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단테 알리기에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단테 알리기에리는 1265년 이탈리아 피렌체에서 태어난 시인으로, 《신곡》의 저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정치 활동에 참여하다가 추방당하여 망명 생활을 했으며, 이탈리아어 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단테는 철학, 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베아트리체 포르티나리에 대한 사랑을 작품에 담아냈다. 그의 대표작인 《신곡》은 지옥, 연옥, 천국을 여행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기독교 사상과 당대 사회상을 반영하고 있다. 단테는 사후에도 지속적으로 재평가받았으며, 이탈리아를 넘어 세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21년 사망 - 우투시부카
    원나라 인종의 아들 우투시부카는 안왕에 봉해졌으나 영종 즉위 후 강등되어 투옥, 사사된 비극적인 인물로, 원나라 정치사의 복잡성을 보여준다.
  • 1321년 사망 - 비르예르 망누손
    비르예르 망누손은 망누스 3세의 아들로 스웨덴 국왕이 되었으며, 핀란드 십자군 원정을 단행했으나 형제들과의 갈등으로 왕위에서 물러나 덴마크로 망명했다.
  • 1265년 출생 - 후시미 천황
    후시미 천황은 가마쿠라 시대 후기의 제92대 일본 천황으로, 고후카쿠사 천황의 아들이자 고우다 천황의 양자였으며, 양통 립립의 관례를 확립하고 와카와 서예에 능통하여 문화 발전에 기여하며 인세이를 펼쳤다.
  • 1265년 출생 - 원 성종
    원 성종은 쿠빌라이 칸의 손자이자 원나라의 제2대 황제로, 주변국 원정을 통해 종주권을 강화하고 유교를 숭상했으나 말년에는 건강 악화로 정무를 제대로 보지 못했다.
  • 단테 알리기에리 - 베아트리체 포르티나리
    베아트리체 포르티나리는 단테 알리기에리의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로, 단테의 짝사랑 대상이자 종교적 지식과 영감을 상징하며 이상화된 사랑과 구원의 상징으로 알려져 있다.
  • 단테 알리기에리 - 교황 보니파시오 8세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1294년부터 1303년까지 재임한 제192대 로마 교황으로, 법률가 출신이며 희년 선포와 대학교 설립 등의 업적을 남겼으나 프랑스 왕, 콜론나 가문과의 갈등 및 아나니 사건 등 정치적 격변을 겪었다.
단테 알리기에리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단테 알리기에리
본명두란테 디 알리기에로 델리 알리기에리
출생일1265년 5월 경
출생지피렌체, 피렌체 공화국
사망일1321년 9월 14일 (약 56세)
사망지라벤나, 교황령
안장 장소라벤나, 단테의 무덤
직업정치가
시인
언어 이론가
정치 이론가
국적피렌체
활동 시기중세 후기
사조돌체 스틸 노보
사용 언어이탈리아어 (토스카나어)
라틴어
배우자제마 도나티
자녀4명, 야코포 알리기에리 포함
부모알리기에로 디 벨린치오네 (아버지)
벨라 (어머니)
주요 작품
대표작신곡
기타 작품향연, 신생
기타 정보
별칭최고의 시인
칭호세 개의 왕관
이미지
단테의 초상화, 빨간색과 흰색 코트와 두건을 입은 단테의 머리와 가슴 옆모습 초상화
산드로 보티첼리가 1495년에 그린 템페라화 초상화

2. 생애

1265년 피렌체에서 태어난 단테는 어린 시절 베아트리체 포르티나리를 만나 사랑에 빠졌지만, 젬마 도나티와 약혼하고 결혼했다. 브루네토 라티니에게서 수사학과 논리학 등을 배우고, 볼로냐 대학교에서 철학, 법학, 천문학 등을 공부하며 학문적 소양을 쌓았다.

구엘프-기벨린 갈등에 휘말려 캄팔디노 전투에 참전하고, 피렌체 정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구엘프는 흑당과 백당으로 분열되었고, 단테는 백당 소속으로 활동하다 1301년 흑당이 정권을 잡으면서 추방당했다.

추방 후 여러 도시를 떠돌며 망명 생활을 했고, 이 과정에서 신곡을 집필하기 시작했다. 1318년경부터 라벤나에 정착하여 신곡을 완성했지만, 1321년 외교 사절로 베네치아를 방문했다가 돌아오는 길에 말라리아로 사망했다. 단테의 유해는 라벤나에 안장되었으며, 피렌체는 그의 유해 반환을 여러 차례 요청했지만 라벤나는 거절하고 있다.

2. 1. 출생과 초기 생애

1265년 이탈리아 중부피렌체에서 태어났다. 정확한 출생일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신곡의 자서전적 내용과 쌍둥이자리 별자리 아래에서 태어났다는 언급을 통해 1265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16][1] 단테는 자신의 가족이 고대 로마인의 후손이라고 주장했지만, 그가 언급할 수 있는 가장 오래된 친척은 1100년 이전에 태어난 증조부 카치아구이다였다.

단테의 아버지는 사업가이자 사채업자였던 알리기에로 디 벨린치오네였고,[17] 어머니는 벨라로, 아마도 귀족 피렌체 가문인 아바티 가문의 일원이었을 것이다. 단테가 열 살이 되기 전에 어머니는 사망했고, 아버지는 라파 디 키아리스시모 치알루피와 재혼했다. 단테의 이복형제로는 프란체스코와 타나(가에타나)가 있었다.[17]

단테 시대에 대부분의 북부 이탈리아 도시 국가는 교황을 지지하는 구엘프(귀족)과 신성 로마 제국을 지지하는 기벨린으로 나뉘어 있었다.[17] 단테의 가족은 구엘프에게 충성했다. 1260년 몬타페르티 전투에서 기벨린이 승리하여 많은 구엘프들이 추방되었으나, 단테의 가족은 아버지 알리기에로의 낮은 사회적 지위 덕분에 보복을 피할 수 있었다.[17] 1266년 베네벤토 전투에서 구엘프가 다시 피렌체를 탈환했다.[17]



단테는 아홉 살 때 폴코 포르티나리의 딸인 베아트리체 포르티나리를 처음 만나 첫눈에 사랑에 빠졌다고 주장한다.[18][19] 그러나 열두 살 때, 강력한 도나티 가문의 일원인 마네토 도나티의 딸 젬마 도나티와 결혼할 것을 약속받았다.[17] 어린 나이에 자녀를 위한 결혼을 하는 것은 당시 흔한 일이었다.[17] 단테는 열여덟 살 이후 베아트리체를 자주 다시 만났지만, 그녀를 잘 알지는 못했다고 한다.[24]

젬마와 결혼한 지 몇 년 후, 단테는 베아트리체를 다시 만났다고 주장하며, 그녀에게 여러 소네트를 썼지만 젬마는 언급하지 않았다. 단테의 결혼 날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1301년 망명 전에 젬마와의 사이에서 세 자녀(피에트로, 자코포 알리기에리, 안토니아)를 두었다는 것은 확실하다.[17]

단테는 1289년 6월 11일 캄팔디노 전투에서 구엘프 기병으로 참전했다.[20] 이 승리로 피렌체 헌법이 개혁되었고, 단테는 공공 생활에 참여하기 위해 의사와 약사 조합에 가입했다.[21] 1298년부터 1300년 사이 단테가 공화국 의회에서 연설하거나 투표한 기록이 일부 남아있다.

단테는 산 조반니 세례당에서 세례를 받고 "영원한 자"라는 뜻을 가진 '''두란테 알리기에리'''(''Durante Alighieri'')라는 이름을 받았다. "단테 (''Dante'')"는 두란테의 관습적인 축약형이다.

2. 2. 교육과 학문

단테는 피렌체에서 1275년부터 1294년까지 약 20여 년간 신학을 비롯한 여러 분야의 교육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브루네토 라티니에게서 많은 것을 배웠다고 회고한다. 신곡에서 묘사된 것처럼, 단테는 중세 스콜라 철학을 깊이 연구했으며,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또한 배운 것으로 보인다.

단테의 교육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많지 않다. 피렌체의 교회나 수도원에 딸린 가정 혹은 수도원 학교에서 공부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토스카나(Tuscany) 시를 공부했고, 볼로냐 시인 귀도 귀니첼리의 작품을 좋아했으며, 『피르가토리오(Purgatorio)』 XXVI에서 귀니첼리를 "아버지"로 묘사했다. 당시 시칠리아의 문화 집단인 Scuola poetica Sicilianait(시칠리아 학파)가 토스카나에 알려지기 시작하던 때였다. 아르노 다니엘 같은 트루바두르(troubadours)의 프로방스(Provençal) 시와 키케로, 오비디우스, 특히 베르길리우스를 포함한 고전 시대 라틴 작가들을 공부했다.[22]

1290년 베아트리체가 죽자 단테는 라틴 문학에서 위안을 찾았다.[23] 『향연(Convivio)』에서 보에티우스(Boethius)의 De consolatione philosophiaela와 키케로의 친구에 관하여(De Amicitia)la를 읽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후 산타 마리아 노벨라(Santa Maria Novella)의 도미니크 수도원 같은 종교 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했다. 그는 두 주요 탁발 수도회(mendicant order) (프란체스코 수도회(Franciscan)와 도미니크 수도회(Dominican Order))가 피렌체에서 공개적 또는 간접적으로 행했던 논쟁에 참여했는데, 전자는 신비주의자들과 성 보나벤투라의 교리를 설명했고, 후자는 성 토마스 아퀴나스의 이론을 설명했다.[24]

약 18세 무렵 단테는 귀도 카발칸티, 라포 지아니, 치노 다 피스토이아를 만났고, 얼마 후 브루네토 라티니를 만났다. 그들은 함께 돌체 스틸 누오보(dolce stil nuovo)it의 지도자가 되었다. 브루네토는 나중에 『신곡』(『지옥(Inferno)』 XV, 28)에서 단테에게 가르쳤던 것에 대해 특별히 언급되었다.[25]

소년 시절 단테에 대한 확실한 기록은 부족하며, 성장 과정은 분명하지 않다. 수도원에서 수련 수사로 수행 생활을 했다는 설과, 몰락 귀족의 자제로 세속에서 자랐다는 설이 있다. 하지만 성장 과정에서 라틴어 고전 문법, 수사학, 철학 등을 배웠을 것으로 추정된다.

단테가 가장 존경하는 스승은 브루네토 라티니 (Brunetto Latini)it이다.[91] 18세 무렵 라티니에게서 수사학과 논리학 등을 배웠을 것으로 추정되며, 『신곡』 지옥편 제15곡에서 옛 스승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했다.

또한 베르길리우스, 루카누스, 호라티우스, 오비디우스에게서 라틴 문학을 익히고, 키케로와 세네카에게서 윤리학을 배웠다. 친구였던 구이도 카발칸티 (Guido Cavalcanti)it에게 큰 영향을 받아 "시적 사실주의" 시풍을 창조했다.

수도원이 운영하는 라틴어 학교와 라티니에게서 배운 후 볼로냐 대학교에 입학하여 철학과 법학, 수사학, 천문학 등을 연구했다. 카발칸티와도 볼로냐 대학교에서 만나 시를 짓고자 하는 의욕을 얻었다고 전해진다.

2. 3. 정치 활동과 추방

단테는 당대의 대부분 피렌체 시민들처럼 귀족-기벨린 갈등에 휘말렸다. 1289년 6월 11일 캄팔디노 전투에서 피렌체 귀족들과 함께 아레초 기벨린들과 싸웠다.[20][26] 그는 최초 공격을 담당하는 feditore|페디토레it로서 싸웠다. 정치 경력을 더욱 발전시키기 위해 1295년경 의사 및 약사 조합에 가입했다. 철학과 의학 사이의 연관성, 혹은 약사들이 서적 판매업자이기도 했기 때문에 조합에 가입했을 가능성이 있다. 조합 회원 자격은 그가 피렌체에서 공직을 수행할 수 있게 해주었다. 정치인으로서 그는 수년 동안 정치적 불안이 만연한 도시에서 여러 직책을 역임했다.

기벨린을 물리친 후, 귀족들은 백색 귀족 (Guelfi Bianchiit)—단테의 당, 베리 데이 체르키가 이끌었고—과 흑색 귀족 (Guelfi Neriit), 코르소 도나티가 이끌었다. 처음에는 가문을 중심으로 분열되었지만, 피렌체 문제에 대한 교황의 역할에 대한 상반된 견해에 따라 이념적 차이가 발생했다. 흑색 귀족은 교황을 지지했고 백색 귀족은 로마로부터 더 많은 자유를 원했다. 백색 귀족이 먼저 권력을 잡고 흑색 귀족을 추방했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피렌체를 군사 점령할 계획을 세웠다. 1301년, 프랑스 필리프 4세의 형제인 샤를 드 발루아가 교황이 그를 토스카나의 평화 조정자로 임명했기 때문에 피렌체를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도시 정부는 몇 주 전에 교황의 사절들을 잘못 대우하여 교황의 영향력으로부터 독립을 추구했다. 샤를이 다른 비공식적인 지시를 받았다고 여겨졌기 때문에, 의회는 단테를 포함한 대표단을 로마로 파견하여 교황이 샤를을 피렌체로 보내지 않도록 설득했다.[28][29]

피렌체 산타 크로체 광장의 단테 동상, 엔리코 파치 작, 1865년


보니파시오 8세는 다른 대표들을 곧바로 돌려보내고 단테만 로마에 남도록 요청했다. 동시에 (1301년 11월 1일), 샤를 드 발루아가 흑색 길벨린파와 함께 피렌체에 입성하여, 그 다음 6일 동안 도시의 많은 부분을 파괴하고 많은 적들을 죽였다. 새로운 흑색 길벨린파 정부가 수립되었고, 칸테 데이 가브리엘리 다 구비오가 피렌체의 포데스타로 임명되었다.[30] 1300년 단테가 두 달 동안 피렌체의 최고직책인 시 우두머리로 재직했던 시절, 흑색 길벨린파는 그에게 부패와 재정적 비행을 혐의로 제기했다. 1302년에도 단테는 로마에 있었는데, 흑색 길벨린파를 지원했던 교황이 단테에게 로마에 머물 것을 "제안"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흑색 길벨린파 통치하의 피렌체는 단테를 도망자로 간주했다.

단테는 벌금을 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자신이 무죄라고 믿었고, 피렌체에 있는 그의 모든 재산이 흑색 길벨린파에 의해 압류되었기 때문이다. 그는 영구 추방형을 선고받았다. 벌금을 내지 않고 피렌체로 돌아왔다면 화형에 처해질 수 있었다. (2008년 6월, 사후 거의 7세기 만에 피렌체 시의회는 단테의 형을 취소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31]

13세기 당시 북부 이탈리아는 로마 교황청과 신성 로마 제국의 세력이 대립했고, 각 자치 도시는 교황파와 황제파(구엘프당과 기벨린당)로 나뉘어 서로 적대했다. 피렌체는 구엘프당에 속했으며, 단테 또한 구엘프당원으로서 피렌체 시정에 참여했다. 1289년 캄팔디노 전투에서 양당의 군세가 패권을 다투며 전투를 벌였고, 단테도 구엘프당 기병대 일원으로 참전했다.

구엘프당은 이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내부 갈등으로 "백당"과 "흑당"으로 분열되었다. 단테는 백당에 속했고, 1300년 백당의 최고 행정 기관인 프리오라토를 구성하는 통령(프리오레)중 한명으로 임명되었다.

1301년 흑당이 정변을 일으켜 피렌체는 흑당의 세력 하에 놓이게 되었다. 당시 단테는 교황청에 특사로 파견되어 피렌체 시 외곽에 있었지만, 흑당이 장악한 피렌체에서는 백당 세력에 대한 탄압이 시작되었고, 단테 또한 부재중 재판에서 기소되어 시외 추방과 벌금형을 선고받았다. 단테는 이 판결에 불복하여 벌금을 내지 않았기 때문에 영구 추방을 선고받았으며, 다시 피렌체에 발을 들여놓으면 화형에 처해질 처지가 되었다. 이렇게 단테의 오랜 망명 생활이 시작되었다. 이후 단테는 고향 피렌체에 다시는 발을 들여놓지 못했다.

정쟁에서 패하여 피렌체에서 추방된 단테는 북부 이탈리아 각 도시를 떠돌아다녔다. 그 과정에서 백당 동지들과도 뜻이 맞지 않아 결별하고, "일인 일당"을 내세웠다. 이 경험은 단테에게 매우 고통스러운 것이었으며, 『신곡』에도 "남의 빵이 얼마나 쓰디쓴지 알게 될 것이다"라고 예언 형태로 기록되어 있다.

2. 4. 망명 생활과 죽음

단테는 1300년 피렌체 시협의회 회장(Priorat)직을 맡아 1303년까지 정치 활동에 적극 참여했다. 그는 피렌체가 로마 교황의 세력에 들어가지 않게 하기 위해 교황을 옹호하는 구엘프를 지지하여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를 받드는 기벨린과 대립했다.

기벨린의 승리로 전쟁은 끝났지만, 구엘프는 흑당과 백당으로 나뉘어 다시 전쟁을 벌였다. 흑당은 교황 보니파시오 8세의 야심을 이용해 백당을 패배시키고 단테를 추방했으며, 이때부터 단테의 기나긴 망명 생활이 시작되었다.

단테는 백당의 남은 사람들과 함께 흑당을 무찔러 피렌체를 탈환하려 했지만 모두 실패했고, 단테만이 백당의 일원으로 남게 되었다. 이후 고국에서 과오를 인정하면 사면해 주겠다는 조건부 사면령이 내려졌지만, 단테는 이를 치욕으로 여겨 거부했다. 결국 흑당은 단테에게 사형을 선고하는 궐석 재판을 열었다.

단테는 라벤나로 가 귀도 노벨로의 비호를 받으며 말라리아로 생을 마감했다. 하지만 죽은 후에도 고향 피렌체로 돌아오지 못하고 라벤나에 안장됐다.

단테의 마지막 날들은 라벤나에서 보냈다. 그는 1318년 도시의 통치자였던 귀도 2세 다 폴렌타의 초청으로 라벤나에 머물게 되었다. 단테는 1321년 9월 14일, 약 56세의 나이로 사일 말라리아로 사망했다. 그는 베네치아 공화국으로의 외교 사절단 파견에서 돌아오는 길에 말라리아에 걸렸다. 그는 라벤나의 산 피에르 마조레 교회(후에 산 프란체스코 성당으로 불림)에 매장되었다. 베르나르도 벰보(베네치아집정관)는 1483년에 그를 위한 묘소를 세웠다.[42][43]

묘비에는 단테의 친구인 베르나르도 카나치오의 시구가 피렌체를 향해 새겨져 있다.

1329년, 베르트랑 뒤 푸제 추기경이자 요한 22세의 조카는 단테의 『모나르키아』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그의 유골을 화형에 처하려 했다. 푸제와 동맹을 맺었던 오스타시오 1세 다 폴렌타와 피노 델라 토사는 단테의 유해 파괴를 막기 위해 중재했다.



피렌체는 결국 단테를 추방한 것을 후회하게 되었다. 도시는 그의 유해 반환을 여러 차례 요청했다. 라벤나의 유해 관리자들은 거절했으며, 한때 수도원의 허위 벽 속에 유골을 숨기기까지 했다. 피렌체는 1829년 산타 크로체 성당에 단테를 위한 묘소를 건립했다. 그 묘소는 그 이후로 빈 채로 남아 있으며, 단테의 유해는 라벤나에 남아 있다. 피렌체에 있는 그의 묘비 앞면에는 "가장 고귀한 시인에게 경의를 표하라"는 뜻의 ''Onorate l'altissimo poeta''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신곡』 지옥편 제4곡의 인용구이다.[44]

1945년, 파시스트 정부는 단테의 유해를 발텔리나 요새, 즉 이탈리아 사회공화국이 연합군에 대한 최후의 저항을 준비했던 알프스 계곡으로 옮기는 것을 논의했다. "이탈리아성의 가장 위대한 상징"이 파시즘의 "영웅적인" 종말에 함께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결국 어떠한 조치도 취해지지 않았다.

소위 단테의 사후 가면 복제품은 1911년부터 베키오 궁전에 전시되어 있다. 오늘날 학자들은 그것이 진짜 사후 가면이 아니며, 아마도 1483년 피에트로와 툴리오 롬바르도에 의해 조각되었을 것으로 믿고 있다.[45]

단테가 『신곡』 3부작의 집필을 시작한 것은 1307년경으로, 여러 도시를 홀로 떠돌아다니던 시기였다. 특히 단테가 어린 시절 만나 24세에 요절한 베아트리체를 『신생』에 이어 『신곡』에서도 더욱 찬미하며 영원한 여인으로 남긴 점은 베아트리체의 존재를 문학사에 영원히 남게 했다.

『신곡』은 지옥편, 연옥편이 순차적으로 완성되었고, 천국편 집필은 서간(書簡)으로 보아 1316년경으로 추정된다. 『신곡』이 완성된 것은 죽기 직전인 1321년이다. 단테는 1318년경부터 라벤나(Ravenna)의 영주 밑에서 몸을 의탁하며 마침내 안정된 삶을 얻었다. 라벤나에 자녀들을 불러 함께 살게 된 단테는 평생을 바쳐 집필한 『신곡』에 매달렸다. 그리고 1321년 『신곡』 전편을 완성했지만, 그 직후 외교 사절로 파견된 베네치아로 가는 긴 여정 중에 걸린 말라리아로 1321년 9월 13일에서 14일 사이 밤에 사망했다. 타지에서 죽은 단테의 무덤은 지금도 라벤나에 있으며[93], 산 프란체스코 성당 근처에 작은 영묘가 세워져 있다. 피렌체는 수세기에 걸쳐 라벤나에 단테의 유골 반환을 요구하고 있지만, 라벤나는 이에 응하지 않고 있다.

3. 작품 세계

단테의 대표작은 《신곡》이며, 그 외에도 라틴어로 쓰여진 수필, 청년기의 시집이 다수 있다. 청년기에는 로맨틱한 스틸 노보 (Stil Novo) 풍의 연애시를 많이 썼으나, 피렌체 추방 이후 《신곡》, 《향연》, 《토착어에 관하여》 등 대표작들이 쓰여졌다.[104]

망명 중 이탈리아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여러 편의 시와 논문을 썼다.[104] 《신생》은 18세 때부터 그 후 7-8년간에 걸쳐 완성한 것으로, 베아트리체에 대한 사랑을 중심으로 다룬 이탈리아어 최초의 중요 문헌이다. 《토착어에 관하여》(De Vulgare Eloquentia)는 이탈리아 토착어를 언어학적으로 분석한 최초의 작품으로 간주되나, 라틴어로 쓰여졌다. 이는 군주들에게 국가의 효율적 지배를 위해 단일된 토착어 보급이 중요하다고 역설하며, 언어를 통한 이탈리아 통일을 최초로 언급한 책으로 생각된다.

단테는 자신의 아내가 아닌, 한 번도 소유하지 못하고 끝나버린 여성에 대한 불타는 사랑을 원동력으로 《신곡》에 뒤지지 않는 유명한 연애시도 썼다. 그는 "내 마음의 여주인"인 베아트리체를 열정적으로 사랑했다.

단테의 문학 작품 대부분은 1301년 망명 이후에 쓰였다. 《신생》(La Vita Nuova)은 그 이전에 쓰인 유일한 주요 작품으로, 산문 해설이 붙은 서정시(소네트와 노래) 모음집이며, 당시 관습처럼 필사본 형태로 유통되도록 의도되었다.[69] 이 작품에는 베아트리체 포르티나리에 대한 그의 사랑 이야기가 담겨 있다.

프랑스어에서는 이탈리아어를 때때로 "단테의 언어"(''la langue de Dante'')라고 부른다. 단테는 전례, 역사, 학문, 서정시 등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라틴어 대신 토착어로 출판함으로써, 제프리 초서, 조반니 보카치오와 함께 로마 가톨릭 서유럽에서 최초로 이 기준에서 벗어난 작가 중 한 명이 되었다.

단테의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85][86]

제목원제출판 연도비고
『일 피오레』와 『데토 다모레』Il Fiore'Detto dAmore''1283년–1287년"꽃"과 "사랑 이야기"
신생La Vita Nuova1294년"새로운 삶"
속어에 관하여De vulgari eloquentia1302년–1305년"속어의 우아함에 관하여"
향연Convivio1307년"향연"
군주론Monarchia1313년"군주정"
목가Eclogues1320년
물과 땅에 관한 문제Quaestio de aqua et terra1320년"물과 땅에 관한 질문"
리메Le Rime"운율들"


3. 1. 신곡

단테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신곡》이며, 지옥( ''Inferno''), 연옥(''Purgatorio''), 천국(''Paradiso'')을 여행하는 과정을 묘사하고 있다. 그는 처음에는 로마 시인 베르길리우스의, 그 후에는 베아트리체의 인도를 받는다.[71] 내용은 단테가 베르길리우스에 이끌리어 지옥에 가고, 지옥보다는 고통이 덜한 연옥을 지나, 끝으로 베아트리체에게 안내되어 천국에 간다는 기독교 사상에 기반한 이야기인데, 그 생생한 묘사가 근세 문학을 낳게 하였다. 이 중 ''연옥''은 ''지옥''보다 더 현대적인 시인과 예술가들을 언급하며 세 작품 중 가장 서정적인 작품으로 여겨지고, ''천국''은 가장 신학적인 내용을 담고 있으며 많은 학자들이 ''신곡''의 가장 아름답고 신비로운 구절들이 여기에 있다고 주장한다.[72]

연옥의 산과 피렌체 도시 사이에 서 있는 단테가 도메니코 디 미켈리노의 1465년 피렌체 그림 세부 묘사에서 ''Nel mezzo del cammin di nostra vita''라는 서두를 보여주고 있다.


''신곡''은 그 엄숙한 목적, 문학적 위상, 그리고 내용의 스타일과 주제 면에서 폭넓은 범위로 인해 이탈리아어가 확립된 문학 언어로 발전하는 데 초석이 되었다. 단테는 당시의 라틴어 문학의 한계를 넘어서서 이탈리아어 방언의 다양성과 통일된 문학 언어를 창출할 필요성을 대부분의 초기 이탈리아 작가들보다 더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자신의 언어를 "이탈리아어"라고 불렀는데, 어떤 의미에서는 주로 토스카나 지방 방언을 기반으로 하지만 라틴어와 다른 지역 방언의 요소가 포함된 통합된 문학 언어였다.[73] 그는 평신도, 성직자, 다른 시인들을 포함한 이탈리아 전역의 독자들에게 다가가는 것을 의도적으로 목표로 삼았다. 서사적 구조와 철학적 목적을 가진 시를 창작함으로써 그는 이탈리아어가 최고 수준의 표현에 적합함을 증명했다.

라파엘 플로레스가 그린 1855년 ''지옥''에 묘사된 지옥을 방문하는 단테와 베르길리우스


단테는 행동만이 사람들을 비참함으로부터 행복으로 이끌어올릴 수 있다고 설파한 뒤, 비길데 없는 시구(詩句)로 씌여진 자신의 작품을 "코메디아"라고 했다. 당시 결말이 행복하게 끝나는 작품은 희곡(코메디)라고 하였기 때문이다. 그는 자신의 표현 방법을 "볼품없고 저급한" 것이라고 변명했으나 자신의 작품에 대해 자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그것은 곧 "여자들도 서로 대화를 주고받을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언어"였던 것이다. 당시 문화어인 라틴어를 사용하지 않고 속어인 이탈리아어를 사용한 것은 《신곡》에 담긴 중세적인 카타르시스와 구원의 메시지를 일반 대중들에게도 널리 알리려는 뜻이었다.

고전적인 의미에서 "코미디"라는 단어는 질서 정연한 우주에 대한 믿음, 즉 사건들이 행복하거나 재미있는 결말뿐만 아니라 모든 것을 궁극적인 선으로 이끄는 섭리적인 의지의 영향을 받는 결말을 향하는 경향이 있는 작품을 가리킨다. 단테 자신이 칸그란데에게 보낸 편지에서 썼다고 알려진 이 단어의 의미에 따르면, 지옥에서 천국으로 이어지는 순례의 진행은 코미디의 전형적인 표현이다. 왜냐하면 이 작품은 순례자의 도덕적 혼란으로 시작하여 신의 비전으로 끝나기 때문이다.[75]

단테가 『신곡』 3부작의 집필을 시작한 것은 1307년경으로, 여러 도시를 홀로 떠돌아다니던 시기였다. 『신곡』에는 베아트리체에 대한 숭배에 가까운 찬미와 자신을 추방한 흑당과 부패한 피렌체에 대한 통렬한 비난, 이상적인 제정(帝政) 이념, 그리고 ‘삼위일체’ 신학까지 담겨 있으며, 단테 자신의 파란만장한 삶과 정신적 성장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단테가 어린 시절 만나 24세에 요절한 베아트리체를 『신생』에 이어 『신곡』에서도 더욱 찬미하며 영원한 여인으로 남긴 점은 베아트리체의 존재를 문학사에 영원히 남게 했다.

『신곡』은 지옥편, 연옥편이 순차적으로 완성되었고, 천국편 집필은 서간(書簡)으로 보아 1316년경으로 추정된다. 『신곡』이 완성된 것은 죽기 직전인 1321년이다.

3. 2. 기타 저서

단테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신곡》이며, 그 외에도 라틴어로 쓰여진 수필과 청년기에 쓴 시집이 다수 있다. 청년기에는 로맨틱한 스틸 노보 (Stil Novo) 풍의 연애시를 많이 썼으나, 피렌체에서 추방된 이후부터 《신곡》, 《향연》, 《토착어에 관하여》 등 대표작들이 쓰여졌다.[104] 망명 중에는 이탈리아 여러 곳을 돌아다니며 생활했고, 여러 편의 시와 논문을 썼다.[104] 단테의 문학 작품 대부분은 1301년 망명 이후에 쓰였다. La Vita Nuovait (신생)은 그 이전에 쓰인 유일한 주요 작품으로, 산문으로 된 해설이 붙은 서정시(소네트와 노래) 모음집이며, 당시 관습처럼 필사본 형태로 유통되도록 의도된 것으로 보인다.[69]

단테의 주요 작품들은 다음과 같다.[75]

  • Convivioit (향연)[76]: 그의 가장 긴 시들을 모아 놓은 것으로 (미완성된) 우화적 해설이 붙어 있다.
  • Monarchiala (군주론)[77]: 라틴어로 쓰인 정치 철학에 대한 요약 논문이다.
  • De vulgari eloquentiala (토착어에 관하여)[81]: 토착어 문학에 대한 논문이다.
  • Quaestio de aqua et terrala (물과 땅에 관한 문제): 지구의 육지와 바다의 배열에 대해 논하는 신학적 작품이다.
  • ''목가시'': 시인 조반니 델 비르질리오에게 보낸 두 편의 시이다.
  • Il Fioreit ("꽃")과 Detto d'Amoreit ("사랑 이야기"): 그의 알려진 작품 중 가장 초기의, 그리고 가장 초보적인 작품일 것이다.[84]
  • Le Rimeit (리메): 사후에 출판된 여러 시들의 모음집이다.


제목원제출판 연도비고
『일 피오레』와 『데토 다모레』Il Fiore'Detto dAmore''1283년–1287년"꽃"과 "사랑 이야기"
신생La Vita Nuova1294년"새로운 삶"
속어에 관하여De vulgari eloquentia1302년–1305년"속어의 우아함에 관하여"
향연Convivio1307년"향연"
군주론Monarchia1313년"군주정"
신곡Divine Comedy1320년
목가Eclogues1320년
물과 땅에 관한 문제Quaestio de aqua et terra1320년"물과 땅에 관한 질문"
리메Le Rime"운율들"


  • 『새로운 삶』(La Vita Nuova): 1293년경에 쓰여졌으며, 소네트 25편, 칸초네 5편, 발라타 1편 등 총 31편의 시로 이루어진 시집이다. 베아트리체의 요절이라는 비보를 듣고 혼란에 빠진 단테가 생전 베아트리체를 찬미한 시 등을 모아 엮은 것이다.
  • 신곡』(La Divina Commedia): 1307년경부터 1321년까지 쓰여진 대표작인 서사시이다. 지옥편, 연옥편, 천국편의 3부로 구성된다. 저자인 단테 자신이 육신 그대로 저승 세계를 떠돌아다니며 지옥, 연옥, 천국의 삼계를 순례한다는 내용이다.
  • 『향연』(Il Convivio): 1304년에서 1307년까지 쓰여졌으며, 서장과 14편의 칸초네 및 주석으로 이루어진 총 15권의 대작으로 구상되었으나, 제4권에서 중단되었다. 단테의 윤리관이 담긴 "지식의 향연"은 당시의 백과사전으로 편찬된 것으로 여겨진다.
  • 『속어론』(De Vulgari Eloquentia): 1304년에서 1307년까지 쓰여졌으며, 단테의 모국어인 이탈리아어에 대해 고찰한 라틴어 논문이다. 언어 문제를 다루며, 규범적인 "문어"와 유동적인 "속어"를 구별했다. 이탈리아어 방언 중에서 문어의 높이에 이를 수 있는 것을 찾고, 토스카나 지방의 방언을 그 후보로 제시한다.
  • 『제국론』(De Monarchia): 1310년에서 1313년 사이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며, 전 3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테 자신의 정치 이념을 나타낸 것으로, 황제의 정의와 종교적 권위의 분리 등에 대해 논한다.

4. 한국에 미친 영향

Dante Alighieriit의 작품과 사상은 한국 문학과 문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그의 대표작인 《신곡》은 종교, 철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특히 교토대학교에는 단테 연구가 오가 스키요시가 수집한 단테 관련 장서 컬렉션이 소장되어 있다.

4. 1. 단테 연구

단테 연구가인 오가 스키요시(大賀寿吉, 1870~1937)가 수집한 약 3000권의 단테 관련 장서 컬렉션이 교토대학교 부속도서관에 기증되었다.[100] 문고명은 오가의 호(號)인 旭江(큐코)에서 유래한다. 오가는 오카야마 출신으로, 다케다제약에 근무하면서 원서뿐만 아니라 신문, 잡지 기사에 이르기까지 단테와 관련된 모든 것을 수집했다. 다케다제약의 섭외고문 시절에는 개인 비용으로 유럽과 미국에서 귀중한 단테 관련 서적을 의약품과 함께 수입했는데, 당주인 5대 다케다 쵸베에는 이를 묵인했다.[101] 오가는 단테 연구를 통해 야마카와 헤이사부로(山川丙三郎)와 교토대학교 교수진은 물론, 베네데토 크로체(Benedetto Croce)와 아놀드 J. 토인비(Arnold J. Toynbee) 등과도 교류가 있었다.[102]

5. 평가

조반니 보카치오가 1348년 이후에 쓴 Vita di Danteit (Trattatello in laude di Danteit로도 알려짐)는 단테에 관한 최초의 공식적인 전기이다.[46] 현대 연구에 따르면 이 전기의 몇몇 진술과 에피소드는 신뢰할 수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단테의 삶과 작품에 대한 초기 기록은 피렌체 연대기 작가 조반니 빌라니의 Nuova Cronicait에 포함되어 있었다.[47]

16세기 존 베일과 존 폭스 등 일부 영국의 개신교도들은 단테가 교황에 대한 반대로 인해 초기 개신교도라고 주장했다.[48][49]

19세기에는 중세 부흥과 낭만주의의 영향으로 "단테 부흥"이 일어났다.[50] 토마스 칼라일은 저서 ''영웅과 영웅숭배 그리고 역사 속의 영웅적인 것''(1841)에서 단테를 "세계적으로 심오하기 때문에 위대한 것이다… 단테는 중세의 대변자이며, 그들이 믿었던 사상이 여기에 영원한 음악으로 서 있다."라고 묘사했다.[51] 레이 헌트, 헨리 프랜시스 캐리,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는 당시 단테의 번역가들 중 한 명이었다.

뉴욕시 맨해튼의 단테 공원에 있는 단테 동상




1913년에 완성된 이탈리아의 첫 번째 드레드노트 전함은 그를 기리기 위해 ''단테 알리기에리''로 명명되었다.[52]

1921년, 단테 사후 600주년을 기념하여 베네딕토 15세는 In praeclara summorumla이라는 회칙을 발표하여 단테를 "가톨릭 신앙이 자랑할 수 있는 많은 유명한 천재들 중 한 명"이자 "인류의 자랑이자 영광"이라고 칭했다.[53]

1965년, 바오로 6세는 단테의 인물과 시에 헌정된 motu propriola 제목의 Altissimi cantusla 라틴어 문서를 발표했다.[56] 같은 해 교황은 그의 탄생 700주년을 맞아 라벤나에 있는 단테의 매장지에 금으로 된 철 그리스 십자가를 기증했다.[57][58] 같은 십자가는 2020년 10월 프란치스코에 의해 축복받았다.[59]

2007년에는 단테의 얼굴을 재구성하는 협력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피사 대학교의 예술가들과 포리볼로냐 대학교 법의학 기술자들이 모델을 제작하여 단테의 얼굴 특징을 이전에 생각했던 것과 다소 다르게 묘사했다.[60][61]

2008년 피렌체 시는 700년 전 단테를 추방한 것에 대해 공식적으로 사과했다.[62][63][64][65] 2021년에는 피렌체에서 사후 명예 회복을 위한 상징적인 재판이 온라인으로 열렸다.[66]

2015년 단테 탄생 750주년을 기념하여 이탈리아 공화국 상원에서 기념 행사가 열렸다. 여기에는 프란치스코 교황의 기념사도 포함되었으며, 기념일에 맞춰 사도 서한 Cando lucis aeternaela를 발표하기도 했다.[67][68]

단테의 명성은 생전에는 라벤나라는 망명지에만 머물렀지만,[94] 점차 이탈리아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1340년에는 『신곡』의 최초 주석서가 저술되었으며,[94] 1350년경에는 한때 단테를 추방했던 피렌체에서도 받아들여지게 되었다.[95] 조반니 보카치오는 단테의 최초 찬미자 중 한 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1373년에는 피렌체 시의 초청으로 세계 최초의 단테 관련 강연회를 여는 등 단테의 재평가와 보급에 큰 역할을 했다.[96]

그러나 르네상스기가 끝난 이후, 이탈리아에서 단테가 오랫동안 잊혀졌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탈리아의 낭만주의 시인 알피에리에 따르면, 이탈리아에서 『신곡』을 읽은 사람이 30명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 스탕달에 따르면 1800년경 단테는 경멸받았다고 기록할 정도였다.[97]

괴테도 단테 작품에 친숙했지만, 『이탈리아 기행』에서 단테를 언급하는 것은 거의 없다. 그는 단테를 위대하다고 인정하면서도 "단테의 불쾌한, 종종 혐오스러운 위대함"[98]이라고 부정적인 평가를 자주 내렸다. 프랑스의 고전주의 작가나 비평가들은 단테를 거의 무시했으며, 생토브와 화가 들라크루아 등 낭만주의 시대에 이르러서야 재평가되었다.

이탈리아에서는 통일 운동과 민족주의의 고양으로 단테가 주목받게 되었고, 1865년에 국가 주최의 단테 기념제를 통해 현재와 같은 이탈리아 국민 최고의 정신적 대표자로서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참조

[1] 서적 Dante Dictionary of the Middle Ages
[2] 서적 Dante: storia di un visionario Gius. Laterza & Figli 2009
[3] 웹사이트 Dante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5-20
[4] 웹사이트 Dante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5] 서적 Letters
[6] 웹사이트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04-30
[7] 서적 Giovanni Boccaccio, a Biographical Study http://www.gutenberg[...] 1910
[8] 서적 The Western Canon https://archive.org/[...] Riverhead Books
[9] 웹사이트 Dante Alighieri – Biography, Poems, & Facts https://www.britanni[...] 2023-05-09
[10] 서적 Icons of the Middle Ages: Rulers, Writers, Rebels, and Saints Greenwood Pub Group
[11] 서적 Icons of the Middle Ages: Rulers, Writers, Rebels, and Saints Greenwood 2012
[12] 서적 Human accomplishment: the pursuit of excellence in the arts and sciences, 800 B.C. to 1950 https://archive.org/[...] HarperCollins 2003
[13]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Dante's 'Commed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14] 웹사이트 Alla 'Casa di Dante' a Roma si celebra il Sommo Poeta https://www.raicultu[...]
[15] 학술지 Giotto's Portrait of Dante? http://www.jstor.com[...] 1979
[16] 백과사전 Alighieri, Dante https://www.treccani[...] Istituto dell'Enciclopedia Italiana
[17] 사전 Alighieri, Dante http://www.treccani.[...] Enciclopedia Italiana
[18] 웹사이트 Beatrice and Dante Alighieri > A Love Story https://www.florence[...] 2016-12-14
[19] 서적 Delphi Complete Works of Dante Alighieri Delphi Classics
[20] 서적 Dante: Poet, Author, and Proud Florentine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21] 서적 The Sun and the other Stars of Dante Alighieri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Pte. Ltd.
[22] 웹사이트 Dante Alighieri https://www.poets.or[...] Academy of American Poets
[23] 서적 Names and Naming in Young Adult Literature Scarecrow Press
[24] 서적 The Paradiso of Dante Alighieri https://archive.org/[...] J.M. Dent and Company
[25] 서적 Critical Companion to Dante Infobase Publishing
[26] 웹사이트 Guelphs and Ghibellines https://web.archive.[...] Dante Alighieri Society of Massachusetts
[27] 학술지 Medicine and Pharmacy in the Works of Dante Alighieri (1265–1321) 2022-04
[28] 웹사이트 Chronology https://www3.nd.edu/[...] University of Notre Dame
[29]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Dante Oxford University Press
[30] 서적 Cronica delle cose occorrenti ne' tempi suoi
[31] 뉴스 Dante's infernal crimes forgiven http://www.telegraph[...] 2008-06-17
[32] 서적 A Translation of Dante’s Eleven Letters https://archive.org/[...] Houghton, Mifflin 1891
[33] 서적 Exiles of Eternity: An Exposition of Dante's Inferno https://books.google[...] Hodder and Stoughton 1903
[34] 서적 The Convivio of Dante Alighieri https://archive.org/[...] London : J. M. Dent and Co. 1903
[35] 웹사이트 Francesco Daccorso http://www.bookrags.[...] Bonniers 1967
[36] 웹사이트 L'Officiolum ritrovato di Francesco da Barberino http://www.spolia.it[...] 2012-08-18
[37] 웹사이트 Cangrande della Scala – 'Da molte stelle mi vien questa Luce' https://www.danteali[...] 2021-02-01
[38] 웹사이트 Le famiglie Brunacci http://www.brunacci.[...] 2017-03-27
[39] 서적 History of Italian Philosophy: VIBS https://books.google[...] Rodopi 2017-03-27
[40] 웹사이트 The testimonies of the chronicles http://www.e-theca.n[...] 2011-05-09
[41] 웹사이트 Dante Gets a Bit of Justice, 700 Years After His Death https://www.courthou[...] Courthouse News Service 2021-05-21
[42] 뉴스 Dante: the battle of the bones https://www.theflore[...] 2017-04-10
[43] 웹사이트 Italy Magazine, Dante's Tomb https://www.italymag[...] 2017-10-31
[44] 뉴스 Dante's last laugh: Why Italy's national poet isn't buried where you think he is. https://www.thelocal[...] 2019-09-04
[45] 웹사이트 Dante death mask https://www.florence[...] 2013-07
[46] 웹사이트 Dante Alighieri http://www.newadvent[...] The Catholic Encyclopedia 2010-05-02
[47] 서적 Encyclopedia of the Middle Ages Fitzroy Dearborn Publishers
[47] 서적 Dante, the Critical Heritage, 1314(?)–1870 Routledge
[48] 서적 Dante's Fame in England: References in Printed British Books, 1477–164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1999
[4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Foxe's Book of Martyrs https://www.newadven[...] 2022-01-13
[50] 서적 19th Century: A History of English Romanticism by Henry Augustin Beers
[51] 서적 On Heroes, Hero-Worship, and the Heroic in History
[52] 웹사이트 Italian dreadnought battleship Dante Alighieri (1910) https://www.naval-en[...] 2019-07-21
[53] 웹사이트 ''In praeclara summorum'': Encyclical of Pope Benedict XV on Dante https://www.vatican.[...] 2014-11-07
[54] 간행물 Arte y artistas españoles en el Ecuador 2006
[55] 간행물 Ecuador en el Centenario de la Independencia https://go.gale.com/[...] 2006
[56] 웹사이트 Altissimi cantus http://www.vatican.v[...]
[57] 웹사이트 Dante Alighieri's tomb https://www.turismo.[...]
[58] 웹사이트 Pope Francis: The fascination of God makes its powerful attraction felt https://www.vaticann[...] 2020-10-10
[59] 웹사이트 Papa Francesco annuncia alla delegazione ravennate la preparazione di un documento pontificio su Dante https://www.ravennan[...] 2020-10-11
[60] 뉴스 Dante gets posthumous nose job – 700 years on https://www.reuters.[...] 2007-01-12
[61] 간행물 The Face of the Poet Dante Alighieri, Reconstructed by Virtual Modeling and Forensic Anthropology Techniques
[62] 웹사이트 Florence sorry for banishing Dante https://www.upi.com/[...]
[63] 뉴스 A City's Infernal Dante Dispute http://content.time.[...] 2008-07-31
[64] 뉴스 Florence 'to revoke Dante exile' http://news.bbc.co.u[...] BBC 2008-06-18
[65] 뉴스 Firenze riabilita Dante Alighieri: L'iniziativa a 700 anni dall'esilio http://www.repubblic[...] 2008-03-30
[66] 웹사이트 Florence hosts 're-trial' of Dante, convicted and banished in 1302 https://www.dw.com/e[...] 2021-05-21
[67] 웹사이트 Messaggio del Santo Padre al Presidente del Pontificio Consiglio della Cultura in occasione della celebrazione del 750° anniversario della nascita di Dante Alighieri http://press.vatican[...] Press.vatican.va
[68] 웹사이트 Translator http://www.microsoft[...] Microsofttranslator.com
[69] 웹사이트 New Life http://www.danteonli[...] Dante online 2008-09-02
[70] 간행물 The Unfinished 'Convivio' as a Pathway to the 'Comedy' https://www.jstor.or[...] 1995
[71] 웹사이트 In the Heaven of Knowing: Dante's Paradiso https://theimaginati[...] The Imaginative Conservative 2014-08-10
[72] 웹사이트 The Way of Beauty in Dante https://www.dappledt[...] Dappled Things
[73] 백과사전 Dante
[74] 웹사이트 An Italian Icon https://www.fu-berli[...] Freie Universität Berlin 2021-09-14
[75] 웹사이트 Epistle to Cangrande Updated https://www.dantesoc[...]
[76] 웹사이트 Banquet http://www.danteonli[...] Dante online
[77] 웹사이트 Monarchia http://www.danteonli[...] Dante online
[78] 웹아카이브 The Monarchia Controversy https://web.archive.[...]
[79] 서적 La divina commedia di Dante Alighieri https://books.google[...]
[80] 학술지 Hans Kelsen on Dante Alighieri's Political Philosophy
[81] 웹사이트 De vulgari Eloquentia http://www.danteonli[...] Dante online
[82] 학술지 Dante's Theory of Language 1940
[83] 서적 Grammaires provençales de Hugues Faidit et de Raymond Vidal de Besaudun (XIIIe siècle) https://books.google[...] A. Franck
[84] 서적 The Dante Encyclopedia Garland
[85] 학술지 An Introductory Dante Bibliography https://www.jstor.or[...] 1920
[86] 웹아카이브 Dante Alighieri (1265–1321) https://data.bnf.fr/[...]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BnF Data}
[87] 웹사이트 Dante's House Museum https://www.museocas[...]
[88] 웹사이트 Dante Alighieri (1265–1321)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Special Collections https://library.prin[...]
[89] 웹사이트 Dante Collection https://www.ucl.ac.u[...] UCL Special Collections 2018-08-23
[90] 웹사이트 Divina Commedia, MS 428 [between 1385 and 1400] https://beinecke.lib[...] 2021-03-23
[91] 서적 すごい物理学講義 河出文庫
[92] 서적 チョーサー 中世イタリアへの旅 御茶の水書房 2003-07-10
[93] 서적 美しきイタリア 22の物語 光文社新書
[94] 서적 チョーサー 中世イタリアへの旅 御茶の水書房 2003-07-10
[95] 서적 チョーサー 中世イタリアへの旅 御茶の水書房 2003-07-10
[96] 서적 チョーサー 中世イタリアへの旅 御茶の水書房 2003-07-10
[97] 서적 ヨーロッパ文学とラテン中世 みすず書房
[98] 학술지 Proceedings: Butaclamol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a comparison of two treatment methods https://www.ncbi.nlm[...] 1976-01
[99] 서적 室内学入門 建築資料研究社
[100] 웹사이트 旭江文庫 https://www.kulib.ky[...] 京都大学図書館機構
[101] 웹사이트 東北学院の生んだ知られざる偉人山川丙三郎――ダンテ『神曲』翻訳を巡る旅 https://tohoku-gakui[...] 東北学院 2016-04-08
[102] 웹사이트 「旭江文庫」の生みの親大賀寿吉氏のこと http://hdl.handle.ne[...] 京都大学
[103] 서적 1992-12-10
[104] 서적 1992-12-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