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미술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미술사는 예술 작품과 관련된 역사적, 문화적 맥락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고대 그리스의 기록부터 시작하여, 조르조 바사리의 『예술가 열전』을 통해 체계적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후 요한 요아힘 빈켈만의 양식론, 조반니 모렐리의 감정 기술, 알로이스 리글과 하인리히 뵐플린의 양식론, 아비 바르부르크와 어윈 파놉스키의 이코놀로지 등 다양한 방법론이 발전해왔다. 20세기에는 마르크스주의, 정신분석학, 기호학, 페미니즘, 포스트식민주의 등 비판적 시각이 도입되었으며, 한국 미술사학은 일제강점기에 시작되어 민족 미술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했다. 미술사는 시대와 지역, 기법, 유형, 종교 등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되며, 동양, 서양,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세아니아 등 지역별 미술과 고대, 중세, 근대, 현대 등 시대별 미술로 나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술과 문화에 관한 - 벽화
    벽화는 벽면에 그림이나 장식을 하는 미술로, 고대 동굴벽화부터 현대 건축물 장식까지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 왔으며, 메시지 전달, 도시 미관 개선, 문화 다양성 표현의 수단이자 시대상을 반영하는 중요한 자료이다.
  • 미술사 - 빈 미술사 박물관
    빈 미술사 박물관은 합스부르크 가문의 소장품을 기반으로 설립되어 네오르네상스 양식으로 지어졌으며 회화, 고대 유물, 조각, 장식 예술, 동전 등 다양한 소장품을 전시하는 오스트리아 빈의 미술관이다.
  • 미술사 - 라스코 동굴
    라스코 동굴은 프랑스 도르도뉴 지방에 있는 동굴로, 후기 구석기 시대 크로마뇽인이 그린 벽화로 유명하여 발견 후 공개되었으나, 환경 문제로 폐쇄되었고, 현재는 복제 동굴이 공개되고 있으며, 벽화는 프랑코-칸타브리아 미술의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당시 인류의 생활과 문화를 보여준다.
  • 예술에 관한 - 르네상스 미술
    르네상스 미술은 14세기부터 16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미술 양식의 변화로, 고대 그리스·로마 문화 부흥을 바탕으로 인간 중심적 세계관과 사실적 표현 기법이 발달했으며, 회화, 조각, 건축 분야에서 다양한 발전을 이루었고,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 라파엘로 등의 거장들이 활약하며 유럽 각 지역에서 특색을 반영하여 발전했다.
  • 예술에 관한 - 현대 미술
    현대 미술은 19세기 후반 모더니즘의 실험 정신을 바탕으로 추상을 지향하며 시작되어 다양한 미술 운동을 거치면서 미술의 자율성과 순수성을 추구하며, 재료, 형태, 주제 등 다양한 특징을 갖지만 대중의 가치관과 상반된다는 비판과 예술에 대한 논쟁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다.
미술사
개요
분야미술품의 역사적 발전 연구
정의시각 예술품과 문화적 맥락을 연구하는 학문
목표미술품의 창작 배경과 의미 분석
시대별 미술 양식과 기술 변화 탐구
미술과 사회, 문화, 역사의 관계 규명
주요 연구 분야
미술 작품 분석양식 분석: 미술품의 형식적 특징 연구
도상학: 미술품에 나타난 상징과 의미 연구
재료 및 기법 분석: 미술품 제작에 사용된 재료와 기법 연구
미술가 연구미술가의 생애와 활동 연구
미술가의 작품 세계 분석
미술 사조 연구특정 시대의 미술 경향 연구
시대별 미술 양식 변화 연구
미술 사조 간의 상호 영향 연구
미술의 사회 문화적 맥락 연구미술과 사회, 문화, 역사와의 관계 연구
미술품의 수용 과정 및 사회적 기능 연구
방법론
역사학적 방법미술품의 역사적 배경과 연관성 분석
기록 자료 분석 (문헌, 편지, 일기 등)
유적 및 유물 분석
비평적 방법미술품의 미적 가치 평가
미술품에 대한 다양한 해석 제시
미술 비평 이론 적용
사회학적 방법미술과 사회 구조의 관계 연구
미술품의 사회적 의미 분석
미술 시장 및 미술 제도 연구
기호학적 방법미술품에 나타난 기호와 상징 분석
미술품의 의미 해석
주요 주제
서양 미술사고대 그리스 로마 미술
중세 미술
르네상스 미술
바로크 미술
로코코 미술
근현대 미술
동양 미술사한국 미술사
중국 미술사
일본 미술사
인도 미술사
동남아시아 미술사
그 외 지역의 미술사아프리카 미술
아메리카 원주민 미술
오세아니아 미술
건축사역사적 건축물 연구
건축 양식 연구
건축 기술 연구
조각사조각 작품 연구
조각 기법 연구
조각 사조 연구
공예사공예품 연구
공예 기법 연구
공예 사조 연구
미술사 학자
주요 학자요한 요아힘 빙켈만
하인리히 뵐플린
에르빈 파노프스키
마이어 샤피로
린다 노클린
참고 문헌
주요 서적곰브리치 서양미술사
케네스 클라크 서양 문명
호르스트 얀손 서양미술사
H.W. 잰슨의 미술사
기타
관련 학문미학
고고학
인류학
역사학
사회학
관련 기관미술관
박물관
대학교 미술사학과

2. 역사적 전개

2. 1. 고대 및 중세 시대

고대 그리스의 파우사니아스는 『그리스 안내기(ギリシア案内記)』를 통해 여행기와 예술 작품에 대한 기록을 남겼고, 플리니우스는 『자연사]』(서기 77~79년경)에서

2. 2. 르네상스 시대

바사리는 『예술가 열전』(1550)을 통해 예술가들의 전기와 시대별 발전을 체계적으로 서술하여 최초의 체계적인 미술사로 평가받는다.[28] 바사리는 예술의 진보와 발전을 강조했는데, 이는 이 분야에서 획기적인 사건이었다.[9] 그의 저술은 개인적이면서 역사적인 기록으로, 많은 수가 그의 동시대인이자 개인적인 지인이었던 개별 이탈리아 예술가들의 전기를 담고 있다. 그중 가장 유명한 인물은 미켈란젤로였다.

바사리는 체계적인 도상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기술을 확립했으며, 20세기의 「이코노로지」 연구의 요소를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도 알려져 있어 최초의 미술 평론가로도 불린다.[29] 바사리의 예술에 대한 생각은 엄청난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북유럽의 카렐 판 만더르의 ''쉴더보크''와 요아힘 폰 산드라르트의 ''도이체 아카데미''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에게 모범이 되었다. 바사리의 연구 방법 및 「열전」의 형식은 네덜란드의 카렐 판 만데르의 『화가의 책』 등에 계승되었다. 바사리의 접근 방식은 18세기까지 지속되었지만, 그 후 그의 역사적 전기적 서술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다.

넓은 의미에서의 미술사적 기술은 고대부터 존재했다. 파우사니아스의 『그리스 안내기』와 같은 여행기·안내기와, 플리니우스의 『박물지』에 나타나는 것과 같은 예술가·작품에 대한 기록이 그것이다. 이 두 가지 전통은 중세 유럽에서도 순례 안내나 르네상스 이후의 도시 안내기, 예술가의 전기 등의 형태를 취하여 존속했다.

2. 3. 18세기 ~ 19세기 후반: 방법론의 발전

빈켈만은 『고대 미술사』(1764)와 『그리스 예술 모방론』(1755)에서 양식론에 기반한 미술사상을 제시하고, 미술 비평의 개념을 도입했다.[10] 빈켈만은 바로크로코코 양식의 예술적 과잉을 비판했고, 보다 절제된 신고전주의를 선호하는 취향 개혁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는 "고대 예술의 시대를 처음으로 구분하고 양식의 역사를 세계사와 연결한 사람"으로 평가받는다.[10]

19세기 후반, 모렐리는 작품의 세부 묘사를 통해 작가를 특정하고 위작을 판별하는 감정 기술을 체계화했다.[30] 그는 개별 작품, 특히 회화에서 인물의 손발이나 귀 형태 등 세부 묘사에 화가의 특징이 나타난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서명이 없는 작품의 작가를 특정하거나 위작을 판별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콘학(도상학)은 기독교 고고학의 발전과 함께 미술 작품의 풍유적, 상징적 이미지를 해석하는 방법론으로 확립되었다.

2. 4. 20세기 전반: 양식론과 이코놀로지

알로이스 리글은 『말기 로마의 미술 공예』(1901)에서 장식 모티프의 분류법과 발전 법칙을 제시했다.[31] 이러한 양식론은 뵐플린에 의해 이론화가 진행되었고, 특히 그는 저서 『미술사의 기본 개념』(1915)에서 16세기의 「르네상스 양식」과 17세기의 「바로크」 양식을 다섯 가지의 대립 개념으로 정의했다.[32] 또한 뵐플린은 양식이 변화해 가는 원동력을 시대 정신이나 민족성, 개인의 재능에만 구하지 않고, 조형상의 형식 자체의 전개 속에서 파악했다.[33] 이는 앙리 푸시옹의 『형태의 생명』(1934) 등에 계승되었다.[33] 한편, 에밀 마르의 도상학 연구와 막스 드보르샤크의 정신사 연구의 축적을 거쳐, 바르부르크와 파놉스키는 새로운 방법론인 이코놀로지(도상 해석학)를 탄생시켰다.
아비 바르부르크, 1900년경
뵐플린 등이 대표하는 양식론은 미술 작품을 형태나 표현 형식과 같은 외형을 통해 분석하려고 했지만, 새로운 이코놀로지는 작품의 주제와 의미 그 자체에 주목한다. 도상을 상징적 가치를 지닌 것으로 파악하고, 작품을 낳은 문화 전체에 비추어 작품의 의미를 해독하려는 이코놀로지는 20세기 전반의 미술사에서 큰 세력을 형성했다.

3. 미술사 방법론

하인리히 뵐플린(1864–1945)은 양식 분석을 발전시킨 미술사학자로, 작품의 형식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시대별, 지역별, 작가별 양식을 구분하였다. 그는 미술사에 과학적인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심리학을 이용한 미술 연구, 비교를 통한 미술 연구, 국가 정체성 개념에 기반한 미술 연구라는 세 가지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그는 "이탈리아적인" 스타일과 "독일적인" 스타일을 구분하는 데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알브레히트 뒤러에 관한 그의 단행본에서 잘 드러난다.

어윈 파놉스키, 아비 바르부르크, 프리츠 삭슬, 게르트루트 빙 등 1920년대 함부르크에 모인 학자 그룹은 이코노그래피와 이코놀로지를 체계화하여, 작품에 나타난 도상의 의미와 상징을 해석하고 작품의 주제와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코노그래피는 성서와 신화와 같은 기록된 자료에서 유래한 예술의 주제를 가리키며, 이코놀로지는 특정 텍스트에서 유래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상징성을 가리키는 더 넓은 용어이다. 파놉스키는 고등연구소에서, 삭슬은 바르부르크 연구소에서 활동하며 이러한 방법론을 발전시켰고, 이는 미국 미술사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3. 1. 전통적 방법론

하인리히 뵐플린(1864–1945)은 양식 분석을 발전시킨 미술사학자로, 작품의 형식적 특징을 비교 분석하여 시대별, 지역별, 작가별 양식을 구분하였다. 그는 미술사에 과학적인 접근 방식을 도입하여 심리학을 이용한 미술 연구, 비교를 통한 미술 연구, 국가 정체성 개념에 기반한 미술 연구라는 세 가지 개념에 초점을 맞추었다. 특히 그는 "이탈리아적인" 스타일과 "독일적인" 스타일을 구분하는 데 관심을 가졌으며, 이는 알브레히트 뒤러에 관한 그의 단행본에서 잘 드러난다.

어윈 파놉스키, 아비 바르부르크, 프리츠 삭슬, 게르트루트 빙 등 1920년대 함부르크에 모인 학자 그룹은 이코노그래피와 이코놀로지를 체계화하여, 작품에 나타난 도상의 의미와 상징을 해석하고 작품의 주제와 문화적 맥락을 이해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코노그래피는 성서와 신화와 같은 기록된 자료에서 유래한 예술의 주제를 가리키며, 이코놀로지는 특정 텍스트에서 유래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상징성을 가리키는 더 넓은 용어이다. 파놉스키는 고등연구소에서, 삭슬은 바르부르크 연구소에서 활동하며 이러한 방법론을 발전시켰고, 이는 미국 미술사의 방향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3. 2. 현대적 방법론

20세기 중반, 미술사학자들은 비판적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사회사를 받아들였다. 그 목표는 예술이 사회의 권력 구조와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러한 비판적 접근 방식 중 하나가 마르크스주의였다. 마르크스주의 미술사는 예술이 특정 계급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이미지가 경제에 대한 정보를 어떻게 담고 있는지, 그리고 이미지가 현상 유지를 어떻게 자연스러운 것처럼 보이게 하는지(이데올로기)를 보여주려고 시도했다. [https://www.jstor.org/stable/428109?seq=2] 아놀드 하우저는 서양 미술에 대한 최초의 마르크스주의적 조사인 ''예술의 사회사''를 저술했다. 그는 계급 의식이 주요 미술 시대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보여주려고 시도했다. 이 책은 1951년에 출판될 당시 전체 시대에 대한 일반화(현재 "우경 마르크스주의(vulgar Marxism)"라고 불리는 전략) 때문에 논란이 되었습니다. [https://www.jstor.org/stable/40401356?seq=9] 마르크스주의 미술사는 T. J. 클라크, , 데이비드 쿤즐레, 테오도어 아도르노(Theodor W. Adorno) 및 막스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와 같은 학자들에 의해 정제되었다. T. J. 클라크는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글을 쓴 최초의 미술사학자로 우경 마르크스주의(vulgar Marxism)를 버렸다. 그는 인상파와 사실주의 예술가들을 포함하여 귀스타브 쿠르베(Gustave Courbet)와 에두아르 마네(Édouard Manet)에 대한 마르크스주의 미술사를 저술했다. 이 책들은 예술이 만들어진 정치적, 경제적 환경에 초점을 맞추었다.[17]

1909년 클락 대학교 앞에서 찍은 단체 사진. 앞줄: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그랜빌 스탠리 홀(Granville Stanley Hall), 칼 융(Carl Jung); 뒷줄: 아브라함 A. 브릴(Abraham A. Brill), 어니스트 존스(Ernest Jones), 산도르 페렌치(Sándor Ferenczi)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는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에 관한 책을 출판하면서 그의 심리와 성적 취향을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 레오나르도가 동성애자였을 것이라고 추론했다.[11] 칼 구스타프 융은 정신분석 이론을 예술에 적용하기도 했습니다. 융은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 영향력 있는 사상가이자 분석 심리학의 창시자였습니다. 융의 심리학적 접근 방식은 정신을 이해하기 위해 꿈, 예술, 신화, 세계 종교 및 철학의 세계를 탐구하는 것을 강조했다.[12] 그는 집단 무의식과 원형적 이미지가 예술에서 감지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13] 그의 작품은 꿈과 무의식에서 이미지를 그리는 초현실주의 개념에 영감을 주었다.

기호학(semiotics)은 의미가 어떻게 생성되는지에 관심을 갖는 반면, 이콘(iconography)은 의미를 식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함축적 의미(connoted meaning)와 직시적 의미(denoted meaning)는 이러한 조사에 매우 중요하다. 기호학적 미술사가의 주된 관심사는 함축적 의미를 탐색하고 해석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22] 미술사가들은 일반적으로 특정 기호학 이론에만 매달리지 않고 오히려 분석 도구 모음에 통합하는 혼합된 버전을 구성한다. 예를 들어, 마이어 샤피로(Meyer Schapiro)는 페르디낭 드 소쉬르(Ferdinand de Saussure)의 차별적 의미를 빌려 기호를 시스템 내에서 존재하는 방식으로 해석하려고 했다.[24]

페미니즘 미술사는 린다 노클린과 그리젤다 폴록 등이 주도한 방법으로, 여성 예술가의 작품과 여성 이미지를 분석하여 미술사 속의 성 불평등 문제를 제기한다. 린다 노클린(Linda Nochlin)의 에세이 "왜 위대한 여성 예술가는 없었을까?"는 1970년대 여성주의 미술사에 불을 지폈으며, 여성 예술가에 관한 가장 널리 읽히는 에세이 중 하나로 남아 있다.[18] 여성주의 미술사는 종종 캐롤 던컨(Carol Duncan)의 ''아비뇽의 처녀들'' 재해석과 같이 서구 미술 정전에 대한 비판적인 "재해석"을 제공한다.

포스트식민주의 미술사는 서구 중심의 미술사 서술을 비판하고, 비서구 지역의 예술과 문화적 정체성을 재조명한다. 양식론과 이코노그라피(iconography)를 중심으로 분석을 위한 관점과 기술을 심화시켜 온 미술사학은 20세기 후반에 큰 전환기를 맞았다. 특히 “거장의 걸작”이 주제나 표현 양식에 따라 시대를 구분하는 “카논(規範的作品)”으로 서술의 중심을 차지해 온 것에 대해서는, 강한 비판이 제기되었다.[34]

4. 한국 미술사학

한국 미술사학은 일제강점기에 민족의식을 고취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해방 이후에는 민족 미술의 정체성 확립과 현대 미술의 발전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4. 1. 일제강점기

4. 2. 해방 이후

4. 3. 현대 한국 미술사학의 과제

5. 시대와 운동 (서양 미술사)

미술사 학문은 전통적으로 시대와 지역을 기반으로 전문 분야 또는 집중 분야로 나뉘며, 매체를 기반으로 추가적으로 세분화된다.

서양 미술은 고대 고전, 중세, 르네상스, 바로크, 신고전주의, 낭만주의, 근대, 현대와 같은 시대로 나눌 수 있다.

6. 지역별 미술



동아시아 미술에는 중국, 일본, 한국, 티베트 등이 있다.

6. 1. 동아시아 미술

동아시아 미술에는 중국, 일본, 한국, 티베트 등이 있다.

6. 2. 남아시아 미술

6. 3. 동남아시아 미술

6. 4. 중동 미술

6. 5. 중앙아시아 미술

6. 6. 유럽 미술

유럽 미술은 다양한 문화와 시대를 반영하여 발전해왔다. 미노아, 키클라데스, 에트루리아, 다키아, 켈트, 스키타이 등 고대 문명의 미술이 그 시작이었다. 이후 그리스헬레니즘 시대에는 조각과 건축에서 뛰어난 발전을 이루었으며, 이베리아 미술도 독자적인 특징을 보였다. 로마는 그리스 미술의 영향을 받았지만, 실용적인 건축과 초상 조각에서 독자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중세 시대에는 비잔틴, 앵글로색슨, 오토, 바이킹, 루스 등 다양한 양식이 나타났다.

6. 7. 아프리카 미술

6. 8. 아메리카 미술

6. 9. 오세아니아 미술

7. 기법별 미술

8. 유형별 미술

9. 종교 미술

참조

[1]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Art https://yalebooks.co[...] 2024-07-12
[2] 웹사이트 What is art history and where is it going? (article) https://www.khanacad[...] 2020-04-19
[3] 간행물 What is the History of Art? http://www.historyto[...] 2017-06-23
[4] 서적 Art History versus Aesthetics Routledge 2006
[5] 웹사이트 The Historie of the World http://penelope.uchi[...] 2023-04-08
[6] 웹사이트 Dictionary of Art Historians http://arthistorians[...] 2010-01-25
[7] 서적 The Shorter Columbia Anthology of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https://books.google[...] 2010-01-25
[8] 웹사이트 Artnet artist biographies http://www.artnet.co[...] 2010-01-25
[9] 웹사이트 website created by Adrienne DeAngelis, currently incomplete, intended to be unabridged, in English. http://www.efn.org/~[...] 2010-01-25
[10]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Art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1] 웹사이트 The Moses of Michelangelo http://www.clas.ufl.[...] 1955
[12] 서적 Synchronicity null
[13] 서적 Archetypes and the Collective Unconscious null
[14] 서적 Jackson Pollock: An American Saga Clarkson N. Potter 1989
[15] 뉴스 Exhibitions: Revolution – Russian Art 1917–1932 null The Spectator 2017-02-18
[16] 서적 Art and Culture Beacon Press 1961
[17] 간행물 Preliminaries to a Possible Reading of Manet's Olympia 1980
[18] 간행물 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 1971-01
[19] 웹사이트 Feminist Art History Conference 2020 at American University https://artherstory.[...] 2021-02-18
[20] 웹사이트 Definition of denote https://www.dictiona[...] 2021-02-18
[21] 웹사이트 Definition of connote https://www.dictiona[...] 2021-02-18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Art History: A Critical Introduction to its Methods
[25] 서적
[26] 웹사이트 College Art Association http://www.collegear[...]
[27] 서적 美術史 小学館 2002
[28] 서적 ルネサンスの演出家ヴァザーリ 白水社 2011
[29] 간행물 Vasari's Vision of the History of Painting: Frescoes in the Casa Vasari, Florence 1984
[30] 서적 神話・寓意・徴候 せりか書房 1988
[31] 서적 末期ローマの美術工芸 中央公論美術出版 2007
[32] 서적 美術史の基礎概念 : 近世美術における様式発展の問題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0
[33] 서적 様式について 東京大学出版会 2001
[34] 서적 Art History: The Key Concepts Routledge 2006
[35] 서적 美術史の終焉? 勁草書房 199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