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요시다번 (미카와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시다번(미카와국)은 159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간토 지방으로 전봉한 후 미카와 동부 지역을 이케다 데루마사에게 주면서 시작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도카이도의 역참 마을이자 해상 및 강 항구로서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하며 요시다 번의 중심지가 되었다. 여러 다이묘 가문이 번주를 역임했으며, 1752년 마쓰다이라 (나가사와-오코치) 가문이 소유한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지속되었다. 마지막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히사는 바쿠마쓰 시대에 여러 직책을 맡았으며, 보신 전쟁 이후 1868년 메이지 정부에 성을 항복했다. 1869년 도요하시 번으로 개칭되었고, 1871년 폐번치현으로 도요하시 현이 되었다가 아이치 현에 편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요시다번 (미카와국) - 요시다성 (도요하시시)
    아이치현 도요하시시에 위치한 요시다성은 1505년 마키노 고하쿠가 축성하여 센고쿠 시대 이마가와 가문의 거점이었고, 에도 시대에는 미카와 요시다 번의 번청으로, 도요가와 강을 해자로 활용한 도카이도의 방어 거점이었으며, 현재는 도요하시 공원으로 이용된다.
  • 구제씨 - 구제 시게유키
    구제 시게유키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이자 막부 로주로, 여러 번의 전봉을 거쳐 세키야도 번, 니와세 번, 가메야마 번, 요시다 번을 통치했으며, 지샤 봉행, 와카도시요리를 거쳐 로주를 역임하며 쇼토쿠 금화 및 교호 은화 주조를 담당하다 1720년에 사망했다.
  • 구제씨 - 구제 히로유키
    구제 히로유키는 에도 시대의 무사로, 도쿠가와 막부의 요직을 두루 거치며 세 명의 쇼군을 섬겼고, 시모사국 세키야도 성주를 역임하다 1679년에 사망했다.
  • 미즈노씨 - 가라쓰성
    가라쓰성은 1595년 데라자와 히로타카가 축성을 시작하여 1608년에 완성되었으며, 메이지 시대 이후 폐성되어 공원으로 조성되었고, 현재의 천수각은 1966년에 재건되었다.
  • 미즈노씨 - 하마마쓰번
    하마마쓰번은 에도 시대 도토미국 하마마쓰에 있던 번으로, 여러 후다이 다이묘 가문이 번주를 역임하며 '출세성'이라는 별칭을 얻었고,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거점이기도 했으며, 폐번치현 이후 시즈오카현에 편입되었다.
요시다번 (미카와국)
개요
원래 이름ja(미카와 요시다 번)
다른 이름ja(도요하시 번) (1869–1871)
일반 명칭요시다 번
구분
상태 설명일본의 번
정부 형태다이묘
위치
수도요시다 성
현재 위치아이치현
역사
성립1600년
해체1871년
존속 기간1600–1749년, 1752–1871년
시대에도 시대
통계

2. 역사

1590년 오다와라 정벌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쿠가와 이에야스간토 지방으로 전봉시키고, 미카와국 동부의 옛 영지 일부를 이케다 데루마사에게 주었다. 데루마사는 요시다성을 중심으로 성시(조카마치) 개발과 성 확장을 시도했으나,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히메지번으로 이봉되면서 완성되지 못했다.

에도 막부 성립 후, 요시다는 미카와 요시다번의 중심지가 되었다. 이곳은 에도교토를 잇는 도카이도의 주요 슈쿠바(역참 마을)이자 항구로서 전략적 중요성을 지녔다. 초기에는 번주 가문이 자주 바뀌는 불안정한 시기를 겪었으나, 후다이 다이묘 가문들이 번갈아 통치했다.

간엔 2년(1749년), 나가사와-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이 7만 석으로 입봉하면서 번주 가문이 안정되어 메이지 유신까지 이어졌다. 이 가문에서는 간세이 개혁에 참여한 마쓰다이라 노부아키와 같은 인물이 배출되었다.

막말 시기, 마지막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히사 통치 하에 보신 전쟁을 맞았다. 번 내부는 좌막파와 존왕파로 분열되었으나, 결국 신정부군에 항복하였다. 메이지 2년(1869년) 판적봉환 이후 이요의 요시다번과의 구분을 위해 '''도요하시번'''으로 개칭되었고, 메이지 4년(1871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어 아이치현에 편입되었다. 1869년 당시 인구는 17,517가구, 76,228명이었다.[1]

2. 1. 번의 성립과 초기

덴쇼 18년(1590년) 오다와라 정벌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도쿠가와 이에야스간토 지방으로 전봉시키고, 미카와국 동부의 옛 영지 일부를 이케다 데루마사에게 주었다. 데루마사는 요시다성을 거점으로 삼아 주변에 성시를 개발하고 성 자체의 대규모 확장 계획에 착수했다. 그러나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동군에 가담하여 기후성 공격에서 공을 세운 결과, 전투 후 하리마국 히메지번으로 이봉되어 요시다를 떠났다.

게이초 6년(1601년) 2월, 무사시국 하치만야마번에 있던 도쿠가와씨후다이 가신인 다케야 마쓰다이라 가문의 마쓰다이라 이에키요가 3만 석으로 요시다에 들어오면서, 미카와 요시다번이 도쿠가와 가문의 번으로서 정식으로 성립되었다. 게이초 8년(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고요제이 천황으로부터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임명받아 도쿠가와 막부가 발족하자, 미카와 요시다번도 막번 체제 하의 번으로 편제되었다.

초대 번주 이에키요는 게이초 15년(1610년) 12월 21일에 사망했고, 그의 아들 마쓰다이라 다다키요가 2대 번주가 되었으나, 다다키요는 게이초 17년(1612년) 4월 20일에 후사 없이 사망하여 다케야 마쓰다이라 가문은 개역되었다.

이후 요시다번은 다음과 같이 번주 가문이 자주 교체되는 불안정한 시기를 겪었다.

입번 연도번주 가문주요 인물고쿠다카이전 영지이봉 연도이후 영지비고
1612년후코즈 마쓰다이라 가문마쓰다이라 다다토시
마쓰다이라 다다후사
3만 석미카와 후카고번1632년미카와 가리야번
1632년미즈노씨미즈노 다다키요4만 석미카와 가리야번1642년시나노국 마쓰모토번
1642년미즈노씨미즈노 다다요시4만 5천 석스루가국 다나카번1645년미카와 오카자키번
1645년오가사와라씨오가사와라 다다토모
오가사와라 나가노리
오가사와라 나가아키라
오가사와라 나가시게
4만 5천 석 → 4만 석분고국 기쓰키번1697년무사시 이와쓰키번1663년 분가로 4만 석
1697년구제씨구제 시게유키5만 석단바국 가메야마번1705년시모사국 세키야도번아라이 관문 관리, 와카도시요리 임명
1705년마키노씨마키노 나리하루
마키노 나리오
8만 석시모사 세키야도번1712년휴가국 노베오카번나리오가 어려 이봉됨
1712년오코우치 마쓰다이라 가문마쓰다이라 노부토키7만 석시모사 고가번1729년도토미국 하마마쓰번오사카 성대 임명
1729년혼조 마쓰다이라 가문마쓰다이라 스케쿠니7만 석도토미 하마마쓰번1749년도토미 하마마쓰번교토 쇼시다이 임명



간엔 2년(1749년), 하마마쓰번에서 오코우치 마쓰다이라 가문의 마쓰다이라 노부나오 (마쓰다이라 노부토키의 아들)가 7만 석으로 다시 입번하면서, 비로소 오코우치 마쓰다이라 가문이 요시다 번주로 정착하게 되었다.

2. 2. 에도 막부 시대

게이초 6년(1601년) 2월, 무사시 하치만야마번에 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가신, 다케노야 마쓰다이라 가문의 마쓰다이라 이에키요가 3만 석 영지를 받고 요시다번의 번주로 들어왔다. 이로써 미카와 요시다번은 도쿠가와 가문의 가신이 다스리는 번으로 시작되었다.

게이초 8년(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세이이타이쇼군으로 임명되어 도쿠가와 막부가 정식으로 발족하면서, 미카와 요시다번도 막번 체제 하의 번으로 자리 잡았다. 초대 번주 이에키요는 게이초 15년(1610년) 12월 21일에 사망했고, 아들 마쓰다이라 다다키요가 2대 번주가 되었다. 그러나 다다키요는 게이초 17년(1612년) 4월 20일에 후사 없이 사망하여 다케노야 마쓰다이라 가문은 단절되고 영지는 몰수(개역)되었다.

같은 해 11월 12일, 미카와 후카고번에서 후코즈 마쓰다이라 가문의 마쓰다이라 다다토시가 새로운 번주로 들어왔다. 다다토시 시대인 간에이 5년(1628년)에는 검지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2대 번주 마쓰다이라 다다후사 때인 간에이 9년(1632년) 8월 11일, 미카와 가리야번으로 옮겨가게 되었다. 대신 미즈노 다다키요가 들어왔으나, 그 역시 간에이 19년(1642년) 7월 28일에 시나노 마쓰모토번으로 이봉되었다. 이후 스루가 다나카번에서 미즈노 다다요시가 들어왔지만, 쇼호 2년(1645년) 7월 14일에 미카와 오카자키번으로 다시 옮겨갔다.

쇼호 2년(1645년), 분고 기쓰키번에서 오가사와라 타다토모가 입봉하면서 비교적 안정적인 통치가 시작되었다. 오가사와라 가문은 52년간 요시다번을 다스리며 신전 개발과 요시다성 및 성하 마을(조카마치)의 정비에 힘썼다. 특히 무코야마에 큰 연못을 만들어 성의 외호(소보리)에 물을 공급하고, 남은 물은 농경지 관개에 사용하는 등 번 통치의 기반을 다졌다. 2대 번주 오가사와라 나가노리는 간분 3년(1663년)에 동생 오가사와라 나가사다와 오가사와라 나가아키에게 각각 3,000석과 2,000석을 나누어 주어, 요시다번의 영지는 4만 석으로 줄었다. 4대 번주 오가사와라 나가시게 시대인 겐로쿠 10년(1697년) 4월 19일, 오가사와라 가문은 무사시 이와쓰키번으로 이봉되었다.

오가사와라 가문이 떠난 후, 다시 짧은 기간 동안 번주가 자주 바뀌는 시기가 왔다. 겐로쿠 10년(1697년) 6월 10일, 단바 가메야마번에서 구제 시게유키가 들어와 아라이 관문의 관리를 맡게 되었다. 그러나 시게유키가 호에이 2년(1705년) 9월 막부의 와카도시요리에 임명되면서 10월에 시모사 세키야도번으로 옮겨갔다. 대신 마키노 나리하루가 들어왔으나, 2대 번주 마키노 나리오가 어린 나이에 번주가 되자 막부는 미카와의 요충지를 맡기기 어렵다고 판단하여 쇼토쿠 2년(1712년) 7월 12일에 휴가 노베오카번으로 이봉시켰다.

같은 해, 시모사 고가번에서 나가사와-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의 마쓰다이라 노부토키(信祝)가 7만 석으로 들어왔다. 그러나 교호 14년(1729년) 2월 2일, 노부토키가 오사카 성대에 임명되면서 2월 15일 도토미 하마마쓰번으로 영지가 옮겨졌다. 대신 마쓰다이라 스케쿠니(資訓)가 들어왔으나, 그 역시 간엔 2년(1749년) 10월 15일에 교토 쇼시다이에 임명되어 다시 도토미 하마마쓰번으로 돌아갔다.

간엔 2년(1749년), 마쓰다이라 노부토키의 아들인 마쓰다이라 노부나오(信復)가 7만 석으로 들어오면서 마침내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이 요시다번에 정착하게 되었다. 2대 번주 노부나오는 호레키 2년(1752년) 7월에 번교인 지슈칸(時習館)을 창설하여 교육 진흥에 힘썼다.

역대 번주 중 가장 유명한 인물은 4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信明)이다. 그는 덴메이 8년(1788년) 4월에 막부의 로주에 임명되어 마쓰다이라 사다노부가 주도한 간세이 개혁에 참여했다. 간세이 5년(1793년) 사다노부가 실각하자 로주 수좌(首席)가 되어 사실상 막부 정치를 이끌었다. 교와 3년(1803년) 12월에 로주직에서 물러났으나, 분카 3년(1806년) 5월에 복귀하여 다시 막부 정치를 주도했다.

5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요리(信順)는 오사카 성대와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한 후 덴포 8년(1837년) 5월 16일에 로주가 되었으나, 같은 해 8월 6일에 사임했다. 이는 덴포 4년(1833년) 12월 아라이 슈쿠바(역참 마을)의 타격과 사임 후 9월에 발생한 가모 잇키 등으로 번의 재정이 극도로 어려웠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7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사토(信璋)는 막부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번정 개혁에 집중했다. 가에이 원년(1848년) 9월에는 가신들의 녹봉 삭감, 어용금 조달, 경비 40% 절감을 목표로 하는 5개년 계획을 실시했지만, 가에이 2년(1849년) 7월 27일에 사망하면서 개혁은 좌절되었다. 이로 인해 요시다번의 재정난은 해결되지 못한 채 메이지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마지막 번주인 마쓰다이라 노부히사(信古)는 마베 아키카쓰의 차남으로 태어나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의 양자가 되었다. 그는 오사카 성대에 임명되어 막말 시기 기나이 지역의 혼란 수습에 노력했다. 게이오 4년(1868년) 1월 보신 전쟁이 발발하자 번 내에서는 좌막파(막부 지지)와 존왕파가 나뉘어 대립했다. 그러나 2월 신정부군이 요시다에 접근하고 오와리번의 중재도 있자, 3월에 노부히사는 신정부에 성을 넘기고 항복했다.

메이지 2년(1869년) 6월 17일, 판적봉환으로 노부히사는 요시다 지번사에 임명되었고, 6월 19일에는 이요 요시다번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번의 이름이 '''도요하시번'''으로 변경되었다. 메이지 4년(1871년) 7월 14일 폐번치현으로 도요하시번은 폐지되었고, 이후 도요하시현, 누카타현을 거쳐 최종적으로 아이치현에 편입되었다.

1869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번의 인구는 17,517가구, 76,228명이었다.[1]

2. 3.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의 통치와 메이지 유신

교호 14년(1729년), 마쓰다이라 노부토키가 오사카 성대에 임명되어 도토미 하마마쓰번으로 이봉된 후, 마쓰다이라 스케노리(松平資訓)가 요시다번에 들어왔다. 그러나 스케노리 역시 간엔 2년(1749년) 교토 쇼시다이로 임명되면서 다시 하마마쓰번으로 옮겨갔다.[1]

같은 해, 마쓰다이라 노부나오(松平信復, 노부토키의 아들)가 7만 석으로 요시다번에 입번하면서 번주 가문이 비로소 안정되었다. 이때부터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大河内松平家)이 메이지 유신 때까지 요시다번을 통치하게 된다.[1]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 출신 번주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인물은 제4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아키(松平信明)이다. 그는 덴메이 8년(1788년) 로주에 임명되어 마쓰다이라 사다노부가 추진한 간세이 개혁에 참여했다. 사다노부가 물러난 후에는 로주 수좌(首席)로서 막부 정치를 이끌었으며, 교와 3년(1803년) 잠시 사임했다가 분카 3년(1806년) 복귀하여 다시 막정을 주도했다.[1]

제5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유키(松平信行)는 오사카 성대와 교토 쇼시다이를 역임한 후 덴포 8년(1837년) 로주가 되었으나, 약 3개월 만에 사임했다.[1]

마지막 번주인 마쓰다이라 노부히사(松平信古)는 마베 아키카쓰의 차남으로 태어나 오코치 가문을 이었다. 그는 오사카 성대에 임명되어 막말의 혼란 속에서 기나이 지방의 안정을 위해 노력했다.[1] 게이오 4년(1868년) 1월 보신 전쟁이 발발하자, 번 내에서는 막부를 지지하는 좌막파와 천황을 지지하는 존왕파 사이에 갈등이 벌어졌다. 그러나 2월 신정부군이 요시다로 진군해오자, 오와리번의 주선으로 3월 노부히사는 신정부에 항복하고 성을 넘겨주었다.[1]

메이지 2년(1869년) 6월 판적봉환에 따라 노부히사는 요시다 지번사로 임명되었다. 같은 달 19일, 이요의 요시다번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번의 이름은 '''도요하시번'''(豊橋藩)으로 바뀌었다.[1] 메이지 4년(1871년) 7월 폐번치현으로 도요하시번은 폐지되었고, 도요하시현이 설치되었다가 같은 해 11월 누카타현에 편입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아이치현의 일부가 되었다.[1]

2. 4. 메이지 유신 이후

마지막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모토는 에도 막부 말기 오사카 성대에 임명되어 기나이 지방의 혼란 수습에 노력했다. 게이오 4년(1868년) 1월 보신 전쟁이 발발하자, 번 내부는 사쿠보 파(막부 지지파)와 존왕 파(천황 지지파)로 나뉘어 대립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2월, 메이지 정부 세력에 의해 나고야 번이 함락되고 신정부군이 요시다에 접근해오자, 오와리번의 알선을 받아들여 3월에 노부모토는 저항 없이 메이지 정부에 성을 넘겨주며 항복했다.

메이지 2년(1869년) 6월 17일, 판적봉환이 이루어지면서 노부모토는 요시다 지번사로 임명되었다. 이틀 뒤인 6월 19일, 이요국의 이요-요시다 번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번의 이름은 도요하시 번(豊橋藩일본어)으로 공식 변경되었다.

메이지 4년(1871년) 7월 14일, 폐번치현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도요하시 번은 폐지되었고, 그 자리에 도요하시 현(豊橋県일본어)이 설치되었다. 같은 해 11월, 도요하시 현은 단기간 존속했던 누카타 현(額田県일본어)에 통합되었으며, 누카타 현은 이후 아이치현의 일부가 되었다.

1869년의 인구 조사에 따르면, 당시 번의 인구는 17,517가구에 총 76,228명이었다.[1]

3. 역대 번주

'''다케노야 마쓰다이라 가문'''

# 마쓰다이라 이에키요松平家清jpn 재위 1600년 ~ 1610년

# 마쓰다이라 다다키요松平忠清jpn 재위 1610년 ~ 1612년

'''후코즈 마쓰다이라 가문'''

# 마쓰다이라 다다토시松平忠利jpn 재위 1612년 ~ 1632년

# 마쓰다이라 다다후사松平忠房jpn 재위 1632년

'''미즈노 가문'''(누마즈 번주 계통)

# 미즈노 다다키요水野忠清jpn 재위 1632년 ~ 1642년

'''미즈노 가문'''(야마가타번주 계통)

# 미즈노 다다요시水野忠善jpn 재위 1642년 ~ 1645년

'''오가사와라 가문'''

# 오가사와라 다다토모小笠原忠知jpn 재위 1645년 ~ 1663년

# 오가사와라 나가노리小笠原長矩jpn 재위 1663년 ~ 1678년

# 오가사와라 나가스케小笠原長祐jpn 재위 1678년 ~ 1690년

# 오가사와라 나가시게小笠原長重jpn 재위 1690년 ~ 1697년

'''구제 가문'''

# 구제 시게유키久世重之jpn 재위 1697년 ~ 1705년

'''마키노 가문'''

# 마키노 나리하루牧野成春jpn 재위 1705년 ~ 1707년

# 마키노 나리나카牧野成央jpn 재위 1707년 ~ 1712년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

# 마쓰다이라 노부토키松平信祝jpn 재위 1712년 ~ 1729년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

# 마쓰다이라 스케쿠니松平資訓jpn 재위 1729년 ~ 1749년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재봉)

# 마쓰다이라 노부나오松平信復jpn 재위 1749년 ~ 1768년

# 마쓰다이라 노부우야松平信礼jpn 재위 1768년 ~ 1770년

#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松平信明jpn 재위 1770년 ~ 1817년

# 마쓰다이라 노부요리松平信順jpn 재위 1817년 ~ 1842년

# 마쓰다이라 노부토미松平信宝jpn 재위 1842년 ~ 1844년

# 마쓰다이라 노부아키松平信璋jpn 재위 1844년 ~ 1849년

# 마쓰다이라 노부히사松平信古jpn 재위 1849년 ~ 1871년 (유신 후 오코치 씨(大河内氏jpn)로 복성)

3. 1. 다케노야 마쓰다이라 가문(竹谷松平家)

다케노야 마쓰다이라 가문 문장
'''다케노야 마쓰다이라 가문''' (후다이 다이묘)

#이름재임 기간관위고쿠다카
1마쓰다이라 이에키요(松平家清일본어)1600년 ~ 1610년겐바노카미(玄蕃頭) 종5위하3만 석
2마쓰다이라 다다키요(松平忠清일본어)1610년 ~ 1612년겐바노카미(玄蕃頭) 종5위하3만 석


3. 2. 후코즈 마쓰다이라 가문(深溝松平家)

후다이. 3만 석.

'''후코즈 마쓰다이라 가문'''
이름재임 기간관위위계고쿠
1松平忠利|마쓰다이라 다다토시일본어 (마쓰다이라 다다토시)1612년 ~ 1632년主殿頭|도노모노카미일본어종5위하30,000
2松平忠房|마쓰다이라 다다후사일본어 (마쓰다이라 다다후사)1632년主殿頭|도노모노카미일본어종5위하30,000


3. 3. 미즈노 가문(水野家)

후다이. 1632년 ~ 1645년.

'''미즈노 가문'''

} || 1632년 ~ 1642년 || 하야토노카미(隼人正|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4만 석

|-

| 2 || 미즈노 다다요시|水野忠善|일본어 || 1642년 ~ 1645년 || 다이겐모쓰(大監物|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4만 5천 석

|}

3. 4. 오가사와라 가문(小笠原家)

후다이 다이묘 가문으로, 1645년부터 1697년까지 요시다번을 통치했다. 초기 고쿠다카는 4만 5천 석이었으나, 초대 번주 오가사와라 다다토모 대에 4만 석으로 감봉되었다.

#이름재임 기간관위관위 등급고쿠다카
1{{lang|ja|미즈노 다다키요|水野忠清|}
#이름재임 기간관직관위고쿠다카 (석)주요 경력
1오가사와라 다다토모|小笠原忠知일본어1645년 ~ 1663년이키노카미 (壱岐守)종5위하45,000 → 40,000쇼인반 두령, 오오반 두령, 소자반, 츠메슈(詰衆)
2오가사와라 나가노리|小笠原長矩일본어1663년 ~ 1678년야마시로노카미 (山城守)종5위하40,000소자반, 지샤부교
3오가사와라 나가스케|小笠原長祐일본어1678년 ~ 1690년이키노카미 (壱岐守)종5위하40,000
4오가사와라 나가시게|小笠原長重일본어1690년 ~ 1697년사도노카미 (佐渡守)종4위하40,000나카오쿠 코쇼(中奥小姓), 측근 소쇼(側小姓), 쇼인반 두령, 소자반, 지샤부교, 교토 쇼시다이, 로주, 니시노마루 로주(西の丸老中)


3. 5. 구제 가문(久世家)

후다이. 5만 석.

#이름재임 기간관직관위고쿠다카
1구제 시게유키 (久世重之일본어)1697년1705년야마토노카미 (大和守); 지주 (侍従)종4위하 (従四位下)5만 석

3. 6. 마키노 가문(牧野家)

후다이 다이묘 가문으로 고쿠다카는 8만 석이었다.

요시다번 마키노 가문 번주 목록
#이름재임 기간관위고쿠다카
1마키노 나리하루 牧野成春|마키노 나리하루일본어1705년 ~ 1707년종4위하 비젠노카미, 지주8만 석
2마키노 나리나카 牧野成央|마키노 나리나카일본어1707년 ~ 1712년종5위하 빈고노카미8만 석


3. 7.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大河内松平家)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大河内松平家)은 후다이 가문으로, 요시다번을 두 차례에 걸쳐 통치했다.

'''1차 통치 (1712년 ~ 1729년)'''

#이름재임 기간관위관위 등급주요 경력/역임 관직고쿠다카
1마쓰다이라 노부토키 松平信祝일본어1712년 ~ 1729년이즈노카미(伊豆守일본어), 지주(侍従일본어)종4위하주자번, 오사카 성대, 노중70,000 석



'''2차 통치 (재봉, 1749년 ~ 1871년)'''

#이름재임 기간관위관위 등급주요 경력/역임 관직고쿠다카
1마쓰다이라 노부나오 松平信復일본어1749년 ~ 1768년이즈노카미(伊豆守일본어)종5위하70,000 석
2마쓰다이라 노부우야 松平信礼일본어1768년 ~ 1770년이즈노카미(伊豆守일본어)종5위하주자번70,000 석
3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 松平信明일본어1770년 ~ 1817년이즈노카미(伊豆守일본어)종4위하주자번, 측용인, 노중70,000 석
4마쓰다이라 노부요리 松平信順일본어1817년 ~ 1842년이즈노카미(伊豆守일본어), 지주(侍従일본어)종4위하주자번, 사사봉행, 오사카 성대, 교토 쇼시다이, 노중70,000 석
5마쓰다이라 노부토미 松平信宝일본어1842년 ~ 1844년이즈노카미(伊豆守일본어)종5위하70,000 석
6마쓰다이라 노부아키 松平信璋일본어1844년 ~ 1849년이즈노카미(伊豆守일본어)종5위하70,000 석
7마쓰다이라 노부히사 松平信古일본어1849년 ~ 1871년이즈노카미(伊豆守일본어)종5위하주자번, 사사봉행, 오사카 성대 (메이지 유신 후 오코치 씨(大河内氏일본어)로 복성)70,000 석


3. 8. 혼조 마쓰다이라 가문(本庄松平家)

--|]] '''마쓰다이라 (혼조) 가문''' (''후다이'') 1729년 ~ 1749년
#이름재임 기간관직관위고쿠다카
1마쓰다이라 스케노리(松平資訓일본어)1729년 ~ 1749년분고노카미(豊後守일본어)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7만 석


  • 마쓰다이라 스케노리는 하마마쓰번주, 교토 쇼시다이 등을 역임하였다.

3. 9.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大河内松平家) (재봉)

(유신 후 오코치 씨( 大河内氏jpn )로 복성)


4. 번정

요시다번의 번정은 번주 가문의 잦은 교체로 인해 안정적인 발전을 이루기 어려웠다. 오가사와라 가문이 입봉하기 전까지는 마쓰다이라 다다토시 시대인 간에이 5년(1628년)에 실시된 검지 외에는 주목할 만한 치적이 드물었다.

오가사와라 가문은 52년간의 비교적 긴 통치 기간 동안 신덴 개발과 요시다성 및 성 아래 마을(조카마치) 정비, 수리 시설 확충 등을 통해 번정의 기틀을 다지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오가사와라 가문 이후 다시 짧은 기간 동안 번주가 교체되는 시기를 겪으며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이 들어서기 전까지 번정은 정체되었다.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 시대에는 제2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후쿠가 호레키 2년(1752년) 번교인 지슈칸을 창설하는 등 교육 진흥에 힘쓰기도 했다. 하지만 이후 번주들은 로주로서 막부 정치에 깊이 관여하거나, 덴포 4년(1833년)의 소요 사태와 농민 봉기 등으로 인한 심각한 재정난에 직면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 제7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가 가에이 원년(1848년) 재정 개혁을 시도했으나, 이듬해 그의 사망으로 실패로 돌아갔다. 결국 요시다번은 재정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메이지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4. 1. 오가사와라 가문 이전

요시다번은 오가사와라 가문이 들어오기 전까지 짧은 기간 동안 번주 가문이 자주 바뀌었다. 이 때문에 번정에서 주목할 만한 치적은 마쓰다이라 다다토시 시대인 간에이 5년(1628년)에 실시된 검지 정도이다.

4. 2. 오가사와라 가문

오가사와라 가문은 52년간 요시다번을 다스리면서 번정 확립에 힘썼다. 이 기간 동안 신덴 개발과 요시다성 및 성 아래 마을(조카마치)의 개축과 정비를 추진했다. 특히 무코야마(向山)에 큰 연못을 만들어 성의 총호(総濠, 바깥 해자)에 물을 대고, 남은 물은 요시다 지역 논밭의 관개에 사용하는 등 수리 사업에 성과를 보였다.

4. 3.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이 번주가 되기 전까지 요시다번은 번주 가문이 자주 바뀌어 번 통치에서 뚜렷한 치적을 찾기 어려웠다.

오코치 마쓰다이라 가문의 제2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후쿠는 호레키 2년(1752년) 7월에 번교인 지슈칸(時習館)을 창설하여 교육 진흥에 힘썼다. 그러나 이후 번 통치는 순탄치 않았다. 제4대 번주 노부아키는 막부의 로주로서 중앙 정치에 참여하는 일이 많아 번 통치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으며, 뚜렷한 치적을 남기지 못했다.

제5대 번주 노부유키 역시 로주직을 맡았으나 단기간에 사임했는데, 이는 당시 번의 어려운 재정 상황과 무관하지 않았다. 덴포 4년(1833년) 12월에 발생한 아라이 숙소(新居宿) 파괴 사건과 노부유키가 로주직에서 물러난 후인 9월에 일어난 가모 잇키(加茂一揆, 농민 봉기) 등은 번의 재정을 더욱 악화시킨 요인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 제7대 번주 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松平信璋)는 막부 정치에 참여하지 않고 번 내부의 개혁에 집중하고자 했다. 가에이 원년(1848년) 9월, 그는 가신들의 지행(知行, 봉록) 일부를 번에 빌리는 형식으로 거두고, 어용금(御用金)을 조달하며, 모든 경비를 40%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5개년 계획을 추진했다. 하지만 개혁을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가에이 2년(1849년) 7월 27일 노부아키라가 사망하면서, 번의 재정 상황을 개선하려던 노력은 안타깝게도 좌절되었다.

결국 요시다번은 재정난을 극복하지 못한 채 메이지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5. 막말의 영지

요시다번의 영지는 다른 많은 번들과 마찬가지로, 정기적인 토지 조사와 예상 농업 수확량을 기준으로 산정된 고쿠다카에 맞춰 여러 지역에 나뉘어 분포했다.[2][3] 막말 시점의 영지는 다음과 같다.

국(國)군(郡)촌 수비고
미카와국누카타군5개 촌
가모군47개 촌
호이군54개 촌
아쓰미군67개 촌
야나군48개 촌
도토미국조토군3개 촌슨푸번에 편입됨
시키치군19개 촌슨푸번에 편입됨
오미국아사이군20개 촌이 중 6개 촌은 아사히야마번에 편입됨
이카군2개 촌
다카시마군1개 촌



메이지 유신 이후, 도토미국 내에 있던 영지는 가즈사국 모다군의 16개 촌으로 대체되었다. 이 16개 촌은 원래 막부 직할령(5개 촌), 하타모토령(7개 촌), 요리키 급지(6개 촌), 세이사이번령(1개 촌), 마에바시번령(4개 촌), 이와쓰키번령(1개 촌)이었다.[2][3] 또한, 하나의 촌을 여러 영주가 나누어 다스리는 상급(相給) 제도가 존재했기 때문에, 표에 나온 촌 수의 단순 합계는 실제 영지 규모와 정확히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Edo daimyo.net http://www1.parkcity[...] 2016-01-12
[2]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1987
[3]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198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