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제201호 ~ 제3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특정도서 (제201호 ~ 제300호)는 대한민국에서 특정도서로 지정된 섬들의 목록으로, 201호부터 300호까지의 지정 현황을 다룬다. 이 문서에서는 201호부터 259호까지의 지정 목록과 각 도서의 지정 사유를 상세히 설명하며, 지정 해제 목록, 특정도서 관리 주체, 관련 법규, 문제점 및 과제, 향후 전망 등을 다룬다. 특정도서 관리에 대한 사유지 재산권 침해 논란, 관리 인력 및 예산 부족, 주민 인식 부족 및 협조 미흡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제도 개선, 주민 참여 확대, 홍보 및 교육 강화를 통해 지속적인 관리를 강조한다.

2. 지정 현황

2. 1. 지정 목록

2. 1. 1. 제1호 ~ 제100호

제1호 ~ 제100호 참조.

2. 1. 2. 제101호 ~ 제200호

제101호 ~ 제200호 참조.

2. 1. 3. 제201호 ~ 제259호


  • 2014년 1월 6일에 제12차로 지정된 특정도서는 다음과 같다.
  • * 중방고도는 해식애, 파식대, 염풍화혈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까마귀쪽나무 등 상록활엽수가 분포하며 소사나무군락이 우점하며, 암반 조간대에서 조하대 상부까지 해조군락이 발달하여 지정되었다.
  • * 하방고도는 마린포트홀, 해식애, 염풍화혈, 습곡구조 등이 분포하며 상방고도, 중방고도와 어울리는 경관이 우수하여 지정되었다.
  • * 상방고도는 해식애, 주상절리, 노치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참식나무, 까마귀쪽나무 등 상록활엽수가 분포하며 소사나무군락이 우점하며, 멸종위기생물 매가 서식하며 가마우지가 번식하고 칼새가 서식하며, 탁도가 비교적 낮아 해조류 생육에 양호한 환경을 가져 지정되었다.
  • * 솔섬은 멸종위기생물 수달 서식, 검은머리물떼새 번식으로 지정되었다.
  • * 직구도는 해식애, 해식동, 암석돔, 애추, 토르 등 경관이 수려하고, 동백나무군락, 우묵사스레피군락, 억새-밀사초군락 등 식생이 우수하며, 멸종위기야생동물 매, 벌매, 섬개개비가 서식하고, 희귀종 한국솜덩이해면 등 해안무척추동물 종다양성과 서식처 다양성이 높으며, 해조류 식환경이 우수하고 자연성이 높아 지정되었다.
  • * 수령섬은 다양한 상록활엽수가 생육하는 후박나무군락 등 식생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생물 섬개개비가 서식하며, 희귀종 한국솜덩이해면 등 해안무척추동물 종다양성과 서식처 다양성이 높으며, 해조류 서식환경이 우수하고 자연성이 높으며 풍부한 식생이 발달하여 지정되었다.
  • * 보론섬은 섬천남성, 덩굴민백미꽃 등 희귀식물이 생육하고, 멸종위기생물 매, 팔색조, 흑비둘기, 섬개개비가 서식하며, 해안무척추동물 종다양성과 서식처 다양성이 높고, 해조류 군집이 풍부하고 보전상태가 양호하여 지정되었다.
  • * 염섬은 해식동, 시아치 등 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생물 매, 조롱이가 서식하며, 해안무척추동물 종다양성과 서식처 다양성이 높고, 해조류서식 환경이 우수하고 자연성이 높으며 종 다양성이 높아 지정되었다.

  • 2014년 12월 30일에 제13차로 지정된 특정도서는 다음과 같다.
  • * 대구을비도는 큰 규모의 해식애와 시스택 발달 등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생물 수달이 서식하고, 매가 번식하며, 한국고유종인 큰입이끼벌레 서식 등 해양무척추동물 종다양성이 풍부하여 지정되었다.
  • * 딴독섬은 해식애, 노치, 염풍화열 등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검은큰따개비, 거북손 등 다양한 해양무척추 서식으로 생태계 자연성이 높아 지정되었다.
  • * 샛개끝은 노치, 마린 포트홀, 염풍화혈 등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해양무척추 종다양성과 서식처 다양성이 높으며, 멸종위기야생생물 매가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대호도는 타포니, 포켓비치, 사주, 수직절리 등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해양무척추 종 다양성과 서식처 다양성이 높아 지정되었다.
  • * 돌거칠리도는 해식애, 타포니 발달 등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동물 수달이 서식하며, 해양무척추동물 종다양성과 풍부도가 높아 지정되었다.
  • * 소구을비도는 해식애, 타포니가 발달하고, 후박나무, 동백나무, 구실잣밤나무 등 상록활엽수림이 분포하며, 멸종위기야생생물 수달, 구렁이가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녹운도는 해식동굴, 모래톱, 타포니가 발달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 수달이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갈도쌍여는 해식애, 파식대가 분포하고, 다정큼나무군락이 분포하며 식생이 잘 보전되었고, 멸종위기야생생물 수달이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네바위는 해식애, 해식동굴 노치, 포트홀, 타포니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 수달이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갈산도2는 해식애, 해식동굴, 벌집형 타포니가 발달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 매가 서식하고, 칼새 집단번식지여서 지정되었다.
  • * 백사도는 파식대, 소규모 사주가 발달하고, 왜가리 집단 번식지(둥지 수 850여 개)여서 지정되었다.
  • * 갈산도1은 대규모 해식애, 해식동굴, 타포니가 발달하고, 멸종위기야생동물 매가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소치섬은 타포니, 나마, 토르, 해식애가 잘 발달하였고, 보리밥나무, 사철나무, 다정큼나무 등 상록활엽수림이 발달하였으며, 멸종위기야생동물 수달이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2015년 12월 23일에 제14차로 지정된 특정도서는 다음과 같다.
  • * 소초도는 특정식물종 자리공 서식 및 해식동 발달로 해안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종 수달 및 솔개와 흑비둘기 서식이 확인되어 지정되었다.
  • * 적도는 양쪽 섬을 잊는 적갈색의 꽃돌, 넓은 파식대와 벌지형 타포니 등에 의한 경관이 매우 우수하고, 멸종위기종 수달 서식이 확인되어 지정되었다.
  • * 대가덕도는 다양한 화강암 풍화지형 및 탁월한 해식애, 대규모 해식동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특정식물종 산마늘 생육하는 등 자연생태가 우수하고 다양한 조류의 중간기착지여서 지정되었다.
  • * 낭각흘도는 절리면을 따라 해식애가 발달하고 지형적 자연성이 우수하며,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여서 지정되었다.
  • * 소낭각흘도는 해식애, 해식대, 대규모 해식동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여서 지정되었다.
  • * 서각흘도는 풍광이 뛰어나며,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괭이갈매기, 한국재갈매기의 집단번식지여서 지정되었다.
  • * 말육도는 파식대, 시스택, 해식애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종 수달 및 매 서식이 확인되어 지정되었다.
  • * 매박섬은 시스택, 육계사주, 시취 등의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종 매, 검은머리물떼새, 섬개개비 서식이 확인되어 지정되었다.
  • * 오력도는 타포니, 나마, 포트홀, 파식대 등 지형경관적 다양성이 풍부하고 우수하며, 멸종위기종 수달, 검은머리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서식이 확인되어 지정되었다.
  • * 외조도는 해안선이 다채롭고, 파식대, 해식애, 타포니 등 해안경관이 우수하며, 멸종위기종 매 번식 및 수달 서식이 확인되어 지정되었다.
  • * 세항도는 퇴적층리, 구조선, 노치, 다양한 규모의 타모니 등 지형경관적 다양성이 풍부하고 우수하며, 멸종위기종 수달, 검은머리물떼새 서식이 확인되어 지정되었다.

  • 2016년 12월 22일에 제15차로 지정된 특정도서는 다음과 같다.
  • * 구지도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인 저어새, 노랑부리백로, Ⅱ급인 검은머리물떼새가 서식하며, 저어새의 국내 최대 번식지이고, 시스택, 육계사주, 자갈 및 모래해빈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여 지정되었다.
  • * 석도는 해식애, 해식동, 자갈해안 등 지형경관이 다양하고 자연성이 우수하며,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인 수달 및 Ⅱ급인 섬개개비가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동격렬비도는 해식애, 시스택, 해식동, 시아치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Ⅰ급인 매와 Ⅱ급인 섬개개비가 서식하고,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여서 지정되었다.
  • * 서격렬비도는 해식애, 해식동 등 지형경관의 자연성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생물 Ⅱ급인 섬개개비가 서식하고,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여서 지정되었다.
  • * 흰여는 해식애, 파식대, 고파식대 등 지형경관이 다양하고 우수하며,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인 수달이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복생도는 해식애, 타포니, 파식대 등 다양한 지형으로 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인 풍란, 수달 등이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육산도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인 저어새 노락부리백로, Ⅱ급인 검은머리물떼새 등의 주요 번식지여서 지정되었다.
  • * 농가도는 넓게 발달한 파식대와 나마, 타포니 등 다양한 지형으로 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인 수달이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안거칠리도는 시스택, 해식동 등 다양한 지형경관이 매우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인 수달 및 Ⅱ급인 솔개․구렁이가 서식하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등 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지정되었다.
  • * 하서도(수렁여)는 수직, 수평 절리가 발달, 토르, 거력낙화 등 지형경관의 다양성이 우수하여 지정되었다.
  • * 솔여도는 수평절리가 발달하고 넓은 파식대, 타포니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인 솔개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자사리제도(5)는 타포니가 매우 발달하여 시스택, 나마 등 다양한 지형으로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인 수달이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대혈도는 해식애, 해식곡, 자갈해안 다양한 지형경관을 보유하고, 멸종위기생물 1급인 수달이 서식하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등 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지정되었다.
  • * 소덕도는 시스택, 해식곡 등 다양한 지형으로 경관이 매우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 Ⅰ급인 수달이 서식하며, 다양한 상록활엽수림을 비롯하여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다수 분포하는 등 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지정되었다.
  • * 춘복도(충복도)는 해식곡, 타포니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 1급인 수달이 서식하며, 다양한 상록활엽수림을 비롯하여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이 다수 분포하는 등 식물다양성이 풍부하여 지정되었다.

  • 2017년 12월 22일에 제16차로 지정된 특정도서는 다음과 같다.
  • * 중수도는 퇴적층리, 해식애, 수평층리, 토어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상록활엽수와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등 식물다양성이 풍부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매와 II급 섬개개비가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소길산도는 해식애 해안과 노치, 해식동, 타포니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낙엽활엽수 발달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등 식물다양성이 풍부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수달 및 II 급 섬개개비가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십이동파도6(병풍도)는 주상절리로 구성된 해식애와 박리 발달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한반도 고유종 백운산원추리 등 식물다양성이 풍부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II 급 검은머리물떼새, 섬개개비가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각거도는 해식애, 해식동, 시스텍, 파식대, 노치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특이식생 및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등 식물다양성이 풍부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매가 서식 및 칼새의 집단번식지여서 지정되었다.

  • 2018년 12월 4일에 제17차로 지정된 특정도서는 다음과 같다.
  • * 석도(누에도)는 주상절리, 시스텍, 해식곡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한반도 고유종 백운산원추리,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등 식물다양성이 풍부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II급 검은머리물떼새가 서식하고, 괭이갈매기 집단번식지여서 지정되었다.
  • * 무명도2는 암석해안, 해식애, 단층구조선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수달이 서식하며, 해안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 및 서식처 다양성이 풍부하여 지정되었다.
  • * 질마도(석도)는 암석해안, 타포니 발달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노랑하늘타리 등이 생육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수달, II급 섬개개비가 서식하고, 해안무척추동물의 종다양성 및 서식처 다양성이 풍부하여 지정되었다.
  • * 아랫노랑이섬은 타포니, 토르, 해식동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장구밥나무 등이 생육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노랑부리백로, II급 검은머리물떼새가 서식하고, 간조 시 윗노랑이섬과 연육되어 서식처를 공유하여 지정되었다.
  • * 윗노랑이섬은 해식애, 파식대, 해식동, 노치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큰꿩의비름 등이 생육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노랑부리백로, II급 검은머리물떼새가 서식하고, 간조 시 아랫노랑이섬과 연육되어 서식처를 공유하여 지정되었다.
  • * 나무섬(하목도)는 특정도서 48호 나무섬(상목도)와 육계사주로 연결되었고, 타포니, 파식대, 해식애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진황정 등이 생육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노랑부리백로, II급 검은머리물떼새, 섬개개비가 서식하며, 백로(쇠백로, 중백로, 중대백로), 왜가리, 해오라기, 가마우지 집단번식지여서 지정되었다.

  • 2019년 12월 23일에 제18차로 지정된 특정도서는 다음과 같다.
  • * 중결도는 대규모 암석돔, 해식애 및 능선부의 토르 분포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한반도고유종 백운산원추리, 식물구계 Ⅲ등급 모람, 상동나무 등이 생육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I급 수달, II 급 새매, 구렁이가 서식하여 지정되었다.
  • * 고여는 대규모 파식대, 노치, 타포니, 암석해안 등 지형경관이 우수하고, 멸종위기야생생물 I급 수달이 서식하며, 해안무척추동물 및 해조류 종다양성과 서식처 다양성이 높아 지정되었다.

3. 해제 목록

특정도서 지정 이후, 보전 가치가 낮아지거나 다른 법률에 따라 보호되는 경우 등에는 지정이 해제될 수 있다.

3. 1. 해제 사유

4. 특정도서 관리

4. 1. 관리 주체

4. 2. 관련 법규

5. 문제점 및 과제

5. 1. 사유지 재산권 침해 논란

5. 2. 관리 인력 및 예산 부족

5. 3. 주민 인식 부족 및 협조 미흡

6. 향후 전망

6. 1. 지속적인 제도 개선

6. 2. 주민 참여 확대

6. 3. 홍보 및 교육 강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