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잔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후잔트는 타지키스탄 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기원전 329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의해 건설되었다고 전해진다. 실크로드의 주요 거점이었으며, 페르시아 제국, 소그드인 등의 영향을 받았다. 아랍 제국에 의해 파괴된 후 이슬람화되었으며, 사만 왕조, 카라한 왕조, 몽골 제국 등 여러 세력의 지배를 받았다. 1866년 러시아 제국에 병합되었고, 소련 시기에는 레니나바트로 개명되었다가 소련 붕괴 후 원래 이름을 되찾았다. 현재 타지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며,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그드주 - 이스파라
이스파라는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국경 근처에 위치한 중앙아시아의 오래된 도시로, 역사적으로 상업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살구 과수원으로 유명하고, 현재는 산업 기업과 타지크인 인구로 구성되어 있다. - 수그드주 - 코니보돔
코니보돔은 타지키스탄에 위치한 도시로, 덥고 건조한 여름의 온대 습윤 기후와 스텝 기후를 보이며 연평균 기온 14°C, 강수량 465.5mm이고, 과거 코니보돔 구의 소재지였으며 현재는 본시와 6개의 자모아트로 구성되어 있고,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인물들을 배출했다. - 페르시아 - 아케메네스 제국
키루스 2세가 건설한 아케메네스 제국은 서아시아, 중앙아시아, 이집트까지 아우르는 광대한 영토를 통치하며 중앙 집권적 통치 체제, 사트라프를 통한 지방 통치, 조세 및 화폐 제도 정비, 관용 정책 등을 시행했으나, 왕위 계승 분쟁과 반란으로 쇠퇴하여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멸망했다. - 페르시아 - 발흐
발흐는 아프가니스탄 북부의 고대 도시로, 인도-이란 민족이 건설한 최초의 도시 중 하나이며, 조로아스터교 중심지이자 실크로드 요충지로서 다양한 문화와 종교의 영향을 받은 역사적인 도시이다. - 타지키스탄의 도시 - 두샨베
두샨베는 타지키스탄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로, 월요일에 열리는 바자르에서 유래된 페르시아어 이름을 가지며, 1929년 타지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도가 된 후 급성장하여 스탈리나바드로 개명되었다가 1961년 다시 두샨베로 변경, 현재는 중앙아시아의 외교 및 경제 중심지로서 현대화가 진행 중이다. - 타지키스탄의 도시 - 이스파라
이스파라는 타지키스탄,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스탄 국경 근처에 위치한 중앙아시아의 오래된 도시로, 역사적으로 상업적 발전을 이루었으며, 살구 과수원으로 유명하고, 현재는 산업 기업과 타지크인 인구로 구성되어 있다.
후잔트 | |
---|---|
위치 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후잔트 |
옛 명칭 | 레니나바드 |
위치 | 타지키스탄 북서부 |
주 | 수그드 주 |
면적 | 40 제곱킬로미터 |
도시권 면적 | 2,651.7 제곱킬로미터 |
해발고도 | 300 미터 |
시간대 | 타지키스탄 시간 (UTC+5) |
우편 번호 | 735700 |
지역 번호 | 00 992 3422 |
공식 웹사이트 | 후잔트 공식 웹사이트 |
인구 | |
총인구 (2019년) | 191,000명 |
도시 인구 | 770,000명 |
도시권 인구 | 1,001,700명 |
2022년 인구 | 198,700명 |
언어 | |
공용어 | 러시아어 (민족 간 의사소통) 타지크어 (국어) |
기타 정보 | |
로마자 표기법 | Khujand |
2. 역사
기원전 329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그리스인들을 데려와 현재의 후잔트 인근에 식민 도시를 건설했다는 것이 고전학파 역사학자들의 견해이다. 이 도시는 당대 토착민들과 잦은 마찰을 겪으며 성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곳을 키루스의 도시"라는 뜻의 "키로폴리스(Cyropolis, 라틴어: Kyroúpolis, 그리스어: Κυρούπολις)"라고 불렀다.
후잔트는 실크로드의 주요 길목이었으며, 중국 왕조들과 교류가 이어졌다. 중앙아시아 도시들은 상당 기간 페르시아 제국에 복속되어 있었고, 현재의 숱한 유물들도 페르시아 왕조, 즉 지금의 이란과 깊은 연관이 있다. 역사적으로도 왕조 내내 유명한 과학자와 시인이 많이 배출된 곳으로 알려져 있었다. 소그드인들의 대표적인 도시 중 하나이기도 했다.
8세기경 아랍 제국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이후에도 무역로와 국경 일대의 군사적 요충지로 유지되었고 이슬람화가 진행되었다. 10세기 이후 사만 왕조가 들어서면서 사만 왕조의 영토가 되었고, 페르시아계의 영역이 되었다. 이후 투르크 제족들의 이주로 투르크인의 통치를 받게 되었고, 발라사군에서 세워진 카라한 왕조, 서요, 화레즘 샤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1220년 몽골족의 침입에 저항했으나, 심한 핍박과 어려움을 겪었다. 차가타이 칸국, 티무르 왕조의 영향력 아래 있다가 코칸트 칸국의 영향력을 받게 되었다. 1866년 러시아 제국의 침공으로 중앙아시아 전역이 점령당하면서 또 한번의 변혁기를 겪었고, 수차례의 봉기나 반란이 나타났다.
1939년 10월 27일 블라디미르 레닌의 이름을 딴 레니나바트로 개명되었지만, 소련 붕괴 이후 원래의 이름을 되찾아 타지키스탄의 영역이 되었다.
2. 1. 고대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그리스인들을 데려와 기원전 329년 현재의 후잔트 인근으로 추정되는 곳에 식민 도시를 건설했다. 이 도시는 당대 토착민들과 잦은 마찰을 야기하며 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 고대를 거쳐 중국의 왕조들과 교류가 이어지면서 실크로드가 지나는 주요 길목이기도 하였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곳을 키루스의 도시"라는 뜻이 있는 "키로폴리스(Cyropolis, 라틴어: Kyroúpolis, 그리스어: Κυρούπολις)"로 불렀고, 라틴인들도 키로폴리스로 불렀다.[4]후잔트를 비롯한 중앙아시아 도시들은 상당 기간 페르시아 제국에 복속돼 있었으며, 현재의 숱한 유물들도 페르시아 왕조, 즉 지금의 이란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도 왕조 내내 유명한 과학자와 시인이 많이 배출된 곳으로 익히 알려져 있었다. 소그드인들의 대표적인 도시 중 하나이기도 했다.

기원전 6세기, 고대 페르시아인의 성채가 축조되었고,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를 키로폴리스(Κυρούπολιςgrc) 또는 키레스하타라고 불렀다.
기원전 329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그리스인의 식민지를 건설하여 '''알렉산드리아 에스카테'''(가장 외딴 알렉산드리아)라고 명명하고, 시르다리야 강 북쪽 스키타이에 대한 요새로 삼았다.[4] 이 도시는 북쪽 실크로드의 주요 중계 지점이 되었다.[5] 또한 문화 중심지가 되었고, 이 도시에서 여러 유명한 시인과 과학자들이 배출되었다.
로마 작가 쿠르티우스에 따르면, 알렉산드리아 울티마(가장 먼 알렉산드리아)는 기원전 30년까지 헬레니즘 문화를 유지했다.
2. 2. 중세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곳을 "키루스의 도시"라는 뜻이 있는 "키로폴리스(Cyropolis, 라틴어: Kyroúpolis, 그리스어: Κυρούπολις)"라고 불렀고, 라틴인들도 키로폴리스로 불렀다. 기원전 329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그리스인들을 데려와 이곳에 식민 도시를 건설했는데, 현재의 후잔트 인근으로 추정된다. 이 도시는 당대 토착민들과 잦은 마찰을 야기하며 성장했을 가능성이 높다.
후잔트는 소그드인들의 대표적인 도시 중 하나였으며, 실크로드가 지나는 주요 길목이었다. 상당 기간 페르시아 제국에 복속돼 있었으며 현재의 숱한 유물들도 페르시아 왕조, 즉 지금의 이란과 깊은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도 왕조 내내 유명한 과학자와 시인이 많이 배출된 곳으로 알려져 있었다.
8세기경 아랍 제국에 의해 철저히 파괴되었으나 그 이후에도 무역로나 국경 일대의 군사적 요충지로서 유지되었고 이때부터 이슬람화가 되었다. 8세기 초, 우마이야 칼리파의 쿠타이바 이븐 무슬림 지휘하에 있던 군대에 함락되었고, 압바스 칼리파에 편입되었다.[1] 9세기 후반, 다시 지역 통치로 회귀하여 사만 왕조에 편입되었다.[1] 10세기 이후에는 중앙아시아에서의 첫 이란계 국가인 사만 왕조가 들어서면서 사만 왕조의 영토가 되었고, 페르시아계의 영역이 되었다.
그러다가 투르크 제족들의 이주로 투르크인의 통치를 받고 발라사군에서 세워진 카라한 왕조로부터 서요, 화레즘 샤 왕조의 지배를 연속적으로 받게 된다. 999년에는 카라-카니드 칸국의 지배를 받았고, 1042년 카라-카니드의 분열 이후에는 처음에는 동부 카라-카니드의 일부였다가 나중에는 서부 카라-카니드로 넘어갔다.[1] 1137년에는 카라키탄이 정복했지만, 1211년에는 호라즘샤에게 넘어갔다.[1]
1220년 몽골의 침입에 저항하여 후잔트는 심한 핍박과 어려움을 겪었다. 14세기에는 차가타이 칸국의 일부였고, 14세기 후반에는 티무르 왕조에 편입되어 크게 번영했다.[1] 이후 셰이바니드 왕조가 후잔트를 합병했고, 1802년에는 코칸트 칸국에 점령당했지만, 1842년에 부하라가 다시 탈환했다가 몇십 년 후 러시아에 넘어갔다.[1]
2. 3. 근대
기원전 329년,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그리스인들을 데려와 현재의 후잔트 인근에 식민 도시를 건설했다는 것이 고전학파 역사학자들의 견해이다. 이 도시는 당대 토착민들과 잦은 마찰을 겪으며 성장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이곳을 "키루스의 도시"라는 뜻의 "키로폴리스(Cyropolis, 라틴어: Kyroúpolis, 그리스어: Κυρούπολις)"라고 불렀다.후잔트는 실크로드의 주요 길목이었으며, 중국 왕조들과 교류가 이어졌다. 중앙아시아 도시들은 상당 기간 페르시아 제국에 복속되어 있었고, 현재의 숱한 유물들도 페르시아 왕조, 즉 지금의 이란과 깊은 연관이 있다. 역사적으로도 왕조 내내 유명한 과학자와 시인이 많이 배출된 곳으로 알려져 있었다. 소그드인들의 대표적인 도시 중 하나이기도 했다.
8세기경 아랍 제국에 의해 파괴되었으나, 이후에도 무역로와 국경 일대의 군사적 요충지로 유지되었고 이슬람화가 진행되었다. 10세기 이후 사만 왕조가 들어서면서 사만 왕조의 영토가 되었고, 페르시아계의 영역이 되었다. 이후 투르크 제족들의 이주로 투르크인의 통치를 받게 되었고, 발라사군에서 세워진 카라한 왕조, 서요, 화레즘 샤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 1220년 몽골족의 침입에 저항했으나, 심한 핍박과 어려움을 겪었다. 차가타이 칸국, 티무르 왕조의 영향력 아래 있다가 코칸트 칸국의 영향력을 받게 되었다. 1866년 러시아 제국의 침공으로 중앙아시아 전역이 점령당하면서 또 한번의 변혁기를 겪었고, 수차례의 봉기나 반란이 나타났다.
1939년 10월 27일 블라디미르 레닌의 이름을 딴 레니나바트로 개명되었지만, 소련 붕괴 이후 원래의 이름을 되찾아 타지키스탄의 영역이 되었다.[7]
2. 4. 현대
1939년 10월 27일 블라디미르 레닌의 이름을 따 레니나바트로 개명되었지만, 소련 붕괴 이후 원래 이름을 되찾아 타지키스탄의 영역이 되었다.[16] 초기 소비에트의 중앙아시아 지배 기간 동안 후잔트는 1918년에 설립된 투르키스탄 ASSR의 일부였다. 1924년 국가 구획 원칙에 따라 투르키스탄 ASSR이 해체되자, 후잔트는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29년, 이전에 설립된 타지크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우즈베크 SSR 내에 포함됨)이 연방 수준의 공화국인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승격되었고, 충분한 수의 주민(바람직하게는 타이틀 민족 집단 출신)을 확보하기 위해 주로 타지크인이 거주하는 후잔트와 그 주변 지역이 소비에트에 의해 우즈베크 SSR에서 타지크 SSR로 이관되었다.타지크 SSR의 일부가 된 레니나바드는 공화국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지만, 역사적으로 더 도시화되고 번영했으며 상업적으로 중심적인 페르가나 계곡 내에 위치하고 인구 밀도가 높은 도시 중심지로서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후잔트와 그 지역은 새로 지정된 수도이자 급성장 도시인 두샨베/스탈리나바드보다 더 발전되고 국제적인 것으로 간주되기도 했다(후자는 1926년 타지크 SSR이 설립되었을 때 6,000명의 작은 도시였고 10년 후에는 200,000명이 넘는 주민이 거주하게 되었다).[8]
소련 붕괴와 타지키스탄의 독립 이후인 1992년에 도시는 원래 이름으로 돌아왔고, 계속해서 타지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로 남았다.
1996년, 이 도시에서는 아슈로프 시위가 발생했는데, 시민들은 에모말리 라흐모노프(에모말리 라흐몬) 대통령의 사퇴를 요구했다. 이러한 대규모 시위 이후, 주로 사소한 범죄로 장기 징역형을 선고받고 열악한 환경에서 생활하던 수감자들의 시위가 이어졌다. 이 시위는 후잔드 교도소 폭동으로 이어져 24명에서 150명 사이의 수감자가 사망했다.
2000년대 초, 후잔드의 많은 주민들은 물을 거의 또는 전혀 사용할 수 없었고, 사용할 수 있는 물조차도 음용이 불가능하여 끓여 마셔야 했다. 2004년, 스위스 경제부와 유럽부흥개발은행이 협력하여 주민들에게 3만 2천 개의 수도계량기를 제공하고 물 공급 접근성을 개선함으로써 이 상황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주민들은 상수도 요금을 지불하고, 이는 후잔드 시립 상수도 회사가 서비스 개선 및 보수를 지속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 프로젝트는 3단계 개발 중이며 2017년에 완료될 예정이었다. 물 공급 접근성 개선을 목표로 하는 다른 중앙아시아 프로젝트와 비교하여 이 프로젝트는 성공적인 것으로 여겨지며, 오시, 자랄라바드, 카라발타, 탈라스와 같은 키르기스스탄의 도시들에도 적용되었으며, 키르기스스탄 수도 비슈케크로의 확장 가능성도 있다.[9]
2010년 9월 3일, 알카에다와 연계된 자마트 안사룰라 무장 단체에 의해 도시에서 자살 폭탄 테러가 발생하여 4명이 사망했다.[10][11]
2017년 4월, 후잔드의 선민 선보금 개신교 교회 급습 후 바흐롬 홀마토프 목사가 체포되었다. 홀마토프 목사는 너무 큰 소리로 노래하고 인근 주민들의 "편안한 휴식을 방해"했다는 혐의로 기소되어 3년 동안 투옥되었다.[12]
3. 지리
후잔트는 두샨베에서 북동쪽으로 200km 떨어진 페르가나 계곡 입구에 자리 잡고 있으며, 투르키스탄 산맥(Туркестанский хребет)과 모골타우 산맥(Моголтау) 사이에 위치한다. 카이라쿰 저수지에 접해 있으며, 시르다리야 강이 흐른다.
4. 기후
후잔트는 사막 기후가 길게 나타나며, 여름은 뜨겁지만 길지 않고, 겨울은 추운 기후를 보인다. 춥고 눈이 많이 오는 겨울과 덥고 건조한 여름을 특징으로 하는 온대 온대성 건조 기후(쾨펜의 기후 구분 ''BSk'')를 경험한다. 강수량은 적으며 일반적으로 겨울과 가을에 내린다.[26][27][28]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 |
---|---|---|---|---|---|---|---|---|---|---|---|---|---|
최고 기온 기록 (°C) | 16.6 | 22.1 | 28.8 | 36.5 | 39.9 | 43.5 | 45.9 | 43.8 | 39.8 | 33.8 | 25.0 | 18.9 | 45.9 |
평균 최고 기온 (°C) | 4.2 | 7.2 | 14.9 | 22.3 | 28.6 | 34.2 | 35.7 | 34.1 | 28.8 | 21.0 | 12.3 | 5.9 | - |
평균 기온 (°C) | 0.9 | 3.3 | 9.7 | 16.1 | 21.9 | 26.9 | 28.6 | 26.8 | 21.4 | 14.4 | 7.5 | 2.5 | - |
평균 최저 기온 (°C) | -1.6 | -0.3 | 5.5 | 10.7 | 16.2 | 20.4 | 21.9 | 20.1 | 14.9 | 9.1 | 3.8 | -0.1 | - |
최저 기온 기록 (°C) | -22.8 | -22.2 | -13.6 | -3.9 | 0.8 | 8.7 | 10.5 | 7.0 | -1.1 | -6.8 | -18.8 | -20.0 | -22.8 |
강수량 (mm) | 15 | 21 | 26 | 27 | 23 | 6 | 2 | 2 | 3 | 10 | 21 | 17 | - |
평균 강수일수 | 11.4 | 11.0 | 12.7 | 12.6 | 12.0 | 6.3 | 4.1 | 2.6 | 3.2 | 6.8 | 7.4 | 10.4 | - |
평균 상대 습도 (%) | 77.8 | 75.4 | 64.0 | 56.3 | 48.7 | 34.8 | 33.8 | 38.4 | 43.3 | 55.4 | 75.2 | 76.4 | - |
평균 일조 시간 | 126 | 131 | 168 | 211 | 297 | 358 | 382 | 363 | 300 | 225 | 160 | 106 | 2827 |
5. 인구
후잔트에는 타지크인, 우즈베크인, 러시아인 및 기타 소수 민족들이 거주한다. 2010년 인구 조사 결과, 타지크인이 84%, 우즈베크인이 14%, 러시아인이 0.4%, 기타 민족이 1.6%를 차지했다.[25] 주로 믿는 종교는 수니파 이슬람이다.[16]
2019년 통계청 보고서에 따르면 후잔드 시의 인구는 181,600명이며,[16][23] 후잔드 도시권 인구는 931,900명이다.
6. 교통
후잔트 공항은 두샨베와 러시아의 여러 도시로 정기 항공편을 운항하고 있다. 또한 후잔트와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트 사이에는 두샨베로 가는 철도 연결이 있다.[13][14] 이 도시는 제라프샨 강 계곡의 판자켄트와 안조브 터널을 통해 두샨베와 도로로 연결되어 있다.
이란의 지원으로 건설된 두샨베에서 북서쪽으로 80km 떨어진 5km 길이의 안조브 터널은 두샨베와 우즈베키스탄의 수도 타슈켄트 사이의 통행로이기도 하다. 이전에는 특히 추운 계절에 북부와 남부 타지키스탄 사이의 직접적인 연결이 부족하여 지역의 상업 활동이 종종 중단되었다.[15]
7. 교육
이 도시에는 호잔트국립대학교, 타지키스탄국립법경영정치대학교, 타지키스탄기술대학교 공과대학, 호잔트의과대학을 비롯한 2년제 기술대학들이 있다. 중등교육은 사립기관에서 운영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가에서 지원한다. 대학 교육은 타지키스탄 교육부에서 보조금을 지원한다.
8. 문화
도시 안에는 후잔트 요새가 있는데, 과거에는 성이었으나 현재는 성 내부에 수그드 역사 박물관이 있다. 19세기에 지어진 셰이크 무슬리히딘 모슬렘(Sheikh Muslihiddin mausoleum)이라는 큰 마을에 세워진 판즈샨베 바자르(Бозори Панҷшанбеtg)는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시장이다.
이 도시의 후잔트 요새 안에는 수그드 역사 박물관(Historical Museum of Sughd)이 있으며, 약 1200점의 전시품 중 대부분이 일반인에게 공개되어 있다.[17] 셰이크 무슬리히딘 묘(Sheikh Muslihiddin mausoleum)는 판지샨베 시장(Panjshanbe Market, Бозори Панҷшанбе / 페르시아어로 "목요일 시장"이라는 뜻) 건너편 중앙 광장에 있으며, 중앙아시아에서 가장 큰 실내 시장 중 하나이다.[18]
9. 자매 도시
10. 주요 인물
- 문지파 가파로바 (1924–2013) - 타지키스탄 철학자
- 아슈라 노시로바 (1924–2011) - 타지키스탄 무용가
- 바흐티요르 오디나예프 - 타지키스탄 연출가, 의상 디자이너 및 예술가
- 만주라 울자바예바 (1952년생) - 타지키스탄 예술가
- 앙리 베베르 (1944–2020) - 프랑스 정치인
- 비탈리 레브첸코 (1972년생) - 프로 축구 선수 및 감독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ize, Republic of Tajikistan on January 1, 2019
https://web.archive.[...]
Tajikistan Statistics Agency
2020-03-28
[2]
웹사이트
КОНСТИТУЦИЯ РЕСПУБЛИКИ ТАДЖИКИСТАН
http://prokuratura.t[...]
Parliament of Tajikistan
2020-01-09
[3]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ajikistan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18
[4]
서적
Envy of the Gods: Alexander the Great's Ill-Fated Journey across Asia
Da Capo Press
2004
[5]
웹사이트
Khujand: a travel guide
https://caravanistan[...]
2019-12-08
[6]
웹사이트
Khujand
https://samarkandtou[...]
2021-03-24
[7]
간행물
A Country Study: Tajikistan, Tajikistan under Russian Rule
http://lcweb2.loc.go[...]
Library of Congress
[8]
서적
Laboratory of socialist development: Cold War politics and decolonization in Soviet Tajikistan
2018-05-15
[9]
웹사이트
Water Pressures in Central Asia
http://www.crisisgro[...]
International Crisis Group
2014-10-07
[10]
웹사이트
Northern Afghanistan and the New Threat to Central Asia
https://www.fpri.org[...]
2022-05-13
[11]
웹사이트
Preventing Violent Extremism in Kyrgyzstan
https://www.usip.org[...]
2014-10
[12]
웹사이트
Prisoner Alert - Bakhrom Kholmatov
https://www.prisoner[...]
[13]
이미지
http://www.caravanis[...]
2022-03
[14]
웹사이트
Train in Tajikistan
https://caravanistan[...]
2023-02-28
[15]
웹사이트
Tajikistan to complete construction of major tunnel in 2015 | Shanghai Daily
https://web.archive.[...]
2020-08-13
[16]
웹사이트
About Khujand
http://fezsughd.tj/e[...]
[17]
웹사이트
Khujand fortress
https://www.advantou[...]
[18]
웹사이트
Azianatravel.com
https://web.archive.[...]
2014-06-04
[19]
웹사이트
http://www.pogodaikl[...]
Pogoda.ru.net
2015-01-04
[20]
웹사이트
Leninbad (Khujand)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9-12-18
[21]
웹사이트
Leninabad, Tajikistan
http://climatebase.r[...]
Climatebase.ru
2013-01-30
[22]
웹사이트
Численность населения Республики Таджикистан на 1 января 2018 года. Агентство по статистике при Президенте Республики Таджикистана, 2018
http://stat.ww.tj/fi[...]
[23]
웹사이트
About Khujand
http://fezsughd.tj/e[...]
[24]
웹인용
ШУМОРАИ АҲОЛИИ ҶУМҲУРИИ ТОҶИКИСТОН ТО 1 ЯНВАРИ СОЛИ 2022
https://stat.tj/stor[...]
2023-01-30
[25]
웹사이트
Khujand Fortress
http://www.advantour[...]
[26]
웹인용
http://www.pogodaikl[...]
Pogoda.ru.net
2015-01-04
[27]
웹인용
Leninbad (Khujand)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미국 해양대기청
2019-12-18
[28]
웹인용
Leninabad, Tajikistan
http://climatebase.r[...]
Climatebase.ru
2013-01-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