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OHV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HV(Overhead Valve) 엔진은 캠축이 실린더 옆에 위치하고 푸시로드와 로커 암을 사용하여 밸브를 작동시키는 방식의 내연 기관이다. 1894년 디젤 엔진 프로토타입에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1904년 데이비드 던바 뷰익이 OHV 엔진을 개발하고 뷰익 모델 B에 탑재하면서 양산되었다. OHV 엔진은 캠인블록 설계로 크기가 작고, 캠축 구동 시스템이 간단하며, V형 엔진에서 실린더 헤드 주물을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밸브 트레인 부품의 관성으로 인해 고속 회전에 취약하고, 밸브 수 및 위치에 제약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OHV 엔진은 항공기, 일부 자동차, 모터스포츠, 오토바이, 범용 엔진 등에 사용되었으며, 특히 항공기 엔진이나 저회전 고토크를 요구하는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엔진 - 실린더 헤드
    실린더 헤드는 내연기관의 연소실을 밀폐하고 밸브와 점화 플러그 등을 지지하며, 연소실 형상과 흡배기 포트 설계는 엔진 성능에 영향을 주고 냉각 시스템으로 열을 제거하며, 밸브 트레인 구성 방식에 따라 구조와 작동 방식이 달라지고 재료는 주철에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변화해왔으며 엔진 형식에 따라 개수가 달라지는 엔진의 핵심 부품이다.
  • 엔진 - 제트 엔진
    제트 엔진은 가스 터빈을 사용하여 추력을 얻는 항공기 추진 시스템으로, 터보제트 엔진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연료 효율과 소음 감소를 위한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 자동차 기술 - 실린더 헤드
    실린더 헤드는 내연기관의 연소실을 밀폐하고 밸브와 점화 플러그 등을 지지하며, 연소실 형상과 흡배기 포트 설계는 엔진 성능에 영향을 주고 냉각 시스템으로 열을 제거하며, 밸브 트레인 구성 방식에 따라 구조와 작동 방식이 달라지고 재료는 주철에서 알루미늄 합금으로 변화해왔으며 엔진 형식에 따라 개수가 달라지는 엔진의 핵심 부품이다.
  • 자동차 기술 - 수소 자동차
    수소 자동차는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자동차를 통칭하며, 연료전지 자동차와 수소 내연기관 자동차로 나뉘지만, 높은 생산 비용, 수소 충전 인프라 부족, 수소 생산 과정의 탄소 배출 문제와 전기 자동차와의 경쟁으로 대중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OHV
개요
종류피스톤 엔진의 밸브 트레인 설계 방식
상세 정보
특징밸브가 실린더 헤드 위에 위치
푸시로드와 로커 암을 사용하여 캠축의 움직임을 밸브로 전달

2. 역사

OHV 엔진의 초기 형태는 증기 기관을 기반으로 한 슬라이드 밸브를 사용한 내연 기관이었다.[2] 1876년에 처음 성공적으로 작동된 최초의 오토 엔진도 이러한 형태였다. 이후 내연 기관이 증기 기관과 별도로 개발되면서 포핏 밸브가 점점 더 흔해졌다.

1885년 다임러 라이트바겐은 실린더 헤드에 흡기 밸브를 배치했지만, 캠샤프트가 아닌 진공 작동식("대기압")이었다. 배기 밸브는 캠샤프트로 구동되었지만, 사이드 밸브 엔진처럼 엔진 블록에 위치했다.

OHV는 사이드 밸브 방식보다 연소실을 작게 만들 수 있어 유리하다. 연소실 표면적이 작아져 헤드로 방출되는 열이 적고, 노킹을 잘 일으키지 않는 연소실 형상으로 만들기 쉬우며, 압축비를 높여 열효율과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OHV는 왕복운동 부품이 많고, 특히 푸시로드 중량 때문에 고회전 시 밸브 점프나 밸브 서징이 발생하기 쉬워 엔진 허용 회전수를 높이기 어렵다. 그러나 비행기나 선박 등에서는 프로펠러 회전수에 제한이 있고 내구성과 신뢰성이 중요해 OHV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자동차용 소형 엔진의 경우, 부품 수 감소 및 경량화 측면에서 OHC가 유리하여 중형 이상에서만 OHV를 볼 수 있게 되었다.

2. 1. 초기 개발

1894년 디젤 엔진 프로토타입은 캠샤프트, 푸시로드 및 로커 암에 의해 작동되는 오버헤드 포핏 밸브를 사용해 최초의 OHV 엔진이 되었다.[3][4] 1896년 윌리엄 F. 데이비스는 실린더 헤드를 냉각하는 데 사용되는 액체 냉각제가 있는 OHV 엔진에 대해 미국 특허 563,140을 받았지만[5][6], 작동 모델은 제작되지 않았다.

2. 2. 뷰익의 역할

데이비드 던바 뷰익은 이전의 사이드 밸브나 슬라이브 밸브 대신 최초의 OHV 엔진을 개발했다.[7] 1899년부터 1902년까지 뷰익에서 근무하며 오버헤드 밸브 엔진 설계를 개선했고,[8] 1904년 뷰익 모델 B에 세계 최초의 양산 OHV 엔진이 탑재되었다. 이 엔진은 실린더당 2개의 밸브가 있는 플랫 트윈 엔진 디자인이었다. 뷰익은 이 엔진을 장착한 자동차를 1905년에 750대 판매하는 등 대량 생산하며 OHV 엔진 상용화에 기여했다.[11]

2. 3. 확산과 쇠퇴

1910년대 이후 여러 자동차 제조사들이 OHV 엔진을 채택하기 시작했다. 쉐보레는 1911년부터 OHV 엔진을 거의 독점적으로 사용했다.[11] 1950년대 중후반까지 미국에서 플랫헤드 엔진이 널리 사용되었으나, 이후 OHV 엔진으로 점차 대체되었다.[12]

1990년대 이후, 연비 및 배기가스 규제 강화로 인해 승용차에서는 OHC 엔진이 주류가 되었다. 그러나 1994년 인디애나폴리스 500 모터 레이스에서 팀 펜스케는 자체 제작한 메르세데스-벤츠 500I 푸시로드 엔진을 장착한 차량으로 출전하여 규정의 허점을 이용, 더 큰 배기량과 높은 과급 압력을 사용하여 OHC 엔진에 비해 크게 증가된 출력으로 폴 포지션을 차지하고 큰 격차로 레이스에서 우승했다.

21세기 초, 제너럴 모터스(General Motors)와 크라이슬러(Chrysler)의 여러 푸시로드 V8 엔진은 연료 소비와 배기 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가변 실린더 제어를 사용했다. 2008년에는 Dodge Viper (4세대)에 가변 밸브 타이밍을 사용하는 최초의 양산 푸시로드 엔진이 도입되었다.[15]

3. 구조

OHV 엔진은 캠샤프트가 실린더 블록 내부에 위치하는 캠인블록(cam-in-block) 설계를 채택하여, OHC 엔진에 비해 전체 크기가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특히 V형 엔진에서는 무게 중심과 후드 높이를 낮추는 데 유리하다.[16] 또한, V형 OHV 엔진은 두 실린더 뱅크에 동일한 실린더 헤드 주물을 사용할 수 있어, 제너럴 모터스 LS 기반 스몰 블록 엔진과 같이 부품 호환성을 높일 수 있다.

캠축 구동 시스템은 OHC 엔진보다 단순하다.[16] OHC 엔진은 타이밍 벨트나 체인을 사용하여 캠축을 구동하고 텐셔너를 필요로 하는 반면, OHV 엔진은 캠축이 크랭크축에 가깝게 위치하여 짧은 체인이나 기어로 구동된다.

윤활 시스템 역시 간단하다. OHV 엔진은 실린더 헤드에 윤활이 필요한 부분이 로커 암, 트러니언, 로커 팁 정도로, 중공 푸시로드를 통해 윤활유를 공급받는다. 따라서 별도의 윤활 시스템이 필요하지 않고, 더 작고 용량이 작은 오일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긴 푸시로드는 관성 질량과 열팽창에 의한 치수 변화, 구동 시의 탄성 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캠축을 높은 위치에 배치하여 푸시로드를 짧게 만든 하이 캠축 방식이 사용되기도 한다.[20] 하이 캠축 방식은 롤러 체인 등으로 캠축을 구동하며, 밸브 계통의 왕복 관성 중량이 SOHC 엔진에 비해 크지 않다. 또한, 헤드 바로 위에 캠축이 없어 DOHC 엔진처럼 중앙 점화 플러그와 이상적인 밸브 배치를 할 수 있다. 엔진 하부의 실린더 블록 내에 캠을 배치하는 구조 덕분에 소음 면에서도 OHC보다 유리한 경우가 많다.

SV 엔진을 OHV 엔진으로 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흡배기 포트와 동력 밸브 기구를 가진 헤드로 교체하고, 사이드 밸브가 통과하던 부분에 푸시로드를 설치하면 된다. 초기 OHV 엔진 중에는 SV 엔진을 기반으로 한 경우가 있었으며, SV 엔진을 OHV 엔진으로 개조하는 키트도 존재한다.

한편, 흡기 밸브는 OHV, 배기 밸브는 SV인 IOE(intake/inlet over exhaust) 엔진도 존재했다. IOE 엔진은 윌리스 시대의 지프할리데이비슨 등에서 볼 수 있으며, 미국에서는 "F 헤드", 일본에서는 "F두식"[19]이라고 불린다. 자동차모터사이클에서는 OHV의 등장으로 쇠퇴했지만, 범용 석유 발동기에서는 그 후에도 많이 사용되었다. 반대로 흡기 밸브가 SV, 배기 밸브가 OHV인 EOI(Exhaust over intake) 엔진도 있었다.

3. 1. 작동 원리

캠샤프트가 실린더 블록 쪽에 위치하고, 푸시 로드라고 불리는 긴 막대를 통해 로커 암을 밀어 올려 밸브를 개폐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푸시 로드 엔진'''이라고도 불린다. 최초의 OHV 엔진은 스코틀랜드미국인인 데이비드 던바 뷰익에 의해 개발되었다. 그 이전의 내연 기관의 밸브 기구에는 사이드 밸브 (SV)나 슬라이드 밸브가 사용되었다.

모터사이클용 OHV 엔진


OHV엔진의 푸시로드 기구


V8 엔진 (흡기 매니폴드 제거), 캠축, 푸시로드 및 로커 암 표시


사이드 밸브 방식에 비해 OHV가 유리한 점은 밸브 개구부를 실린더 보어 내에 배치하여 연소실을 작게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OHV는 SV에 비해 연소실의 표면적이 작아져 헤드로 빠져나가는 열이 적어지고, 노킹을 일으키기 어려운 연소실 형상으로 만들기 쉽고 압축비도 높게 할 수 있어, 더욱 열효율을 높여 출력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OHV는 왕복운동하는 부품이 많으며, 특히 푸시로드의 중량이 고회전시 밸브의 추종성을 악화시키는 밸브 점프, 왕복운동 기구의 공진에 의한 밸브 서징이 발생하기 쉬워 엔진의 허용 회전수를 올리기 어렵다. 그러나 자동차용 등의 소형 엔진의 경우 부품 수 삭감이나 경량화 측면에서 OHC가 유리하기 때문에, OHV는 중형 이상에서만 볼 수 있게 되었다.

OHC 엔진과 비교하여 OHV 엔진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장점이 있다.

  • '''전반적인 크기 감소:''' OHV 엔진의 캠인블록 설계는 동일한 OHC 엔진에 비해 전체 크기를 줄여 V형 엔진 설계에서 무게 중심과 후드 높이에 이점을 줄 수 있다.[16]
  • '''더 간단한 캠축 구동 시스템:''' OHV 엔진은 OHC 엔진보다 캠축 구동 시스템이 덜 복잡하다.[16]
  • '''더 간단한 윤활 시스템:''' OHV 실린더 헤드의 윤활 요구 사항은 훨씬 적다.


OHC 엔진과 비교하여 OHV 엔진은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 '''제한된 엔진 속도:''' OHV 엔진은 밸브 트레인에 더 많은 수의 움직이는 부품이 있어 고속 (RPM)에서 밸브 플로트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1]
  • '''밸브 수량 및 위치에 대한 제약:''' OHV 엔진에서 흡기 포트의 크기와 모양, 밸브의 위치는 푸시로드와 헤드 주물에 푸시로드를 수용해야 하는 필요성에 의해 제한된다.[17]

3. 2. 주요 부품

OHV영어 엔진의 주요 부품은 다음과 같다.

부품설명
캠샤프트실린더 블록 내부에 위치하며, 회전하면서 푸시로드를 밀어 올린다.
푸시로드캠샤프트의 움직임을 로커 암에 전달하는 긴 막대이다.
로커 암푸시로드의 움직임을 받아 밸브를 여닫는 역할을 한다.
밸브연소실의 흡기 및 배기 통로를 여닫는 부품이다.



캠축이 실린더 옆에 위치하여 푸시로드라 불리는 긴 봉을 통해 로커 암을 움직여 밸브를 여닫는다. 따라서 '''푸시로드 엔진'''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4. 장단점

OHV 엔진은 캠 샤프트가 실린더 옆에 위치하여, 푸시로드(pushrod)라는 긴 봉을 통해 로커 암을 움직여 밸브를 여닫는 방식이다. '푸시로드 엔진'이라고도 불린다. 최초의 OHV 엔진은 스코틀랜드계 미국인 데이비드 던바 뷰익(David Dunbar Buick)이 개발하였다.

OHV는 사이드 밸브 방식에 비해 연소실을 작게 만들 수 있어, 열효율과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소실 표면적이 작아져 열 손실이 줄고, 노킹을 억제하는 연소실 형상을 만들기 쉬우며, 압축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OHV는 왕복 운동하는 부품이 많고, 특히 푸시로드의 중량 때문에 고회전에서 밸브의 움직임이 불안정해지는 밸브 점프나 밸브 서징이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엔진의 허용 회전수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자동차용 소형 엔진에서는 부품 수 감소와 경량화에 유리한 OHC 방식이 주로 사용되며, OHV는 중형 이상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비행기나 선박 엔진에서는 정해진 회전수 이상으로 고속 회전할 필요가 없고, 내구성과 신뢰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OHV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1994년 인디애나폴리스 500에서 팀 펜스케는 자체 제작한 메르세데스-벤츠 500I 푸시로드 엔진을 장착한 차량으로 출전, 규정의 허점을 이용하여 더 큰 배기량과 높은 과급 압력으로 OHC 엔진에 비해 큰 출력을 얻었다.

21세기 초, 제너럴 모터스크라이슬러는 연료 소비와 배기 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가변 실린더 제어를 사용하는 푸시로드 V8 엔진을 개발했다. 2008년에는 Dodge Viper (4세대)에 가변 밸브 타이밍을 사용하는 최초의 양산 푸시로드 엔진이 도입되었다.[15]

한편, 흡기 밸브는 OHV, 배기 밸브는 SV인 IOE(intake/inlet over exhaust) 엔진도 존재했다. IOE 엔진은 윌리스 시대의 지프할리데이비슨 등에서 볼 수 있으며, 미국 등에서는 "F 헤드", 일본에서는 "F두식"[19]이라고 통칭된다.

4. 1. 장점

OHV 엔진은 OHC 엔진에 비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장점이 있다.

  • '''작은 크기:''' OHV 엔진의 캠인블록 설계는 엔진 전체 크기를 줄여 V형 엔진 설계에서 무게 중심과 후드 높이를 낮출 수 있다.[16]
  • '''간단한 캠샤프트 구동 시스템:''' OHC 엔진보다 캠샤프트 구동 시스템이 덜 복잡하다.[16] OHC 엔진은 타이밍 벨트, 체인 또는 여러 체인을 사용하여 캠축을 구동하며, 텐셔너가 필요하다. 반면, OHV 엔진은 캠축이 크랭크축에 가깝게 위치하여 짧은 체인이나 직접 기어 연결로 구동된다.
  • '''간단한 윤활 시스템:''' OHV 실린더 헤드는 윤활 요구 사항이 적다. 블록 내에 단일 캠축을 가지는 반면, OHC 엔진은 실린더 뱅크당 2개를 가질 수 있어 실린더 헤드를 통과하는 오일 통로가 필요하다. OHV 헤드는 푸시로드 끝단의 로커 암, 트러니언 및 로커 팁에 대한 윤활만 필요하며, 이는 중공 푸시로드 자체를 통해 제공된다. 따라서 더 작고 용량이 작은 오일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 '''실린더 헤드 주물 공유 (V형 엔진):''' V형 엔진 설계에서는 동일한 실린더 헤드 주물을 양쪽 뱅크에 사용할 수 있다. 제너럴 모터스 LS 기반 스몰 블록 엔진 제품군이 이러한 종류의 OHV V형 엔진의 예시이다.

4. 2. 단점

OHV 엔진은 OHC 엔진에 비해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 '''제한된 엔진 속도:''' OHV 엔진은 캠축 구동 시스템은 더 간단하지만, 밸브 트레인(리프터, 푸시로드, 로커 암)에 더 많은 수의 부품이 움직인다. 이러한 밸브 트레인 부품의 관성은 OHV 엔진을 고속(RPM)에서 밸브 플로트에 더 취약하게 만든다.[1]
  • '''밸브 수량 및 위치 제약:''' OHV 엔진에서 흡기 포트의 크기와 모양, 밸브의 위치는 푸시로드와 헤드 주물에 푸시로드를 수용해야 하는 필요성에 의해 제한된다. 결과적으로 OHV 엔진이 실린더당 2개 이상의 밸브를 갖는 경우는 드물지만, OHC 엔진은 종종 4개를 갖추어 더 높은 연소율과 배기를 가능하게 한다.[17]

5. 사용 예

OHV 엔진은 비행기선박에 사용되는 왕복 엔진에서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프로펠러를 정해진 회전수보다 고속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고, 내구성과 신뢰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22] 이는 사용 회전 영역이 낮은 디젤 엔진에도 해당된다.

자동차디젤 엔진 중 소형 엔진은 가솔린 엔진과의 설계 공통화가 진행되면서, OHC가 유리하여 OHV는 도태되었다.[22] 반면 트럭·버스용 중형 및 대형 엔진 중 일부는 OHV 기구를 유지하면서도, 자동차 배출 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23], 4밸브화 되기도 하였다.[24]

모터스포츠에서는 NASCAR에서 참가 차량의 엔진을 OHV로 한정하고 있다.[33]

오토바이의 경우 할리데이비슨1936년 너클 헤드 엔진 이후 전통적으로 OHV 형식의 공랭 V형 2기통 엔진을 계속 탑재해왔다.

OHV는 구조가 단순하여 정비가 용이하고, 경량·컴팩트하다는 이점이 있어, 4행정 엔진에 의한 자가발전기, 펌프, 농경용 등의 범용 엔진과 같이 자동차 이외의 용도에서는 주역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22]

5. 1. 항공기 엔진

항공기용 엔진에 요구되는 성능은 중저 회전수 영역에서의 높은 토크이다. 이는 프로펠러의 경우, 끝단이 음속에 도달하면 충격파로 인한 효율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엔진의 회전을 프로펠러에 전달할 때 변속기를 사용하여 회전수를 일정 이하로 억제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엔진 회전수가 높으면 변속기도 대형이 되어 효율이 나쁘다. 따라서 고속 회전 영역에서의 OHV 특유의 문제는 발생할 수 없다.

OHV는 왕복 운동하는 부품이 많고, 특히 푸시 로드의 무게로 인해 고회전 시 포핏 밸브의 추종성을 악화시키는 밸브 점프나, 왕복 운동 기구의 공진에 의한 밸브 서징이 발생하기 쉬워 엔진의 허용 회전수를 높이기 어렵다. 그러나 비행기선박에 사용되는 왕복 엔진에서는 프로펠러를 정해진 회전수보다 고속으로 회전시킬 필요가 없는 데다, 내구성과 신뢰성이 뛰어나 OHV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22]

공랭 엔진에서는 실린더가 직렬로 배치되는 경우는 드물며, 특히 성형 엔진의 경우에는 OHC에 의한 밸브 구동은 기통 수와 동일한 수의 캠축과 그 구동계를 배치하게 되므로 설계상 현실적이지 않다.

5. 2. 자동차

OHV는 왕복 운동하는 부품이 많고, 특히 푸시 로드의 무게 때문에 고회전 시 포핏 밸브의 추종성을 악화시키는 밸브 점프나, 왕복 운동 기구의 공진에 의한 밸브 서징이 발생하기 쉬워 엔진의 허용 회전수를 높이기 어렵다.

자동차디젤 엔진 중 소형 엔진은 가솔린 엔진과의 설계 공통화가 진행되면서, 부품 수 감소나 경량화, 연비 측면에서 OHC가 유리하여 OHV는 도태되었다[22]. 트럭·버스용 중배기량, 및 대배기량 엔진의 일부에는 OHV 기구를 유지하면서도, 엄격해지는 자동차 배출 가스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23], 4밸브화된 것도 있다[24].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제조된 승용차 엔진에는 OHV가 많이 채용되었다. 동일 차종에 여러 등급을 설정하는 경우, 상위 등급에는 SOHC 혹은 DOHC를, 하위 등급에는 OHV를 채용함으로써 차별화를 꾀했다. 혼다 및 스즈키는 사륜차에 OHV를 일절 채용하지 않았다.[25]

1990년대 이후, LPG 자동차를 포함한 일부 토요타상용차를 제외하고 OHV는 거의 채용되지 않게 되었고, 포핏 밸브를 가지지 않는 로터리 엔진을 제외하고는 모두 SOHC 혹은 DOHC로 대체되었다.

오버홀이나 리빌드가 쉽고, 특히 이륜차나 디젤 엔진을 포함한 범용 OHV 엔진 전반에서는 타이밍 체인이 없어[27] 정비가 용이하다. 일본의 승용차에서 마지막까지 OHV를 채용한 차종은 일반 판매차에서는 가솔린차는 토요타 타운 에이스 왜건/라이트 에이스 왜건, 디젤차는 다이하츠 라거였으며, 그 외에는 2008년 7월 이전 모델까지 존재했던 3Y-PE형 LPG 엔진을 탑재한 토요타 크라운 세단/크라운 컴포트/토요타 컴포트이다.

5. 2. 1. 미국

미국 자동차에서 OHV 엔진은 비용 절감 추세에 따라 점차 줄어들고 있지만, 픽업트럭 우대 세제와 엔진 튜닝의 용이성, 특히 실린더 블록의 견고함으로 인한 터보차저나 나이트러스 옥사이드 시스템과 같은 파워 업이 용이하며, 이러한 차종을 기반으로 제작되는 핫 로드 커스터마이징 문화가 정착되어 여전히 OHV 엔진 탑재 차량이 많이 존재한다.

쉐보레 콜벳은 1980년대 말 C4형에 "ZR-1"이라는 DOHC 탑재 모델이 있었지만, 그 이후 DOHC를 폐지하고 현재까지 모두 OHV를 사용한다. OHV는 실린더 헤드부가 밸브와 로커 암만으로 구성되어, 동 배기량 조건이라면 SOHC 및 DOHC보다 엔진 자체를 소형 경량화하고 저중심으로 만들 수 있다. 또한, V형 엔진이나 수평 대향 엔진에서는 캠축이 DOHC는 4개, SOHC는 2개가 필요하지만, OHV는 1개로 충분하므로 엔진 내부 마찰 저항을 줄이기 쉽고, 무게와 비용도 줄일 수 있다. 콜벳은 엔진 후드가 낮은 실루엣도 장점 중 하나이며, 전고를 낮출 수 있는 OHV 엔진은 그 실루엣을 구성하는 데 한몫한다. "콜벳에는 DOHC처럼 고회전으로 마력을 얻는 엔진보다, OHV처럼 저회전에서 큰 토크로 마력을 얻는 엔진이 어울린다"는 생각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여겨진다.

크라이슬러는 반구형 연소실에서 유래된 헤미 엔진을 21세기에 부활시켰다. 이는 수많은 자동차 제조사 중에서 자사의 아이덴티티를 전면에 내세워 다른 회사와의 차별화를 꾀하려는 의도가 있다.

5. 2. 2. 일본

1960년대부터 1980년대에 제조된 승용차 엔진에 OHV가 많이 채용되었다. 동일 차종에 여러 등급을 설정하는 경우, 상위 등급에는 SOHC 혹은 DOHC를, 하위 등급에는 OHV를 채용함으로써 차별화가 꾀해졌다. 혼다 및 스즈키는 사륜차에 OHV를 일절 채용하지 않았다.[25]

1990년대 이후, LPG 자동차를 포함한 일부 토요타상용차를 제외하고 OHV는 거의 채용되지 않게 되었고, 포핏 밸브를 가지지 않는 로터리 엔진을 제외하고는 모두 SOHC 혹은 DOHC로 대체되었다.

유일한 예외가 수평대향 엔진인데, 엔진 양쪽에 실린더 헤드를 갖는 구조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OHC화는 오히려 비효율적이며, 치수나 중량의 증가, 정비성(초기 비용)의 악화를 초래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스바루 레오네는 당시 후지 중공업(현 SUBARU)의 플래그십 차라는 위치였음에도 오랫동안 OHV를 계속 채용했고, 1984년에는 1,800 cc 엔진만 SOHC화되었지만, 밸브 구동 형식만 보면 타사에 한참 뒤쳐진 상황을 보였다.[26]

오버홀이나 리빌드가 쉽고, 특히 이륜차나 디젤 엔진을 포함한 범용 OHV 엔진 전반에서는 타이밍 체인이 없어[27] 정비가 용이한 점이 장점이다. 일본의 승용차에서 마지막까지 OHV를 채용한 차종은 일반 판매차에서는 가솔린차는 토요타 타운 에이스 왜건/라이트 에이스 왜건, 디젤차는 다이하츠 라거였으며, 그 외에는 2008년 7월 이전 모델까지 존재했던 3Y-PE형 LPG 엔진을 탑재한 토요타 크라운 세단/크라운 컴포트/토요타 컴포트이다.

한편, 대형 트럭이나 버스에 탑재되는 디젤 엔진은 고속 회전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견고하고 경량 설계가 가능한 OHV가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1990년대 무렵부터 비OHV화가 진행되어 2021년 시점의 일본 자동차용 OHV 디젤 엔진은 히노 자동차의 N04C형 엔진과 미쓰비시 후소 트럭·버스의 4V20형 엔진뿐이다.

5. 3. 모터스포츠

NASCAR에서는 참가 차량의 엔진을 OHV로 한정하고 있어서, 토요타 타운드라처럼 시판차에서 DOHC 엔진을 탑재한 자동차도 OHV 엔진으로 교체하여 참가하기도 한다.[33]

1994년 인디애나폴리스 500에서는 펜스케가 3,400cc OHV 터보 메르세데스 엔진으로 우승을 차지했다.[34][35] 당시 포드 코스워스 DFS 엔진 등에 밀려 구식으로 취급받던 뷰익 엔진을 구제하기 위한 OHV 우대 규정에 따라, 일모어가 제작한 이 엔진은 최고 회전수 10,000rpm 이상에서 1,000마력이 넘는 출력을 냈다.

탄소 섬유 복합재 푸시로드를 사용한 사례도 있다. B110/310계 닛산 써니는 레이스 사양으로 A12형 엔진을 기반으로 푸시로드를 탄소 소재로 만들어 10,000rpm의 고회전을 실현했는데, 이는 당시 시판용 엔진 기반으로는 SOHC로도 달성하기 어려운 수치였다.

NASCAR에서 사용되는 자연 흡기 엔진은 최고 800마력, NHRA의 탑 퓨얼 클래스에서 사용되는 과급 엔진은 8,500~10,000마력으로 매우 높은 출력을 낸다.

5. 4. 오토바이

오토바이에서 할리데이비슨1936년의 너클 헤드 엔진 이후 전통적으로 OHV 형식의 공랭 V형 2기통 엔진을 계속 탑재해온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할리 엔진은 전형적인 저회전 고토크형 설계였으며, 당시 경쟁사의 차량도 대체로 할리와 비슷한 상황이었다.

혼다는 슈퍼 커브가 1958년 출시 당시에는 OHV였지만, 1964년부터 배기량별로 순차적으로 SOHC화가 실시되어 주력이 되는 50cc 모델은 1966년에 변경되었다. 1977년에는 OHV이면서 4밸브를 채용한 V형 2기통 엔진을 탑재한 혼다 GL400/500을 시판했다. 이것은 기화기를 안쪽으로 밀어넣어 라이더의 무릎 쪽에 여유를 주고, 흡배기를 직선화하기 위해 실린더 방향을 비틀 목적으로 굳이 OHV를 채용했고(트위스티드 OHV라고 칭함), 이 엔진은 최고 출력을 9,000rpm에서 발생하고, 약 10,000rpm까지 회전했다.

고회전 지향이 아닌 크루저형 오토바이에서는, 최근 할리데이비슨사 외에 야마하 발동기가와사키 중공업도 V형 2기통 엔진을 한계까지 대형화하면서 엔진 높이를 낮추기 위해 OHV를 채용하고 있다. 또한, 혼다는 정비 상황이 좋지 않은 동남아시아·남미 국가를 위해 OHV 125cc 엔진을 탑재한 혼다 CG125나 XR125L을 현재도 판매하고 있다. 스즈키2003년부터 2007년까지 제조 판매한 스즈키 초이노리에 전용 설계의 OHV 50cc 엔진을 채용했다.

5. 5. 범용 엔진

OHV는 같은 배기량의 SOHC 엔진에 비해 구조가 단순하여 정비가 용이하고, 경량·컴팩트하다는 이점이 있어, 4행정 엔진에 의한 자가발전기, 펌프, 농경용 등의 범용 엔진과 같은 자동차 이외의 용도에서는 주역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22]

참조

[1] 웹사이트 HowStuffWorks "Camshaft Configurations" http://auto.howstuff[...] Auto.howstuffworks.com 2000-12-13
[2] 웹사이트 Part I: V-engines https://www.topspeed[...] 2006-07-29
[3] 서적 Die Entstehung des Dieselmotors. Springer 1913
[4] 서적 Theorie und Konstruktion eines rationellen Wärmemotors zum Ersatz der Dampfmaschinen und der heute bekannten Verbrennungsmotoren Springer Berlin Heidelberg 1893
[5] 웹사이트 U.S. patent 563140 http://patentimages.[...] 2017-06-07
[6] 웹사이트 Patent Images http://pdfpiw.uspto.[...] 2018-05-08
[7] 서적 Walter L. Marr, Buick's Amazing Engineer Racemaker Press
[8] 문서 "The Buick, A Complete History," third ed., 1987, Terry P. Dunham and Lawrence Gustin.
[9] 문서 Hobbs, Leonard S. The Wright Brothers' Engines and Their design. Washington, D.C.: Smithsonian Institution Press, 1971, p 61, 63.
[10] 웹사이트 Wright Engines http://www.wright-br[...]
[11] 웹사이트 Chevrolet 1930s General Specs http://www.carnut.co[...]
[12] 웹사이트 What Was the Final Year for a New Flathead-Powered American Car? https://www.autoweek[...] 2018-12-20
[13] 간행물 Maudslay https://archive.org/[...] E. P. Dutton
[14] 문서 Now, manufacturers such as [[Honda]] even use OHC motors for lawnmowers!
[15] 웹사이트 Automotive Engineering International Online: Powertrain Technology Newsletter http://www.sae.org/a[...] Sae.org 2011-09-07
[16] 웹사이트 The Pushrod Engine Finally Gets its Due http://www.caranddri[...] 2004-05
[17] 웹사이트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OHV, OHC, SOHC and DOHC engines? https://www.samarins[...] 2019-12-19
[18] 웹사이트 【HVやEV全盛期に復権希望】クルマ界の化石技術!?? なぜOHVエンジンは生き残っているのか? https://bestcarweb.j[...] 講談社ビーシー ベストカーWeb 2019-08-13
[19] 문서 三菱自動車の[[三菱・ジープ|ジープ]]や[[三菱・ジュピター|ジュピター]]など、JH4型エンジン搭載車のカタログの記述。
[20] 문서 高出力化のためにバルブのストロークを大きくとったハイリフトカムシャフトも「ハイカム」と略されるが、全くの別物である。
[21] 문서 日本製自動車メーカーのハイカムシャフト方式OHVエンジンの例:トヨタ・K型およびDOHCヘッド仕様を除く[[トヨタ・T型エンジン|T型]]、日産・A型、三菱・4G4型、[[民生デイゼル工業|ミンセイ・UD]]各型など。ミンセイ・UDは[[ユニフロー掃気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ため、頭上弁はすべて排気弁である。
[22] 문서 厳しさを増す[[自動車排出ガス規制]]に柔軟に対応するにあたっては、むしろ[[SOHC]]ないしは[[DOHC]]のほうが有利である。
[23] 문서 厳しさを増す[[自動車排出ガス規制]]に柔軟に対応するにあたっては、むしろ[[SOHC]]ないしは[[DOHC]]のほうが有利である。
[24] 문서 中排気量クラスでは[[トヨタ・B型エンジン (2代目)|トヨタ・15B-F型]]と[[日野・N型エンジン|日野・N04C型系]]、[[三菱ふそう・4V2系エンジン|三菱ふそう・4V20型]]などが、大排気量クラスでは[[三菱ふそう・6D2系エンジン|三菱ふそう・6D40型]]などがこれに該当する。
[25] 문서 4サイクルエンジンのみ
[26] 문서 なお、スバルでも軽自動車用エンジンを含む排気量1,200 cc以下の[[直列エンジン]]は市販車初投入以降、一貫してSOHCもしくはDOHCである。
[27] 문서 ただし一部の自動車用は例外的にタイミングチェーンや[[タイミングベルト]]が用いられる場合がある。
[28] 웹사이트 スカニアジャパン、物流業界の課題に挑む新型SCANIA「SUPER」を発表 https://www.scania.c[...] 2024-12-13
[29] 뉴스 米国が譲れないトラック高関税のからくり 「light truck」とは (1/4ページ) https://web.archive.[...] 2019-08-09
[30] 문서 例えば低中回転・低中負荷時に遅角する事で吸気が遅閉じとなりポンピングロス低減、排気遅開きになる事で膨張エネルギーの有効回収、排気遅閉じで内部[[排気再循環|EGR]]の導入ができ、省燃費性や排ガス清浄性の向上に寄与する。これは一般走行における負荷の低い大排気量車ほど有効となる。
[31] 문서 [[ベントレー・ミュルザンヌ (2010)]]
[32] 문서 吸気側ではなく排気側を可変させるのは大排気量で大トルクのバイパーでは吸気側を制御せずとも低中回転でも十分な出力があるためメリットは少なく、排気側の制御による省燃費性、排ガス清浄の向上の方がメリットがあるため。
[33] 웹사이트 NASCAR 2014 レース車両解説 https://toyotagazoor[...] 2019-02-20
[34] 문서 当時、DFSエンジンなどレース専用の[[DOHC]]エンジンは排気量が2,660ccと規定されていたが、ビュイックエンジンなど市販車用エンジンのブロックを用いOHVかつ1気筒当り2バルブの場合に限り、3,430ccまで排気量を拡大することが許されていた。市販車ブロックのみの間はそれほど意味が無かったが、専用ブロックの使用が許可されたことでメルセデスとイルモアの計画が動き出すことになる。
[35] 문서 「勝利のエンジン50選」カール・ルドヴィクセン著 二玄社 2004年11月10日発行 211ページ
[36] 문서 高回転高出力を実現するための機構の工夫も特徴で、[[ロッカーアーム]]にはスイングアーム式ローラーロッカーアームを採用。ロッカーアームや[[バルブリフター]]の支点、接点には全て[[転がり軸受#針軸受|ニードルローラーベアリング]]を用いるなど徹底したフリクションロス低減の策が採られた。DOHCのDFSエンジンがカムが4本必要だったのに対し、OHVのメルセデスエンジンはカムが1本で済む事も軽量化の上で大きな差となった。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