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건의 시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건의 시간은 기독교 신앙에서 개인적인 기도와 성경 공부를 통해 하나님과의 교제를 위한 시간을 의미한다. 19세기 말에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으며, 1940년대 이후 영국과 북미 복음주의 개신교 신자들 사이에서 아침 묵상을 대체하며 널리 퍼졌다. 경건의 시간은 성경 읽기, 기도, 묵상 등을 포함하며, 20세기 중반 빌리 그레이엄에 의해 널리 알려지면서 복음주의 개신교 신앙의 중요한 관행이 되었다. 오늘날 다양한 묵상 자료가 활용되며, 율법주의적 경향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의 기도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 과정에서 가톨릭 교회의 성무일도에서 파생되어 예배, 기도, 성례 등의 절차를 담은 규칙서로, 영어 예배와 성서학 및 고전문헌학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기도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기독교의 기도 - 기독교 신비주의
    기독교 신비주의는 하느님의 직접적이고 변혁적인 임재를 준비하고 자각하며 영향을 받는 기독교 신앙 및 실천으로, 그 어원은 "숨기다"라는 뜻의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하느님의 "임재"에 대한 "의식"을 강조하는 독특한 경험으로 이해된다.
  • 복음주의 - 국제 SIL
    국제 SIL은 윌리엄 캐머런 타운센드에 의해 1934년 설립된 비정부기구로, 초기 선교 활동과 함께 시작하여 현재는 전 세계 언어 연구, 멸종 위기 언어 보존, 언어 데이터베이스 에스놀로그 출판 등의 활동을 하고 있으나, 선교 활동 연관성으로 비판도 받고 있다.
  • 복음주의 - 율법과 복음
    율법과 복음은 기독교 신학의 핵심 개념으로, 율법은 하나님의 뜻을 드러내고 죄를 깨닫게 하며,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소식을 의미한다.
  • 성경 - 코이네 그리스어
    코이네 그리스어는 알렉산드로스 대왕 정복 후 헬레니즘 시대에 아티카 방언을 기반으로 형성되어 지중해 세계의 공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신약성서 기록과 동로마 제국 시대를 거쳐 중세 및 현대 그리스어의 기초가 된 언어이다.
  • 성경 - 오순절
    오순절은 유대교의 칠칠절과 기독교의 성령 강림을 기념하는 날로, 유대교에서는 율법 수여를 기념하는 수확절이며, 기독교에서는 예수 승천 후 성령 강림을 기념하고, 50번째를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부활절 날짜에 따라 날짜가 달라진다.
경건의 시간
개요
정의'기독교인이 개인적으로 하나님과 교제하는 시간. 성경을 읽고 묵상하며 기도하는 시간을 포함한다.'
목적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 형성, 영적 성장, 하나님의 뜻 분별
중요성영적 건강 유지, 유혹 극복, 하나님의 인도하심 경험
관련 성경 구절"그러나 여호와를 앙망하는 자는 새 힘을 얻으리니 독수리가 날개치며 올라감 같을 것이요 달음박질하여도 곤비하지 아니하겠고 걸어가도 피곤하지 아니하리로다." (이사야 40:31)
"새벽 오히려 미명에 예수께서 일어나 나가 한적한 곳으로 가사 거기서 기도하시니" (마가복음 1:35)
방법
장소조용한 곳, 방, 자연 속 등
시간매일 일정한 시간, 아침 시간 권장
준비성경, 기도 수첩, 펜
내용성경 읽기 (묵상하며)
기도 (개인적인 필요, 다른 사람을 위한 기도)
찬양
묵상 내용 기록
유의사항
꾸준함규칙적인 시간 갖기
집중방해 요소 제거
솔직함하나님께 마음을 열고 진솔하게 대화
적용묵상한 내용을 삶에 적용
경건의 시간
다른 이름묵상 시간, 조용한 시간, 개인 경배 시간, QT (Quiet Time)
관련 활동성경 읽기, 기도, 묵상, 찬양, 일기 쓰기
목적하나님과의 관계 강화, 영적 성장 촉진, 삶의 방향 설정, 평안과 기쁨 경험
효과스트레스 감소, 긍정적인 사고방식 함양, 문제 해결 능력 향상, 감사하는 마음 갖기

2. 역사

예수가 개인적인 기도 시간을 가졌다는 점에서 경건의 시간 개념의 기원을 찾기도 한다.[3] '경건의 시간'이라는 용어는 19세기 말에 처음 사용되었으며, 20세기 중반 영국과 북아메리카의 복음주의 개신교 내에서 개인 신앙 실천 방식으로 널리 퍼졌다. 이는 기존의 '아침 묵상'과 달리 성경 공부와 묵상을 통해 하나님과의 교제를 강조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 개념은 기독교 선교 연합회에서 시작되어 해리 포스딕, 옥스퍼드 그룹 등을 통해 알려졌으며, 특히 1945년 인터-버시티 기독교 교류회의 소책자 발간 이후 내비게이터, 캠퍼스 크루세이드 포 크라이스트 등 대학생 선교 단체를 중심으로 크게 확산되었다. 1950년대 빌리 그레이엄 목사가 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경건의 시간은 현대 복음주의 개신교의 대표적인 신앙 실천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2. 1. 용어의 등장과 발전

예수가 종종 혼자 기도하는 시간을 가졌다는 점에서 경건의 시간 개념의 뿌리를 찾기도 한다. 누가복음 5장 16절에는 "예수는 물러가사 한적한 곳에서 기도하시니라"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를 예수의 경건의 시간, 즉 기도와 하나님과의 교제 시간으로 해석하기도 한다.[3]

'경건의 시간'이라는 용어 자체는 19세기 말에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1940년대에 이르러 이 개념은 영국과 북아메리카의 복음주의 개신교 신자들 사이에서 널리 퍼지기 시작했으며, 기존의 '아침 묵상' 방식을 대체하게 되었다. '아침 묵상'은 주로 기도 요청이나 간구에 초점을 맞춘 반면, '경건의 시간'은 성경 공부와 묵상을 도입하여 하나님께 귀 기울이는 것을 더 강조했다. 물론 여전히 요청을 위한 시간도 포함되었지만, 성경 읽기, 찬양, 죄의 고백, 감사, 그리고 하나님께 귀 기울이는 시간이 함께 구성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경건의 시간'은 더 조용한 성격을 띠게 되었다.

경건의 시간(조용한 시간이라고도 불림)은 처음 기독교 선교 연합회에서 개발되었으며, 해리 포스딕과 같은 근대주의 개신교 신자들, 옥스퍼드 그룹, 그리고 알코올 중독자 익명회 창립에 영향을 준 새뮤얼 슈메이커 등이 이를 홍보했다. 그러나 경건의 시간이 본격적으로 확산된 계기는 인터-버시티 기독교 교류회(Inter-Varsity Christian Fellowship)가 1945년에 "경건의 시간"이라는 제목의 소책자를 출판하면서부터이다. 인터-버시티를 통해 복음주의 대학생들 사이에 널리 알려지면서, 내비게이터(The Navigators)나 캠퍼스 크루세이드 포 크라이스트(Campus Crusade for Christ, 현 Cru)와 같은 다른 신복음주의 캠퍼스 사역 단체들도 이 방식을 채택하게 되었다. 1950년대에는 빌리 그레이엄 목사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경건의 시간은 20세기 중반부터 현재까지 가장 널리 알려진 복음주의 개신교 신앙 실천 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2. 2. 복음주의 운동과 확산

"경건의 시간"이라는 용어는 19세기 말에 처음으로 언급되었다.[3] 1940년대에 이르러서는 영국과 북아메리카의 복음주의 개신교 신자들 사이에서 개인적인 기도를 위한 가장 널리 퍼진 방식이 되었는데, 이는 기존의 '아침 묵상'이라는 퀘스윅 개념을 대체한 것이었다. 아침 묵상이 주로 탄원 기도나 기도 요청에 중점을 둔 반면, 경건의 시간은 성경 공부와 묵상을 도입하여 하나님께 귀 기울이는 것을 강조했다. 물론 요청을 위한 시간도 여전히 포함되었지만, 성경 읽기, 찬양의 기도, 죄의 고백, 감사의 기도, 그리고 하나님께 귀 기울이는 시간이 함께 마련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경건의 시간은 이전보다 더 조용한 성격을 띠게 되었고, 이것이 이름에 반영되었다.

처음에는 기독교 선교 연합회에서 '조용한 시간'이라는 이름으로 개발되었으며, 근대주의 개신교 신학자로 알려진 해리 포스딕과 옥스퍼드 그룹, 그리고 알코올 중독자 익명회 창립에 영향을 준 새뮤얼 슈메이커 등이 이를 알리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경건의 시간이 본격적으로 확산된 것은 인터-버시티 기독교 교류회(Inter-Varsity Christian Fellowship)가 1945년에 "경건의 시간(Quiet Time)"이라는 제목의 소책자를 출판하면서부터였다. 인터-버시티가 복음주의 성향의 대학생들 사이에서 이 개념을 널리 알리자, 내비게이터(The Navigators)와 캠퍼스 크루세이드 포 크라이스트(Campus Crusade for Christ, 현 Cru)를 포함한 다른 신복음주의 캠퍼스 사역 단체들도 이 방식을 채택하게 되었다. 이후 1950년대에 빌리 그레이엄 목사가 이를 받아들이면서, 경건의 시간은 20세기 중반부터 현재까지 복음주의 개신교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신앙 실천 방식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3. 한국교회에서의 경건의 시간

(내용 없음)

3. 1. 묵상집과 자료의 활용

오늘날 서점에서는 성경 묵상을 돕는 다양한 '묵상집'을 찾아볼 수 있다. 이 책들은 예수가 사용했던 예수의 비유처럼 이야기나 일화를 통해 성경의 원리를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 안내서 역할을 한다. 오스왈드 챔버스의 ''나의 가장 큰 소원''은 잘 알려진 묵상집 중 하나이다. 주로 기독교 전문 서점에서 판매되지만, 일반 서점의 '영감' 코너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일부 기독교 공동체에서는 성경 읽기 계획표를 활용하여 꾸준한 묵상을 돕는다. 예를 들어 크리스텔피안 공동체는 '성경 동반자'와 같은 자료를 통해 매일 성경의 특정 부분을 읽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계획표는 보통 하루에 네 장 정도를 읽도록 구성되어 있어, 체계적으로 성경 전체를 읽고 각 책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스코틀랜드의 목사 로버트 머레이 맥체인이 고안한 성경 읽기 계획도 널리 사용된다. 이 계획은 1년 동안 신약과 시편을 두 번, 구약을 한 번 읽도록 구성되어 있다. 맥체인의 계획은 D. A. 카슨의 저서 ''For the Love of God|하나님을 사랑하기 위하여eng''(ISBN 0851115896)에도 (약간 수정된 형태로) 소개되었으며, 영어 표준 버전(ESV)[7]이나 신 영어 번역(NET) 등 여러 성경 번역본에서도 추천하는 방식이다.[8] 최근에는 엘리엇 영(Elliott Young)이 제안한 1년 성경 읽기 방식도 있다. 그의 묵상집 ''The Word at Workeng''(ISBN 978-1500332358)와 ''The Spirit at Workeng''(ISBN 978-1496034830)에서는 매일 세 편의 시편을 읽도록 하여, 1년에 최소 일곱 번 이상 시편 전체를 읽게 한다.

이 외에도 해설이나 주석이 포함된 스터디 바이블을 활용하는 것도 경건의 시간을 갖는 데 도움이 된다.

4. 경건의 시간의 활용

제리 에반스(Jerry Evans)와 베키 에반스(Becky Evans)는 경건의 시간이 기독교인에게 격려와 힘, 통찰력을 주는 시간이며, 영혼을 위한 "영적 양식"이라고 주장한다.[4][13] 그들은 경건의 시간이 "사람의 일생 동안 지속되는" "하나님께 온전히 집중하는 시간"이라고 말한다.[5]

키스 뉴먼(Keith Newman)은 경건의 시간이 의식적인 성경 공부와 표현적인 기도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열린 마음으로 듣고 하나님의 인도를 기다리는 시간이기도 하다고 설명한다.[6][14]

릭 워렌은 경건의 시간 동안 성경을 단순히 읽는 것과 성경을 깊이 공부하는 것 사이에는 차이가 있다고 강조한다.[1][10]

5. 경건의 시간을 위한 자료

제리와 베키 이반스는 경건의 시간이 기독교인에게 힘과 통찰력을 주며 영혼의 양식이라고 설명한다.[13] 케스 뉴만은 의식적인 공부와 기도뿐 아니라, 열린 마음으로 듣고 인도받기를 기다리는 시간이라고 보았다.[14] 릭 워렌은 단순히 성경을 읽는 것과 경건의 시간 속에서 성경을 공부하는 것은 다르다고 강조했다.[10]

오늘날에는 경건의 시간을 돕기 위한 다양한 묵상 서적, 소위 "묵상집"이 많이 출판되어 있다. 이러한 책들은 종종 예수가 사역에서 사용한 예수의 비유와 유사하게 성경적 원리를 전달하는 이야기나 일화를 포함하여 안내된 성경 공부 내용을 담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오스왈드 챔버스가 저술한 ''나의 가장 큰 소원''을 들 수 있다. 많은 기독교 서점에서는 이러한 유형의 책에 전체 섹션을 할애하지만, 일부 국가에서는 세속 서점에서도 판매되며, 종종 "영감" 섹션에 진열된다.

묵상집 외에도, 성경 전체를 체계적으로 읽도록 돕는 성경 읽기 일정이나 주석이 포함된 스터디 바이블 등 다양한 자료들이 경건의 시간을 위해 활용된다.

5. 1. 성경 읽기표와 스터디 바이블

일부 기독교 공동체(예: 크리스텔피안)는 성경 연구를 돕기 위해 성경 읽기 일정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성경 동반자'(Bible Companion)에서 제안된 일정은 하루에 약 네 장씩 읽도록 하여, 독자가 체계적으로 성경 전체를 통독하고 다양한 책의 맥락을 유지하며 특정 영역에 소홀해지지 않도록 돕는다.

스코틀랜드의 목사 로버트 머레이 맥체인 역시 1년 안에 성경 전체를 통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고안했다. 이 계획은 신약과 시편을 1년에 두 번, 구약을 한 번 읽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프로그램은 D. A. Carson의 저서 ''하나님을 사랑하기 위하여''(For the Love of God)에 일부 수정된 형태로 포함되었으며, 영어 표준 버전 (ESV)[7]이나 새 영어 번역 (NET)과 같은 여러 성경 출판사에서도 권장하고 있다.[8] 비교적 최근에는 엘리엇 영(Elliot Young)이 하루에 세 편의 시편을 읽도록 제안하는 유사한 1년 성경 읽기 묵상집, ''The Word at Work''와 ''The Spirit at Work''를 내놓았는데, 이를 통해 최소 1년에 일곱 번 시편 전체를 읽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주석이나 해설이 포함된 스터디 바이블을 활용하는 것 역시 성경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이다.

6. 비판

복음주의 신학자 그렉 존슨은 경건의 시간이 때때로 은혜의 수단이 아닌 율법처럼 취급되거나, 그리스도가 이룬 성취보다 개인의 행위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변질될 수 있다고 비판한다.[15][9] 그는 이러한 실천이 성경에 직접 명령된 것이 아니며 역사적으로도 보편적이지 않았음을 지적하며, 율법주의적 경향을 경계할 것을 강조한다.[9]

6. 1. 율법주의적 경향에 대한 경계

복음주의 신학자 그렉 존슨은 이 개념이 때로는 복음주의자들에 의해 은혜의 수단을 대신하여 율법으로 취급되는 방식에 대해 비판한다. 그는 그리스도인들이 개인의 경건 시간을 행위적인 것으로 여겨, 그리스도가 이미 성취한 것에 어긋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15][9]

존슨은 기도성경 묵상의 삶을 옹호하면서도, 개인적인 경건의 시간이 마치 '수행의 쳇바퀴'처럼 되어버리는 상황을 경계한다. 즉, 그리스도인들이 그리스도가 행한 일 대신 자신이 하는 일에 따라 하나님과의 매일의 관계가 결정된다고 느끼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조용한 시간'의 실천이 성경에 직접적으로 명령된 것은 아니며, 인쇄술의 발달과 특정 경제적 여건이 갖추어져 대부분의 그리스도인들이 자신만의 성경을 소유할 수 있게 되기 전까지 수 세기 동안은 보편적으로 행해지기 어려웠음을 강조한다.[9]

한편, 성경에는 다니엘이 하루에 세 번씩 하나님을 만나 대화하고 그분의 말씀을 들었다는 기록이 있다(다니엘 6:10). 또한 다윗 왕은 시편 전체에서 종종 하나님과 함께하는 시간을 언급하며(아침과 저녁), 복음서(마태, 마가, 누가, 요한)는 예수 역시 정기적으로 조용하고 외딴 곳에서 아버지와 만났음을 기록하고 있다(마가 1:35; 마태 14:13; 요한 6:15). 사도 바울 역시 그가 하나님과 대화하는 시간을 보냈던 여러 경우를 암시한다. 이러한 사례들은 경건의 시간 자체의 의미를 보여주지만, 존슨의 비판은 이것이 율법주의적인 행위로 변질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6. 2. 건강한 경건의 시간

기독교인에게 경건의 시간은 격려와 강화, 통찰력을 주는 시간이며, 영혼을 위한 "영적 양식"으로 여겨진다.[4] 이는 "사람의 일생 동안 지속되는", "하나님께 온전히 집중하는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5] 이러한 시간은 단순히 의식적인 성경 연구와 표현적인 기도를 넘어, 열린 마음으로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인도를 기다리는 시간이기도 하다.[6]

릭 워렌은 경건의 시간 동안 성경을 읽는 것과 성경 공부 사이에 차이가 있다고 주장한다.[1] 그러나 복음주의 신학자 그렉 존슨은 경건의 시간이 때때로 은혜의 수단이 아닌 율법처럼 취급되는 경향을 비판한다. 그는 기도와 성경 묵상의 삶 자체를 옹호하면서도, 개인적인 경건의 시간이 그리스도가 이미 이룬 구원을 바탕으로 하기보다, 개인의 행위에 따라 하나님과의 관계가 결정된다고 느끼게 하는 '수행의 쳇바퀴'가 될 수 있음을 우려한다.[15][9] 존슨은 경건의 시간 실천이 성경에 명확히 명령된 것은 아니며, 인쇄술의 발달과 경제적 여건 변화로 대부분의 신자가 개인적으로 성경을 소유할 수 있게 되기 전까지는 보편적으로 실천하기 어려웠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를 절대적인 의무로 여기는 시각에 신중한 접근을 요구한다.[9]

성경에서는 다니엘이 하루 세 번씩 하나님과 교제했으며(다니엘서 6:10), 다윗 왕 역시 시편 곳곳에서 아침저녁으로 하나님과 함께하는 시간을 언급한다. 복음서(마태, 마가, 누가, 요한)는 예수께서도 정기적으로 조용하고 외딴 곳에서 아버지 하나님과 만나셨음을 기록하고 있다(마가복음 1:35; 마태복음 14:13; 요한복음 6:15). 사도 바울 또한 여러 차례 하나님과 대화하는 시간을 가졌음을 암시한다. 이러한 성경적 사례들은 경건의 시간의 의미와 중요성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제시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Bible Study Methods: Twelve Ways You Can Unlock God's Word
[2] 서적 The Journey
[3] 서적 The Spirituality of Jesus: Nine Disciplines Christ Modeled for Us
[4] 서적 Quiet Times
[5] 서적 Quiet Times
[6] 간행물 The Quiet Time https://web.archive.[...] Initiatives of Change 2010-12-15
[7] 웹사이트 ESV Bible Reading Plans http://www.esv.org/b[...]
[8] 웹사이트 NET Daily Reading Plans http://net.bible.org[...]
[9] 웹사이트 Freedom from Quiet Time Guilt https://web.archive.[...] Gregscouch.homestead.com 2010-07-02
[10] 서적 Bible Study Methods: Twelve Ways You Can Unlock God's Word
[11] 서적 The Journey
[12] 서적 The Spirituality of Jesus: Nine Disciplines Christ Modeled for Us
[13] 서적 Quiet Times
[14] 간행물 The Quiet Time http://www.iofc.org/[...] Initiatives of Change 2018-02-14
[15] 웹인용 Freedom from Quiet Time Guilt https://web.archive.[...] Gregscouch.homestead.com 2010-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