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육군제2작전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육군제2작전사령부는 1954년 10월 31일, 한국 전쟁 이후 미 육군 KCOMZ의 임무를 이관받아 전라, 충청, 경상 지역을 관할하는 제2야전군사령부로 대구에서 창설되었다. 2007년 제9, 11군단 해체 후 제2작전사령부로 개명되었으며, 현재 7개의 향토사단, 2개의 특공여단, 그리고 공병단을 예속하고 있다. 역대 사령관 및 조직, 관할 지역 주변의 지원 부대에 대한 정보가 있으며, 코로나19 유행 시기에는 방역 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지상작전사령부
    지상작전사령부는 대한민국 육군의 작전사령부로, 과거 제1야전군과 제3야전군을 통합하여 2019년 1월 1일에 창설되었으며, 평시에는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전시에는 한미 연합사령부 예하 지상 구성군 사령부 역할을 수행한다.
  • 대한민국 육군의 사령부 - 육군인사사령부
    육군인사사령부는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육군 본부 인사참모부 예하 부대들을 통합하여 창설되었으며, 인재 선발, 인사 운영, 전역 장병 지원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대구 수성구 소재의 관공서 - 대구고등검찰청
    대구고등검찰청은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를 관할하며, 1908년 대구공소원 검사국으로 시작하여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고, 대구지방검찰청과 8개의 지청을 소속기관으로 두고 있다.
  • 대구 수성구 소재의 관공서 - 대구지방법원
    대구지방법원은 1895년 대구재판소로 시작하여 1945년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 일부를 관할하는 대한민국의 지방법원으로서, 2008년 대한민국 사법 역사상 최초로 국민참여재판을 실시했다.
  • 1954년 설립 - 주한 미군
    주한미군은 1945년 인천 상륙 후 한반도에 주둔하며 일본군 무장해제, 한국 전쟁 참전을 거쳐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후 대한민국 안보에 기여하고 육군, 공군, 해군, 해병대 등 다양한 병과로 구성되어 활동 중이나, 규모, 역할, 주둔 비용, SOFA 개정 등 여러 쟁점이 있다.
  • 1954년 설립 -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은 원자폭탄 투하로 파괴된 히로시마 시의 부흥을 상징하며, 원폭 돔, 평화기념자료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시설과 매년 8월 6일 평화 기념식 및 등롱 띄우기 행사가 열리는 곳이다.
육군제2작전사령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육군제2작전사령부
원어 이름陸軍第二作戰司令部
별명무열대(武烈臺)
활동 기간1954년 10월 31일 ~ 현재
국가대한민국
소속육군
종류작전사령부
역할후방지역 방위
규모야전군
명령 체계육군본부
본부대구광역시 수성구
육군제2작전사령부 휘장
지휘관
지휘관 명칭사령관
사령관[[파일:Flag of the ROK Army General (OF-9).svg|30px]] 대장 고창준 (3사 26기)
주요 지휘관강문봉
한신
이순진
박한기
주해
주해육군3사관학교 출신 인물 중 6번째로 대장에 진급했다.

2. 역사

1954년 10월 31일 강문봉 중장을 초대 지휘관으로 하여 대구광역시에서 '''제2야전군사령부'''라는 명칭으로 창설되었다. 한국 전쟁 이후 미국 육군 KCOMZ의 임무를 대한민국 육군이 이관받기 위한 것이었다.[1]

1974년 제6관구사령부가 경인지역방어사령부로 개편되면서 서울시 일부와 경기도 남부가 2군 관할에서 분리되어 3군으로 편입되었다.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제69동원보병사단이 제39향토보병사단과 시범적으로 통폐합되었다. 전라북도 완주군경상남도 창녕군에 주둔하던 제9군단제11군단은 1987년 창설 당시부터 필요 없다는 이의가 꾸준히 제기되었다.[3] 제1야전군제3야전군에 비해 병력이 많지 않고 임무가 단조로움에도 다층적 지휘구조와 유지비용이 많이 든다는 이유였다. 이 두 군단은 2007년 10월 31일 해체되고, 다음날 11월 1일 제2야전군사령부는 '''제2작전사령부'''[4]로 개명되었다.[5]

2008년 12월 1일 제205특공여단은 해체되었고, 제62동원보병사단, 제67동원보병사단, 제70동원보병사단은 각각 제32향토보병사단, 제37향토보병사단, 제50향토보병사단과 통폐합되었다.[6][7]

2019년 1월 1일, 제2수송교육단이 육군종합군수학교 수송교육단 예하 제2수송교육연대로 전속되었다.

2020년 상반기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제2작전사령부는 지역 내 바이러스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영내 화생방대대와 장병들을 방역 작업에 투입하였다.

2. 1. 창설 배경 및 초기

1954년 10월 31일, 한국 전쟁 이후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지역을 통제하던 미국 육군 KCOMZ의 임무를 대한민국 육군이 이관받기 위해 강문봉 중장을 초대 지휘관으로 하여 대구광역시에서 '''제2야전군사령부'''가 창설되었다.[1] 초기 제2야전군사령부의 임무는 예하 관구 사령부 및 배속 부대를 지휘하여 담당 지역의 작전 및 경비, 예비역의 편성, 훈련, 동원, 관리 및 이에 수반되는 병무 업무 수행, 담당 지역 내 모든 부대의 행정 및 군수 지원이었다.[1]

2. 2. 군관구 체계 (1954년~1980년)

1954년 10월 31일, 강문봉 중장을 초대 지휘관으로 하여 대구광역시에서 창설된 제2야전군사령부는 한국 전쟁 이후 미국 육군 KCOMZ로부터 전라도, 충청도, 경상도 지역 통제 임무를 이관받았다.[3]

1974년 제6관구사령부가 경인지역방어사령부로 개편되면서 서울시 일부와 경기도 남부가 2군 관할에서 분리되어 3군으로 편입되었다.[3]

1980년대까지 군관구 체계를 유지했는데 각 군관구와 예하 사단은 다음과 같다.

군관구위치책임 지역예하 사단
제1군관구사령부광주광역시전라도31사단, 35사단
제2군관구사령부부산광역시경상남도39사단
제3군관구사령부논산시충청도32사단, 37사단
제5군관구사령부대구광역시경상북도50사단
제6관구사령부서울특별시 영등포서울시 및 경기도 남부30사단, 33사단(현 17사)


2. 3. 국방개혁과 제2작전사령부로의 개편

국방개혁 2020 계획에 따라 제69동원보병사단이 제39향토보병사단과 시범적으로 통폐합되었다. 전라북도 완주군경상남도 창녕군에 주둔하던 제9군단제11군단은 2007년 10월 31일 해체되고, 다음날 11월 1일 제2야전군사령부는 제2작전사령부[4]로 개명되었다.[5]

2008년 12월 1일 제205특공여단은 해체, 제62동원보병사단, 제67동원보병사단, 제70동원보병사단이 각각 제32향토보병사단, 제37향토보병사단, 제50향토보병사단과 통폐합되었다.[6][7]

2019년 1월 1일, 제2수송교육단이 육군종합군수학교의 수송교육단 예하 제2수송교육연대로서 전속되었다.

개편 전후의 부대 구조는 다음과 같다.

개편 전개편 후


2. 4. 코로나19 대응

2020년 상반기 신종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 당시, 제2작전사령부는 영내 화생방대대와 장병들을 동원하여 지역 내 바이러스 확산 방지를 위한 방역 작업을 지원하였다.

3. 조직

육군제2작전사령부는 1954년에 창설되어 1980년대까지 군관구 체계로 운영되었다. 2009년부터는 7개의 향토사단, 2개의 특공여단, 2개의 공병단을 예하 부대로 두고 있다.

제2작전사령부 지휘부는 사령관과 참모장 등으로 구성된다. 초대 사령관은 강문봉 중장이었으며, 1979년 제17대 사령관 진종채 장군부터 대장이 임명되기 시작했다.[1] 역대 참모장으로는 김동빈 (1955년 7월), 이주일 (1959년), 임충식 (1961년) 등이 있다.

현재 제2작전사령부 예하 부대는 다음과 같다.

사단여단공병단기타 부대
제31향토보병사단제201특공여단제1115공병단제12통신단
제32향토보병사단제203특공여단제1116공병단제302경비연대
제35향토보병사단제1117공병단기타 직할부대
제37향토보병사단제1118공병단
제39향토보병사단제1120공병단
제50향토보병사단
제53향토보병사단



관할 지역 주변 지원부대는 다음과 같다.

지원 부대
제5군수지원사령부
제51군수지원단
제52군수지원단
제53군수지원단
제21항공단


3. 1. 지휘부

제2작전사령부의 지휘부는 사령관과 참모장 등으로 구성된다. 역대 사령관과 참모장은 다음과 같다.

성명임기비고
1강문봉1954년 10월 31일 ~ 1956년 9월 27일
2최영희1956년 9월 27일 ~ 1959년 2월 28일
3장도영1959년 2월 28일 ~ 1961년 2월 27일
4최경록1961년 2월 27일 ~ 1961년 5월 22일
5민기식1961년 5월 22일 ~ 1962년 5월 7일
6장창국1962년 5월 7일 ~ 1963년 6월 1일
7김용배1963년 6월 1일 ~ 1965년 3월 30일
8박경원1965년 3월 30일 ~ 1966년 12월 28일
9정래혁1966년 12월 28일 ~ 1968년 2월 16일
10문형태1968년 2월 16일 ~ 1968년 8월 8일
11한신1968년 8월 8일 ~ 1969년 5월 1일
12채명신1969년 5월 1일 ~ 1972년 6월 1일
13박원근1972년 6월 1일 ~ 1974년 12월 26일
14이병형1974년 12월 26일 ~ 1976년 7월 7일
15박희동1976년 7월 7일 ~ 1977년 12월 27일
16김종수1977년 12월 27일 ~ 1979년 3월 7일
17진종채1979년 3월 7일 ~ 1981년 3월 7일
18차규헌1981년 3월 7일 ~ 1983년 1월 18일
19이기백1983년 1월 18일 ~ 1983년 6월 2일
20김홍한1983년 6월 2일 ~ 1984년 7월 12일
21오자복1984년 7월 14일 ~ 1986년 7월 8일
22이종구1986년 7월 8일 ~ 1988년 6월 10일
23민경배1988년 6월 10일 ~ 1990년 1월 17일
24이필섭1990년 1월 17일 ~ 1991년 12월 4일
25김연각1991년 12월 4일 ~ 1993년 4월 12일
26김진선1993년 4월 12일 ~ 1993년 5월 27일
27박세환1993년 5월 27일 ~ 1995년 3월 30일
28조성태1995년 3월 30일 ~ 1996년 10월 21일
29김진호1996년 10월 21일 ~ 1998년 3월 28일
30조영길1998년 3월 28일 ~ 1999년 12월 28일
31김인종1999년 12월 28일 ~ 2001년 10월 11일
32홍순호2001년 10월 11일 ~ 2003년 4월 4일
33양우천2003년 4월 4일 ~ 2005년 3월 31일
34권영기2005년 3월 31일 ~ 2006년 11월 17일
35박영하2006년 11월 17일 ~ 2008년 3월 21일
36조재토2008년 3월 21일 ~ 2009년 9월 18일
37이철휘2009년 9월 18일 ~ 2011년 4월 15일
38조정환2011년 4월 15일 ~ 2012년 10월 10일
39김요환2012년 10월 10일 ~ 2014년 8월 11일
40이순진2014년 8월 11일 ~ 2015년 9월 16일
41박찬주2015년 9월 16일 ~ 2017년 8월 8일
42박한기2017년 8월 8일 ~ 현재



역대 참모장은 김동빈 (1955년 7월), 이주일 (1959년), 임충식 (1961년) 등이 있다.

3. 1. 1. 사령관

제2작전사령관은 과거 제2야전군 시절부터 줄곧 중장이 맡았다가 1979년 17대 진종채 장군이 대장으로 임명된 이래 대장이 계속 임명되고 있다.[1]

성명임기비고
1강문봉1954년 10월 31일 ~ 1956년 9월 27일
2최영희1956년 9월 27일 ~ 1959년 2월 28일
3장도영1959년 2월 28일 ~ 1961년 2월 27일
4최경록1961년 2월 27일 ~ 1961년 5월 22일
5민기식1961년 5월 22일 ~ 1962년 5월 7일
6장창국1962년 5월 7일 ~ 1963년 6월 1일
7김용배1963년 6월 1일 ~ 1965년 3월 30일
8박경원1965년 3월 30일 ~ 1966년 12월 28일
9정래혁1966년 12월 28일 ~ 1968년 2월 16일
10문형태1968년 2월 16일 ~ 1968년 8월 8일
11한신1968년 8월 8일 ~ 1969년 5월 1일
12채명신1969년 5월 1일 ~ 1972년 6월 1일
13박원근1972년 6월 1일 ~ 1974년 12월 26일
14이병형1974년 12월 26일 ~ 1976년 7월 7일
15박희동1976년 7월 7일 ~ 1977년 12월 27일
16김종수1977년 12월 27일 ~ 1979년 3월 7일
17진종채1979년 3월 7일 ~ 1981년 3월 7일
18차규헌1981년 3월 7일 ~ 1983년 1월 18일
19이기백1983년 1월 18일 ~ 1983년 6월 2일
20김홍한1983년 6월 2일 ~ 1984년 7월 12일
21오자복1984년 7월 14일 ~ 1986년 7월 8일
22이종구1986년 7월 8일 ~ 1988년 6월 10일
23민경배1988년 6월 10일 ~ 1990년 1월 17일
24이필섭1990년 1월 17일 ~ 1991년 12월 4일
25김연각1991년 12월 4일 ~ 1993년 4월 12일
26김진선1993년 4월 12일 ~ 1993년 5월 27일
27박세환1993년 5월 27일 ~ 1995년 3월 30일
28조성태1995년 3월 30일 ~ 1996년 10월 21일
29김진호1996년 10월 21일 ~ 1998년 3월 28일
30조영길1998년 3월 28일 ~ 1999년 12월 28일
31김인종1999년 12월 28일 ~ 2001년 10월 11일
32홍순호2001년 10월 11일 ~ 2003년 4월 4일
33양우천2003년 4월 4일 ~ 2005년 3월 31일
34권영기2005년 3월 31일 ~ 2006년 11월 17일
35박영하2006년 11월 17일 ~ 2008년 3월 21일
36조재토2008년 3월 21일 ~ 2009년 9월 18일
37이철휘2009년 9월 18일 ~ 2011년 4월 15일
38조정환2011년 4월 15일 ~ 2012년 10월 10일
39김요환2012년 10월 10일 ~ 2014년 8월 11일
40이순진2014년 8월 11일 ~ 2015년 9월 16일
41박찬주2015년 9월 16일 ~ 2017년 8월 8일
42박한기2017년 8월 8일 ~ 현재


3. 1. 2. 역대 사령관

성명임기비고
1강문봉1954년 10월 31일 ~ 1956년 9월 27일
2최영희1956년 9월 27일 ~ 1959년 2월 28일
3장도영1959년 2월 28일 ~ 1961년 2월 27일
4최경록1961년 2월 27일 ~ 1961년 5월 22일
5민기식1961년 5월 22일 ~ 1962년 5월 7일
6장창국1962년 5월 7일 ~ 1963년 6월 1일
7김용배1963년 6월 1일 ~ 1965년 3월 30일
8박경원1965년 3월 30일 ~ 1966년 12월 28일
9정래혁1966년 12월 28일 ~ 1968년 2월 16일
10문형태1968년 2월 16일 ~ 1968년 8월 8일
11한신1968년 8월 8일 ~ 1969년 5월 1일
12채명신1969년 5월 1일 ~ 1972년 6월 1일
13박원근1972년 6월 1일 ~ 1974년 12월 26일
14이병형1974년 12월 26일 ~ 1976년 7월 7일
15박희동1976년 7월 7일 ~ 1977년 12월 27일
16김종수1977년 12월 27일 ~ 1979년 3월 7일
17진종채1979년 3월 7일 ~ 1981년 3월 7일
18차규헌1981년 3월 7일 ~ 1983년 1월 18일
19이기백1983년 1월 18일 ~ 1983년 6월 2일
20김홍한1983년 6월 2일 ~ 1984년 7월 12일
21오자복1984년 7월 14일 ~ 1986년 7월 8일
22이종구1986년 7월 8일 ~ 1988년 6월 10일
23민경배1988년 6월 10일 ~ 1990년 1월 17일
24이필섭1990년 1월 17일 ~ 1991년 12월 4일
25김연각1991년 12월 4일 ~ 1993년 4월 12일
26김진선1993년 4월 12일 ~ 1993년 5월 27일
27박세환1993년 5월 27일 ~ 1995년 3월 30일
28조성태1995년 3월 30일 ~ 1996년 10월 21일
29김진호1996년 10월 21일 ~ 1998년 3월 28일
30조영길1998년 3월 28일 ~ 1999년 12월 28일
31김인종1999년 12월 28일 ~ 2001년 10월 11일
32홍순호2001년 10월 11일 ~ 2003년 4월 4일
33양우천2003년 4월 4일 ~ 2005년 3월 31일
34권영기2005년 3월 31일 ~ 2006년 11월 17일
35박영하2006년 11월 17일 ~ 2008년 3월 21일
36조재토2008년 3월 21일 ~ 2009년 9월 18일
37이철휘2009년 9월 18일 ~ 2011년 4월 15일
38조정환2011년 4월 15일 ~ 2012년 10월 10일
39김요환2012년 10월 10일 ~ 2014년 8월 11일
40이순진2014년 8월 11일 ~ 2015년 9월 16일
41박찬주2015년 9월 16일 ~ 2017년 8월 8일
42박한기2017년 8월 8일 ~ 현재


3. 1. 3. 참모장

3. 2. 현재 편성 부대

사단
제31향토보병사단
제32향토보병사단
제35향토보병사단
제37향토보병사단
제39향토보병사단
제50향토보병사단
제53향토보병사단



여단
제201특공여단
제203특공여단



공병단
제1115공병단
제1116공병단
제1117공병단
제1118공병단
제1120공병단



기타 부대
제12통신단
제302경비연대
기타 직할부대



다음은 관할 지역 주변의 지원부대이다.

지원 부대
제5군수지원사령부
제51군수지원단
제52군수지원단
제53군수지원단
제21항공단


3. 3. 지원 부대


  • 제2작전사령부 근무지원단
  • * 경비중대
  • * 군악대
  • * 수송대
  • * 의무대
  • * 지원대
  • 제31향토보병사단
  • 제32향토보병사단
  • 제35향토보병사단
  • 제37향토보병사단
  • 제39향토보병사단
  • 제50향토보병사단
  • 제53향토보병사단
  • 제201특공여단
  • 제203특공여단
  • 제1115공병단
  • 제1116공병단
  • 제1117공병단
  • 제1118공병단
  • 제1120공병단
  • 제12통신단
  • 제302경비연대
  • 기타 직할부대


관할 지역 주변 지원부대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웹사이트 第1軍及び第2軍司令部の創設 http://www.archives.[...] 대한민국 국가기록원 2015-12-29
[2] 문서 육군3사관학교 출신 인물 중 6번째로 대장에 진급했다.
[3] 뉴스인용 육군 후방군단 폐지 검토 http://www.hani.co.k[...] 한겨레 2005-04-06
[4] 문서 후방작전사령부로 명명될 예정이었으나, 어감이 좋지 않고 사령부급 부대에는 어울리지 않아 개명되었다
[5] 뉴스인용 육군 2군司를 2작전司로 https://news.v.daum.[...] 한국일보 2007-10-16
[6] 뉴스인용 사천 육군 205특공여단, 24년 만에 역사 속으로 http://www.idomin.co[...] 경남도민일보 2008-11-13
[7] 뉴스인용 70사단 해체 http://www.ugn.kr/co[...] 경북뉴스 2008-10-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