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양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양건은 1970년대부터 북한 노동당 국제부에서 활동하며, 통일전선부장,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한 북한의 고위 관료였다. 김일성종합대학에서 프랑스 문학을 전공하고, 1997년 당 국제부 부장, 2007년 통일전선부장에 임명되었다. 2014년과 2015년 남북 고위급 회담에 참여하여, 2015년 12월 교통사고로 사망했다. 그의 사망 이후 북한의 대남 정책 경직화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으며, 후임으로는 김영철이 임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주시 출신 - 최정훈 (배우)
대한민국의 배우 최정훈은 1972년 드라마 《여로》로 데뷔하여 드라마와 영화에서 활동하며, 특히 여러 작품에서 이승만 대통령 역을 맡아 '이승만 전문 배우'라는 평을 받았고, 롯데제과 광고에도 출연했다. - 안주시 출신 - 한학자
1943년생인 한학자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 설립자 문선명의 배우자이자 '참어머니'로 숭앙받으며, 세계평화여성연합 설립, 국제적인 평화 운동, 자선 사업 등을 통해 세계 평화 증진에 기여하고, 문선명 사후에는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을 이끌고 있다. -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 김일성종합대학 동문 - 강성산
강성산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두 차례에 걸쳐 내각 총리를 역임하며 합영법 제정 등 경제 개혁을 추진하였으나 김정일 시대에 실각한 후 사망하여 애국렬사릉에 안장되었다. -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김여정
김여정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김정일과 고용희 사이에서 태어나 김정은의 여동생이며, 조선로동당 핵심 실세로 부상하여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 등 주요 외교 행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대외적으로 강경한 어조의 담화를 발표하며 대남·대미 압박을 주도하기도 한다. -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 김정일
김정일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제2대 최고지도자로, 김일성 사망 후 권력을 승계하여 조선로동당 총비서 및 국방위원회 위원장으로 통치하며 3대 세습, 핵무기 개발, 남북 정상회담 등의 사건과 경제난, 인권 탄압 등의 문제를 겪은 인물이다.
김양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김양건 |
출생일 | 1942년 4월 24일 |
출생지 | 일제강점기 조선 평안남도 안주시 |
사망일 | 2015년 12월 29일 |
사망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사망 원인 | 교통 사고 |
국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거주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
로마자 표기 | Kim Yang-gon |
한자 표기 | 金養建 |
조선글 표기 | 김양건 |
직업 및 경력 | |
직업 | 정치인 |
소속 정당 | 조선로동당 |
주요 경력 | 조선로동당 통일전선부장 |
학력 | |
학력 | 김일성종합대학 불문학 학사 |
가족 관계 | |
배우자 | 유 |
자녀 | 정보 없음 |
친척 | 정보 없음 |
기타 | |
서명 | 정보 없음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2. 생애
김일성종합대학 외문학부에서 프랑스 문학을 전공하고 1970년대부터 조선로동당 국제부에서 지도원, 과장 등을 지내며 경력을 시작했다.[15] 1997년 4월 당 국제부 부장에 임명되었으며,[15] 2007년에는 대남 정책을 총괄하는 당 통일전선부장에 취임하여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도 겸했다.[15] 그는 최고인민회의 대의원(9기, 10기)과 상임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으며,[15] 2010년 9월에는 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서기 겸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선출되었다.[15]
김정은 집권 이후에도 주요 직책을 유지했으며, 2014년 10월 황병서, 최룡해와 함께 대한민국 인천에서 열린 2014년 아시안 게임 폐막식에 참석하여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등과 남북 고위급 회담을 가졌다.[5][6] 2015년 2월에는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위원으로 승격되었고,[7] 같은 해 8월 비무장지대 목함지뢰 사건으로 고조된 남북 간 긴장 상황에서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 고위급 접촉에 황병서와 함께 북측 대표로 참석하여 합의를 이끌어냈다.[8][9]
2015년 12월 29일 오전 6시 15분경, 갑작스러운 교통사고로 사망했다.[11] 그의 장례는 김정은을 장례위원장으로 하는 국장으로 치러졌다.[12] 대한민국 언론 등에서는 대남 온건파로 평가받던 그의 사망이 향후 북한의 대남 정책 경직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13]
2. 1. 초기 경력
김일성종합대학 외문학부에서 프랑스 문학을 전공했다.[15] 1970년대부터 조선로동당 국제부에서 지도원, 과장 등을 역임하며 경력을 쌓았다.[15]1986년 당 국제연락부 부부장으로 임명되어 정치 경력을 시작했으며, 이 기간 동안 조선일본친선협회 회장을 맡아 일본과의 관계 업무를 담당하기도 했다. 1990년 4월에는 최고인민회의 제9기 대의원으로 선출되었다.[15] 1995년 북한의 최고 훈장인 김일성훈장을 수여받았다.
1997년 4월 당 국제부 부장으로 승진했으며,[15] 재임 기간 중 여러 차례 중국을 방문하는 등 외교 활동을 이어갔다. 1998년 7월에는 최고인민회의 제10기 대의원(제84호 선거구)으로 다시 선출되었다.[15]
2. 2. 통일전선부장 및 주요 활동
1997년 4월 조선로동당 국제부 부장을 거쳐, 2007년 3월 림통옥(Rim Tong-ok)의 사망 몇 달 후 김정일의 측근으로 여겨지던 김양건이 노동당 통일전선부 부장으로 임명되었다.[15] (일부 자료에서는 2007년 5월 27일 국방위원회 참사에서 통일전선부장으로 전임했다고도 한다.) 이때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도 겸하게 되었다.[15] 통일전선부장으로서 그의 첫 주요 임무는 2007년 11월 대한민국의 서울을 방문하여 당시 이재정 통일부 장관과 남북 화해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었다.2009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을 거쳐 2009년 8월 다시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위원장에 올랐다. 같은 해 8월 21일부터 23일까지는 특사 조의 방문단원의 일원으로 대한민국의 전 대통령 김대중의 서거에 조문하기 위해 서울을 방문했다. 2010년 9월 제3차 당 대표자대회에서는 노동당 중앙위원회 비서국의 통일전선 및 대남정책 담당 비서와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후보위원으로 임명되었다. 2011년 12월 김정일 국가장례위원회 위원으로 명단에 오르면서 정치국 후보위원임이 다시 확인되었다.
김정은 집권 이후에도 자신의 직책을 유지했으며, 2012년 7월 신설된 김정일훈장을 수훈받았다.
2014년 10월 4일, 당시 북한의 2인자로 평가받던 황병서(국방위원회 부위원장 겸 군 총정치국장), 최룡해(당 비서 겸 국가체육지도위원장)와 함께 2014년 아시안 게임 폐막식 참석을 위해 대한민국 인천을 전격 방문했다. 이 방문에서 대한민국의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류길재 통일부 장관과 회담하고 향후 남북 고위급 접촉 개최에 합의했다. 북한 최고위급 인사 3명이 동시에 방한한 것은 극히 이례적인 일로 평가받았다.[5][6]
2015년 2월,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정치국 위원으로 승격되었다.[7]
2015년 8월, 비무장지대(DMZ)에서 발생한 목함지뢰 매설 사건으로 대한민국 국군 병사 2명이 중상을 입은 사건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이를 북한의 소행으로 규정하고 대응 조치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재개했다. 이에 북한은 '준전시 상태'를 선포하며 군사적 대응을 예고했고, 한반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 이에 8월 22일 밤부터 25일 새벽까지 판문점에서 남북 고위급 회담이 열렸다. 대한민국 측에서는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북한 측에서는 황병서와 김양건이 참석했다. 회담 결과 북한이 지뢰 사건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대한민국은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8][9] 참석자 구성은 2014년 10월 인천 회담 때와 동일한 최고위급 라인이었다. 당시 조선중앙통신은 김양건을 정치국 위원으로 소개했다.[10]
2015년 12월 30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양건이 전날인 12월 29일 오전 6시 15분경 교통사고로 사망했다고 발표했다.[11] 향년 73세. 김정은을 장례위원장으로 하는 국장(國葬)이 거행되었다.[12] 북한 고위 간부의 갑작스러운 교통사고사는 종종 숙청설과 연결되기도 하지만, 김양건의 경우 그 가능성은 낮게 평가된다.[11]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대남 온건파로 분류되던 김양건의 사망으로 향후 북한의 대남 정책이 경직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했다.[13] 실제로 그의 사망 직후인 2016년 1월 북한은 4차 핵 실험을 강행했다.
2. 3. 김정은 시대 활동
김정은 체제 하에서도 기존의 직책을 유지했으며, 2012년 7월 신설된 김정일훈장을 수훈받았다.2014년 10월 4일, 당시 북한 2인자로 평가받던 황병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당시 군 총정치국장)과 체육 정책을 담당하던 최룡해 조선로동당 비서(당시 국가체육지도위원회 위원장)와 함께 대한민국 인천에서 열린 2014년 아시안 게임 폐막식 참석을 위해 예고 없이 방한했다. 이들은 김관진 국가안보실장, 류길재 통일부 장관과 회담을 갖고 향후 남북 고위급 회담 개최에 합의했다. 북한 최고위급 인사 3명이 동시에 방한한 것에 대해 일본 외교 관계자는 "극히 이례적"이라고 평가했다.[5][6]
2015년 2월, 당 중앙위원회 정치국 확대회의에서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정치국원으로 승격되었다.[7]
같은 해 8월, 비무장지대(DMZ)에서 발생한 목함지뢰 매설 사건으로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자, 8월 22일부터 25일까지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 고위급 접촉에 북측 대표로 황병서와 함께 참석했다. 남측에서는 김관진 국가안보실장과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참석했으며, 이는 2014년 10월 방한 당시와 동일한 최고위급 협상 라인이었다. 회담 결과 북한은 지뢰 사건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한국은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8][9] 이 당시 조선중앙통신은 김양건을 다시 정치국원으로 호칭했다.[10]
2015년 12월 30일, 조선중앙통신은 김양건이 전날인 29일 오전 6시 15분경 교통사고로 사망했다고 보도했다.[11] 김정은을 장례위원장으로 하는 국장으로 장례가 치러졌다.[12] 북한에서 고위 간부가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경우 숙청과 연관 짓는 시각도 있으나, 전문가들은 김양건의 경우 실제 사고이거나 최고 지도자의 직접 지시보다는 엘리트 내부의 권력 투쟁 결과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기도 한다. 이는 북한의 열악한 도로 사정과 김정은의 절대 권력을 고려할 때, 암살을 위장할 필요성이 낮다는 점 등을 근거로 든다.[11]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대남 온건파로 분류되던 김양건의 사망으로 향후 북한의 대남 정책이 경직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했다.[13] 실제로 김양건 사망 직후인 2016년 1월, 북한은 4차 핵실험을 감행했다.
2. 4. 사망
2015년 12월 29일 오전 6시 15분경 교통사고로 사망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했다.[1][2][11] 2015년 12월 30일에는 김양건 살해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그의 시신은 평양 소장클럽에 안치되어 국상(lying in state)으로 조문객을 맞았으며, 장례는 국장(state funeral)으로 치러졌다. 후임 통일전선부장으로는 2016년 1월 김영철이 임명되었다.[3]김정은을 위원장으로 하는 장례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4]
번호 | 이름 | 번호 | 이름 | 번호 | 이름 |
---|---|---|---|---|---|
1 | 김정은 | 25 | 리철만 | 49 | 김형룡 |
2 | 김영남 | 26 | 김영대 | 50 | 김영철 |
3 | 황병서 | 27 | 류미영 | 51 | 오금철 |
4 | 박봉주 | 28 | 리일환 | 52 | 태정수 |
5 | 김기남 | 29 | 리만건 | 53 | 김수길 |
6 | 최룡해 | 30 | 김만성 | 54 | 박태성 |
7 | 최태복 | 31 | 최상건 | 55 | 김능오 |
8 | 박영식 | 32 | 리영래 | 56 | 전성훈 |
9 | 리영길 | 33 | 김정임 | 57 | 박영호 |
10 | 양형섭 | 34 | 김정협 | 58 | 박태덕 |
11 | 강석주 | 35 | 홍인범 | 59 | 김재룡 |
12 | 리용무 | 36 | 김경옥 | 60 | 박정남 |
13 | 오극렬 | 37 | 최휘 | 61 | 리상원 |
14 | 김원홍 | 38 | 리병철 | 62 | 강양모 |
15 | 곽범기 | 39 | 김영수 | 63 | 림경만 |
16 | 오수용 | 40 | 전일춘 | 64 | 김완수 |
17 | 김평해 | 41 | 정명학 | 65 | 원동연 |
18 | 최부일 | 42 | 김희택 | 66 | 리재혁 |
19 | 로두철 | 43 | 전경남 | 67 | 김진국 |
20 | 조연준 | 44 | 소홍찬 | 68 | 박진식 |
21 | 임철웅 | 45 | 노광철 | ||
22 | 김덕훈 | 46 | 림광일 | ||
23 | 김영진 | 47 | 조남진 | ||
24 | 리무용 | 48 | 렴철성 |
북한에서는 고위 간부가 교통사고로 사망했을 때 숙청을 위장한 암살이라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하지만, 김양건의 경우 그 가능성은 낮게 평가된다.[11] 러시아의 북한 전문가 피요도르 텔리츠키는 북한 최고 지도자가 암살을 위해 교통사고를 조작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분석했다. 그는 김정은과 같은 절대 권력자는 언제든 합법적인 절차를 통해 사형 판결을 내리고 공개적으로 처형할 수 있으며, 실제로 그렇게 해왔다고 지적했다. 또한, 숙청 대상의 정치적 영향력을 제거하는 방법은 강등, 해외 추방, 수감 등 다양하게 존재한다. 텔리츠키는 북한의 열악한 도로 사정을 고려할 때 실제 교통사고일 가능성도 충분하며, 만약 암살이라 하더라도 최고 지도자의 지시보다는 엘리트 내부의 권력 투쟁 결과일 가능성이 더 높다고 보았다.[11]
대한민국 언론에서는 김양건이 대남 온건파로서 외교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기 때문에 그의 사망 이후 북한의 대남 정책이 더욱 경직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13] 실제로 김양건 사망 직후인 2016년 1월, 북한은 4차 핵실험을 강행하여 남북 관계 및 국제 정세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참조
[1]
웹사이트
N Korean official in charge of ties with South dies: Pyongyang – Top aide to North Korea leader Kim Jong Un dies in car crash: KCNA
https://web.archive.[...]
2015-12-30
[2]
웹사이트
Kim Yang Gon Dies
http://www.kcna.kp/k[...]
2015-12-30
[3]
웹사이트
What the new photos of North Korea's leaders say.
https://www.bbc.co.u[...]
2016-05-13
[4]
웹사이트
Kim Yang Gon Funeral Committee
http://www.nkleaders[...]
2015-12-29
[5]
뉴스
南北高官協議再開へ…北幹部、統一相らと会談
https://web.archive.[...]
YOMIURI ONLINE
2014-10-05
[6]
뉴스
南北高位級会談の実施で合意 北朝鮮幹部が電撃訪韓
http://digital.asahi[...]
朝日新聞デジタル
2014-10-04
[7]
뉴스
北朝鮮、労働党で人事異動…郭範基氏が政治局委員に昇進
http://dailynk.jp/ar[...]
Daily NK
2015-08-31
[8]
뉴스
韓国と北、衝突回避へ協議 「期限」過ぎ、韓国は放送続行 北に動きなし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5-08-22
[9]
뉴스
南北急転直下の合意、「準戦時状態」解除 北「遺憾」表明、韓国「宣伝放送」中断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15-08-25
[10]
뉴스
北の報道、「大韓民国」の正式名称使い異例の紹介 通常は「南朝鮮」「かいらい」…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5-08-22
[11]
웹사이트
北朝鮮高官は、なぜ次々交通事故で死ぬのか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7-03-30
[12]
뉴스
北朝鮮の金養建・党統一戦線部長が死去 交通事故
http://www.asahi.com[...]
朝日新聞
2015-12-30
[13]
뉴스
<北朝鮮金養建死去>「金正恩を突出行動を抑える人物消え、南北対話硬直も」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5-12-31
[14]
웹인용
통일·북한 정보 > 주요인물
https://web.archive.[...]
2015-12-31
[15]
뉴스
북 군단장 7명 전격 교체, 4년 만에 최대 규모- 중앙일보 뉴스
https://archive.toda[...]
중앙일보
2012-07-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