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흥례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흥례문은 경복궁의 근정전 권역에 속하는 문으로, 조선 시대에는 홍례문으로 불리다가 고종 때 흥례문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395년 경복궁 창건 당시에는 오문으로 불렸으며, 임진왜란으로 소실된 후 고종 때 중건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 건물을 짓기 위해 훼철되었으나, 2001년 문민 정부에 의해 복원되었다. 흥례문 권역에는 유화문, 기별청, 영제교, 외행각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 경복궁역, 광화문역, 시청역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특별시의 문 - 광화문
    광화문은 조선시대에 지어져 여러 차례 훼손과 이전을 겪었으며, 2006년부터 고종 중건 당시 모습으로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2023년에는 월대가 복원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문 - 흥인지문
    흥인지문은 조선시대 한양도성의 동쪽 대문으로, 1398년에 처음 건립되어 1869년에 중건되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1호이자 도성 8개 성문 중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고, 풍수지리적 이유로 이름 지어졌으며, 현재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다.
  • 경복궁 - 광화문
    광화문은 조선시대에 지어져 여러 차례 훼손과 이전을 겪었으며, 2006년부터 고종 중건 당시 모습으로 복원되어 현재에 이르고, 2023년에는 월대가 복원되었다.
  • 경복궁 - 경무대
    경무대는 조선 시대 경복궁 북쪽 후원으로, 조선 태조 때 건설되어 고종 때 과거 시험과 군사 훈련 장소로 활용되었으나 일제강점기에 훼손되었고, 해방 후 대통령 관저로 사용되면서 청와대로 개칭되었다.
흥례문
위치 정보
기본 정보
한자 표기興禮門
로마자 표기Heungnyemun
문화유산 종류궁궐 정문
위치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
역사
건립 시기1867년 (고종 4년)
소실일제강점기 시기
복원 시기2001년
구조
형식중층 누각
문 종류3문 형식
지붕팔작지붕
특징기단 위에 건립
돌계단 설치
다포식 공포 사용
문루 설치
외벽에 단청
기타
주요 기능경복궁의 두 번째 정문
이전 명칭홍례문(弘禮門)
특징영제교를 지나 위치
근정문으로 연결
관련 링크문화재청 경복궁 및 역사 정보

2. 역사

경복궁이 처음 지어진 1395년(태조 4년)에는 흥례문이 오문(午門)으로 불렸으나, 곧 정도전에 의해 정문(正門)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426년(세종 8년) 집현전 학자들에게 명하여 경복궁의 각 문과 다리 이름을 짓게 했는데, 이때 흥례문은 홍례문(弘禮門)으로 명명되었다.[6]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소실된 후 오랫동안 방치되었다가, 고종 때 경복궁을 다시 지으면서 흥례문(興禮門)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이는 청나라 건륭제의 이름인 홍력(弘歷)을 피휘하기 위한 것이었다.[7]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건물을 짓기 위해 1912년 흥례문 일대가 헐리기 시작했고, 1916년에는 완전히 파괴되었다. 해방 이후 문민정부 시기에 조선총독부 건물이 철거되고, 2001년 10월 26일 흥례문이 복원되었다.[8] 복원 과정에서 원래 크기에 대한 기록이 부족하여 근정문과 같은 규모로 복원되었다.[9]

흥례문 현판은 2001년에 설치되었으며, 서예가 정도준이 글씨를 쓰고 각자장 오옥진이 새겼다.[9]

2. 1. 조선 시대

경복궁을 처음 건축한 1395년(태조 4년)에는 오문(午門)이라고 했는데,[4] 곧이어 정도전이 정문(正門)으로 고쳤다.[5] 1426년(세종 8년) 집현전 수찬(修撰)에게 명하여 경복궁 각 문과 다리의 이름을 정하게 하였는데, 영제교, 일화문, 월화문, 광화문, 건춘문, 영추문과 함께 이 문의 이름을 홍례문(弘禮門)이라고 지었다.[6]

임진왜란 당시 경복궁이 불타고 난 뒤 버려졌으나, 고종 때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이름을 흥례문(興禮門)이라 짓는다. 弘을 興으로 바꾼 것은 청나라 건륭제의 이름인 홍력(弘歷)을 피휘하기 위한 것이다.[7]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신청사를 경복궁 내에 건축하기로 1912년에 결정됨에 따라, 조선물산공진회가 열린 1915년까지 흥례문 권역을 훼철하고 1916년부터 청사를 건축하며 유구의 파괴가 이루어졌다. 이때 기별청을 제외하고 유화문과 흥례문 등 모든 유구들이 전부 파괴되었다. 이후 문민정부 때 총독부 건물을 철거한 후 2001년 10월 26일에 다시 흥례문을 복원하였다. 이때 근정문과 같은 규모라고 《궁궐지》와 〈북궐도형〉에 기록되었으나 그 세부 측량에서 근정문의 크기와 다른 점도 있었다.[8] 복원할 때에는 유화문과 마찬가지로 유구가 모두 파괴되었기 때문에, 기록보다는 조금 작은 치수일지라도 근정문의 규모와 동일하게 복원했다.[9]

흥례문 중앙에서 경복궁 안쪽을 들여다보면 영제교를 지나 근정문, 근정전이 차례로 일자로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근정전에 가려 보이지는 않지만 근정문 뒷편의 사정전과 강령전, 교태전도 모두 일자로 배치되어 있다. 다만 경복궁의 정문이라 할 수 있는 광화문은 2006년 12월까지 한쪽으로 틀어져 있었는데, 일제가 조선총독부 건물을 지으면서 철거했던 것을 박정희 대통령이 복원하면서 원래의 위치가 아닌 조선총독부 건물에 맞추어 지었기 때문이다. 구 광화문은 철거되었고 한일 병합 조약 100주년인 2010년 8월 15일에 고종 중건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현판은 2001년에 설치하였다. 서예가인 정도준(鄭道準)이 쓰고 중요무형문화재 제106호 각자장 기능 보유자인 오옥진(吳玉鎭)이 새겼다.[9]

2. 2.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1906년의 흥례문, 국립민속박물관


고종 때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이름을 흥례문興禮門이라 지었다. 弘을 興으로 바꾼 것은 청나라 건륭제의 이름인 홍력弘歷을 피휘하기 위한 것이다.[7]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신청사를 경복궁 내에 건축하기로 1912년에 결정됨에 따라, 조선물산공진회가 열린 1915년까지 흥례문 권역을 훼철하고 1916년부터 청사를 건축하며 유구의 파괴가 이루어졌다. 이때 기별청을 제외하고 유화문과 흥례문 등 모든 유구들이 전부 파괴되었다. 이후 문민정부 때 총독부 건물을 철거한 후 2001년 10월 26일에 다시 흥례문을 복원하였다. 이때 근정문과 같은 규모라고 《궁궐지》와 〈북궐도형〉에 기록되었으나 그 세부 측량에서 근정문의 크기와 다른 점도 있었다.[8] 복원할 때에는 유화문과 마찬가지로 유구가 모두 파괴되었기 때문에, 기록보다는 조금 작은 치수일지라도 근정문의 규모와 동일하게 복원했다.[9]

20세기 일제 강점기에 일본이 흥례문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조선총독부 건물을 세웠다. 그러나 1945년 독립 후 같은 자리에 흥례문이 재건되었다.[2]

2. 3. 대한민국



경복궁을 처음 건축한 1395년(태조 4년)에는 오문午門이라고 했으며,[3] 곧이어 정도전이 정문正門으로 이름을 바꾸었다.[5] 1426년(세종 8년) 집현전 수찬修撰에게 명하여 경복궁 각 문과 다리의 이름을 정하게 하였는데, 영제교, 일화문, 월화문, 광화문, 건춘문, 영추문과 함께 이 문의 이름을 홍례문弘禮門이라고 지었다.[6]

임진왜란으로 경복궁이 불타고 난 뒤에는 버려졌으나, 고종 때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이름을 흥례문興禮門으로 다시 지었다. 弘을 興으로 바꾼 것은 청나라 건륭제의 이름인 홍력弘歷을 피휘(이름을 피하여 다른 글자로 바꿈)하기 위한 것이었다.[7]

일제강점기에는 조선총독부 신청사를 경복궁 내에 건축하기로 1912년에 결정됨에 따라, 조선물산공진회가 열린 1915년까지 흥례문 권역을 헐고 1916년부터 청사를 건축하며 건물의 파괴가 이루어졌다. 이때 기별청을 제외하고 유화문과 흥례문 등 모든 건물들이 전부 파괴되었다. 이후 문민 정부 때 총독부 건물을 철거한 후 2001년 10월 26일에 흥례문을 다시 복원하였다. 《궁궐지》와 〈북궐도형〉에는 근정문과 같은 규모라고 기록되었으나, 세부 측량에서 근정문의 크기와 다른 점도 있었다.[8] 복원할 때에는 유화문과 마찬가지로 건물이 모두 파괴되었기 때문에, 기록보다는 조금 작은 크기라도 근정문의 규모와 동일하게 복원했다.[9]

흥례문 중앙에서 경복궁 안쪽을 보면 영제교를 지나 근정문, 근정전이 차례로 일자로 서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근정전에 가려 보이지는 않지만 근정문 뒤편의 사정전과 강령전, 교태전도 모두 일자로 배치되어 있다. 다만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은 2006년 12월까지 한쪽으로 틀어져 있었는데, 이는 일제가 조선총독부 건물을 지으면서 철거했던 것을 박정희 대통령이 복원하면서 원래의 위치가 아닌 조선총독부 건물에 맞추어 지었기 때문이다. 구 광화문은 철거되었고 한일 병합 조약 100주년인 2010년 8월 15일에 고종 중건 당시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현판은 2001년에 설치하였다. 서예가 정도준鄭道準이 쓰고 중요무형문화재 제106호 각자장 기능 보유자인 오옥진吳玉鎭이 새겼다.[9]

3. 권역

흥례문 권역 (북궐도형)


흥례문은 기본적으로 근정전 권역으로 분류되나, 근정문 이남에 행각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흥례문 권역으로 구분하기도 한다.[9] 1912년 조선총독부 청사를 건축할 때 흥례문 권역의 모든 건물들이 훼철되었다가 2001년에 복원되었다. 임진왜란 이전의 경복궁전도에는 외행각이 나타나있지 않아 경복궁 중건 당시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3. 1. 유화문

궐내각사수정전 권역으로 통하는 문이다.[1]

3. 2. 기별청

승정원에서 반포한 기별을 작성하던 기관으로, 유화문의 북쪽에 위치하였다. 복원 당시 초석 일부가 확인되었다.[9][10]

3. 3. 영제교

경복궁의 금천인 영제천 위에 놓인 돌다리이다.

3. 4. 외행각



흥례문은 기본적으로 근정전 권역으로 분류되나, 근정문 이남에 행각으로 둘러싸인 부분을 흥례문 권역으로 구분하기도 한다.[9] 흥례문 권역의 모든 건물들은 1912년 조선총독부 청사를 건축할 때 훼철되었다가 2001년에 복원되었다. 임진왜란 이전의 경복궁전도에는 외행각이 나타나있지 않아 경복궁 중건 당시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외행각은 흥례문 좌우의 흥례문 좌우행각, 동쪽의 동행각, 서쪽의 서행각으로 구분된다.[9]

3. 4. 1. 흥례문 좌우행각

흥례문 좌우에 위치한 행각이다. 흥례문 서측으로는 정색과 마색이, 동측으로는 결속색이 위치한다.[11] 政色|정색중국어은 조선 후기 병조에 속한 부서로, 무선사(武選司)라 하던 것을 정조 연간에 바꾼 것이다. 임명사령장인 고신과 매년 정월에 봉급증표인 녹패 수여, 장병의 휴가처리 등 행정업무를 담당하였다.[9] 馬色|마색중국어도 병조에 속하였으며 승여사(乘輿司)였던 것을 정조 연간에 바꾼 것이다. 왕의 수레나 가마, 행차시의 의장, 마굿간 등을 관리하였으며 관원이 지방으로 갈 때 역마를 제공하는 일도 맡았다.[9] 結束色|결속색중국어은 도성과 대궐문의 개폐의 보류를 담당했다.[9]

3. 4. 2. 동행각

동행각은 북측 2번째 칸에 동궁으로 통하는 덕양문德陽門이 있었고, 그 남쪽에 금천대은암천 위로 수각이 설치되었다.[11]

3. 4. 3. 서행각

서행각은 기별청과 유화문 남단에서 시작한다. 북측 제1칸에 배설방이 위치했고, 그 남쪽에 수각과 내병조가 자리잡았다.[11] 배설방排設房은 궐내의 의례나 잔치 등 행사에 필요한 차일을[15] 담당하던 부서다.[16] 내병조內兵曹는 궁궐 내에 위치한 병조의 지부로 궁궐의 군사사무를 담당하는 출장소 역할을 했다.[17]

4. 교통

서울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서울 지하철 5호선 광화문역, 서울 지하철 1호선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에서 하차하여 흥례문에 접근할 수 있다.

4. 1. 대중교통

5. 갤러리

참조

[1] 웹사이트 Gyeongbokgung Palace and Its History https://royal.cha.go[...]
[2] 웹사이트 Heungnyemun Gate https://heritage.go.[...]
[3] 뉴스 [옛지도 읽기] 풍수지리학에서의 방위 읽기 https://biz.chosun.c[...] 조선비즈
[4] 태조실록 기사 http://sillok.histor[...] 1395-09-29
[5] 태조실록 기사 http://sillok.histor[...] 1395-10-07
[6] 세종실록 기사 http://sillok.histor[...] 1426-10-26
[7] 승정원일기 기사 http://sjw.history.g[...] 1868-12-15
[8] 기타
[9] 서적 경복궁(흥례문권역중건공사보고서) 문화재청 2001
[10] 웹인용 [궁궐의 현판과 주련-경복궁_덕양문, 기별청, 수정전] https://www.cha.go.k[...] 2021-03-10
[11] 웹인용 궁궐지(宮闕志) https://portal.nrich[...] 2021-03-10
[12] 웹인용 무선사(武選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03-10
[13] 웹인용 승여사(乘輿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03-10
[14] 웹인용 결속색(結束色)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 2021-03-10
[15] 기타
[16] 웹인용 배설방 https://terms.naver.[...] 2021-03-10
[17] 웹인용 내병조 https://terms.naver.[...] 2021-03-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