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스 테일러 (철학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찰스 테일러는 1931년 몬트리올에서 태어난 캐나다의 철학자이다. 그는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맥길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 등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테일러는 다양한 철학 분야에 걸쳐 방대한 업적을 남겼으며, 특히 '자아', '정체성', '세속화' 등에 대한 연구로 유명하다. 그는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 자유주의를 비판하고, '인정의 정치', '다문화주의' 등의 개념을 제시했다. 주요 저서로는 '자아의 원천', '세속의 시대' 등이 있으며, 템플턴상, 교토상, 클루게 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정치 이론가 - 존 랠스톤 소울
존 랠스턴 소울은 캐나다의 작가, 철학자, 비평가, 에세이 작가이며, 소설 출간 및 국제 펜클럽 회장 역임, 캐나다 정체성 등에 대한 사상을 제시하고 《무의식 속의 문명》으로 캐나다 총독 문학상을 수상했다. - 캐나다의 정치철학자 - G. A. 코헨
캐나다 출신 정치철학자 G. A. 코헨은 분석적 마르크스주의의 주요 옹호자로서, 옥스퍼드 대학교 치첼 의장을 역임하며 마르크스의 역사 이론을 옹호하고 사회주의적 이상을 옹호하는 도덕적 주장을 펼쳤으며, 기술 사용을 꺼리는 "기술적 보수주의"자로도 알려졌다. - 캐나다의 정치철학자 - 해럴드 이니스
해럴드 이니스는 캐나다의 경제사학자이자 커뮤니케이션 이론가로서 스테이플스 이론으로 캐나다 경제사 연구에 기여하고, 《제국과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의 편향》 등의 저서를 통해 커뮤니케이션 이론 발전에 공헌했으며, 대학의 비판적 사고 중심 역할도 강조했다. - 캐나다의 대학 교수 - 유진 포시
유진 포시는 캐나다의 헌법학자이자 정치인으로서, 협동연방당 활동과 자유당 상원의원 역임을 통해 사회 정의와 캐나다 연방 통합에 기여했으며, 헌법 연구와 저서 《캐나다인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통치하는가》를 통해 캐나다 정치 제도 발전에 공헌했다. - 캐나다의 대학 교수 - 앤드루 카니
앤드루 카니는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을 연구하며 켈트어파 언어를 주로 연구하는 언어학자이다.
찰스 테일러 (철학자)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찰스 마그레이브 테일러 |
로마자 표기 | Charles Margrave Taylor |
출생일 | 1931년 11월 5일 |
출생지 | 몬트리올, 퀘벡, 캐나다 |
국적 | 캐나다 |
학력 | 맥길 대학교, 발리올 칼리지, 옥스퍼드 대학교 |
소속 | 올 소울스 칼리지, 옥스퍼드 대학교 맥길 대학교 노스웨스턴 대학교 |
배우자 | 알바 로머 테일러 (1956년–1990년, 사별) 오브 빌라드 (1995년~) |
철학적 배경 | |
학파 | 분석철학 (초기) 대륙철학 (해석학) (후기) 공동체주의 헤겔주의 |
주요 관심사 | 사회철학 정치철학 세계시민주의 세속주의 종교 근대성 |
영향 받은 철학자 | 아리스토텔레스 대니얼 벨 아이제이아 벌린 휴버트 드레이퍼스 에밀 뒤르켐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마르틴 하이데거 요한 게오르크 하만 요한 고트프리트 헤르더 알렉산더 폰 훔볼트 이반 일리치 윌리엄 제임스 크리스토퍼 래시 질 리포베츠키 카를 마르크스 조지 허버트 미드 존 맥도웰 모리스 메를로퐁티 아이리스 머독 플라톤 마이클 폴라니 폴 리쾨르 윌프리드 캔트웰 스미스 알렉시 드 토크빌 막스 베버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영향을 준 철학자 | 콰메 앤서니 애피아 대니얼 A. 벨 로버트 N. 벨라 크레이그 칼훈 조지프 어거스틴 디 노이아 마크 스튜어트 에드워즈 악셀 호네트 한스 요아스 숀 도렌스 켈리 니콜라스 콤프리디스 기 라포레스트 잭 레이턴 찰스 린드홈 데이비드 라이언 비쿠 파레크 메리 푸비 마이클 샌델 크리스천 스미스 제임스 K. A. 스미스 알랭 투렌 제임스 털리 마이클 월저 켄 윌버 |
주요 업적 | |
주요 저서 | "자아의 원천" (1989) "현대성의 불만" (1991) "인정의 정치" (1992) "세속 시대" (2007) |
주요 아이디어 | 자유주의에 대한 공동체주의적 비판 형이상학적 자연주의 및 형식주의적 인식론 비판 참여적 해석학 |
학문 활동 | |
박사 학위 논문 제목 | 사회과학에서의 설명 |
박사 학위 지도교수 | 아이제이아 벌린 |
박사 학위 제자 | 루스 애비 프레더릭 C. 베이저 마이클 E. 로젠 마이클 샌델 |
주요 제자 | 리처드 키어니 기 라포레스트 대니얼 와인스톡 |
수상 내역 | |
수상 | 템플턴상 (2007) 교토상 (2008) 클루게상 (2015) 베르그루엔상 (2016) |
2. 생애
찰스 마그레이브 테일러는 1931년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태어나 이중 언어 사용 환경에서 자랐다. 아버지 월터 마그레이브 테일러는 토론토 출신의 강철 재벌이었고, 어머니 시몽 마르게리트 보비앵은 재봉사였다.[22] 그는 맥길대학교에서 역사학 학사 학위를,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철학, 정치 및 경제학 학사 학위와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1]
테일러는 학문적 업적 외에도 사회 운동과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옥스퍼드 재학 시절 핵무기반대운동에 참여했고,[27] 캐나다로 돌아와서는 신민주당 결성에 참여하여 여러 차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맥길대학교와 노스웨스턴 대학교 등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 양성에 힘썼다. 1991년에는 퀘벡 주의 프랑스어 위원회(Conseil de la langue française)에 임명되어 퀘벡의 상업 간판법을 비판하기도 했다. 2007년에는 제라르 부샤르(Gérard Bouchard)와 함께 퀘벡 주에서 소수 문화에 대한 합리적인 편의(reasonable accommodation)를 조사하는 위원회의 공동 의장을 맡았다.[31]
테일러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으며, 여러 상을 받았다. 주요 수상 경력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훈장 및 수상 |
---|---|
1986년 |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외국 명예 회원 |
1995년 | 캐나다 훈장 컴패니언 |
2000년 | 퀘벡 국가 훈장(National Order of Quebec) 대십자장 |
2003년 | 사회과학 및 인문학 연구 위원회(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 연구 업적 금메달 |
2007년 | 템플턴상(Templeton Prize) |
2008년 | 교토상(Kyoto Prize) 사상·예술 부문 |
2015년 | 클루게 상(John W. Kluge Prize) (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와 공동 수상) |
2016년 | 베르그루엔 상(Berggruen Prize) |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찰스 마그레이브 테일러는 1931년 11월 5일 퀘벡주 몬트리올에서 태어났다.[22] 아버지는 앵글로폰(Anglophone) 프로테스탄트 신자였고, 어머니는 프랑코폰(Francophone) 로마 가톨릭 신자여서 테일러는 이중 언어 환경에서 성장했다.[22]1939년부터 1946년까지 셀윈 하우스 스쿨(Selwyn House School)에서,[24][25] 1946년부터 1949년까지 트리니티 칼리지 스쿨(Trinity College School)에서 공부했다.[24][25] 이후 맥길대학교에 진학하여 1952년에 역사학 학사(BA) 학위를 받았다.
옥스퍼드대학교 발리올 칼리지(Balliol College)에서 로즈 장학생으로 1955년 철학, 정치 및 경제학(philosophy, politics and economics) 학사 학위를 1등급 우등으로 취득했다. 그 후 대학원에 진학하여 1961년 아이재야 벌린 경(Sir Isaiah Berlin)의 지도하에 철학 박사(PhD) 학위를 받았다.[1]
2. 2. 학문 및 정치 활동
테일러는 1956년 영국에서 최초의 열핵무기 금지 캠페인 중 하나를 시작했고, 옥스퍼드 핵무기반대운동(Campaign for Nuclear Disarmament)의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27]존 플래메나츠(John Plamenatz)의 뒤를 이어 옥스퍼드대학교 사회 및 정치 이론 칙첼 교수(Chichele Professor of Social and Political Theory) 및 올 소울즈 칼리지(All Souls College) 연구원이 되었다.
몬트리올 맥길대학교에서 정치학과 철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현재는 명예 교수이다.[28] 맥길대학교 은퇴 후 몇 년 동안 일리노이주 에반스턴에 있는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법학 및 철학 교수로 재직했다.
1961년 캐나다로 귀국하여 마길 대학교 철학·정치학 조교수(~1971년)가 되었고, 동시에 케벡 신민주당 결성에 참여, 1962년부터 68년까지 4회에 걸쳐 국정 선거에 도전했다.
1962년부터 1971년까지 몬트리올 대학교(Université de Montréal) 철학 조교수를, 1972년부터 1998년까지 마길 대학교 정치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그 사이 옥스퍼드 대학교 치체리 사회정치이론 교수 등을 역임했다. 1998년부터 마길 대학교 명예교수, 2002년부터 2007년까지 노스웨스턴 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 이사 겸 법철학 교수를 역임했다.
2007년 제라르 부샤르(Gérard Bouchard)와 함께 퀘벡 주에서 소수 문화에 대한 합리적인 편의(reasonable accommodation) 조사 위원회 공동 의장을 역임했다.[31]
2. 3. 수상 경력
- 1986년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American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외국 명예 회원[29]
- 1995년 캐나다 훈장 컴패니언[29]
- 2000년 퀘벡 국가 훈장(National Order of Quebec) 대십자장[29]
- 2003년 사회과학 및 인문학 연구 위원회(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 연구 업적 금메달[29][30]
- 2007년 템플턴상(Templeton Prize)[30]
- 2008년 교토상(Kyoto Prize) 사상·예술 부문[32]
- 2015년 클루게 상(John W. Kluge Prize) (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와 공동 수상)[33]
- 2016년 베르그루엔 상(Berggruen Prize)[34]
3. 철학 사상
방대하고 다양한 철학적 업적에도 불구하고, 찰스 테일러는 자신을 "집착광"이라고 부르며, 설득력 있는 철학적 인간학을 발전시키는 것에만 관심을 갖는다고 말한다.[33]
테일러는 자연주의와 형식주의 인식론을 거부하며, 존 왓슨, 조지 팩스턴 영, C. B. 맥퍼슨, 조지 그랜트를 포함하는 캐나다 관념론 전통의 영향을 받았다.[33]
그는 에세이 "규칙을 따르는 것"에서 사람들이 규칙을 따르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의 종류를 탐구한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해결책을 따라, 규칙의 해석이 암묵적인 배경, 즉 "삶의 형식"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이 삶의 형식은 습관, 성향, 경향의 형태로 우리 몸에 통합된 실천 내에 존재한다.[34]
마르틴 하이데거, 모리스 메를로-퐁티,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마이클 폴라니,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영향을 받은 테일러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주로 표상에 의해 매개된다는 전제를 비판한다. 그는 규칙 자체에는 적용 원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적용을 위해서는 명시되지 않은 이해, 즉 "사물의 감각"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34]
테일러의 후기 연구는 종교철학으로 방향을 틀었으며,[35] 대표적인 저서 ''세속의 시대''에서 맥스 베버 등의 세속화 논제에 반박한다. 그는 현대 세계에서 종교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다양화되고 성장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세속화의 의미에 대한 복잡한 대안적 개념을 제시한다.[35]
3. 1. 주요 연구 분야
찰스 테일러는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연구를 통해 자신의 철학적 기반을 다졌다.[35] 헤겔 철학은 테일러의 사상 전반에 걸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테일러는 마르틴 하이데거, 모리스 메를로-퐁티 등 현대 현상학 및 해석학 사상가들의 영향을 받아 인간 이해에 대한 해석학적 접근을 강조한다.[35] 그는 인간의 이해와 인식이 의미 해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고 보았으며, 자신의 철학적 관점을 "참여적 해석학(engaged hermeneutics)"이라고 칭하기도 했다.
언어철학 분야에서 테일러는 언어와 인간 본성의 관계를 탐구했다. 그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영향을 받아 규칙 따르기의 문제를 다루면서, 규칙의 해석이 암묵적인 배경, 즉 "삶의 형식"에 의존한다고 주장했다.
정치철학 분야에서 테일러는 자유주의-공동체주의 논쟁을 주도하며,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 자유주의 이론의 한계를 비판했다.
테일러는 사회이론 분야에서 현대 사회의 정체성, 다문화주의, 세속화, 종교 등의 문제를 다루었다. 특히, 그는 세속화 논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종교의 역할과 의미를 새롭게 조명하고자 했다.
3. 2. 핵심 개념
찰스 테일러는 철학적 인간학을 발전시키는 데 주력하며, 자연주의와 형식주의 인식론을 거부한다. 그는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마르틴 하이데거, 모리스 메를로-퐁티 등의 영향을 받았다.[33]테일러는 사람들이 규칙을 따르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필요한 지식의 종류를 탐구한다. 그는 규칙의 해석이 암묵적인 배경, 즉 "삶의 형식"에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삶의 형식은 습관, 성향, 경향의 형태로 우리 몸에 통합된 실천 내에 존재한다.[34]
테일러는 세계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주로 표상에 의해 매개된다는 전제를 비판하며, 명시되지 않은 배경이 있어야만 표상이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규칙에는 그 자체의 적용 원리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적용을 위해서는 명시되지 않은 이해, 즉 "사물의 감각"이 필요하다.[34]
테일러의 후기 연구는 종교철학으로 방향을 틀었으며, 특히 세속화 논제에 대한 비판적인 접근을 보여준다.[35] 그는 ''세속의 시대''에서 현대 세계에서 종교가 사라진 것이 아니라 다양화되고 성장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세속화의 의미에 대한 복잡한 대안적 개념을 제시한다.[35]
4. 저서
찰스 테일러는 철학, 정치학, 사회학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방대한 저술을 남겼다. 초기 저작으로는 행동주의 심리학을 비판한 《행동의 설명》(1964)이 있으며, 이후 《헤겔》(1975)과 《헤겔과 현대 사회》(1979)를 통해 헤겔 철학을 심도 있게 연구했다. 1989년 출간된 《자아의 근원》은 현대 정체성의 형성에 대한 포괄적인 분석을 제시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
1990년대 이후 테일러는 《현대성의 불안》(1991), 《진정성의 윤리》(1991) 등을 통해 현대 사회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철학적 논증》(1995)에서 자신의 철학적 입장을 체계적으로 제시했다. 2000년대에는 《오늘날 종교의 다양성》(2002), 《현대 사회적 상상력》(2004), 《세속 시대》(2007) 등을 통해 종교와 세속주의의 관계를 탐구했다.
또한, 테일러는 에이미 굿먼이 편집한 《다문화주의와 "인정의 정치"》(1992), 비팃 문타폰(태국어: วิทิต มันตาภรณ์|위팃 문타폰th)과 함께 저술한 《민주주의로 가는 길》(1994) 등 공동 저서를 통해 현실 정치 문제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다음은 찰스 테일러의 주요 저서 및 번역서 목록이다.
출판 연도 | 원제 | 한국어 번역 제목 (출판사, 출판 연도) |
---|---|---|
1964 | The Explanation of Behaviour | 행동의 설명 |
1979 | Hegel and Modern Society | 와타나베 요시오 역, 『헤겔과 근대사회』(岩波書店, 1981) |
1985 | Human Agency and Language | 철학 논문집 제1권: 인간의 행위와 언어 |
1985 | Philosophy and the Human Sciences | 철학 논문집 제2권: 철학과 인문과학 |
1989 | Sources of the Self: The Making of Modern Identity | 시모카와 키요시·사쿠라이 토오루·타나카 토모히코 역, 『자아의 원천―근대적 정체성의 형성』(名古屋大学出版会, 2010) |
1991 | The Ethics of Authenticity | 타나카 토모히코 역, 『"진짜"라는 윤리―근대와 그 불안』(산업도서, 2004 / 지쿠마 학예문고(ちくま学芸文庫), 2023) |
1993 | Reconciling the Solitudes: Essays on Canadian Federalism and Nationalism | 고독의 화해: 캐나다 연방주의와 민족주의에 관한 에세이 |
1995 | Philosophical Arguments | 철학적 논증 |
2002 | Varieties of Religion Today: William James Revisited | 이토 쿠니타케·사사키 타카시·미야케 타케후미 역, 『오늘날 종교의 여러 모습』(岩波書店, 2009) |
2004 | Modern Social Imaginaries | 우에노 시게토시 역, 『근대―상상된 사회의 계보』(岩波書店, 2010) |
2007 | A Secular Age | 치바 마사 감수, 『세속의 시대』(상·하, 名古屋大学出版会, 2020) |
4. 1. 단독 저서
- 《행동의 설명(The Explanation of Behaviour)》 (1964)
- 《정치의 패턴(The Pattern of Politics)》 (1970)
- 《인간 과학에서의 설명과 해석(Erklärung und Interpretation in den Wissenschaften vom Menschen)》 (1975)
- 《헤겔(Hegel)》 (1975)
- 《헤겔과 현대 사회(Hegel and Modern Society)》 (1979)
- 《실천으로서의 사회이론(Social Theory as Practice)》 (1983)
- 《인간 행위와 언어(Human Agency and Language)》 (1985)
- 《철학과 인간 과학(Philosophy and the Human Sciences)》 (1985)
- 《자아의 근원(Sources of the Self: The Making of Modern Identity)》 (1989)
- 《현대성의 불안(The Malaise of Modernity)》 (1991)
- 《진정성의 윤리(The Ethics of Authenticity)》 (1991)
- 《철학적 논증(Philosophical Arguments)》 (1995)
- 《오늘날 종교의 다양성: 재검토된 윌리엄 제임스(Varieties of Religion Today: William James Revisited)》 (2002)
- 《현대 사회적 상상력(Modern Social Imaginaries)》 (2004)
- 《세속 시대(A Secular Age)》 (2007)
- 《딜레마와 연결: 선정된 에세이(Dilemmas and Connections: Selected Essays)》 (2011)
- 《언어 동물: 인간 언어 능력의 완전한 형태(The Language Animal: The Full Shape of the Human Linguistic Capacity)》 (2016)
- 《우주적 연결: 환멸의 시대의 시(Cosmic Connections: Poetry in the Age of Disenchantment)》 (2024)
4. 2. 공동 저서
- 에이미 굿먼 편집, ''다문화주의와 "인정의 정치"(Multiculturalism and "The Politics of Recognition")'' (1992)
- 비팃 문타폰(วิทิต มันตาภรณ์|위팃 문타폰th)과 공동 저술, ''민주주의로 가는 길: 태국의 인권과 인간 개발(Road to Democracy: Human Rights and Human Development in Thailand)'' (1994)
- 조슬린 매클루어(Jocelyne Maclure)와 공동 저술, ''세속주의와 양심의 자유(Secularism and Freedom of Conscience)'' (2011)
- 휴버트 드레이퍼스와 공동 저술, ''현실주의 회복하기(Retrieving Realism)'' (2015)
- 파트리치아 난츠(Patrizia Nanz), 마들렌 보비앙 테일러(Madeleine Beaubien Taylor)와 공동 저술, ''민주주의 재구성: 시민들이 기초부터 만들어가는 방법(Reconstructing Democracy. How Citizens Are Building from the Ground Up)'' (2020)
5.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찰스 테일러의 철학은 현대 대한민국 사회가 직면한 여러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하며, 특히 민주주의, 다문화 사회, 세속화와 종교 문제에 대한 그의 관점은 한국 사회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5. 1. 민주주의와 시민 사회
테일러는 민주주의와 시민 사회에 대한 깊이 있는 통찰을 제시하며, 특히 사회적 연대와 공동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의 공동체주의적 관점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가치와 유대 또한 중요하다고 본다.[35] 이러한 관점은 대한민국 사회의 민주주의 발전과 시민 사회 형성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테일러의 철학은 사회적 연대와 공동선을 중시하며, 이는 더불어민주당의 가치와도 일맥상통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사회적 약자를 보호하고, 공동체의 이익을 추구하는 정책을 강조하는데, 이는 테일러의 철학과 유사한 지향점을 보여준다.
그의 사상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갈등을 해결하고 통합을 이루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그의 철학은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존중하면서도, 사회적 연대와 공동선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사회 통합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한국 정치의 진보적 발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5. 2. 다문화 사회와 인정의 정치
히마니 바너지(Himani Bannerji)는 찰스 테일러의 인정 정치를 비판하기도 했다.[1] 위르겐 하버마스(Jürgen Habermas) 등 여러 학자들은 ''다문화주의: 인정의 정치를 살펴보다(Multiculturalism: Examining the Politics of Recognition)''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1994)를 통해 다문화주의와 인정의 정치를 연구했다.[2] 이 책은 일본에서 사사키 타케시(佐々木毅)・츠지 야스오(辻康夫)・무카야마 쿄이치(向山恭一)가 번역하여 『멀티컬처럴리즘(マルチカルチュラリズム)』(이와나미 쇼텐(岩波書店), 1996년, 신판·이와나미 모던 클래식스(岩波モダンクラシックス), 2007년) ISBN 4000021524 으로 출판되었다.[3]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에서 테일러의 인정의 정치와 다문화주의 이론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개인과 집단의 상호 존중과 인정을 통해 사회 통합을 이루는 데 기여할 수 있다.
5. 3. 세속화와 종교
찰스 테일러는 세속화와 종교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해왔다. 특히, 그의 저서 ''세속 시대''(A Secular Age)는 현대 사회에서 세속화가 진행되는 과정과 그 의미를 탐구한 역작으로 평가받는다.[28] 테일러는 세속화가 단순히 종교의 쇠퇴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신앙과 불신앙이 공존하는 새로운 조건의 등장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조건 속에서 종교는 여전히 개인의 삶과 사회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테일러의 분석은 한국 사회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한국은 급격한 근대화와 산업화를 거치면서 세속화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 국가 중 하나이다. 그러나 동시에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며, 종교가 사회, 정치, 문화 전반에 걸쳐 여전히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테일러의 논의는 한국 사회의 세속화 현상과 종교의 역할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테일러의 사상은 종교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종교와 사회의 건강한 관계를 모색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종교 간 대화와 시민 사회의 발전을 통해 다원주의 사회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지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웹사이트
Fact Sheet – Charles Taylor
http://templetonpriz[...]
John Templeton Foundation
2018-10-30
[2]
뉴스
Prof's 'Spiritual Hunger' Pays Off
https://www.chicagot[...]
2007-03-15
[3]
백과사전
Hermeneutics
http://plato.stanfor[...]
2017-09-12
[4]
웹사이트
Curriculum Vitae
https://kroc.nd.edu/[...]
University of Notre Dame
2019-05-04
[5]
웹사이트
Michael Rosen
https://scholar.harv[...]
Harvard University
2019-05-04
[6]
잡지
Michael Sandel and AC Grayling in Conversation
https://www.prospect[...]
2013-05-10
[7]
웹사이트
Guy Laforest
https://www.research[...]
2019-05-04
[8]
학술지
Review: McDowell on Value and Knowledge
https://www.jstor.or[...]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4-28
[9]
웹사이트
How the Secular Diversity of India Informed the Philosophy of Charles Taylor
https://www.newslaun[...]
2016-11-29
[10]
잡지
Beijing Bull: The Bogus China Model
https://nationalinte[...]
Center for the National Interest
2015
[11]
잡지
New-Time Religion
https://www.religion[...]
2002
[12]
웹사이트
Review of ''Religion in Human Evolution: From the Paleolithic to the Axial Age'', by Robert N. Bellah
https://cep.anglican[...]
Anglican Church of Canada
2013-04-17
[13]
웹사이트
New Vocations in the Province of St. Joseph: Ecclesial, Historical & Cultural Perspectives
https://opeast.org/2[...]
Dominican Friars Province of St. Joseph
2010-06-12
[14]
뉴스
Australian Bishop: Respect for Women Is a Top Concern at Synod
https://www.americam[...]
2018-10-26
[15]
웹사이트
Review of ''Faith as an Option'', by Hans Joas
https://tif.ssrc.org[...]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2014-11-06
[16]
웹사이트
Review of ''All Things Shining'', by Hubert Dreyfus and Sean Dorrance Kelly
http://www.full-stop[...]
2011-03-09
[17]
뉴스
The Real Jack Layton
https://www.macleans[...]
Rogers Media
2011-09-02
[18]
웹사이트
Review of ''Rethinking Multiculturalism: Cultural Diversity and Political Theory'', by Bhikhu Parekh
https://culturemachi[...]
2019-11-18
[19]
웹사이트
Christian Smith
https://sites.nd.edu[...]
University of Notre Dame
2019-05-29
[20]
웹사이트
James K.A. Smith's 'Cultural Liturgies'
https://divinity.uch[...]
University of Chicago
2018-11-12
[21]
웹사이트
Charles Taylor
https://www.mcgill.c[...]
McGill University
2018-10-27
[22]
웹사이트
How To Restore Your Faith In Democracy
https://www.newyorke[...]
[23]
웹사이트
History Through Our Eyes: Sept. 5, 1991, the Chambers task force
https://montrealgaze[...]
[24]
웹사이트
Charles Taylor '46 Receives World's Largest Cash Award
http://www.selwyn.ca[...]
Selwyn House School
2007-03-15
[25]
아카이브
Selwyn House School Yearbook 1946
https://archive.org/[...]
[26]
웹사이트
TCS to present prestigious awards on Reunion Weekend
https://www.tcs.on.c[...]
2020-05-13
[27]
논문
Redemption and reform in A Secular Age: Charles Taylor's interpretation of early modern Protestantism
https://ora.ox.ac.uk[...]
University of Oxford
2023
[28]
웹사이트
Charles Taylor - 2017
https://www.mcgill.c[...]
2023-09-20
[29]
웹사이트
Prizes
http://www.sshrc-crs[...]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
2018-10-27
[30]
웹사이트
Prizes: Previous Winners
http://www.sshrc-crs[...]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Research Council
2018-10-27
[31]
웹사이트
Home
http://www.accommode[...]
Consultation Commission on Accommodation Practices Related to Cultural Differences
2018-10-27
[32]
보도자료
Dr. Charles Taylor to Receive Inamori Foundation's 24th Annual Kyoto Prize for Lifetime Achievement in 'Arts and Philosophy'
http://www.kyotopriz[...]
Inamori Foundation
2008-06-20
[33]
보도자료
Philosophers Habermas and Taylor to Share $1.5 Million Kluge Prize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15-08-11
[34]
뉴스
Canadian Philosopher Wins $1 Million Prize
https://www.nytimes.[...]
2016-10-04
[35]
인터뷰
Interview with Charles Taylor: The Malaise of Modernity
http://www.cbc.ca/id[...]
[36]
뉴스
Part 5: 10 Leaders on How to Change Multiculturalism
https://www.theglobe[...]
2012-06-21
[37]
서적
Road to Democracy: Human Rights and Democratic Development in Thailand
199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