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클레멘스 1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클레멘스 12세는 1730년부터 1740년까지 재위한 제246대 로마 가톨릭교회 교황이다. 78세의 고령에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시력이 좋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교황청 재정 개혁, 로마 도시 정비, 외교 및 교회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업적을 남겼다. 그는 타락한 추기경에게 징역형을 선고하고 복권을 부활시켜 재정을 회복하는 한편, 트레비 분수 건설과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 보수 등 로마 도시를 정비했다. 또한 프리메이슨을 배척하고 선교 정책을 펼쳤으며, 산마리노의 독립을 지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세기 교황 - 교황 클레멘스 13세
클레멘스 13세는 1693년 이탈리아에서 태어나 1758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며, 예수회 옹호와 유럽 군주들의 교황 권위 약화, 예수회 추방 운동 등으로 어려움을 겪다 급사했다. - 18세기 교황 - 교황 베네딕토 13세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1724년부터 1730년까지 재위했으며, 얀센파에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스페인 계단을 완공했으나, 교황청 재정 악화와 얀센주의와의 갈등을 겪었으며 현재 시복 절차가 진행 중이다. - 1740년 사망 -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프로이센)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는 1688년부터 1740년까지 프로이센 왕국을 통치하며 재정 개혁과 군사력 강화에 힘썼으나, 엄격하고 권위적인 통치 스타일로 비판을 받았다. - 1740년 사망 - 마리아 아나 폰 팔츠노이부르크
마리아 아나 폰 팔츠노이부르크는 독일에서 태어나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2세와 결혼하여 스페인의 왕비가 되었으며, 친오스트리아적 입장을 보이다가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으로 유배된 후 스페인으로 돌아와 사망했다. - 1652년 출생 - 윌리엄 3세
윌리엄 3세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이었으며, 명예 혁명을 통해 왕위에 올라 프랑스의 팽창을 막고 잉글랜드 의회 권한을 강화했으며, 대동맹 전쟁을 이끌고 잉글랜드 은행 설립을 지원하다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 1652년 출생 - 카미유 도스튄 드 탈라르 공작
카미유 도스튄 드 탈라르 공작은 프랑스의 귀족, 외교관, 군인으로, 군 복무와 잉글랜드 대사 역임 후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중 포로로 잡혔다가 귀국하여 공작으로 승작되고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 회장을 역임했다.
교황 클레멘스 12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함 | 로마 주교 |
![]() | |
본명 | 로렌초 코르시니 |
출생일 | 1652년 4월 7일 |
출생지 | 토스카나 대공국, 피렌체 |
사망일 | 1740년 2월 6일 |
사망지 | 교황령, 로마 |
![]() | |
모토 | Dabis discernere inter malum et bonum |
모토 (번역) | (선과 악을 구별하십시오) |
다른 이름 | 클레멘스 |
교황 직위 | |
재임 시작 | 1730년 7월 12일 |
재임 종료 | 1740년 2월 6일 |
선임 교황 | 베네딕토 13세 |
후임 교황 | 베네딕토 14세 |
성직 경력 | |
서품 | 1690년 6월 18일 |
서품자 | 플라비오 키지 |
추기경 임명 | 1706년 5월 17일 |
추기경 임명자 | 클레멘스 11세 |
이전 직책 | 니코메디아 대주교 (1690–1706) 산타 수산나 추기경 (1706–1720)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추기경 (1720–1725) 프라스카티 추기경 (1725–1730) |
추가 정보 | |
매장지 |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 |
2. 생애
1652년 4월 7일 이탈리아의 피렌체에서 태어났다. 콜로지오 로마노에서 수학한 후 피사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였다. 아버지의 사망 이후 상속권을 포기하고 기독교 신앙에 따라 사제가 되었다.
1691년 니코메디아의 명의주교가 된 후 빈의 교황청 사절, 추기경, 프라스카티의 교구장이 되었다. 이미 예술과 학문 및 행정의 대부로 알려져 있었고 평판이 좋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3][4]
클레멘스 12세는 79살이라는 노령에 눈이 좋지 않아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어도 정열적으로 일하였다. 교회 쇄신을 위해 전임 교황 베네딕토 13세의 신용을 남용하여 타락한 추기경 니콜로 코시아에게 징역 10년형을 선고하였다. 교황청의 재정을 잘 관리하여 자연 재해로 고생하던 지역에 구호품을 보내고 로마의 건축에 힘썼다. 트레비 분수와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을 보수하고 교황청 인쇄소를 설치하였다.[3]
외교 면에서는 어려움을 겪었다. 파르마와 피아첸차의 대공 안토니오 파르네세가 후손을 남기지 못하고 1731년에 사망하자 스페인의 펠리페 5세의 아들 돈 카를로스가 교황청의 종주권을 무시하고 대공직을 요구하여 두 마을을 차지해 버렸다. 클레멘스 12세는 엄중히 항의하였으나 별 소용이 없었고 오히려 돈 카를로스가 오스트리아 세력을 이탈리아반도에서 몰아내는 전쟁에 중립을 지키지 않을 수 없었다.
얀센파에 대해서는 전임 교황들의 방침을 따랐다. 얀센파가 조금씩 쇠퇴해지자 유럽에서 프리메이슨이 조직되어 기독교인들을 괴롭혔다. 이들은 비밀결사단체로서 자연윤리관을 따르고 비밀 서약에 의해 결사단체를 이루어, 만약 이를 어길 경우에는 엄한 벌을 주는 단체로서 정통 기독교 신앙과는 맞지 않았다. 클레멘스 12세는 칙서 ''In Eminenti''를 발표하여 이들을 파문함으로써 위협하였다.[5]
클레멘스 12세의 큰 업적은 선교 정책에 있었다. 이탈리아 남부 울라노에 그리스 전례 신학교를 세우고 프란체스코회원들을 아비시니아에 파견하여 로마와 일치하게 하였다. 레바논에는 뛰어난 신학자들과 바티칸 도서관 직원 조반니 아세마니를 파견하여 그 곳의 교회를 지원하게 하였다. 아시아 선교에 있어서는 중국식 의식과 말라바르 의식을 금하였다.
클레멘스 12세는 줄리오 알베로니 추기경이 산마리노를 점령하였으나 시민들의 항의를 받아들여 그들의 자유를 회복시켜 주었다.
{{전임후임
|전임자=베네딕토 13세
|후임자=베네딕토 14세
|대수=246
|직책=교황
|임기=1730년 7월 12일 - 1740년 2월 6일
}}
피렌체 출신의 귀족인 코르시니는 피사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삼촌인 네리 코르시니 추기경 밑에서 재정 실무를 익혔다. 삼촌과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그에게 코르시니 가문의 영주 자리가 기다리고 있었지만, 이를 포기하고 (당시 관습에 따라)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에게 3만 스쿠도로 고위 성직자 자리를 구입하여 성직자가 되었으며, 막대한 재산을 삼촌에게서 물려받아 서적 충실에 사용했다.
교황청에서 그의 재무가로서의 능력이 유감없이 발휘되었고, 역대 교황들에게도 후한 대접을 받아,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의 사제 추기경에서 프라스카티의 주교 추기경이 되는 등 순조롭게 출세해 나갔다. 그가 교황으로 선출된 것은 무려 78세의 나이였다. 노령으로 시력이 쇠퇴하여 침대에 누워 있는 경우가 많았지만, 두뇌는 명석했으며, 코르시니 가문의 유능한 친척들을 측근으로 삼아 실무를 처리했다. 교황 클레멘스 12세로 명명한 코르시니는, 먼저 악화된 교황청 재정의 재건에 착수했다.
그는 재정이 악화된 원인이 전임 교황 시대의 재무 책임자인 코스티아 추기경의 직권 남용에 있다고 보고, 그를 필두로 책임자들에게 손해 배상을 요구했다. 그리고 가장 책임이 무겁다고 여겨진 코스티아 추기경에게는 10년의 금고형도 부과되었다. 게다가 베네딕토 13세가 금지한 복권을 부활시켜 교황청에 연간 50만 스쿠드에 달하는 수입을 가져다주며 급속하게 재정을 회복했다. 교황은 이러한 수입을 활용하여 로마의 건축물 수리 및 신축에 힘썼다.
먼저, 교회뿐만 아니라 교황 궁전으로도 중요했던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의 파사드 공모전을 열어, 알레산드로 갈릴레이의 안을 선정하고 (현대에도 볼 수 있는) 성인들이 우뚝 솟은 웅장한 파사드를 완성했다. 또한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의 개선문을 수리하고, 퀴리날레 언덕에 콘술타 궁전 (현 의사당)을 건립했으며, 로마 시 전체의 도로 포장을 실시하고, 코르소 거리를 확장, 안코나에 로마의 외항을 건설했다. 그중 가장 유명한 업적은 로마의 명소 중 하나인 트레비 분수를 니콜라 사르비에게 명하여 건설하게 한 것이다. 또한 6만 스쿠드의 거금을 들여 알바니 추기경의 미술품과 고서적 컬렉션을 교황청의 소유로 만들었다.
그는 교황 취임 당시 노령에 약시였지만, 매우 많은 업적을 남겼다. 산마리노를 침공한 알베로니 추기경에게 자제를 촉구하여 그 독립을 유지하게 하고, 파르마와 피아첸차 두 대공의 중재를 했다. 또한, 클레멘스 12세 시대에, 프리메이슨을 배척하는 최초의 교황 문헌 "인 에미넨티" (1738년)가 발령되었다. 이외에도 빈센트 드 폴을 성인으로 추대하고, 프랑스의 얀센주의를 비난하며, 동방 교회와의 연합을 목표로, 실제로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일부와 콥트 정교회의 일부에 교황권을 인정하게 하고, 동방 가톨릭 교회의 교구를 동 지역에 설치했다.
교황은 서거 후, 자신이 직접 심혈을 기울여 건설한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로렌초 코르시니는 1652년 피렌체에서 카실리아노 후작 바르톨로메오 코르시니와 그의 아내 엘리자베타 스트로치 사이에서 태어났다. 엘리자베타는 바뇰로 공작의 누이였다. 그의 부모는 모두 오래된 피렌체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그는 성 안드레아 코르시니의 먼 친척이었다.[3] 코르시니는 예수회 로마 대학에서 공부했으며, 피사 대학교에서 민법과 교회법 박사 학위를 받았다.2. 2. 성직자 생활
코르시니는 삼촌인 추기경 네리 코르시니의 지도하에 법률을 공부했다. 1685년 삼촌과 아버지의 사망 후, 코르시니는 장자 상속 권리를 포기하고 교황 인노첸시오 11세로부터 전례 계급의 지위를 샀다.[3] 나보나 광장에 있는 그의 집은 로마의 학문 및 예술 생활의 중심지가 되었다.[4]1690년 명목 대주교 니코메디아로 임명되었고, 비엔나 주재 교황 대사로 선출되었으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레오폴트 1세와의 문제로 부임하지는 못했다.[3][4] 1696년, 코르시니는 재무총장 겸 산탄젤로 성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교황 클레멘스 11세는 그의 재능을 높이 사 1706년 5월 17일 ''산타 수산나''의 추기경 사제로 임명했다.[3]
교황 베네딕토 13세는 그를 사도 서명원의 장관으로 임명했다. 이후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의 추기경 사제와 프라스카티 교구의 추기경 교황으로 임명되었다.[3]
2. 3. 교황 선출
베네딕토 13세 치하에서 교황령의 재정은 추기경 니콜로 코시아와 교황청의 다른 구성원들의 손에 넘어가 교황청의 재정을 고갈시켰다.[3] 베네딕토 13세가 1730년에 사망했고, 그 후 열린 콘클라베에서 추기경단은 4개월간의 심의 끝에, 78세의 고령에 시력이 좋지 않았지만, 로마 교황청의 모든 중요한 직책을 역임한 코르시니를 선출했다.[3] 클레멘스 12세 이후로는 클레멘스 12세가 선출될 때보다 더 고령의 교황은 선출되지 않았다.코르시니 가문의 일원으로서, 그의 어머니가 스트로치 출신이었던 새 교황은 지난 100년 동안 매 세대마다 추기경을 배출한 피렌체 사회 최상위 계층의 가문을 대표했다.
1730년 5월 1일, 일부 추기경들은 처음에는 추기경 지아난토니오 다비아를 선출하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지만, 필요한 지지를 확보하지 못했다. 그리하여 그들은 코르시니를 선출하는 데 노력을 집중하여 그에게 31표를 확보했다. 그러나 코르시니는 피에트로 마르첼리노 코라디니의 출마가 흔들리기 시작한 7월 초까지는 진지하게 후보로 고려되지 않았다. 한편, 프랑스, 스페인, 독일은 코르시니의 선출에 전적으로 동의했다.[5]
코르시니는 자신을 추기경으로 임명한 교황 클레멘스 11세를 기려 교황명을 정했다.
3. 재위 기간
1652년 4월 7일 이탈리아의 피렌체에서 태어났다. 콜로지오 로마노에서 수학한 후 피사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였다. 아버지의 사망 이후 상속권을 포기하고 기독교 신앙에 따라 사제가 되었다. 1691년 니코메디아의 명의주교가 된 후 빈의 교황청 사절, 추기경, 프라스카티의 교구장이 되었다. 이미 예술과 학문 및 행정의 대부로 알려져 있었고 평판이 좋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클레멘스 12세는 79살이라는 노령에 눈이 좋지 않아 거의 볼 수 없게 되었어도 정열적으로 일하였다. 교회 쇄신을 위해 전임 교황 베네딕토 13세의 신용을 남용하여 타락한 추기경 니콜로 코시아에게 징역 10년형을 선고하였다. 교황청의 재정을 잘 관리하여 자연 재해로 고생하던 지역에 구호품을 보내고 로마의 건축에 힘썼다. 트레비 분수와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을 보수하고 교황청 인쇄소를 설치하였다.
외교 면에서는 어려움을 겪었다. 파르마와 피아첸차의 대공 안토니오 파르네세가 후손을 남기지 못하고 1731년에 사망하자 스페인의 펠리페 5세의 아들 돈 카를로스가 교황청의 종주권을 무시하고 대공직을 요구하여 두 마을을 차지해 버렸다. 클레멘스 12세는 엄중히 항의하였으나 별 소용이 없었고 오히려 돈 카를로스가 오스트리아 세력을 이탈리아반도에서 몰아내는 전쟁에 중립을 지키지 않을 수 없었다.
얀센파에 대해서는 전임 교황들의 방침을 따랐다. 얀센파가 조금씩 쇠퇴해지자 유럽에서 프리메이슨이 조직되어 기독교인들을 괴롭혔다. 이들은 비밀결사단체로서 자연윤리관을 따르고 비밀 서약에 의해 결사단체를 이루어, 만약 이를 어길 경우에는 엄한 벌을 주는 단체로서 정통 기독교 신앙과는 맞지 않았다. 클레멘스 12세는 칙서 ''인 에미넨티''를 발표하여 이들을 파문함으로써 위협하였다.
클레멘스 12세의 큰 업적은 선교 정책에 있었다. 이탈리아 남부 울라노에 그리스 전례 신학교를 세우고 프란체스코회원들을 아비시니아에 파견하여 로마와 일치하게 하였다. 레바논에는 뛰어난 신학자들과 바티칸 도서관 직원 조반니 아세마니를 파견하여 그 곳의 교회를 지원하게 하였다. 아시아 선교에 있어서는 중국식 의식과 말라바르 의식을 금하였다.
클레멘스 12세는 줄리오 알베로니 추기경이 산마리노를 점령하였으나 시민들의 항의를 받아들여 그들의 자유를 회복시켜 주었다.
{{전임후임
|전임자=베네딕토 13세
|후임자=베네딕토 14세
|대수=246
|직책=교황
|임기=1730년 7월 12일 - 1740년 2월 6일
}}
{{교황 정보
|그림 = C o a Clementem XII.svg
|경칭 = 존엄하신 분
|직함 = 당신의 존엄
|종교적 경칭 = 성부
|사망 경칭 = 없음
}}
피렌체 출신의 귀족인 코르시니는 피사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삼촌인 네리 코르시니 추기경 밑에서 재정 실무를 익혔다. 삼촌과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그에게 코르시니 가문의 영주 자리가 기다리고 있었지만, 이를 포기하고 (당시 관습에 따라)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에게 3만 스쿠도로 고위 성직자 자리를 구입하여 성직자가 되었으며, 막대한 재산을 삼촌에게서 물려받아 서적 충실에 사용했다.[3]
교황청에서 그의 재무가로서의 능력이 유감없이 발휘되었고, 역대 교황들에게도 후한 대접을 받아, 산 피에트로 인 빈콜리 성당의 사제 추기경에서 프라스카티의 주교 추기경이 되는 등 순조롭게 출세해 나갔다. 그가 교황으로 선출된 것은 무려 78세의 나이였다. 노령으로 시력이 쇠퇴하여 침대에 누워 있는 경우가 많았지만, 두뇌는 명석했으며, 코르시니 가문의 유능한 친척들을 측근으로 삼아 실무를 처리했다. 교황 클레멘스 12세로 명명한 코르시니는, 먼저 악화된 교황청 재정의 재건에 착수했다.[3]
그는 재정이 악화된 원인이 전임 교황 시대의 재무 책임자인 코스티아 추기경의 직권 남용에 있다고 보고, 그를 필두로 책임자들에게 손해 배상을 요구했다. 그리고 가장 책임이 무겁다고 여겨진 코스티아 추기경에게는 10년의 금고형도 부과되었다. 게다가 베네딕토 13세가 금지한 복권을 부활시켜 교황청에 연간 50만 스쿠드에 달하는 수입을 가져다주며 급속하게 재정을 회복했다. 교황은 이러한 수입을 활용하여 로마의 건축물 수리 및 신축에 힘썼다.[3]
먼저, 교회뿐만 아니라 교황 궁전으로도 중요했던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전의 파사드 공모전을 열어, 알레산드로 갈릴레이의 안을 선정하고 (현대에도 볼 수 있는) 성인들이 우뚝 솟은 웅장한 파사드를 완성했다. 또한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의 개선문을 수리하고, 퀴리날레 언덕에 콘술타 궁전 (현 의사당)을 건립했으며, 로마 시 전체의 도로 포장을 실시하고, 코르소 거리를 확장, 안코나에 로마의 외항을 건설했다. 그중 가장 유명한 업적은 로마의 명소 중 하나인 트레비 분수를 니콜라 사르비에게 명하여 건설하게 한 것이다. 또한 6만 스쿠드의 거금을 들여 알바니 추기경의 미술품과 고서적 컬렉션을 교황청의 소유로 만들었다.[3]
그는 교황 취임 당시 노령에 약시였지만, 매우 많은 업적을 남겼다. 산마리노를 침공한 알베로니 추기경에게 자제를 촉구하여 그 독립을 유지하게 하고, 파르마와 피아첸차 두 대공의 중재를 했다. 또한, 클레멘스 12세 시대에, 프리메이슨을 배척하는 최초의 교황 문헌 "인 에미넨티" (1738년)가 발령되었다. 이외에도 빈센트 드 폴을 성인으로 추대하고, 프랑스의 얀센주의를 비난하며, 동방 교회와의 연합을 목표로, 실제로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일부와 콥트 정교회의 일부에 교황권을 인정하게 하고, 동방 가톨릭 교회의 교구를 동 지역에 설치했다.[3]
교황은 서거 후, 자신이 직접 심혈을 기울여 건설한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에 안장되었다.[3]
3. 1. 교황청 재정 개혁
교황 클레멘스 12세는 교황청 재정 회복을 위해 노력했다.[3] 전임 교황 베네딕토 13세의 신임을 악용한 니콜로 코시아 추기경(Niccolò Coscia)에게 징역 10년형을 선고하고[3] 막대한 벌금을 부과했다. 베네딕토 13세가 금지했던 복권을 부활시켜 교황청 재정을 개선하고 연간 50만 스쿠도(scudi)에 달하는 수입을 확보했다.[3]피사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삼촌인 네리 코르시니 추기경 밑에서 재정 실무를 익힌 코르시니는, 교황청에서 재무 능력을 발휘하여 역대 교황들의 신임을 얻었다. 78세라는 노령에 교황으로 선출되었을 당시 시력이 쇠퇴하여 침대에 누워 있는 경우가 많았지만, 명석한 두뇌와 코르시니 가문의 유능한 친척들의 도움으로 실무를 처리했다.
클레멘스 12세는 재정 악화의 원인이 전임 교황 시대의 재무 책임자인 코시아 추기경의 직권 남용에 있다고 보고, 그를 포함한 책임자들에게 손해 배상을 요구했다. 또한 복권 부활을 통해 확보한 수입으로 트레비 분수 건설,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의 파사드 완성, 콘스탄티누스 1세 개선문 수리, 퀴리날레 언덕에 콘술타 궁전 건립, 로마 시 전체 도로 포장, 코르소 거리 확장, 안코나 외항 건설 등 로마의 건축물 수리 및 신축에 힘썼다.
3. 2. 로마 도시 정비
교황 클레멘스 12세는 로마의 도시 정비에 힘썼다. 트레비 분수와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을 보수하고 교황청 인쇄소를 설치하였다.[6][3] 알레산드로 갈릴레이가 설계한 라테라노 대성전의 파사드는 1735년에 완공되었다. 콘스탄티누스 개선문을 복원하고 퀴리날레 언덕에 팔라초 델라 콘술타를 건설했다. 카피톨리노 박물관을 개관하여 알레산드로 알바니 추기경에게서 수집한 조각상, 비문 등을 공개했다.[6][3] 로마의 거리를 포장하고 도로를 확장했으며 비아 델 코르소를 넓혔다. 니콜라 사르비에게 명하여 트레비 분수를 건설하게 하였다. 안코나에 항구를 건설하고 내륙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고속도로를 만들었다. 트라시메노 호수 근처 키아나의 말라리아 습지를 배수했다.[6][3]3. 3. 외교 및 교회 정책
클레멘스 12세는 외교 및 교회 정책에서 여러 어려움과 성과를 겪었다. 파르마와 피아첸차의 대공 안토니오 파르네세 사후, 스페인의 펠리페 5세의 아들 돈 카를로스가 교황청의 종주권을 무시하고 대공직을 요구하며 두 마을을 점령하자, 클레멘스 12세는 항의했으나 소용이 없었다. 오히려 돈 카를로스가 오스트리아 세력을 이탈리아반도에서 몰아내는 전쟁에 중립을 지켜야 했다. 사보이아 공작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가 안나 카날리스 디 쿠미아나와 비정상적인 결혼을 올리는 것을 허락했는데, 비토리오 아메데오 2세의 왕위 포기로 사보이 공국에 큰 혼란이 야기되기도 하였다.[3]교황군이 산마리노를 점령하려다 실패하자, 클레멘스 12세는 줄리오 알베로니 추기경의 독단적인 행동을 부인하고 산마리노의 독립을 회복시켰다.[3]
얀센주의에 대해서는 전임 교황들의 방침을 따랐으며, 프랑스 얀센주의에 대해 강력하게 대처했다.[3] 얀센파가 쇠퇴하자 유럽에서 프리메이슨이 조직되어 기독교인들을 괴롭혔는데, 이들은 비밀결사단체로서 자연윤리관을 따르고 비밀 서약으로 결속되었으며, 이를 어길 시 엄벌을 받는 등 정통 기독교 신앙과는 맞지 않았다. 클레멘스 12세는 1738년 4월 28일, 프리메이슨에 대한 최초의 교황령인 ''인 에미넨티''를 발표하여 이들을 파문함으로써 위협하였다.[3]

클레멘스 12세는 선교 정책에 큰 업적을 남겼다. 이탈리아 남부 울라노에 그리스 전례 신학교를 세우고 프란체스코회원들을 아비시니아에 파견하여 로마와 일치하게 하였다. 레바논에는 뛰어난 신학자들과 바티칸 도서관 직원 조반니 아세마니를 파견하여 그 곳의 교회를 지원하게 하였다. 동방 정교회와의 재통합을 추진했으며, 콥트 정교회의 총대주교를 접견하고, 아르메니아 총대주교에게 칼케돈 공의회와 교황 레오 1세에 대한 파문을 철회하도록 설득했다.[3] 조셉 시메온 아세마니를 동방에 파견하여 필사본을 수집하고, 마론파의 전국 공의회를 주재하게 했다.[3] 아시아 선교에 있어서는 중국식 의식과 말라바르 의식을 금하였다. 1735년 12월 19일에는 8세의 스페인 왕자 루이스 안토니오 하이메 데 보르본 이 파르네시오를 추기경단에 임명하여 역대 최연소 추기경을 배출했다.[3]
3. 4. 산마리노와의 관계
클레멘스 12세는 교황군이 고대 독립국인 산마리노를 점령하려다 실패하자, 산마리노를 점령한 줄리오 알베로니 추기경의 임의적인 행동을 부인하고 산마리노의 독립을 회복시켰다.[3] 또한 산마리노를 침공한 알베로니 추기경에게 자제를 촉구하여 그 독립을 유지하게 하였다.[3]3. 5. 건강 악화와 죽음
클레멘스 12세는 통풍 합병증으로 1740년 2월 6일 오전 9시 30분에 사망했다. 그의 유해는 1742년 7월 20일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에 있는 그의 묘소로 옮겨졌다. 교황 클레멘스 12세의 묘는 성 요한 대성전의 코르시니 예배당에 있으며, 조각가 조반니 바티스타 마이니와 카를로 모날디가 완성했다. 그의 흉상은 필리포 델라 발레가 완성했다.
클레멘스 12세는 교황 취임 당시 노령에 약시였지만, 매우 많은 업적을 남겼다. 그는 산마리노를 침공한 알베로니 추기경에게 자제를 촉구하여 그 독립을 유지하게 하고, 파르마와 피아첸차 두 대공의 중재를 했다. 또한, 클레멘스 12세 시대에, 프리메이슨을 배척하는 최초의 교황 문헌 "인 에미넨티" (1738년)가 발령되었다. 이외에도 빈센트 드 폴을 성인으로 추대하고, 프랑스의 얀센주의를 비난하며, 동방 교회와의 연합을 목표로, 실제로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의 일부와 콥트 정교회의 일부에 교황권을 인정하게 하고, 동방 가톨릭 교회의 교구를 동 지역에 설치했다.
교황은 서거 후, 자신이 직접 심혈을 기울여 건설한 산 조반니 인 라테라노 대성당에 안장되었다.
4. 평가
참조
[1]
웹사이트
Pope Clement XII (1730–1740)
http://www.gcatholic[...]
2022-05-12
[2]
서적
Rome in the Age of Enlightenment: the Post-Tridentine syndrome and the ancient regim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Pope Clement XII
http://www.newadvent[...]
2016-06-10
[4]
웹사이트
Pope Clement XII
http://www.papalarti[...]
[5]
웹사이트
Sede Vacante 1730
http://www.csun.edu/[...]
CSUN
2015-09-29
[6]
웹사이트
De Rose, Conforti
https://www.research[...]
[7]
웹사이트
Bust of Pope Clement XII by VALLE, Filippo della
http://www.wga.hu/ht[...]
[8]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Clement XII pope
https://www.britann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