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쌍방울 레이더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쌍방울 레이더스는 1989년 창단된 대한민국 프로야구팀으로, 1991년부터 1999년까지 KBO 리그에 참여했다. 김원형은 1993년 KBO 역사상 최연소 노히트노런을 기록했고, 김성근 감독 부임 후 1996년과 1997년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는 등 전성기를 맞이했으나, 1997년 IMF 외환 위기로 모기업의 재정난이 심화되어 핵심 선수들을 현금 트레이드하며 전력이 약화되었다. 결국 1999년 시즌 후 구단 운영이 어려워져 2000년 1월 해체되었으며, 이후 SK 와이번스(현 SSG 랜더스)가 창단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0년 설립된 야구팀 - LG 트윈스
    LG 트윈스는 1982년 MBC 청룡으로 시작하여 LG그룹에 인수된 후 KBO 리그에서 세 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거두었으며, 잠실야구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한다.
  • 1990년 설립된 야구팀 - 다이쿄 돌핀스
    다이쿄 돌핀스는 1991-92 시즌에 1위를 차지했으며, 1990-91 시즌에는 2위, 1992-93 시즌에는 6위를 기록했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스포츠 - 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
    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은 전라북도 전주시에 위치한 야구장으로 과거 쌍방울 레이더스의 홈 구장이었으나, 현재는 사회인 야구와 청소년 야구 훈련장으로 사용되며 시설 개선을 통해 프로 야구 경기 유치를 추진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스포츠 - 전국체육대회 전북특별자치도 선수단
    전국체육대회 전북특별자치도 선수단은 전북특별자치도를 대표하여 전국체육대회에 참가하는 선수단으로, 2018년부터 2023년까지 꾸준히 참가하여 14위와 15위를 기록했으며, 일반부와 18세 이하부에서 육상, 수영, 축구, 농구 등 다양한 종목에 참여한다.
쌍방울 레이더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팀 명쌍방울 레이더스
한국어 팀 명쌍방울 레이더스
로마자 표기Ssangbangwool Raiders
한자 표기雙방울 레이더스
창단일1990년
해체일2000년
연고지전라북도 전주시
홈구장전주종합경기장 야구장 (1990년~1999년)
제2구장월명종합경기장 야구장 (1990년~1999년)
수용 인원 (전주)10,000명
수용 인원 (군산)12,000명
리그KBO 리그 (1990–1999)
모기업쌍방울 그룹
마스코트방울이
색상노란색 및 검은색
팀 기록
리그 우승 횟수0
시리즈 우승 횟수0
플레이오프 진출 횟수1
플레이오프1996년
준플레이오프 진출 횟수1
준플레이오프1997년
A클래스 진입 횟수2
A클래스 진입 년도1996년-1997년
B클래스 진입 횟수7
B클래스 진입 년도1991년-1995년, 1998년-1999년
영구 결번없음
코칭 스태프 (해체 시점)
감독김준환
유니폼
_bicolor2
모자 모양
_yellowborder
왼쪽 팔 모양
_vneckblack
몸통 모양
_yellowborder
오른쪽 팔 모양
_beltonwhite
바지 모양
ffff00
모자 색상
ffffff
왼쪽 팔 색상
ffffff
몸통 색상
ffffff
오른쪽 팔 색상
000000
바지 색상
000000
양말 색상
_bicolor2
모자 모양
_yellowborder
왼쪽 팔 모양
_vneckblack
몸통 모양
_yellowborder
오른쪽 팔 모양
_beltongrey
바지 모양
ffff00
모자 색상
c0c0c0
왼쪽 팔 색상
c0c0c0
몸통 색상
c0c0c0
오른쪽 팔 색상
000000
바지 색상
000000
양말 색상

2. 구단 역사

1989년 시즌 오프에 속옷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한 기업 그룹인 (サンバンウル)을 모기업으로 하여 한국 프로야구 8번째 팀으로 창단되었다. 초대 감독은 김인식(金寅植)이었다.

창단 후 1년간은 2군 리그에서만 준비 기간을 거친 후, 1991년부터 1군 리그에 참가했다. 1군 참가 첫 해에는 OB 베어스를 제치고 전년도 챔피언인 LG 트윈스와 함께 6위로 시즌을 마쳤다. 전력 부족으로 최하위가 당연시되는 신생팀이 오히려 흥행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주변의 우려를 뒤엎는 결과였다. 하지만 이후에는 첫 시즌의 기세를 이어가지 못하고 곧 최하위 후보로 자리매김했다.

1993년 4월 30일, 레이더스의 투수 김원형이 전주야구장에서 OB 베어스를 3-0으로 꺾고 노히트노런을 기록했다. 당시 20세였던 김원형은 KBO 역사상 노히트노런을 달성한 최연소 투수였다.[1]

1995년 시즌 오프, B클래스 팀에 만연한 패배 의식을 쇄신하여 A클래스 팀으로 이끌 능력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김성근(金星根)을 감독으로 영입하여 팀 전력 향상에 착수, 꾸준히 팀 전력을 향상시켰다.

그 결과, 1996년 정규 시즌 2위, 1997년에는 3위에 오르며 포스트시즌에도 진출했다.

1996년에는 한국시리즈 진출까지 단 1승만을 남겨두기도 했다. 당시 전주구장 주변에는 암표상들이 나타날 정도로 지역 내 인기도 확대되었다.

하지만 1998년 발생한 아시아 금융 위기로 모기업이 경영 위기에 처하면서 이후로는 주력 선수들을 현금 트레이드하여 구단 운영비에 충당하는 상황이 지속되었다. 또한 2군 경기 참가도 중단하고 경비 절감에 힘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8년에는 6위를 유지했지만, 잇따른 주력 선수 방출로 전력이 크게 약화되어 A클래스 전문가로 영입된 김성근 감독조차도 어찌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

1999년에는 오키나와에서 스프링캠프를 진행했지만, 숙박비 절감을 위해 대전, 광주 등 편도 200km 이내의 근거리 원정은 경기 당일 이동하고, 장거리 원정은 저렴한 여관을 전전하는 극심한 상황이었다.

그렇게까지 팀을 유지하려는 노력도 헛수고로 돌아가 1999년 132경기에서 28승 97패 7무승부, 승률 0.224라는 성적을 거두었고, 구단은 운영비 부족으로 경영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다. 지역 내 인기도 하락하여 홈 경기 관중 수가 100명을 밑도는 경우도 있었다.

결국 2000년 1월, 쌍방울의 긴급 요청을 받은 KBO가 팀을 인수했고, 이로써 팀은 해체되었다. KBO 소속 팀이 해체된 것은 역사상 처음 있는 일이었다.

해체 후, SK그룹이 신생팀인 SK 와이번스를 창단하여 해체 당시 쌍방울 선수들을 영입했다.

2018년 10월, 1999년 쌍방울의 마지막 신인으로 입단하여 KT 위즈에 소속되어 있던 이진영(李晋暎)이 현역 은퇴를 발표했다. 그의 은퇴로 쌍방울에서 뛰었던 현역 선수는 모두 그라운드를 떠났다.[3]

2. 1. 창단과 프로 리그 참가 (1990년)

한국야구위원회1986년에 신생팀 '제8구단' 창단을 결의하고 전북특별자치도를 연고지로 하는 신생팀 창단을 추진하였다.[9][10] 창단 과정에서 대상그룹과 컨소시엄 형태로 창단을 추진했으나, 대상그룹이 창단 과정에서 빠지게 되었다.[11] 쌍방울 레이더스1990년 창단 후 1년간 2군 리그 (KBO 퓨처스리그)에서 경기를 치렀고, 1991년부터 정식으로 1군 리그(KBO 리그)에 참가하였다.

2. 2. 1군 리그 참가와 초기 어려움 (1991년 ~ 1995년)

쌍방울 레이더스는 신생 창단 팀으로, 모기업의 규모가 작아 선수단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12] 선수층이 얇았고, 연고지인 전북특별자치도 지역의 유망주도 부족하여 타 팀에서 전성기가 지난 선수들을 영입하는 방식으로 팀을 운영해야 했다.[12] 특히 해태 타이거즈에서 많은 선수들이 쌍방울로 이적하여 '해태의 작은집'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성적은 매년 하위권에 머물렀다.

1989년 11월 14일 3년 계약으로 부임했던[12] 김인식 초대 감독은 1991년 말 구단주 대행 겸 쌍방울 부회장으로 취임한[13] 이용일 전 KBO 총재특보와의 마찰과 3년 계약 종료로 물러났다. 이후 이용일 구단주 대행처럼[14] '일본통'이었던 신용균 감독이 3년 계약 형식으로 부임했지만,[15] 외국인 선수 영입 과정에서 '미국통'이었던 한동화 코치와 불화를 겪어 1년 만에 해임됐다.[16] 한동화 코치가 2년 계약 형식으로[17] 감독에 승격했으나, '일본통'인 이용일 구단주 대행과 사이가 좋지 않아 1995년 시즌 도중 하차했다.[18]

1993년 4월 30일, 김원형은 전주야구장에서 OB 베어스를 상대로 KBO 리그 최연소 노히트노런을 기록했다.[1]

1991년부터 1995년까지 쌍방울 레이더스의 정규 시즌 성적은 다음과 같다.

시즌순위승률감독
19916위52713.425김인식
19928위41841.329김인식
19937위43785.361신용균
19948위47745.393한동화
19958위45783.369한동화 (24경기), 김우열 (102경기)[2]


2. 3. 김성근 감독 부임과 전성기 (1996년 ~ 1997년)

1996년 김성근 감독이 부임하면서 쌍방울 레이더스는 팀 분위기가 쇄신되고 전력이 향상되었다.[19] 김성근 감독의 지도 하에 쌍방울 레이더스는 1996년 정규 시즌 2위를 기록하여 돌풍을 일으키며 창단 첫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현대 유니콘스와의 5차전 접전 끝에 2승 3패로 패배하였다.[19] 1997년에는 정규 시즌 3위를 기록하며 2년 연속 포스트시즌에 진출했지만, 준플레이오프에서 삼성 라이온즈에 1승 2패로 패배하며 4위로 시즌을 마감했다.[19] 이 시기 쌍방울 레이더스는 기존의 약팀 이미지에서 벗어나 강팀으로 변모해 가는 모습을 보였다.[19]

2. 4. IMF 외환 위기와 구단 해체 (1998년 ~ 1999년)

1997년 12월, IMF 외환 위기가 터지면서 모기업 쌍방울이 심각한 재정난에 빠지게 되자, 쌍방울 레이더스 구단 역시 구단을 유지하기가 어려워졌다.[19] 재정난을 심각하게 겪으면서 쌍방울 레이더스 구단은 구단을 정상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핵심 선수들을 상대로 '선수 팔기'를 시작하게 된다.

1998년 박경완조규제현대 유니콘스로, 1999년 시즌 전에는 김기태김현욱삼성 라이온즈에 현금 트레이드로 이적하는 등 쌍방울 레이더스 핵심 선수들 대부분이 팀을 떠나면서 구단의 전력은 크게 약화되었다.[19] 1998년 시즌 중에는 재일동포 외야수 김실OB 베어스로 트레이드했다.[19] 같은 해 좌완 에이스였던 박성기롯데 자이언츠로 트레이드했는데 다음 해 한화 이글스로 이적한 뒤 그 해 한국시리즈 우승을 경험하고 은퇴했다.

1998년부터 외국인 선수 제도가 도입되었지만, 쌍방울 레이더스는 비싼 돈을 주고 선수를 쓸 수 없었고 중도 퇴출되어도 대체 선수를 데려올 수 없었다. 1998년에는 외국인 선수를 영입하지 않았고, 김기태, 최태원, 조원우, 김원형 등이 활약하여 정규 시즌 6위를 기록했다.

1999년에는 제이크 비아노, 전해 LG 트윈스에서 마무리로 뛰었던 마이클 앤더슨 등 투수 용병 선수를 영입하였지만, 이들은 열악한 시설 환경과 김성근 감독의 훈련량에 적응하지 못하고 6점대 방어율을 기록하며 중도 하차했다. 1999년 드래프트에서는 일부 대학 진학자를 제외한 고졸 선수들의 지명을 포기하고, 2차 1순위로 지명한 한양대학교 투수 라형진삼성 라이온즈에 지명권을 양도했으며, 1차 지명자인 군산상고의 이진영만 계약했다. 2000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이승호엄정욱 등을 지명했지만, 2차 1순위로 지명한 투수 마일영의 지명권을 현대 유니콘스에게 매각했다.

구단 대주주였던 모기업 쌍방울이 팀 운영을 할 수 없게 되면서 KBO에 의한 위탁 관리가 이루어졌다. 투타의 핵심 선수들이 매년 현금 트레이드 등으로 팀을 떠났고, 1999년 시즌 중 성적 부진에 따른 분위기 쇄신을 이유로 김성근 감독이 해임되고[20] 김준환 수석코치가 감독으로 승격되었지만, 팀은 1999년 시즌 단일 시즌 최다 패 기록인 97패(28승 7무, 승률 0.224)를 기록하였다. 결국 쌍방울 레이더스는 2000년 1월 해체되었다.

2. 5. SK 와이번스와의 관계

IMF 여파로 쌍방울 레이더스는 극심한 재정난을 겪었고, 1998년부터 주축 선수들을 현금 트레이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1999년에는 신인 지명자 중 이진영만 계약하고, 2차 1순위 지명자인 라형진삼성 라이온즈에 지명권을 양도하는 등 운영난이 심각했다. 1999년 7월 16일, 쌍방울 구단주 이의철은 KBO 총재와 비밀 회담에서 매각 의사를 밝혔으나, 협상은 지지부진했다.

SK그룹은 쌍방울 레이더스 인수 대신 신생 구단 창단을 추진했다. SK그룹은 쌍방울이 자동 퇴출되는 2000년 2월 12일까지 기다렸다가 새로운 팀 창단 수순을 밟는다는 계획이었다. 결국 쌍방울은 2000년 1월 7일 해체되었고, SK는 SK 와이번스(현 SSG 랜더스)를 창단했다.

KBO는 SK 와이번스를 쌍방울 레이더스와는 별개의 구단으로 간주하며, SK 와이번스는 인천광역시를 연고로 하여 독자적인 역사를 이어갔다. 현대 유니콘스 해체 후 재창단된 히어로즈(현 키움 히어로즈) 역시 KBO는 현대 유니콘스와 다른 팀으로 간주한다.

3. 역대 감독

쌍방울 레이더스의 역대 감독은 다음과 같다.

대수이름취임퇴임
1대김인식1990년1992년
2대신용균1993년1993년
3대한동화1994년1995년
4대김우열1995년1995년
5대김성근1996년1999년
6대김준환1999년1999년



1대 감독은 김인식 감독(1990년 ~ 1992년)이었다. 2대 감독은 신용균 감독(1993년)이었다. 3대 감독은 한동화 감독(1994년 ~ 1995년)이었다. 4대 감독은 김우열 감독(1995년)이었다. 5대 감독은 김성근 감독(1996년 ~ 1999년)이었다. 6대 감독은 김준환 감독(1999년)이었는데, 1999년 시즌은 감독 대행으로, 1999년 시즌 종료 후 정식 감독으로 승격되었으나, 팀 해산으로 정식 감독으로서 지휘를 맡지는 못했다.

4. 주요 기록

쌍방울 레이더스는 1996년 정규 시즌 2위를 기록하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1997년에는 정규 시즌 3위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1993년에는 김원형이 KBO 리그 최연소 노히트노런을 달성하기도 했다 (만 20세). 하지만 1999년에는 단일 시즌 최다 패인 97패를 기록하기도 했다.

연도순위게임수승률비고
19901위62358190.6482군리그 우승
19916위126523710.4251군리그 첫해
19928위126411840.329
19937위126435780.361
19948위126475740.393
19958위126453780.369
19962위126702540.563정규시즌 2위
19973위126712530.571정규시즌 3위
19986위126582660.468
19998위132287970.224
10시즌1202490386740.420


5. 역대 수상

5. 1. 한국 프로 야구상 수상자

쌍방울 레이더스는 한국 프로 야구 최우수 선수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했고, 1991년 투수 조규제가 최우수 신인상을 받았다.

5. 2. 골든글러브 수상자

5. 3. 개인 기록 수상자

쌍방울 레이더스의 개인 기록 수상자는 다음과 같다.

  • 1993년 조규제는 7구원승 27세이브로 최다 세이브 포인트를 기록했다.
  • 1994년 김기태는 25홈런으로 최다 홈런, 0.590의 최고 장타율을 기록했다.
  • 1995년 김광림은 419타수 141안타, 타율 0.337로 타율 1위를, 최태원은 147안타로 최다 안타를 기록했다.
  • 1997년 김기태는 390타수 134안타, 타율 0.344로 타율 1위, 0.636의 최고 장타율, 0.453의 최고 출루율을 기록했다. 김현욱은 20승 2패로 다승, 157 2/3이닝 33자책점, 평균자책점 1.88로 평균자책점 1위를 기록했다.

6. 역대 선수

wikitext

이름국적포지션년도
가내영투수1998-1999
강길룡투수1991-1993
강상진투수1991
김기덕투수1991-1999
김봉근투수1991-1992
김승남투수1997
김유진투수1998-1999
김원형투수1991-1999
김진욱투수1993
김현욱투수1996-1998
박주언투수1996-1999
박정현투수1998-1999
박창현투수1998-1999
성영재투수1993-1999
신영균투수1996
오봉옥투수1996-1999
오상민투수1997-1999
윤형배투수1997-1999
조규제투수1991-1997
진동한투수1991-1992
최승민투수1999
최한림투수1991-1995
김성현포수1997-1998
박경완포수1991-1997
양용모포수1999
장재중포수1994-1999
장채근포수1994-1995
전종화포수1991-1994
최해식포수1991-1994
김기태내야수1991-1998
김성래내야수1997-1999
김호내야수1991-1999
박계원내야수1998-1999
박철우내야수1994-1998
백인호내야수1993-1996
송구홍내야수1999
신경식내야수1993-1995
윤재호내야수1994-1996
이근엽내야수1998-1999
이동수내야수1998-1999
최태원내야수1993-1999
한대화내야수1997
한혁수내야수1993-1995
강광회외야수1993-1994
강남규외야수1991-1992
강영수외야수1997-1998
김광림외야수1994-1997,1999
김실외야수1996-1998
김평호외야수1991-1992
동봉철외야수1999
박노준외야수1993-1997
박재용외야수1999
심성보외야수1995-1999
윤재국외야수1998-1999
이연수외야수1991-1999
이종두외야수1997
이진영외야수1999
조용호외야수1991-1993
조원우외야수1994-1999


  • 황태호(桧山泰浩, 등록명: 황태호, ファン・テホ) 1992년 - 전 近鉄バファローズ
  • 김성길(金本誠吉, 등록명: 김성길, キム・ソンギル) 1993년 - 전 阪急ブレーブス
  • 김실(田中実, 등록명: 김실, キム・シル) 1996년 - 1998년 - 전 日本ハムファイターズ
  • 후쿠토미 쿠니오 재직 1996년 - 전 태평양 클럽 라이온즈, 야쿠르트 스왈로즈

6. 1. 투수

김원형은 1992년, 1993년, 1995년, 1997년, 1998년에 쌍방울 레이더스 투수로 활약했다. 현 SSG 랜더스 감독이다. 조규제는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6년, 1997년에 쌍방울 레이더스 투수로 활약했다. 김현욱은 1996년, 1997년, 1998년에 쌍방울에서 투수로 활동했다. 박성기는 1994년에, 성영재는 1996년, 1998년에, 김기덕은 1991년, 1994년, 1995년, 1999년에 쌍방울 투수로 뛰었다. 오상민은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쌍방울에서 투수로 활동했다. 그 외에도 강길용(1991년), 김석기(1992년), 김성길(1993년), 김진철(1995년), 박정현(1999년), 가내영(1999년)이 쌍방울 레이더스의 투수로 활약했다.

6. 2. 포수

박경완은 1991년부터 1997년까지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활동한 포수로, 현 LG 트윈스 코치이다. 장재준은 1994년부터 1999년까지 쌍방울 레이더스에서 활동한 포수로, 현재 KT 위즈 코치이다.

6. 3. 내야수

김기태는 1991년부터 1998년까지 재직했으며, 현재 KT 위즈 2군 감독이다. 최태원은 1993년부터 1999년까지 재직했고, 전 삼성 라이온즈 코치였다. 한대화는 1997년에 재직했다. 김성래는 1997년부터 1999년까지 재직했다.

6. 4. 외야수

김광림, 김실, 박노준, 심성보, 이진영, 조원우 등이 쌍방울 레이더스의 외야수였다.

7. 통산 기록

김우열19963위702540.563* 플레이오프 : 현대 전 2-3 패김성근19973위712530.571* 준플레이오프 : 삼성 전 1-2 패19986위582660.4681999매직 4위287970.224김성근
김준환
쌍방울 레이더스 9시즌45530655colspan=3 bgcolor="#FFCCCC"|



연도순위공식전 순위경기수승률비고
19916612652713.425
19928812641841.329
19937712643785.361
19948812647745.393
19958812645783.369
19963212670542.563플레이오프에서 현대 유니콘스에 2승 3패로 패배
19973312671532.571준플레이오프에서 삼성 라이온즈에 1승 2패로 패배
19986612658662.468
19998413228977.224매직리그 소속
순위는 양 리그 합계, 공식전 순위는 리그 내 순위
통산9시즌114045565530.412


8. 기타

쌍방울 레이더스가 17연승을 기록하던 당시, 원정팀 숙소였던 전주코아호텔에 귀신이 출몰한다는 소문이 있었다.[21] 이 호텔에서 OB 베어스가 먼저 귀신을 경험했고, 이후 현대 유니콘스도 같은 경험을 했다고 한다.[21] 1996년 한국프로야구 포스트시즌 홈경기 1, 2차전에서 현대 유니콘스를 상대로 연승을 거두었으나, 원정에서는 3패를 당하며 탈락했다.[21]

참조

[1] 웹사이트 Korea Baseball Organization no-hitters https://www.nonohitt[...] 2020-07-01
[2] 뉴스 Baseball club Hanwha Eagles to keep interim manager for remainder of '17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17-06-13
[3] Twitter https://twitter.com/[...]
[4] 뉴스 평창 올림픽, 죽지도 않고 또 오려고? https://sports.news.[...] 프레시안 2020-03-25
[5] 뉴스 김준환 감독 등 코치진 확정 쌍방울 레이더스 http://211.43.216.33[...] 전북일보 2020-05-28
[6] 뉴스 <프로야구소식> SK, 코칭스태프 대개편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0-02-29
[7] 뉴스 김준환감독등 코치진 확정 쌍방울레이더스 http://211.43.216.33[...] 전북일보 2020-05-28
[8] 뉴스 ◇내일의 전국체전(14일)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18-09-13
[9] 뉴스 제7의팀「쌍방울」창단채비 스카우트나서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019-09-03
[10] 뉴스 프로축구 湖南(호남)팀 創團(창단)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2019-09-03
[11] 뉴스 湖南(호남)연고 프로축구팀 추진 https://newslibrary.[...] 동아일보 2019-09-03
[12] 뉴스 스포츠 게시판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0-05-28
[13] 뉴스 李容一 KBO총재특보, 쌍방울 부회장 영입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0-05-28
[14] 뉴스 한국체육 이대로 좋은가 (58) 프로선수 빛과 그늘〈9〉툭하면 해임'파리목숨'감독 https://newslibrary.[...] 한겨레신문 2020-05-28
[15] 뉴스 스포츠 게시판 https://newslibrary.[...] 조선일보 2020-05-28
[16] 뉴스 [시공초월 라이벌]쌍방울 VS 한화, 만년 꼴찌 탈출기 https://sports.news.[...] 스포츠서울 2020-05-28
[17] 뉴스 “쌍방울 10연패 부진 책임져라” http://www.joongdo.c[...] 중도일보 2020-05-28
[18] 뉴스 “쌍방울 10연패 부진 책임져라” http://www.joongdo.c[...] 중도일보 2020-05-28
[19] 뉴스 장원삼 내준 히어로즈, 그리고 쌍방울 https://news.naver.c[...] OSEN
[20] 뉴스 <프로야구> 쌍방울, 김성근감독과 재계약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20-05-28
[21] Youtube 귀신을 목격하는 야구선수들, 그 기막힌 이야기!20191222 https://www.youtube.[...] 2019-12-22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