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단위 반복 소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단위 반복 소수는 특정 진법에서 숫자 1이 반복되는 자연수를 의미한다. 십진법에서는 1, 11, 111, 1111 등과 같이 1이 반복되는 수로 정의되며, 일반화하여 임의의 기저 b에 대해 정의할 수 있다. 이진법 레피유닛은 메르센 수와 동일하며, 10진법 레피유닛은 n이 합성수일 경우 합성수가 된다. 레피유닛은 즈커만 수이자 하샤드 수이며, n의 값에 따라 특정 약수를 갖는다. 레피유닛 소수는 소수 자릿수를 갖는 레피유닛이며, 십진법 레피유닛 소수는 2, 19, 23, 317, 1031, 49081, 86453 등이 알려져 있다. 단위 반복 소수의 연구는 19세기부터 시작되었으며, 컴퓨터의 발달로 더 큰 수의 소인수분해와 소수 판별이 가능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수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소수 - 디리클레 L-함수
    디리클레 L-함수는 디리클레 지표로 정의되는 복소함수로, 등차수열에 대한 디리클레 정리를 증명하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리만 제타 함수의 일반화이자 오일러 곱, 함수 방정식 등의 성질을 가지며, 모듈러 형식, 타원 곡선과 관련되어 수론적 L-함수 연구의 핵심이고 암호론, 컴퓨터 과학 등에 응용된다.
  • 정수열 - 실베스터 수열
    실베스터 수열은 각 항이 이전 항들의 곱에 1을 더한 값으로 정의되는 정수 수열로서, 재귀적으로 정의되며 이중 지수 함수적으로 증가하고, 이집트 분수 및 탐욕 알고리즘과 관련이 있으며, 역수 합은 1로 수렴한다.
  • 정수열 - 소수 (수론)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을 약수로 가지는 1보다 큰 자연수이며, 무한히 많고 정수론의 기본 정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단위 반복 소수
정의
설명"1"로만 이루어진 수
명칭
영어 명칭Repunit
어원Repeated unit (반복되는 단위)
용어 사용"'1'이 반복되는 수"를 지칭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됨
성질
형태(10^n − 1)/9 (n은 양의 정수)
표기R_n
예시R_2 = 11
R_3 = 111
소수 여부
레퓨닛 소수레퓨닛 수 중에서 소수인 수
OEISA004023
알려진 레퓨닛 소수 개수11개
가장 큰 레퓨닛 소수(108177207−1)/9
참고
관련 수메르센 소수
페르마 소수

2. 정의

레피유닛(Repunit)은 특정 진법에서 1이 n번 반복되는 자연수를 의미한다.

기저-''b'' 반복 단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는 양수 또는 음수)

:R_n^{(b)}\equiv 1 + b + b^2 + \cdots + b^{n-1} = {b^n-1\over{b-1}}\qquad\mbox{for }|b|\ge2, n\ge1.

따라서, 숫자 ''R''''n''(''b'')는 기저-''b'' 표현에서 숫자 1의 ''n''개의 복사본으로 구성된다.

''n''=1 및 ''n''=2에 대한 처음 두 개의 기저-''b'' 반복 단위는 다음과 같다.

:R_1^{(b)}={b-1\over{b-1}}= 1 \qquad \text{and} \qquad R_2^{(b)}={b^2-1\over{b-1}}= b+1\qquad\text{for}\ |b|\ge2.

십진법(기저-10) 반복 단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_n \equiv R_n^{(10)} = {10^n-1\over{10-1}} = {10^n-1\over9}\qquad\mbox{for } n \ge 1.

이는 10진법 표현에서 숫자 1의 ''n''개의 복사본으로 구성된다.

기저-2 반복 단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_n^{(2)} = {2^n-1\over{2-1}} = {2^n-1}\qquad\mbox{for }n \ge 1.

이는 기저-2 표현에서 숫자 1의 ''n''개의 복사본으로 구성되며, 메르센 수 ''M''''n'' = 2''n'' - 1과 같다.

2. 1. 십진법 레피유닛

십진법 레피유닛은 1, 11, 111, 1111과 같이 1이 반복되는 수이다. 10진법에서의 단위 반복 소수는 다음과 같다.[35][36]

#n\tfrac{10^n-1}{9}
1211
2191111111111111111111
32311111111111111111111111
4317R317
51031R1031
649081R49081
786453R86453
8109297R109297
9270343R270343
105794777
118177207


2. 2. 일반화된 레피유닛

임의의 기저 ''b'' (''b''는 양수 또는 음수)에 대한 레피유닛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2, n≥1)

:R_n^{(b)}\equiv 1 + b + b^2 + \cdots + b^{n-1} = {b^n-1\over{b-1}}

따라서, 숫자 ''R''''n''(''b'')는 기저-''b'' 표현에서 숫자 1의 ''n''개의 복사본으로 구성된다. ''n''=1 및 ''n''=2에 대한 처음 두 개의 기저-''b'' 반복 단위는 다음과 같다.

:R_1^{(b)}={b-1\over{b-1}}= 1 \qquad \text{and} \qquad R_2^{(b)}={b^2-1\over{b-1}}= b+1\qquad\text{for}\ |b|\ge2.

특히, 단순히 ''반복 단위''로 자주 언급되는 십진법(기저-''10'') 반복 단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_n \equiv R_n^{(10)} = {10^n-1\over{10-1}} = {10^n-1\over9}\qquad\mbox{for } n \ge 1.

따라서 숫자 ''R''''n'' = ''R''''n''(10)는 10진법 표현에서 숫자 1의 ''n''개의 복사본으로 구성된다. 기저-10 반복 단위 시퀀스는 1, 11, 111, 1111, 11111, 111111, ... 순으로 시작한다.

마찬가지로, 기저-2 반복 단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_n^{(2)} = {2^n-1\over{2-1}} = {2^n-1}\qquad\mbox{for }n \ge 1.

따라서 숫자 ''R''''n''(2)는 기저-2 표현에서 숫자 1의 ''n''개의 복사본으로 구성된다. 실제로 기저-2 반복 단위는 잘 알려진 메르센 수 ''M''''n'' = 2''n'' - 1이며, 1, 3, 7, 15, 31, 63, 127, 255, 511, 1023, 2047, 4095, 8191, 16383, 32767, 65535, ... 순으로 시작한다.

10 이외의 기수에 대해서도 레피유닛을 정의할 수 있다. 기수 ''a''에 대해 ''n''자리의 레피유닛은 R_n(a)=\frac{a^n-1}{a-1}로 정의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a'' = 2일 때의 레피유닛은 메르센 수이다. 또한, ''a''가 소수라면, 이는 ''a''''n'' − 1의 약수의 합과 일치한다.

기수 ''a'' ≤ 100의 레피유닛이 거듭제곱수가 되는 것은 ''R''5(3) = 112, ''R''4(7) = 202, ''R''3(18) = 73의 경우뿐이다.[34]

''Fd''(''x'')를 ''d''차의 원분 다항식이라고 하면,

:R_n(a)=\prod_{d\mid n,\, d>1}F_d(a)

로 나타낼 수 있다.

3. 성질


  • 자릿수가 합성수인 임의의 기수에서 임의의 반복 단위 소수는 반드시 합성수이다. 예를 들어 35 = 7 × 5 = 5 × 7이기 때문에, ''R''35(''b'') = ''R''7(''b'') × (1 + ''b''7 + ''b''14 + ''b''21 + ''b''28) = ''R''5(''b'') × (1 + ''b''5 + ''b''10 + ''b''15 + ''b''20 + ''b''25 + ''b''30)이다. 이 반복 단위 소인수 분해는 반복 단위가 표현되는 기수-''b''에 의존하지 않는다.
  • 소수 자릿수를 갖는 반복 단위 (임의의 기수에서) 만이 소수가 될 수 있다. 이것은 필요 조건이지만 충분 조건은 아니다. 예를 들어, ''R''11(2) = 211 − 1 = 2047 = 23 × 89이다.
  • 레피유닛은 25를 제외한 소수의 곱으로 구성되어 있다.[32]
  • 100을 법으로 11과 합동인 제곱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레피유닛으로 제곱수가 되는 것은 1뿐이다. 일반적으로, 레피유닛으로 거듭제곱수가 되는 것은 1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밑 10의 레피유닛의 ''R''1부터 ''R''122까지의 소인수 분해 목록[33]은 다음과 같다.

''n''이 소수인 경우에는 배경의 셀을 하늘색으로 표시한다.

'''※''' 소인수의 수(중복 포함)

2022년 말 현재, 소인수 분해가 완전히 계산되지 않은 최소 레피유닛은 n=353에 해당하는 수이다.

3. 1. 일반적인 성질


  • ''m''이 ''n''을 나누면, ''Rm''은 ''Rn''을 나눈다. 따라서 자릿수가 합성수인 레피유닛은 반드시 합성수이다. 소수 자릿수를 갖는 레피유닛만이 소수가 될 수 있다. (필요조건)[16]
  • ''p''가 홀수 소수이면, ''R''''p''(''b'')를 나누는 모든 소수 ''q''는 1 + 2''p''의 배수이거나 ''b'' − 1의 약수여야 한다. 그 이유는 소수 ''p''가 ''q''가 ''bp'' − 1을 나누는 1보다 큰 가장 작은 지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q''가 ''b'' − 1을 나누지 않으면 ''p''는 카마이클 함수 of ''q''를 나누는데, 이는 짝수이고 ''q'' − 1과 같다.
  • 반복 단위 ''R''''n''(''b'')의 임의의 양의 배수는 기수-''b''에서 최소한 ''n''개의 0이 아닌 숫자를 포함한다.
  • 임의의 숫자 ''x''는 기수 x − 1에서 두 자리 반복 단위 숫자이다.
  • 둘 이상의 기수에서 3자리 이상인 반복 단위인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숫자는 31 (기수-5에서 111, 기수-2에서 11111)과 8191 (기수-90에서 111, 기수-2에서 1111111111111)이다. 구르마흐티그 추측은 이 두 경우만 있다고 말한다.
  • 비둘기집 원리를 사용하면 서로소인 자연수 ''n''과 ''b''에 대해 기수-''b''에서 ''n''의 배수인 반복 단위가 존재함을 쉽게 알 수 있다.
  • 페이트-톰슨 추측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소수 ''p''와 ''q''에 대해 ''R''''q''(''p'')가 ''R''''p''(''q'')를 나누지 않는다는 것이다.
  • 반복 단위 정의에 대한 유클리드 호제법을 사용하면 임의의 연속적인 반복 단위는 임의의 기수에서 서로소이다.
  • ''m''과 ''n''이 공약수 ''d''를 가지면, ''R''''m''(''b'')와 ''R''''n''(''b'')는 임의의 ''m''과 ''n''에 대해 임의의 기수-''b''에서 공약수 ''Rd''(''b'')를 갖는다. 즉, 고정된 기수의 반복 단위는 강한 나눗셈 수열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m''과 ''n''이 서로소이면, ''R''''m''(''b'')와 ''R''''n''(''b'')는 서로소이다.
  • 100을 법으로 11과 합동인 제곱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레피유닛으로 제곱수가 되는 것은 1뿐이다. 일반적으로, 레피유닛으로 거듭제곱수가 되는 것은 1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 레피유닛은 각 자리 숫자의 총곱이 1이 되므로, 모두 즈커만 수이다.
  • ''Rn''은, ''n''이 3의 거듭제곱수일 때 (''n''이 1 = 30일 때도 포함) 모두 하샤드 수이다.
  • ''n''의 값과 반드시 포함되는 약수는 다음과 같다.

n의 값반드시 포함되는 약수
짝수11
4의 배수11 · 101
6의 배수3・7・11・13・37
3의 배수3 · 37
5의 배수41 · 271
7의 배수239 · 4649
17의 배수2071723 · 5363222357


  • 기수 ''a'' ≤ 100의 레피유닛이 거듭제곱수가 되는 것은 ''R''5(3) = 112, ''R''4(7) = 202, ''R''3(18) = 73의 경우뿐이다.[34]

3. 2. 서로소 관계

유클리드 호제법에 따르면, ''R''1(''b'') = 1; ''R''''n''(''b'') = ''R''''n''−1(''b'') × ''b'' + 1 이므로, 임의의 연속적인 반복 단위 ''R''''n''−1(''b'')과 ''R''''n''(''b'')는 임의의 ''n''과 기수 ''b''에 대해 서로소이다.

''m''과 ''n''이 공약수 ''d''를 가지면, ''R''''m''(''b'')와 ''R''''n''(''b'')는 임의의 ''m'', ''n'', 기수 ''b''에 대해 공약수 ''R''''d''(''b'')를 갖는다. 즉, 고정된 기수의 반복 단위는 강한 나눗셈 수열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m''과 ''n''이 서로소이면, ''R''''m''(''b'')와 ''R''''n''(''b'')는 서로소이다. 유클리드 호제법은 ''m'' > ''n''일 때 ''gcd''(''m'', ''n'') = ''gcd''(''m'' − ''n'', ''n'')임을 이용한다. 마찬가지로, ''R''''m''(''b'') − ''R''''n''(''b'') × ''b''''m''−''n'' = ''R''''m''−''n''(''b'')이므로, ''m'' > ''n''일 때 ''gcd''(''R''''m''(''b''), ''R''''n''(''b'')) = ''gcd''(''R''''m''−''n''(''b''), ''R''''n''(''b''))이다. 따라서 ''gcd''(''m'', ''n'') = ''d''이면, ''gcd''(''R''''m''(''b''), ''R''''n''(''b'')) = ''Rd''(''b'')이다.

3. 3. 제곱수/거듭제곱수와의 관계

100을 법으로 11과 합동인 제곱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레피유닛으로 제곱수가 되는 것은 1뿐이다.[16] 일반적으로, 레피유닛으로 거듭제곱수가 되는 것은 1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기수 ''a'' ≤ 100의 레피유닛이 거듭제곱수가 되는 것은 ''R''5(3) = 112, ''R''4(7) = 202, ''R''3(18) = 73의 경우뿐이다.[34]

3. 4. 기타 성질

레피유닛은 각 자리 숫자의 총곱이 1이 되므로, 모두 즈커만 수이다. ''Rn''은 ''n''이 3의 거듭제곱수일 때 (''n''이 1 = 30일 때도 포함) 모두 하샤드 수이다.

  • ''p''가 홀수 소수이면, ''R''''p''(''b'')를 나누는 모든 소수 ''q''는 1 + 2''p''의 배수이거나 ''b'' − 1의 약수여야 한다.
  • 반복 단위 ''R''''n''(''b'')의 임의의 양의 배수는 기수-''b''에서 최소한 ''n''개의 0이 아닌 숫자를 포함한다.
  • 임의의 숫자 ''x''는 기수 x − 1에서 두 자리 반복 단위 숫자이다.
  • 둘 이상의 기수에서 3자리 이상인 반복 단위인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숫자는 31 (기수-5에서 111, 기수-2에서 11111)과 8191 (기수-90에서 111, 기수-2에서 1111111111111)이다. 구르마흐티그 추측은 이 두 경우만 있다고 말한다.
  • 비둘기집 원리를 사용하면 서로소인 자연수 ''n''과 ''b''에 대해 기수-''b''에서 ''n''의 배수인 반복 단위가 존재함을 쉽게 알 수 있다.
  • 페이트-톰슨 추측은 두 개의 서로 다른 소수 ''p''와 ''q''에 대해 ''R''''q''(''p'')가 ''R''''p''(''q'')를 나누지 않는다는 것이다.
  • 반복 단위 정의에 대한 유클리드 호제법을 사용하면 임의의 연속적인 반복 단위 ''R''''n''−1(''b'')과 ''R''''n''(''b'')는 임의의 ''n''에 대해 임의의 기수-''b''에서 서로소이다.
  • ''m''과 ''n''이 공약수 ''d''를 가지면, ''R''''m''(''b'')와 ''R''''n''(''b'')는 임의의 ''m''과 ''n''에 대해 임의의 기수-''b''에서 공약수 ''R''''d''(''b'')를 갖는다. 즉, 고정된 기수의 반복 단위는 강한 나눗셈 수열을 형성한다.
  • 100을 법으로 11과 합동인 제곱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레피유닛으로 제곱수가 되는 것은 1뿐이다. 일반적으로, 레피유닛으로 거듭제곱수가 되는 것은 1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 ''n''의 값과 반드시 포함되는 약수

  • 짝수 - 11
  • * 4의 배수 - 11 · 101
  • * 6의 배수 - 3・7・11・13・37
  • 3의 배수 - 3 · 37
  • 5의 배수 - 41 · 271
  • 7의 배수 - 239 · 4649
  • 17의 배수 - 2071723 · 5363222357


nRn×(10n+1)
R26252
R3562 − 552
R4562 − 452
R555562 − 55552
R65562 − 4452
R75555562 − 5555552
R855562 − 44452
R950055625004452
R10656562 − 565652
R11
R12500055562500044452
R13
R1465656562 - 56565652


4. 레피유닛 소수

레피유닛(Repunit)의 정의는 이러한 숫자의 정수 인수분해에서 소수를 찾는 레크리에이션 수학자들에 의해 동기 부여되었다.

만약 ''n''이 ''a''로 나누어 떨어진다면, ''R''''n''(''b'')는 ''R''''a''(''b'')로 나누어 떨어진다는 것을 쉽게 보일 수 있다.

:R_n^{(b)}=\frac{1}{b-1}\prod_{d|n}\Phi_d(b),

여기서 \Phi_d(x)d^\mathrm{th} 원분 다항식이고 ''d''는 ''n''의 약수를 나타낸다. ''p''가 소수일 때,

:\Phi_p(x)=\sum_{i=0}^{p-1}x^i,

이것은 ''x''가 ''b''로 대체될 때 예상되는 레피유닛의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9는 3으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R''9는 ''R''3으로 나누어진다. 실제로, 111111111 = 111 · 1001001이다. 해당 원분 다항식 \Phi_3(x)\Phi_9(x)는 각각 x^2+x+1x^6+x^3+1이다. 따라서, ''R''''n''이 소수이려면 ''n''은 반드시 소수여야 하지만, ''n''이 소수라고 해서 충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R''3 = 111 = 3 · 37은 소수가 아니다. 이 ''R''3의 경우를 제외하고, 소수 ''p''는 ''p'' = 2''kn'' + 1인 경우에만 소수 ''n''에 대한 ''R''''n''을 나눌 수 있다.[22]

현재까지 알려진 레피유닛 소수는 ''R''''n''에서 ''n'' = 2, 19, 23, 317, 1031, 49081, 86453인 경우이다. 확률적 소수(PRP, probable prime)는 소수 판별이 어려워, 예를 들어 2022년 3월에 소수임이 증명된 ''R''49081은 1999년에 발견된 이후 소수 판별되기까지 23년이 걸렸다.[26]

''Rn'' = (10n − 1) / 9
번호n발견 년도발견자소수 판별
12--
219--
323--
43171978Williams
510311986Williams, Dubner
6490811999Dubner
7864532000Baxter
81092972007Dubner-
92703432007Voznyy-
1057947772021Batalov, Ryan-
1181772072021Batalov, Ryan-


4. 1. 십진법 레피유닛 소수

현재까지 알려진 십진법 레피유닛 소수는 ''R''''n''에서 ''n'' = 2, 19, 23, 317, 1031, 49081, 86453인 경우이다.[35][6][7] 레피유닛 소수는 무한히 많을 것으로 추측된다.[8]

#n[35]Rn[36]
1211
2191111111111111111111
32311111111111111111111111
4317R317
51031R1031
649081R49081
786453R86453



2007년 4월 3일 하비 둡너는 ''R''109297이 가능성 있는 소수라고 발표했다.[3] 2007년 7월 15일, 막심 보즈니는 ''R''270343이 가능성 있는 소수라고 발표했다.[4] 2021년 4월 20일과 5월 8일, 세르게 바탈로프와 라이언 프로퍼는 각각 ''R''5794777과 ''R''8177207이 가능성 있는 소수임을 발견했다.[5] 2022년 3월 22일, ''R''49081은 소수임이 증명되었고,[6] 2023년 5월 15일 ''R''86453도 소수임이 증명되었다.[7]

이러한 반복 소수는 소수 정리가 예측하는 것과 대략적으로 같은 빈도로 발생한다고 추측된다. ''N''번째 반복 소수의 지수는 일반적으로 (''N''−1)번째 지수의 고정된 배수 근처에 있다. 소수인 반복 소수는 순열 소수의 부분 집합이다.

''R''''n''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


  • ''R''''n''을 3으로 나눈 나머지는 ''n''을 3으로 나눈 나머지와 같다.
  • ''R''''n''을 9로 나눈 나머지는 ''n''을 9로 나눈 나머지와 같다.[22]

4. 2. 일반화된 레피유닛 소수

''b''가 1과 다른 완전 거듭제곱수가 아니라면, 밑수-''b''에는 무한히 많은 레피유닛 소수가 존재한다는 추측이 있다.[9][10] 이 추측은 다음 일반화된 메르센 소수의 위치를 예측하며, 참이라면 모든 밑 b에 대해 무한히 많은 레퓨닛 소수가 존재한다.

이 추측은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정수 b에 대해 일반화된 레퓨닛 소수를 다룬다.

# |b|>1.

# b는 완전 거듭제곱이 아니다.

# b-4k^4 형태가 아니다. (이 경우, 숫자는 오리페이언 인수분해를 갖는다.)

위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다음 형태의 일반화된 레퓨닛 소수를 갖는다.

:R_p(b)=\frac{b^p-1}{b-1}

여기서 p는 소수이며, 소수는 최적 적합선 근처에 분포한다.

:

Y=G \cdot \log_

\left( \log_

\left( R_{(b)}(n) \right) \right)+C,



여기서 극한 n\rightarrow\infty일 때, G=\frac{1}{e^\gamma}=0.561459483566...

그리고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

\left( \log_e(N)+m \cdot \log_e(2) \cdot \log_e \big( \log_e(N) \big)

+\frac{1}{\sqrt N}-\delta \right) \cdot \frac{e^\gamma}{\log_e(|b|)}



밑 ''b'' 레퓨닛 소수가 ''N''보다 작다.
는 밑 |b|로그이다.
  • R_{(b)}(n)는 밑 ''b''에서의 n번째 일반화된 레퓨닛 소수이다 (소수 ''p'' 사용).
  • Cb에 따라 변하는 데이터 적합 상수이다.
  • \delta=1 if b>0, \delta=1.6 if b<0.
  • m-b2^{m-1}제곱수인 가장 큰 자연수이다.


  • 또한 다음 3가지 속성이 있다.

    # \frac{b^n-1}{b-1} 형태의 소수의 개수 (소수 p 사용)가 n보다 작거나 같으면 대략 e^\gamma \cdot \log_

    \big(\log_

    (n)\big)이다.

    # n|b| \cdot n 사이에서 소수 p를 갖는 \frac{b^n-1}{b-1} 형태의 소수의 기대 개수는 대략 e^\gamma이다.

    # \frac{b^n-1}{b-1} 형태의 수가 소수일 확률 (소수 p에 대해)은 대략 \frac{e^\gamma}{p \cdot \log_e(|b|)}이다.[22]

    5. 소인수분해

    레피유닛의 소인수분해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소수 인수 중 red|빨간색영어으로 표시된 것은 "새로운 인수"를 의미하는데, 이는 해당 소수 인수가 ''R''''n''을 나누지만, 모든 ''k'' < ''n''에 대해 ''R''''k''를 나누지 않는다는 것을 뜻한다.[2]

    {| class="wikitable"

    |-

    ||

    R1 =1
    R2 =red|11영어
    R3 =red|3영어 · red|37영어
    R4 =11 · red|101영어
    R5 =red|41영어 · red|271영어
    R6 =3 · red|7영어 · 11 · red|13영어 · 37
    R7 =red|239영어 · red|4649영어
    R8 =11 · red|73영어 · 101 · red|137영어
    R9 =32 · 37 · red|333667영어
    R10 =11 · 41 · 271 · red|9091영어



    ||

    R11 =red|21649영어 · red|513239영어
    R12 =3 · 7 · 11 · 13 · 37 · 101 · red|9901영어
    R13 =red|53영어 · red|79영어 · red|265371653영어
    R14 =11 · 239 · 4649 · red|909091영어
    R15 =3 · red|31영어 · 37 · 41 · 271 · red|2906161영어
    R16 =11 · red|17영어 · 73 · 101 · 137 · red|5882353영어
    R17 =red|2071723영어 · red|5363222357영어
    R18 =32 · 7 · 11 · 13 · red|19영어 · 37 · red|52579영어 · 333667
    R19 =red|1111111111111111111영어
    R20 =11 · 41 · 101 · 271 · red|3541영어 · 9091 · red|27961영어



    ||

    R21 =3 · 37 · red|43영어 · 239 · red|1933영어 · 4649 · red|10838689영어
    R22 =112 · red|23영어 · red|4093영어 · red|8779영어 · 21649 · 513239
    R23 =red|11111111111111111111111영어
    R24 =3 · 7 · 11 · 13 · 37 · 73 · 101 · 137 · 9901 · red|99990001영어
    R25 =41 · 271 · red|21401영어 · red|25601영어 · red|182521213001영어
    R26 =11 · 53 · 79 · red|859영어 · 265371653 · red|1058313049영어
    R27 =33 · 37 · red|757영어 · 333667 · red|440334654777631영어
    R28 =11 · red|29영어 · 101 · 239 · red|281영어 · 4649 · 909091 · red|121499449영어
    R29 =red|3191영어 · red|16763영어 · red|43037영어 · red|62003영어 · red|77843839397영어
    R30 =3 · 7 · 11 · 13 · 31 · 37 · 41 · red|211영어 · red|241영어 · 271 · red|2161영어 · 9091 · 2906161



    |}

    ''n'' > 1에 대한 ''R''''n''의 가장 작은 소수 인수는 다음과 같다.

    :11, 3, 11, 41, 3, 239, 11, 3, 11, 21649, 3, 53, 11, 3, 11, 2071723, 3, 1111111111111111111, 11, 3, 11, 11111111111111111111111, 3, 41, 11, 3, 11, 3191, 3, 2791, 11, 3, 11, 41, 3, 2028119, 11, 3, 11, 83, 3, 173, 11, 3, 11, 35121409, 3, 239, 11, ...

    레피유닛의 정수 인수분해는 레크리에이션 수학자들의 연구 주제였다. ''n''이 ''a''로 나누어 떨어진다면, ''R''''n''(''b'')는 ''R''''a''(''b'')로 나누어진다.

    :R_n^{(b)}=\frac{1}{b-1}\prod_{d|n}\Phi_d(b),

    여기서 \Phi_d(x)d번째 원분 다항식이고 ''d''는 ''n''의 약수를 나타낸다. ''p''가 소수일 때,

    :\Phi_p(x)=\sum_{i=0}^{p-1}x^i,

    이것은 ''x''가 ''b''로 대체될 때 예상되는 repunit의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9는 3으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R''9는 ''R''3으로 나누어진다. 실제로, 111111111 = 111 · 1001001이다. 해당 원분 다항식 \Phi_3(x)\Phi_9(x)는 각각 x^2+x+1x^6+x^3+1이다. 따라서, ''R''''n''이 소수이려면 ''n''은 반드시 소수여야 하지만, ''n''이 소수라고 해서 충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R''3 = 111 = 3 · 37은 소수가 아니다. 이 ''R''3의 경우를 제외하고, 소수 ''p''는 ''p'' = 2''kn'' + 1인 경우에만 소수 ''n''에 대한 ''R''''n''을 나눌 수 있다.

    ''m''이 ''n''을 나누면, ''Rm''은 ''Rn''을 나눈다. 따라서 ''n''이 합성수이면 ''Rn''은 합성수가 된다.

    100을 법으로 11과 합동인 제곱수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레피유닛으로 제곱수가 되는 것은 1뿐이다. 일반적으로 레피유닛으로 거듭제곱수가 되는 것은 1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6]

    레피유닛은 각 자리 숫자의 총곱이 1이 되므로, 모두 즈커만 수이다. ''Rn''은, ''n''이 3의 거듭제곱수일 때 (''n''이 1 = 30일 때도 포함) 모두 하샤드 수이다.

    ; ''n''의 값과 반드시 포함되는 약수


    • 짝수 - 11
    • * 4의 배수 - 11 · 101
    • * 6의 배수 - 3 · 7 · 11 · 13 · 37
    • 3의 배수 - 3 · 37
    • 5의 배수 - 41 · 271
    • 7의 배수 - 239 · 4649
    • 17의 배수 - 2071723 · 5363222357

    [22]

    레피유닛은 25를 제외한 소수의 곱으로 구성되어 있다.[32]

    밑 10의 레피유닛의 ''R''1부터 ''R''122까지의 소인수 분해 목록은 하위 섹션 "십진법 레피유닛의 소인수분해"에 제시되어 있으며,[33] 10 이외의 기수에 대해서도 레피유닛을 정의할 수 있다. 기수 ''a''에 대해 ''n''자리의 레피유닛은 R_n(a)=\frac{a^n-1}{a-1}로 정의된다.

    앞서 언급했듯이, ''a'' = 2일 때의 레피유닛은 메르센 수이다. 또한, ''a''가 소수라면, 이는 ''a''''n'' − 1의 약수의 합과 일치한다. 기수 ''a'' ≤ 100의 레피유닛이 거듭제곱수가 되는 것은 ''R''5(3) = 112, ''R''4(7) = 202, ''R''3(18) = 73의 경우뿐이다.[34]

    ''Fd''(''x'')를 ''d''차의 원분 다항식이라고 하면,

    :R_n(a)=\prod_{d\mid n,\, d>1}F_d(a)

    로 나타낼 수 있다.

    5. 1. 십진법 레피유닛의 소인수분해

    밑 10의 레피유닛 ''R''n (n=1~30)의 소인수 분해 표
    n소인수 분해
    101
    2111 (소수)
    323 · 37
    4211 · 101
    5241 · 271
    653 · 7 · 11 · 13 · 37
    72239 · 4649
    8411 · 73 · 101 · 137
    9432 · 37 · 333667
    10411 · 41 · 271 · 9091
    11221649 · 513239
    1273 · 7 · 11 · 13 · 37 · 101 · 9901
    13353 · 79 · 265371653
    14411 · 239 · 4649 · 909091
    1563 · 31 · 37 · 41 · 271 · 2906161
    16611 · 17 · 73 · 101 · 137 · 5882353
    1722071723 · 5363222357
    18932 · 7 · 11 · 13 · 19 · 37 · 52579 · 333667
    1911111111111111111111 (소수)
    20711 · 41 · 101 · 271 · 3541 · 9091 · 27961
    2173 · 37 · 43 · 239 · 1933 · 4649 · 10838689
    227112 · 23 · 4093 · 8779 · 21649 · 513239
    23111111111111111111111111 (소수)
    24103 · 7 · 11 · 13 · 37 · 73 · 101 · 137 · 9901 · 99990001
    25541 · 271 · 21401 · 25601 · 182521213001
    26611 · 53 · 79 · 859 · 265371653 · 1058313049
    27733 · 37 · 757 · 333667 · 440334654777631
    28811 · 29 · 101 · 239 · 281 · 4649 · 909091 · 121499449
    2953191 · 16763 · 43037 · 62003 · 77843839397
    30133 · 7 · 11 · 13 · 31 · 37 · 41 · 211 · 241 · 271 · 2161 · 9091 · 2906161



    2022년 말 현재, 소인수 분해가 완전히 계산되지 않은 최소 레피유닛은 n=353에 해당하는 수이다.

    5. 2. 일반화된 레피유닛의 인수분해

    만약 ''b''가 완전 거듭제곱수이면, 밑수-''b''에서는 최대 하나의 레퓨닛이 존재한다. ''b''가 완전 거듭제곱도 아니고 −4''k''4 (''k''는 양의 정수)도 아닌 경우, 무한히 많은 밑수-''b'' 레퓨닛 소수가 존재한다는 추측이 있다.[22]

    ''n''이 ''a''로 나누어 떨어진다면, ''R''''n''(''b'')는 ''R''''a''(''b'')로 나누어 떨진다.

    :R_n^{(b)}=\frac{1}{b-1}\prod_{d|n}\Phi_d(b),

    여기서 \Phi_d(x)d번째 원분 다항식이고 ''d''는 ''n''의 약수를 나타낸다. ''p''가 소수일 때,

    :\Phi_p(x)=\sum_{i=0}^{p-1}x^i,

    이것은 ''x''가 ''b''로 대체될 때 예상되는 repunit의 형태를 가진다.

    예를 들어, 9는 3으로 나누어 떨어지므로 ''R''9는 ''R''3으로 나누어진다. 실제로, 111111111 = 111 · 1001001이다. 해당 원분 다항식 \Phi_3(x)\Phi_9(x)는 각각 x^2+x+1x^6+x^3+1이다. 따라서, ''R''''n''이 소수이려면 ''n''은 반드시 소수여야 하지만, ''n''이 소수라고 해서 충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R''3 = 111 = 3 · 37은 소수가 아니다. 이 ''R''3의 경우를 제외하고, 소수 ''p''는 ''p'' = 2''kn'' + 1인 경우에만 소수 ''n''에 대한 ''R''''n''을 나눌 수 있다.

    만약 ''b''가 1과 다른 완전 거듭제곱수 (''m''''n''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m'', ''n''은 정수이고, ''n'' > 1)라면, 밑수-''b''에서는 최대 하나의 레퓨닛이 존재한다. 만약 ''n''이 소수 거듭제곱 (''p''''r''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p''는 소수이고, ''r''은 정수이며, ''p'', ''r'' >0)이면, 밑수-''b''의 모든 레퓨닛은 ''Rp''와 ''R2''를 제외하고는 소수가 아니다. ''Rp''는 소수이거나 합성수일 수 있으며, ''R2''는 ''b''가 음수이고 −2의 거듭제곱인 경우에만 소수일 수 있다(여기에는 ''p''가 2와 다른 경우가 포함). 만약 ''n''이 소수 거듭제곱이 아니면, 밑수-''b'' 레퓨닛 소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 다른 특수한 상황은 ''b'' = −4''k''4 (''k''는 양의 정수)로, 이는 오리페이유 분해를 가지며, 이 경우, 밑수-''b'' 레퓨닛 소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6. 특수한 형태

    ''R''2n은 11 (''R''2)로 나누어 떨어진다. 2 × ''n''자리의 ''R''2n은 n자리의 ''R''n으로 나누어 떨어진다. n이 홀수일 때, ''R''n은 11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므로, ''R''2와 ''R''n서로소이다. 따라서, ''R''2n은 ''R''2 × ''R''n으로 나누어 떨어지며, 그 몫은 ''n''-1 자리 숫자 9090…91이다.[17][18][19][20]

    n (홀수)2 × nR2n의 값 (2×n자리)R2 × Rn의 값 (n+1자리)R2n ÷ R2 ÷ Rn의 값 (n-1자리)R2n ÷ R2 ÷ Rn의 소인수 분해
    361111111221917 · 13
    51011111111111222219091소수
    7141111111111111112222221909091소수
    9181111111111111111111222222221909090917 · 13 · 19 · 52579
    11221111111111111111111111122222222221909090909111 · 23 · 4093 · 8779



    ''n''이 짝수일 때의 ''R''''2n'' 및 기타 예시는 다음과 같다.


    • ''R''12 = 11222211 × 990'''1'''
    • ''R''20 = 1222210000122221 × 909'''1'''
    • ''R''24 = 112233332211 × 99000099990'''1''' = 1111222222221111 × 9999000'''1'''
    • ''R''28 = 1222222100000012222221 × 90909'''1'''
    • ''R''36 = 111111222222222222111111× 99999900000'''1'''
    • ''R''39 = 123333333333321 × 90090090090099099099099'''1'''



    • ''R''6 = 11 × (9091 + 1010)
    • ''R''8 = 11 × (909091 + 101010)
    • ''R''10 = 11 × (90909091 + 10101010)

    7. 역사

    19세기 동안 많은 수학자들이 순환 소수의 순환 패턴을 파악하고 예측하기 위해 10진법 레피유닛(단위 반복 소수)을 연구했다.[11]

    초기에, 5보다 큰 소수 ''p''에 대해 1/''p''의 소수 전개의 주기는 ''p''로 나누어지는 가장 작은 단위 반복 수의 길이와 같다는 것이 밝혀졌다. 1860년까지 60,000까지의 소수의 역수의 주기에 대한 표가 출판되었고, Reuschle과 같은 수학자들이 ''R16''까지 모든 단위 반복 수와 많은 더 큰 단위 반복 수를 인수분해할 수 있었다. 1880년까지 ''R17''에서 ''R36''까지 인수분해되었으며, 에두아르 루카스가 300만 미만의 소수가 19의 주기를 갖지 않는다는 것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20세기 초까지 소수성을 테스트하려는 시도가 없었다. 미국의 수학자 오스카 호페는 1916년에 ''R19''가 소수임을 증명했고,[12] 레머와 크라이치크는 1929년에 독립적으로 ''R23''이 소수임을 발견했다.

    1960년대까지 단위 반복 수 연구는 더 발전하지 못했는데, 컴퓨터가 단위 반복 수의 많은 새로운 인수들을 찾고 이전 소수 주기의 표에 있는 격차를 수정할 수 있게 해주었다. ''R317''은 1966년경에 가능성 있는 소수로 발견되었고, 11년 후에 ''R1031''이 1만 자리 미만의 유일한 추가 소수 단위 반복 수임이 밝혀지면서 소수임이 증명되었다. 1986년에 ''R317''은 소수임이 증명되었지만, 그 다음 10년 동안 더 많은 소수 단위 반복 수를 찾는 검색은 실패했다. 그러나 일반화된 단위 반복 수 분야에서 발전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수의 새로운 소수와 가능성 있는 소수가 생성되었다.

    1999년 이후로, 네 개의 추가적인 가능성 있는 소수 단위 반복 수가 발견되었지만, 그들의 거대한 크기 때문에 가까운 미래에 그 중 어느 것도 소수임이 증명될 가능성은 낮다.

    커닝햄 프로젝트는 2, 3, 5, 6, 7, 10, 11, 그리고 12를 밑으로 하는 단위 반복 수의 정수 인수분해를 문서화하려 한다.

    8. 뎀로(Demlo) 수

    D. R. Kaprekar는 뎀로(Demlo) 수를 왼쪽 부분, 중간 부분, 오른쪽 부분을 연결한 것으로 정의했는데, 여기서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은 길이가 같아야 하며(왼쪽에 가능한 0이 앞에 올 수 있음) 자릿수가 모두 같은 숫자(repdigit)와 합산되어야 하며, 중간 부분은 이 반복되는 숫자의 추가적인 숫자를 포함할 수 있다.[13] 이들은 Kaprekar가 그들을 연구하기 시작한 G.I.P. 철도의 봄베이에서 약 48.28km 떨어진 Dombivli(Demlo) 기차역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그는 1, 121, 12321, 1234321, ..., 12345678987654321 형태의 숫자를 ''Wonderful Demlo 숫자''라고 불렀다. 이것들이 repunit의 제곱이라는 사실은 일부 저자들이 Demlo 숫자를 1, 121, 12321, ..., 12345678987654321, 1234567900987654321, 123456790120987654321, ... 과 같은 무한한 수열이라고 부르도록 이끌었지만, ''p'' = 10, 19, 28, ...에 대한 Demlo 숫자가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14]

    참조

    [1] 서적
    [2] 웹사이트 Factorization of repunit numbers http://stdkmd.net/nr[...]
    [3] 간행물 New Repunit R(109297) http://listserv.noda[...]
    [4] 간행물 New PRP Repunit R(270343) https://listserv.nod[...]
    [5] 웹사이트 Indices of prime repunits: numbers n such that 11...111 (with n 1's) = (10^n - 1)/9 is prime.
    [6] 웹사이트 PrimePage Primes: R(49081) https://primes.utm.e[...] 2022-03-21
    [7] 웹사이트 PrimePage Primes: R(86453) https://primes.utm.e[...] 2023-05-16
    [8] 웹사이트 repunit http://primes.utm.ed[...] Prime Pages
    [9] 웹사이트 Deriving the Wagstaff Mersenne Conjecture http://primes.utm.ed[...]
    [10] 웹사이트 Generalized Repunit Conjecture https://listserv.nod[...]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웹사이트 Demlo Number
    [15] 서적
    [16] 논문 On integers with identical digits
    [17] 블로그 电算游戏(六)“901”型的等式队列_屏山老马_新浪博客 http://blog.sina.com[...]
    [18] 블로그 电算游戏(六)之二“9090…91”型数等式队列_屏山老马_新浪博客 http://blog.sina.com[...]
    [19] 블로그 1111…1という数(レピュニット)の素因数分解を納得する - アジマティクス http://www.ajimatics[...]
    [20] 웹사이트 Aufgaben und Lösungen 1. Runde 2016 https://www.mathe-we[...]
    [21] 웹사이트 Factors of 10n − 1,10 n + 1,2n − 1 and 2 n + 1. http://www.swansea.a[...]
    [22] 웹사이트 World!Of Numbers http://www.worldofnu[...]
    [23] 웹사이트 Number Theory の話題(Repunit Number と Zsigmondy's Theorem) http://science-log.c[...]
    [24] 웹사이트 nombre - onze en maths http://yoda.guillaum[...]
    [25] 웹사이트 persistance et repdigits http://villemin.gera[...]
    [26] 웹사이트 R49081 is prime! https://mersenneforu[...] MersenneForum 2022-03-29
    [27] 간행물 R109297 に関するアナウンス https://listserv.nod[...]
    [28] 웹사이트 Yahoo! Groups https://groups.yahoo[...] 2018-04-06
    [29] 간행물 R270343 に関するアナウンス https://listserv.nod[...]
    [30] 웹사이트 New repunit (PRP) primes found https://www.mersenne[...] MersenneForum 2022-03-29
    [31] 웹사이트 It is R8177207 https://www.mersenne[...] MersenneForum 2022-03-29
    [32] 웹사이트 레프유닛数
    [33] 웹사이트 11...11 (レピュニット) の素因数分解 https://stdkmd.net/n[...] STUDIO KAMADA 2022-03-29
    [34] 논문 On the diophantine equation a\frac{x^n-1}{x-1}=y^q
    [35] 웹사이트
    [36] OEI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