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는 경상남도에서 지정한, 보존할 가치가 있는 무형의 문화유산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용호놀이, 한량무, 문창제놀이, 마산농청놀이, 감내게줄당기기, 판소리, 장도장, 숭선전제례, 진주포구락무, 함안화천농악, 징장, 밀양법흥상원놀이, 거창삼베일소리, 연관장, 가야진용신제, 의령큰줄땡기기, 진주교방굿거리춤, 불모산영산재, 웅상농청장원놀이, 소목장, 신관용류가야금산조, 남해선구줄끗기, 진주오광대, 사천마도갈방아소리, 거창일소리, 두석장, 매듭장, 함안낙화놀이, 영제시조, 함양 송순주, 거창삼베길쌈, 김해오광대, 마산성신대제, 함안농요, 거창상여디딜방아액막이소리, 염색장, 광려산숯일소리, 함양방짜유기장, 작약산예수재, 합천대평군물농악 등 다양한 종류의 공연, 놀이, 공예 기술, 제례 및 의식 등이 포함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 - 한량무
    한량무는 조선 후기 남사당패에서 유래하여 진주 교방에서 전승되는 7인의 춤으로, 한량, 별감, 승려, 색시 등의 등장인물을 통해 당시 사회상을 풍자하며, 북, 장구 등 악기 반주에 맞춰 춤사위를 펼친다.
  • 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 - 진주포구락무
    진주포구락무는 진주 지역의 연회 및 행사에서 공연된 춤으로, 궁중 문화의 영향을 받아 상벌을 주는 방식, 개수장의 창사, 세령산 반주 등의 특징을 지니며 진주민속예술보존회를 중심으로 맥을 이어오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
    경상북도의 무형문화재는 지역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자 지정된 무형 문화유산으로 농악, 민요, 술 제조, 공예 기술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하며 현재 46개가 지정되어 있으나 후계자 부족 등으로 해제된 것도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무형유산 -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
    전라남도의 무형문화재는 남도민요, 농악, 전통 공예, 전통주 제조법, 의례 음식 등 전라남도 지역의 다양한 무형 문화유산을 보존하기 위해 지정된 문화재로서, 전라남도는 예산 지원, 전승 장려 사업, 홍보 활동 등을 통해 보존 및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경상남도의 무형문화재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지정 정보
유형무형문화재
지역경상남도
분류대한민국의 무형문화재
세부 목록
목록진주삼천포농악
한산대첩승전무
덧배기춤
가산오광대
진주검무
통영오광대
고성오광대
진주포구락무
밀양백중놀이
창녕영산쇠머리대기
의령큰줄땡기기
김해오광대
남해별신굿
통영앉은굿
통영갓일
밀양법흥상원놀이
거창삼베삼기
함안화천농악
진주한량무
통영매듭장
통영소반장
사천마도갈방아소리
밀양감내게줄당기기
양산사찰농악
하동차시배지다례
진주소목장
통영나전칠기장
거제외줄타기
함안농요
밀양용두레질소리
합천밤마리소리
창원진동고현농요
김해가야금산조
통영조각장
거창 앉은반굿
하동 화개장터 범패
창녕 우포늪 풀피리
합천 율곡밤소리
밀양 금강 밀양백중놀이
산청 옻칠장
거제 두억고개 호상놀이
합천 황강 솟대놀이
양산 가야진용신제
거제 죽도 지신밟기

2.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지정 목록

경상남도 무형문화재는 예술, 공예기술, 제례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다음은 지정된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목록이다.

번호사진명칭소재지지정일
1호
고성오광대경남 전역1964년 1월 1일 지정, 1964년 12월 24일 해제, 국가무형문화재 제7호로 승격
2호용호놀이경남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818-521991년 12월 27일
3호한량무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96-8 (진주시전통예술회관)1979년 5월 2일
4호고성농요경남 고성군 고성읍 동외리1979년 5월 2일 지정, 1985년 12월 1일 해제, 중요무형문화재 제84-가호로 승격
5호문창제놀이경남 창원시 의창구 용호로265번길 401980년 12월 26일
6호마산농청놀이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3.15대로 138 (중앙동1가)1983년 8월 6일
7호감내게줄당기기경남 밀양시 내이동 4211983년 8월 6일
8호판소리(고법)경남 사천시 벌리동 주공APT 103-2101985년 1월 23일
9호판소리(수궁가)경남 사천시 사천읍 정의리 3911985년 1월 23일
10호장도장(은장도)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76 진주시장도장전수교육관1987년 5월 19일
11호숭선전제례경남 김해시 가락로 293번길 261990년 12월 20일
12호
진주포구락무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96-8 (진주시전통예술회관)1991년 12월 23일
13호함안화천농악경남 함안군 칠북면 화천리 1751991년 12월 23일
14호징장경남 거창군 정장리 100-11993년 1월 8일
15호금속장(장도,연관)경남 울산시 중구 서동 5181993년 12월 27일 지정, 1997년 10월 9일 해제
16호밀양법흥상원놀이경남 밀양시 단장면 법흥리 631993년 12월 27일
17호거창삼베일소리경남 거창군 송정리 2301995년 5월 2일
18호연관장경남 진주시 문산읍 삼문리 11481995년 5월 2일
19호가야진용신제경남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1997년 1월 30일
20호의령큰줄땡기기경남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24길 31-11997년 1월 30일
21호진주교방굿거리춤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96-8 진주시전통예술회관1997년 1월 30일
22호불모산영산재경남 창원시 교방동 4892002년 2월 9일
23호웅상농청장원놀이경남 양산시 웅상읍 명곡마을2002년 4월 4일
24호소목장(통영소반)경남 통영시 도천동 1552002년 4월 4일
25호신관용류가야금산조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96-8 진주시전통예술회관2002년 8월 14일
26호남해선구줄끗기경남 남해군 남면 선구마을2003년 6월 12일
27호
진주오광대경남 진주시 판문동 산171-12003년 6월 12일
28호사천마도갈방아소리경남 사천시2004년 3월 18일
29호소목장경남 진주시 명석면 광제산로26번길 72004년 10월 21일
30호거창일소리경남 거창군 거창읍2004년 10월 21일
31호두석장경남 진주시 남강로1번길 76 진주시두석장전수교육관2005년 1월 13일
32호매듭장경남 창원시2007년 1월 11일
33호함안낙화놀이경남 함안군2008년 10월 30일
34호영제시조경남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 16길 62010년 11월 11일
35호함양 송순주경남 함양군2012년 3월 8일
36호거창삼베길쌈경남 거창군 거창읍 수남로 2193-402013년 1월 3일
37호김해오광대경남 김해시 분성로 225(외동, 김해문화원내)2015년 3월 5일
38호마산성신대제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삼호로 632016년 5월 4일
39호함안농요경남 함안군2016년 9월 1일
40호거창상여디딜방아액막이소리경남 거창군2016년 12월 15일
41호불모산영산재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서원곡1길 220 (교방동, 백운사)2016년 12월 15일
42호염색장(쪽물장)경남 김해시2017년 10월 12일
43호광려산숯일소리경남 창원시2017년 12월 21일
44호함양방짜유기장경남 함양군2017년 12월 21일
45호작약산예수재경남 밀양시 초동면 오방길 31-562019년 8월 1일
47호합천대평군물농악경남 합천군 초계면 동부로12402023년 6월 29일


  • 1호 고성오광대: 1964년 1월 1일 지정되었다가 1964년 12월 24일 해제, 국가무형문화재 제7호로 승격되었다.
  • 4호 고성농요: 1979년 5월 2일 지정되었다가 1985년 12월 1일 해제, 중요무형문화재 제84-가호로 승격되었다.
  • 15호 금속장: 1993년 12월 27일에 지정되었다가 1997년 10월 9일에 해제되었다.
  • 35호 함양 송순주: 술을 빚는 기술과 관련된 유일한 무형문화재이다.

2. 1. 공연 및 놀이

경상남도는 탈춤, 농악, 민요, 줄다리기 등 다채로운 전통 공연 및 놀이 문화를 보존하고 있다.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공연 및 놀이)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2호용호놀이경남 밀양시1991년 12월 27일
3호한량무경남 진주시1979년 5월 2일
5호문창제놀이경남 창원시1980년 12월 26일
6호마산농청놀이경남 창원시1983년 8월 6일
7호감내게줄당기기경남 밀양시1983년 8월 6일
8호판소리(고법)경남 사천시1985년 1월 23일
9호판소리(수궁가)경남 사천시1985년 1월 23일
12호진주포구락무경남 진주시1991년 12월 23일
13호함안화천농악경남 함안군1991년 12월 23일
16호밀양법흥상원놀이경남 밀양시1993년 12월 27일
17호거창삼베일소리경남 거창군1995년 5월 2일
19호가야진용신제경남 양산시1997년 1월 30일
20호의령큰줄땡기기경남 의령군1997년 1월 30일
21호진주교방굿거리춤경남 진주시1997년 1월 30일
22호불모산영산재경남 창원시2002년 2월 9일
23호웅상농청장원놀이경남 양산시2002년 4월 4일
25호신관용류가야금산조경남 진주시2002년 8월 14일
26호남해선구줄끗기경남 남해군2003년 6월 12일
27호진주오광대경남 진주시2003년 6월 12일
28호사천마도갈방아소리경남 사천시2004년 3월 18일
30호거창일소리경남 거창군2004년 10월 21일
33호함안낙화놀이경남 함안군2008년 10월 30일
34호영제시조경남 의령군2010년 11월 11일
36호거창삼베길쌈경남 거창군2013년 1월 3일
37호김해오광대경남 김해시2015년 3월 5일
38호마산성신대제경남 창원시2016년 5월 4일
39호함안농요경남 함안군2016년 9월 1일
40호거창상여디딜방아액막이소리경남 거창군2016년 12월 15일
41호불모산영산재경남 창원시2016년 12월 15일
43호광려산숯일소리경남 창원시2017년 12월 21일
45호작약산예수재경남 밀양시2019년 8월 1일
47호합천대평군물농악경남 합천군2023년 6월 29일


  • 1호 고성오광대: 1964년 1월 1일 지정되었다가 1964년 12월 24일 해제, 국가무형문화재 제7호로 승격되었다.
  • 4호 고성농요: 1979년 5월 2일 지정되었다가 1985년 12월 1일 해제, 중요무형문화재 제84-가호로 승격되었다.


진주오광대, 김해오광대는 탈춤, 함안화천농악, 합천대평군물농악은 농악, 진주교방굿거리춤, 한량무, 판소리(고법), 판소리(수궁가), 신관용류가야금산조, 영제시조는 음악, 용호놀이, 문창제놀이, 마산농청놀이, 감내게줄당기기, 밀양법흥상원놀이, 가야진용신제, 의령큰줄땡기기, 웅상농청장원놀이, 남해선구줄끗기, 함안낙화놀이는 놀이, 거창삼베일소리, 사천마도갈방아소리, 거창일소리, 함안농요, 거창상여디딜방아액막이소리, 광려산숯일소리는 민요, 불모산영산재, 마산성신대제, 작약산예수재는 의식에 해당한다.

2. 1. 1. 탈춤

탈춤은 가면을 쓰고 춤과 노래, 연극을 하는 전통 공연 예술이다.

2. 1. 2. 농악

농악은 농사일을 할 때 피로를 덜고 흥을 돋우기 위해 연주하는 음악이다.

2. 1. 3. 민요

경상남도 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요는 노동요가 주를 이루며, 특히 농업과 어업 관련 민요가 많다. 통영, 거제 등 해안 지역에서는 어업요가 발달했으며, 내륙 지역에서는 농업요가 주를 이루고 있다.

민요는 지역민들의 삶과 애환을 담고 있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2. 1. 4. 놀이

(참조할 원문 소스가 비어있으므로, 내용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2. 1. 5. 춤

주어진 참조할 원문 소스(source)가 비어있어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는 이전 응답과 동일하며,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2. 1. 6. 음악

요약에 따르면,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중 음악 섹션은 전통 악기 연주와 노래를 통해 예술성을 표현하는 무형문화재를 다룬다. 그러나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관련 내용이 없다. 따라서 현재로서는 작성할 수 있는 내용이 없다.

2. 2. 공예 기술

경상남도에서는 전통적인 방식으로 물건을 만드는 기술을 보존하기 위해 여러 공예 기술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있다.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공예 기술 목록
번호명칭지정일
10호장도장 (은장도)1987년 5월 19일
14호징장1993년 1월 8일
18호연관장1995년 5월 2일
24호소목장 (통영소반)2002년 4월 4일
29호소목장2004년 10월 21일
31호두석장2005년 1월 13일
32호매듭장2007년 1월 11일
42호염색장 (쪽물장)2017년 10월 12일
44호함양방짜유기장2017년 12월 21일


2. 2. 1. 장도장 (粧刀匠)

장도장은 칼집이 있는 작은 칼인 장도를 만드는 장인이다.

2. 2. 2. 소목장 (小木匠)

소목장은 나무로 가구나 소품을 만드는 장인을 말한다.

2. 3. 제례 및 의식

용호놀이, 숭선전제례, 가야진용신제, 의령큰줄땡기기, 불모산영산재, 마산성신대제, 작약산예수재 등이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례 및 의식 관련 분야로 지정되어 있다.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례 및 의식
번호명칭소재지지정일
2호용호놀이경남 밀양시 무안면 무안리 818-521991년 12월 27일
11호숭선전제례경남 김해시 가락로 293번길 261990년 12월 20일
19호가야진용신제경남 양산시 원동면 용당리1997년 1월 30일
20호의령큰줄땡기기경남 의령군 의령읍 의병로24길 31-11997년 1월 30일
22호, 41호불모산영산재경남 창원시 (교방동 489, 마산합포구 서원곡1길 220)2002년 2월 9일, 2016년 12월 15일
38호마산성신대제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 삼호로 632016년 5월 4일
45호작약산예수재경남 밀양시 초동면 오방길 31-562019년 8월 1일


  • 용호놀이: 경남 밀양시 무안면에서 전승되는 놀이로, 조상 숭배와 관련된 의식이다.
  • 숭선전제례: 경남 김해시에 있는 숭선전에서 지내는 제례로, 조상 숭배 의식을 보여준다.
  • 가야진용신제: 경남 양산시 원동면에서 행해지는 제사로, 물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며 공동체 의식을 강화한다.
  • 의령큰줄땡기기: 경남 의령군에서 전승되는 줄다리기로, 공동체 의식과 관련된 민속놀이이다.
  • 불모산영산재: 경남 창원시 불모산에서 행해지는 불교 의식으로, 신앙과 관련된 문화를 보여준다.
  • 마산성신대제: 경남 창원시 마산회원구에서 열리는 제사로, 별의 신에게 제사를 지내며 공동체 의식을 강화한다.
  • 작약산예수재: 경남 밀양시 초동면에서 행해지는 불교 의식으로, 신앙과 관련된 문화를 보여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