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방 (성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방(方), 방(房), 방(龐), 방(邦)은 모두 중국에서 기원한 성씨들이다. 각 성씨는 다른 지역에서 기원했으며, 한국으로 유입된 시기와 조상, 특징이 다르다.


  • 방(方)씨: 중국 하남성 낙양현에서 기원하며, 온양 방씨가 대표적이다. 온양 방씨는 당나라 한림학사 방지의 후예로, 고려 개국공신 방운을 중시조로 한다.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 14명, 무과 급제자 113명, 사마시 28명을 배출했다. 독립운동가 방정환, 근현대 인물로 방응모, 방시혁 등이 있다.
  • 방(房)씨: 중국 청하에서 기원하며, 남양 방씨가 대표적이다. 고려 개국에 공을 세운 방계홍을 시조로 한다.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 9명, 생원·진사 34명을 배출했다. 근현대 인물로 방시혁, 고은아 등이 있다.
  • 방(龐)씨: 중국 시평에서 기원하며, 개성 방씨가 대표적이다. 고려 공민왕비 노국대장공주를 따라 온 방두현을 시조로 한다.
  • 방(邦)씨: 중국 대군에서 기원하며, 무안 방씨가 대표적이다. 조선 영조 때 무과 급제자 방준상의 후손이 있다. 근대 인물로 기독교 목사 방기창이 있다.

2. 방(方)씨

방(方)씨는 중국 하남성 낙양현에서 계출된 성씨이며, 주나라 때 대부(大夫) 방숙(方叔)의 후예이다. 중국 염제 신농씨의 10세손인 유망황제(楡罔皇帝)가 첫째 아들 뢰(雷)에게 중국 하남성 낙양현을 사패지로 주고, 방산지방(方山地方)에 봉하면서 그 곳의 지명을 따서 방(方) 성을 득성하였다.

온양 방씨(溫陽 方氏)의 시조 '''방지'''(方智)는 중국 산동(山東) 출신으로, 당(唐)나라 한림학사(翰林學士)였다. 669년(당 고종 총장2, 신라 문무왕 9) 나당동맹(羅唐同盟)의 문화사절(文化使節)로 신라에 와서 설총(薛聰)과 함께 구경(九經)의 회통(會統)을 국역하고, 가유현(嘉猷縣)에 정착하였다.[1]

중시조 방운(方雲)은 고려 개국공신으로 온수군(溫水君)에 봉해졌다. 993년(성종 12년) 거란(契丹)이 침입했을 때 공훈을 세워 배방산(拜方山) 일대를 봉토(封土)받았다. 3세 방휴(方休)는 현종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냈고, 9세 방희진(方曦進)이 대제학(大提學)에 오르는 등 고려시대에 대대로 벼슬을 하였다.[1]

1269년(고려 원종 10년) 국자시에 장원으로 합격한 12세손 '''방우선'''(方于宣)은 1311년(충선왕 3년) 평양부윤(平壤府尹)이 되어 안정도존무사(安定道存撫使)를 겸하였다.[2]

온양 방씨는 13세손에서 여러 파로 분파되었다. 판서공파(判書公派)는 방서(方曙), 간의공파(諫議公派)는 방현(方玄), 안렴사공파(按廉使公派)는 방훤(方喧), 태상경공파(太常卿公派)는 방적(方迪), 대장군공파(大將軍公派)는 방우번(方于蕃), 광록대부공파(光祿大夫公派)는 방신제(方臣悌), 상락부원군파(上洛府院君派)는 방신우(方臣佑)를 파조로 한다. 방신제(方臣悌)는 금자광록대부평장사(金紫光祿大夫平章事)를 지내고 중국으로 귀환하였는데, 명나라의 유학자 방효유(方孝孺)는 방신제의 5대손이다.[3]

1362년(고려 공민왕 11년) 문과에 급제한 15세손 '''방순'''(方恂)은 조선 예조참의에 임명되었으나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부인은 조선 개국공신 윤호(尹虎)의 장녀인 파평 윤씨이고, 사위는 조선의 개국공신이자 영의정남재(南在)의 장남 남경문(南景文)이며, 외손자는 좌의정 남지(南智)이다. 방순의 손자 '''방강'''(方綱)은 1447년(세종 29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종 때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냈다.

방(方)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4명, 무과 급제자 113명, 사마시 28명을 배출하였다.

1489년 식년 문과에 급제한 20세손 '''방유령'''(方有寧)은 1520년 병조판서에 이르렀다.[4]

임영대군의 현손녀 사위인 방호의''(方好義)는 1556년 청홍도병마절도사(淸洪道兵馬節度使)로서 왜구 방어에 공헌했다.[5] 방호의의 손자 '''방덕룡'''(方德龍)은 이순신의 선봉으로 노량해전에서 전사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이순신 장군의 처가도 방(方)씨였으며, 선조 때 방씨 부인을 정경부인으로 봉하면서 내린 이순신처 방씨 고신교지는 보물 제1564-8호이다.

조선 정조 때 방양(方昜)이 성균관 사성(司成)을 역임했다. 방우정(方禹鼎)은 홍경래의 난을 진압하여 병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 《서정일기(西征日記)》가 있다.

방우정(方禹鼎)의 동생 방우준(方禹準)의 5대손인 방정환(方定煥)은 3·1 운동 때 「독립신문」을 인쇄하여 돌렸고, 아동문학가로도 활동하였다. 이 밖에 독립운동가 방한민,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방순희, 한족회 총관 방기전 등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하였다.

근현대 인물로는 조선일보 사장 방응모, 방우영, 방일영, 방상훈, 대법원 대법관 방준경, 방순원, 국회의원 방만수, 방성출, 방일홍, 방용석, 국무조정실장 방문규, 기획재정부 차관 방기선 등이 있다. 학계에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방영주 교수, KAIST 방효충 교수 등이 있다. 체육계에는 대한농구협회 회장 방열, 농구 선수 방성윤, 배구 선수 방신봉, 올림픽 배드민턴 금메달리스트 방수현 선수가 있다. 방송인으로는 아나운서 방현주, 배우 성훈, 성준, 가수 방용국, 방찬, 걸스데이 방민아, 틴탑 방민수 등이 있다.

2. 1. 온양 방씨

온양 방씨(溫陽 方氏)의 시조 '''방지'''(方智)는 중국 산동(山東) 출신으로, 당(唐)나라 한림학사(翰林學士)였다. 669년(당 고종 총장2, 신라 문무왕 9) 나당동맹(羅唐同盟)의 문화사절(文化使節)로 신라에 와서 설총(薛聰)과 함께 구경(九經)의 회통(會統)을 국역하고, 가유현(嘉猷縣)에 정착하였다.[1]

중시조 방운(方雲)은 고려 개국공신으로 온수군(溫水君)에 봉해졌다. 993년(성종 12) 거란(契丹)이 침입했을 때 공훈을 세워 배방산(拜方山) 일대를 봉토(封土)받았다. 3세 방휴(方休)는 현종 때 중랑장(中郞將)을 지냈고, 9세 방희진(方曦進)이 대제학(大提學)에 오르는 등 고려시대에 대대로 벼슬을 하였다.[1]

12세손 '''방우선'''(方于宣)은 1269년(고려 원종 10년) 국자시에 장원으로 합격했고, 1311년(충선왕 3년) 평양부윤(平壤府尹)이 되어 안정도존무사(安定道存撫使)를 겸하였다.[2]

온양 방씨는 13세손에서 여러 파로 분파되었다. 판서공파(判書公派)는 방서(方曙), 간의공파(諫議公派)는 방현(方玄), 안렴사공파(按廉使公派)는 방훤(方喧), 태상경공파(太常卿公派)는 방적(方迪), 대장군공파(大將軍公派)는 방우번(方于蕃), 광록대부공파(光祿大夫公派)는 방신제(方臣悌), 상락부원군파(上洛府院君派)는 방신우(方臣佑)를 파조로 한다. 방신제(方臣悌)는 금자광록대부평장사(金紫光祿大夫平章事)를 지내고 중국으로 귀환하였는데, 명나라의 유학자 방효유(方孝孺)는 방신제의 5대손이다.[3]

15세손 '''방순'''(方恂)은 1362년(고려 공민왕 11년)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 예조참의에 임명되었으나 고려에 대한 충절을 지켰다. 부인은 조선 개국공신 윤호(尹虎)의 장녀인 파평 윤씨이고, 사위는 조선의 개국공신이자 영의정남재(南在)의 장남 남경문(南景文)이며, 외손자는 좌의정 남지(南智)이다. 방순의 손자 '''방강'''(方綱)은 1447년(세종 29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종 때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을 지냈다.

방(方)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4명, 무과 급제자 113명, 사마시 28명을 배출하였다.

20세손 '''방유령'''(方有寧)은 1489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1520년 병조판서에 이르렀다.[4]

방호의''(方好義)는 세종(世宗)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의 현손녀 사위로서 1556년 청홍도병마절도사(淸洪道兵馬節度使)로서 왜구의 방어에 공헌했다.[5] 방호의의 손자 '''방덕룡'''(方德龍)은 이순신의 선봉으로 노량해전에서 전사하여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이순신 장군의 처가도 방(方)씨였으며, 선조 때 방씨 부인을 정경부인으로 봉하면서 내린 이순신처 방씨 고신교지는 보물 제1564-8호이다.

조선 정조 때 방양(方昜)이 성균관 사성(司成)을 역임했다. 방우정(方禹鼎)은 홍경래의 난을 진압하여 병조참판에 추증되었으며, 저서로 《서정일기(西征日記)》가 있다.

방우정(方禹鼎)의 동생 방우준(方禹準)의 5대손인 방정환(方定煥)은 3·1운동이 일어나자 「독립신문」을 인쇄하여 돌렸고, 아동문학가로도 활동하였다. 이 밖에 독립운동가 방한민, 대한민국 임시정부 의정원 방순희, 한족회 총관 방기전 등 많은 독립유공자를 배출하였다.

근현대 인물로는 조선일보 사장 방응모, 방우영, 방일영, 방상훈, 대법원 대법관 방준경, 방순원, 국회의원 방만수, 방성출, 방일홍, 방용석, 국무조정실장 방문규, 기획재정부 차관 방기선 등이 있다. 학계에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방영주 교수, KAIST 방효충 교수 등이 있다. 체육계에는 대한농구협회 회장 방열, 농구 선수 방성윤, 배구 선수 방신봉, 올림픽 배드민턴 금메달리스트 방수현 선수가 있다. 방송인으로는 아나운서 방현주, 배우 성훈, 성준, 가수 방용국, 방찬, 걸스데이 방민아, 틴탑 방민수 등이 있다.

3. 방(房)씨

'''방(房)'''씨는 중국 청하에서 계출된 성씨이다. 요임금의 아들 단주가 방후에 봉해지면서 후손들이 지명을 성으로 삼게 되었다.[6] 당나라 당 태종 때 재상인 방현령의 아들 방준(房俊)이 643년 고구려에 동래하여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에 정착하면서 남양 방씨의 기원이 되었다.

남양 방씨 시조 '''방계홍'''은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으로 삼중대광보국에 올랐다. 방계홍의 아들 방의강은 금자광록대부로서 중서문하평장사를 지냈으며, 손자 방진유는 추밀원부사로 예부상서를 겸하였다.

방서란은 1176년(명종 6년) 조위총의 난이 진압되는 데 기여하여 형 방효진은 산원에 오르고, 방득령은 선주 호장에 임명되었다. 방연보는 1197년(고려 명종 27년) 과거에 장원 급제하였다.

방사량1377년(고려 우왕 3년) 문과에 급제하고 1391년(공양왕 2년) 중랑장으로서 시무 11조를 올려 형조정랑으로 임명되었다.

남양 방씨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9명, 생원·진사 34명을 배출하였다. 방사량의 차남 방구달은 1414년(태종 14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박사, 이조좌랑, 예조좌랑, 군자감부정을 지내고, 장남 방구행은 1420년(세종 2년) 문과에 급제하여 군자감정을 지냈으며, 그의 손자인 방옥정은 1472년(성종 3) 문과에 급제하여 판관을 거쳐 세자시강원 문학을 역임하였다.

정산현감 방구성의 손자 방귀원은 1465년(조선 세조 11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봉교가 되었다.

12세손 방귀온은 조선 중종 때 효행으로 천거되어 참봉을 지내고, 1519년 현량과에 급제하여 사간원정언이 되었으며, 기묘사화 때 유배되었다가 이조판서 윤인경의 상소로 신원되어 이조참의에 이르렀다.

호조좌랑 방귀화의 손자 방응현은 학자로 유명했고, 그가 세운 사계정사는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66호로 지정되어 있다. 방응현의 손자 방원정은 1618년(광해군 10)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전적을 지내고,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 1646년(인조 24) 문과에 급제한 후 삼례찰방을 지내며 《지족와집(知足窩集)》을 저술하였다. 방원정의 형 방원진방원량도 사마시에 급제하여 중림도찰방과 창평 현령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정묘호란·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다.

방복령은 1601년(선조 34년) 무과에 급제하여 군기시판관, 전농시주부를 거쳐 1604년 제주판관, 강상현감을 지내다가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자 관직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왔다.

현대 인물로는 법조인 방극성, 제4대 고용노동부 장관 방하남, 하이브 의장 방시혁, 넷마블 의장 방준혁, 배우 고은아(방효진), 가수 엠블랙 미르(방철용), 배우 설인아 등이 있다.

3. 1. 남양 방씨

남양 방씨(南陽 房氏)의 시조는 방계홍(房季弘)이다. 방계홍은 고려 개국에 공을 세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에 올랐다. 그는 당 태종 때 재상 방현령(房玄齡)의 아들 방준(房俊)이 643년 고구려에 동래하여 당성(唐城, 현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에 정착한 후손이다.[6]

방계홍의 아들 방의강(房儀康)은 중서문하평장사(中書門下平章事)를 지냈고, 손자 방진유(房珍儒)는 예부상서(禮部尙書)를 겸하였다. 방서란(房瑞鸞)은 1176년(명종 6년) 조위총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벼슬을 받았다.[6] 방연보(房衍寶)는 1197년(고려 명종 27년) 과거에 장원 급제하였다.[6] 방사량(房士良)은 1377년(고려 우왕 3년) 문과에 급제하고, 1391년(공양왕 2년) 시무 11조를 올려 형조정랑(刑曹正郞)으로 임명되었다.[7]

조선시대에는 방구달(房九達), 방구행(房九行), 방옥정(房玉精), 방귀원(房貴元), 방귀온(房貴溫), 방응현(房應賢), 방원정(房元井), 방복령(房復齡) 등 많은 문과 급제자와 학자를 배출하였다.[8][9][10][11][12] 이 중 방귀온은 조선 중종 때 효행으로 참봉을 지내고, 1519년 현량과에 급제하여 사간원정언이 되었으며, 기묘사화 때 유배되었다가 신원되어 이조참의에 이르렀다. 방원정은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의병을 일으켰고, 《지족와집(知足窩集)》을 저술하였다.[12]

근현대 주요 인물로는 법조인 방극성, 제4대 고용노동부 장관 방하남, 하이브 의장 방시혁, 넷마블 의장 방준혁, 배우 고은아(방효진), 가수 엠블랙 미르(방철용), 배우 설인아 등이 있다.

4. 방(龐)씨

방(龐)씨는 중국 시평(始平 : 섬서성 관중도 흥평현의 진나라 때 지명)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이다. 위나라 장군(將軍)인 방연, 후한의 방통, 방덕, 당나라의 방효태 등이 있다.

4. 1. 개성 방씨

방(龐)씨는 중국 시평(始平 : 섬서성 관중도 흥평현의 진나라 때 지명)에서 계출(系出)된 성씨(姓氏)이다. 위(魏)나라 장군(將軍)인 방연(龐涓)이 있고, 그의 원손(遠孫)인 방두현은 원(元)나라 직성사인(直省舍人)을 지냈다.[13] 개성 방씨 시조 방두현(龐斗賢)은 1351년(고려 충정왕 3) 고려 공민왕비(恭愍王妃)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가 입국할 때 배행한 육시랑(六時郞) 8학사(八學士) 중 한 명으로 고려에 동래하여 개성에 정착했다.[13]

5. 방(邦)씨

'''방(邦)'''씨는 중국 대군(代郡 : 다이쥔/代郡중국어진나라 때 이름으로, 현재의 산서성(山西省) 안문도 대현(鴈門道代縣) 지역이다)에서 계출(系出)된 성씨이다. 명나라 당왕(唐王) 때 진강(鎭江) 출신인 '''방포'''(邦苞)의 후손이 조선에 귀화하여 세계를 이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방(邦)씨는 2015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277명으로 조사됐다. 본관은 무안(務安)이 225명으로 가장 많다.

무안 방씨(務安邦氏)는 부사과(副司果) 방필원(邦弼元)의 아들 방준상(邦俊相, 1709년생)이 전력부위(展力副尉)로서 1750년(조선 영조 26년) 식년시(式年試) 무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14] 방준상의 형인 방유언(邦有彦)은 1755년(영조 31년) 정3품 충사위장(忠壯衛將)에 올랐다.[15]

근대 인물로는 대한제국 시기 기독교 장로회 최초의 7인 목사 중 한 명인 방기창(邦基昌, 1851년 ~ 1911년)이 있다.

5. 1. 무안 방씨

방준상(邦俊相, 1709년생)은 전력부위(展力副尉)로서 1750년(조선 영조 26년) 식년시(式年試) 무과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다.[14] 방준상의 형인 방유언(邦有彦)은 1755년(영조 31년) 정3품 충사위장(忠壯衛將)에 올랐다.[15]

근대 인물로는 대한제국 시기 기독교 장로회 최초의 7인 목사 중 한 명인 방기창(1851년 ~ 1911년)이 있다.

참조

[1] 뉴스 김진우의 족보이야기 (28)온양방씨(溫陽方氏) 방씨를 우러러보라 배방산(拜方山) http://www.dtnews24.[...] 디트뉴스24 2015-05-10
[2] 웹사이트 《고려사》 권34, 충선왕 3년 7월 http://db.history.go[...]
[3] 두산백과 방(方) -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4] 한민족백과 방유령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방호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
[6] 웹사이트 《고려사》 세가 권제20 명종(明宗) 27년 5월 http://db.history.go[...]
[7] 웹사이트 《동국통감》 권56 고려기 공양왕 3년 https://terms.naver.[...]
[8]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남양 방씨
[9] 두산백과 방옥정 -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10] 한민족백과 방귀원
[11] 문화재청 문화재 사계정사
[1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방원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s://terms.naver.[...]
[13] 부천족보전문도서관 개성 방씨 - 부천족보전문도서관 http://www.jokbo.re.[...]
[14]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방준상
[15] 승정원일기 승정원일기 영조 31년 11월 14일 https://sjw.histo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