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AACSB)는 경영대학 및 회계학 프로그램의 품질을 인증하는 기관이다. 1916년 미국 대학 경영대학 협회로 설립되어 1968년부터 국제화를 시작했으며, 현재는 전 세계적으로 694개 학교가 인증을 받았다. AACSB 인증은 고등 교육 기관의 경영학 교육 수준을 보증하는 권위 있는 평가로 인정받으며,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195개교가 인증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학 단체 - 세계 대학 네트워크
세계 대학 네트워크는 6개 대륙 25개 주요 연구 중심 대학들의 협력 네트워크로, 회원 대학들의 연회비와 파트너십 위원회를 통해 운영되며 교환 프로그램, 온라인 교육 과정 개발 등 다양한 활동으로 대학 간 협력을 증진한다. - 대학 단체 - 유럽 대학 협회
유럽 대학 협회(EUA)는 유럽의 대학들로 구성된 단체이며, 2022년 기준 800개 이상의 회원 기관을 보유하고,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지지한 러시아 회원 기관의 자격을 정지했다. - 경영학 - 의사결정
의사결정은 특정 결과를 위해 여러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는 과정으로, 불확실성, 인지적 편향, 구조에 따라 분류되며, 합리적, 비합리적 접근과 개인 및 집단 역학의 영향을 받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위해 객관적인 정보와 인지적 편향 인식이 중요하며, 인공지능 발전으로 윤리적 논의가 필요하다. - 경영학 - 비즈니스 인큐베이터
비즈니스 인큐베이터는 초기 단계 기업의 성장을 위해 사무 공간, 자금 조달, 멘토링, 네트워킹 등의 지원을 제공하는 기관으로, 1959년 미국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었으며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지만 정부 지원 과다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대학 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대학교는 1906년 명진학교로 시작하여 여러 캠퍼스를 운영하며 불교 정신을 바탕으로 교육하고 특성화된 학과와 부속 기관을 갖춘 대한민국 사립 종합대학교이다. - 대학 기관 - 게이오기주쿠 대학
게이오기주쿠 대학은 1858년 후쿠자와 유키치가 설립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사립 대학으로, "독립자존"의 교육 이념 아래 다양한 학부와 대학원을 운영하며 일본 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 명문 사학이다.
국제경영대학발전협의회 | |
---|---|
개요 | |
이전 명칭 | American Assembly of Collegiate Schools of Busines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Management Education American Association of Collegiate Schools of Business |
약칭 | AACSB |
설립 | 1916년 |
유형 | 비정부 기구 |
목적 | 교육 인증 |
본부 | 미국, 플로리다주, 탬파 |
회원 | 약 900개 기관 |
대표 직함 | 회장 겸 CEO |
대표 이름 | 릴리 비 |
이사회 의장 직함 | 이사회 의장 |
이사회 의장 이름 | 알렉산더 트라이안티스 |
웹사이트 | AACSB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AACSB는 1916년 17개의 미국 대학교 및 전문대학들로 구성된 단체에 의해 설립된 인증 기관이다. 최초의 교육 인증은 1919년에 이루어졌다. 초기에는 미국 경영대학만 인증했지만, 20세기 후반에는 경영 교육에 대한 더 국제적인 접근 방식을 채택했다.[5]
2019년에는 ISO 9001 인증을 받았다.
2023년 6월부터 이 기관의 회장 겸 최고경영자는 이전에 내부감사관협회(Institute of Internal Auditors)에서 임원으로 근무했던 Lily Bi이다.[13]
2. 1. 국제화
미국 대학 경영대학 협회(American Assembly of Collegiate Schools of Business)는 1968년 캐나다 앨버타 대학교 경영대학을 시작으로 국제화를 추진하였다.[6] 1997년에는 북미 이외 지역인 프랑스의 ESSEC 경영대학을 인증하였고,[7][8] 2000년에는 북미와 유럽 이외 지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KFUPM 경영대학을 인증하였다.[7][8] 2001년 현재 명칭인 AACSB International로 변경하며 국제적인 인증 기관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했다.2. 2. 인증 논란
2015년 1월, 고등교육인증위원회(Council for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는 협회의 정책 요구 사항 충족을 기다리며 인증을 연기했고,[9] 같은 해 7월에는 인증위원회가 AACSB가 CHEA가 요구하는 "성과, 특히 학생 성취도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대중에게 정기적으로 제공했다는 사실"을 지속적으로 입증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인증 거부를 권고했다.[10] 이에 2016년 9월, 협회는 위원회에서 탈퇴했다.[11][12]3. AACSB 인증의 의의
AACSB 인증은 경영학 교육 기관의 교육 과정, 교수진, 연구 성과, 시설 등 다양한 측면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부여된다. AACSB 인증을 획득했다는 것은 해당 교육 기관이 국제적인 수준의 교육 품질을 제공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2014년 2월 기준으로 세계적으로 694개 학교가 인증을 받았다.[15] 미국 내의 대학교는 경영학 및 회계학과에 대한 인증을 실시하고 있으나, 미국 외 대학은 5개의 특례를 제외하면 경영학과에 대해서만 인증을 실시한다. 미국 외에서 회계학 인증을 받은 기관은 홍콩 대학, 홍콩 과학기술대학교(이상 홍콩), 칭화 대학(중국), 난양 이공 대학(싱가포르)이다.[16] 대한민국에서는 2002년 서울대를 시작으로 2018년까지 18개 교육기관이 인증을 획득하였다.[17]
3. 1. 다른 인증과의 비교
AACSB 인증은 고등교육기관의 경영학 교육의 학사, 석사, 박사, MBA 전 과정에 있어서 그 수준을 보증하는 인증으로서 널리 인식되어 있으며, IACBE, ACBSP 등의 기타 협의체의 인증과 비교해서도 더욱 권위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15]4. 아시아 태평양 지역 AACSB 인증 현황
2023년 기준,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는 195개 대학이 AACSB 인증을 획득했다.[17]
미국 외 대학 중 경영학과가 아닌 회계학 인증을 받은 기관은 홍콩 대학, 홍콩 과학기술대학교(이상 홍콩), 칭화 대학(중국), 난양 이공 대학(싱가포르)이다.[16]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AACSB 인증 현황은 다음과 같다.
- 대한민국: 서울대학교, 한국과학기술원, 고려대학교 등 20개 대학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하위 섹션 참조)
- 일본: 게이오기주쿠 대학 대학원 경영관리연구과, 나고야 상과대학 등 7개 대학 (자세한 내용은 #일본 하위 섹션 참조)
- 중화인민공화국: 칭화대학교, 베이징대학교 등 49개 대학 (자세한 내용은 #중화인민공화국 하위 섹션 참조)
- 홍콩: 홍콩중문대학교, 홍콩과학기술대학교 등 7개 대학 (자세한 내용은 #홍콩 하위 섹션 참조)
- 대만: 국립정치대학, 국립타이완대학 등 13개 대학 (자세한 내용은 #대만 하위 섹션 참조)
- 기타 국가: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태국 등 (자세한 내용은 #기타 국가 하위 섹션 참조)
4.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2002년 서울대학교 경영대학을 시작으로[18], 한국과학기술원(KAIST)[19], 고려대학교[20], 연세대학교[24], 서강대학교[26], 성균관대학교[25], 한양대학교[27], 이화여자대학교[28] 등 다수의 대학들이 AACSB 인증을 획득했다. 특히,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2018년에 인증을 받아 과학기술 특성화 대학으로서 경영학 교육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33]순서 | 대학 | 인증 범위 | 인증 일시 |
---|---|---|---|
1 |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02년 9월 |
2 | 한국과학기술원 테크노경영대학원 | 대학원 | 2003년 5월 |
3 |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05년 6월 |
4 | 세종대학교 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07년 4월 |
5 | 아주대학교 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08년 1월 |
6 | 연세대학교 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08년 12월 |
7 |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09년 4월 |
8 | 서강대학교 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09년 9월 |
9 |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서울) | 학부 및 대학원 | 2010년 4월 |
10 |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경영대학원 | 학부 및 대학원 | 2010년 8월 |
11 | 경북대학교 경영학부/경영대학원 | 학부 및 대학원 | 2011년 12월 |
12 | 동국대학교 경영학부/경영대학원 | 학부 및 대학원 | 2012년 7월 |
13 | 전남대학교 경영학부/경영대학원 | 학부 및 대학원 | 2012년 7월 |
14 | 인하대학교 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14년 2월 |
15 | 솔브릿지 국제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14년 5월 |
16 |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15년 11월 |
17 |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17년 11월 |
18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경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18년 8월 |
19 |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18년 11월 |
20 | 울산과학기술원 경영대학 | 학부 및 대학원 | 2018년 11월 |
4. 2. 일본
일본일본어에서는 게이오기주쿠 대학 대학원 경영관리연구과가 2000년에 최초로 인증을 취득했고, 나고야 상과대학 및 나고야 상과대학 대학원이 2006년에 인증을 취득했다.[1] 이후 릿토쿠칸 아시아태평양대학 국제경영학부 및 대학원 경영관리연구과, 국제대학 대학원 국제경영학연구과, 와세다 대학 대학원 경영관리연구과, 히토츠바시 대학 상학부 및 대학원 경영관리연구과, 릿쿄 대학 경영학부 및 대학원 경영학연구과가 AACSB 인증을 획득했다.[1]순서 | 인증 취득 대학 | 인증 취득 시기 |
---|---|---|
1 | 게이오기주쿠 대학 대학원 경영관리연구과 | 2000년 |
2 | 나고야 상과대학・나고야 상과대학 대학원 | 2006년 |
3 | 릿토쿠칸 아시아태평양대학 국제경영학부・대학원 경영관리연구과 | 2016년 |
4 | 국제대학 대학원 국제경영학연구과 | 2018년 |
5 | 와세다 대학 대학원 경영관리연구과 | 2020년 |
6 | 히토츠바시 대학 상학부・대학원 경영관리연구과 | 2021년 |
7 | 릿쿄 대학 경영학부・대학원 경영학연구과 | 2024년 |
4. 3. 중화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의 칭화대학교, 베이징대학교, 상하이자오퉁대학교, 푸단대학교 등 49개 대학이 AACSB 인증을 받았다.순서 | 인증 취득 대학 | 인증 취득 시기 |
---|---|---|
1 | 칭화대학교 | 2007년 |
2 | 중국유럽국제경영대학원 | 2008년 |
3 | 푸단대학교 | 2010년 |
4 | 상하이자오퉁대학교 | 2011년 |
5 | 시안자오퉁대학교 | 2011년 |
6 | 베이징대학교 | 2012년 |
7 | 중국인민대학교 | 2012년 |
8 | 난징대학교 | 2013년 |
9 | 중산대학교 | 2013년 |
10 | 다롄공과대학교 | 2015년 |
11 | 중산대학교 링난(대학)학원 | 2015년 |
12 | 중국과학기술대학교 | 2015년 |
13 | 절강대학교 | 2015년 |
14 | 시안자오퉁리버풀대학교 | 2016년 |
15 | 상하이자오퉁대학교 | 2016년 |
16 | 대외경제무역대학교 | 2016년 |
17 | 동제대학교 | 2016년 |
18 | 난카이대학교 | 2016년 |
19 | 상하이공업대학교 | 2018년 |
20 | 베이징외국어대학교 | 2023년 |
21 | 톈진공업대학교 | 2023년 |
4. 4. 홍콩
홍콩 특별행정구에는 7개 대학이 AACSB 인증을 받았다.순서 | 인증 취득 대학 | 인증 취득 시기 |
---|---|---|
1 | 홍콩중문대학교 | 1999년 |
2 | 홍콩과학기술대학교 경영대학 | 2000년 |
3 | 홍콩도시대학교 | 2005년 |
4 | 홍콩이공대학교 | 2010년 |
5 | 홍콩침례대학교 | 2010년 |
6 | 홍콩대학교 | 2010년 |
7 | 령남대학교 | 2010년 |
4. 5. 대만
대만에서는 국립정치대학, 국립타이완대학 등 13개 대학이 AACSB 인증을 획득했다.순서 | 인증 취득 대학 | 인증 취득 시기 | 재인증 |
---|---|---|---|
1 | 輔仁大學(푸젠 대학) | 2005년 4월 22일 | 2010년 재인증 통과 |
2 | 國立中山大學(국립 중산대학) | 2005년 6월 10일 | 2010년 재인증 통과 |
3 | 國立政治大學(국립 정치대학) | 2006년 | 2012년 재인증 통과 |
4 | 國立交通大學(국립 교통대학) | 2007년 | |
5 | 國立臺灣大學(국립 타이완대학) | 2010년 4월 6일 | |
6 | 國立成功大學(국립 성공대학) | 2011년 10월 | |
7 | 元智大學(위안즈 대학) | 2011년 10월 | |
8 | 國立臺灣科技大學(국립 타이완과학기술대학) | 2013년 7월 | |
9 | 逢甲大學(펑자 대학) | 2014년 2월 | |
10 | 國立雲林科技大學(국립 운림과학기술대학) | 2014년 5월 | |
11 | 國立中正大學(국립 중정대학) | 2016년 4월 | |
12 | 長庚大學(창껑 대학) | 2016년 8월 | |
13 | 國立高雄科技大學(국립 가오슝과학기술대학) | 2019년 7월 |
4. 6. 기타 국가
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태국 등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다른 국가들에서도 AACSB 인증을 획득한 대학들이 있다.'''호주'''
순서 | 인증 취득 대학 |
---|---|
1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2 | 그리피스 대학교(Griffith University) |
3 | 퀸즐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Queensland) |
4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
5 | 시드니 대학교(University of Sydney) |
6 | 시드니 공과대학교(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
7 | 멜버른 대학교(University of Melbourne) |
8 | 애들레이드 대학교(University of Adelaide) |
9 | 서호주 대학교(University of Western Australia) |
10 | 오스트레일리아 경영대학(Australian School of Business) |
11 | 멜버른 경영대학원(Melbourne Business School) |
'''태국'''
순서 | 인증 취득 대학 |
---|---|
1 | 수린 경영대학원(Sasin Graduate Institute of Business Administration) |
2 | 마히돈 대학교 국제대학(Mahidol University International College) |
3 | 마히돈 대학교 경영대학원(Mahido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Business) |
4 | 치앙마이 대학교(Chiang Mai University) |
5 | 탐마삿 대학교(Thammasat University) |
'''뉴질랜드'''
순서 | 인증 취득 대학 |
---|---|
1 | 오클랜드 공과대학교(Auck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
2 | 오클랜드 대학교(University of Auckland) |
3 | 매시 대학교(Massey University) |
4 | 빅토리아 대학교 웰링턴(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
5 | 와이카토 대학교(University of Waikato) |
6 | 오타고 대학교(University of Otago) |
'''싱가포르'''
순서 | 인증 획득 대학 |
---|---|
1 | 싱가포르국립대학교(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
2 | 난양이공대학교(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
3 | 싱가포르경영대학교(Singapore Management University) |
참조
[1]
웹사이트
The Triple Accredited Business Schools (AACSB, AMBA, EQUIS)
https://www.mba.toda[...]
2021-06-01
[2]
뉴스
Top M.B.A. Programs Embrace Online Education
https://www.usnews.c[...]
U.S. News & World Report
2011-03-15
[3]
웹사이트
AACSB: 2020 Standards now released
http://www.qedaccred[...]
2021-06-01
[4]
논문
An exploratory study of the perceptions of AACSB International's 2013 Accreditation Standards
Emerald Insight
[5]
논문
International Business Education in the AACSB Schools
https://www.jstor.or[...]
[6]
뉴스
B-schools work hard to get the stamp of approval
https://beta.theglob[...]
The Globe and Mail
2011-03-15
[7]
웹사이트
History - Values
http://www.essec.edu[...]
ESSEC Business School
[8]
웹사이트
ESSEC Business School
https://poetsandquan[...]
Poets & Quants
2016-10-27
[9]
웹사이트
CHEA Board Meeting Minutes - Jan 2015
https://www.chea.org[...]
2015-01-26
[10]
웹사이트
Accreditation Recognition Decision Summary: AACSB
https://www.chea.org[...]
2016-09-29
[11]
웹사이트
Recognition Decision Summary: AACSB International The Association To Advance Collegiate Schools Of Business (AACSB)
https://web.archive.[...]
Council for Higher Education Accreditation
2016-09-29
[12]
웹사이트
AACSB Pursues ISO Certification to Strengthen Its Service to Global Business Education Community
https://web.archive.[...]
2016-09-27
[13]
웹사이트
AACSB International Appoints Lily Bi as President and CEO
https://www.aacsb.ed[...]
AACSB International
2023-07-15
[14]
웹사이트
Who we are - timeline 1916-1936
https://web.archive.[...]
[1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3-10-11
[16]
웹인용
AACSB International
https://web.archive.[...]
2016-02-08
[17]
웹인용
Schools with AACSB Business Accreditation
https://web.archive.[...]
2013-10-11
[18]
웹사이트
http://gsb.snu.ac.kr[...]
[19]
뉴스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AACSB 인증` 획득
http://www.dt.co.kr/[...]
디지털타임스
[20]
웹사이트
고려대학교 교우회
http://www.kuaa.or.k[...]
[21]
웹사이트
AACSB - General
https://datadirect.a[...]
[22]
웹인용
세종사이버홍보관 > 프레스룸 > 세종대 국내 대학 중 4번째로 AACSB 인증 취득
https://web.archive.[...]
2009-01-02
[23]
웹사이트
http://gsb.snu.ac.kr[...]
[24]
웹인용
Yonsei University School of Business
https://web.archive.[...]
2009-01-02
[25]
웹인용
¼º±Õ°ü´ëÇб³ °æ¿µÇкÎ.°æ¿µÀü¹®´ëÇпø
https://web.archive.[...]
2009-04-13
[2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0-12-22
[27]
웹사이트
http://bizhanyang.ac[...]
[28]
웹사이트
이화여대 ESB
http://biz.ewha.ac.k[...]
[29]
웹인용
경북대학교 경영학부
https://web.archive.[...]
2013-10-12
[30]
웹사이트
동국대 경영대학
http://sba.dongguk.e[...]
[31]
웹인용
전남대 경영대학
https://web.archive.[...]
2013-10-12
[3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02-16
[33]
웹사이트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http://biz.konkuk.ac[...]
2016-09-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