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계는 홍콩 면적의 약 90%를 차지하는 지역으로, 1898년 영국이 중국으로부터 99년간 조차하여 홍콩의 일부가 되었다. 1950년대부터 대규모 신도시 개발이 이루어져 홍콩 인구의 절반 이상이 거주하며, 9개의 구로 행정 구역이 나뉘어 있다. 1984년 중영 공동 선언을 통해 홍콩 전체가 1997년 중국에 반환되면서 신계 역시 중국의 일부가 되었다. 좌측 통행, 우측 핸들 차량을 사용하며, 중국 대륙과 연결되는 철도역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홍콩 - 홍콩 국제공항
홍콩 국제공항은 란타우섬에 위치한 세계적인 허브 공항으로, 카이탁 공항을 대체하여 개항한 이래 지속적인 시설 확장을 통해 수천만 명의 여객과 수백만 톤의 화물을 처리하며 홍콩 공항공사가 운영하고 홍콩 공항철도 등으로 시내와 연결된다. - 홍콩 - 홍콩 세븐스
홍콩 세븐스는 1976년 시작되어 럭비 유니온의 국제적 발전에 기여한 국제 럭비 세븐스 토너먼트로서, 상업적 성공과 다양한 국가의 참여로 "럭비 유니온의 올림픽"이라 불리며, 홍콩 스타디움에서 매년 컵, 플레이트, 볼, 쉴드 트로피를 놓고 경쟁하고 축제 분위기 속에서 젊은 선수들의 등용문 역할을 한다.
| 신제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공식 명칭 | 신계 (新界) |
| 영어 명칭 | New Territories |
| 별칭 | 없음 |
| 표어 | 없음 |
| 행정 구역 | |
| 국가 | 중국 |
| 특별 행정구 | 홍콩 |
| 지리 | |
| 총 면적 | 952 km² (368 sq mi) |
| 인구 통계 | |
| 인구 (2011년) | 3,691,093명 |
| 인구 밀도 | 3,801명/km² (9,845명/sq mi) |
| 시간대 | |
| 시간대 | 홍콩 시간 (UTC+08:00) |
2. 역사
1898년 제2차 홍콩영토확장조약으로 영국이 가우룽 북쪽과 주변 섬들(945 km2 면적)을 99년간 조차하면서 신계(New Territory)라 명명했다.[8] 삼국 간섭으로 유럽 열강들이 공식적으로 중국의 주권을 인정했기에 99년이라는 기간이 설정되었다. 비슷한 시기 자오저우만 조차지와 광저우만 조차지도 99년 조차 형식으로 각각 독일과 프랑스가 차지했다.[8]
영구 할양된 홍콩 섬, 가우룽과 달리 신계는 99년 후 반환해야 했기에 개발이 낙후되었고, 대부분의 지명과 시설은 중국어 그대로였다. 카이탁 공항은 1960년대부터 고층 건물들로 인해 세계에서 가장 위험한 공항 중 하나로 지목되었고, 신계 지역으로의 신공항 건설론이 제기되었으나, 1997년 양도 때까지 해결되지 않았다.
1980년대 초, 신계 조차 만료가 다가오자 영국은 조차 연장을 시도했으나, 중국 공산당은 홍콩 자체에 대한 영유권까지 주장하며 거부했다. 1984년 영국은 중영 공동 선언을 통해 홍콩 전역 양도를 확정하고, 1997년 신계 조차 기간 만료와 동시에 홍콩 전체를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했다.
2. 1. 신제의 조차
1842년 제1차 아편전쟁 결과 홍콩 섬이 영국에 영구 할양되었고, 1860년 베이징 조약으로 가우룽 반도 일부가 추가 할양되었다.[7] 홍콩은 빠르게 성장했지만, 인구 과밀, 위생 문제, 청일전쟁 이후 국방 문제 등으로 인해 영토 확장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7]1898년, 영국은 홍콩영토확장조약을 통해 가우룽 반도 북쪽과 주변 섬들을 99년간 조차하여 신계(New Territory)라고 명명했다.[8] 이는 당시 유럽 열강들이 중국의 주권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결과였다.[8]

영국은 최혜국 대우 조항을 이용하여 1898년 6월, 가우룽 확장을 요구했다. 추가된 토지는 당시 식민지 홍콩의 12배에 달했다.[3] 조약은 1898년 6월 9일에 서명되었고 7월 1일에 발효되었지만, 영국은 신제를 즉시 인수하지 않았다.[4]
제임스 스튜어트 로크하트의 신제 조사 결과, 초기 경계는 선전 (심천) 마을을 분할하고 자연 경계선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중국 관리는 경계를 심천강보다 더 남쪽으로 옮길 것을 제안했고, 결국 1899년 3월에 경계는 심천강으로 결정되었다.
신제 인수 날짜는 1899년 4월 17일로 정해졌고, 타이포가 행정 중심지로 선택되었다. 그러나 원주민들은 토지 권리에 대한 두려움으로 영국에 저항했다.[4] 1899년 4월, 1899년 6일 전쟁에서 여러 씨족들이 영국에 저항했지만, 영국군에 의해 진압되었다.[4] 이 과정에서 500명 이상의 중국인이 사망했다.

영국은 저항을 막기 위해 원주민에게 토지 사용, 상속, 결혼법 등에서 양보를 했고, 이는 현재까지도 홍콩 주민 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2. 2. 영국 통치와 저항
조약은 1898년 6월 9일에 서명되었고 7월 1일에 발효되었지만, 영국은 신제를 즉시 인수하지 않았다. 1899년 4월 17일, 영국은 타이포를 행정 중심지로 정하고 신제 인수식을 거행했으나, 지역 주민들의 저항에 직면했다.[4] 1899년 6일 전쟁에서 여러 씨족들이 영국에 저항했으나, 영국군의 우세한 무력에 의해 진압되었다.2. 3. 뉴타운 개발
국공 내전과 중국공산당의 집권으로 홍콩에 많은 수의 난민들이 몰려와 홍콩의 인구가 급증했다. 홍콩 식민당국은 판자촌에 거주하던 이들에게 주거지를 제공하고, 빠르게 성장하는 제조업에 부지를 공급하기 위해서 대규모 신도시 건설에 나섰다.[9]1953년 가우룽과 가깝고 홍콩섬과는 빅토리아항을 두고 마주보고 있는 간척지에 군통이 최초의 신도시로 개발되었다. 1960년에는 뉴타운이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적용된 췬완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뉴타운은 전원도시 이론의 영향을 받아 주거단지 외에도 일자리를 제공하는 산업단지와 상업, 문화, 행정시설이 함께 건설되어 자급자족을 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1965년에는 튄문과 사틴이 개발되었고, 1973년 홍콩 당국의 '주택 건설 10년 계획'으로 뉴타운 건설이 가속화되어 20세기 말까지 9개 뉴타운이 건설되었다.[9] 2016년 기준 뉴타운에는 홍콩 인구의 47%인 가량이 거주한다. 처음의 계획과는 달리 뉴타운 주민들의 22%만이 거주 지역에 직장이 있고, 절반 이상이 장거리 통근을 한다.[10]
2. 4. 반환
1980년대 초, 신제의 조차(租借, 임대) 만료가 다가오자 대처 총리의 영국은 조차 연장을 시도했으나, 중국 공산당은 홍콩 자체에 대한 영유권까지 주장하며 거부했다. 신계 반환은 당연했지만, 가우룽과 홍콩 섬은 반환 의무가 없어 영국이 계속 관할할 수 있었다. 그러나 주요 배후 시설들이 신계에 있었고, 홍콩 섬과 가우룽만으로는 백 년 전 문제가 그대로 홍콩에 부담을 줄 터였다. 1982년 덩샤오핑 주석이 대처 총리와 회담에서 '반환하지 않는다면 대륙에서 홍콩 밀입국을 막고 있는 인민해방군의 경계를 풀고 수백만의 대륙인들이 홍콩에 건너가게 하겠다'라고 으름장을 놓았다는 일화도 있다.[11]결국 1984년 영국은 중영 공동 선언을 통해 홍콩 전역 양도를 확정하고, 1997년 신계 조차 기간 만료와 동시에 홍콩 전체를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했다. 양도 문제가 해결되면서 첵랍콕섬에 신(新) 홍콩 국제공항이 건설되었고, 1998년 구공항인 카이탁 공항은 폐쇄됐다.
3. 지리
신계는 섬 지역을 포함하여 975.23km2이며, 섬 지역을 제외하면 747.18km2로, 홍콩 전체 면적의 약 90%를 차지한다.
4. 행정 구역
신계는 9개의 구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구는 자체적인 구의회를 가지고 있다.
| 지역 | 포함 구 |
|---|---|
| 신계 동부 | 북구, 사이쿵 구, 사틴 구, 타이포 구 |
| 신계 서부 | 레이도구, 콰이칭 구, 췬완 구, 튄문 구, 윈롱 구 |
입법회 선거에서는 신계를 2개의 선거구로 나누며, 각각 9석을 배정받는다.
- 신계 동 (북구, 타이포 구, 사틴 구, 사이쿵 구)
- 신계 서 (췬완 구, 툰문 구, 윈롱 구, 콰이칭 구, 도서 구)
4. 1. 신계 동부
- 북구 - 샹수이, 펀링, 사터우콕, 뤄후, 만캄토
- 사이쿵 구 - 사이쿵, 청수이완, 장군오, 탸오겡링
- 사틴 구 - 사틴, 마온산, 포탄, 마리우수이, 홍콩 중문 대학교
- 타이포 구 - 타이포, 선완
4. 2. 신계 서부
레이도구, 콰이칭구, 췬완구, 튄문구, 윈롱구가 신계 서부에 속한다.
입법회 선거에서 신계는 2개의 선거구로 나뉘며, 이 중 신계 서 선거구는 췬완구, 툰문구, 윈롱구, 콰이칭구, 도서구를 포함하여 9석을 배정받는다.
5. 인구
2021년 홍콩 인구 조사에 따르면 신계의 인구는 3,984,077명으로, 홍콩 전체 인구의 53.7%를 차지한다. 한족이 주민의 대다수를 차지하며, 주요 언어는 광둥어이다. 신계 면적은 섬 지역을 포함하여 975.23km2이고, 섬 지역을 제외하면 747.18km2로, 홍콩 전체 면적의 거의 90%에 해당한다. 2000년 기준 신계 인구는 3,336,200명으로, 홍콩 전체 인구의 절반 정도이다.[6][12]
5. 1. 주민
신계 주민들은 청나라 말부터 이주한 중국인이 대부분이며 홍콩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지면서도 전통 중국 문화를 강하게 보여준다. 신계 인구 중 95.1%가 중국인이며 소수 민족으로는 인도네시아인(1.8%), 필리핀인(1.3%), 백인(0.5%), 파키스탄인(0.2%) 등이 있다.[6][12] 중국인 인구 중 약 10%는 명청 시절 이전 신계원거민(원주민)들의 후손으로 홍콩특별행정구 기본법 제40조에 의거, 중국 공산당의 보호를 받고 있다.2021년 홍콩 인구 조사에 따르면 신계의 인구는 3,984,077명으로, 홍콩 전체 인구의 53.7%를 차지한다. 신계 주민의 90.4%가 광둥어를 사용하며, 3.5%는 영어, 2.0%는 중국어, 2.3%는 기타 중국 방언을 사용한다. 신계 인구의 93.1%는 한족이며, 가장 큰 소수 민족 그룹은 필리핀인 (2.1%), 인도네시아인 (1.8%), 남아시아인 (1.1%), 혼혈 (0.8%), 백인 (0.7%)이다.
6. 교통
신계는 조차 지역이며 개발이 안 돼 중국색이 강하다고는 하나 영국의 영향을 받은 홍콩섬, 신가우룽과 마찬가지로 좌측 통행, 우측 핸들 차량을 사용한다. 대륙과 직결되는 전철역과 기차가 있으며 로우(Lo Wu, 羅湖)역을 통해 국경을 넘어 중국 대륙 선전으로 간다.[1] 1998년 건설된 첵랍콕 국제공항에서 택시나 공항 버스로 홍콩에 갈 수 있는데, 신계 공항택시(유엔롱 구 등)와 리다오 구(외곽 섬 지역)의 공항택시는 색이 다르다.[1]
7. 문화
신계는 조차 지역으로 개발이 제한되어 중국적인 특색이 강하며, 영국의 흔적은 상대적으로 적다.[7] 샤틴 구나 베이 구 등의 아파트 단지들은 영국 시대에 지어졌지만, 홍콩 고유의 생활 방식이 남아있다.[7]
1997년 반환 이후, 대륙으로부터의 인구 유입과 신시가지 건설로 인해 신계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7] 첵랍콕 국제공항 개항을 계기로 신계의 중심가는 국제적인 색채를 띠게 되었다.[7] 콰이칭 구의 니나 타워는 홍콩의 대표적인 랜드마크 중 하나다.[7]
8. 신구룡 (New Kowloon)
신구룡은 웡타이신 구와 관탕 구 전체, 섬서이포 구의 본토 부분(즉, 차이완 섬 제외) 및 카오룽시 구의 북부(경계선 거리/프린스 에드워드 로드 웨스트 북쪽 부분[1] 뿐만 아니라 카이탁 공항을 포함한 매립지)를 포함한다.
참조
[1]
백과사전
New Territories (region, Hong Kong, China)
https://www.britanni[...]
britannica.com
2014-12-07
[2]
웹사이트
2021 Population Census District Profiles
https://www.census20[...]
Census 2021
2024-08-14
[3]
서적
Old Hong Kong - Volume One
Text Form Asia books Ltd.
[4]
웹사이트
The reason behind the resistance by the New Territories inhabitants against British takeover in 1899
http://hk.geocities.[...]
2014-02-22
[5]
문서
2016년 현재 홍콩 전체 면적은 1,104km2
[6]
웹사이트
2011년 홍콩 인구 보고서(Census2011.gov.hk)
http://www.census201[...]
2016-03-07
[7]
서적
Old Hong Kong - Volume One
Text Form Asia books Ltd.
[8]
웹인용
France's Hong Kong: The leased territory of Guangzhouwan
https://thechinaproj[...]
2022-05-25
[9]
웹인용
香港記憶 {{!}} Hong Kong Memory
https://www.hkmemory[...]
[10]
웹인용
New towns fail to be self-contained as planned, government data shows
https://dnnsociety.o[...]
2018-12-07
[11]
간행물
2014년 10월 6일~14일 주간조선 2326호 p.p23 3번째 문단
[12]
문서
나머지 4.7%는 2011년 기준으로, 5세 이하나 말을 할 수 없는 인구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