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티어 문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티어 문제는 지식에 대한 전통적인 정의인 정당화된 참된 믿음(JTB)이 충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는 철학적 문제이다. 1963년 에드먼드 게티어가 제시한 반례들은 JTB 조건을 충족하지만 지식으로 간주하기 어려운 상황을 보여주며, 인식론 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게티어 문제는 지식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며, 다양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지만, 여전히 완벽한 해결책은 찾지 못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철학에 관한 사고 실험 - 프로타고라스 (대화편)
    플라톤의 『프로타고라스』는 소크라테스와 프로타고라스가 '덕을 가르칠 수 있는가'를 논쟁하며 지식과 덕의 관계, 용기의 본질, 쾌락과 선의 관계 등을 탐구하는 대화편으로, 소크라테스의 철학과 고대 아테네 사회의 지적 분위기를 보여주는 역사적, 철학적 가치를 지닌다.
  • 철학에 관한 사고 실험 - 테세우스의 배
    테세우스의 배는 모든 부품이 교체된 배가 원래의 배와 동일한지에 대한 철학적 사고 실험으로,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에 기록되어 있으며 동일성 문제, 물질 구성, 시간적 지속성 등 다양한 철학적 질문을 제기하며 여러 학문 분야에서 논의된다.
  • 철학 문제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철학 문제 - 심신 문제
    심신 문제는 마음과 몸, 정신과 물질의 관계를 다루는 철학 및 과학 분야의 핵심 질문으로, 마음과 몸이 서로 다른 실체라는 이원론과 하나의 실체라는 일원론으로 나뉘며, 현대 신경과학과 인지과학은 뇌 활동과 의식 간의 관계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 지식 - 정보
    정보는 의사결정을 위해 데이터를 가공한 형태로, 목적 적합성, 신뢰성, 적시성을 갖춘 훌륭한 정보는 첩보나 지식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시대에 따라 의미가 변화하고 경제적 가치를 지니면서 정보 활용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 지식 - 이해
    이해는 지식에 기반하여 대상이나 현상의 의미와 관계를 파악하는 능력으로, 비유나 분석을 통해 이루어지며 인지심리학과 인공지능 분야에서 연구되는 개념이다.
게티어 문제
서론
주제인식론에서 정당화된 참된 믿음이 지식의 정의로서 불충분하다는 문제
제기자에드먼드 게티어
발표1963년, "정당화된 참된 믿음이 지식인가?" 논문에서
영향지식의 정의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 촉발 및 다양한 반론과 수정 시도 유발
설명
핵심 내용정당화된 참된 믿음이라 할지라도 우연적인 요소로 인해 지식이 아닐 수 있는 상황 제시
기본 구조철수는 "A는 정당화된다"고 믿는다.
A는 참이다.
그러나, 철수의 믿음이 참인 것은 행운 때문이다.
따라서, 철수는 A를 안다고 할 수 없다.
예시 1상황: 철수는 동전을 던져 앞면이 나왔다고 생각하고, "지금 던진 동전은 앞면이 나왔다"라고 믿는다.
실제: 동전은 뒷면이 나왔지만, 철수가 던진 동전 바로 옆에 다른 사람이 던진 동전이 앞면으로 놓여 있었다. 철수는 그 동전을 보고 자신의 믿음이 옳다고 생각한다.
결과: 철수의 믿음은 정당화되었고 참이지만, 그의 믿음이 참인 이유는 순전히 우연이다. 따라서 철수는 "지금 던진 동전은 앞면이 나왔다"는 것을 안다고 할 수 없다.
예시 2상황: 철수는 김씨가 자신의 사무실에 있는 것을 보고 "김씨는 지금 내 사무실에 있다"라고 믿는다. 그리고 그는 "김씨는 현재 바르셀로나에 있지 않다"라고 추론한다.
실제: 김씨는 실제로 바르셀로나에 있지만, 철수의 사무실에 있는 사람은 김씨와 똑같이 생긴 사람이다.
결과: 철수의 믿음은 정당화되었고 참이지만, 그의 믿음이 참인 이유는 순전히 우연이다. 따라서 철수는 "김씨는 현재 바르셀로나에 있지 않다"는 것을 안다고 할 수 없다.
추가 정보
중요성지식의 정의에 대한 전통적인 견해에 심각한 문제 제기
파생된 논의오류 가능주의, 무류주의 등 다양한 인식론적 입장 대두
참고뮌히하우젠 트릴레마

2. 역사적 배경

플라톤은 『메논』(97a–98b)과 『테아이테토스』에서 "지식"이 무엇인지에 대한 초기 논의를 제시했다.[4] 알렉시우스 마이닝과 버트런드 러셀도 게티어 이전에 이 문제를 제기했으며, 러셀은 저서 『인간 지식: 그 범위와 한계』에서 멈춘 시계의 예를 들어 참된 믿음이 지식으로 간주되기 어려운 경우를 지적했다.[9]

이 문제는 중세 시대부터 알려져 있었으며, 인도 철학자 달르모타라와 스콜라 논리학자 만투아의 피터 모두 이와 유사한 사례를 제시했다.[4] 달르모타라는 기원후 770년경 달르마키르티의 『지식의 확정』 주석에서 다음 두 가지 예를 제시했다.[5][6][7]


  • 고기를 굽기 위해 불을 피웠으나 연기가 나지 않는 상황에서, 고기 냄새를 맡고 몰려든 곤충 떼를 멀리서 연기로 착각하여 불이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
  • 사막 여행자가 신기루를 보고 물이 있다고 믿었으나, 실제로 그 장소에 바위 아래 물이 있는 경우.


1963년 게티어의 논문 발표 이후, 서구 철학에서는 다양한 지식 이론들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인도-티베트 인식론자들이 이미 논의했던 내용들이었다.[5][8] 특히, 14세기 강게샤는 지식의 인과 이론을 상세히 발전시켰다.[5]

W. V. O. 콰인 등은 철학적 자연주의를 주장하며 외재주의적 정당화 이론으로의 전환을 정당화하는 데 게티어 문제를 활용했다.[10] 존 L. 폴록과 조셉 크루즈는 게티어 문제가 "현대 인식론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바꾸었고", "지식을 분석하는 데 명확한 장벽"이 되었다고 평가했다.[11]

앨빈 플랜팅가는 정당화된 참된 믿음(JTB) 설명이 1963년 에드먼드 게티어에 의해 무너졌다는 통념에 대해, 게티어 이전에는 JTB 분석에 대한 명시적인 진술이 드물었다고 지적하며, 이는 "저명한 비평가가 전통을 파괴하는 행위에서 전통을 창조한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12] 그럼에도 플랜팅가는 C. I. 루이스와 A. J. 에이어가 JTB 설명을 제시했음을 인정한다.[12]

플라톤 이래로 지식은 정당화된 참된 신념이라는 지식의 JTB설이 전통적이었다.[35]

3. 지식의 JTB 조건

전통적으로 지식은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이 세 가지 조건을 합쳐 JTB 조건이라고 부르며, 이는 지식의 필요충분조건으로 간주되었다. 즉, 어떤 주체 S가 명제 P를 안다는 것은, P가 참이고, S가 P를 믿으며, S가 P를 믿는 것이 정당화될 때이고, 오직 그럴 때뿐이라고 여겨졌다.[36]

플라톤 이래로 지식이란 정당화된 참된 신념이라는 것이 전통이며,[35] 이를 지식의 JTB설이라고 부른다. 지식의 JTB설에 따르면, 어떤 사람 S가 명제 P를 안다는 것은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만족할 때이다.

# P가 참이다.

# S는 P가 참이라고 믿는다.

# S가 P가 참이라고 믿는 것이 정당화된다.[36]

1963년 논문에서, 게티어는 어떤 진술에 대한 정당화된 참된 신념을 가지면서도, 신념의 근거가 거짓이기 때문에 그 진술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없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두 가지 반례를 통해 보였다.

4. 게티어의 반례

게티어는 그의 논문에서 JTB(Justified True Belief, 정당화된 참된 믿음) 조건이 충족되지만 지식으로 간주하기 어려운 두 가지 사례를 제시했다.[1]

게티어는 이러한 반례들을 통해, 지식에 대한 JTB 분석이 불충분하며, "지식"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른 개념 분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허구의 인물인 스미스를 등장시켜 JTB 분석에 대한 두 가지 반례("사례 I"과 "사례 II")를 제시했다. 이 반례들은 어떤 사람이 P를 믿는 것이 정당화되고 P가 Q를 함의한다는 것을 안다면, 그 사람은 Q를 믿는 것 또한 정당화된다는 명제에 기반한다.[1]

4. 1. 사례 1: 채용과 동전

스미스와 존스는 특정 직무에 지원했다. 스미스는 "존스가 그 직무를 얻을 것이고, 존스는 주머니에 10개의 동전을 가지고 있다"는 명제 (d)에 대한 강력한 증거를 가지고 있었다.[1] 회사 사장이 존스가 최종적으로 선택될 것이라고 확신시켜 주었고, 스미스는 10분 전에 존스의 주머니에 있는 동전을 세어 보았기 때문이다.[1]

명제 (d)는 "그 직무를 얻을 사람은 주머니에 10개의 동전을 가지고 있다"는 명제 (e)를 함축한다.[1] 스미스는 (d)에서 (e)로의 함축 관계를 인지하고, (d)를 근거로 (e)를 받아들였다. 따라서 스미스는 (e)가 참이라고 믿는 것이 정당화된다.[1]

하지만 스미스는 알지 못했지만, 실제로는 스미스 자신이 그 직무를 얻었고, 스미스 자신의 주머니에도 10개의 동전이 있었다.[1] 명제 (e)는 참이지만, 스미스가 (e)를 추론한 명제 (d)는 거짓이다.[1]

따라서 다음은 모두 참이다: (i) (e)는 참이다, (ii) 스미스는 (e)가 참이라고 믿는다, (iii) 스미스는 (e)가 참이라고 믿는 것이 정당화된다.[1] 그러나 스미스가 (e)가 참이라는 것을 '안다'고 말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e)는 스미스의 주머니에 있는 동전의 개수 때문에 참이지만, 스미스는 자신의 주머니에 몇 개의 동전이 있는지 모르고, 존스의 주머니에 있는 동전의 개수를 근거로 (e)에 대한 믿음을 형성했기 때문이다.[1]

4. 2. 사례 2: 포드 자동차와 바르셀로나

스미스는 "존스가 포드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다"는 믿음을 가졌고, 이 믿음은 정당화되었다. 스미스는 이로부터 선언 도입 규칙에 따라 "존스는 포드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거나, 브라운은 바르셀로나에 있다"는 명제를 추론한다. 하지만 스미스는 브라운이 현재 어디에 있는지 전혀 몰랐다.[1]

실제로는 존스는 포드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지 않았지만, 우연히 브라운은 바르셀로나에 있었다. 따라서 스미스는 "존스는 포드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거나, 브라운은 바르셀로나에 있다"는 참된 믿음을 가졌고, 이 믿음은 (앞선 전제에 의해) 정당화된다. 하지만 스미스가 이 명제를 안다고 보기는 어렵다.[1]

왜냐하면 스미스는 "존스는 스미스가 기억하는 한, 지금까지 계속 포드를 소유하고 있으며, 게다가 존스는 스미스에게 포드로 드라이브하러 가지 않겠냐고 얼마 전에 막 권유했다"는 사실로부터 "존스는 포드를 소유하고 있다"는 명제를 믿었고, 여기서 추론한 "존스는 포드를 소유하고 있거나, 또는 브라운은 바르셀로나에 있는가의 어느 한쪽이다"라는 명제가 참이었지만, 정작 스미스 자신은 "브라운의 현재 위치를 전혀 모른다"는 사실 때문이다.[1]

5. 게티어 문제의 일반화 및 추가 사례

로더릭 치졸름은 '들판의 양' 사례를 통해 게티어 문제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여주었다.[13] 이 시나리오에서 어떤 사람(X)은 들판 밖에서 양처럼 보이는 것(실제로는 양으로 위장한 개)을 보고 들판에 양이 있다고 믿는다. 실제로 들판 한가운데 언덕 뒤에 양이 있어 X의 믿음은 참이다. 따라서 X는 정당화된 참된 믿음을 갖지만, 이는 우연에 의한 것이므로 지식으로 보기 어렵다.

브라이언 스키름스는 '방화광' 사례를 통해 지식과 인과 관계의 문제를 제기했다.[14] 이 시나리오에서 성냥이 켜진 것은 방화광이 생각하는 이유 때문이 아니라, 알 수 없는 'Q 방사선' 때문이다. 즉, 믿음의 정당화와 실제 참이 되는 원인이 다르므로, 이를 지식으로 보기 어렵다.

앨빈 골드만은 '가짜 헛간' 사례(이 예는 칼 지넷이 제시했다)를 통해 게티어 문제의 또 다른 측면을 강조했다.[15] 이 시나리오에서 어떤 남자는 헛간처럼 보이는 것을 보고 헛간을 보고 있다고 생각하며, 실제로 헛간을 보는 것이 맞다. 그러나 그 지역에는 헛간처럼 보이도록 설계된 가짜 헛간(외관)이 많다는 것을 그는 모른다. 만약 그가 가짜 헛간을 보고 있었다면 구별할 수 없었을 것이므로, 그의 믿음은 근거가 부족하고 따라서 지식으로 보기 어렵다.

6. 게티어 문제에 대한 반응

게티어 문제는 인식론 분야에 큰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다양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다. 크게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지식에 대한 전통적인 정의, 즉 정당화된 참된 믿음(JTB)을 옹호하는 입장이다. 둘째는 JTB에 추가적인 조건을 덧붙여 문제를 해결하려는 입장이다. 셋째는 JTB 대신 다른 조건을 제시하거나, 정당화 개념 자체를 수정하려는 입장이다.[18]

초기 논의에서는 "거짓 전제 없음" 해결책이 제시되었으나, 더 일반적인 유형의 게티어 문제가 제기되면서 비판을 받았다. 예를 들어, 루크가 마크의 사무실에서 마크의 홀로그램을 보고 마크가 방에 있다고 믿는 경우, 루크의 믿음은 정당화된 참된 믿음이지만 지식으로 보기 어렵다. 그러나 이 믿음이 거짓 전제로부터 추론된 것은 아니다.[16]

게티어 문제는 '믿는다'와 '안다'와 같은 용어를 통해 인식론 분야로 논의를 확장시켰다.[18]

6. 1. JTB 이론 옹호

일부 철학자들은 게티어의 반례가 실제로 정당화된 참된 믿음(JTB)의 사례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이들은 게티어 사례에서 제시된 정당화가 충분히 강력하지 않다고 보며, 더 엄격한 정당화 기준을 요구한다.[19]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어떤 믿음이 참이 아닌 것을 정당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명제가 거짓으로 판명된다는 사실 자체가 처음부터 충분히 정당화되지 않았다는 증거가 된다. 따라서 지식에 대한 JTB 정의는 유지되지만, 문제는 지식이 아닌 정당화의 정의로 옮겨간다.

폴 보고시안과 스티븐 힉스와 같은 철학자들은 정당화가 이분법적인 것이 아니라 정도의 문제라고 주장한다. 즉, 어떤 생각은 더 정당화될 수도, 덜 정당화될 수도 있으며, 부분적으로만 정당화될 수도 있다. 게티어 사례는 참이고 믿어지지만 정당화가 약한 명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정당화가 충분히 강력하지 않다면 지식으로 간주될 수 없다는 것이다.

6. 2. 네 번째 조건 추가 (JTB + α)

많은 철학자는 정당화된 참된 믿음(JTB) 조건에 추가적인 조건을 덧붙여 게티어 문제를 해결하려 했다. 이러한 "JTB + α" 접근법은 게티어의 반례를 극복할 수 있는 네 번째 조건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18]

알빈 골드먼은 '인과적' 조건을 추가하여, 주체의 믿음이 그 믿음의 진실에 의해 적절한 방식으로 '야기'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8] 즉, 스미스의 믿음이 우연히 참이 된 게티어 사례는 지식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이론은 적절한 인과 관계를 정의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키스 레러와 토마스 팩슨은 '패배 불가능성 조건'을 추가하여, 주체가 알았더라면 기존의 정당화를 무효화했을 추가적인 진실이 없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8] 예를 들어, 스미스가 존스가 아닌 자신이 일자리를 얻을 것이라는 사실을 알았다면, 그의 믿음은 정당화되지 않았을 것이다.

실용주의 철학자 C.S. 피어스와 윌리엄 제임스는 진리를 이상적인 최종 의견 또는 장기적으로 유익한 결과를 가져오는 신념으로 정의했다. 피어스는 오류 가능성을 강조하고 절대적 확실성을 경계했다.[22]

한편, JTB 이론을 수정하는 대신 지식 개념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프레드 드레츠케와 로버트 노직은 '가정법적' 조건, 즉 p가 거짓이었다면 S는 p를 믿지 않았을 것이라는 조건을 추가했다.[26] 솔 크립키는 '가짜 헛간' 사례를 통해 이 접근법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실험 철학 연구는 게티어 문제에 대한 직관이 문화 간에 다를 수 있음을 시사했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일관되게 재현되지 않았다.[30][31][32][33] 최근 연구는 다양한 문화권 사람들이 게티어 문제에 대해 유사한 직관을 공유한다는 증거를 제시한다.[34]

6. 3. 정당화 조건 대체 또는 수정

일부 철학자들은 게티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정당화 조건을 다른 조건으로 대체하거나 수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게티어의 사례들이 제기하는 문제를 받아들이면서도, 지식에 대한 JTB(정당화된 참된 믿음) 설명에서 '정당화' 대신 다른 조건을 사용하거나( ?TB ), 정당화 조건을 아예 제거하는 방식을 제안한다.[18]

폴 보고시안[19]과 스티븐 힉스 같은 철학자들은 정당화가 이분법적인 것이 아니라 정도의 문제라고 주장한다. 즉, 어떤 믿음은 더 강하게 정당화될 수도 있고, 덜 정당화될 수도 있으며, 심지어 부분적으로만 정당화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르면, 게티어의 사례들은 참이고 믿어지지만, 정당화가 약한 명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문제가 된다.[18]

JTB 이론을 수정하는 대신, 지식 개념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었다. 이들은 정당화, 증거, 확실성 같은 개념들이 '지식'이라는 더 기본적인 개념으로 분석되어야 한다고 본다. 지식은 사실성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JTB 이론은 이러한 사실성을 값싸게 얻으려 하거나 순환 논증에 빠진다고 비판받는다.[18]

6. 4. 실용주의적 접근

C.S. 피어스와 윌리엄 제임스에 의해 발전된 프래그머티즘은 철학적 학설로서, 지식의 실용적 가치에 주목한다.[21] 피어스는 진리를 명목상 기호와 대상의 일치, 실용적으로는 충분한 조사를 통해 도달할 이상적인 최종 의견으로 정의했다. 제임스는 신념이 장기적으로 우리에게 "작동"하고 세상을 통해 빠르게 안내한다면 참이라고 보았다.

피어스는 형이상학이 실용적인 접근 방식으로 정리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당신이 당신의 개념의 대상이 갖는다고 생각하는 실질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효과를 생각해 보라. 그러면 그러한 효과에 대한 당신의 개념이 그 대상에 대한 당신의 개념 전체이다.[21]

제임스에게 특정한 신념이 참이고 정당화되었다고 말할 수 있는지 정의하는 것은 단순한 현학자의 연습 이상으로 여겨졌지만, 그 신념이 유익한 결과를 가져왔는지 분별하는 것은 유익한 활동이었다.

피어스는 오류 가능성을 강조하고 절대적 확실성 주장을 탐구에 대한 장벽으로 간주했으며,[22] 1901년에 진리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진리는 과학적 신념을 가져오는 끝없는 조사가 향하는 이상적인 한계와 추상적 진술의 일치이며, 그 일치는 추상적 진술이 그 부정확성과 편향성을 고백함으로써 가질 수 있으며, 이 고백은 진리의 본질적인 요소이다."[23] 즉, 어떤 무자격 주장도 틀릴 가능성이 있으며, 자신의 무지와 틀릴 수 있음을 인식하는 소크라테스적 태도가 더 정직하다는 것이다. 실제 문제에서는 결정과 자신감을 가지고 행동해야 하지만 말이다.[24]

6. 5. 회의주의적 접근

리처드 커크햄은 신념을 가진 사람의 증거가 그 신념을 논리적으로 반드시 참으로 만들지 않는 한, 어떤 지식의 정의도 반례에 취약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대부분의 경우 신념을 가진 사람의 증거가 신념을 반드시 참으로 만들지 않기 때문에, 커크햄은 지식에 대한 회의주의를 받아들인다. 하지만 그는 어떤 신념이 지식은 아니더라도 여전히 합리적일 수 있다고 지적한다. (불가지론 참고)[18]

6. 6. 문제 해소 시도

일부 철학자들은 게티어 문제가 잘못된 전제에서 비롯되었다고 주장하며, 문제 해소를 시도했다. 이들은 정당화 개념에 대한 외재주의적 접근을 통해 게티어의 반례가 실제로 정당화된 믿음의 사례가 아니라고 주장한다.[29]

이러한 주장은 "정당화"가 믿는 사람의 내적 상태뿐만 아니라, 그 내적 상태가 외부 세계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는 외재주의적 설명을 따른다. 외재주의적 설명에 따르면, 게티어 문제의 사례에서 스미스의 믿음은 실제로 정당화되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의 믿음이 세계와 올바른 방식으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18]

또 다른 견해는 정당화와 비정당화가 이항 대립이 아니라는 것이다. 대신 정당화는 정도의 문제이며, 어떤 생각은 더 정당화되거나 덜 정당화될 수 있다. 이러한 정당화 개념은 폴 보고시안[19]과 스티븐 힉스와 같은 철학자들이 지지한다.

7. 한국 사회와 게티어 문제

게티어 문제는 단순한 철학적 논의를 넘어 한국 사회에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정보화 사회에서 지식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정보의 신뢰성과 정당성은 더욱 중요한 문제가 되었다. 가짜 뉴스와 허위 정보가 범람하는 현대 사회에서, 게티어 문제는 참된 정보와 거짓 정보를 구별하고, 정당화된 믿음을 형성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준다.

특히 언론, 정치, 사회 전반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 왜곡과 조작은 민주주의 사회의 건전한 토론과 의사 결정을 위협한다. 따라서 게티어 문제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는 정보 사회를 살아가는 시민들에게 필수적인 소양이 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의 관점에서 보면, 게티어 문제는 보수 언론과 정치 세력이 의도적으로 정보를 왜곡하고 여론을 조작하는 현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데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또한, 게티어 문제는 사회 자유주의적 가치를 옹호하고, 합리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진실에 접근하려는 노력을 강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8. 결론

게티어 문제는 지식의 본질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제기하며, 현대 인식론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에드먼드 게티어가 제기한 이 문제는 철학적 자연주의의 부상과 외재주의적 정당화 이론으로의 전환을 이끌었다.[10] 존 L. 폴록과 조셉 크루즈는 게티어 문제가 "현대 인식론의 성격을 근본적으로 바꾸었고", "지식을 분석하는 데 명확한 장벽을 제기하기 때문에 인식론의 중심 문제가 되었다"고 평가했다.[11]

이 문제에 대해 로버트 노직은 '만약 p가 참이었다면, S는 p를 믿었을 것이다', '만약 p가 거짓이었다면, S는 p를 믿지 않았을 것이다'라는 조건을 추가하여 진실 추적(truth-tracking) 설명을 제시했다.[26] 그러나 솔 크립키는 "가짜 헛간 국가 사례"를 통해 이러한 관점도 여전히 문제가 있음을 지적했다.[26]

로버트 포겔린은 게티어 문제에 대한 대화적 해결책을 제시하며, 지식 주장을 하는 사람과 평가하는 사람 사이의 정보 불일치가 문제의 핵심이라고 지적했다.[27]

이처럼 게티어 문제는 다양한 해결 방안이 제시되었지만, 여전히 완벽한 해결책은 찾지 못했다. 하지만 게티어 문제에 대한 논의는 지식, 정당화, 진리, 믿음 등의 개념을 더 깊이 이해하고, 정보 사회에서 비판적 사고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데 기여했다.

참조

[1] 논문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https://academic.oup[...] 2018-04-05
[2] 웹사이트 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 https://fitelson.org[...]
[3] 논문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Using Gettier-Type Thought Experiments https://digitalcommo[...] University of Denver 2020-12-25
[4] 백과사전 The Analysis of Knowledge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9-02-23
[5] 서적 Knowledge: A Very Short Introduc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Recognizing Reality: Dharmakirti's Philosophy and its Tibetan Interpretations https://books.google[...] SUNY Press
[7] 논문 Gettier and Factivity in Indo-Tibetan Epistemology https://ir.stthomas.[...]
[8] 서적 The Concealed Art of The Soul: Theories of Self and Practices of Truth in Indian Ethics and Epistem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9] 서적 Conditions of Knowledge: An Introduction to Epistemology and Education https://archive.org/[...] Scott, Foresman 1965-01-01
[10] 서적 Internalism and Epistemology: The Architecture of Reason Routledge 2007-01-01
[11] 서적 Contemporary Theories of Knowledg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1999-01-01
[12] 서적 Warrant: The Current Debate Oxford University Press 1992-01-01
[13] 서적 Theory of Knowledge 1966-01-01
[14] 논문 The Explication of 'X knows that p' 1967-06-22
[15] 논문 Discrimination and Perceptual Knowledge 1976-11-18
[16] 논문 Gettier Cases without False Lemmas? http://dx.doi.org/10[...] 2006-07-05
[17] 논문 Zagzebski, L. (1994). The Inescapability of Gettier Problems https://philpapers.o[...]
[18] 웹사이트 Theory of Knowledge - The Gettier Problem http://www.jimpryor.[...]
[19] 서적 Fear of Knowledge: Against relativism and constructivism https://global.oup.c[...] Clarendon Press 2007-01-01
[20] 웹사이트 Philosopher http://www.umass.edu[...] 2007-02-07
[21] 간행물 Issues of Pragmaticism https://archive.org/[...]
[22] 간행물 F.R.L. [First Rule of Logic] http://www.princeton[...] 2012-01-06
[23] 서적 Truth and Falsity and Error
[24] 간행물 Philosophy and the Conduct of Life
[25] 논문 Conclusive reasons 1971-05-01
[26] 서적 Philosophical Explanations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1981-01-01
[27] 서적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7-13
[28] 서적 Lines of Thought: Rethinking Philosophical Assumptions CSP 2013-07-13
[29] 논문 Funding Models for Collaborative Information Resources and Repositories: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Experience 2010-01-01
[30] 논문 Normativity and Epistemic Intuitions 2001-01-01
[31] 논문 No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the Gettier car case intuition: A replication study of Weinberg et al. 2001 https://philpapers.o[...] 2015-01-01
[32] 논문 On Normativity and Epistemic Intuitions: Failure of Replication 2014-01-01
[33] 논문 Intuitions and Experiments: A Defense of the Case Method in Epistemology https://philpapers.o[...] 2012-11-01
[34] 논문 Gettier Across Cultures 2015-08-01
[35] 웹사이트 The JTB Theory https://spot.colorad[...] University of Colorado Boulder 2024-06-02
[36] 문서
[37]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1-11-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