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스타브 3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구스타브 3세는 스웨덴의 국왕으로, 계몽주의적 통치를 펼치며 문화 예술 발전에 기여했으나, 암살당한 인물이다. 그는 1771년 즉위하여 의회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왕권을 강화했으며, 고문 폐지, 언론 자유 부여 등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 또한 스웨덴 한림원을 설립하고 오페라를 제작하는 등 문화 예술 분야를 진흥했다. 러시아-스웨덴 전쟁을 벌이고 프랑스 혁명에 반대하는 등 국제 정세에도 관여했으나, 귀족들의 반발로 1792년 암살당했다. 그는 예술 후원과 정치적 개혁을 통해 '구스타브 시대'를 열었지만, 동성애 의혹과 사생활 논란, 실패한 정책 등으로 인해 논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살해된 18세기 군주 - 나디르 샤
18세기 중반 이란을 통치한 아프샤르 왕조의 창시자 나디르 샤는 뛰어난 군사적 능력으로 권력을 장악, 이란을 재통일하고 영토를 확장했으나, 폭정으로 암살당해 아프샤르 왕조는 붕괴되었고, 군사적 천재성이 돋보이나 잔혹한 폭군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 살해된 18세기 군주 - 파루크시야르
파루크시야르는 1713년부터 1719년까지 무굴 제국의 황제였으며, 사이이드 형제의 지원으로 황제가 되었으나, 그의 통치 기간은 반란과 내부 갈등, 그리고 제국 쇠퇴를 가속화시킨 정책 결정으로 특징지어진다. - 홀슈타인고토르프가 - 아돌프 프레드리크
아돌프 프레드리크는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이자 1751년부터 1771년까지 스웨덴 국왕으로, 하타르나당과 뫼소르나당의 당파 싸움 속에서 왕권이 약화된 시기를 통치했으며, 정치적 무능력으로 평가받지만 과학과 예술에 관심을 가졌다. - 홀슈타인고토르프가 - 카를 프리드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카를 프리드리히 폰 슐레스비히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은 스웨덴에서 태어나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위를 계승했고, 러시아 여대공과 결혼하여 아들을 낳았으며, 그의 아들은 훗날 러시아 차르가 되었다. - 1746년 출생 - 주세페 피아치
주세페 피아치는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이자 팔레르모 대학교의 천문학 교수로, 1801년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하고 팔레르모 천문대 설립과 항성 목록 제작에 기여하여 그의 업적을 기려 소행성 1000 피아치아와 달의 크레이터 피아치 등에 이름이 명명되었다. - 1746년 출생 - 김재찬
구스타브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구스타브 3세 |
원어 이름 | Gustav III |
왕위 | 스웨덴 국왕 |
![]() | |
재위 기간 | 1771년 2월 12일 – 1792년 3월 29일 |
대관식 | 1772년 5월 29일 |
이전 국왕 | 아돌프 프레드리크 |
다음 국왕 | 구스타브 4세 아돌프 |
배우자 | 소피아 마그달레나 아브 단마르크(1766년 결혼) |
자녀 | 구스타브 4세 아돌프 칼 구스타브 왕자, 스몰란드 공작 |
종교 | 루터교 |
왕가 |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
아버지 | 아돌프 프레드리크 |
어머니 | 루이제 울리케 폰 프로이센 |
출생일 | 1746년 1월 24일(율리우스력 1월 13일) |
출생지 | 스톡홀름, 스웨덴 |
사망일 | 1792년 3월 29일 |
사망지 | 스톡홀름 궁전, 스톡홀름, 스웨덴 |
매장일 | 1792년 5월 14일 |
매장지 | 리다르홀름 교회 |
![]() | |
역사적 배경 | |
스웨덴 달력 변경 | 1753년 2월 17일에서 3월 1일로 변경 |
정치 및 통치 | |
계몽 군주 | 계몽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음 |
쿠데타 | 1772년에 쿠데타를 일으켜 왕권 강화 |
의회 개혁 | 의회 권한을 제한하고 왕권을 강화함 |
문화 진흥 | 예술과 문화를 장려하고 스웨덴 문학 발전에 기여 |
외교 정책 | 러시아와 대립하며 스웨덴의 영향력 확대 추구 |
미국 독립 전쟁 | 미국 독립 전쟁에서 중립을 지켰지만 미국에 은밀히 지원 |
암살과 죽음 | |
암살 | 1792년 귀족 음모에 의해 암살당함 |
사망 원인 | 패혈증 |
기타 | |
관련 오페라 | 다니엘 오베르의 오페라 구스타브 3세, 또는 가면 무도회 주세페 베르디의 미완성 오페라 구스타보 3세 |
2. 어린 시절
스톡홀름 감라스탄의 리다르홀멘 섬에 위치한 브랑겔 궁전에서 아돌프 프레드리크와 루이제 울리케 폰 프로이센의 맏아들로 태어났다.[11] 5세까지 헤드비그 엘리사베트 스트룀펠트의 보살핌을 받았다.[11] 이후 칼 구스타프 테신, 칼 프레드리크 셰페르 등 당대 저명한 정치가들의 교육을 받았지만, 시인이자 역사가인 올로프 폰 달린에게 가장 큰 영향을 받아 독서광이 되었다.[11]
1771년 왕위에 오른 구스타브 3세는 1772년 쿠데타를 일으켜 의회의 권력을 제압하고 전제군주제를 확립했다. 이 사건은 "1772년 혁명"으로 알려져 있다.[11] 그는 고문 폐지, 언론 자유 부여, 빈민 구호법 개정, 종교적 관용 도입, 해군 강화, 화폐 개혁(1777년) 등 다양한 개혁 정책을 추진했다.[20][21] 또한 자유 무역을 장려하고 경제 활성화에 힘썼으며, 유대인 이민자들의 정착을 지원했다.
러시아가 오스만 제국과 전쟁 중이었던 동안, 구스타브 3세는 러시아에 선전포고를 하였다. 이 전쟁은 1788년부터 1790년까지 벌어졌으며, 러시아-스웨덴 전쟁(1788-1790)으로 알려져 있다.
프랑스 혁명이 발발하자, 구스타프 3세는 1791년에 혁명 정부에 대항하는 왕자들의 단체를 통합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재정적인 어려움과 다른 유럽 국가들의 소극적인 태도로 인해 큰 어려움을 겪었다.[1] 그는 한스 악셀 폰 페르센을 스파이로 보내 반혁명 십자군을 제창하고, 바렌느 사건을 배후에서 지원하는 등 적극적으로 반혁명 활동을 펼쳤다.[1]
러시아-스웨덴 전쟁과 1789년의 연합 및 안보법 시행으로 귀족들의 불만이 커졌다. 이는 1772년 쿠데타 이후 이미 불만을 품고 있던 귀족들을 더욱 자극했다.[23] 1791년 겨울부터 1792년 겨울 사이에 귀족들 사이에서 왕을 암살하고 헌법을 개정하려는 음모가 만들어졌다.
구스타브 3세는 계몽주의 시대의 다른 국왕들과 마찬가지로 개혁을 추진했다.[11] 그는 형사 사법 제도를 개선하여 고문을 폐지하고 사형을 제한했지만, "엄격한 사형"은 유지했다.
3. 초기 군림
구스타프 3세는 스웨덴 한림원 설립(1786년), 연극 진흥 등 문화 예술 분야에도 큰 관심을 기울였으며, 직접 각본을 쓰기도 했다. 1786년 그는 요한 켈그렌과 협력하여 오페라 "구스타프 바사"를 작업하기도 하였다.[38] 그의 군림은 스웨덴의 계몽 시대로 알려져 있다.
4. 러시아-스웨덴 전쟁 (1788-1790)
핀란드 전선에서 스웨덴 장교들의 단체인 "아냘라 연맹"이 구스타브 3세를 배신하였다.[40] 상황은 러시아의 동맹국인 덴마크가 전쟁에 참전하면서 더욱 악화되었다.
이러한 위기 속에서 구스타브 3세는 1789년 "동맹 보안 법령"을 통해 귀족 세력을 약화시키고 자신의 권력을 강화했다.
1790년 7월 9일, 스벤스크순드 해전에서 스웨덴 해군은 대승을 거두어 러시아 함대에 큰 타격을 입혔다.[40] 러시아 군대는 함대의 3분의 1과 거의 7,000명의 병력을 잃었다. 이 해전은 스웨덴 해군이 거둔 가장 위대한 해상 승리로 여겨진다.
한 달 후인 1790년 8월 14일, 스웨덴과 러시아는 바랄라 조약을 체결하여 전쟁을 종결했다.
1791년 10월, 구스타브 3세는 예카테리나 2세와 8년간의 동맹을 맺었다. 예카테리나 2세는 새로운 동맹국인 스웨덴에게 매년 300000RUB의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약속했다.[40]
5. 프랑스 혁명과 반혁명 활동
6. 정치적 음모와 암살
1792년 3월 16일 자정, 스톡홀름의 왕립 오페라 하우스에서 열린 가면무도회에서 구스타브 3세는 암살당했다.[11] 음모자들 중에는 야코브 요한 안카르스트룀, 아돌프 립빙, 클라에스 프레드리크 호른, 칼 폰투스 릴리호른, 칼 프레드리크 페흘린 등이 있었다. 안카르스트룀이 권총과 칼로 살인을 실행하기로 선택되었지만, 립빙이 실제로 구스타브를 쏜 사람이라는 증거도 있다.[23]
구스타브 3세는 그날 저녁 친구들과 만찬을 즐기기 위해 일찍 도착했다. 만찬 도중 생도대 대령 칼 폰투스 릴리호른이 작성한, 자신의 목숨을 위협하는 익명의 편지를 받았으나, 과거에도 수많은 협박 편지를 받았기 때문에 이를 무시했다.[24]
암살자들을 겁주기 위해 왕은 오페라 무대를 향한 열린 박스로 나갔다. 약 10분 후 "이것은 총을 쏠 기회였을 것이다. 자, 내려가자. 무도회는 즐겁고 밝아 보인다."라고 말했다. 왕은 오른쪽 팔에 바론 한스 헨리크 폰 에센을 대동하고 극장을 한 바퀴 돌고 나서 로비로 들어갔다.[25]
왕, 폰 에센, 폴렛은 로비에서 무용이 열리는 오페라 무대로 이어지는 복도를 따라 계속 걸어갔다. 무대에는 여러 명의 가면을 쓴 사람들(일부 목격자들은 20명이나 30명이라고 증언)이 있어 왕이 계속 진행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군중 때문에 폴렛은 왕의 뒤로 물러섰고, 왕은 폴렛과 이야기하기 위해 뒤로 몸을 숙였다.[26]
안카르스트룀은 왼손에 칼을 들고 왼쪽 안주머니에 권총 한 정, 오른쪽 뒷주머니에 권총 한 정을 가지고 립빙과 함께 복도 입구에 서 있었다. 그들은 왕의 뒤로 다가가 안카르스트룀은 왼쪽 안주머니에서 권총을 꺼냈고, 립빙 또는 안카르스트룀이 방아쇠를 당겼다. 왕이 뒤로 돌았기 때문에 총알은 세 번째 요추 척추에서 엉덩이 부위를 향해 각도를 이루며 들어갔다.[27]
왕은 움찔하며 넘어지지 않고 "에에"라고 말했다. 그러자 안카르스트룀은 용기를 잃고 권총과 칼을 떨어뜨리고 불을 외쳤다. 왕의 근위병들이 몇 미터 떨어진 곳에 서 있었다. 그들이 왕에게 도착했을 때, 프랑스어로 "Aï, je suis blessé"(아야, 다쳤어요)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다.[28]
왕은 숙소로 옮겨졌고, 오페라의 출구는 봉쇄되었다. 안카르스트룀은 다음 날 아침 체포되어 즉시 살인을 자백했지만, 호른과 립빙도 체포되어 완전히 자백했다는 사실을 알려줄 때까지 음모를 부인했다.[26]
총상은 처음에는 생명에 지장이 없는 것으로 여겨졌으나, 상처가 감염되어 3월 29일 결국 사망했다. 마지막 말은 "Jag känner mig sömnig, några ögonblicks vila skulle göra mig gott" ("졸려요, 잠깐 쉬면 좋을 것 같아요")였다. 재검토된 증거에 따르면, 요양 13일째 거의 즉시 그를 사망하게 한 갑작스러운 심각한 감염은 알려진 그의 적대자였던 담당 외과의사에 의해 화학적으로 유발되었을 수 있다.[29]
구스타비안 시대의 유명한 영매인 울리카 아르비드손은 1786년에 익명으로 그녀를 방문했던 구스타브 3세에게 암살을 예언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말을 했다. 그러나 그녀는 예언에 도움이 되도록 도시 전체에 광범위한 정보원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고, 실제로 살인 사건에 대해 심문을 받았다.
7. 유산 및 평가
구스타프 3세는 스웨덴 국왕 비밀회의 대신 자신이 선택한 비공식 고문들에게 의존하며 모든 업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모자당과 갓당 시대에 만연했던 부패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했으며, 예테보리 고등법원 전체를 재판에 회부하기도 했다.[11]
행정 및 사법 절차 개혁을 위해 1774년에는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는 법령을 선포했다. 국방력을 강화하고 해군을 유럽 최고 수준으로 발전시켰으며, 1776년에는 화폐 현실화 조례를 통해 재정을 정돈했다.[11]
1775년 곡물 자유 무역 장려, 수출세 폐지, 빈민 구제법 개정, 로마 가톨릭과 유대인에게 제한적 종교의 자유를 허용하는 등 새로운 국가 경제 정책도 도입했다. 1778년부터는 스웨덴 전통 의상을 디자인하여 대중화했다.[11] 그러나 1775년 알코올 음료 판매를 정부 독점으로 만들려던 시도는 실패하여 1786년에 폐지되었다.[20][21]
구스타프 3세의 대외 정책은 초기에는 신중했으나, 1786년 이후 의회 없이 통치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계몽 전제주의로 전환했다.[11]
미국 독립 전쟁에 대해서는 1776년 10월 다음과 같이 언급하며 관심을 표명했다.
:''한 국가가 스스로를 창조하는 것을 보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드라마입니다. ... 아마도 이것은 미국의 세기일 것입니다. ... 저는 그들의 용기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고, 그들의 대담함을 열렬히 높이 평가합니다.''[22]
7. 1. 문화 예술 진흥
구스타브 3세는 스웨덴 한림원(1786년)을 설립하고 스웨덴에서 연극을 홍보하는 등 예술의 애호가였다.[11] 그는 각본을 쓰기도 했으며, 1786년에는 요한 켈그렌과 협력하여 오페라 "구스타프 바사"를 작업하였다. 그의 통치 기간은 스웨덴의 계몽 시대로 알려져 있기도 하다.
구스타브 3세는 연극에 관심이 많았으며, 직접 극을 쓰고 연출하기도 했다.[41] 그가 애용하던 드로트닝홀름궁전은 20세기에 스웨덴의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이곳에서 화려한 무도회와 연극이 매년 열려 북유럽의 베르사유 궁전에 비견될 정도였다.
많은 약점과 사치로 비난받을 수도 있지만, 구스타브 3세는 예술 후원으로 18세기 주요 군주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는 공연 예술과 시각 예술뿐만 아니라 문학도 매우 좋아했다. 그는 자신의 역사극이 공연된 "왕립 극장(Kungliga Teatern)"을 만든 주요 인물로 여겨지며, 프레드리케 뢰벤과 라르스 요르츠베리와 같은 연극 배우들과 엘리자베트 올린과 크리스토퍼 크리스티안 카르스텐과 같은 오페라 가수들의 경력을 지원했다. 그는 그들에게 자신의 희곡이나 의뢰한 오페라에 출연하게 했다. 1773년 그는 왕립 극장 산하에 스웨덴 왕립 오페라와 스웨덴 왕립 발레를 설립했다. 1775년에 새 오페라 하우스가 건설되어 1782년에 개관했으며, 노르브로 다리를 통해 스톡홀름 왕궁과 연결되었다. 1788년까지는 오페라 하우스에서 연극도 공연되었다. 그 후 구스타브는 스웨덴 왕립 오페라 건물 뒤에 새로운 건물을 짓고 연극을 위한 별도의 기관인 왕립 드라마 극장을 설립했다.
구스타브 3세 치세기에 주목할 만한 오페라 작곡가로는 독일 출신의 요한 고틀리프 나우만, 게오르크 요제프 포글러, 요제프 마르틴 크라우스가 있었다.[32] 이들은 모두 자신들의 음악적 기원을 스웨덴 국민적 극적 스타일에 적응시키는 데 성공했으며, 이 과정은 때때로 국왕의 감독하에 이루어졌다(특히 1786년 오페라 ''구스타프 바사(Gustav Wasa)''의 대본 구성에서).
구스타브 3세 국왕은 오페라 극장 로비에서 암살당했다. 이 사건은 외젠 스크리브의 오페라 대본의 기초가 되었으며, 다니엘 오베르는 1833년에 ''구스타브 3세''라는 제목으로, 사베리오 메르카단테는 1843년에 ''일 레젠테(Il Reggente)''라는 제목으로, 주세페 베르디는 1859년에 검열의 압력으로 세부 사항을 변경하여 ''가면무도회''(가면무도회, A Masked Ball)라는 제목으로 작곡했다.
구스타프 3세가 스웨덴 공연 예술에 기여하고 헌신한 것, 특히 극장 건설과 국립 극단 설립은 스웨덴 문화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은 널리 인정된다.[33] 그의 시대의 오페라 시대는 오늘날 ''구스타비안 오페라(Gustavian Opera)''로 불린다.[34]
구스타브 3세는 로코코 문화의 왕으로 군림했다. 스웨덴 역사에서는 특히 구스타브 3세 시대를 가리켜 "구스타브 시대" 또는 "로코코 시대"라고 부른다. 이 시대는 프랑스의 정치와 문화가 스웨덴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계몽사상은 구스타브 3세의 어머니 로비사 울리카를 통해 스웨덴에 계몽시대를 가져왔다. 구스타브 3세는 문예를 장려하고 스스로도 그에 따랐다. 독일 출신 작곡가 요제프 마르틴 크라우스와 이탈리아의 작곡가이자 지휘자인 프란체스코 안토니오 우티니가 그중 한 명이다. 또한 구스타브 3세 자신도 극작가이자 연출가이며 배우이기도 했다. 하가 궁전과 드로트닝홀름 궁전에서는 구스타브 3세에 의해 자주 오페라와 연극이 상연되었고, 1782년에는 오페라 극장이 완공되어 구스타브 3세의 사적인 만찬회가 열렸다. 1786년에는 스웨덴 아카데미가 설립되었다.[38]
7. 2. 정치적 유산
1772년 쿠데타와 1789년 연합 및 안전 법을 통해 절대 왕정을 강화하고, 계몽 전제 군주로서 개혁 정치를 추진했다.[37] 구스타프 3세는 절대 군주로 알려져 있지만, 계몽 사상의 영향을 받아 내정 개혁을 실시하여 계몽 전제 군주라고도 불린다.[37] 그는 국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도 신분제 의회를 존중하며 전제적인 군주로 행동했다. 이로 인해 귀족 중심의 국정 운영 시대였던 "자유시대"는 막을 내렸다.
구스타프 3세는 고문 폐지, 언론 자유 법제화, 자유시대부터 이어져 온 사회복지 사업 등 건설적인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금주령은 실패한 정책으로, 이후 스웨덴의 주요 내정 과제가 되었으며, 19세기 이후까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다. 또한 커피도 금지하고 엄격하게 단속했으며, 위험성을 조사한다는 명목으로 쌍둥이를 이용한 인체 실험인 "구스타브 3세의 커피 실험"을 실시했다고 한다.
7. 3. 국제 관계
덴마크와는 왕비 소피아 막달레나를 맞이하여 관계를 안정시켰으나, 러시아 제국과는 전쟁과 동맹을 반복하며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구스타프 3세는 여러 차례 러시아를 방문하여 예카테리나 2세와 우호 관계를 구축하려 했으나 실패했다. 1788년에는 러시아에 전쟁을 걸어 스벤스크순드 해전에서 승리하기도 했지만, 베뢰래 조약을 통해 전쟁을 끝냈다. 이후 1791년에는 러시아와 8년간의 동맹을 맺기도 했다.[40]
프랑스와는 우호 관계를 유지하며 1784년 생바르텔레미 섬을 획득하여 중계 무역과 식민지화를 추진했다.[39]
미국 독립 전쟁에서는 중립을 유지하면서도 미국을 국가 승인하고 1783년 미국-스웨덴 친선 통상 조약을 체결했다.[39]
7. 4. 논란
구스타브 3세는 동성애자라는 소문이 있었으며, 왕비와의 불화 및 구스타프 4세 아돌프의 친자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29] 그는 내정에서 고문 폐지, 언론 자유 법제화, 사회복지 사업 등 건설적인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금주법은 실패한 정책으로, 19세기 이후까지 스웨덴의 주요 내정 과제로 남았다. 커피 금지령을 내려 엄격하게 단속했고, 위험성을 조사한다는 명목으로 쌍둥이를 이용한 인체 실험인 "구스타브 3세의 커피 실험"을 실시했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8. 가족 관계
1766년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5세의 딸 소피아 마그달레나와 결혼했으나, 불행한 결혼 생활을 했다.[13] 두 아들 구스타프 4세 아돌프와 스뫼를란드 공작 칼 구스타브를 두었으나, 칼 구스타브는 태어난 지 1년 만에 요절했다.[16] 구스타브 3세는 동성애자였거나, 왕비에게 관심이 없었다는 소문이 있었다.[43] 일각에서는 구스타프 4세 아돌프가 그의 친자가 아니라는 설도 있었다.[13]
9. 계보
홀슈타인-고토르프 가문의 후손으로,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와 알베르티네 프레데리케의 아들이다. 모친 로비사 울리카는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딸이며, 프리드리히 2세의 여동생이다.[36]
구스타브 3세 | 부친: 아돌프 프레드리크 | 조부: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 증조부: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 |
증조모: 프레데리케 아말리에 (덴마크 공주) | |||
조모: 알베르티네 프레데리케 | 증조부: 프리드리히 7세 마그누스 | ||
증조모: 아우구스타 마리에 | |||
모친: 로비사 울리카 | 조부: 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 | 증조부: 프리드리히 1세 | |
증조모: 소피아 샤를로테 (하노버 선제후 딸) | |||
조모: 소피아 도로테아 | 증조부: 조지 1세 | ||
증조모: 소피아 도로테아 (뤼네부르크 공녀) |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와 아우구스타 마리에는 모두 프레데리크 3세의 자녀이자 남매이다. 두 사람의 누이 헤트비히 엘레오노라는 스웨덴 왕 카를 10세의 왕비였다.
로비사 울리카의 형은 프로이센 왕 프리드리히 2세 (대왕)이다.
참조
[1]
서적
Gustavus III. and his contemporaries 1746–1792, 2 Bände
Kegan Paul, Trench, Trübner
[2]
웹사이트
Brawl In The Baltic Sea: The Battle of Svensksund
https://grantpiperwr[...]
2023-10-24
[3]
서적
A History of Sweden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Present Day
https://archive.org/[...]
[4]
웹사이트
Start
https://www.riksdage[...]
2023-10-24
[5]
웹사이트
Gustav III King of Sweden, Enlightened Ruler, Assassinatio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0-24
[6]
서적
Sweden – America's First Friend
[7]
학술지
Sweden and the War of American Independence
[8]
뉴스
Sweden's Part in the American Revolution
https://www.nytimes.[...]
1927-07-03
[9]
뉴스
Sanningen om det svenska slaveriet (SvD Premium)
http://www.svd.se/en[...]
2016-09-24
[10]
학술지
Sweden, the Slave Trade and Slavery, 1784-1847
https://www.persee.f[...]
1975-09-07
[11]
백과사전
Gustav III
https://www.britanni[...]
2019-01-18
[12]
서적
Who's Who in Gay and Lesbian History: From Antiquity to World War II
[13]
서적
Catherine the Great: Love, sex, and power
St. Martin's Griffin
[14]
서적
Hedvig Elisabeth Charlottas dagbok / The Diaries of Hedvig Elizabeth Charlotte
https://litteraturba[...]
P.A. Norstedt & Söners förlag
[15]
서적
Den stora rollen
Norstedt
[16]
서적
Gustav III; Hans Liv, Person och Gärning
[17]
서적
Gustaf III en biografi
[18]
웹사이트
Gustav III:s statskupp 1772
http://www.histories[...]
2017-12-23
[19]
웹사이트
54 (Berättelser ur svenska historien / Nionde bandet. Gustaf III. Gustaf IV Adolf)
https://runeberg.org[...]
[20]
웹사이트
Gustav III - Svenskt Biografiskt Lexikon
https://sok.riksarki[...]
2021-12-30
[21]
웹사이트
kronobränneri - Uppslagsverk - NE.se
https://www.ne.se/up[...]
2021-12-30
[22]
서적
Letter to Countess de Boufflers
Swedish Academy
[23]
서적
Sofia Magdalena : kärlek, revolutioner och mord
[24]
서적
Gustaf III Mannen bakom myten
Swedish Academy
[25]
서적
Svärdström
[26]
문서
High Court protocols
[27]
문서
Autopsy protocol in the High Court protocols
[28]
서적
Axel von Fersen
Fischer
[29]
서적
Sofia Magdalena : kärlek, revolutioner och mord
[30]
서적
Ekot av ett skott - öden kring 1792
Bra Böcker
[31]
서적
10,000 Famous Freemasons
Missouri Lodge of Research
[32]
문서
Kraus's funeral cantata and Symphonie funèbre
[33]
서적
Opera på Stockholmsoperan
[34]
서적
Joseph Martin Kraus und die Gustavianische Oper
[35]
서적
"W. Bolts' forslag till kolonisation af en ö….1786–1790"
[36]
서적
Genealogie ascendante jusqu'au quatrieme degre inclusivement de tous les Rois et Princes de maisons souveraines de l'Europe actuellement vivans
https://books.google[...]
Frederic Guillaume Birnstiel
[37]
서적
北欧悲史
[38]
서적
北欧悲史
[39]
서적
北欧史
[40]
서적
物語スウェーデン史
[41]
간행물
スウェーデン国王グスタフ3世の統治と芸術活動
http://id.nii.ac.jp/[...]
東京音楽大学
[42]
서적
北欧悲史
[43]
서적
物語スウェーデン史
[44]
서적
北欧悲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