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04년 한국시리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한국시리즈는 정규 시즌 1위 현대 유니콘스와 플레이오프 승자 2위 삼성 라이온즈 간의 대결로, 현대 유니콘스가 4승 2무 3패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 시리즈는 9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현대 유니콘스가 승리했으며, 현대는 2연패이자 통산 4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당시 연장 12회, 4시간 경기 시간 제한 규정으로 3번의 무승부가 나왔고, 9차전까지 진행되면서 선수와 팬 모두 피로감을 느꼈다. MVP는 현대 유니콘스의 조용준이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11월 - 오렌지 혁명
    오렌지 혁명은 2004년 우크라이나 대통령 선거의 부정 의혹에 항의하여 발생한 대규모 시위와 정치적 변화를 일컫으며, 재선거를 통해 빅토르 유셴코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우크라이나의 정치적 지형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004년 11월 -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
    2004년 미국 대통령 선거는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존 케리 상원 의원의 대결로, 부시가 50.74%의 득표율로 승리하여 재선에 성공했으며, 오하이오주가 승패를 가르는 중요한 역할을 했다.
  • 현대 유니콘스 포스트시즌 - 2003년 한국시리즈
    2003년 한국시리즈는 현대 유니콘스가 SK 와이번스를 4승 3패로 꺾고 우승했으며, 현대 정민태 투수가 시리즈 MVP에 선정되었다.
  • 현대 유니콘스 포스트시즌 - 1996년 한국시리즈
    1996년 한국시리즈는 해태 타이거즈와 현대 유니콘스가 맞붙어 해태가 4승 2패로 우승했으며, 해태 이강철이 MVP를 수상했고 현대 정명원은 한국시리즈 최초로 노히트 노런을 기록했다.
  • 2004년 10월 - 유럽 헌법
    유럽 헌법은 유럽 연합의 통합을 심화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나 프랑스와 네덜란드 국민투표에서 부결되어 무산되었고, 리스본 조약으로 대체되었다.
  • 2004년 10월 -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2004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말레이시아에서 개최되어 대한민국 U-20 축구 국가대표팀이 우승했으며, 상위 4개 팀은 2005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04년 한국시리즈
2004년 한국시리즈 정보
개최 연도2004년
우승 팀현대 유니콘스
우승 팀 승리 수4
무승부 수3
우승 팀 감독김재박
우승 팀 시즌 성적75승 5무 53패 (정규시즌 1위)
상대 팀삼성 라이온즈
상대 팀 승리 수2
상대 팀 감독김응용
상대 팀 시즌 성적73승 8무 52패 (정규시즌 2위)
경기 일정2004년 10월 21일 ~ 11월 1일
MVP조용준

2. 정규 시즌

순위구단승률승차
1현대 유니콘스755530.5860.0
2삼성 라이온즈738520.5841.5
3두산 베어스701620.5308.0
4KIA 타이거즈675610.52310.0
5SK 와이번스618640.48814.5
6LG 트윈스594700.45718.5
7한화 이글스536740.41723.5
8롯데 자이언츠5011720.41024.0


3. 포스트시즌

2004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은 준플레이오프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한국시리즈 진출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승리팀경기 결과상대팀
준플레이오프두산 베어스 (3위)2 - 0 - 0KIA 타이거즈 (4위)
플레이오프삼성 라이온즈 (2위)3 - 0 - 1두산 베어스 (3위)



준플레이오프에선 정규리그 3위인 두산 베어스가 4위 KIA 타이거즈를 2전 전승으로 누르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플레이오프에서는 리그 2위인 삼성 라이온즈두산 베어스를 3승 1패로 꺾고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1] 플레이오프 MVP는 삼성 라이온즈의 로페즈 선수로, 4경기에서 타율 .460(13타수 6안타), 2홈런, 6타점을 기록했다.[1]

3. 1. 준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에서 두산 베어스KIA 타이거즈를 상대로 2승을 거두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1차전은 잠실 야구장에서 열렸으며, 두산이 연장 12회까지 가는 접전 끝에 기아를 8:2로 꺾었다. 2차전은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에서 진행되었고, 두산이 기아에 11:8이 아닌 8:2로 승리했다.

3. 1. 1. 1차전 (10월 8일, 잠실 야구장)

2004년 한국시리즈 1차전 경기 결과
두산 베어스기아 타이거즈
100
200
300
402
510
600
700
800
910
1000
1100
1260
총점82


  • '''두산 베어스'''가 1차전에서 승리했다.
  • 승리 투수: 권명철 (1승)
  • 패전 투수: 최향남 (1패)
  • 홈런:
  • 두산: 알칸타라 (5회초, 솔로), 홍성흔 (12회초, 만루), 안경현 (12회초, 2점)
  • 기아: 손지환 (4회말, 2점)

3. 1. 2. 2차전 (10월 9일,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

2차전은 10월 9일 광주무등경기장 야구장에서 열렸다.

두산 베어스기아 타이거즈
5회초 알칸타라 솔로 홈런 (1점)4회말 손지환 2점 홈런 (2점)
9회초 1점 추가
12회초 홍성흔 만루 홈런, 안경현 2점 홈런 (6점)



경기 결과 '''두산'''이 8:2로 승리하였다.


  • 승리 투수: 권명철 (1승)
  • 패전 투수: 최향남 (1패)

3. 2. 플레이오프

2004년 플레이오프는 두산 베어스삼성 라이온즈의 대결로 펼쳐졌다. 삼성 라이온즈배영수의 호투와 로페즈의 홈런에 힘입어 1차전에서 승리했다.

3. 2. 1. 1차전 (10월 13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1차전은 10월 13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렸다.

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득점안타실책
두산 베어스0100000001--
삼성 라이온즈01200000X3--

3. 2. 2. 2차전 (10월 14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2차전은 원본 소스에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주어진 소스 내용에 기반하여 관련 정보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소스의 마지막 두 문단만 출력합니다.

MVP영어 - 로페즈(삼성 라이온즈, 지명타자) 4경기, 타율 .460(13타수 6안타), 2홈런, 6타점

'''삼성 라이온즈'''가 '''3승 1패'''로 한국시리즈에 진출했다.

3. 2. 3. 3차전 (10월 16일, 잠실 야구장)

회차두산 베어스회차삼성 라이온즈
1회01회0
2회12회1
3회03회2
4회04회0
5회05회0
6회06회0
7회07회0
8회08회0
9회09회X
득점1득점3
안타안타
실책실책
원정팀 홈런: 홍성흔 (2회초, 1점)홈팀 홈런: 로페즈 (3회말, 2점)
승리 투수: 배영수 (1-0) 패전 투수: 전병두 (0-1) 세이브: 권오준 (0-0-1S)


3. 2. 4. 4차전 (10월 17일, 잠실 야구장)

'''삼성 라이온즈'''가 3-1로 승리하였다.

두산 베어스삼성 라이온즈
1회00
2회11
3회02
4회00
5회00
6회00
7회00
8회00
9회0X
득점13
승리 투수배영수 (1-0)
패전 투수전병두 (0-1)
세이브권오준 (0-0-1S)
홈런홍성흔 (2회초, 1점)로페즈 (3회말, 2점)


4. 한국시리즈

2004년 한국시리즈는 현대 유니콘스삼성 라이온즈의 대결로, 10월 21일부터 7전 4선승제로 진행될 예정이었다. 그러나 9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현대 유니콘스가 4승 2패 3무로 2년 연속 우승이자 통산 4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현대 유니콘스는 이후 경영난으로 2007년 시즌을 끝으로 해산되어, 이 우승이 마지막 한국시리즈 우승이 되었다.

당시 한국시리즈는 현대 그룹과 삼성 그룹의 야구팀 간 첫 대결이라는 점에서 큰 관심을 받았다. 그러나 현대 그룹이 이미 주력 기업들을 잃고 축소된 상황이었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치열한 응원전은 벌어지지 않았다.

이 해 한국시리즈는 연장 12회, 경기 시작 후 4시간 경과 시 새 이닝에 들어갈 수 없다는 규칙이 엄격하게 적용되어 무승부가 3경기나 나왔다. 이는 22년 동안 3번밖에 없었던 한국시리즈 무승부 기록을 크게 넘어선 것이다. 이로 인해 시리즈는 11월까지 연장되어 9차전까지 치러졌고, 선수와 팬들 모두 피로감을 느꼈다. 결국 시리즈 후반에는 실책이 속출하는 등 경기력이 저하되었고, 2005년 한국시리즈부터는 연장 15회, 시간 제한 없음으로 규칙이 개정되었다.

삼성의 김응용 감독은 이 시리즈를 마지막으로 은퇴하고 구단 사장으로 취임했으며, 후임으로 선동열이 감독으로 취임했다.

이 해에는 일본 시리즈월드 시리즈 모두 정규 시즌 2위 팀이 우승을 차지했다. 만약 삼성이 우승했다면 한국, 미국, 일본 모두 정규 시즌 2위 팀이 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는 상황이 될 뻔했다.


  • '''시리즈 MVP''': 조용준 (현대, 투수) - 7경기 등판, 0승 0패 3세이브, 평균자책점 0.00


스테이지승리 팀성적승패표패배 팀
준 플레이오프두산 베어스 (공식전 3위)2승○○KIA 타이거즈 (공식전 4위)
플레이오프삼성 라이온즈 (공식전 2위)3승 1패●○○○두산 베어스 (공식전 3위)
한국시리즈현대 유니콘스(공식전 1위)4승 2패 3무○△●△○●△○○삼성 라이온즈(공식전 2위)


4. 1. 경기 결과

일시경기원정팀(선공)스코어홈팀(후공)개최 구장개시 시각관중수
10월 21일(목)1차전삼성 라이온즈2 - 6현대 유니콘스수원KT위즈파크18시 00분14,000명
10월 22일(금)2차전삼성 라이온즈8 - 8현대 유니콘스수원KT위즈파크18시 00분12,202명
10월 24일(일)3차전현대 유니콘스3 - 8삼성 라이온즈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14시 00분12,000명
10월 25일(월)4차전현대 유니콘스0 - 0삼성 라이온즈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18시 00분12,000명
10월 27일(수)5차전삼성 라이온즈1 - 4현대 유니콘스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18시 00분27,807명
10월 28일(목)6차전현대 유니콘스0 - 1삼성 라이온즈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18시 00분25,067명
10월 29일(금)7차전삼성 라이온즈6 - 6현대 유니콘스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18시 00분22,897명
10월 30일(토)8차전삼성 라이온즈2 - 3현대 유니콘스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16시 00분26,034명
11월 1일(월)9차전현대 유니콘스8 - 7삼성 라이온즈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18시 00분20,027명


4. 2. 경기 내용

2004년 한국시리즈는 현대 유니콘스삼성 라이온즈를 상대로 9차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우승을 차지한 시리즈이다. 시리즈 MVP는 현대의 조용준이 선정되었다.

삼성증권배 2004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경기 결과
일시경기원정팀(선공)스코어홈팀(후공)개최 구장관중수
10월 21일(목)1차전삼성 라이온즈2 - 6현대 유니콘스수원KT위즈파크14,000명
10월 22일(금)2차전삼성 라이온즈8 - 8현대 유니콘스수원KT위즈파크12,202명
10월 24일(일)3차전현대 유니콘스3 - 8삼성 라이온즈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12,000명
10월 25일(월)4차전현대 유니콘스0 - 0삼성 라이온즈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12,000명
10월 27일(수)5차전삼성 라이온즈1 - 4현대 유니콘스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27,807명
10월 28일(목)6차전현대 유니콘스0 - 1삼성 라이온즈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25,067명
10월 29일(금)7차전삼성 라이온즈6 - 6현대 유니콘스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22,897명
10월 30일(토)8차전삼성 라이온즈2 - 3현대 유니콘스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26,034명
11월 1일(월)9차전현대 유니콘스8 - 7삼성 라이온즈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20,027명



1차전은 현대가 피어리의 호투와 브룸바의 홈런을 앞세워 승리했다. 2차전에서는 양 팀이 난타전 끝에 무승부를 기록했다. 3차전은 삼성이 김진웅의 호투와 타선의 폭발로 승리했다. 4차전에서는 삼성 배영수가 10이닝 노히트 노런(비공식)을 기록했으나, 양 팀 모두 득점 없이 무승부로 경기를 마쳤다.

5차전은 현대가 오재영의 호투와 심정수의 결승 3점 홈런으로 승리했다. 6차전은 삼성이 9회말 박진만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승리했다. 7차전에서는 심정수가 한국시리즈 사상 최초 삼중살을 기록하고, 전준호가 한국시리즈 사상 최초 홈스틸을 기록하는 등 진기록이 나왔지만, 양 팀은 무승부를 기록했다. 8차전은 현대가 심정수전근표의 홈런으로 승리했다. 마지막 9차전에서 현대가 접전 끝에 승리하며 우승을 확정지었다.

4. 2. 1. 1차전 (10월 21일, 수원KT위즈파크)

경기날짜원정팀
(선공)
점수홈팀
(후공)
구장
1차전10월 21일삼성 라이온즈2 - 6현대 유니콘스수원KT위즈파크
경기 요약
colspan="6" |



1차전은 10월 21일 수원KT위즈파크에서 열렸다. 현대는 선발 피어리의 호투와 4회말 브룸바의 솔로 홈런, 5회말 3득점, 8회말 2득점을 묶어 삼성 라이온즈를 6-2로 꺾었다. 삼성은 6회초 양준혁과 로페즈의 백투백 홈런으로 추격했지만, 현대의 마운드를 넘어서지 못했다.[1]

4. 2. 2. 2차전 (10월 22일, 수원KT위즈파크)

10월 22일, 수원KT위즈파크에서 열린 2004년 한국시리즈 2차전은 삼성 라이온즈현대 유니콘스가 8:8로 무승부를 기록했다.

일시경기원정팀(선공)스코어홈팀(후공)개최 구장개시 시각관중수
10월 22일(금)2차전삼성 라이온즈8 - 8현대 유니콘스수원KT위즈파크18시 00분12,202명



이 경기에서 삼성 라이온즈박한이는 6회초에 오재영을 상대로 2점 홈런을 쳤다. 현대 유니콘스송지만은 1회말 호지스를 상대로 1점, 2회말 임창용을 상대로 1점 홈런을 쳤고, 김동수는 2회말 호지스를 상대로 2점, 브룸바는 7회말 권오준을 상대로 1점 홈런을 기록했다. 양 팀은 이날 경기에서 득점 기회를 살리지 못하고 무승부로 경기를 마쳤다.

4. 2. 3. 3차전 (10월 24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3차전은 10월 24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렸으며, 삼성 라이온즈현대 유니콘스를 8:3으로 꺾고 시리즈 첫 승을 거두었다. 이날 김진웅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김수경이 패전 투수가 되었다.[1] 탤런트 성유리가 시구를 했다.[1]

삼성은 김종훈 (1회 2점), 김한수 (5회 1점), 양준혁 (7회 1점)이 홈런을 기록하며 승리에 기여했다.[1]

2004년 한국시리즈 3차전 경기 결과
구단123456789득점
현대1200000003
삼성21121010X8
승리 투수: 김진웅[1]    패전 투수: 김수경[1]
홈런
삼성 - 김종훈 (1회 2점), 김한수 (5회 1점), 양준혁 (7회 1점)[1]


4. 2. 4. 4차전 (10월 25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

10월 25일 대구시민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2004년 한국시리즈 4차전은 양 팀이 12회까지 가는 접전 끝에 0:0으로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날 경기에서 삼성 선발 투수 배영수는 10이닝 노히트 노런(비공식)을 기록했다.[1]

  • 시구: 김동문 (배드민턴 국가대표, 2004 아테네 올림픽 남자복식 금메달리스트)

4. 2. 5. 5차전 (10월 27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0월 27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5차전에서 현대 유니콘스삼성 라이온즈를 4-1로 꺾었다. 현대는 선발 오재영의 호투와 심정수의 1회말 결승 3점 홈런에 힘입어 승리했다. 삼성은 조동찬이 6회초 솔로 홈런을 쳤지만,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4. 2. 6. 6차전 (10월 28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9회말 삼성 공격에서 선두 타자 박한이가 볼넷으로 출루한 후, 김종훈의 희생 번트와 양준혁의 고의사구, 김한수의 볼넷으로 1사 만루 상황이 만들어졌다. 여기서 박진만현대 유니콘스 투수 신철인에게 밀어내기 볼넷을 얻어내면서 경기가 종료되었다.[1]

4. 2. 7. 7차전 (10월 29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0월 29일 -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7차전은 삼성 라이온즈현대 유니콘스가 6-6으로 비겼다.

  • 시구: 장미란
  • 심정수 (삼성): 한국시리즈 사상 최초 삼중살 기록
  • 전준호 (현대): 한국시리즈 사상 최초 홈스틸 (1회말)


4. 2. 8. 8차전 (10월 30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10월 30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열린 2004년 한국시리즈 8차전에서 현대 유니콘스삼성 라이온즈를 3-2로 꺾었다.[1]

8차전 경기 결과[1]
1회2회3회4회5회6회7회8회9회득점
삼성 라이온즈0020000002
현대 유니콘스01000020X3


4. 2. 9. 9차전 (11월 1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2004년 한국시리즈 9차전에서 현대 유니콘스삼성 라이온즈를 8-7로 꺾었다.[1] 신철인이 승리 투수가 되었고, 김진웅이 패전 투수, 조용준이 세이브를 기록했다.[1]

5. 출전 선수 명단

2004년 한국시리즈에 출전한 현대 유니콘스삼성 라이온즈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구단구분선수 명단
현대 유니콘스감독김재박
코치김시진, 김용달, 이광근, 정진호, 금광옥, 김성갑
투수이상열, 송신영, 정민태, 신철인, 김수경, 피어리, 조용준, 오재영, 전준호
포수김동수, 강귀태, 이택근
내야수김일경, 박진만, 채종국, 이숭용, 서한규, 강병식
외야수전준호, 정수성, 송지만, 브룸바, 심정수, 전근표
삼성 라이온즈감독김응용
코치선동열, 김종모, 양일환, 박흥식, 류중일, 양용모
투수박석진, 전병호, 임창용, 김진웅, 권오준, 배영수, 권혁, 안지만, 호지스
포수진갑용, 이정식, 김영복
내야수양준혁, 김한수, 김재걸, 박종호, 강명구, 조동찬, 박석민, 로페즈
외야수김종훈, 신동주, 김대익, 강동우, 박한이



9차전에서 현대와 삼성은 8:8로 비겼다. 현대에서는 송지만, 김동수, 플랜보가, 삼성에서는 박한이가 홈런을 기록했다.[1]

5. 1. 현대 유니콘스

김재박 감독의 지휘 아래, 현대 유니콘스는 2004년 한국시리즈에 출전했다. 코치진은 김시진, 김용달, 이광근, 정진호, 금광옥, 김성갑으로 구성되었다. 투수진에는 이상열, 송신영, 정민태, 신철인, 김수경, 피어리, 조용준, 오재영, 전준호가 포함되었다. 포수진은 김동수, 강귀태, 이택근으로 구성되었고, 내야수로는 김일경, 박진만, 채종국, 이숭용, 서한규, 강병식이 활약했다. 외야수진에는 전준호, 정수성, 송지만, 브룸바, 심정수, 전근표가 이름을 올렸다.

9차전에서 현대는 삼성 라이온즈와 8:8 무승부를 기록했다. 이 경기에서 현대의 송지만은 1회말과 2회말에 각각 솔로 홈런을, 김동수는 2회말에 2점 홈런을, 플랜보는 7회말에 솔로 홈런을 기록했다.

5. 2. 삼성 라이온즈

구분선수 명단
감독김응용
코치선동열, 김종모, 양일환, 박흥식, 류중일, 양용모
투수박석진, 전병호, 임창용, 김진웅, 권오준, 배영수, 권혁, 안지만, 호지스
포수진갑용, 이정식, 김영복
내야수양준혁, 김한수, 김재걸, 박종호, 강명구, 조동찬, 박석민, 로페즈
외야수김종훈, 신동주, 김대익, 강동우, 박한이



2004년 한국시리즈 9차전에서 삼성 라이온즈는 현대 유니콘스와 8:8 무승부를 기록했다. 박한이는 6회초에 2점 홈런을 쳤다.[1]

6. 특이 사항 및 여담

이 해의 한국시리즈는 한국에서 한때 1, 2위를 다퉜던 대기업 그룹인 현대그룹삼성그룹 산하 프로 야구팀의 첫 대결이라는 점에서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현대 유니콘스태평양 돌핀스를 인수하여 프로 야구에 참가했을 때였다면 양 그룹의 사활을 건 듯한 치열한 응원전 등이 기대되었을 테지만, 이미 이 시점에는 현대 그룹이 그룹 분할 등으로 자동차, 중공업 등 주력 기업을 잃고 축소된 데다가 경영 부진 등도 겹쳐 그렇게 되지 못했다.[1]

이 해의 시리즈는 연장은 12회까지, 단 경기 시작 후 4시간이 경과하면 9회 이후에는 새로운 이닝에 들어갈 수 없다는 규칙이 예외 없이 엄격하게 적용되어 무승부 경기가 속출했다. 그전 22년 동안 한국시리즈에서 무승부 경기는 3번밖에 없었지만, 이 시리즈에서만 3경기가 기록되었다. 그 영향으로 시리즈가 11월까지 연장되어 9차전까지 가는 진기록을 만들었다. 잦은 무승부로 시리즈가 길어져서 최종 9차전은 악천후 속에서 경기를 강행해야 하는 등 선수들은 물론, 지켜보는 팬들조차 피로감을 나타낼 정도였다. 그 결과, 시리즈 후반에 들어서면 실책이 속출하는 등 조잡한 플레이가 눈에 띄었고, 보이는 결과에 비해 긴장감이 떨어지는 내용의 시리즈가 되었다. 이를 받아들여 2005년 한국시리즈부터는 연장 15회 시간 제한 없음으로 규칙이 개정되었다.[1]

특기할 만한 점은, 해태 타이거즈에서 9번, 삼성 라이온즈에서도 2002년 같은 구단을 첫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이끌어 통산 10번의 우승 업적을 자랑하는 삼성의 김응용 감독이 이 시리즈를 마지막으로 은퇴했다는 것이다. 현장에서 물러나 구단 사장으로 취임함과 동시에 후임으로 선동열이 감독으로 취임하게 되었다.[1]

또한 이 해에는 일본 시리즈, 월드 시리즈 모두 정규 시즌 2위 팀이 시리즈 우승을 달성했으며, 만약 삼성이 우승했다면 한국, 미국, 일본 모두 정규 시즌 2위 팀이 시리즈 우승을 차지하게 되는 상황이었다.[1]

7. 방송 중계

방송 채널캐스터(한국시리즈 차전)해설위원비고
KBS 1TV표영준(3)하일성[2]
KBS 2TV표영준(1·5·7·9)
SBS TV배기완(2·4·6·8)박노준
KBS SKY Sports이기호(8)이용철
SBS 스포츠임용수(8·9)이광권


참조

[1] 뉴스 김시진 "동렬아 빚 갚아줄께" https://news.nate.co[...] OSEN 2004-10-18
[2] 문서 무광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