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노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화 노씨는 중국 전국시대 제나라 사람인 노중련을 시조로 하고, 고려 명종 때 이부상서를 지낸 노용신을 중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노용신은 몽골의 침입으로 강화도로 천도할 때 강화현령으로 공을 세워 강화군에 봉해졌다. 병사공파, 감사공파 등 6개의 파로 나뉘며, 경상북도 성주군 일대에 집성촌을 이룬다. 주요 인물로는 임진왜란에 공을 세운 노춘근, 국회의원을 지낸 노차태, 노흥준, 노회찬 등이 있다. 고려 시대에 문과 급제자 2명, 조선 시대에 무과 급제자 3명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화 노씨 - 노회찬
노회찬은 대한민국의 노동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통합진보당, 정의당에서 활동하며 국회의원을 지냈고 노동운동과 사회 개혁에 헌신했으나, 드루킹 사건 연루 의혹으로 특검 수사 중 투신 사망했다.
강화 노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가명 | 강화 노씨 |
한자 표기 | 江華魯氏 |
로마자 표기 | Ganghwa No Ssi |
씨족 유형 | 씨족 |
국가 | 한국 |
지역 | 강화군 |
창시자 | 노중련(魯仲連; 305–245 BC) |
연결된 구성원 | 노회찬 |
창시 | |
시조 | 노용신(魯龍臣) |
위치 | |
관향 | 인천광역시 강화군 |
인구 통계 | |
2015년 | 17,073명 |
주요 인물 | |
인물 | 노춘근, 노차태, 노흥준, 노회찬, 노정빈 |
집성촌 | |
집성촌 | 경상북도 성주군 선남면 경상북도 구미시 산동읍 전라남도 무안군 삼향읍 |
2. 기원
중국 사기(史記) 노주공세가(魯周公世家) 편에 따르면, 주나라 초대 무왕(武王)은 동생인 주공 희단(周公 姬旦)을 곡부에 책봉하여 노공(魯公)으로 삼았으나, 주공 희단은 봉지에 가지 않고 형인 무왕을 보좌하였다. 무왕이 일찍 타계하고 13세의 어린 조카가 제2대 성왕(成王)으로 즉위하자, 주공 희단은 어린 성왕을 보좌하기 위해 봉지에 가지 못했다. 성왕 원년에 주공 희단은 자신의 장남 백금(伯禽)을 대신 노나라 제후로 책봉하여 노공으로 삼으니, 이 백금이 노나라의 제1대 군주가 되었으며 노씨(魯氏) 성의 시원(始源)이 되었다.
강화 노씨 중시조 '''노용신'''(魯龍臣)은 고려 명종 때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지냈고, 고종 때 몽골이 침입하여 강화(江華)로 천도할 때 강화현령(江華縣令)으로서 공을 세워 강화군(江華君)에 봉해졌다.
강화 노씨는 노충의 8세손을 파조로 하여 6개의 파로 나뉜다. 각 파의 파조와 파 이름은 다음과 같다.
강화 노씨의 시조(始祖) 노중련(魯仲連)은 기원전 222년 중국 전국 시대 제(齊)나라 사람으로 외교에 능통했다. 당시 일체변사 또는 유세가(遊說家)로 불렸던 인물 중 한 명이며, 세속에 구속되지 않는 풍류명사(風流名士)였다. 그는 제자백가의 사상을 융합하여, 당시 포악무도한 진(秦)나라의 침략으로 어려움에 처한 조(趙)나라 평원군(平原君)을 비롯하여 진나라로부터 침략을 받고 있는 여러 제후들을 뛰어난 지략으로 해결해주었다. 이에 각국 제후들이 도움에 대한 사례로 봉지를 내리거나 천금을 내놓았으나, 노중련은 "천하에서 선비가 귀하게 여겨지는 까닭은 다른 사람의 걱정을 덜어주고 재앙을 없애주며 다툼을 풀어주고도 보상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며 모두 사양했다. 사기열전(史記列傳)에 따르면 전국시대 각국에서는 노중련을 세기적 천하사(世紀的 天下士)라 칭하며 극찬하였다고 전한다.
시조 노중련의 손자 노계(魯啓)가 기자조선 애왕조(哀王朝)에 들어와 부교사도(敷敎司徒)가 되어 팔조지교 법금(法禁), 예악(禮樂), 살인(殺人), 투도(偸盜), 금간(禁姦), 시서(詩書), 홍화(弘化)와 정전제법(井田制法)을 바로 세우고 인륜도덕(人倫道德)을 계시(啓施)한 공덕으로, 기원전 195년 41대 애왕조 때 강화군(江華君) 고갑비(甲比)에 봉해졌다는 전설이 강화 노씨 문중에 전해 온다.[5]
3. 역사
노용신의 아들 노유(魯維)는 고려 시대에 상서(尙書)를 지냈으며, 손자 노충(魯沖)은 지추밀원사(知樞密院事)를, 증손 노몽량(魯夢良)은 평장사(平章事)를 역임하였다.
4. 분파
파 이름 파조 병사공파(兵使公派) 노인호(魯仁好) 감사공파(監司公派) 노인지(魯仁止) 한림공파(翰林公派) 노인복(魯仁復) 현감공파(縣監公派) 노인철(魯仁喆) 감찰공파(監察公派) 노인언(魯仁彦) 부사공파(府使公派) 노계원(魯繼元)
5. 항렬
6. 집성촌
7. 주요 인물
- 노춘근(魯春根): 아버지는 참의 노신손(魯伸孫)이다. 임진왜란 발발 시 집안의 종을 이끌고 이순신(李舜臣) 휘하로 들어가 당포 해전에 참전하여 공을 세웠다. 이후 해전에서도 활약하다 화살이 떨어지자 적장을 끌어안고 바다에 뛰어들어 전사하였다. 임진왜란 후 정문이 세워졌으며,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책록되고 병조참판에 추증되었다.
- 노차태(魯且泰, 1929년 ~ 2001년): 제11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노흥준(魯興俊, 1945년 ~ ): 제13대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노인식(魯寅植, 1951년 ~ ): 삼성중공업 대표이사 사장과 삼성경제연구소 인적자원개발담당 사장을 역임했다.
- 노회찬(魯會燦, 1956년 ~ 2018년): 제17대, 19대, 20대 국회의원을 지낸 진보 정치인이다.
8. 과거 급제자
강화 노씨는 고려시대 문과 급제자 2명, 조선시대 무과 급제자 3명을 배출하였다.[6]
- '''고려 문과'''
- * 노서(魯舒)
- * 노인복(魯仁復)
- '''조선 무과'''
- * 노이장(魯爾章)
- * 노정신(魯廷臣)
- * 노정철(魯廷哲)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강화노씨 江華魯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간행물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8
[4]
웹사이트
노씨(魯氏) 본관(本貫) 강화(江華)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6
[5]
뉴스
강화노씨(江華魯氏) 득성연원(得姓淵源)
http://www.goryeongn[...]
고령신문
2014-10-01
[6]
한국학중앙연구원
LST_047_025_01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