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쓰라기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쓰라기 씨는 전설적인 고겐 천황의 후손인 가쓰라기노 소쓰히코에 의해 창시된 씨족이다. 5세기 동안 일본 궁정에서 유력한 세력을 차지하며 황족과 통혼했으나, 5세기 말 쇠퇴했다. 닌토쿠 천황의 황후 이와노히메, 유랴쿠 천황의 비 카라히메 등을 배출하며 대왕가와 밀접한 관계를 맺었고, 5세기 야마토 정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가쓰라기 씨는 5세기 후반에 쇠퇴하고 소가 씨가 그 지위를 계승했으며, 그들의 본거지는 야마토 지방의 가쓰라기 지역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쓰라기씨 - 이와노히메노미코토
이와노히메노미코토는 닌토쿠 천황의 황후로서 《고사기》, 《일본서기》, 《만엽집》에 등장하며, 질투심이 강했다는 이야기와 함께 만엽집에 애정을 나타내는 시가 수록되어 현대에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재해석되는 등 다양한 평가를 받는다. - 가쓰라기씨 - 다케우치노 스쿠네
다케우치노 스쿠네는 일본 게이코 천황부터 닌토쿠 천황까지 5대에 걸쳐 활약한 인물로, 대신으로서 진구 황후의 섭정을 보좌하고 신라와의 관계에 관여했으며, 여러 씨족의 조상으로 여겨지는 충신이지만 실존 여부에 대한 비판도 있다. - 황별 씨 - 헤이시
헤이시(다이라 씨)는 헤이안 시대 천황으로부터 성을 하사받은 가문으로, 미나모토 씨와 함께 무가 사회의 중요한 축을 이루었으나, 이세 헤이시의 다이라노 기요모리가 수립한 헤이시 정권은 겐페이 전쟁에서 몰락했고, 그 후손들은 일본 각지에 흩어져 오늘날까지 전해지며 《헤이케 이야기》와 같은 군담 소설의 소재가 되었다. - 황별 씨 - 소가씨
소가 씨는 고대 일본의 유력 씨족으로, 황실과의 혼인을 통해 외척 세력을 형성하고 불교를 수용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으나, 을사의 변으로 몰락했다. - 긴키 지방의 역사 - 교토
교토는 혼슈 중앙부에 위치하며 약 천 년간 일본의 수도였던 도시로, 헤이안쿄로 설계되어 전란과 화재를 겪었으나 복구 노력을 통해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고, 에도 시대에는 문화와 상공업의 중심지로, 오늘날에는 세계적인 관광 도시로 번영하며 수많은 유적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긴키 지방의 역사 - 모노노베씨
모노노베씨는 니기하야히노미코토를 시조로 하는 고대 일본의 군사 씨족으로, 철기와 병기 제조 및 관리를 담당하며 야마토 왕권의 왕위 계승 다툼에 관여하고 소가씨와의 갈등으로 몰락했으나, 덴무 천황의 개혁 이후 다양한 지족과 파생 씨족을 형성하며 존속했다.
가쓰라기씨 | |
---|---|
개요 | |
씨족명 | 가쓰라기 씨 |
한자 표기 | 葛城氏 |
가나 표기 | かつらぎうじ |
로마자 표기 | Katsuragi-uji |
씨성 | 가쓰라기 오미 |
혈통 및 기원 | |
기원 | 황별 |
씨조 | 가쓰라기노 소쓰히코 |
씨족의 조상 | 가쓰라기노 소쓰히코 |
씨족의 시조 | 가쓰라기노 소쓰히코 |
유래 | 효겐 천황의 후예 |
역사적 정보 | |
창건 시기 | 4세기 |
본거지 | 야마토국 가쓰라기 |
가계 | |
분가 | [[File:Imperial Seal of Japan.svg|15px]] 일본 황실 |
주요 인물 | |
관련 인물 | 가쓰라기노 소쓰히코 가쓰라기노 이와노히메 가쓰라기노 나가에노 소토히코 가쓰라기노 메노코 |
2. 역사
가쓰라기 씨는 전설적인 고겐 천황의 증손자인 가쓰라기노 소쓰히코(葛城 襲津彦)에 의해 창시되었다. 5세기 동안 이 씨족은 궁정에서 가장 두드러진 세력이었고 황족과 통혼했다. 5세기 말 가쓰라기 씨가 쇠퇴한 후, 오토모 씨가 일시적으로 그 자리를 차지했다. 부레쓰 천황이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오토모노 카나무라가 고시국에 거주하던 매우 먼 친척인 게이타이 천황을 새로운 군주로 추천했다. 그러나 카나무라는 외교 정책의 실패로 사임했고, 아스카 시대 초에 궁정은 결국 모노노베 씨와 소가 씨에 의해 통제되었다.
2. 1. 기원과 전승
가쓰라기 씨는 전설적인 고겐 천황의 증손자인 가쓰라기노 소쓰히코(葛城 襲津彦)에 의해 창시되었다. 5세기 동안 이 씨족은 궁정에서 가장 두드러진 세력이었고 황족과 통혼했다. 5세기 말 가쓰라기 씨가 쇠퇴한 후, 오토모 씨가 일시적으로 그 자리를 차지했다. 부레쓰 천황이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오토모노 카나무라가 고시국에 거주하던 매우 먼 친척인 게이타이 천황을 새로운 군주로 추천했다. 그러나 카나무라는 외교 정책의 실패로 사임했고, 아스카 시대 초에 궁정은 결국 모노노베 씨와 소가 씨에 의해 통제되었다.가쓰라기 씨의 시조인 가쓰라기 소쓰히코는 『고사기』에 다케우치노 스쿠네(고겐 천황의 증손)의 아들 중 한 명으로, 타마테 오미, 마토 오미(이쿠하노 오미) 등의 조상으로 여겨진다. 어머니는 가쓰라기 국조의 아라타히코의 딸인 가쓰라기히메이다. 소쓰히코 이후의 씨족으로는 아시다노 스쿠네, 타마다노 스쿠네, 엔노 오오미, 아리노 오미의 이름이 알려져 있으며, 그 계보는 단편적으로 복원 가능하다.[1] 단, 타마다노 스쿠네에 대해서는 『일본서기』 잉교기에서는 소쓰히코의 손자로 하는 한편, 유랴쿠기에서는 아들로 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엔노 오오미에 대해서도 『공경보임』은 타마다노 스쿠네의 아들로 하지만, 『기 씨 가첩』에는 아시다노 스쿠네의 아들임을 시사하는 기술이 있어, 역시 서로 모순된다.[1]
진구 황후의 어머니인 가쓰라기노 다카키비히메도 가쓰라기 계통의 지족이며 시조로 하는 기술 등도 보인다. 또한 최근에는 가쓰라기 씨를 북부의 아시다노 스쿠네 계(아시다노 스쿠네 ─ 아리노 오미)와 남부의 타마다노 스쿠네 계(타마다노 스쿠네 ─ 엔노 오오미)의 2계통으로 엄별하여 생각하는 견해도 있다.[1]
『기씨가첩』에 따르면, 소쓰히코는 "대화국 현 나가라 마을(현재의 고세시 나가라)"에 거주했다고 하며, 이 지역과 주변이 그의 본거지였던 것으로 보인다.[2]
소쓰히코의 전승은 『일본서기』의 진구 황후 섭정기, 오진 천황기, 닌토쿠 천황기에 기록되어 있다. 모두 장군, 사신으로서 조선 반도에 파견된 내용이지만, 그중에서도 특히 주목되는 것은 소쓰히코의 신라 정벌을 기록한 진구 황후 섭정 62년 조이다. 본문은 짧지만, 그 분주에는 『백제기』를 인용하여 임오년에 신라 정벌에 파견된 "사지비구(사치히쿠)"라는 인물이 미녀에게 마음을 빼앗겨 잘못하여 가라를 멸망시킨다는 일화가 소개된다. 종래에는 이 "사지비구"와 소쓰히코를 동일 인물로 보고, 『서기』 기년을 수정하여 간지 2운을 늦춰 임오년을 382년으로 해석하면, 소쓰히코는 4세기 말에 실존했던 인물이며, 조선에서 포로를 데리고 돌아온 무장으로 전승화되었을 가능성 등이 지적되어 왔다.[3]
그러나 "사지비구"의 일화가 사실로 볼 수 있는지에 의문이 있으며, 이를 고려하면, 『서기』의 소쓰히코상은 전반적으로 개성이 없고, 각 기사 사이에도 맥락이 거의 없다.
이노우에 미쓰사다는 "소쓰히코"란 "습(소)의 남자"라는 의미로, 구마소 출신으로 가쓰라기에 토착한 자이거나, 야마토의 가쓰라기 출신으로 구마소 정벌에 무훈이 있던 자일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4]
2. 2. 전성기 (5세기)
가쓰라기 씨는 전설적인 고겐 천황의 증손자인 가쓰라기노 소쓰히코(葛城 襲津彦)가 시조이다. 5세기 동안 가쓰라기 씨는 황족과 통혼하며 궁정에서 가장 유력한 세력이었다. 5세기 말 가쓰라기 씨가 쇠퇴한 후, 오토모 씨가 일시적으로 그 자리를 차지했다. 부레쓰 천황이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오토모노 카나무라는 고시국에 거주하던 먼 친척인 게이타이 천황을 새 군주로 추천했다.가쓰라기 씨는 5세기에 대왕가와 지속적인 혼인 관계를 맺었다. 고사기와 일본서기에 따르면, 소쓰히코의 딸 이와노히메는 닌토쿠 천황의 황후가 되어 리추, 한제이, 인교 3천황을 낳았다. 아시다노 스쿠네의 딸인 구로히메는 리추 천황의 비가 되어 이치노베노 오시와 황자 등을 낳았다. 또한 닌토쿠 천황에게 가쓰라기 부 설치를 요청했다.[1] 오시와 황자의 비이자 겐조 천황·닌켄 천황의 어머니인 하에히메(荑媛)는 아리 신의 딸로 여겨진다. 엔 대신의 딸인 카라히메는 유랴쿠 천황의 비로, 세이네이 천황을 낳았다. 닌토쿠부터 닌켄에 이르는 9명의 천황 중, 안코 천황을 제외한 8명의 천황이 가쓰라기 씨의 딸을 후비나 어머니로 삼았다.[1]
당시 왕권 기반은 미숙했고, 대왕은 각 지역 수장으로 구성되는 연합 정권의 맹주에 불과했다. 나오키 고지로는 5세기 야마토 정권이 "대왕과 가쓰라기 씨의 양두 정권"이었다고 주장한다.[1]
쓰카구치 요시노부는 야마토 왕권 내부의 나라 분지 북부에 거점을 둔 "사키 정권"이 4세기 말 내부 분열했을 때, 반주류파였던 오진 천황을 지지한 세력이 '''가쓰라기 씨''', 와니 씨, 기비 씨 (의 전신 집단)였다고 한다.[2] 이 사키 정권의 내부 분열을 오진이 제압한 결과, 주도 세력은 사키에서 가와치로 옮겨갔고, 야마토 왕권은 군사적인 색채가 강한 성격으로 변질되어, 세토 내해 경유의 반도 루트를 중시하여 한반도에 적극적으로 진출했다고 한다.[2]
가쓰라기 씨는 5세기를 통해 대왕가의 가장 중요한 혼족이었으며, 천황가 (대왕가) 외척으로서 거대한 세력을 가졌다.[3] 닌토쿠 천황의 황후 이와노히메는 가쓰라기 소쓰히코의 딸로, 그녀의 친정인 가쓰라기 씨의 세력이 강대했음을 알 수 있다.[3]
2. 3. 쇠퇴와 멸망
5세기 말, 가쓰라기 씨는 쇠퇴하여 오토모 씨가 일시적으로 그 자리를 차지했다. 부레쓰 천황이 후계자 없이 사망하자, 오토모노 카나무라는 고시국에 거주하던 매우 먼 친척인 게이타이 천황을 새로운 군주로 추천했다. 그러나 카나무라는 외교 정책의 실패로 사임했고, 아스카 시대 초에 궁정은 결국 모노노베 씨와 소가 씨에 의해 통제되었다.[1]『일본서기』에 따르면, 인교 천황 5년(416년) 7월에 지진이 있었지만, 타마다노 스쿠네는 직무를 소홀히 하고 가쓰라기에서 술자리를 열었던 것이 드러났다. 타마다는 다케우치노 스쿠네의 묘로 도망쳤지만, 천황에게 소환되어 무장한 채로 입궐했다. 이에 격노한 천황은 병졸을 보내 타마타를 체포하여 주살했다.[2]
안코 천황 3년(456년) 8월, 천황이 암살당하고, 엔 대신이 그 흉수인 마유와 왕을 자택에 숨기는 사건이 일어났다. 오하츠세 황자(후의 유랴쿠 천황)의 군대에 의해 집이 포위된 대신은, 오하츠세 황자의 요구에 응하여 딸과 "가쓰라기의 택 7구"를 헌상했지만, 왕을 인도하지 않았기 때문에 황자는 이를 허락하지 않고, 집에 불을 질러 엔 대신과 마유와 왕 등을 불태워 죽였다.[3]
안코 암살의 배경에 가쓰라기 씨가 직접 관여했을 가능성도 지적되고 있지만, 오히려 안코(인교 계)와 오시와 황자(리추 계)·가쓰라기 씨 사이에는 왕위 계승에 관한 타협이 성립되어 있었고, 이 사실에 강하게 반발한 오하츠세 황자가 안코를 포함한 적대 세력의 일소에 나섰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4]
일부 연구자들은 일련의 정변으로 멸망한 것은 타마다노 스쿠네 계뿐이며, 아시다노 스쿠네 계는 5세기 말까지 잠시 세력을 존속시켰다고 주장하기도 한다.[5]
유랴쿠 천황과 가쓰라기 이치코토누시노 오카미의 에피소드는 유랴쿠 천황이 가쓰라기를 평정한 것을 나타내는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쓰라기의 신을 존중해야 하는 상황이었음을 시사한다.
유랴쿠 사후, 즉위한 세이네이 천황, 겐소·닌켄도 모계는 가쓰라기 씨였고, 가쓰라기 씨가 유랴쿠 천황에게 완전히 멸망된 것은 아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미즈타니 치아키는 가쓰라기 북부에 잔존한 아시다노 스쿠네 계의 가쓰라기 씨가 대항 세력이 되어 후세, 게이타이 천황의 야마토 입성을 늦추었다고 추측한다.
오진 천황이나 닌토쿠 천황을 포함한 리추 계의 천황은, 외척인 가쓰라기 씨가 그 왕통을 지탱하고 있었고, 가쓰라기 씨와 혼인을 맺었던 기비노 가미쓰미치노 오미를 포함하여, 기나이와 기비는 연합 공존의 관계에 있으며, 리추 계의 천황의 지지 세력이 되었다.
그러나 기비 씨와 가쓰라기 씨의 결합은, 가쓰라기 씨와 혈연 관계가 먼 인교 계의 천황에게 위협이었다. 그 때문에, 인교는 가쓰라기 씨나 기비노 가미쓰미치노 오미에 대한 견제를 위해 타마다노 스쿠네를 모살하고, 유랴쿠 천황은 엔 대신을 주살하여 가쓰라기 씨를 몰락시키고, 기비노 시모쓰미치노 마에쓰야를 비롯한 기비 시모쓰미치노 오미 일족을 멸망시켰다. 가미쓰미치노 오미는 유랴쿠 천황의 이 움직임에 불만을 품었지만, 유랴쿠 천황은 기비노 가미쓰미치노 타사를 주살하여 가미쓰미치노 오미를 견제했다.
이에 기비노 와카히메나 호시카와 황자, 남겨진 기비 씨는 반란을 일으켰지만, 신흥 군사 씨족인 오토모 씨와 모노노베 씨에 의해 진압되었다.
2. 4. 소가 씨와의 관계
소가 씨는 가쓰라기 씨의 정치력과 경제력, 한반도에 대한 외교적 지위와 도래인과의 관계를 계승한 것으로 보인다. 4세기부터 5세기에 걸쳐 가쓰라기노 소쓰히코(葛城襲津彦)가 포로로 잡은 도래인이 가쓰라기에 거주하며 제철 작업에 종사했고, 가쓰라기 씨는 대왕가(大王家)와 혼인 관계를 맺었다.[4] 가쓰라기 씨는 5세기에 황후와 비, 높은 지위에 오르는 인물을 배출하고, 한반도와의 관계(군사 행동과 외교 교섭)를 담당했다는 전승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전승이 모두 사실이라고 할 수는 없지만, 가쓰라기(葛城) 지방을 기반으로 한 집단이 5세기 무렵에 큰 세력을 가졌던 것은 여러 고분과 호족 거관(豪族居館) 유적을 통해 짐작할 수 있다.[4]그러나 다마다노 스쿠네(玉田宿禰)와 엔노 오오미(円大臣)가 각각 인교 천황(允恭天皇)과 유랴쿠 천황(雄略天皇)에게 멸망당했다. 6세기에 5세기에 활약한 가쓰라기 씨의 후예로 보이는 인물은 가쓰라기 우나라(葛城烏那羅) 뿐이며,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게 되었다. 고고학적 관점에서도 5세기 후반의 신조야시키야마 고분(新庄屋敷山古墳)을 마지막으로 가쓰라기 지역에 대형 전방후원분(前方後円墳) 축조는 더 이상 보이지 않게 된다.[4] 지토 천황(持統天皇)이 691년에 "그 조상들의 묘기(墓記)"를 상진(上進)하도록 명했고, 이것이 『일본서기』의 원사료가 되었지만, 가쓰라기 씨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쓰라기 씨의 씨족 전승과 왕통보(王統譜)가 『일본서기』에 기록되어 있는 것은 가쓰라기 씨의 후예가 존재하고 그들이 사료를 제공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으며, 그 집단이야말로 소가 씨였을 것으로 생각된다.[4] 가쓰라기 씨로 남은 자가 적었기 때문에 그들은 현저한 활동을 남길 수 없었고, 마치 가쓰라기 씨가 몰락한 것처럼 보였던 것으로 생각된다.[4]
덧붙여, 『쇼토쿠 태자전력(聖徳太子伝暦)』에서는 쇼토쿠 태자(聖徳太子)가 가쓰라기 절(葛城寺)을 "소아 가쓰라기 신(蘇我葛木臣)"에게 하사했다고 되어 있다.
3. 본거지
스이코 천황 32년 10월, 소가노 우마코는 "가쓰라기현(葛城縣)은 원래 신하(臣)의 본거지였기에, 그 현(縣)에 따라 성과 이름을 삼았다"라고 주청했다.[3] 당시 가쓰라기현은 천황의 소유지였는데, 안코 천황 3년에 오시타케노 미코토가 엔 대신의 저택을 포위했을 때 엔 대신이 속죄로 "가쓰라기 택 7구(5처 둔창이라고도 함)"를 헌상하면서 천황 소유가 되었다.[3]
"가쓰라기 택 7구"는 가쓰라기 씨의 본거지인 가쓰라기 다카미야(후의 가쓰라기군다카미야 향, 현재의 고세시 니시사미)뿐만 아니라, 가쓰라기 미아타 신사가 있는 가쓰시타군의 일부와 시노미군, 가쓰라기군 구와바라 향(현재의 고세시 이케노우치 혹은 아사마치), 가쓰라기군 사미(현재의 고세시 니시사미・히가시사미)도 포함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3]
고교쿠 천황 기원년에는 "소가 대신 에미시가, 자신의 조상 묘를 가쓰라기의 다카미야에 세우고, 야쓰라의 춤을 춘다"라고 하여, 소가 씨가 가쓰라기 지방을 스스로의 발상지로 인식하고, 소가 씨가 원래 가쓰라기 씨의 동족으로서 그 배하에 있었음을 시사한다.
가쓰라기 씨와 관련되었다고 추정되는 지명은 다음과 같다.[3]
지명 | 관련 인물 |
---|---|
고세시 타마테에 있는 만간지 남쪽의 작은 글자 "타마다" | 가쓰라기 소쓰히코의 아들 타마다노 스쿠네 |
고세시 카시와바라에 있는 작은 글자 "츠부라" | 타마다노 스쿠네 혹은 아시다노 스쿠네의 아들 엔 대신 |
기타카쓰라기군가미키마치의 "아시다(아시다하라・아시다이케)"와 오지초의 "아시다이케" | 가쓰라기 소쓰히코의 아들 아시다노 스쿠네 |
야마토타카다시의 "아리이・아리타・아리와키" | 아시다노 스쿠네의 아들 아리오미 |
위 지명 부근에는 가쓰라기 씨의 고분으로 추정되는 무로미야마 고분이나 야쿠가미 캉코즈카 고분 등이 있다.[3]
4. 가쓰라기부와 가쓰라기향
이와노히메가 설치를 요청한 가쓰라기 씨의 부민인 가쓰라기부(가쓰라기부)와 가쓰라기부가 설치되었다고 여겨지는 가쓰라기 향(가쓰라기 향)은 주로 세토 내해 연안에 분포해 있다[5]。가쓰라기부와 가쓰라기 향을 확인할 수 있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지역 | 세부 지역 |
---|---|
미마사카국 | 간시마군 |
비젠국 | 아카사카군 가쓰라기 향・가미쓰미치군 하타 향・오쿠군 스에 향・가쓰타군 |
아키국 | 다카미야군・아키국분사 |
사누키국 | 야마다군 해향 |
이요국 | 온센군 이와타・이요군 이시다 향・오치군 이시이 향 |
히젠국 | 미네군 가쓰라기 향 |
5. 계보
- 고겐 천황 (기원전 273년–기원전 158년)
- * 히코후쓰오시노마코토노미코토 (彦太忍信命, ?–?)
- ** 야누시오시오타케오고코로노미코토 (屋主忍男武雄心命, ?–?)
다케노우치노 스쿠네 (武内宿禰, ?–?)
* '''가쓰라기노 소쓰히코''' (葛城襲津彦, ?–?)
** 가쓰라기노 타마다노 스쿠네 (葛城玉田宿禰, ?–416)
*** 오오미 가쓰라기노 쓰부라 (葛城円大臣)
유랴쿠 천황의 부인 가쓰라기노 카라히메 (葛城韓媛)
*** 가쓰라기노 케히메 (葛城毛媛), 키비노 타사 (吉備田狭)의 부인
** 닌토쿠 천황의 황후 이와노히메노미코토 (磐之媛命)
** 가쓰라기노 아시다노 스쿠네 (葛城葦田宿禰)
*** 오미 가쓰라기노 아리 (葛城蟻臣)
리추 천황의 태자의 부인 하에히메 (荑媛), 이치노베노 오시와노 미코
*** 리추 천황의 황후 구로히메 (黒媛)
** 가쓰라기노 코시모노 스쿠네 (葛城腰裾宿禰)
** 가쓰라기노 이쿠하노 토다노 스쿠네 (的戸田宿禰)
** 쿠마미치노 타리네 (熊道足禰)
** 이름 미상
*** 이름 미상
우나카미노 스쿠네 (菟上足尼)
{{familytree|border=0|boxstyle=text-align:left| | 소쓰 |v| 타마다 |v| 대신 |-| 카라히메 |襲津= '''가쓰라기'''소쓰히코|玉田= 가쓰라기노 타마다노 스쿠네|大臣= 가쓰라기노 쓰부라 대신|韓媛= 가쓰라기노 카라히메
(유랴쿠 천황 비)
{{familytree|border=0|boxstyle=text-align:left| | 타마테 |)| 이와노히메 |`| 케히메 |玉手= 오에씨
타마테씨
시오야씨 조상|磐姫= 이와노히메노 미코토
(닌토쿠 천황 황후)|毛媛= 가쓰라기노 케히메
(키비노 타사 부인)
{{familytree|border=0|boxstyle=text-align:left| | | | |)| 아시다 |v| 아리노오미 |-| 테히메 | |葦田= 가쓰라기노 아시다노 스쿠네|아리노오미= 가쓰라기노 아리|荑媛= 하에히메
(이치노베노 오시와 황자 비)
{{familytree|border=0|boxstyle=text-align:left| | | | |!| | | |`| 쿠로히메 |黒媛= 구로히메
(리추 천황 비)
{{familytree|border=0|boxstyle=text-align:left| | | | |)| 코시스소 |~| 시모가미 |腰裾= 가쓰라기노 코시모노 스쿠네|下神= 시모가미씨
{{familytree|border=0|boxstyle=text-align:left| | | | |)| 토다 |~| 마토씨 |戸田= 가쓰라기노 이쿠하노 토다노 스쿠네|的氏= 마토씨
{{familytree|border=0|boxstyle=text-align:left| | | | |)| 쿠마미치 |~| 시노미 |熊道= 쿠마미치노 타리네|忍海= 시노미하라씨
아사노씨
참조
[1]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1906
[2]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Ancient Jap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3]
웹사이트
香芝ー古代史の謎を探る①
https://www.city.kas[...]
[4]
서적
蘇我氏 古代豪族の興亡
中央公論新社
2015
[5]
웹사이트
木簡庫
https://mokkanko.nab[...]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