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화물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산화물선은 일제강점기 호남평야의 농산물 수송을 위해 건설된 군산선에서 시작하여, 장항선 연결 및 군산화물역으로의 변경을 거쳐 2022년 폐선된 철도 노선이다. 한국 전쟁 이후 주한 미군 화물 수송과 군산항 주변 공장의 화물 수송 역할을 수행했으나, 육상 교통 발달로 화물 수요가 감소했다. 2008년 장항선 연결과 함께 군산화물선으로 변경되었고, 2008년 군산화물역의 화물 영업 중단으로 전 구간 영업이 중지되었다. 노선 거리는 9.8km이며, 과거 통근열차와 화물열차가 운행되었고, 2008년 다큐멘터리 3일에 마지막 꼬마열차 편이 방영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폐지된 철도 노선 - 화순선
화순선은 전라남도 화순군의 화순역에서 복암역까지 이어진 철도 노선으로, 석탄 수송을 목적으로 개통되었으나 화물 열차 운행 종료 후 2022년에 폐선되었다. - 군산화물선 - 대야역
대야역은 전라북도 군산시 대야면에 위치한 장항선의 철도역으로, 무궁화호가 정차하며 2면 3선의 지상역 형태를 갖추고 있고, 과거 화물도 취급했으나 현재는 여객 운송만 담당한다. - 군산화물선 - 군산화물역
군산화물역은 과거 군산선의 군산역으로 시작하여 2008년 신 군산역 개업 후 화물 기능만 담당하며 역명이 변경되었으나, 2022년 군산화물선 폐선으로 폐역된 역이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 노선 - 마산항제1부두선
마산항제1부두선은 경상남도 창원시에 위치했던 화물 전용 단선 철도로, 경전선 개통과 함께 시작하여 석탄 및 군수물자 수송에 이용되었으나, 도로 교통 발달과 안전 문제, 수송량 감소로 인해 2011년 폐선되었다. - 대한민국의 폐지된 철도 노선 - 당인리선
당인리선은 1929년 서울화력발전소의 무연탄 수송을 위해 개통된 용산선의 일부 단선 철도로, 역들의 폐쇄와 여객 영업 중단 후 1980년에 폐지되었으며, 폐선 구간 일부는 어울마당로로 조성되었다.
| 군산화물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 노선 정보 | |
| 노선 이름 | 군산화물선 |
| 다른 이름 | 해당 없음 |
| 로마자 표기 | Gunsan Hwamul Line |
| 한자 표기 | 群山貨物線 |
| 종류 | 지선 철도 |
| 노선 번호 | 30802 |
| 상태 | 폐선 |
| 운영 | |
| 소유자 | 국가철도공단 |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
| 노선 제원 | |
| 기점 | 군산화물선 분기점 (전라북도 군산시) |
| 종점 | 군산화물역 (전라북도 군산시) |
| 역 수 | 3 |
| 영업 거리 | 8.9 km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 선로 수 | 1 |
| 전철화 여부 | 없음 |
| 역사 | |
| 개통일 | 1912년 3월 6일 |
| 폐지일 | 2022년 3월 6일 |
| 노선도 | |
![]() | |
2. 역사
군산화물선은 과거 군산선의 일부였으므로, 군산선의 역사를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이 호남평야의 농산물을 군산항을 통해 반출하기 위해 건설되었고, 해방 이후에는 주한 미군의 화물 운송과 군산항 주변 공장의 인입철도 역할을 수행했다.[4] 그러나 육상 교통의 발달로 화물 운송 수단이 변화하면서 철도 화물 수요는 감소하였다. 2008년 1월 1일 대야역 동쪽 구간이 장항선에 편입, 군산선은 군산화물선으로 변경되고 여객 운송이 중단되었으며, 2008년 7월 1일 군산화물역 화물 영업 중지로 전 구간 영업이 중지되었다.[4] 2011년 4월 1일 옥구선 화물 취급 재개로 화물 열차가 부정기적으로 운행되었으나, 2017년 군산항선 공사 시작으로 사실상 폐선, 2022년 3월 6일 공식 폐선되었다.
2. 1.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당시, 일본은 호남평야의 풍부한 농산물을 군산항을 통해 반출하기 위해 호남선과 군산항을 잇는 철도를 계획했고, 그 결과 군산선이 건설된 것으로 보인다.[4]| 날짜 | 내용 |
|---|---|
| 1912년 3월 6일 | 이리(현 익산)~군산간 23.1km 구간 완공 |
| 1924년 6월 1일 | 임피역, 개정역 개업 |
| 1931년 8월 1일 | 군산항역 개업 |
| 1943년 12월 1일 | 군산항역 폐역, 군산부두역 개업 |
| 1945년 이후 | 군산부두역 폐역 |
2. 2. 해방 이후
일제강점기에 호남평야의 농산물을 일본으로 반출하기 위해 건설된 군산선은, 해방 이후에도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주한 미군의 화물 운송과 군산항 주변 공장의 인입철도 역할을 수행했다.[4] 그러나 육상 교통의 발달로 화물 운송 수단이 변화하면서 철도 화물 수요는 감소하였다.2008년 1월 1일에는 대야역 동쪽 구간이 장항선에 편입되면서 군산선은 군산화물선으로 변경되었고, 여객 운송은 중단되었다.[4] 2008년 7월 1일에는 군산화물역의 화물 영업도 중지되어 전 구간 영업이 중지되었다.[4]
2011년 4월 1일 옥구선 화물 취급이 재개되면서 군산화물선에도 화물 열차가 부정기적으로 운행되었으나, 2017년 군산항선 공사 시작으로 사실상 폐선되었다. 이후 2022년 3월 6일 군산화물선은 공식적으로 폐선되었다.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 날짜 | 내용 |
|---|---|
| 2008년 1월 1일 | 대야역 동쪽 구간 장항선 편입, 군산선은 군산화물선으로 변경, 여객 운송 중단.[4] |
| 2008년 7월 1일 | 군산화물역 화물 영업 중지로 전 구간 영업 중지.[4] |
| 2011년 4월 1일 | 옥구선 화물 취급 재개 |
| 2017년 | 군산항선 공사 시작, 사실상 폐선 |
| 2022년 3월 6일 | 군산화물선 폐선 |
3. 노선 정보
4. 역 목록
| 역명 | 로마자 역명 | 한자 역명 | 역간거리 (km) | 영업거리 (km) | 접속 노선 | 소재지 | 비고 | |
|---|---|---|---|---|---|---|---|---|
| 군산화물선분기 | 0.0 | 0.0 | 장항선 | 전라북도 | 군산시 | |||
| 개정 | Gaejeong | 開井 | 3.5 | 3.5 | 폐역 | |||
| 군산화물 | Gunsanhwamul | 群山貨物 | 5.4 | 8.9 | 옛 옥구선 | 폐역 | ||
| 군산항 | Gunsanhang | 群山港 | 폐역 | |||||
| 군산부두 | Gunsanbudu | 群山埠頭 | 폐역 | |||||
- 폐지 시점 기준.
- 역의 소재지는 전 노선 전라북도 군산시 내.
노선 폐지 이전에 폐지된 역:
5. 과거 운행 차량
- 동차
- * 니가타 디젤 동차
- * 가와사키 디젤 동차
- * CDC
- 객차
- * 비둘기호 객차
- * 무궁화호 (관광열차)
6. 이용객 변동
2000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철도공사의 한국철도통계에 따르면 군산화물선의 이용객 변동은 다음과 같다.[7]
| 구분 | 이용 인원수 (명) | |||||||
|---|---|---|---|---|---|---|---|---|
| 2000년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2006년 | 2007년 | |
| 비둘기 | 0 | 0 | 0 | 0 | 0 | 0 | 0 | 0 |
| 통일(통근) | 378,453 | 352,720 | 300,230 | 279,713 | 307,113 | 345,047 | 354,806 | 352,524 |
| 무궁화 | 987 | 1,845 | 1,474 | 1,080 | 0 | 658 | 1,293 | 6,725 |
| 새마을 | 0 | 0 | 0 | 0 | 0 | 0 | 0 | 0 |
| 건설 | 0 | 0 | 0 | 0 | 각 종별 열차 이용객에 포함됨 | |||
| 정기권 | 48,848 | 45,918 | 32,093 | 28,381 | ||||
| 합계 | 428,288 | 400,483 | 333,797 | 309,174 | 307,113 | 345,705 | 356,099 | 359,249 |
7. 미디어
KBS의 다큐멘터리 3일에서 2008년 1월 11일에 〈군산선 마지막 꼬마열차〉 편이 방영되었다.[1]
참조
[1]
문서
Iksan~Gunsan Cargo
[2]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885号
1944-06-10
[3]
간행물
朝鮮総督府官報告示第117号
1945-03-14
[4]
뉴스
장항~군산간 철도연결 개통식 열려
https://n.news.naver[...]
2007-12-28
[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http://gwanbo.mois.g[...]
2019-04-17
[6]
웹인용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98호 사업용철도 노선번호 정정
http://gwanbo.mois.g[...]
2019-05-03
[7]
웹사이트
코레일 > 정부3.0 정보공개 > 자료실 > 통계자료실
http://info.korail.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