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향고양이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향고양이과는 식육목 고양이아목에 속하는 동물 과로, 아프리카, 유라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특징적으로 각 발에 4~5개의 발가락과 반쯤 움츠릴 수 있는 발톱을 가지며, 혀에는 가시가 있고 항문샘을 가지고 있다. 사향고양이과는 숲이나 초원 등 다양한 환경에 서식하며, 잡식성 또는 육식성 생활을 한다. 이 과는 제넷아과, 타이거시벳아과, 팜시벳아과, 사향고양이아과로 분류되며, 족제비과, 마다가스카르식육과, 아프리카사향고양이과 등과 계통적으로 관련이 있다. 사향고양이과 동물의 분비물은 향수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며, 일부 종은 농작물 피해를 입히거나 쥐를 구제하는 데 이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는 종도 존재하며, 커피 루왁 생산에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향고양이과 - 빈투롱
    빈투롱은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덥수룩한 털과 잡는 꼬리가 특징이며, 인도, 네팔, 동남아시아 숲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과일, 작은 동물 등을 먹고, 멸종위기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사향고양이과 -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는 사향고양이과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빈투롱속, 세줄무늬사향고양이속, 술라웨시섬사향고양이속, 흰코사향고양이속, 아시아사향고양이속과 멸종된 속들을 포함하고, 일부 종은 서식지 파괴와 사냥으로 인해 IUCN 적색 목록에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 아시아의 포유류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아시아의 포유류 - 아시아코끼리
    아시아코끼리는 코끼리과에 속하는 종으로 아프리카코끼리보다 작고 귀가 작으며 코 끝에 돌기가 있고, 인도아대륙과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며 서식지 파괴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 아프리카의 포유류 - 큰돌고래
    큰돌고래는 전 세계 온대 및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지능이 높고 사회적인 돌고래과 포유류로, 소리와 몸짓으로 의사소통하고 반향정위를 사용하며, 인간과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겪고 있다.
  • 아프리카의 포유류 - 더스키돌고래
    더스키돌고래는 남반구 해안에 서식하는 몸길이 1.6~2.2m의 작은 돌고래로, 어두운 회색 몸통과 밝은 배를 가지며, 포경, 혼획, 서식지 파괴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필요하다.
사향고양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나무에 있는 비베리드 사진 모음
비베리드, (왼쪽 위부터 시계 방향으로) 사향고양이속, 제넷속, 팜시벳속, 빈투롱속
학명Viverridae
명명자Gray, 1821
모식속Viverra
모식속 명명자Linnaeus, 1758
분포Viverridae_Distribution.png
분포도 설명살아있는 비베리드 종의 분포
어원라틴어 "viverra" (사향고양이)
한국어자코우네코과
분류
동물계
척삭동물문
포유강
식육목
아목고양이아목
하목사향고양이하목
아과
하위 분류제넷아과 Genettinae
타이거시벳아과 Hemigalinae
팜시벳아과 Paradoxurinae
자코우네코아과 Viverrinae
제넷아과제넷속
포아나속
†세미제네타속
타이거시벳아과줄무늬사향고양이속
술라웨시사향고양이속
수달사향고양이속
호스필드사향고양이속
큰사향고양이속
팜시벳아과사향고양이속
흰턱수염사향고양이속
빈투롱속
작은이빨팜시벳속
†카누이테스속
†키체치아속
†시아믹티스속
†투게닉티스속
자코우네코아과아프리카시벳속
사향고양이속
인도사향고양이속
생물학적 정보
화석 범위에오세 ~ 현재

2. 특징

사향고양이과 동물은 각 발에 네 개 또는 다섯 개의 발가락과 반쯤 접을 수 있는 발톱을 가지고 있다. 각 턱에는 여섯 개의 앞니가 있고, 위턱에는 두 개의 혹 모양의 어금니가, 아래턱에는 하나의 어금니가 있다. 혀는 거칠고 날카로운 가시가 있다. 항문 아래에는 주머니 또는 항문샘이 있지만 맹장은 없다.[2]

사향고양이과는 식육목 고양이형류과 중 가장 원시적인 과이며, 고양잇과보다 분명히 특징이 덜 발달되었다. 고양잇과와 구분되는 외부적 특징으로는 더 긴 주둥이와 아래턱뼈 사이에 있는 얼굴 수염 뭉치, 그리고 더 짧은 다리와 첫 번째 발가락이 있는 다섯 발가락의 뒷발이 있다. 두개골은 상악골에 있는 후구개공의 위치가 거의 항상 상악구개 봉합선보다 훨씬 앞쪽에 있고, 보통 두 번째 소구치의 높이에 있다는 점이 다르다. 그리고 고실이 두 요소로 명확하게 외부적으로 나뉘는데, 이는 명확한 홈에 의해서이거나, 이것이 드물게 없어지는 경우에는 부풀어 오른 내고실 앞의 고막의 함몰에 의해서이다. 전형적인 치식은 3.1.4.2/3.1.4.2이지만, 수가 줄어들 수 있지만 고양잇과처럼 많이 줄어들지는 않는다.[3]

다른 고양이형류 식육목 동물에 비해, 살을 자르는 열육치는 상대적으로 발달되지 않았다.[4] 대부분의 사향고양이과 종은 음경골을 가지고 있다.[5] 몸은 가늘고 길며, 주둥이도 가늘고 뾰족하다.[59]

귓바퀴의 뒷쪽 가장자리에는 주머니 모양의 기관(이낭)이 있다.[59] 치열은 상하 각각 앞니 6개, 송곳니 2개, 어금니 위턱 8개·아래턱 6-8개, 큰어금니 위턱 2-4개·아래턱 4개로 총 38-40개이다.[59] 많은 종은 항문 주변에 악취를 내는 샘(항문선)이 있다.[58][59] 다리는 짧다.[59] 상완골 아래쪽 안쪽에는 신경과 동맥이 지나는 구멍(내측상과공)이 있다.[59] 발가락은 5개이다.[59] 발톱을 움츠릴 수 있지만, 발톱을 보호하는 주름(집)이 없는 종도 있다.[59]

3. 분포

아프리카 대륙, 유라시아 대륙,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필리핀에 분포한다.[58]

4. 생태

숲이나 초원 등에 서식한다. 사향고양이아과의 종은 반수상생활 또는 지표생활을 하는 경우가 많지만, 수상생활을 하는 종도 많다. 야행성인 종이 많다.[58][59] 단독 또는 짝을 지어 생활한다.[58][59]

많은 종이 잡식성이며, 곤충, 조류, 소형 포유류, 과일 등을 먹지만, 어류를 먹거나 육식성인 종도 있다.

5. 분류

1821년, 그레이(Gray)는 사향고양이과를 족제비속, 겐넷, 몽구스속, ''수리카타'' 속으로 구성된 것으로 정의하였다.[2] 이후 레지널드 이니스 포콕은 발의 구조와 향선의 구조를 기반으로 줄무늬사향고양이아과, 아시아사향고양이아과, 아시아린상아과, 사향고양이아과로 사향고양이과를 재정의하였다.[3]

아프리카 야자 사향고양이는 사향고양이와 유사하지만, 유전적으로 구별되며, 자체 단형 과인 난디니과에 속한다.[1] DNA 분석 결과, 아프리카린상(''Poiana'')은 겐넷 속의 자매군이며, 프리오노돈은 고양이과의 자매군으로 프리오노돈티과에 배치하는 것이 제안되었다.[8]

아시아사향고양이


유럽제넷


아프리카시벳

5. 1. 하위 분류

Viverridae영어 과는 다음과 같이 하위 분류된다.

6. 계통 분류

다음은 식육목의 계통 분류이다.[74]

{| class="wikitable"

|-

! 식육목

|-

|

{| class="wikitable"

|-

! 고양이아목

|-

|

{| class="wikitable"

|-

| † 님라부스과

Hoplophoneus mentalis


|-

|

† Stenoplesictidae
† Percrocutidae
Dinocrocuta



|-

| 아프리카사향고양이과

Two-spotted palm civet


|-

|

{| class="wikitable"

|-

! 고양이상과

|-

|

{| class="wikitable"

|-

| 아시아린상과
Spotted linsang


|-

|

† 바르보우로펠리스과
고양이과
Tiger



|}

|}

|-

! 사향고양이하목

|-

|

{| class="wikitable"

|-

| 사향고양이과

Malay civet


|-

! 몽구스상과

|-

|

{| class="wikitable"

|-

| 하이에나과
Striped hyena


|-

|

몽구스과
Small asian mongoose
마다가스카르식육과
Grandidier's mongoose



|}

|}

|}

|}

|-

! 개아목

|-

|

{| class="wikitable"

|-

| † 암피키온과

Amphicyon ingens


|-

| 개과
African golden wolf


|-

! 곰하목

|-

|

{| class="wikitable"

|-

! 곰상과

|-

|

† 헤미키온과
Hemicyon sansaniensis
곰과
Asian black bear



|-

|

{| class="wikitable"

|-

! 기각류

|-

|

{| class="wikitable"

|-

| † 에날리아르크토스과

Enaliarctos mealsi


|-

|

{| class="wikitable"

|-

| 물범과
Common seal


|-

|

물개과
California sea lion
바다코끼리과
Pacific walrus



|}

|}

|}

|-

! 족제비상과

|-

|

{| class="wikitable"

|-

| 레서판다과

Red panda


|-

|

{| class="wikitable"

|-

| 스컹크과
Striped skunk


|-

|

아메리카너구리과
Common raccoon
족제비과
European polecat



|}

|}

|}

|}

|}

|}

다음은 사향고양이과의 계통 분류이다.[75]

{| class="wikitable"

|-

! 사향고양이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줄무늬사향고양이

|-

|



|}

|-

! 사향고양이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인도사향고양이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시벳

|-

! 사향고양이속

|-

|



|}

|}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존스턴제넷

|-

|



|}

|-

|

{| class="wikitable"

|-

| 서발린제넷

|-

|

{| class="wikitable"

|-

| 케이프제넷

|-

| 유럽제넷

|-

|



|}

|}

|}

|}

|}

|}

사향고양이과의 계통 발생적 관계는 다음 분지도에 나타나 있다.[48][49]

{| class="wikitable"

|-

!  '''사향고양이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족제비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Paradoxurus''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금색야자사향고양이 P. zeylonensis
제르돈야자사향고양이 P. jerdoni



|}

|-

| 아시아야자사향고양이 ''P. hermaphroditus''

|}

|-

!  ''Macrogalidia'' 

|-

| 술라웨시야자사향고양이 ''M. musschenbroekii''

|}

|-

!  ''Paguma'' 

|-

| 가면야자사향고양이 ''P. larvata''

|}

|-

!  ''Arctictis'' 

|-

| 빈투롱 ''A. binturong''

|}

|-

!  ''Arctogalidia'' 

|-

| 작은이빨야자사향고양이 ''A. trivirgata''

|}

|-

!  '''반점사향고양이아과''' 

|-

|

{| class="wikitable"

|-

!  ''Cynogale'' 

|-

| 수달사향고양이 ''C. bennettii''

|-

|

{| class="wikitable"

|-

!  ''Chrotogale'' 

|-

| 오우스턴야자사향고양이 ''C. owstoni''

|-

|

 Diplogale 
호즈야자사향고양이 D. hosei
 Hemigalus 
띠무늬야자사향고양이 H. derbyanus



|}

|}

|}

|-

!  '''사향고양이아과''' 

|-

|

{| class="wikitable"

|-

!  '''사향고양이아과'''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Viverra''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말라바르큰점박이사향고양이 V. civettina
큰점박이사향고양이 V. megaspila



|-

| 큰인도사향고양이 ''V. zibetha''

|}

|-

| 말레이사향고양이 ''V. tangalunga'' 50px

|}

|-

!  ''Civettictis'' 

|-

| 아프리카사향고양이 ''C. civetta'' 50px

|}

|-

!  ''Viverricula'' 

|-

| 작은인도사향고양이 ''V. indica''

|}

|-

!  '''겐네타아과''' 

|-

|

{| class="wikitable"

|-

!  ''Poiana'' 

|-

|

서아프리카오얀 P. leightoni
중앙아프리카오얀 P. richardsonii



|-

!  ''Genetta'' 

|-

|

{| class="wikitable"

|-

|

아비시니아겐넷 G. abyssinica
하우사겐넷 G. thierryi



|-

|

{| class="wikitable"

|-

| 큰숲겐넷 ''G. victoriae''

|-

|

{| class="wikitable"

|-

| 존스턴겐넷 ''G. johnstoni''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물겐넷 G. piscivora
세르발린겐넷 G. servalina



|-

| 볏세르발린겐넷 ''G. cristata''

|}

|-

|

{| class="wikitable"

|-

| 남아프리카작은점박이겐넷 ''G. felina''

|-

| 일반겐넷 ''G. genetta''

|-

|

{| class="wikitable"

|-

| 케이프겐넷 ''G. tigrina''

|-

|

{| class="wikitable"

|-

| 레타바겐넷 ''G. letabae''

|-

| 쇼우덴겐넷 ''G. schoutedeni''

|-

| 녹슨점박이겐넷 ''G. maculata''

|-

|

{| class="wikitable"

|-

|

앙골라겐넷 G. angolensis
얼룩무늬겐넷 G. pardina



|-

|

부를롱겐넷 G. bourloni
킹겐넷 G. poensis



|}

|}

|}

|}

|}

|}

|}

|}

|}

|}

|}

시신세에 출현했으며, 현생 식육목 내에서는 기원이 오래되었고 원시적인 특징을 남긴 분류군으로 여겨진다.[59]

제넷아과, 사향고양이아과, 타이거시벳아과, 팜시벳아과로 구분된다.[56][61][62][63]

이전에는 작은몽구스, 포사, 마다가스카르사향고양이 등 마다가스카르에 분포하는 종이 포함되어 포사아과나 작은몽구스아과를 구성한다는 설도 있었다.[59]

2003년에 발표된 IRBP의 엑손, TTF 유전자의 인트론, 미토콘드리아DNA의 시토크롬 b, ND2 유전자의 염기 배열을 결정한 최소 진화법과 최우도법, 베이즈법 등에 의한 계통 분석에서는, 몽구스과의 와오몽구스아과를 포함한 마다가스카르의 식육류만으로 단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이 강하게 시사되어 마다가스카르몽구스과 Eupleridae를 구성한다는 설이 유력하다.[64]

이러한 계통 분석에 의해 나무타기사향고양이가 고양이형아목 Feliformia 내에서도 초기 분화되었다는 것도 시사되었기 때문에, 1속 1종으로 나무타기사향고양이과 Nandiniidae를 구성한다는 설이 유력하다.[64]

줄무늬린상속(''Prionodon'')은 사향고양이아과에 포함시키는 설이 있었지만, 악취선이 없고 발톱이 움츠러드는 등의 특징으로 1속으로 줄무늬린상아과 Prionodontinae를 구성한다는 설도 제기되었다.[59]

2003년에 발표된 TTF 유전자의 인트론, 미토콘드리아 DNA의 시토크롬 b의 염기 배열을 사용한 최우도법에 의한 계통 분석에서는, 줄무늬린상속과 고양이과로 단계통군을 형성하는 것이 시사되어 독립된 과 Prionodontidae를 구성한다는 설이 제기되고 있다.[65]

현생종의 분류는 Veron (2010)에 따른다.[56]

Genettinae 및 ''Genetta felina''를 제외하고는 종명은 川田ら (2018)[60], 영명은 MSW3 (Wozencraft, 2005)에 따른다.[57]

아과학명 및 명명자한국어 이름분포 지역IUCN 적색 목록 등급
제넷아과 Genettinae[61]제넷속 GenettaG. abyssinica
(Rüppell, 1836)
아비시니아제넷에티오피아, 에리트레아, 지부티, 소말리아, 수단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G. angolensis
Bocage, 1882
앙골라제넷앙골라, 콩고민주공화국, 말라위, 모잠비크, 잠비아, 탄자니아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G. bourloni
Gaubert, 2003
부를롱제넷기니,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 시에라리온Vulnerable|취약종영어
G. cristata
(Hayman, 1940)
갈기제넷[66]나이지리아, 카메룬Vulnerable|취약종영어
G. felina
(Thunberg, 1811)
남아프리카작은점무늬제넷[67]남아프리카 공화국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G. genetta
(Linnaeus, 1758)
유럽제넷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아프리카 대륙 대부분, 중동 일부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G. johnstoni
Pocock, 1908
존스턴제넷기니, 가나, 코트디부아르, 라이베리아Near Threatened|준위협종영어
G. maculata
(Gray, 1830)
큰점무늬제넷에티오피아 남부, 남아프리카 공화국 동부 등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G. pardina
I. Geoffroy Saint-Hilaire, 1832
숲제넷감비아, 가나, 기니, 코트디부아르, 시에라리온, 세네갈, 라이베리아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G. piscivora
(J. A. Allen, 1919)
물제넷콩고민주공화국 북동부Near Threatened|준위협종영어
G. poensis
Waterhouse, 1838
대왕제넷가나, 기니, 코트디부아르, 콩고민주공화국, 적도기니Data Deficient|정보부족종영어
G. servalina
Pucheran, 1855
세르발린제넷카메룬, 콩고민주공화국, 적도기니, 우간다, 탄자니아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G. thierryi
Matschie, 1902
하우사제넷가나, 기니비사우, 말리, 베냉, 부르키나파소, 세네갈, 시에라리온, 카메룬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G. tigrina
(Schreber, 1776)
케이프제넷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G. victriae
Thomas, 1901
자이언트숲제넷콩고민주공화국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아프리카린상속 PoianaP. leightoni
(Pocock, 1908)
레이튼린상라이베리아, 코트디부아르Vulnerable|취약종영어
P. richardsoni
(Thomson, 1842)
아프리카린상카메룬,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콩고 공화국, 적도 기니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타이거시벳아과 HemigalinaeChrotogale owstoni
Thomas, 1912
오스턴팜시벳[69]라오스, 베트남, 중국 남부Vulnerable|취약종영어
Cynogale bennettii
Gray, 1837
키노가레[70]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보르네오섬)Endangered|위기종영어
Diplogale hosei
(Thomas, 1892)
호스팜시벳[70]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보르네오섬)Vulnerable|취약종영어
Hemigalus derbyanus
(Gray, 1837)
타이거시벳미얀마,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보르네오섬)Vulnerable|취약종영어
팜시벳아과 ParadoxurinaeArcticis binturong
(Raffles, 1821)
빈투롱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중국, 네팔, 필리핀, 부탄, 방글라데시, 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라오스Vulnerable|취약종영어
Arctogalida trivirgata
(Gray, 1832)
세줄무늬팜시벳인도 북동부,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미얀마, 라오스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Macrogalidia musschenbroekii
(Schlegel, 1877)
술라웨시팜시벳[70]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Vulnerable|취약종영어
Paguma larvata
(C. E. H. Smith, 1827)
사향고양이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중국, 대만, 파키스탄, 필리핀, 부탄, 베트남, 말레이시아, 미얀마, 라오스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Paradoxurus hermaphroditus
(Pallas, 1777)
팜시벳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중국, 필리핀, 브루나이, 베트남, 말레이시아, 미얀마, 라오스, 스리랑카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사향고양이아과 ViverrinaeCivettictis civetta
(Schreber, 1776)
아프리카사향고양이가나, 감비아, 기니,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말리, 모잠비크, 보츠와나, 세네갈, 소말리아, 수단, 에티오피아, 우간다, 잠비아, 짐바브웨,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차드, 카메룬, 케냐, 탄자니아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사향고양이속 ViverraV. civettina
Blyth, 1862
인도큰점무늬사향고양이인도 남서부Critically Endangered|위급종영어
V. megaspila
Blyth, 1862
버마사향고양이인도 북동부, 인도차이나반도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V. tangalunga
Gray, 1832
말레이사향고양이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보르네오섬, 술라웨시섬 등), 필리핀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V. zibetha
Linnaeus, 1758
인도사향고양이인도, 인도차이나반도, 중국 남부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Viverricula indica
(Desmarest, 1804)
작은인도사향고양이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중국, 대만, 스리랑카, 베트남, 말레이시아, 미얀마, 라오스, 캄보디아Least Concern|관심대상종영어


7. 인간과의 관계

사향고양이과의 일부 종은 식용으로 쓰이기도 한다.[59] 일부 종의 생식기 주변 사향샘(회음선)에서 분비되는 액체는 향수의 강화제나 지속제로 이용된다.[59] 이 액체는 최음제나 피부병 약으로 사용되기도 했다.[58] 영어권에서 이 과의 많은 구성종에 사용되는 명칭 시벳(civet)은 아랍어로 회음선에서 분비되는 액체와 그 냄새를 가리키는 자바드(zabād)에서 유래한다.[58][59]

농작물이나 가금류를 먹는 해충으로 여겨지기도 하며,[58] 쥐를 구제하기 위해 도입된 종도 있다.[71] 산림 벌채나 농지 개발, 채굴 등에 의한 서식지 파괴, 사향을 얻기 위한 사냥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는 종도 있다.[69][70][66]

인도네시아 등 커피 농장에서는 파라사향고양이의 배설물에서 얻은 커피콩을 이용하기도 한다.[71] 희귀하고 고급 커피인 코피 루왁은 사향고양이과 동물에게 커피 열매를 먹게 한 후, 배설물에서 소화되지 않은 씨앗을 이용한 것이다.

참조

[1] 논문 Family Viverridae
[2] 논문 On the natural arrangement of vertebrose animals https://archive.org/[...]
[3] 서적 The Fauna of British India, including Ceylon and Burma Taylor and Francis
[4] 서적 The Encyclopedia of Mammals https://archive.org/[...] Facts on File
[5] 서적 The Carnivores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6] 논문 Notice of a new genus of Viverridous Mammalia from Madagascar https://archive.org/[...]
[7]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endemic Malagasy carnivore Cryptoprocta ferox (Aeluroideae): DNA/DNA hybridization experiments
[8] 논문 Exhaustive sample set among Viverridae reveals the sister-group of felids: the linsangs as a case of extreme morphological convergence within Feliformia
[9]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1 Laurentius Salvius
[10] 논문 On the family of Viverridae and its generic sub-divisions, with an enumeration of the species of several new ones https://books.google[...]
[11] 논문 Report of Curator, Zoological Department, February 1862 https://archive.org/[...]
[12] 논문 Classified Catalogue of Nepalese Mammalia https://archive.org/[...]
[13] 서적 Catalogue des Mammifères du Muse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Museum National d'Histoire Naturelle
[14] 논문 On the Feet and Glands and other External Characters of the Viverrinae, with the description of a New Genus https://archive.org/[...]
[15] 서적 Die Säuge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Wolfgang Walther
[16] 논문 A revision of the genera and species of viverrine animals (Viverridae), founded on the collection in the British Museum https://archive.org/[...]
[17] 논문 Mémoire sur deux mammifères nouveaux de l'Inde, considérés comme types des deux genres voisins des Paradoxures, genres Hémigale et Ambliodon http://gallica.bnf.f[...]
[18] 논문 Characters of some new species of Mammalia in the Society's collection https://archive.org/[...]
[19] 논문 Two new Genera and a Species of Viverrine Carnivora https://archive.org/[...]
[20] 논문 On some Mammals form Mount Dulit, North Borneo https://archive.org/[...]
[21] 논문 Notes on some Palm-Civets https://archive.org/[...]
[22] 논문 ''Paradoxurus musschenbroekii'' https://archive.org/[...]
[23] 논문 Du genre Paradoxure et de deux espèces nouvelles qui s'y rapportent https://archive.org/[...]
[24] 서적 Die Säuge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Wolfgang Walther
[25] 서적 Die Säuge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Wolfgang Walther
[26] 논문 A Monograph of the Genus ''Paradoxurus'', F. Cuvier https://archive.org/[...]
[27] 서적 Monographies de mammalogie Dufour & d'Ocagne
[28] 논문 XVII. Descriptive Catalogue of a Zoological Collection, made on account of the Honourable East India Company, in the Island of Sumatra and its Vicinity, under the Direction of Sir Thomas Stamford Raffles, Lieutenant-Governor of Fort Marlborough', with additional Notices illustrative of the Natural History of those Countries https://archive.org/[...]
[29] 서적 Proceedings of the Committee of Science and Correspondence of the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Zoological Society of London
[30] 서적 The animal kingdom : arranged in conformity with its organization G.B. Whittaker
[31] 논문 The generic names Ictis, Arctogale, and Arctogalidia https://zenodo.org/r[...]
[32] 논문 On the Family of Viverridae and its generic subdivisions; with an enumeration of the Species of ''Paradoxurus'', and Characters of several new ones https://archive.org/[...]
[33] 서적 Le règne animal distribué d'après son organisation, pour servir de base à l'histoire naturelle des animaux et d'introduction à l'anatomie comparée https://archive.org/[...] Deterville
[34] 서적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æ,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1 Laurentius Salvius
[35] 서적 Die Säugethiere in Abbildungen nach der Natur mit Beschreibungen Walther 1778
[36] 논문 Beskrifning och teckning pa ''Viverra felina'' http://gdz.sub.uni-g[...] 2023-12-01 #Dead link date
[37] 서적 Spicilegia zoologica : original figures and short systematic descriptions of new and unfigured animals Treuttel, Wurtz & Co.
[38] 서적 Études Zoologiques : Ouvrage comprenant l'histoire et la description d'un grand nombre d'animaux récemment découverts et des observations nouvelles sur plusieurs genres déjà connus Lequien Fils
[39] 서적 Neue Wirbelthiere zu der Fauna von Abyssinien gehörig Siegmund Schmerber
[40] 논문 On some New Species of Mammalia from Fernando Po https://archive.org/[...]
[41] 논문 On the more notable Mammals obtained by Sir Harry Johnston in the Uganda Protectorate https://archive.org/[...]
[42] 서적 Verhandlungen des V. Internationalen Zoologen-Congresses zu Berlin, 12.–16. August 1901 Gustav Fischer
[43] 논문 The Rudd Exploration of South Africa.—IV. List of Mammals obtained by Mr. Grant at Knysna https://www.biodiver[...]
[44] 논문 Preliminary notes on African carnivora https://zenodo.org/r[...]
[45] 논문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genet (Carnivora; Viverridae; genus ''Genetta'') and taxonomic revision of forest forms related to the Large-spotted Genet complex https://www.research[...]
[46] 논문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of ''Genetta'', and of two species of Birds from Western Africa https://archive.org/[...]
[47] 논문 Report upon a Small Collection of Mammalia brought from Liberia by Mr. Leonard Leighton https://archive.org/[...]
[48] 논문 Phylogenetic systematics and tempo of evolution of the Viverrinae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within feliformians: implications for faunal exchanges between Asia and Africa http://www.cetpo.upo[...] 2020-08-01
[49] 논문 Updating the evolutionary history of Carnivora (Mammalia): a new species-level supertree complete with divergence time estimates
[50] 논문 Fossil mammals of Africa: 19, The Miocene Carnivora of East Africa https://archive.org/[...]
[51] 논문 New Miocene Carnivora (Mammalia) from Moruorot and Kalodirr, Kenya http://www.diva-port[...]
[52] 논문 Carnivores from the Middle Miocene Ngorora Formation (13-12 Ma), Kenya https://digital.csic[...]
[53] 논문 Middle Miocene Carnivora and Hyaenodonta from Fort Ternan, western Kenya http://sciencepress.[...]
[54] 논문 A new small carnivoran from the Middle Miocene of Fort Ternan, Kenya
[55] 논문 The Late Middle Miocene Mae Moh Basin of Northern Thailand: The Richest Neogene Assemblage of Carnivora from Southeast Asia and a Paleobiogeographic Analysis of Miocene Asian Carnivorans https://www.biodiver[...]
[56] 서적 Carnivoran Evolution. New Views on Phylogeny, Form and Fun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57] 서적 Viverridae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58] 서적 動物大百科1 食肉類 平凡社
[59] 서적 ジャコウネコ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60] 논문 世界哺乳類標準和名目録
[61] 논문 ミャンマー中部の新第三系イラワジ動物相:食肉目
[62] 논문 Phylogenetic systematics and tempo of evolution of the Viverrinae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within feliformians: Implications for faunal exchanges between Asia and Africa
[63] 논문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Asian palm civets (Hemigalinae & Paradoxurinae, Viverridae, Carnivora)
[64] 논문 Single origin of Malagasy Carnivora from an African ancestor Nature Publishing Group
[65] 논문 Exhaustive sample set among Viverridae reveals the sister-group of felids: The linsangs as a case of extreme morphological convergence within Feliformia
[66] 서적 タテガミジェネット 講談社
[67] 서적 ジェネット属 平凡社
[68] 서적 Integrative Taxonomy and Phylogenetic Systematics of the Genets (Carnivora, Viverridae, ''Genetta''): A New Classification of the Most Speciose Carnivoran Genus in Africa Springer
[69] 서적 オーストンヘミガルス」「ジャードンパームシベット」「マラバルジャコウネコ 講談社
[70] 서적 キノガーレ」「クロヘミガルス」「セレベスパームシベット 講談社
[71] 서적 ジャコウネコ科(ジャコウネコ類やジェネット類) 朝倉書店
[72] MSW3
[73] 저널 The taxonomy of the endemic golden palm civet of Sri Lanka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74] 저널 Pattern and timing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mammalian order Carnivora inferred from multiple nuclear gene sequences
[75] 저널 Phylogenetic systematics and tempo of evolution of the Viverrinae (Mammalia, Carnivora, Viverridae) within feliformians: implications for faunal exchanges between Asia and Africa http://uahost.uantwe[...]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