종종 고후시미 천황의 정무에 의견을 제시했다. 이로 인해 고후시미 천황은 정신적인 부담을 느껴 이듬해 5월에는 정무를 반납하겠다고 표명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지묘인통 내부의 대립을 이용한 사이온지 사네카네는 다메카네를 다시 실각시키기 위해 고후시미 천황에게 접근했다. 더욱이 사네카네는 후시미 천황과 다메카네가 막부를 전복시키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고 참언하여, 정화 4년(1315년)에 다메카네는 다시 체포되어 토사국으로 유배되었다. 이후에도 후시미 천황이 막부를 전복시키려 한다는 소문이 끊이지 않았고, 후시미 천황은 막부에 고문을 보내 무죄를 주장했다.

이러한 사태를 호기로 삼아, 다이가쿠지통의 고우다 상황은 하나조노 천황의 양위와 황태자 다카하루 친왕(후의 고다이고 천황)의 즉위를 막부에 주장했다. 이를 받아 분포 1년(1317년) 4월에 막부는 사자를 파견하여, 황위 계승에 대해 양통(両統)이 협의하도록 요청했다. 이 화담에서는, 황태자 다카하루 친왕이 즉위하고, 고니조 천황의 황자 구니요시 친왕이 새로운 황태자가 되며, 구니요시 친왕의 즉위 후에 고후시미 천황의 황자 가즈히토 친왕을 새로운 황태자로 한다는 안이 막부로부터 제시되었다. 이것은 분명히 다이가쿠지통에 유리한 제안이었고, 지묘인통 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와중에, 같은 해 9월 3일 인시에 후시미 법황은 지묘인전에서 붕어했다.

중심 인물을 잃은 지묘인통은 속수무책이었고, 분포 2년(1318년) 2월에 하나조노 천황은 다카하루 친왕에게 양위했다.

2. 6. 붕어

崩御|붕어일본어1317년(쇼와 2년) 9월 3일 인시에 지묘인전에서 였다. 향년 53세였다.[5] 후시미는 후시미구에 있는 ''후카쿠사노 키타노 미사사기''(深草北陵)라고 불리는 황실 묘지에 안치되어 있다.[6]

후시미 천황의 사망 당시, 다이카쿠지 통의 고우다 상황막부하나조노 천황의 양위와 황태자 다카하루 친왕(후의 고다이고 천황)의 즉위를 주장하였다. 막부는 황위 계승에 대해 양통(兩統)이 협의하도록 요청했지만, 막부에서 제시된 안은 다이카쿠지 통에 유리했기 때문에 지묘인 통 측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런 상황에서 후시미 천황이 붕어하자, 중심 인물을 잃은 지묘인 통은 1318년(분포 2년) 2월에 하나조노 천황이 다카하루 친왕에게 양위하는 것을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

후시미 천황의 아들인 하나조노 천황은 공식적인 장례 의식에 참여하지 않았는데, 이는 전례가 없는 일이었다. 하지만, 하나조노가 형이자 전 고후시미 천황의 양자가 되었다는 설명으로 합리화되었다.[5]

3. 가계도

[23]

배우자관계이름비고
중궁후지와라노 (사이온지) 쇼시
(에이후쿠몬인/요후쿠몬인)
1271년 - 1342년
사이온지 사네카네의 딸
양자타네히토 친왕 (고후시미 천황)
뇨인(女院)후지와라노 (도인) 키시/스에코
(켄신몬인)
1265년 - 1336년
토인 사네오의 딸
1황녀쥬시 내친왕 (사쿠헤이몬인)1287년 - 1310년
3황자칸쇼 법친왕1289년 - 1346년
닌나지 고시츠
3황녀엔시 내친왕 (엔메이몬인)1291년 - ?
4황자토미히토 친왕 (하나조노 천황)1297년 - 1348년
텐지(준삼후)후지와라노 (이츠츠지) 케이시/츠네코
(나카조노 준후)
이츠츠지 츠네우지의 딸
1황자타네히토 친왕 (고후시미 천황)1288년 - 1336년
텐지(종3위)미나모토노 (키타바타케) 신시/치카코
(곤다이나곤노츠보네)
미나모토노 (나카노인) 토모우지의 딸
키타바타케 모로치카의 양녀
6황자손고 입도친왕1299년 - 1359년
궁인(종3위)토인 (후지와라) 에이코토인 킨무네의 딸
2황녀요시코 내친왕 (쇼기몬인)? - 1336년
궁인(종3위)오기마치 (후지와라) 모리코/스시
(히가시노온카타)
오기마치 사네아키라의 딸
황자칸인 법친왕
황자도키 법친왕
나이시노죠미요시 히라코 (하리마노나이시)미요시 토시히라의 딸
5황자손엔 법친왕1298년 - 1356년
후지와라노 (타카쿠라) 시게미치의 딸
7황자손키 법친왕
궁인카스가노츠보네승려 임쾌의 딸
2황자에조 법친왕1289년 - 1328년
궁인니시노온카타승려 심원의 딸
8황자세이진 법친왕


4. 문화적 업적

후시미 천황은 와카와 서예에 뛰어났으며, 문화면에서도 활약했다. 교고쿠파 와카의 옹호자였으며, 교고쿠 타메카네와 함께 와카의 새로운 풍조를 모색했다. 또한, "서성(書聖)" 또는 "역대 최고"라고 평가받는 뛰어난 능서가였다.

역사 이야기 『마스카가미』의 "우라치도리"에서는 후시미 천황의 글씨에 대해 "글씨 솜씨도 매우 훌륭하고, 옛날의 후지와라노 유키나리 대납언보다 뛰어나시다고 당시 사람들이 말했다. 아름다우면서도 힘이 있는 글씨를 쓰셨다고 한다"라고 평가했다.[19]

후시미 천황 친필 고금화가집(지쿠고 절단).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후시미 천황의 친한 소식. 중요문화재,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후시미 천황의 친한 와카. 중요문화재, 도쿄국립박물관 소장.

4. 1. 가인(歌人)으로서

후시미 천황은 와카와 서도에 뛰어났으며, 문화면에서도 활약했다. 가인으로서는 교고쿠파 와카의 옹호자이자[18] 교고쿠 타메카네와 함께 와카의 새로운 풍조를 모색한 인물 중 한 명으로 꼽힌다. 중궁의 에이후쿠몬인과 아들인 하나조노 천황과 함께 교고쿠파의 대표적인 가인으로 여겨진다[18].

후시미 천황은 춘궁 시절부터 고전과 와카를 애호하여, 뜻을 같이하는 젊은 귀족들을 모아 일종의 문예 살롱을 형성했다. 거기에, 와카에서 마음의 절대시를 주장하는 타메카네(為兼)가 나타나자, 후시미 주변의 그룹은 급속히 와카에 대한 지향을 강화하여 새로운 조류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것이 교고쿠파(京極派)의 시초이다.

하지만, 교고쿠파의 가풍은 곧바로 확립된 것은 아니었으며, 초기 교고쿠파의 와카에는 관념적 지향이 강한 것이 많았다. 1299년에 읊어진 후시미의 어제에 대해, 중세 문학 연구자인 아오 아스카는 "설명적이고 관념성이 강하며, 어딘가 표현도 어색하다"라고 평하고 있다.

타메카네의 유배와 후시미의 퇴위 후에도, 후시미는 중궁의 에이후쿠몬인이나 궁녀, 정신(廷臣)들과 함께 새로운 조류를 계속 모색했다. 1303년에 타메카네가 귀경하자, 교고쿠파의 가풍은 확립되었다. 이때 후시미 궁정에서 열린 우타아와세의 기록(『센토 50번 가합』)이 남아있으며, 이 우타아와세에서 읊어진 후시미의 어제를 타메카네는 "심사(心詞)가 뛰어나 범속한 경계를 초월했다"라고 절찬하고 있다.

1293년 8월 27일, 이전부터 칙찬집 편찬을 계획하고 있던 후시미 천황은 니조 타메요, 교고쿠 타메카네, 아스카이 마사아리(병으로 인해 참내하지 않음), 구조 타카히로 등의 가도가(歌道家)를 불러, 칙찬 하명의 일시와 형식, 선가(撰歌)의 범위, 응제백수의 실시 등에 대해 질문했다.

이 질문에서 특히 선가의 범위가 문제가 되어, "상고"의 노래에는 더 이상 채택할 것이 없다고 주장하는 타메요와, 후시미가 만엽풍을 사모하는 취향에 따라 "상고" 이래의 와카를 채택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타메카네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졌다. 결국, 타카히로가 타메카네의 의견에 찬동함에 따라, 후시미는 타메카네의 주장을 전면적으로 인정하는 형태로 선집을 명했다. (영인 칙찬의 의)

다만, 영인 연도의 칙찬 계획은 타메카네의 실각과 후시미의 퇴위로 인해 백지화되었다.

황자가 즉위하고 원정을 펼치게 된 후시미 상황은, 타메카네를 중심으로 다시 칙찬집을 편찬하려는 뜻을 품었다. 그때, 타메요는 타메카네가 선자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후시미에게 호소했다. 약 반년에 걸쳐 문답이 이어졌지만, 결국 1311년 5월에 후시미는 막부의 양해를 얻어 타메카네를 선자로 임명했다. (엔쿄 료쿄 소진)

이리하여, 1312년 3월 28일, 타메카네의 손에 의해 『옥엽화가집』이 성립되었다.

후시미 천황 친필 『후시미인 어집』의 단편. "히로사와 절"이라고 불린다. 도쿄 국립 박물관 소장.


『옥엽화가집』의 당대 가인의 첫 번째 노래로 채택되었으며, 교극파의 주장을 체현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어제는 다른 입춘의 노래와 달리, 자신의 마음이 "봄이 왔다"고 인식함으로써 하늘도 아지랑이로 보이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마음의 절대시라는 교극파의 주장은, 타메카네가 신봉하는 법상종유식사상으로부터의 영향이 지적되고 있다.

"아메츠치"(天地)는 후시미가 즐겨 사용한 단어이다. 동시대의 노래에는 천지개벽 신화를 의식한 용례도 존재하지만, 후시미의 경우에는 "만물을 낳아 형상화하는 에너지", "자연의 섭리"로서 "아메츠치"를 파악하여, 『일본서기』에 있는 "음양"에 가까운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후시미는 사계절, 산과 강, 초목 모두에 "마음"이 있으며, 자연의 섭리, 사계절, 만물의 마음이 조화될 때 국토의 자연은 순조롭게 다스려진다고 생각했다. 비슷한 맥락으로,

"백성이 편안하고, 나라가 다스려지니, 하늘과 땅이 부드럽게 받아들이는 마음을 알겠네."

"안개 피어나고, 얼음 녹으니, 하늘과 땅의 마음도 봄을 맞이하여 받아들이네."

등이 있다.

4. 2. 능서가(能書家)로서

후시미 천황은 와카와 서도에 뛰어났으며, 문화면에서도 활약했다. 교고쿠 파의 대표 가인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능서가로서는 "서성(書聖)" "역대 최고"라고 평가받고 있다.[19]

역사 이야기 『마스카가미』 "우라치도리"에서는 "글씨 솜씨도 매우 훌륭하고, 옛날의 후지와라노 유키나리 대납언보다 뛰어나시다고 당시 사람들이 말했다. 아름다우면서도 힘이 있는 글씨를 쓰셨다고 한다"라고 하여, 삼적 중 한 명인 후지와라노 유키나리 이상의 서예 실력을 갖추었다고 평가하며, 더욱이 다양한 서풍을 구사했음을 알 수 있다. "아름다우면서도 힘이 있는"이라는 것은, 초서해서를 함께 사용했다는 해석이나, 상고 시대 양식과 친한 양식을 모두 사용했다는 등의 해석이 있다. 후시미 천황의 글씨를 칭찬하는 이야기는 『쇼테츠 이야기』 하권의 서두 등에도 있다.

서도사 연구자 고마쓰 시게미는, 천황이라는 범위를 한정하지 않고 "현대 서도사에서도 역대 최고라고 말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는다"라고 평하고 있다. 미술사·고문서 연구자 하네다 사토시는 "마법사 같은 변환자재한 솜씨" "서성"이라고 평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상고 시대 양식으로 쓰인 『지본 묵서 후시미 천황 친한 어원문(정화 2년 2월 9일)』(중요문화재, 교토국립박물관 소장)이 있다.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산조니시 사네타카는 "희대의 홍보"라고 평했고, 하네다는 깊은 학식을 풍부하고 유려하게 표현한 "명품 중의 명품"이라고 평하고 있다. 그 외의 대표작으로는, 정화 5년의 원문이나, "지쿠고 절단" 등이 있다.

황자 손엔 법친왕이 창시한 쇼렌인류는, 근세에는 조정과 막부뿐만 아니라 서민에게도 널리 보급되었다.[20]

후시미 천황의 저작은 다음과 같다.

  • 『후시미인어기』(후시미 천황 친기) - 후시미의 일기. 현존하는 것은, 고안 10년 (10월 21일 ~ 12월 30일) · 고안 11년 (1월 1일 ~ 3월 29일) · 쇼오 1년 (10월 12일 ~ 11월 28일) · 쇼오 2년 (1월 8일 ~ 3월 26일) · 쇼오 3년 (1월 1일 ~ 2월 7일) · 쇼오 5년 (1월 1일 ~ 4월 7일) · 쇼오 6년 (7월 1일 ~ 10월 28일) · 도니조인 어락식 어기[21]이다. 고안 연간과 쇼오 연간의 일기는 친필로 된 것이 전해진다.[22]
  • 『행행어행 일수』 - 즉위한 쇼오 1년부터, 고후카쿠사 붕어의 가겐 2년 (1304년) 7월까지의 행행·어행을 주석한 것. 친필 정본이 전해진다.
  • 『후시미인 어차제』 - 다이조사이(大嘗祭) 신찬(神饌)의 작법을 기록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현존하지 않는다.
  • 『후시미인 어집』[23] - 후시미의 어제를 수록한 것. 후시미의 친한이 전존하며, 원래 3000수 이상 있었다고 전해지지만, 현재는 「히로사와 기레」라고 불리는 고필 절로서 전해지고 있다. 쇼와 18년 (1943년)에 쓰기타 가스미가 그 중 2650수를 모아 『후시미 천황 어제집』을 간행하고 있다.
  • 『후시미인 어문류』 - 후시미 천황 친한의 문서를 정리한 것. 궁내청 서릉부 소장.
  • 『후시미인 어백수』 - 2종류가 존재한다.
  • 『후시미인 어오십수』
  • 『후시미인 어소식』

5. 연호

후시미 천황의 치세는 하나 이상의 연호(''넨고'')로 더 구체적으로 식별된다.[7]

연호기간
고안1278년 ~ 1288년
쇼오1288년 ~ 1293년
에이닌1293년 ~ 1299년


6. 평가

후시미 천황은 조큐의 난 이후 약화되었던 치천의 군의 권력을 가마쿠라 시대 후기의 소송 제도 개혁을 통해 회복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 그러나, 그의 측근이었던 교고쿠 다메카네가 막부에 의해 처벌받고, 고후시미 천황에게 양위해야만 했던 상황은 다이카쿠지 통에게 유리하게 작용했다.[3]

고후시미 천황하나조노 천황 재위 기간 동안 인세를 펼쳤는데, 특히 하나조노 천황 재위 중에는 "엔쿄 법"이나 "분포 법"과 같은 법령을 제정하고, 『옥엽화가집』의 칙찬을 행하는 등 적극적인 활동을 보였다.[3]

하지만, 교고쿠 다메카네가 다시 체포되어 유배되자, 다이카쿠지 통의 고우다 상황은 하나조노 천황의 양위를 주장했고, 결국 지묘인 통은 하나조노 천황의 양위를 인정할 수밖에 없었다.[3]

후시미 천황은 와카와 서도에도 능하여 문화적으로도 활약했다. 교고쿠파의 대표 가인 중 한 명으로 꼽히며, 능서가로서 "서성(書聖)", "역대 최고"라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3]

참조

[1]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Jinnō Shōtōki (추정) 1834, 1980
[2] 서적 (추정) (추정) (추정)
[3] 서적 (추정) (추정) (추정)
[4] 서적 (추정) (추정) (추정)
[5] 서적 (추정) (추정) (추정)
[6]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추정) 1959
[7] 서적 (추정) (추정) (추정)
[8]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21-02-24
[9] 웹사이트 大日本史料総合データベース、正應元年3月15日(12880030150) 1条 https://ap.hi.u-toky[...] 2024-03-07
[10] 웹사이트 大日本史料総合データベース、正應元年11月22日(12880110220) 1条 https://ap.hi.u-toky[...] 2024-03-07
[11] 웹사이트 大日本史料総合データベース、文永2年4月23日(12650040230) 1条 https://ap.hi.u-toky[...] 2024-03-07
[12] 웹사이트 大日本史料総合データベース、文保元年9月3日(13170090030) 1条 https://ap.hi.u-toky[...] 2024-03-07
[13] 웹사이트 伏見天皇 https://kotobank.jp/[...] 2024-03-07
[14] 서적 増鏡(中)全訳注 (추정) (추정)
[15] 서적 増鏡(中)全訳注 (추정) (추정)
[16] 서적 宸翰英華(1) (추정) 1944
[17] 웹사이트 大日本史料総合データベース、永仁6年8月10日(12980080100) 1条 https://ap.hi.u-toky[...] (추정)
[18] 웹사이트 京極派 https://kotobank.jp/[...] 2024-03-07
[19] 웹사이트 青蓮院流 https://kotobank.jp/[...] 2024-03-08
[20] 웹사이트 書陵部所蔵資料目録・画像公開システム、伏見院宸記(弘安10年10月―永仁元年10月(有欠)) and 伏見院御記 https://shoryobu.kun[...] (추정)
[21] 웹사이트 伏見天皇御集(夏・広沢切) https://shoryobu.kun[...] (추정)
[22] 웹사이트 伏見院御文類 https://kokusho.nijl[...] (추정)
[23] 웹사이트 新編纂図本朝尊卑分脈系譜雑類要集(5)(6) and 本朝皇胤紹運録 https://dl.ndl.go.jp[...] 1903, 1904, 1898
[24] 웹사이트 進子内親王 https://kotobank.jp/[...] 2024-03-06
[25] 논문 内裏と院御所 吉川弘文館, 校倉書房 1992, 2016
[26] 서적 陵墓要覧 昭和9年11月調 https://dl.ndl.go.jp[...] (추정) 1934
[27] 웹사이트 -天皇陵-伏見天皇 深草北陵 https://www.kunaicho[...] 2024-03-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