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범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규범적(Normative)은 철학, 사회 과학, 법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가치 판단이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철학에서는 도덕적 판단, 가치, 옳고 그름에 대한 주장을 다루며, 긍정적 진술과 대조된다. 사회 과학에서는 문화적 규범, 사회 구조, 경제 정책 등과 관련되며, 사회 규범, 구조 기능주의, 규범 경제학 등이 이에 해당한다. 법학에서는 가치관에 따라 법이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표준 문서에서는 의무적인 규칙, 지침 또는 특성을 제공하는 요소를 지칭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규범윤리학 - 관습
관습은 특정 사회나 집단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사회적 규칙으로, 법적 구속력이 없는 사실인 관습과 법령과 동일한 효력을 지닌 관습법으로 나뉘며, 문화, 종교, 시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사회 변화에 따라 법으로 제정되기도 하지만, 성별 특정 규범은 성평등 실현에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 규범윤리학 - 의무론
의무론은 결과보다는 의무와 규칙 준수를 중시하며, 칸트의 정언명령과 같은 보편적 도덕 규칙, 신의 명령, 혹은 다양한 일차적 의무를 강조하는 윤리 이론으로, 공리주의와의 관계 및 추상성과 의무 충돌 문제 등이 주요 쟁점이다. - 사회과학 - 지리학
지리학은 지구와 천체의 특징, 현상, 그리고 공간적 요소를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으로,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진다. - 사회과학 - 정책학
정책학은 정책 과정, 형성, 집행, 분석, 평가 등을 연구하는 사회과학 분야로서, 다양한 과학적 방법론과 이론을 활용하여 민주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고려하며, 현대 사회 문제 해결 및 정책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 법철학 - 자연법
자연법은 인간 이성과 자연 질서에 기반하여 보편적인 법의 원리를 추구하는 사상으로,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사상가들에 의해 발전되어 왔으며, 인간의 존엄성과 정의 실현에 기여하고 국제법의 기초가 되었다. - 법철학 - 정의
정의는 각자에게 그의 몫을 돌려주려는 의지이자 불평등이 없는 상태를 추구하는 가치로, 서양에서는 사법적 의미가, 동양에서는 도덕적 당위성을 포함하며, 권리 행사와 제한에 적용되는 원리이다.
규범적 | |
---|---|
규범성 | |
일반적 정보 | |
정의 | 평가적 기준과 관련된 것 |
관련 개념 | 규범 처방 명령 |
이유 | 어떤 태도나 행동을 해야 할 이유를 제공하는 사실 |
사회적 규범 | |
특징 | 사회 구성원들의 행동을 규제하는 암묵적 또는 명시적 규칙 |
예시 | 인사 예절 법률 도덕률 종교적 계율 |
철학 | |
철학적 의미 | 가치 판단, 옳고 그름, 바람직함과 관련된 것 |
관련 주제 | 윤리학 정치철학 법철학 |
기타 | |
이유의 개념 | 어떤 태도를 갖거나 행동하는 데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사실 |
예시 | 고통을 피하려는 이유 |
2. 철학적 관점
철학에서 규범 이론은 사건에 대해 도덕적 판단을 내리고, 도덕적으로 선하다고 여기는 것을 보존하거나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6] 이러한 규범적 진술은 제도가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지, 가치를 어떻게 매겨야 하는지, 어떤 것이 선인지 악인지, 그리고 어떤 행위가 옳은지 그른지에 대한 주장을 한다.[8]
"아이들은 채소를 먹어야 한다"와 "자유를 안전을 위해 희생하려는 사람들은 둘 다 가질 자격이 없다"는 철학적으로 규범적인 주장이다. 진술이 철학적으로 규범적인지 여부는 그것이 검증되었는지, 검증 가능한지, 또는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지는지 여부와 논리적으로 독립적이다.
규범적 진술의 지위와 그것이 합리적으로 논의되거나 옹호될 수 있는지, 그리고 '되어야 함'을 '있는 그대로'에서 얻을 수 있는지(즉, '가치'를 '사실'에서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논쟁이 많다.
많은 현대 도덕/윤리 철학은 무엇이 적절하거나, 바람직하거나, 칭찬할 만하거나, 가치 있거나, 선하다고 간주되는지에 대한 사람들과 문화 간의 명백한 차이를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러나 크리스틴 코르스가르드와 같은 철학자들은 개인의 주관적인 도덕성과 독립적인 규범적 가치의 근원을 주장하여 결과적으로 (다소 정도의) 객관성을 얻는다.[12]
2. 1. 규범 윤리학
철학에서 규범 윤리학은 사건에 대해 도덕적 판단을 내리고, 도덕적으로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지키거나 나빠지는 것을 막는 데 중점을 둔다.[6] 규범 윤리학은 그리스에서 기원했다.[7]규범 윤리학은 제도가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지, 어떻게 가치를 평가해야 하는지, 무엇이 선인지 악인지, 그리고 어떤 행위가 옳은지 그른지에 대한 주장을 한다.[8] 이러한 주장은 이론, 믿음, 명제 등을 설명할 때, 사실적이고 경험적인 진술로 현실을 묘사하려고 시도하는 긍정적 진술(기술적, 설명적, 진술적 진술)과 대조된다.
예를 들어, "아이들은 채소를 먹어야 한다"와 "자유를 안전을 위해 희생하려는 사람들은 둘 다 가질 자격이 없다"는 철학적으로 규범적인 주장이다.
규범적 진술의 지위와 그것이 합리적으로 논의되거나 옹호될 수 있는지에 관한 여러 사상 흐름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칸트를 거쳐 하버마스에 이르는 실천 이성 전통은 규범적 진술이 합리적으로 논의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감정주의 전통은 그것들이 단순히 감정 표현일 뿐이며 인식적 내용이 없다고 주장한다.
'되어야 함'을 '있는 그대로'에서 얻을 수 있는지, 즉 '가치'를 '사실'에서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논쟁이 많다. 아리스토텔레스는 '되어야 함'을 '있는 그대로'에서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우주가 목적론적이며 그 안의 모든 것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반대로, 데이비드 흄은 '되어야 함'을 '있는 그대로'에서 얻을 수 없다고 믿었다.
2. 2. 사실-가치 구분
철학에서 규범 이론은 사건에 대해 도덕적 판단을 내리고, 도덕적으로 선하다고 여기는 것을 보존하거나 악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6] 규범적 진술은 제도가 어떻게 설계되어야 하는지, 가치를 어떻게 매겨야 하는지, 어떤 것이 선인지 악인지, 그리고 어떤 행위가 옳은지 그른지에 대한 주장을 한다.[8]"아이들은 채소를 먹어야 한다"와 "자유를 안전을 위해 희생하려는 사람들은 둘 다 가질 자격이 없다"는 철학적으로 규범적인 주장이다. 반면에 "채소는 비교적 높은 비율의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다"와 "자유를 안전을 위해 희생하는 일반적인 결과는 둘 다의 손실이다"는 긍정적인 주장이다.
규범적 진술과 규범 및 그 의미는 인간 생활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그것들은 목표의 우선 순위를 정하고 조직하고 계획하는 데 근본적이다. 사고, 믿음, 감정, 행위는 많은 윤리적 및 정치적 담론의 기초이다.
'되어야 함'을 '있는 그대로'에서 얻을 수 있는지, 또는 '가치'를 '사실'에서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논쟁이 많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주가 목적론적이며 그 안의 모든 것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보아, '되어야 함'을 '있는 그대로'에서 얻을 수 있다고 믿었다.[9] 반면 데이비드 흄은 '되어야 함'을 '있는 그대로'에서 얻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2. 3. 실천 이성
철학에서 실천 이성 전통은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칸트를 거쳐 하버마스에 이르기까지 규범적 진술이 합리적으로 논의되고 옹호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6][7][8] 반면, 감정주의 전통은 규범적 진술이 단지 감정 표현일 뿐이며 인식적 내용이 없다고 주장한다.'되어야 함'을 '있는 그대로'에서 얻을 수 있는지, 즉 '가치'를 '사실'에서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철학적 논쟁이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주가 목적론적이며 그 안의 모든 것은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고, '되어야 함'을 '있는 그대로'에서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9] 반대로, 데이비드 흄은 '되어야 함'을 '있는 그대로'에서 얻을 수 없다고 믿었지만, 철학적으로 규범적인 것을 살펴보는 동안 경험적 실험 방법을 사용했다. 케임스도 사실과 객관성에 대한 연구를 사용하여 올바른 도덕 체계를 발견했다.[10] '있는 그대로'가 '되어야 함'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가정은 로이 바스카 철학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11]
2. 4. 감정주의
철학에서 감정주의는 규범적 진술이 단순히 감정의 표현일 뿐이며 인식적 내용이 없다고 주장하는 사상 흐름이다.[6] 이는 아리스토텔레스에서 칸트를 거쳐 하버마스에 이르는 실천 이성 전통과 대조된다.[6] 실천 이성 전통은 규범적 진술이 합리적으로 논의되고 옹호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3. 사회과학적 관점
사회 과학에서 "규범적"이라는 용어는 철학에서의 용법과 대체로 같지만, 사회학적 맥락에서는 문화적 규범의 역할과 관련될 수도 있다. 구조 기능주의 관점에서, 공유된 가치 또는 제도는 사회 구조와 사회 통합을 이루는 요소로 여겨진다. 이러한 가치와 사회화는 사회 활동과 결과를 규범에 비추어 장려하거나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활동을 촉진한다.
규범 경제학은 원하는 경제적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어떤 경제 정책을 추구해야 하는지 다룬다.
정치 연구에서 규범성과 규범 이론의 사용은 논리실증주의의 영향으로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일부 학자들은 가치 중립적인 접근을 주장하며 규범 이론의 가치 기반적 특성을 비판한다.[13] 그러나 규범 이론이 정치적 논쟁에 기여하며, 정치 과학은 가치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반론도 있다.[14] 피에트지크-리브스(Pietrzyk-Reeves)는 정치 연구의 규범적 측면이 다른 사회 과학 분야와 구별되는 요소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13]
이러한 의미에서 규범은 행동이나 결과를 평가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규범적”은 기술적인 기준과 관련된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때 규범은 평가적인 것이 아니라 단순한 사실이나 관찰을 의미한다.[18][19]
3. 1. 사회 규범
사회 과학에서 '규범적'이라는 용어는 철학에서의 용법과 대체로 같은 의미를 지니지만, 사회학적 맥락에서는 문화적 규범의 역할과 관련될 수도 있다. 이는 구조 기능주의자들이 사회 구조와 사회 통합을 구성하는 요소로 보는 공유된 가치 또는 제도를 말한다. 이러한 가치와 사회화 단위는 그러한 구조에 내재된 규범에 비추어 발생해야 하는 사회 활동과 결과를 장려하거나 강화하는 동시에, 발생해서는 안 되는 사회 활동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사회 활동을 촉진한다(위의 철학 참조). 사회 활동에는 항상 예외가 존재한다(범죄 또는 반사회적 행위로 일반적으로 설명됨, 정상성 (행동) 참조). 그러나 "가족 가치" 또는 "상식"과 같은 대중적으로 지지되는 신념의 규범적 효과는 대부분의 사회 활동을 일반적으로 동질적인 집합으로 이끌어낸다. 그러나 이러한 추론에서 기능주의는 이념적 보수주의와 친밀성을 공유한다.3. 2. 구조 기능주의
사회 과학에서 "규범적"이라는 용어는 철학에서의 용법과 대체로 같은 의미를 지니지만, 사회학적 맥락에서는 문화적 '규범'의 역할과 관련될 수도 있다. 이는 구조 기능주의자들이 사회 구조와 사회 통합을 구성하는 요소로 보는 공유된 가치 또는 제도를 말한다. 이러한 가치와 사회화 단위는 그러한 구조에 내재된 규범에 비추어 발생해야 하는 사회 활동과 결과를 장려하거나 강화하는 동시에, 발생해서는 안 되는 사회 활동을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회적으로 '가치 있는' 사회 활동을 촉진한다(위의 철학 참조). 사회 활동에는 항상 예외가 존재한다("범죄" 또는 반사회적 행위로 일반적으로 설명됨, 정상성 (행동) 참조). 그러나 "가족 가치" 또는 "상식"과 같은 대중적으로 지지되는 신념의 규범적 효과는 대부분의 사회 활동을 일반적으로 동질적인 집합으로 이끌어낸다. 그러나 이러한 추론에서 기능주의는 이념적 보수주의와 친밀성을 공유한다.3. 3. 규범 경제학
규범 경제학은 어떤 종류의 경제 정책을 추구해야 바람직한(가치 있는) 경제적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을 다룬다.[18][19] 여기서 규범은 행동이나 결과를 평가하고 판단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규범적'이라는 표현은 기술적인 기준과 관련된다는 의미로도 쓰이지만,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다. 이 경우 규범은 평가적인 것이 아니며, 행동이나 결과를 판단하는 근거가 아니라 단순히 사실이나 관찰을 의미하며 판단을 포함하지 않는다. 과학, 법학, 철학 연구자들은 '규범'이라는 용어를 평가적인 의미로 한정하고, 행동이나 결과에 대한 기술은 긍정적, 기술적, 예측적, 경험적이라고 부른다.[18][19]3. 4. 정치학에서의 규범 이론
정치 연구에서 규범성과 규범 이론의 사용은 논리실증주의의 인기 상승 이후 의문을 받아왔다. 일부 학자들은 규범 이론이 가치 기반적 특성 때문에 정치 연구에 적합하지 않으며, '있는 그대로'가 아닌 '있어야 할 것'에 이론을 적용하는 가치 중립적인 실증적 접근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13]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규범 이론이 단순히 이론가의 견해와 가치의 투영을 넘어 정치적 논쟁에 중요한 기여를 하기 때문에 정치에서 규범 이론의 사용을 포기하는 것은 잘못이며, 무의미하다고 주장한다.[14] 도로타 피에트지크-리브스(Pietrzyk-Reeves)는 정치 과학이 진정으로 가치 자유로울 수 없다고 주장하며, 따라서 규범 이론을 사용하지 않는 것은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또한 정치 연구의 규범적 측면은 그것을 다른 많은 사회 과학 분야와 구별하는 요소일 수 있다고 한다.[13]3. 4. 1. 국제 관계에서의 규범 이론
국제 관계학에서 스미스, 베일리스, 오웬스는 2008년 저서 서문에서 규범 이론은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한다.[15] 이러한 이론적 세계관은 규범적이지 않은 입장을 구성하는 암묵적 가정과 명시적 가정을 인식하고,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구성주의, 현실주의, 관념론 및 정치적 세계화와 같은 다른 주요 사회정치 이론의 핵심 개념들과 규범적 입장을 조정하거나 위치시키려는 것을 목표로 한다.4. 법적 관점
법학에서 "규범적"이라는 용어는 가치관에 따라 어떤 것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서로 다른 가치관은 모순될 수 있으므로, 규범적 주장 또한 상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사 절차나 형사 사법 시스템의 목적과 같이 서로 다른 가치관이 대립할 수 있다.[18][19]
이러한 의미에서 규범은 행동이나 결과를 평가하거나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의미한다.
4. 1. 규범적 법학
법학에서 "규범적"이라는 용어는 가치관에 따라 어떤 것이 어떻게 되어야 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서로 다른 가치관은 서로 모순될 수 있으므로, 규범적 주장 또한 상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규범적 가치관에서는 형사 절차의 목적이 범죄를 억압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또 다른 가치관에서는 형사 사법 시스템의 목적이 잘못된 유죄 판결로 인한 도덕적 피해로부터 개인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18][19]이러한 의미에서 규범은 행동이나 결과를 평가하거나 판단하기 위한 기준을 의미한다. "규범적"이라는 용어는 기술적인 기준과 관련된다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다소 혼란스럽다. 이러한 의미에서 규범은 평가적인 것이 아니며, 행동이나 결과를 판단하기 위한 근거가 되는 것도 아니고, 단순히 행동이나 결과에 관한 사실이나 관찰이며 판단을 수반하지 않는다. 과학, 법학, 철학 연구자들의 대다수는 "규범"이라는 용어의 사용을 평가적인 의미로 한정하고, 행동이나 결과의 기술을 긍정적, 기술적, 예측적, 경험적이라고 부르려 하고 있다.[18][19]
4. 2. 표준 문서
CEN-CENELEC 내규에서는 "규범적인"(normative)을 문서 또는 요소에 적용되는 것으로 정의하며, 이는 "활동 또는 그 결과에 대한 규칙, 지침 또는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의무적인 사항이다.[16]규범적인 요소는 국제표준화기구(ISO) 지침 제2부에서 "문서의 범위를 설명하고 규정을 설정하는 요소"로 정의된다.[17] 규정에는 충족되어야 하며 벗어날 수 없는 기준인 "요구사항"과 준수할 필요가 없는 "권장사항" 및 "진술"이 포함된다.
참조
[1]
서적
The Grammar of Society: The Nature and Dynamics of Social Nor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서적
Norms in the Wild: How to Diagnose, Measure, and Change Social Norms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Normativity
Open Court
[4]
서적
Being realistic about reasons
[5]
서적
On what matters Volume on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6]
논문
What Is Political Philosophy? The Problem of Political Philosophy
http://dx.doi.org/10[...]
Routledge
2020-12-14
[7]
논문
Normative political theory and empirical research
http://dx.doi.org/1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12-14
[8]
서적
What is politics?: the activity and its study
Polity
[9]
웹사이트
The Is/Ought Gap: How Do We Get "Ought" from "Is?"
https://ethicalreali[...]
2020-12-14
[10]
간행물
Hume's Moral Theory?
www.jstor.org/stable[...]
2020-12-14
[11]
간행물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normativity
https://www.tandfonl[...]
[12]
웹사이트
The Sources of Normativity
https://tannerlectur[...]
1994
[13]
논문
Normative Political Theory
[14]
서적
Approaches and Methodologies in the Social Sciences: A Pluralist Perspective
https://search.ebsco[...]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12-01
[15]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An introduction to international relations
Oxford University Press
[16]
웹사이트
Internal Regulations, Part 3: Principles and rules for the structure and drafting of CEN and CENELEC documents
https://boss.cen.eu/[...]
CEN-CENELEC
2023-05-13
[17]
웹사이트
ISO/IEC Directives, Part 2, Principles and rules for the structure and drafting of ISO and IEC documents
https://www.iso.org/[...]
ISO IEC
2023-05-17
[18]
서적
The Grammar of Society: The Nature and Dynamics of Social Norms
https://www.amazon.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12-19
[19]
서적
Norms in the Wild: How to Diagnose, Measure, and Change Social Norms
https://www.amazon.c[...]
Oxford University Press
2016-12-29
[20]
서적
The theology of the Westminster standards : historical context and theological insights
https://www.worldca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