ǂʼ암코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ǂʼ암코이어는 보츠와나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과거에는 ǂ오아어로 불렸으나 ǂ호안어와 방언 관계에 있는 다른 언어들이 밝혀지면서 ǂʼ암코이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세 개의 방언이 존재하며, 심각한 소멸 위기에 놓여 화자가 소수이고 대부분 고령층이다. 음운론적으로 5개의 모음과 세 가지 음소 성조를 가지며 다양한 자음 체계를 갖는다. SVO 어순을 따르고, 명사 뒤에 후치사를 사용하며, 명사의 복수와 동사의 다발성을 나타내는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어족 - ǃ쿵어
ǃ쿵어는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쓰이는 언어로, 클릭음을 특징으로 하며, 원시 ǃ쿵어에서 분화되어 다양한 방언과 복잡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사용하는 언어이다. - 보츠와나의 언어 - 츠와나어
츠와나어는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보츠와나에서 사용되는 바통투어족 언어로, 19세기 초 유럽 선교사들에 의해 기록되기 시작했으며 고유한 음운 체계와 문법을 가지고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사용하며 현대 철자는 라틴 알파벳을 기반으로 한다. - 보츠와나의 언어 - 헤레로어
헤레로어는 나미비아, 앙골라, 보츠와나 지역에서 사용되는 반투어군의 언어이며, 헤레로랜드에서 주로 사용되고 19세기 말 라틴 문자를 기반으로 문자가 정립되었으며, 나미비아에서 교육 및 방송에도 사용된다.
| ǂʼ암코이어 | |
|---|---|
| 언어 정보 | |
| 이름 | ǂʼ암코이어 |
| 다른 이름 | ǂ호안 (이전 명칭) |
| 자기 이름 | ǂʼAmkoe |
| 지역 | 보츠와나 |
| 화자 수 (서부 ǂʼ암코이어) | 20–50명 (2015년) |
| 화자 수 (동부 ǂʼ암코이어) | 알 수 없음 |
| 언어 계통 | 카어족 |
| 하위 방언 | ǃ어리아헤어 (Nǃaqriaxe) ǂ오아어 (타어와 구분시 동부 ǂ오아어) (ǂHoan) 사시어 (Sasi) |
| ISO 639-3 | huc |
| Glottolog | hoaa1235 |
| Glottolog 이름 | 암코이어 |
| 표기 | IPA |
2. 명칭
ǂʼ암코이어(ǂʔām̄kòè)는 과거에 ǂ오아어(ǂʰòã̀)로 불렸으며, 이후 ǂ호안어와 방언관계에 있는 다른 언어들이 밝혀지면서 이를 묶어 ǂʼ암코이어라는 이름이 사용된다.
귈데만(Güldemann, 2016)은 ǂʼ암코이어를 3가지 방언으로 분류했으며, 소멸위기언어에 해당한다고 설명하였다.[10] ǂʼ암코이어 (ǂʼAmkoe|ǂʼ암코이어huc, IPA: ᵑǀˀām̄kòè)는 보츠와나 남동부의 세 지역에서 사용되며, 이는 다음의 세 방언에 해당한다.
3. 방언
Nǃaqriaxe와 ǂ호안 방언은 서로 가장 가까워 통칭 서부 ǂʼ암코이어라고 불리며, 사시 방언은 동부 ǂʼ암코이어라고 불린다.
두틀웨 주변에서 사용되는 Nǃaqriaxe와 모토크웨 및 케케니예 주변에서 사용되는 Nǃaqriaxe 사이에는 음운론적 차이가 존재한다. 사시 방언은 음운론과 어휘에 차이가 있지만, 다른 방언 화자들과 "상호 이해 가능한 언어"이다.[3] 사시 방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했으며, 2015년에 콜린스(Collins)가 현장 연구를 진행했다. 과거 동부와 서부 방언 사용자들은 서로의 존재를 몰랐으나, 1996년에 함께 만나 의사소통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서로의 언어적 차이를 흥미로워했다.[4]
콜린스(Collins), 그루버(Gruber), 쾰러(Köhler), 귈데만(Güldemann)과 같은 최근 학자들은 ''ǂ호안''이라는 이름을 ǂ호안 방언에 국한하여 사용하고, 언어 전체를 지칭할 때는 모든 방언에서 "사람"을 의미하는 ''ǂʼ암코이어''라는 명칭을 사용한다. 현재까지 대부분의 언어학적 연구는 ǂ호안 및 Nǃaqriaxe 방언에 집중되어 있다.
ǂ호안 방언은 ''동부 ǂ호안, ǂHùã, ǂHũa, ǂHṍã, ǂHoang de Dutlwe'' 등 다양한 이름과 철자로 불려왔다. 특히 관련 없는 타아어의 방언인 서부 ǂ후안과 구별하기 위해 ''동부 ǂ호안''으로 명시되기도 했다.[5] 사시 방언은 ''Sàsí, Tshasi, Tshasi de Khutse'' 등으로 불려왔다. Tshasi|차시tsn는 일반적인 ''마사르와''("부시맨")보다 더 정확한 츠와나어 이름이다. 구분어 ''de Khutse''는 ''Tshase''와 ''Sase''라고도 불리는 타아어의 변종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세 번째 방언인 Nǃaqriaxe의 이름은 ǂʼ암코이어로 nǃàqrīāχè|나크리아헤huc (IPA: ǃ̃àˤɾīāχè) 또는 àqrīāχè|아크리아헤huc (IPA: ʔàˤɾīāχè)이다.
모든 Nǃaqriaxe 화자는 Gǀui를 구사하며, 일부는 Kgalagadi도 구사한다. ǂ호안 화자는 Kgalagadi를, 사시 화자는 츠와나어의 응와토 방언을 구사한다. ǂʼ암코이어는 과거 타아어와 광범위한 접촉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현재 Gǀui와 접촉하지 않는 ǂ호안 방언에서도 치경 자음이 구개음으로 이동하는 현상 등 Gǀui어의 특징이 나타난다.
4. 언어 사용 현황
ǂʼ암코이어는 소멸 위기 언어로, 심각한 수준의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10] 원어민은 수십 명에 불과하며, 대부분 1960년 이전에 태어났다. 예외적으로 1971년에 태어난 사시 화자 1명과 1969년에 태어난 Nǃaqriaxe 화자 1명이 있다. 겔라흐(2015)의 연구에 따르면, 사시어 사용자는 50명 미만, ǃ어리아헤어 및 ǂ오아어 사용자 역시 50명 미만으로 추정되며,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70세 이상이다.[9] 이들 중 다수는 더 이상 ǂʼ암코이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한다.
젊은 세대, 그리고 ǂʼ암코이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많은 노년층 원어민의 모국어는 각 방언 공동체에 따라 다른 언어로 대체되고 있다. Nǃaqriaxe 화자들의 경우 코에어의 일종인 Gǀui를, ǂHoan 화자들의 경우 지역 공용어인 반투어 계열의 Kgalagadi를, 사시 화자들의 경우 츠와나어의 응와토 방언을 모국어로 사용한다.
귈데만(2016)은 ǂʼ암코이어를 다음과 같은 3가지 방언으로 분류했다.[10]
| 방언 이름 | IPA 표기 |
|---|---|
| ǃ어리아헤어 | ǃ̃àˤɾīāχè |
| ǂ오아어 | ǂʰòã̀ |
| 사시어 | sààsī 또는 sààsí |
5. 음운론
ǂʼ암코이어는 다른 두 개의 살아있는 언어에서만 발견되는 양순 파찰음을 가지고 있다.[6] 이 언어는 Gǀui와 강한 접촉을 해왔으며, 이전에는 Taa어와도 접촉해왔고, ǂʼ암코이어의 일부 음운은 Gǀui어에서 차용된 것으로 보인다. 반면에, 이 언어의 소멸 직전 상태는 음운론에서 명확히 드러나며, Gǀui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음운이 남아있는 많은 화자들에 의해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5. 1. 모음
Nǃaqriaxe 방언의 모음은 /i e a o u/ 다섯 가지이다. 전설 모음 /i e/는 포먼트 공간에서 매우 유사하며, 후설 모음 /o u/는 더욱 유사하지만, 최소 대립쌍을 통해 구별된다. 모음은 비음화되거나, 인두화 (실용 표기법에서는 단어 끝에 'q'로 표기), 또는 성문화될 수 있다.Gerlach (2015)는 장모음을 두 모음이 연속된 것으로 분석한다. 이 분석에 따르면, 비음화 모음 /ĩ ã ũ/는 음운론적으로 두 번째 모음(V2) 자리에만 나타나고, 인두화 및 성문화 모음 /aˤ oˤ/ 및 /aˀ oˀ uˀ/ (그리고 한 차용어의 /iˀ/)는 첫 번째 모음(V1) 자리에만 나타난다. 두 번째 모음(V2)이 비음일 경우, 첫 번째 모음(V1)도 음성적으로는 비음화되지만, 성문화 또는 인두화 모음과 비음화 모음이 함께 나타나는 조합은 흔하지 않다. 일부 화자는 인두 모음을 성문화하기도 하지만 일관성이 없고 구별되는 특징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거친 목소리 모음은 유기 자음 뒤나 일부 화자가 발화를 끝낼 때 나타난다. 두 경우 모두 음운론적인 의미는 없다. 또한 낮은 음조를 가진 일부 단어에서도 나타날 수 있지만, 낮은 음조의 모든 단어가 거친 목소리를 동반하는 것은 아니며, 최소 대립쌍이 없어 구별되는 특징으로 보이지 않으므로 Gerlach (2015)는 이를 음운론적인 것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모음 /o/는 단어 끝의 /m/ 앞에서 [oa]와 같은 이중모음으로 발음되기도 하지만(예: 'Com' 형태의 단어), 단일 음조만을 가지므로 단일 모음 /o/의 변이음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이중모음화는 세 방언 모두에서 나타나며, ǂʼAmkoe 언어가 ǀGui 언어에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Gruber (1973)를 기반으로 한 Honken (2013)에 따르면, ǂHȍã 방언의 모음은 /a e i o u/이며, 모달(일반적인) 발성, 거친 목소리, 후두화 또는 인두화될 수 있고, 이 모든 모음은 비음화될 수도 있다.
CVV(자음-모음-모음) 형태의 단어에서 나타나는 모음 연속(모음 음질만 고려)은 aa, ee, ii, oo, uu, ai, ui, eo, oa, ua이다. 기본적으로 첫 번째 모음(V1)은 /a/ 또는 /o/인 경우가 많다. /o/는 뒤따르는 모음(V2)이 고모음(/i/, /u/)일 때 /u/가 되고, /a/는 첫 번째 자음(C1)이 치음 또는 구개음이거나 두 번째 모음(V2)이 고모음일 때 /e/ 또는 /i/가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패턴 역시 ǀGui 언어의 영향을 받았을 수 있다 (Honken 2013).
5. 2. 성조
ǂʼ암코이어의 성조는 인접한 자음과 모음 발성의 음향학적 특징에 영향을 받는다. Nǃaqriaxe 방언의 경우, 게를라흐(Gerlach, 2015)는 저(L), 중(M), 고(H)의 세 가지 음소 성조가 있다고 분석했다. CVV(자음-모음-모음) 또는 CVN(자음-모음-비음) 형태의 단음절 단어는 두 개의 성조를 가진다. CV.CV(자음-모음.자음-모음) 형태의 이음절 단어에서는 여섯 가지 성조 조합(L.L, M.M, H.H, L.M, M.H, M.L)이 발견된다. 단어 중간에 오는 성조는 중간 성조이거나 인접 성조 사이에서 오르내릴 수 있지만, L.H와 H.L 조합은 나타나지 않으며 하강하는 성조는 M.L뿐이다. 게를라흐의 자료에 따르면 모든 음절 끝의 성조는 하강하는데, 이는 문장 끝의 운율 때문일 수 있다.이러한 성조 체계는 Gǀui어와 매우 유사하다. 하지만 게를라흐의 분석은 Gǀui어보다 ǂʼ암코이어를 더 많이 사용하지만 Gǀui어에는 없는 ǂʼ암코이어 자음을 발음하지 못하는 한 명의 화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이 결과가 ǂʼ암코이어 전체를 대표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음소적으로 상승하는 성조로 분석된 것은 실제 발음에서는 하강했다가 상승하는 소리로 나타난다. 유성 자음과 기음 자음 뒤에서는 성조 저하 현상이 나타나는데, 무기음이나 성문 자음 뒤에서는 고성조가 중성조 수준으로, 중성조가 저성조 수준으로 떨어진다. (그러나 저성조에서 중성조로 변하는 성조의 끝점은 변하지 않아, 실제로는 저성조에서 고성조로 변하는 것처럼 들린다.) 기음 자음, 특히 지연 기음 흡착음은 성조 시작 부분에 추가적인 억제 효과를 주어 음성적으로 상승하는 소리를 만든다. 그러나 이 윤곽은 음소적으로 상승하는 성조처럼 끝부분이 급격히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시작 부분이 급격히 상승하는 형태를 보인다.
콜린스(Collins, 2012)는 ǂHȍã 방언에 대해 초고, 고-중(고 수준), 중-저(중 수준), 고-저, 저-중, 저 수준의 여섯 가지 단어 성조를 설명했다. 초고 성조는 주로 고모음 /i u/에서 나타나며, 이는 주변 소리에 영향을 받아 피치가 높아지는 동위음적 효과로 보인다. 저 수준 성조는 성조 저하 효과를 일으키는 유성 자음 뒤에서 나타난다. 콜린스가 분석 과정에서 단어 시작 자음의 영향을 완전히 통제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그의 설명은 Nǃaqriaxe 방언에 대한 게를라흐의 설명과 일치할 수 있다.
5. 3. 자음
게를라흐(Gerlach, 2012)는 Nǃaqriaxe 방언에서 화자에 따라 다른 자음 목록이 존재한다고 보고했다.[7] 이웃한 Gǀui어 및 이전 기록과 유사한 더 작은 자음 목록은 ǂʼ암코이어보다 Gǀui어를 더 많이 사용하는 화자를 포함한 대부분의 화자가 사용한다. 반면, 관련 언어인 주어족 언어의 자음과 유사한 더 큰 목록은 일부 화자에게서 나타나며, 이는 아마도 원시 Kxʼa어에서 유래했으나 언어 쇠퇴 과정에서 Gǀui어의 영향으로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추가 자음은 아래 표에서 음영 처리되어 표시되었다. 유사한 자음이 이웃한 Taa어에서도 발견되는데, 이것이 원시 Tuu어에서 유래했는지, 더 이른 시기의 언어 접촉 결과인지, 혹은 Taa어가 ǂʼ암코이어에서 차용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7]어휘의 단어 시작 위치(C1)에서 발견되는 비클릭 자음은 다음과 같다. 괄호 안의 자음은 주로 차용어에서 발견되며, 음영 처리된 배경의 자음은 게를라흐(Gerlach, 2015)가 보수적인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고 보는 화자에게서만 나타난다.[7]
| colspan="3" | | 순음 | 치경음 | 권설음 | 구개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 비음 | (m) | (n) | ɲ (드묾) | |||||||
| 파열음/파찰음 | 유성음 | b (드묾) | (d) | dz | dʒ | ɟ | ɡ | ᶰɢ (드묾) | ||
| 무성음 | (p) | (t) | ts | tʃ | c | k | q | ʔ (삽입?) | ||
| 유기음 | 무성음 | (pʰ) | (tʰ) | tsʰ | tʃʰ | cʰ | kʰ | qʰ | ||
| 유성음 (보수적 화자) | dzʰ | |||||||||
| 방출음 | 무성음 | tsʼ | tʃʼ | cʼ (드묾) | kʼ (드묾) | qχʼ | ||||
| 유성음 (보수적 화자) | dzʼ | ɡʼ | ɢʁʼ | |||||||
| 구개수화 | 무성음 | (tsᵡ)? | (tʃᵡ)? | (cᵡ)? | ||||||
| tsqχʼ | tʃqχʼ | cqχʼ | ||||||||
| 유성음 (보수적 화자) | dzqχʼ | |||||||||
| 마찰음 | s | (χ)? | (h) | |||||||
| 접근음 | (w) | (ɾ) (l) | ||||||||
음영 처리된 자음들은 유성 상태를 유지하다가 무성으로 방출되는 특징을 가지며, 음성적으로는 [dsʰ, dsʼ, ɡkʼ, ɢχʼ, dsqχʼ] 등으로 실현될 수 있다. 게를라흐(Gerlach, 2015)는 이러한 조음 변화를 음소적인 유성음화가 아닌, 방출 특성에서 비롯된 음성학적 세부 사항으로 분석한다.[7] 권설 파찰음 계열(/tʃ/ 등)은 Nǃaqriaxe 방언에서 치경 파찰음 계열(/ts/ 등)과 합쳐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Nǃaqriaxe 방언에서 사라진 과거의 구별일 수 있다. 실제로 발음될 때는 화자나 위치에 따라 치경구개음([tɕ] 등)으로 실현되기도 한다.[7] /χ, tsχ, cχ/ 등은 Gǀui어에서 들어온 차용어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Sasi 방언은 ǂHoan 및 Nǃaqriaxe 방언의 /qχʼ/ 대신 /qʼ/를 가지는 경향이 있으나, Sasi 방언의 /qʼ/ 역시 때때로 약간의 마찰음을 동반한다. Gruber(1975)는 ǂHoan 방언의 일부 단어에서 대조적인 /qʼ/를 보고했지만, Nǃaqriaxe 방언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언어 간 비교를 통해 /qʼ/와 /qχʼ/가 동일한 음소일 가능성이 제기된다.[7]
유성 치경 파찰음 /dz/는 종종 마찰음 [z] 또는 그보다 더 뒤쪽에서 조음되는 소리로 실현된다. 구개음 /c/와 /ɟ/는 약간의 마찰음적 방출([cᶜ̧] 또는 [kᶜ̧] 등)을 가지며, 유기음 /cʰ/는 주로 마찰음의 길이가 /c/보다 길다는 점에서 구별된다. 구개수음 /q/([qᵡ]) 역시 마찰음적 요소()를 동반하는 경우가 있으며, /qχʼ/는 /qʼ/로 분석될 수도 있다. 때로는 설측음 /q𝼄ʼ/으로 발음되기도 하지만, Gǀui어에서만큼 흔하지는 않다.[7] 연구개 파열음 /k/는 차용어를 제외하면 어휘 단어에서는 드물게 나타나지만, 빈도가 높은 일부 문법 형태소에서는 발견된다. 연구개 마찰음 /χ/는 드물며 차용어에 국한될 가능성이 있다. 성문 파열음 [ʔ]은 음소라기보다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음절 앞에 삽입되는 소리로 분석될 수 있다.[7]
단어 중간 위치(C2)에서 발견되는 자음은 /b/(종종 [β]로 실현), /m, n, ɾ/이다. 한 단어에서 중간 위치에 나타나는 [w]의 음소적 지위는 불분명하다. 연구개 비음 /ŋ/은 드물며 몇몇 차용어의 단어 마지막 위치에서 발견된다. 추가적으로, 접근음 /j/는 일부 문법 표지의 첫 자음으로 나타난다.[7]
ǂHȍã 방언에서 두드러지는 구개음 계열은 역사적으로 치경 자음에서 발달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Gǀui어에서 비롯된 지역적 영향으로 추정되며, 방언에 따라 구개음화의 정도가 다르다. Sisa 방언에서는 구개음화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고(/n d t tʰ tʼ tχ tqχʼ/), Nǃaqriaxe 방언에서는 대부분의 치경 자음이 구개음화되었으며(/ɲ ɟ c cʰ cʼ tχ tqχʼ/), ǂHoan 방언에서는 완전한 구개음화가 나타났다(/ɲ ɟ c cʰ cʼ cχ cqχʼ/). /n/ > /ɲ/의 변화는 어휘 단어에서만 일어나며, 문법 단어에서는 /n/만 발견된다.[7]
성문 마찰음 /h/는 종종 유성음화되어 중얼거리는 소리 [ɦ]로 실현되며, 뒤따르는 모음에 "흡수"되는 것처럼 묘사되기도 한다.[7]
5. 3. 1. 클릭음
ǂʼ암코이어는 이전에 분류되었던 투어족 언어처럼, 양순, 치, 설측, 치경, 경구개의 5가지 흡착음 유형을 가지고 있다. 화자에 따라 14개에서 19개의 "수반음"(조음 방법, 발성, 음조의 조합)이 있다. 이러한 차이는 파열음이 아닌 자음에서와 마찬가지로, 화자가 주어족(Ju languages)과 타아족(Taa language) 언어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사전 유성 파열음을 유지하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그 결과 68개에서 77개의 클릭 자음이 존재한다. (이론적으로는 70개에서 95개일 수도 있는데, 이는 Gerlach 2012에서 확인되지 않았던 여러 파열음이 이후 우연적 공백으로 밝혀졌고, 아래 표의 일부 빈칸 역시 우연적 공백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전 유성 파열음은 데이터가 부족한 단일 화자에게서만 확인되었고, 지연 기음 계열은 ǂ호안 방언에서 보고되지 않았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Gerlach (2015)는 Nǃaqriaxe 방언과 ǂHoan 방언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클릭 자음 음소 목록을 제시한다.| 조음 방법 및 발성 | 시끄러운(noisy) 클릭 | 날카로운(sharp) 클릭 | |||
|---|---|---|---|---|---|
| 양순 | 치 | 설측 | 치경 | 경구개 | |
| 유성 비음 | ᵑʘ | ᵑǀ | ᵑǁ | ᵑǃ | ᵑǂ |
| 성문음화된 유성 비음 | ˀᵑʘ | ˀᵑǀ | ˀᵑǁ | ˀᵑǃ | ˀᵑǂ |
| 유성 구강음 | ᶢʘ | ᶢǀ | ᶢǁ | ᶢǃ | ᶢǂ |
| 무성 구강음 | ᵏʘ | ᵏǀ | ᵏǁ | ᵏǃ | ᵏǂ |
| 유기음화된 구강음 | ᵏʘʰ | ᵏǀʰ | ᵏǁʰ | ᵏǃʰ | ᵏǂʰ |
| 유성 유기음화된 구강음 | ᶢǀʰ | ᶢǁʰ | |||
| 방출음 | ʘᵏʼ | ǀᵏʼ | ǁᵏʼ | ǃᵏʼ | ǂᵏʼ |
| 유성 방출음 | ᶢʘᵏʼ | ᶢǀᵏʼ | ᶢǃᵏʼ | ||
| 성문음화된 (모음 간 비음화) | ᵑʘˀ | ᵑǀˀ | ᵑǁˀ | ᵑǃˀ | ᵑǂˀ |
| 지연 유기음 (모음 간 비음화) | ᵑǁʰ𐞁 | ᵑǃʰ𐞁 | ᵑǂʰ𐞁 | ||
| 구개수 동시 조음 | |||||
| 무성 | ʘq | ǀq | ǁq | ǃq | ǂq |
| 유성 (산발적 비음화) | ᶰᶢʘq | ᶰᶢǀq | ᶰᶢǁq | ᶰᶢǃq | ᶰᶢǂq |
| 유기음화 | ʘqʰ | ǀqʰ | ǁqʰ | ǃqʰ | ǂqʰ |
| 유성 유기음화 | ᶢǀqʰ | ||||
| 방출음 | ʘqʼ | ǀqʼ | ǁqʼ | ǃqʼ | ǂqʼ |
| 유성 방출음 | ᶢǀqʼ | ᶢǁqʼ | |||
| 파찰음 | (ʘχ)? | (ǀχ)? | (ǁχ)? | (ǃχ)? | (ǂχ)? |
| 방출 파찰음 | ʘqχʼ | ǀqχʼ | ǁqχʼ | ǃqχʼ | ǂqχʼ |
| 유성 방출 파찰음 | ᶢʘqχʼ | ᶢǁqχʼ | ᶢǂqχʼ | ||
성문음화 클릭과 방출 클릭의 구별은 Gǀui어에서 발견되는 것과 유사하다. 거의 최소 대립쌍에 가까운 예시는 ǁʼòò '따뜻한', ᵑǁˀōō '단단한', ǁqʼòò '악취가 난다'이다. ǂHoan 방언에서는 보고되지 않았지만, 이는 간과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방출 클릭은 모음 사이에서 비음화되지 않지만, 성문음화된 클릭과 지연 유기음 클릭은 비음화된다. 유성 구개수 동시 조음 클릭의 발성은 가변적이다. 이 클릭들은 어두 위치에서도 산발적으로 비음화되는데, 많은 연구자들은 이것이 발성 유지가 어렵기 때문이라고 본다.
위의 /χ/ 등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클릭 파찰음 /ʘχ, ǀχ, ǁχ, ǃχ, ǂχ/는 Gǀui어 차용어에서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무성 유기음 클릭의 경우, 기음은 유기음 중간([ǃʰʱ])에서 시작되므로, 성대 진동 시작 시간(VOT)이 성문음화 클릭만큼 길지 않다. 유성 유기음 클릭의 경우, 유기음은 일반적으로 전체적으로 유성음이지만, 클릭의 조음 유지(hold) 단계에서 유성성이 감소하고 파열(release) 자체는 유성 클릭의 파열과 달리 무성이다. (즉, 이들은 '사전 유성 유기음 클릭'으로 더 잘 설명될 수 있다.) 지연 유기음 클릭의 경우, 유기음이 매우 길며 약하게 시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강도가 증가한다(강하게 시작하여 강도가 감소하는 단순 유기음 클릭의 유기음과는 대조적이다). 이 클릭이 구(phrase)의 처음에 오면, 조음 유지나 유기음 단계에서 유성음이 아니다. 그러나 모음 뒤에 오면, 조음 유지 단계 동안 완전히 비음화되었다가 파열 직전에 끝나며, 파열 단계와 유기음 전체에 걸쳐 유성음이 지속된다: [ǃ˭ʰ] 대 [ŋ͡nǃ̬ʱʱ]. 사전 성문음화 클릭은 일반 비음 클릭보다 선행 유성성(pre-voicing)이 훨씬 짧으며, 때로는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이다.
5. 4. 음소 배열
일반적으로 어휘 단어는 CVV(Nǃaqriaxe 방언에서 69%), CVN(8%), 또는 CVCV(22%, 종종 Gǀui에서 차용) 형태를 가지며, 두 개의 음절을 갖는다. 단어의 1%만이 CVCVCV, CVVCV, CVVVCV, 및 기타 복잡한 패턴을 가진다. CVN 구조에서 마지막 비음(N)은 고유 단어에서는 /m/만 가능하지만, 차용어에서는 /n/도 나타난다. Gerlach(2015)는 CVV와 CVN 패턴이 역사적으로 *CVCV 구조에서 두 번째 자음(C2, 예를 들어 관련 언어의 중간 /l/)이나 두 번째 모음(V2)이 모든 경우에 탈락하면서 파생되었다고 본다.어휘 단어에서 대부분의 자음은 첫 번째 자음(C1) 위치에 올 수 있지만, 두 번째 자음(C2) 위치에는 /b, m, n, r/만이 올 수 있다. 이때 /ɾ/는 [d] 또는 [l]로, /b/는 [β]로 실현될 수 있다. 일부 단어는 세 번째 자음(C3)을 가지는 CVCVCV 또는 CVVCV 구조를 보이기도 한다. 이때 C3 위치에는 /b, m, r, l, k, q, ts, s/가 올 수 있으며, 이는 화석화된 접미사일 가능성이 있다. /w/는 '가방'을 뜻하는 /kawa/라는 단어에서 C2로 나타나는 유일한 예시로 보이지만, 이 분석은 불확실하다. 이 단어는 CVVV 구조를 가진 /kaua/일 수도 있고, 차용어일 가능성도 있다. 반대로 /m, n, ɾ/는 차용어를 제외하고는 C1 위치에 나타나지 않는다. 단어 첫머리의 /ɾ/는 차용된 언어에서 전설음일 경우 전설음 [r]로 발음될 수 있다. /b/는 몇몇 고유 단어에서만 C1 위치에 나타나며, /ɲ/ (C1 위치에만 나타남)는 드물게 사용된다. 단어 끝의 /ŋ/은 차용어에서만 발견된다. /j/는 일부 화자가 /ɲ/를 실현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어휘 단어에 나타나지 않는다. 적어도 /χ, l, k, s, c/는 차용어에서 C2 위치에 나타날 수 있다.
문법 단어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CV이며, 때로는 CVV(보통 빠른 말에서는 CV로 줄어듦) 또는 비음 하나(N, /m/ 또는 /n/)인 경우도 있다. 문법 단어에 나타나는 자음은 /ʔ, j, w, m, n, k, q, s, h, ᵑǀ, ᵑǃ, ˀᵑǁ, ǀʰ, ǁ/이다. 이 중 /j, w, m, n/은 어휘 단어의 C1 위치에 나타나지 않으며, /ʔ, k/는 드물다. 따라서 어떤 자음이 오느냐에 따라 어휘 단어인지 문법 단어인지 구분되는 경향이 강하다. (다만 /w/는 [β]로 실현될 수 있어 음소적으로 /b/일 가능성도 있다.) 문법 단어에서 흡착음(클릭음)은 주로 CVV 및 CVq(인두음화된 모음이 뒤따르는) 음절에서 발견되지만, 복수 접미사 -/ᵑǀe/와 같은 예외도 있다. /h/는 때때로 접미사에서 인두음 [ħ]으로 실현되기도 한다.
6. 문법
ǂʼ암코이어는 주어-동사-목적어(SVO) 어순을 따른다. 이는 크사어와 투어 언어군에서도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Collins 2001, 2002, 2003 참조). 장소를 나타낼 때는 명사 뒤에 후치사를 사용하며(Collins 2001 참조), 소유격 표현에서는 소유자가 중심 명사 앞에 온다.
ǂʼ암코이어 문법은 크사어 및 투어 언어들과 여러 공통된 특징을 공유한다. 첫째, 명사의 복수 형태와 동사의 다발성을 나타내는 복잡한 체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동사 복합어 체계가 존재한다. 셋째, 동사 뒤에 오는 문장 성분들 사이에 흔히 사용되는 전치사가 있다(Collins 2003에서는 이를 "연결사"라고 부른다).
참조
[1]
문서
Gerlach (2015: 14–15)
[2]
간행물
"The Kxʼa Family"
[3]
문서
Collins (1998)
[4]
문서
Collins (2013)
[5]
서적
'Hunters and herders of southern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문서
"The Representation of Clicks"
[7]
문서
"Two speakers, two systems: phonetic or phonological variation in ǂHoan"
[8]
서적
Nǃaqriaxe: The Phonology of an Endangered Language of Botswana.
https://www.isdistri[...]
Harrassowitz Verlag
2019-09-19
[9]
저널
Phonetic and phonological description of the Nǃaqriaxe variety of ǂʼAmkoe and the impact of language contact
https://buecher-bess[...]
2019-09-19
[10]
서적
Beyond 'Khoisan': Historical Relations in the Kalahari Basi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19-09-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