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남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남시의 시내버스는 성남시 관내를 운행하는 버스 체계로, 여러 운송 업체가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2021년 1월 기준 경기고속, 대명운수, 대원버스, 성남시내버스가 있으며, 이 중 KD운송그룹에 속한 경기고속과 대원버스가 직행좌석 노선을, 대명운수와 성남시내버스가 시내일반 노선을 주로 운영한다. 성남시 면허 외에도 서울, 하남, 광주, 수원, 용인 등 인접 지역의 버스들이 성남시를 경유하며, 경기도의 거리비례제 운임을 적용하고 수도권 통합운임제를 통해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 차량 안내방송은 업체별로 차이가 있으며, GPS 음영 지역과 정류소 명칭 문제 등이 존재한다. 성남시 시내버스 노선은 성남시 면허 노선과 서울, 하남 등 타 지역에서 운행하는 노선으로 구분되며, 직행좌석, 일반좌석, 시내일반, 마을버스 등 다양한 종류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성남시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성남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성남시의 시내버스
개요
성남시내버스 331번
성남시내버스 331번
서비스 지역경기도 성남시
기타 지역서울특별시
경기도 광주시
수원시
용인시
안양시
의왕시
과천시
하남시
시흥시
부천시
구리시
남양주시
양주시
고양시
군포시
노선 수58
인가 대수849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 카드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웹사이트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2. 버스 업체

2021년 1월 기준이다.[1]

운행업체노선 합계광역급행직행좌석일반좌석시내일반대수 합계광역급행직행좌석일반좌석시내일반
경기고속 (KD)4-4--46-46--
대명운수5---597---97
대원버스 (KD)22-15-7314-153-161
성남시내버스29-3-26367-17-350



경기고속(KD)은 4개의 직행좌석 노선을 운영하며 46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 대명운수는 5개의 시내일반 노선을 운영하며 97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 대원버스(KD)는 15개의 직행좌석 노선과 7개의 시내일반 노선을 포함하여 총 22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153대의 직행좌석 버스와 161대의 시내일반 버스를 포함하여 총 314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 성남시내버스는 3개의 직행좌석 노선과 26개의 시내일반 노선을 포함하여 총 29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17대의 직행좌석 버스와 350대의 시내일반 버스를 포함하여 총 367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

2. 1. 성남시 면허 업체

경기고속(KD)은 4개의 직행좌석 노선을 운영하며 46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 대명운수는 5개의 시내일반 노선을 운영하며 97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 대원버스(KD)는 15개의 직행좌석 노선과 7개의 시내일반 노선을 포함하여 총 22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153대의 직행좌석 버스와 161대의 시내일반 버스를 포함하여 총 314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 성남시내버스는 3개의 직행좌석 노선과 26개의 시내일반 노선을 포함하여 총 29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17대의 직행좌석 버스와 350대의 시내일반 버스를 포함하여 총 367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

성남시 면허 업체별 보유 노선 수 및 등록 대수 (2021년 1월 기준)[1]
운행업체노선 합계광역급행직행좌석일반좌석시내일반대수 합계광역급행직행좌석일반좌석시내일반
경기고속 (KD)4-4--46-46--
대명운수5---597---97
대원버스 (KD)22-15-7314-153-161
성남시내버스29-3-26367-17-350


2. 2. 다른 시, 군 운수업체

광주경기고속, 대원고속, 구리경기여객, 수원삼경운수, 성우운수, 의정부경기고속, 이천이천시내버스, 용인경남여객, 대원상운, 하남경기상운, 화성화성여객, 서울남성버스, 대성운수, 동성교통 버스가 성남시를 경유한다.

3. 운임

3. 1. 운임 체계

성남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거리비례제 운임을 징수하고 있다.

3. 2. 환승 할인

수도권 통합운임제의 기준을 따른다. 대중교통수단 간 환승시 각 통행거리를 합산하여 총 통행거리에 비례하여 운임을 부과하는 체계이며, 경기도 버스 ↔ 서울 버스, 수도권 전철 및 지하철 간 환승 할인이 가능하다.[2] 기본 운임은 10km 이하까지는 900원이며, 초과시 이용 지역/구간에 상관없이 5km마다 100원을 부과한다.[2]

4. 차량 안내방송

현재 성남 면허의 모든 노선에서는 차량 안내방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안내방송 담당 회사가 대부분 양진텔레콤으로 통일되어 있는 서울 면허의 차량과는 달리, 성남시에서는 운행업체에 따라 서로 다른 안내방송 제작업체의 것을 사용하고 있어 서울 시내버스에서 발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 '''GPS 음영지역에서의 안내방송''': 성남 지역의 버스 노선 중에는 '본시스템' 업체의 안내방송을 사용하는 노선들이 있는데, GPS 방식의 안내방송이어서 GPS 음영지역에서 방송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몇 년 있으면 성남시내버스와 대명운수는 본시스템 디지털 초고음질 방식 안내방송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 '''정류소 명칭''': 일부 노선에서 실시되는 안내방송의 경우,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는데도 운행업체마다 다른 회사의 안내방송을 사용해 노선들 간의 정류소 명칭이 다르게 방송된다.
  • *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위치한 같은 정류장을 성남시내버스, 대명운수 노선은 '이매촌한신, 서현역'으로, 경기고속, 대원고속, 대원버스, 성우운수 노선은 '이매촌한신아파트, 서현역, AK플라자'로 안내한다. 서울특별시 면허인 남성버스, 동성교통 노선은 '이매촌한신아파트'로 안내한다.

4. 1. 문제점

현재 성남 면허의 모든 노선에서는 차량 안내방송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안내방송 담당 회사가 대부분 양진텔레콤으로 통일되어 있는 서울 면허의 차량과는 달리, 성남시에서는 운행업체에 따라 서로 다른 안내방송 제작업체의 것을 사용하고 있어 서울 시내버스에서 발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 '''GPS 음영지역에서의 안내방송''': 성남 지역의 버스 노선 중에는 '본시스템' 업체의 안내방송을 사용하는 노선들이 있는데, GPS 방식의 안내방송이어서 GPS 음영지역에서 방송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몇 년 있으면 성남시내버스와 대명운수는 본시스템 디지털 초고음질 방식 안내방송으로 전환될 예정이다.
  • '''정류소 명칭''': 일부 노선에서 실시되는 안내방송의 경우, 같은 정류장에 정차하는데도 운행업체마다 다른 회사의 안내방송을 사용해 노선들 간의 정류소 명칭이 다르게 방송된다.
  • *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에 위치한 같은 정류장을 성남시내버스, 대명운수 노선은 '이매촌한신, 서현역'으로, 경기고속, 대원고속, 대원버스, 성우운수 노선은 '이매촌한신아파트, 서현역, AK플라자'로 안내한다. 서울특별시 면허인 남성버스, 동성교통 노선은 '이매촌한신아파트'로 안내한다.

5. 노선 목록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6대명운수상대원동 ↔ 남한산성 유원지성남산업단지, 사기막골, 황송터널, 은행1동 행정복지센터, 남한산성입구역, 을지대학교733성남시내사기막골 ↔ 율동공원성남산업단지, 신구대학, 금광시장, 단대오거리역, 모란역, 성남시청, 탑마을 8단지, 이매촌, 서현역, 수내역, 수내동소방서, 대진고8~1033-1성남시내산성동 ↔ 구미동산성역, 남한산성입구, 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역, 중원경찰서, 대원터널, 도촌동 1단지, 야탑역, 이매역, 중앙공원, 계원예고, 미금역9~1151성남시내사기막골 ↔ 분당서울대병원황송터널, 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역, 모란역, 성남시청, 야탑역, 이매역, 중앙공원, 계원예고, 미금역5~655성남시내사송동공영차고지 ↔ 남한산성입구삼평동 행정복지센터, 판교역, 아름마을, 야탑역, 성남시청, 모란역, 성남산업단지, 신구대학, 남한산성입구역10~13200성남시내도촌동 ↔ 위례신도시야탑역, 모란역, 태평역, 신흥시장, 수정구청, 산성역11~16210성남시내남위례역복정고등학교15~25220성남시내사기막골 ↔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상대원시장, 수정구청, 신흥시장, 태평역, 야탑역, 서현역, 중앙공원, KT, 정자역, 판교도서관4~5240대명운수남한산성입구 ↔ 도촌동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태평역, 모란역, 성남시청5~8250성남시내도촌동 ↔ 쇳골입구야탑역, 이매역, 서현역, 수내역, 정자역, 미금역9~12310대원버스오리역 ↔ 시흥동(기업성장센터)미금역, 이우중고, 판교대장로, 대장초·중학교, 산운마을, 한국잡월드, 수내역, 서현역, 이매촌한신, 판교역, 호반써밋플레이스, 봇들마을5단지, 봇들육교, 삼평교, 판교제2테크노밸리15~25311대원버스도촌동 ↔ 수진역도촌7단지.8단지, 도촌초등학교.도촌종합사회복지관, 스위첸파티오1단지, 동강프라자앞, 도촌1.2단지, 도촌북로입구, 서울정형외과, 대하초등학교.중원청소년수련관, 대하초교, 성일고.힐스테이트아파트, 성호시장.단대리약국 → 수진역.성호시장.성일중고입구, 수진역4번출구, 수진1동행정복지센터, 성남시의료원정문30~40330성남시내산성동 ↔ 운중동산성역, 태평역, 야탑역, 봇들마을, 판교원마을, 판교도서관7~17340성남시내사기막골 ↔ 운중동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수진역, 모란역, 야탑역, 송현초교, 판교역, 판교도서관, 운중고교8~20340-1성남시내사기막골 ↔ 운중동
(서판교성당)상대원동, 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수진역, 모란역, 야탑역, 송현초교, 판교역, 판교도서관, 운중고교12~30342성남시내모란대형주차장 ↔ 청계산옛골모란대형주차장 - (→ 모란시장 →/← 성남동성당 ← 중원구청 ← 모란역 ←) - 성남시청후문 - 모란차량기지앞 - 시흥동행정복지센터 - 시흥사거리 - 고등지구 - 대왕회관 - 청계산옛골20~45350대명운수상대원동
(대명운수본사) ↔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대원터널, 중원구청, 모란역, 야탑역, 송현초교, 판교도서관, 운중고교15~20351대명운수구미동차고지 ↔ 판교제2테크노밸리
(위든타워)무지개마을, 대우.롯데아파트, 미금역, 상록마을, 정자역, 수내역, 분당구청, 서현역, 성남역, 매송초교.아름마을, 봇들마을, 기업성장센터15~20370성남시내고등마을아파트 ↔ 오리역판교테크노밸리, 판교역, 이매촌한신, 분당등기소, 분당중앙고, 가스공사, 무지개마을145~155380성남시내도촌동 ↔ 분당서울대병원야탑역, 판교테크노밸리, 판교역, 서현역, 미금역14~17382성남시내모란역 ↔ 이노밸리중원구청, 상대원공단, 단대오거리역, 산성역, 태평역, 모란역, 야탑역30궁전아파트~산성역 순환로 무정차100출성남시내산성역복정역금광동, 숭신여고, 단대오거리역, 신흥역, 구 시청, 가천대1회운행시각: 03:30330출성남시내야탑역 ↔ 이노밸리판교테크노밸리5맞춤형 출근버스누리1성남시내영생관리사업소 ↔ 쇳골도촌동, 야탑역, 이매사거리, 판교역, 궁내동25누리2성남시내새마을연수원 ↔ 옛골국군수도병원, 서현역, 백현4단지, 판교역, 판교제2테크노밸리, 금토동25누리3성남시내럭키타운 ↔ 석운동이매역, 서현역, 백현4단지, 판교역, 판교도서관, 운중동25누리4성남시내동원동종점 ↔ 판교역로얄냉장, 판교동행정복지센터, 판교박물관95~105반디1
직행좌석대원버스오리역복정역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역, 이매역8회반디1-1
직행좌석대원버스오리역 ↔ 위례신도시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역, 이매역, 복정역8회반디2
직행좌석대원버스오리역 ↔ 남한산성입구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역, 이매역, 야탑역, 모란역, 수진역8회반디3
직행좌석대원버스상대원동 ↔ 모란역하이테크밸리, 상대원동행정복지센터, 하대원동행정복지센터,중원구청20~30반디4
직행좌석대원버스대장동 ↔ 서현역판교풍경채7단지, 경남아너스빌, 운중동행정복지센터, 판교원마을, 판교동행정복지센터, 화랑공원남편, 판교역, 백현마을20~30S3355
직행좌석성남시내남한산성입구 ↔ 판교역북편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신흥역, 모란역, 성남시청, 야탑역, 성남아트센터, 율동공원, 신해철거리, 분당중앙공원, 한국잡월드, 판교박물관, 화랑공원3회토요일에만 운행
2층버스 운행


5. 1. 성남시내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6대명운수상대원동 ↔ 남한산성 유원지성남산업단지, 사기막골, 황송터널, 은행1동 행정복지센터, 남한산성입구역, 을지대학교733성남시내사기막골 ↔ 율동공원성남산업단지, 신구대학, 금광시장, 단대오거리역, 모란역, 성남시청, 탑마을 8단지, 이매촌, 서현역, 수내역, 수내동소방서, 대진고8~1033-1성남시내산성동 ↔ 구미동산성역, 남한산성입구, 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역, 중원경찰서, 대원터널, 도촌동 1단지, 야탑역, 이매역, 중앙공원, 계원예고, 미금역9~1151성남시내사기막골 ↔ 분당서울대병원황송터널, 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역, 모란역, 성남시청, 야탑역, 이매역, 중앙공원, 계원예고, 미금역5~655성남시내사송동공영차고지 ↔ 남한산성입구삼평동 행정복지센터, 판교역, 아름마을, 야탑역, 성남시청, 모란역, 성남산업단지, 신구대학, 남한산성입구역10~13200성남시내도촌동 ↔ 위례신도시야탑역, 모란역, 태평역, 신흥시장, 수정구청, 산성역11~16210성남시내남위례역복정고등학교15~25220성남시내사기막골 ↔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상대원시장, 수정구청, 신흥시장, 태평역, 야탑역, 서현역, 중앙공원, KT, 정자역, 판교도서관4~5240대명운수남한산성입구 ↔ 도촌동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태평역, 모란역, 성남시청5~8250성남시내도촌동 ↔ 쇳골입구야탑역, 이매역, 서현역, 수내역, 정자역, 미금역9~12310대원버스오리역 ↔ 시흥동(기업성장센터)미금역, 이우중고, 판교대장로, 대장초·중학교, 산운마을, 한국잡월드, 수내역, 서현역, 이매촌한신, 판교역, 호반써밋플레이스, 봇들마을5단지, 봇들육교, 삼평교, 판교제2테크노밸리15~25311대원버스도촌동 ↔ 수진역도촌7단지.8단지, 도촌초등학교.도촌종합사회복지관, 스위첸파티오1단지, 동강프라자앞, 도촌1.2단지, 도촌북로입구, 서울정형외과, 대하초등학교.중원청소년수련관, 대하초교, 성일고.힐스테이트아파트, 성호시장.단대리약국 → 수진역.성호시장.성일중고입구, 수진역4번출구, 수진1동행정복지센터, 성남시의료원정문30~40330성남시내산성동 ↔ 운중동산성역, 태평역, 야탑역, 봇들마을, 판교원마을, 판교도서관7~17340성남시내사기막골 ↔ 운중동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수진역, 모란역, 야탑역, 송현초교, 판교역, 판교도서관, 운중고교8~20340-1성남시내사기막골 ↔ 운중동
(서판교성당)상대원동, 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수진역, 모란역, 야탑역, 송현초교, 판교역, 판교도서관, 운중고교12~30342성남시내모란대형주차장 ↔ 청계산옛골모란대형주차장 - (→ 모란시장 →/← 성남동성당 ← 중원구청 ← 모란역 ←) - 성남시청후문 - 모란차량기지앞 - 시흥동행정복지센터 - 시흥사거리 - 고등지구 - 대왕회관 - 청계산옛골20~45350대명운수상대원동
(대명운수본사) ↔ 운중동
(한국학중앙연구원)대원터널, 중원구청, 모란역, 야탑역, 송현초교, 판교도서관, 운중고교15~20351대명운수구미동차고지 ↔ 판교제2테크노밸리
(위든타워)무지개마을, 대우.롯데아파트, 미금역, 상록마을, 정자역, 수내역, 분당구청, 서현역, 성남역, 매송초교.아름마을, 봇들마을, 기업성장센터15~20370성남시내고등마을아파트 ↔ 오리역판교테크노밸리, 판교역, 이매촌한신, 분당등기소, 분당중앙고, 가스공사, 무지개마을145~155380성남시내도촌동 ↔ 분당서울대병원야탑역, 판교테크노밸리, 판교역, 서현역, 미금역14~17382성남시내모란역 ↔ 이노밸리중원구청, 상대원공단, 단대오거리역, 산성역, 태평역, 모란역, 야탑역30궁전아파트~산성역 순환로 무정차100출성남시내산성역복정역금광동, 숭신여고, 단대오거리역, 신흥역, 구 시청, 가천대1회운행시각: 03:30330출성남시내야탑역 ↔ 이노밸리판교테크노밸리5맞춤형 출근버스누리1성남시내영생관리사업소 ↔ 쇳골도촌동, 야탑역, 이매사거리, 판교역, 궁내동25누리2성남시내새마을연수원 ↔ 옛골국군수도병원, 서현역, 백현4단지, 판교역, 판교제2테크노밸리, 금토동25누리3성남시내럭키타운 ↔ 석운동이매역, 서현역, 백현4단지, 판교역, 판교도서관, 운중동25누리4성남시내동원동종점 ↔ 판교역로얄냉장, 판교동행정복지센터, 판교박물관95~105반디1
직행좌석대원버스오리역복정역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역, 이매역8회반디1-1
직행좌석대원버스오리역 ↔ 위례신도시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역, 이매역, 복정역8회반디2
직행좌석대원버스오리역 ↔ 남한산성입구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역, 이매역, 야탑역, 모란역, 수진역8회반디3
직행좌석대원버스상대원동 ↔ 모란역하이테크밸리, 상대원동행정복지센터, 하대원동행정복지센터,중원구청20~30반디4
직행좌석대원버스대장동 ↔ 서현역판교풍경채7단지, 경남아너스빌, 운중동행정복지센터, 판교원마을, 판교동행정복지센터, 화랑공원남편, 판교역, 백현마을20~30S3355
직행좌석성남시내남한산성입구 ↔ 판교역북편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신흥역, 모란역, 성남시청, 야탑역, 성남아트센터, 율동공원, 신해철거리, 분당중앙공원, 한국잡월드, 판교박물관, 화랑공원3회토요일에만 운행
2층버스 운행


5. 2. 서울, 하남 방면 노선


5. 3. 부천, 고양, 시흥, 안산, 안양, 군포, 의왕 방면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333
직행좌석대원버스사기막골 ↔ 안양역황송터널, 을지대학교, 남한산성입구역, 단대오거리역, 모란역, 청계영업소, 안양농수산물시장, 한림대병원, 범계역, 만안구청, 남부시장10~20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경유360성남시내버스판교 제2테크노밸리 ↔ 레이크포레4단지(백운호수)판교역 동편, 운중동, 타임 빌라스, 백운밸리, 백운호수20~301303
직행좌석경기고속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 안양역단국대학교죽전캠퍼스, 오리역, 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운중동, 인덕원역, 범계역15~25용인시 면허3103
직행좌석경원여객본오동 ↔ 나라기록관그랑시티자이A, 사동푸르지오A, 안산문화광장, 중앙역, 안산터미널, 성포동, 월피동, 부곡동, 수암동, 목감동, 화랑공원, 금토천교, 삼평교, 판교제2테크노밸리1일 8회안산시 면허3202
직행좌석시흥교통삼미시장 ↔ 나라기록관은계지구, 시흥대야역, 시흥요금소, 시흥하늘휴게소, 청계요금소, 경부고속도로, 화랑공원, 금토천교, 삼평교, 판교제2테크노밸리20~40시흥시 면허3302
직행좌석시흥교통시흥능곡역 ↔ 나라기록관시흥시청역, 목감중심상업지구, 청계요금소, 경부고속도로, 화랑공원, 금토천교, 삼평교, 판교제2테크노밸리20~40시흥시 면허3330
직행좌석대원버스도촌동 ↔ 안양역매화마을, 야탑역, 성남아트센터, 이매역, 이매촌한신A, 낙생육교, 청계영업소, 안양농수산물시장, 한림대병원, 범계역, 만안구청, 남부시장7~10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경유3402
직행좌석경원여객이마트 시화점 ↔ 나라기록관시화지구, 배곧한라비발디A, 배곧중심상가, 화랑공원, 금토천교, 삼평교, 판교제2테크노밸리20~40시흥시 면허3500
직행좌석경기고속오리역경기외고미금역, 정자2동주민센터, 분당중앙공원, 서현역, 이매촌한신A, 낙생육교, 청계영업소, 군포문화예술회관, 산본역, 산본3단지, 당동, 한세대학교15~25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경유8106
경기순환경기고속오리역송내역미금역, 이매촌한신A, 낙생육교, 경부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부천터미널, 복사골문화센터, 반달마을15~20경기순환버스8109
경기순환경기고속오리역킨텍스미금역, 정자역, 서현역, 야탑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백석역, 마두역, 주엽역, 대화역15~20경기순환버스


5. 4. 용인, 수원, 안성, 화성, 오산, 평택, 경기광주 방면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3-1대원버스광주하남교육지원청↔사기막골광주공설운동장, 광주축협, 역동, 삼동역, 모란역, 태평역, (구)시청, 단대오거리역, 신구대학교, 성남중원경찰서, 대원사거리6~79대원고속사송공영차고지↔남한산성야탑역, 모란역, 태평동, 산성역, 은행시장, 양지공원10~15광주시 면허9-1대원고속산성역남한산성한국폴리텍대, 웃논골, 남문매표소광주시 면허, 토/일/공휴일에만 운행, 기상조건 악화시 운휴17경기고속광주하남교육지원청↔금광동광주공설운동장, 역동사거리, 경기광주역, 오포1동행정복지센터, 추자동, 문형동, 능골, 신현동, 율동공원, 분당동, 수내역, 서현역, 야탑역, 모란역, 단대오거리역5~10광주시 면허17-1경기고속광주하남교육지원청↔금광동
(삼성래미안아파트)광주공설운동장, 역동사거리, 경기광주역, 양벌동, 광남중고교, 오포1동 행정복지센터, 추자동, 문형동, 능골, 신현리, 율동공원, 이매역, 야탑역, 모란역, 단대오거리역30~40광주시 면허31-2경기고속광주축협↔모란역광주공설운동장, 탄벌동, 이배재터널, 대원사거리, 하대원동30~45광주시 면허31-3경기고속광주터미널모란역광주축협, 파라다이스아파트, 광주공설운동장, 탄벌동, 이배재터널, 대원사거리, 하대원동5~15광주시 면허32-1경기고속오포금호아파트↔중앙시장오포소방서, 광남중학교, 성원아파트, 직동삼거리, 삼동역, 모란역, 태평역12~15광주시 면허52성남시내남한산성↔사송동공영차고지산성역, 단대오거리역, 모란역, 야탑역130~15060대원고속광주하남교육지원청↔수원역광주공설운동장, 역동사거리, 경기광주역, 양벌리, 외대사거리, 문형리, 능골, 죽전1동, 오리역, 죽전역, 수지구청, 이마트, 성복역, 상현1동, 경기대후문, 화성행궁, 장안문10~12광주시 면허116-1경기고속정자역↔오산시
(갈곶동)미금역, 하얀마을, 오리역, 보정역, 구성역, 신갈오거리, 민속촌입구, 기흥초교, 삼성반도체, 한림대병원, 메타폴리스, 솔빛·나루마을, 동탄초교, 운암단지, 오산역15~25광주시 면허116-3화성여객동탄2신도시
(방교리)↔미금역센트럴푸르지오, 동탄4동 행정복지센터, 고매동, 민속촌입구, 신갈오거리, 구성역, 보정역, 오리역, 미금역20~40화성시 면허300대원버스오리역↔은대미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역, 야탑역, 도촌동사거리, 삼동역, 광주경찰서, 역동사거리, 초월역, 곤지암터미널, 곤지암역8~10320대원고속태전지구↔성남중앙시장중대물빛공원, 삼동역, 갈마터널, 모란역, 태평역25~50광주시 면허390대원버스사송공영차고지↔초당역야탑역, 쌍용아파트, 송현초교, 벌말육교, 판교역, 보평중학교, 보바스병원, 죽전역 현대홈타운, 호수마을10~15520대원고속오리역↔강남300CC미금역, 정자역, 수내역, 서현1동행정복지센터, 분당요한성당, 신현3리, 청솔마을8~10광주시 면허521대원고속서현역↔신현리
(산하빌라)분당요한성당, 태재고개, 오거스타골프클럽, 동심8차빌라30~40광주시 면허522대원고속서현역↔능평1리
(현동빌라)분당요한성당, 태재고개, 신현3리, 능평4리N/A광주시 면허700-2경기고속오리역수원대학교햐얀마을, 미금역, 수지중학교, 경기대학교, 장안문, 수원역, 고색동5~10광주시 면허720-1경기고속서현역↔영통차고지미금역, 수지중학교, 경기대학교, 아주대학교, 영통등기소, 청명역5~15광주시 면허720-2경기고속수원대학교↔백현마을와우삼거리, 오목초교, 수원역, 아주대학교, 정평중학교, 오리역, 미금역, 서현역, 하늘소망교회5~10광주시 면허820경남여객명지대학교
(용인(자연)캠퍼스)↔정자역동진마을, 교수마을, 라이프아파트, 용인등기소, 진우아파트, 동부아파트, 한성아파트, 보정역, 오리역, 미금역10~12용인시 면허2007
직행좌석삼경운수삼경운수평동영업소
(수원역)↔세이브존(성남점)
단대오거리역장안문, 경기일보, 봉담과천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모란역, 수진역, 신흥역10수원시 면허3100
직행좌석대원버스기업성장센터↔고산리
(오포우림아파트)기업지원허브, 판교제2테크노밸리, 판교역, 봇들마을, 송현초교, 삼환아파트, 야탑역, 성남시청, 태전아이파크, 태전힐스테이트, 금호베스트빌45~504000
직행좌석성우운수수원터미널↔사송공영차고지수원월드컵경기장, 아주대학교, 수원시청역, 아주대학교, 수원월드컵경기장, 판교신도시, 서현역, 이매역, 야탑역, 성남시청35~50수원시 면허4500
직행좌석성남시내사송공영차고지↔수원터미널모란역, 성남시청, 야탑역, 운중도서관, 용인서울고속도로, 수원월드컵경기장, 아주대학교, 수원시청역35~502층버스 운행6801
직행좌석대원고속성남터미널
(야탑역)↔평택지제역판교역, 스타필드안성, 평택대학교, 배다리생태공원, 우미린센트럴파크, 서재자이아파트, 센트럴자이1단지40~70광주시 면허8201
직행좌석대원고속성남터미널
(야탑역)↔안성터미널판교역, 풍림아파트, 공도터미널, 대림동산, 중앙대학교안성캠퍼스, 한경국립대학교, 시민회관30~60광주시 면허8301
직행좌석경기고속성남터미널
(야탑역)↔송탄터미널판교역, 운암주공5단지, 오산역40~250광주시 면허



광주시 방면으로는 3-1번, 9번, 17번, 31-2번, 31-3번, 32-1번, 60번, 300번, 320번, 520번, 521번, 522번, 3100번 버스 등이 운행된다. 특히 9번, 9-1번, 52번 버스는 남한산성까지 운행하며, 9-1번은 주말 및 공휴일에만 운행하고 기상 악화 시 운휴한다. 수원시 방면으로는 60번, 700-2번, 720-2번, 2007번, 4000번, 4500번 버스가 운행되며, 용인시 방면으로는 116-1번, 116-3번, 390번, 820번 버스가 운행된다. 오산시 방면으로는 116-1번 버스가, 화성시 방면으로는 116-3번, 720-2번 버스가 운행된다. 평택시 방면으로는 6801번, 8301번 직행좌석버스가, 안성시 방면으로는 8201번 직행좌석버스가 운행된다.

5. 5. [[가천대역]] ex-허브 정차 노선

wikitable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
1009대원고속수원대학교잠실역국립축산과학원, 화서역, 봉담과천로,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장지역, 가락시장역, 석촌역, 잠실나루역15~25화성시 면허
1112대원고속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 강변역황골벽산A, 경부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장지역, 가락시장역, 석촌역, 잠실역, 구의역7~12수원시 면허
1650경기여객구리시 (수택동) ↔ 안양역강변북로, 강변역, 잠실역, 석촌역, 가락시장역,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범계역8~10구리시 면허
8401경기고속수원역경기도청 북부청사병무청, 장안문, 봉담과천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평일 6회, 주말 2회의정부시 면허, 구리시 미경유, 8409번 차량으로 운행
8409경기고속수원역경기도청 북부청사병무청, 장안문, 봉담과천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구리역, 장암역, 의정부역30~60의정부시 면허
G2100이천시내버스이천역잠실광역환승센터이천터미널, 성남이천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가천대, 장지역, 가락시장역, 석촌역15~25이천시 면허


5. 6. [[마을버스]]

성남시의 마을버스는 성남시 관내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이다.

참조

[1] 문서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2] 웹인용 성남시 버스운임 정보 https://web.archive.[...] 2018-11-15
[3] 문서 잠실광역환승센터
[4] 문서 잠실광역환승센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