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기독교대한감리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기독교대한감리회는 1885년 미국 북감리교회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된 대한민국의 개신교 교단이다. 1930년 남북 감리교회가 통합하여 기독교 조선 감리회가 창설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일본기독교조선감리교단으로 강제 통합되었다가 해방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1971년 분열 이후 재통합되었으며, 2008년 감독회장 선거 논쟁을 겪었다. 공교회주의 신학을 따르며, 사회적 약자를 위한 활동을 해왔다. 교육 기관으로는 감리교신학대학교,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등이 있으며, 의료 기관으로는 세브란스병원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0년 설립된 종교 단체 - 네이션 오브 이슬람
    네이션 오브 이슬람은 1930년 월리스 파드 무하마드가 창설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종교 및 문화 운동으로, 흑인 민족주의에 기반한 이슬람 신학을 발전시키고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자긍심 고취와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을 목표로 했으며, 일라이저 무하마드 사후 와리스 딘 무하마드의 주류 이슬람 통합 시도와 루이스 파라칸의 전통 교리 옹호 및 재건을 거쳐 현재에 이르고 있다.
  • 1930년 설립된 종교 단체 - 가톨릭 베를린 대교구
    가톨릭 베를린 대교구는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로마 가톨릭 교회 대교구로, 1821년 주교 대리구로 시작하여 1930년 교구로 승격되었고, 1994년 대교구로 승격되어 괴를리츠 교구와 드레스덴-마이센 교구를 관할하며, 2011년 라이너 마리아 뵐키가 대주교로 임명되었다.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은 1959년 대한예수교장로회에서 분리된 장로교 교단으로, 세계교회협의회(WCC) 가입 문제로 분열되었으며 에큐메니칼 운동에 참여하고 칼 바르트의 변증법 신학에 기초한 복음주의적 성경 해석을 따르며 웨스트민스터 소교리문답을 채택하고,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공보, 한국장로교출판 등의 기관과 새문안교회, 영락교회, 소망교회 등을 산하에 두고 2024년에는 교회 세습 금지법 폐지 시도 등으로 논란이 된 바 있다.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 기독교대한복음교회
기독교대한감리회
감리교
존 웨슬리
존 웨슬리
배경
조직
관련 인물
신학 교리
일반 정보
한글 명칭기독교대한감리회
한자 명칭基督敎大韓監理會
영어 명칭Korean Methodist Church
세계교회협의회 가입1948년 1월
감독회장김정석 목사
감독회장 선출일2024년 9월 26일

2. 역사

1930년 12월 2일, 미국 남북감리교회 통합보다 앞서 한국에서는 양측 감리교회의 통합 전권을 위임받아 "기독교 조선 감리회"가 창설되었다. 이는 세계 최초로 한국에서 연합이라는 이정표를 세운 것이다.

이후 일제의 강요로 1943년 '일본기독교조선감리교단'이 창설된 후 1945년 일본기독교조선교단으로 강제 통합당했으나, 해방 후 다시 분리되어 교단을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재건파와 복흥파로 분열되는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곧 통합되어 1949년 현재의 이름인 '기독교대한감리회'가 채택되었다.

1971년 경기연회 사건으로 총리원과 총회(갱신)측으로 분리되기도 하였으나 이후 재통합되어, 현재 대한민국 개신교 교파 중 유일하게 교파 분열을 겪지 않은 교단이 되었다. 다만 2008년 감독회장 선거 논쟁이 있었으나, 2013년 전용재 목사가 감독회장에 당선되며 일단락되었다.

감리교단 본부는 광화문 사거리에 있으며, 감리교신학대학교, 협성대학교, 목원대학교 등의 신학교를 통해 목회자를 양성한다. 초기부터 의료, 교육 선교에 힘써 이화여자대학교,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과도 깊은 관련을 맺고 있으며, 복지 사업에도 앞장서고 있다.

1901년 김창식, 김기범이 한국 개신교 최초로 목사 안수를 받았고,[9] 1930년대에는 여성 선교사들의 목사 안수가 시작되었으며,[10][11] 1955년에는 한국 개신교 역사상 최초로 전밀라, 명화용 두 여성이 목사 안수를 받았다.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에 가입되어 있으며, 1970년대에는 민주화 투쟁, 노동자 운동, 도시산업 활동을 통해 인권과 시민 권리 확보를 위해 노력하였다.

감리교회는 에큐메니칼 운동과 토착화 신학을 강조하며 한국적 상황에 맞는 신학적 토착화에 힘썼고, 한국 개신교 활동의 기초를 닦았다. 서울YMCA를 통한 체육 여가활동, 추수감사절 제정(1921년), 부활절 연합예배, 군선교 등 교계 연합활동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2. 1. 한국 감리교회의 전래와 초기 선교

1884년 6월 24일, 일본 주재 선교사로 활동하던 미국 북감리교회(미감리회) 소속의 로버트 새뮤얼 매클레이 선교사가 내한하여 고종으로부터 의료 및 교육 선교 허가를 받았다.[5] 이듬해인 1885년 4월 5일, 미국 북감리교회 소속 목사 헨리 아펜젤러, 의사 윌리엄 스크랜턴, 여선교사 메리 스크랜튼(윌리엄 스크랜톤의 어머니)이 내한하여 본격적인 선교 활동을 시작하였다.[6]

1895년 10월, 미국 남감리교회의 헨드릭스 감독과 리이드 박사가 내한하여 전도를 시작하였다. 당시 북감리회는 '''미리미교회''', 남감리회는 '''감리회'''라고 불렀다.[7]

2. 2. 일제강점기 감리교회와 민족 운동

아펜젤러 선교사는 독립협회 창설을 지원하고, 배재학당 출신 이승만을 옥중 지원하는 등 한국 독립운동에 깊이 관여했다. 3·1 독립 선언을 한 민족대표 33인 중에는 이필주, 신석구 등 감리교인 9명이 포함되었으며, 유관순 열사도 감리교인이었다.

스크랜턴 선교사의 전도로 개신교인이 된 전덕기[14] 상동감리교회에서 엡웰 청년회를 중심으로 을사조약 반대운동을 전개했고, 상동청년학원을 만들어 민족운동에 앞장섰다.[14] 신민회는 감리교회의 지원으로 탄생했으며, 신민회가 조직된 상동감리교회이준의 헤이그 특사 파견을 협의하고 실행한 곳이다. 사민필지의 저자인 헐버트 선교사는 동대문교회 담임으로서 고종의 밀사로 활약했다. 김상옥 의사 역시 동대문교회 출신이다.

2. 3. 해방 이후 감리교회의 발전과 과제

2023년, 기독교대한감리회는 LGBT 권리 지지를 이유로 이모(en) 목사를 출교 조치했다. 2024년, 한국 법원은 이 출교 처분에 대해 집행 정지 가처분 결정을 내렸다.[3] 이후 기독교대한감리회는 동성애를 지지하거나 옹호하는 목사를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발표했다.[4]

3. 교리

신학적으로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공교회주의 교단이다. 종교개혁의 개선주의 전통인 개신교 공교회주의가 감리교회의 기본적 신학이다. 주요 감리교 교리 역시 공교회주의의 핵심인 7개 공의회의 교리를 따른다. 영국국교회 성직자인 웨슬리의 사상을 중심으로 18세기 영국국교회의 종교 강령을 재형성한 강령 25개조와 웨슬리의 표준설교, 신약성서주해와[12] 초기 그리스도교회 전통을 종합적으로 수용하고 있으며[13], 감리회 신앙고백과 사회신경을 두어 감리교회의 교리와 사회적 책임에 대해 명확하게 선언하고 있다.

4. 구조

한국의 감리교회는 공교회주의를 따르는 감독제 교회 구조를 가지고 있다. 현재 서울 광화문빌딩 16층에 교단 본부가 있으며, 연회와 지방회로 구성되어 전통적인 공교회 치리 제도를 유지한다. 한국 감리교회는 신학적으로 성경, 전통, 이성, 체험을 중요시하여 동방, 서방 교회 분리 이전인 11세기 이전의 전통적인 교회 제도와 신학에 관심이 높다. 따라서 예배 형태와 교직 제도는 11세기 이전의 전통을 따라 성직자는 "전도사, 목사, 감독"으로 구분한다. 전도사 직제는 수련목회자나 전도사로 구분하여 실행한다.

4. 1. 교단 총회와 감독회장

감리교 교단을 대표하는 감독회장은 각 연회의 감리사와 목사, 평신도 대표들의 선거로 선출된다.[1] 감독회장은 감독회의와 총회 회의를 주관하며, 대외적으로 감리교회를 대표한다.[1] 세계감리교협의회의 대한민국 감리교회 대표이며, 총회의 주요 안건과 감독직 안수, 감리교회 전반적 치리와 국가간 감리교 교단과의 연합을 이룬다.[1]

4. 2. 연회와 감독

목사와 평신도의 선거로 선출되는 감독이 연회를 치리하며, 연회는 대한민국의 행정구조와 인구를 따라 구성된다. 연회는 30~40여 개의 지방회로 구성된다. 연회에서는 감리교의 주요 안건, 성직 및 목사 안수, 연회 전반적 치리, 다른 연회와의 연합을 담당한다.[1]

4. 3. 지방회와 감리사

지방회는 30-50여 개의 구역교회(개체교회)로 구성된다. 감리사는 해당 지방의 회의에서 목사와 평신도의 선거로 선출되며, 지방회의 대표자로서 지방회를 치리한다. 또한 감리사는 구역 교회를 담임하는 목사와 교회 간의 교류를 돕고 협력하는 역할을 한다.

4. 4. 구역회와 목사

구역회는 목사가 파송되어 목회를 하는 개체 교회를 의미한다. 목사는 연회의 감독이 파송한 연회 성직자이므로 구역회는 지방회의 소속이며, 구역회의 대표는 감리사이다. 감리사는 파송을 확인하고 개체교회를 관리한다. 개체 교회의 모든 목회는 담임 목사가 책임을 지며, 담임 목사는 구역회를 통해서 감리사에게 목회 계획을 보고하고 협력한다. 구역회에는 목사와 목사가 되기 위해 수련을 받는 전도사인 수련목회자가 있으며, 교육과 목회를 돕는 교육사, 심방 전도사가 속해 있다.

5. 감리교 목사 양성 및 안수

기독교대한감리회[15]는 목사를 성직 자격으로 보는 공교회주의 전통을 따르며, 감리교회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수련목회자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총 3년 동안 서리(예비자) 과정 1년과 수련 기간 과정 2년을 거쳐 목사 안수를 받는다. 감리교회는 1930년부터 남녀 차별 없이 목사 안수를 시행하고 있다.[15]

'''수련목회자 자격 조건'''

4년제 대학 졸업 후 감리교단 대학교(감리교신학대학교, 협성대학교, 목원대학교, 연세대학교(조건부))의 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소속 교회 목사의 추천서를 받아야 한다.

'''수련 과정'''

3년 동안 4회에 걸쳐 시험을 보며, 과제와 훈련 수행, 담임목사와 지방, 연회의 평가를 받아야 한다. 1차 수련목고시 후 소속 교회 연회에 파송받는다. 2차 서리 이수 과정, 3차 준회원1 이수 과정, 4차 준회원2 이수 과정을 거쳐 만 3년 동안 4차의 수련목 평가 및 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 1차 수련목 고시: 성서, 감리교 교리와 장정, 감리교신학, 교회역사 필기시험과 면접을 본다. 합격자는 수련 기간 동안 생활 지원을 받으며 수련 과정을 이수한다. 수련목은 전도사로 불리며, 매년 단계별 과제, 훈련, 소속 교회 수련 과정을 이수해야 한다.

  • 2차(제1년) 서리 과정: 성직 예비자 과정이다. 성서신학과 기독교윤리, 목회신학, 신구약성경 시험을 보고, 건강진단을 받는다. 소속 교회 담임목사는 전후반기 2회 신학독서 보고서를 받고, 기도, 성경독서, 교회 활동, 성찬 및 세례 보좌, 심방, 교회행정 지원 등 목회 수련 과정을 평가한다. 영성 훈련, 수련목 과제, 소속 교회 지방[16] 감리사 주관 성직심사, 목회주제 소논문 합격, 감독 주관 연회 1차 다면 면접 형태 성직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 3차(제2년) 준회원1 과정: 교회교육과 역사신학, 예배학 신학, 신구약 성경시험을 본다. 소속 교회 담임목사 평가(전후반기 2회, 신학독서 보고서, 목회 수련 과정 평가), 영성훈련, 수련목 프로그램, 설교 관련 소논문 합격, 연회 2차 다면 면접 형태 성직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 4차(제3년) 준회원2, 성직준비 과정: 성직 안수준비 과정이다. 교회행정, 목회신학, 조직신학, 신구약성경 필기 시험을 본다. 소속 교회 담임목사 평가(전후반기 2회, 신학독서 보고서, 목회 수련 과정 평가), 영성훈련, 수련목 프로그램, 교회행정 관련 소논문, 연회 3차 다면 면접 성직심사를 통과해야 한다. 안수 전 신체 및 정신 건강 진단을 다시 받는다. 이후 안수 대상 수련목 기본교육과 영성훈련을 거쳐 연회[17]에서 감독 주관 성직위원회 최종 심사(병원 정신과 검사 포함) 후 감독이 성직 안수를 한다.


'''허입 불가 사항'''

종합병원 건강 진단(1년 이내)에서 직무 수행 불가 신체적 이상, 정신과적 문제, 과중 채무, 도박, 마약, 부도덕한 생활, 범죄 사실이 있으면 서리(예비자) 과정 허입이 불가하여 목사 안수를 받을 수 없다.

6. 사회적 입장

감리교회는 에큐메니칼 운동과 토착화 신학을 강조함으로써 한국적인 상황에서 신학적 토착화에 관심을 기울였으며, 한국 개신교회 활동의 기초를 닦는 역할을 했다. 서울YMCA를 통해 지덕체를 건강하게 키워내는 다양한 체육 여가활동을 연합사업으로 성장시켰다. 감리교와 장로교 연합공의회(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통하여 추수감사절을 1921년 11월 둘째 주일 지난 수요일로 정하면서 한국 개신교의 기준이 되도록 했고, 부활절 연합예배 및 군선교 등에서도 교계의 연합활동에 힘썼다.

2023년, 기독교대한감리회는 LGBT 권리 지지로 인해 이모 목사(Lee Dong-hwan)를 출교 조치했다. 이듬해 한국 법원은 출교 처분 집행 정지를 명하는 가처분 결정을 내렸다.[3] 이후 해당 교단은 동성애를 지지하거나 옹호하는 목사를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발표했다.[4]

7. 유관 기관

기독교대한감리회는 전래 초기부터 교육과 의료 분야에 관심을 기울였다.

교육 분야에서는 배재학당을 시작으로 여러 학교를 설립하였다. 감리교신학대학교, 협성대학교, 목원대학교 등이 감리교 계통 대학이며, 연세대학교는 감리교회와 장로교회가 공동으로 설립하였고, 이화여자대학교, 배재대학교, 배화여자대학교 등도 감리교 계통이다.[1] 감리교회 성직자 양성을 위한 기관으로는 감리교신학대학교, 협성대학교, 목원대학교의 신학대학과 신학대학원, 인천성서신학원(목회아카데미)이 있다.[1]

의료 분야에서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이화여자대학교의료원(목동, 서울), 인천기독병원 등을 운영하고 있다.

7. 1. 교육 기관

배재학당을 시작으로 감리교신학대학교, 협성대학교, 목원대학교, 연세대학교(감리교회와 장로교회 공동으로 설립), 이화여자대학교, 배재대학교, 배화여자대학교 등을 설립하였다.[1] 감리교회 성직자를 양성하는 교육기관으로 감리교신학대학교, 협성대학교, 목원대학교의 신학대학과 신학대학원, 인천성서신학원(목회아카데미)이 있다.[1]

'''대학교'''



'''고등학교'''



'''중학교'''



'''초등학교 및 기타'''

7. 2. 의료 기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강남세브란스병원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
  • 연세대학교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
  • 이화여자대학교의료원 (목동, 서울)
  • 인천기독병원

참조

[1] 웹사이트 Korean Methodist Church — World Council of Churches http://www.oikoumene[...] 2018-02-15
[2] 뉴스 광림교회 김정석 목사, 감리교 감독회장 당선 https://www.christia[...] 2024-09-27
[3] 웹사이트 Court suspends Korean Methodist church's excommunication of pro-LGBTQ pastor https://www.koreatim[...] 2024-07-20
[4] 뉴스 감리교 호남연회 “동성애 지지 목회자 받지 않을 것” https://www.christia[...] 2024-09-09
[5] 웹사이트 한국 감리교회의 역사 https://kmc.or.kr/ab[...]
[6] 서적 한국 기독교회의 역사 (상) 장로회신학대학교 출판부 1998-00-00
[7] 간행물 조선그리스도인회보(영인본) 한국감리교회사학회 1986-00-00
[8] 문서 감리교회의 연회
[9] 웹사이트 김창식 [金昌植] https://terms.naver.[...]
[10] 웹사이트 감리교회사, 기독교대한감리회 약사(년도별). https://kmc.or.kr/ab[...]
[11] 문서 내한 여성 선교사 목사 안수
[12] 웹사이트 교리와 장정 https://kmc.or.kr/co[...] 기독교대한감리회
[13] 인용문 기독교대한감리회, 교리와 장정
[14] 웹사이트 전덕기 [全德基] https://terms.naver.[...]
[15] 서적 교리와 장정 기독교대한 감리회 2007-00-00
[16] 문서 감리교회 지방회
[17] 문서 감리교회 연회
[18] 웹인용 2019년 교세현황 http://www.kmcmissio[...] 기독교대한감리회 본부 선교국 2020-05-08
[19] 문서 감리교회 지방회
[20] 웹사이트 미주자치연회 http://kmc.or.kr/boa[...]
[21] 문서 북한연회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