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슴도치와 여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슴도치와 여우'는 고대 그리스 시인 아르킬로코스의 경구를 바탕으로, 작가와 사상가를 고슴도치와 여우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아이제아 벌린의 개념이다. 고슴도치는 하나의 핵심 아이디어로 세상을 보는 반면, 여우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세상을 이해한다. 이 개념은 경영, 예측,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었으며, 각 분야의 인물들을 고슴도치형과 여우형으로 분류하는 데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프 톨스토이를 소재로 한 작품 - 톨스토이의 마지막 인생
    《톨스토이의 마지막 인생》은 1910년 톨스토이의 마지막 해를 배경으로, 아내 소피야와 제자 체르트코프의 대립, 톨스토이의 이상과 소피야의 갈등, 그리고 톨스토이의 죽음을 다룬 영화이다.
  • 가공의 고슴도치 - 섀도우 더 헤지혹
    섀도우 더 헤지혹은 세가의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에 등장하는 인공 고슴도치 캐릭터로, 빠른 속도와 카오스 에메랄드를 사용하며 마리아 로보트닉과의 기억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다양한 미디어에 등장하며 소닉의 아군으로 활동하기도 한다.
  • 가공의 고슴도치 - 소닉 더 헤지혹 (캐릭터)
    소닉 더 헤지혹은 세가에서 개발한 파란 고슴도치 캐릭터로, 빠른 속도를 특징으로 하며 닥터 에그맨과 대립하고 테일즈, 에이미 로즈, 너클즈 등과 함께 모험을 펼치며 여러 미디어로 확장되었다.
고슴도치와 여우 - [서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제목고슴도치와 여우: 톨스토이의 역사관에 대한 에세이
원제The Hedgehog and the Fox: An Essay on Tolstoy's View of History
저자이사야 벌린
삽화가해당사항 없음
표지 미술가해당사항 없음
국가영국
언어영어
시리즈해당사항 없음
주제해당사항 없음
장르해당사항 없음
출판사바이덴펠트 & 니콜슨
출판일1953년
미디어 유형해당사항 없음
페이지 수해당사항 없음
ISBN해당사항 없음
OCLC해당사항 없음
이전 작품해당사항 없음
다음 작품해당사항 없음

2. 아르킬로코스의 경구와 벌린의 해석

고대 그리스의 시인 아르킬로코스의 단편에는 "πόλλ' οἶδ' ἀλώπηξ, ἀλλ' ἐχῖνος ἓν μέγαgrc" (여우는 많은 것을 알고 있지만, 고슴도치는 한 가지 큰 것을 안다)라는 경구가 있다.[3] 에라스무스의 1500년 저서 ''아다지아''에는 이 표현이 ''Multa novit vulpes, verum echinus unum magnum''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 경구는 고슴도치는 큰 것 하나를 아는 동물을, 여우는 많은 것을 아는 동물을 상징한다. 아이제아 벌린은 이 개념을 확장하여 작가와 사상가를 고슴도치와 여우,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었다.

2. 1. 아이제아 벌린의 해석과 분류

아이제아 벌린은 아르킬로코스의 경구를 바탕으로 작가와 사상가를 두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하나의 결정적인 아이디어로 세상을 보는 고슴도치에는 플라톤, 루크레티우스, 블레즈 파스칼, 마르셀 프루스트, 페르낭 브로델 등이 있으며, 광범위한 경험을 통해 세상을 보는 여우에는 아리스토텔레스,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무스,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등이 있다.[3]

벌린은 레프 톨스토이가 이 두 그룹 중 하나로 정의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톨스토이의 재능은 여우의 것이지만, 그의 신념은 고슴도치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벌린은 이를 바탕으로 톨스토이의 소설 ''전쟁과 평화''에 나타난 역사 이론을 분석한다.

벌린은 톨스토이와 19세기 초 사상가 조제프 드 메스트르를 비교한다. 이들은 표면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대립했지만, 존재의 근본적인 본질과 합리적인 과학적 접근 방식의 한계에 대해서는 매우 유사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벌린은 톨스토이가 본질적으로 여우였지만 신념에 따라 고슴도치였다고 결론짓는다. 이러한 이중성이 톨스토이의 말년에 큰 고통을 안겨주었다고 말한다.

마이클 월저는 베를린 자신을 많은 것을 아는 사람으로, 찰스 테일러는 베를린에 의해 고슴도치라고 불렸으며, 이를 인정했다.[9]

법 철학자 로널드 드워킨은 그의 저서 ''Justice for Hedgehogs''에서 단일하고 포괄적이며 일관된 도덕적 진실의 틀을 옹호한다.

음악 역사학자 베르톨트 획너는 바그너반유대주의 역사학홀로코스트의 역사학과 마찬가지로, 고슴도치와 같은 기능주의 분파와 여우와 같은 의도주의 분파로 나뉜다고 보았다.[10]

옥스퍼드 철학자 피터 해커는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이 "본질적으로 고슴도치였지만, 1929년 이후, 엄청난 지적이고 상상력 있는 노력을 통해 전형적인 여우로 변모했다"고 평가했다.[11]

클라우디오 벨리즈는 베를린의 구성을 사용하여 앵글로아메리카와 스페인 정착 및 통치 패턴을 대조했다.

피터 키비는 현재 예술 철학을 여우의 시대(가장 잘 대표되는 사람은 노엘 캐롤)로 묘사하면서, 이전의 고슴도치의 시대(가장 잘 대표되는 사람은 아서 단토)와 대조했다.[12]

정치 경제학자 다니 로드릭은 "자유주의 패러다임"을 모든 것에 항상 적용하는 "고슴도치" 주류 정통 경제학자와, 시대, 장소 및 상황에 따라 다른 답을 가진 "여우" 이단(정치) 경제학자를 구분했다.[13]

호프만 경은 영국 상원 Designers Guild Ltd v Russell Williams (Textiles) Ltd 사건의 판결에서 "저작권법은 고슴도치보다 여우를 더 잘 보호한다"고 언급했다.[14]

언어학자 마크 아로노프는 언어학자들을 언어 이론을 강조하는 사람들과 경험적 정확성과 일반화를 강조하는 사람들로 나누고, 자신을 여우라고 규정했다.[15]

3. 여우형 인간과 고슴도치형 인간

이사야 벌린은 아르킬로코스의 단편에서 영감을 받아 사람들을 크게 두 가지 유형, 즉 여우형 인간과 고슴도치형 인간으로 분류했다. 고슴도치는 큰 것 하나를 아는 동물을 대표하는 반면, 여우는 많은 것들을 아는 것을 상징한다. 벌린은 이 개념을 확장하여 작가와 사상가들을 두 부류로 나누었다.

고슴도치형 인간은 한 가지 큰 아이디어나 관점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반면, 여우형 인간은 다양하고 폭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세상을 이해한다. 벌린은 고슴도치형 인간의 예로 플라톤, 단테, 도스토예프스키, 니체 등을, 여우형 인간의 예로는 아리스토텔레스, 에라스무스, 윌리엄 셰익스피어,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등을 들었다.[9]

이후 여러 학자, 작가, 비평가들이 벌린의 분류법을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고 확장시켰다. 마이클 월저는 벌린 자신과 다른 현대 정치 철학자들을 비교하는 데 이 묘사를 사용했고, 찰스 테일러는 벌린에 의해 고슴도치형 인간으로 분류된 것을 인정했다.[9] 로널드 드워킨은 자신의 저서에서 단일하고 포괄적인 도덕적 진실의 틀을 옹호하며 '고슴도치를 위한 정의'라는 제목을 붙였다. 베르톨트 획너는 바그너반유대주의 역사학을 기능주의와 의도주의라는 두 분파로 나누면서 벌린의 구분을 적용했다.[10] 피터 해커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을, 클라우디오 벨리즈는 앵글로아메리카와 스페인의 정착 패턴을, 피터 키비는 예술 철학을, 다니 로드릭은 경제학자를, 호프만 경은 저작권법을 설명하는 데 벌린의 구분을 사용했다.[14] 마크 아로노프는 언어학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면서 자신을 여우라고 규정했다.[15]

3. 1. 여우형 인간

여우형 인간은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세상을 이해하며, 유연하고 개방적인 사고방식을 가진다. 이사야 벌린은 여우형 인간의 예시로 아리스토텔레스, 에라스무스, 윌리엄 셰익스피어, 요한 볼프강 폰 괴테 등을 언급했다.[9] 이 외에도 제임스 조이스, 워렌 버핏, 힐러리 클린턴 등이 여우형 인간으로 분류된다.

이름비고
아리스토텔레스이사야 벌린이 원 에세이에서 언급[9]
윌리엄 셰익스피어이사야 벌린이 원 에세이에서 언급[9]
제임스 조이스이사야 벌린이 언급
워렌 버핏
힐러리 클린턴"다양한 주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훨씬 더 편안하게 생각한다"[27]


3. 2. 고슴도치형 인간

벌린은 하나의 큰 아이디어라는 렌즈를 통해 세계를 보는 사람들을 고슴도치형 인간으로 분류했다. 이러한 관점을 가진 대표적인 인물로는 플라톤, 단테, 니체, 도스토예프스키 등이 있다.[9]

마이클 월저와 같은 일부 저자들은 베를린 자신과 현대 정치 철학자들의 좁은 시야를 비교하면서, 베를린의 분류 방식을 사용했다. 베를린의 제자이자 캐나다 철학자인 찰스 테일러는 베를린에 의해 고슴도치형 인간으로 분류되었으며, 2007년 템플턴상을 받은 후 이를 인정했다.[9]

법 철학자 로널드 드워킨은 2011년 저서 ''Justice for Hedgehogs''에서 단일하고 포괄적이며 일관된 도덕적 진실의 틀을 옹호했다.

음악 역사학자 베르톨트 획너는 2007년 에세이 "바그너와 악의 기원"에서 베를린의 구분을 적용하고 확장했다. 획너는 바그너의 반유대주의 역사학홀로코스트 역사학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주요 분파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하나는 작곡가의 유대 문화에 대한 험담을 단순한 문화 동화 수사로 보는 고슴도치와 같은 기능주의 분파이고, 다른 하나는 이를 진정으로 제거주의적인 ''유덴하스''의 폭력적인 표현으로 보는 여우와 같은 의도주의 분파이다.[10]

옥스퍼드 철학자 피터 해커는 그의 저서 ''Wittgenstein's Place in Twentieth-Century Analytic Philosophy''에서 이 비유를 사용하여 베를린의 톨스토이(고슴도치가 되고 싶어하는 여우)와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을 대조했다. 비트겐슈타인은 "본질적으로 고슴도치였지만, 1929년 이후, 엄청난 지적이고 상상력 있는 노력을 통해 전형적인 여우로 변모했다".[11]

클라우디오 벨리즈는 1994년 저서 ''The New World of the Gothic Fox: Culture and Economy in English and Spanish America''에서 베를린의 구성을 사용하여 앵글로아메리카와 스페인 정착 및 통치 패턴을 대조했다.

피터 키비는 현재 예술 철학을 여우의 시대(가장 잘 대표되는 사람은 노엘 캐롤)로 묘사하면서, 이전의 고슴도치의 시대(가장 잘 대표되는 사람은 아서 단토)와 대조하면서 에세이를 언급했다.[12]

하버드 정치 경제학자 다니 로드릭은 2015년 저서 ''Economics Rules: The Rights and Wrongs of the Dismal Science''에서 "자유주의 패러다임"을 모든 것에 항상 적용하는 "고슴도치" 주류 정통 경제학자와, 시대, 장소 및 상황에 따라 다른 답을 가진 "여우" 이단(정치) 경제학자를 구분하는 데 이 구분을 적용한다.[13]

주요 판사 호프만 경은 영국 상원 Designers Guild Ltd v Russell Williams (Textiles) Ltd 사건의 판결에서 "저작권법은 고슴도치보다 여우를 더 잘 보호한다"고 언급했다.[14]

언어학자 마크 아로노프는 언어학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었다. 그는 언어 이론을 강조하는 사람들과 경험적 정확성과 일반화를 강조하는 사람들로 구분하고, 자신을 여우라고 규정하면서 "고슴도치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여우인 내가 완전히 합리적이거나 심지어 평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그들이 그렇게 격렬하게 반응하는 이유가 항상 특히 궁금했다."라고 말했다.[15]

다음은 고슴도치형 인간으로 분류되는 인물들의 예시이다.

이름분류비고
플라톤이사야 벌린원문 에세이에서
단테 알리기에리이사야 벌린원문 에세이에서
프리드리히 니체이사야 벌린원문 에세이에서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이사야 벌린원문 에세이에서
에이브러햄 링컨존 루이스 개디스여우 같은 수단을 사용한 고슴도치
칼 E. 라이샤르트제임스 C. 콜린스"모든 것을 본질적인 단순함으로 축약했다"[18]
마일스 데이비스게리 기딘스"여우가 되기를 믿는 타고난 고슴도치"[19]
웬디스톰 가라"핵심 버거 라인업에 집중했다"[20]
카를 마르크스이사야 벌린원문 에세이에서
아인 랜드찰스 머레이[21]
나폴레옹존 루이스 개디스[22]
윈스턴 처칠필립 테틀록"자신의 고정관념을 방해하는 모순된 정보를 용납하지 않는 사람"[23][24]
르네 지라르로베르토 칼라소[25]
조지 워싱턴조셉 엘리스[1]"그가 아는 한 가지 큰 것은 미국의 국가로서의 미래가 서부에 있다는 것이었다"[26]
존 듀이리처드 로티[19]
버니 샌더스해럴드 메이어슨[27]
토머스 에디슨토머스 P. 휴즈[28]


4. 각 분야에 미친 영향

'여우형'과 '고슴도치형' 개념은 철학, 음악사학, 역사학, 예술 철학, 경제학, 법학, 언어학, 대중문화 등 여러 분야에 걸쳐 폭넓게 활용되었다.


  • 철학: 마이클 월저는 이사야 벌린을 다양한 지식을 가진 여우형 인물로, 다른 정치 철학자들을 좁은 시야를 가진 고슴도치형 인물로 대비시켰다.[9] 벌린의 제자인 찰스 테일러는 자신을 고슴도치형이라고 인정했다.[9] 로널드 드워킨은 저서 ''Justice for Hedgehogs''에서 단일하고 포괄적인 도덕적 진실의 틀을 옹호하며 고슴도치형 사고방식을 지지했다. 피터 해커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을 본래 고슴도치형이었으나 노력으로 여우형으로 변모한 철학자로 평가했다.[11]
  • 음악사학: 베르톨트 획너는 바그너반유대주의문화 동화의 일환으로 보는 기능주의적 해석(고슴도치형)과 제거주의적 표현으로 보는 의도주의적 해석(여우형)으로 구분했다.[10]
  • 역사학: 클라우디오 벨리즈는 앵글로아메리카와 스페인의 정착 및 통치 패턴을 비교하면서 베를린의 구분을 적용했다.
  • 예술 철학: 피터 키비는 아서 단토로 대표되는 고슴도치의 시대와 노엘 캐롤로 대표되는 여우의 시대를 비교하며, 현대 예술 철학을 여우의 시대로 묘사했다.[12]
  • 경제학: 다니 로드릭은 모든 상황에 자유주의 패러다임을 적용하는 주류 경제학자들을 고슴도치형으로, 상황에 따라 다른 답을 제시하는 경제학자들을 여우형으로 구분했다.[13]
  • 법학: 호프만 경은 Designers Guild Ltd v Russell Williams (Textiles) Ltd 판결에서 저작권법이 여우를 더 잘 보호한다고 언급했다.[14]
  • 언어학: 마크 아로노프는 언어학자들을 언어 이론을 중시하는 고슴도치형과 경험적 정확성을 중시하는 여우형으로 나누고, 자신을 여우형으로 규정했다.[15]
  • 대중문화:
  • 우디 앨런의 영화 ''부부의 조건''에서는 등장인물이 자신이 아는 사람들이 고슴도치형인지 여우형인지 생각하는 장면이 나온다.[16]
  • 록 밴드 루나의 앨범 ''펜트하우스''에는 "Hedgehog"이라는 노래가 수록되어 있으며, 가사에 "당신은 여우인가, 아니면 고슴도치인가?"라는 질문이 등장한다.[16]
  • 리처드 세라의 조각 작품 "고슴도치와 여우"는 프린스턴 대학교에 설치되어 있다.[17]

4. 1. 경영 및 예측 분야

제임스 C. 콜린스는 2001년 저서 《Good to Great》에서 이 이야기를 언급하며 고슴도치 사고방식에 대한 선호를 분명히 보여주었다.

필립 E. 테틀록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정치 심리학 교수는 2005년 저서 《Expert Political Judgment》에서 다양한 분야(특히 정치)의 전문가와 예측가의 정확성에 대한 탐구에서 이 구분을 크게 활용했다.[4][5] 테틀록은 대부분의 전문가와 고액 연봉의 전문가들이 하나의 큰 아이디어를 가진 고슴도치처럼 생각한다는 상당한 연구 결과를 요약했으며, 평균적으로 그들은 형편없는 예측을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에 여우처럼 종종 상반되는 다양한 출처에서 정보를 얻는 사람들은 더 나은 예측을 한다. 그러나 둘 다 종종 자기 회귀 분산 시차 모형과 같은 모형에 의해 패배한다.[6]

네이트 실버는 2012년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The Signal and the Noise》에서 베를린의 구분을 요약한 후 독자들에게 "더 여우 같아지라"고 촉구한다. 그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정치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냉전 시대에 미국의 정치적 예측의 정확성에 대한 필립 E. 테틀록의 연구를 인용한다. 실버의 뉴스 웹사이트인 fivethirtyeight.com은 2014년 3월에 출시되었을 때 아르킬로코스의 원작을 "암시"하는 의미로 여우를 로고로 채택했다.[7]

4. 2. 정치 및 기타 분야

마이클 월저 등 일부 저자들은 베를린 자신을 많은 것을 알고 있는 사람으로 묘사하며, 다른 현대 정치 철학자들의 좁은 시야와 대비했다. 베를린의 전 제자이자 캐나다 철학자인 찰스 테일러는 베를린에게 고슴도치라는 평을 들었고, 2007년 템플턴상을 받은 후 이를 인정했다.[9]

법 철학자 로널드 드워킨의 2011년 저서 ''Justice for Hedgehogs''는 단일하고 포괄적이며 일관된 도덕적 진실의 틀을 옹호한다.

음악 역사학자 베르톨트 획너는 2007년 에세이 "바그너와 악의 기원"에서 베를린의 구분을 적용하고 확장했다. 획너는 바그너의 반유대주의 역사학홀로코스트 역사학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주요 분파, 즉 작곡가의 유대 문화에 대한 험담을 단순한 문화 동화 수사로 보는 고슴도치 같은 기능주의 분파와 이를 진정으로 제거주의적인 ''유덴하스''의 폭력적인 표현으로 보는 여우와 같은 의도주의 분파로 나뉜다고 보았다.[10]

옥스퍼드 철학자 피터 해커는 저서 ''Wittgenstein's Place in Twentieth-Century Analytic Philosophy''에서 이 비유를 사용하여 베를린의 톨스토이(고슴도치가 되고 싶어하는 여우)와 철학자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을 대조했다. 비트겐슈타인은 "본질적으로 고슴도치였지만, 1929년 이후, 엄청난 지적이고 상상력 있는 노력을 통해 전형적인 여우로 변모했다".[11]

클라우디오 벨리즈는 1994년 저서 ''The New World of the Gothic Fox: Culture and Economy in English and Spanish America''에서 베를린의 구분을 사용하여 앵글로아메리카와 스페인 정착 및 통치 패턴을 대조했다.

피터 키비는 현재 예술 철학을 여우의 시대(가장 잘 대표되는 사람은 노엘 캐롤)로 묘사하면서, 이전의 고슴도치의 시대(가장 잘 대표되는 사람은 아서 단토)와 대조하면서 에세이를 언급했다.[12]

하버드 정치 경제학자 다니 로드릭은 2015년 저서 ''Economics Rules: The Rights and Wrongs of the Dismal Science''에서 "자유주의 패러다임"을 모든 것에 항상 적용하는 "고슴도치" 주류 정통 경제학자와, 시대, 장소 및 상황에 따라 다른 답을 가진 "여우" 이단(정치) 경제학자를 구분하는 데 이 구분을 적용했다.[13]

주요 판사 호프만 경은 영국 상원 Designers Guild Ltd v Russell Williams (Textiles) Ltd 사건의 판결에서 "저작권법은 고슴도치보다 여우를 더 잘 보호한다"고 언급했다.[14]

언어학자 마크 아로노프는 언어학자들을 언어 이론을 강조하는 사람들과 경험적 정확성과 일반화를 강조하는 사람들, 두 그룹으로 나눈다. 그는 자신을 여우라고 규정하면서 "고슴도치가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여우인 내가 완전히 합리적이거나 심지어 평범하다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그들이 그렇게 격렬하게 반응하는 이유가 항상 특히 궁금했다."라고 말했다.[15]

5. 한국 사회와 여우형/고슴도치형 인간

한국 사회는 역사적으로 '고슴도치형' 사회의 특징을 보여왔지만, 민주화와 경제 성장을 거치면서 '여우형'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6. 비판과 한계

벌린의 이분법적 분류는 지나치게 단순화되었으며, 현실의 복잡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참조

[1] 서적 Conversations with Isaiah Berlin
[2] 뉴스 The Hedgehogs of Critical Race Theory https://www.wsj.com/[...] 2021-08-14
[3] 서적 Chinese Village Life Today: Building Families in an Age of Transi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1
[4] 뉴스 Learning how to think https://www.nytimes.[...] 2009-04-06
[5] 간행물 Why foxes are better forecasters than hedgehogs http://longnow.org/s[...] Long Now Foundation 2007-01-26
[6] 뉴스 Q24038183
[7] 뉴스 What the Fox Knows http://fivethirtyeig[...] 2014-03-17
[8] 뉴스 Vulpine Virtues and Strategic Success https://warontherock[...] 2021-08-14
[9] 서적 Spiritual Thinking http://www.templeton[...] Templeton
[10] 학술지 Wagner and the Origin of Evil http://oq.oxfordjour[...]
[11] 서적 Wittgenstein's Place in Twentieth Century Analytic Philosophy Blackwell
[12] 서적 Conversations on Art and Aesthetics http://aesthetics-co[...] Oxford University Press 2017
[13] 서적 Economics Rules: The Rights and Wrongs of the Dismal Science Norton & Co.
[14] 웹사이트 House of Lords Judgments - Designer Guild Ltd v Russell Williams (Textiles) Ltd https://publications[...] 2022-08-21
[15] 문서 A fox knows many things but a hedgehog one big thing in The Cambridge Handbook of Morphology: Issues in Morphological Theory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뉴스 On the Origins of Foxes and Hedgehogs https://slate.com/cu[...] 2021-08-14
[17] 웹사이트 The Hedgehog and the Fox http://artmuseum.pri[...] Princeton University Art Museum
[18] 웹사이트 Hedgehog Concept in the Business Sectors: An Excerpt from ''Good To Great'' https://www.jimcolli[...] 2021-08-14
[19] 뉴스 On the Origins of Foxes and Hedgehogs https://slate.com/cu[...] 2021-08-14
[20] 뉴스 McDonald's and Wendy's: A Modern-Day Fox vs Hedgehog http://blogs.wsj.com[...] 2014-01-24
[21] 뉴스 Charles Murray on Ayn Rand https://www.cato.org[...] Cato Institute 2021-08-14
[22] 학술지 Master Plan: An Interview with John Lewis Gaddis https://octavianrepo[...] 2021-08-14
[23] 잡지 Everybody's an Expert https://www.newyorke[...] 2021-08-14
[24] 뉴스 What Can Isaiah Berlin Teach Us About Defense Analysis? https://thediplomat.[...] 2021-08-14
[25] 뉴스 The Last of the Hedgehogs https://lareviewofbo[...] 2021-08-14
[26] 서적 Founding Brothers: The Revolutionary Generation Knopf 2000-10-17
[27] 뉴스 Bernie and Hillary, the Hedgehog and the Fox https://prospect.org[...] 2021-08-14
[28] 서적 Networks of Power: Electrification in Western Society, 1880-1930 https://books.google[...] JHU Press 1993
[29] 뉴스 Thinking Like a Fox https://president.ya[...] Yale University 2021-08-14
[30] 웹사이트 Russian Thinkers https://www.penguinr[...] 2021-08-14
[31] 웹사이트 The Proper Study of Mankind https://us.macmillan[...] 2021-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